KR20140147646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646A
KR20140147646A KR1020130127471A KR20130127471A KR20140147646A KR 20140147646 A KR20140147646 A KR 20140147646A KR 1020130127471 A KR1020130127471 A KR 1020130127471A KR 20130127471 A KR20130127471 A KR 20130127471A KR 20140147646 A KR20140147646 A KR 20140147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housing
width direction
dep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시 아사이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8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e.g. pivoting, camming or translating parallel to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고, 다수의 배선 상호간의 접속에 대응하고, 일방을 타방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의 얼라인먼트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커넥터는 플러그 및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플러그는, 콘택트와, 세판 형상의 보강판과, 하우징의 폭방향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고, 리셉터클은, 플러그의 콘택트에 대응하는 개수 및 위치를 구비하는 콘택트와, 하우징의 폭방향의 각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형성된 홀드다운부로서 각각이 플러그의 결합부가 하우징의 깊이방향을 따라 삽입 가능한 삽입개구부 및 내부공간을 구비함과 아울러 결합부를 소정의 위치에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삽입개구부와 내부공간이 하우징의 깊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기판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2개의 기판 상에 각각 플러그(plug) 및 소켓(socket)을 설치하고, 기판 상호간을 근접시키면서 플러그를 소켓에 삽입함으로써 2개의 기판 상의 프린트 배선(print 配線)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또한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커넥터에 판상 케이블(板狀 cable)이 장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특허문헌2의 커넥터는, 상면부, 제1측부 및 제2측부를 구비하고, 중공(中空)으로 형성된 하우징(housing)을 구비하고, 하우징은 판상 케이블의 통과를 허용하는 상면 개구부와, 제2측부측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판상 케이블의 보강판의 날개부의 끝면에 간섭하는 제1빠짐방지부와, 상면부측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보강판에 간섭하는 제2빠짐방지부를 구비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4177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252864호 공보
특허문헌1에 있어서는 저배화(低背化)가 요망되고 있다. 특허문헌2에 있어서는, 다수의 배선 상호간의 접속에 대응할 수 없고, 판상 케이블을 기판의 커넥터에 장착할 때의 이들의 얼라인먼트(alignment)의 정밀도를 높일 수 없고 또한 보강판을 구비하는 판상 케이블의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없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 대 기판, 기판 대 FPC 등에 사용할 수 있고,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고, 다수의 배선 상호간의 접속에 대응하고, 일방(一方)을 타방(他方)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의 얼라인먼트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사용되는 플러그(plug)는, 폭방향과 깊이방향과 두께방향을 구비하는 판(板) 형상의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깊이방향의 각 측면에 상기 폭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콘택트(contact)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깊이방향의 중앙에 상기 폭방향으로 배치된 세판(細板) 형상의 보강판(補强板)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폭방향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위치에 형성된 결합부(結合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에 사용되는 리셉터클(receptacle)은, 폭방향과 깊이방향과 두께방향을 구비하는 판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깊이방향의 각 측면에 상기 폭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콘택트로서, 제1항의 플러그의 상기 콘택트의 개수(個數) 및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 및 위치를 구비하는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폭방향의 각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위치에 설치된 홀드다운부(hold-down部)로서, 각각이 제1항의 상기 플러그의 상기 결합부가 상기 깊이방향을 따라 삽입 가능한 삽입개구부 및 내부공간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를 소정의 위치에 지지하는 지지부(支持部)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개구부와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하우징의 깊이방향으로 연결되는 홀드다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상기의 플러그와 상기의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고, 다수의 배선 상호간의 접속에 대응하고, 일방을 타방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의 얼라인먼트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도전성(導電性)이더라도 좋다.
상기의 리셉터클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폭방향의 각 끝부에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가 각 홀드다운부의 상기 내부공간의 일부를 획정(劃定)하더라도 좋다.
상기의 리셉터클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하우징에, 상기 플러그 및 상기 리셉터클의 결합 시작 시를 위한 기준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준면 및 상기 안내부에 의하여 상기 삽입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상기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홀드다운부에 결합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의 상기 결합부에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또는 상기 결합부가 탄성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을 상대적으로 각 하우징의 상기 깊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결합돌기부가 상기 오목부와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플러그의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하우징에 각각 기준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및 상기 리셉터클의 결합의 시작 시에 그들 기준면을 평행하게 근접시켜서 배치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및 상기 리셉터클의 결합을 위한 얼라인먼트(alignment)가 달성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 대 기판, 기판 대 FPC 등에 사용할 수 있고,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고, 다수의 배선 상호간의 접속에 대응하고, 일방을 타방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의 얼라인먼트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결합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플러그 조립체측에서 본 사시도, (b)는 리셉터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를 FPC에 고정한 플러그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A-A선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에 설치되어 있는 보강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리셉터클의 사시도로서,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조립체가 부착되는 측에서 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리셉터클의 사시도, (b)는 (a)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리셉터클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조립체가 부착되어 있는 측에서 본, 도5(a)의 리셉터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및 리셉터클을 결합할 때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얼라인먼트를 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및 리셉터클을 결합할 때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가압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및 리셉터클을 결합할 때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를 리셉터클 상에서 슬라이드 시켜서 결합을 완료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결합상태를 확인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로서, (a)는 불완전한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 (b)는 정상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connector)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plug)(10)와 리셉터클(receptacle)(20)이 결합된 커넥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플러그(10)의 콘택트(contact)(11c)가, FPC(flexible printed circuits :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100)에 있어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콘택트에 납땜되어 있어, 플러그 조립체(plug 組立體)가 구성되어 있다.
FPC(100)는, 예를 들면 절연성이 있는 얇고 유연한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의 베이스 필름과 동박(銅箔) 등의 도전성 금속을 접합시킨 기재(基材)에 회로를 형성한 기판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10)에 보강판(補强板)(13)을 설치하기 때문에, FPC(100)에 보강판을 설치할 것인가 아닌가는 임의이다.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결합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20)의 홀드다운부(hold-down部)(24, 25)의 내부의 공간에, 플러그(10)의 보강판(13)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12)가 삽입되고, 결합부(12)의 오목부(14)에 홀드다운부(24, 25)의 결합돌기부(245)가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오목부(14) 및 결합돌기부(245)에 의하여 지지부가 구성된다.
도2 및 도3은,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결합이 해제되었을 때의 플러그 조립체를 나타낸다.
플러그(10)는, 하우징(housing)(11)과, 하우징(11)에 매설된 복수의 콘택트(11c)와, 보강판(13)을 구비한다.
하우징(11)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FPC(100)의 장변(長邊) 방향으로 깊이방향을 구비하고, FPC(100)의 폭방향으로 폭방향을 구비하고, FPC(100)의 두께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두께방향을 구비하는 판(板) 형상으로 몰드성형되어 있다.
복수의 콘택트(11c)는, 하우징(11)의 깊이방향의 각 측면에 폭방향을 따라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콘택트(11c)는, 하우징으로부터 도2에 있어서 보이는 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접점부(接點部)와, FPC(100)측으로 노출되어 FPC(100)의 도전성 금속에 납땜되어 있는 접점부를 구비한다. 도2에 있어서 보이는 측으로 노출되는 접점부는, 리셉터클(20)의 콘택트(22, 23)가 대응하는 접점부와 접촉한다.
하우징(11)의 깊이방향의 중앙 즉 양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콘택트(22, 23)의 콘택트열(contact列)의 사이에는, 폭방향을 따라 보강판(13)이 매립되어 있다. 보강판(13)은,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의 판재로 세판(細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판(13)은,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폭방향을 따라 표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이면측에는, 그 볼록부에 따른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보강판(13)의 형상은 이러한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예를 들면 단변(短邊) 방향의 단면 형상이 L자형의 것이더라도 I형의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보강판(13)은, 도전성을 구비하고 있고, 접지 플레이트(接地 plate)로서 기능을 함으로써 커넥터(1)로서 조립되었을 때에 크로스 토크(cross talk) 등의 통신장애의 방지를 도모하도록 기능을 할 수 있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판(13)의 장변 방향의 양단부는 하우징(11)의 폭방향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된 부분에는 하우징(11)과 동일한 소재의 합성수지에 의하여 사각형 형상의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결합부(12)는, 플러그(10)가 FPC(100)에 고정되면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100)의 폭방향의 위치로부터 돌출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결합부(12)는, 하우징(11)을 형성할 때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고 또한 리셉터클(20)의 홀드다운부(24, 25)의 내부 공간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12)는,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11c)에 있어서 리셉터클(20)의 접점부와 접촉하는 측(도3의 상측)의 접점부가 노출되는 면보다 상방의 위치에 있는 슬라이딩면(sliding面)(12s)과, 슬라이딩면(12s)의 양쪽 가장자리부로부터 FPC(100)를 향하여 연장되는 측면을 구비한다. 슬라이딩면(12s)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20)의 안내부(212)의 안내면(212g) 상을 슬라이딩 한다. 측면의 일방은,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을 결합시킬 때의 위치결정을 위한 기준면으로서 기능을 한다.
도5(a) 및 도5(b)는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본 리셉터클(20)의 사시도이고, 도6은 리셉터클(2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리셉터클(20)의 구조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셉터클(20)은, 하우징(21)과 콘택트(22, 23)와 홀드다운부(24, 25)를 구비한다.
하우징(21)은, 예를 들면 LCP(Liquid Crystal Polymer : 액정폴리머) 등의 합성수지에 의하여 형성된 프레임 모양체이고, 폭방향과 깊이방향과 두께방향을 구비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콘택트 장착부(contact 裝着部)(211)와, 콘택트의 결합 시에 플러그(10)의 결합부(12)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212)로 이루어진다.
리셉터클(20)에 있어서 하우징(21)의 폭방향, 깊이방향 및 두께방향은,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을 결합시켰을 때의 플러그(10)에 있어서 하우징(11)의 폭방향, 깊이방향 및 두께방향과 일치한다.
콘택트 장착부(211)는, 깊이방향의 각 측면에, 폭방향을 따라 평행하고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22a)을 구비한다. 각 홈(22a)에는 1개의 콘택트(22, 23)가 장착된다. 콘택트(22, 23)의 개수(個數) 및 위치는, 플러그(10)의 콘택트(11c)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한다.
각 콘택트(22, 23)는 플러그(10)의 콘택트(11c)의 접점부와 접촉하기 위한 것으로서, 만곡(彎曲)한 접점부(22c, 23c)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기판의 접점에 접속하기 위한 접점부(22b, 23b)와, 콘택트 장착부(211)의 홈(22a) 내에 고정되는 고정부(22f, 23f)와, 고정부와 만곡한 접점부 사이의 탄성변형부(22s, 23s)로 이루어진다.
또한 콘택트 장착부(211)의 폭방향의 양단부이고 안내부(212)의 근방에는, 홀드다운부(24, 25)를 부착하기 위한 관통구멍(243h, 244h, 253h, 254h)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멍에는, 홀드다운부(24, 25)의 다리부(243a, 244a, 253a, 254a)가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홀드다운부(24, 25)는, 서로 마주 본 경우에 경상(鏡像)의 관계 즉 그들 사이의 평면에 대하여 대칭의 형상이다.
홀드다운부(24, 25)는, 예를 들면 동합금재(銅合金材)에 의하여 대략 중공(中空)의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콘택트 장착부(211)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본체벽부(本體壁部)(241, 251)와, 본체벽부(241, 251)에 있어서 도6의 상단측으로부터 콘택트 장착부(211)의 면과 평행하고 또한 홀드다운부(24, 25)가 서로 대향(對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벽부(押壁部)(242, 252)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벽부(241, 251)에 있어서 도6의 하단측으로부터 콘택트 장착부(211)의 면과 평행하고 또한 홀드다운부(24, 25)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고정벽(固定壁)(243, 253)이 연장되어 있고, 고정벽(243, 253)의 끝부로부터 다리부(243a, 253a)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압벽부(242, 252)의 대향측 끝면으로부터 본체벽부(241, 251)와 평행하게 하방을 향하여 정지벽(停止壁)(244, 254)이 연장되어 있고, 정지벽(244, 254)의 하단으로부터 콘택트 장착부(211)의 면과 평행하게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고정벽(246, 256)이 연장되어 있고, 고정벽(246, 256)의 끝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다리부(244a, 254a)가 연장되어 있다.
홀드다운부(24)의 다리부(243a, 244a)가 각각 콘택트 장착부(211)의 관통구멍(243h, 244h)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홀드다운부(25)의 다리부(253a, 254a)가 각각 콘택트 장착부(211)의 관통구멍(253h, 254h)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압벽부(242, 252)에는, 고정벽(246, 256)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결합돌기부(245, 25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부(245, 255)는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압벽부(242, 252)는 변형 가능하여 탄성을 구비하고, 이에 따라 결합돌기부(245, 255)는 외측을 향하여 들어올리는 힘이 가해진 후에 그 힘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홀드다운부(24, 25)를 구성하는 분리벽부(241, 242, 243) 등과 안내부(212)의 안내면(212g)에 의하여 홀드다운부(24, 25)의 내부공간이 획정(劃定)되어 있다.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이 결합할 때에 결합돌기부(245, 255)는, 결합부(12)의 보강판(13)의 부분을 타고 넘어가서 오목부(14)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을 올바른 위치에서 결합시킬 수 있다.
연속하는 압벽부(242, 252), 본체벽부(241, 251), 고정벽(243, 253) 및 다리부(243a, 253a)의 끝면에 의하여 결합할 때에 플러그(10) 및 리셉터클(20)의 얼라인먼트를 위한 기준면(24lb, 25lb)이 형성되어 있다.
기준면(24lb, 25lb)과 안내부(212)에 의하여 플러그(10)의 결합부(12)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개구부는, 홀드다운부(24, 25)의 내부공간과 하우징(21)의 깊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정지벽(244, 254)에 있어서 삽입개구부측의 끝면에 의하여 정지부(244b, 254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정지부는,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을 결합할 때에, 플러그(10)의 결합부(12)가 적정한 결합위치를 넘지 않도록 결합부(12)를 소정의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기능을 한다.
도5(a)에 있어서, 홀드다운부(24, 25)의 고정벽(243, 253, 246, 256)의 하측 면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기판에 리플로우 납땜 등이 됨으로써 콘택트(20)가 기판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도7에서 도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10) 및 리셉터클(20)을 각 하우징의 깊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시킬 때의 순서를 설명한다. 또 이들 도면에는, 플러그(10)의 일방측의 결합부(12) 및 리셉터클(20)의 홀드다운부(24)측만이 나타나 있지만, 플러그(10)의 타방측의 결합부(12) 및 리셉터클(20)의 홀드다운부(25)에도 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순서가 적용된다.
먼저 플러그 조립체의 플러그(10)의 폭방향과 리셉터클(20)의 폭방향을 대략 정렬하여 그들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근접하게 하고, 그들을 조금 비키어 놓아서 평행하게 지지한다. 리셉터클(20)에 플러그(10)가 근접하면,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20)의 홀드다운부(24, 25)의 기준면(24lb, 25lb)에, 플러그(10)의 결합부(12)의 일방의 측면(도7에 있어서 우측의 측면)을 평행하게 근접시켜서 배치한다. 이에 따라 결합할 때에 플러그(10)의 결합부(12)와 리셉터클(20)의 홀드다운부(24, 25)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7의 상태에서는, 플러그(10)의 평면과 리셉터클(20)의 평면이 대향하고, 플러그(10)에 있어서 리셉터클(20)과 대향한 평탄한 면에, 리셉터클(20)의 콘택트(22, 23)의 만곡한 접점부(22c, 23c)가 접촉한 상태에 있다. 다만 콘택트(22, 23)의 만곡한 접점부(22c, 23c)는, 플러그(10)의 콘택트(11c)에 적정하게 접촉되지는 않는다.
다음에 도8에 있어서,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조립체의 FPC(100)를 리셉터클(20)을 향하여 가압하면, 플러그(10)에 있어서 리셉터클(20)과 대향한 평탄한 면에 의하여 리셉터클(20)의 콘택트(22, 23)의 만곡한 접점부(22c, 23c)가 홈(22a)을 향하여 가압된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20)의 콘택트(22, 23)의 탄성변형부(22s, 23s)가 변형되어,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드다운부(24, 25)의 삽입개구부에 결합부(12)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플러그(10)의 결합부(12)의 슬라이딩면(12s)이 리셉터클(20)의 안내부(212)의 안내면(212g)에 올라타고 있다.
다음에 플러그 조립체를 리셉터클(20)에 가압하면서, 도9에 있어서 화살표(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12)의 슬라이딩면(12s)을, 리셉터클(20)의 안내부(212)의 안내면(212g) 상을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결합부(12)를 홀드다운부(24, 25)의 삽입개구부로부터 내부의 공간에 삽입한다. 이 때에 결합부(12)의 내측 면(하우징(11)의 폭방향과 수직의 면)이, 리셉터클(20)의 안내부(212)의 내측 면(하우징(21)의 폭방향과 수직의 면)에 의하여 안내된다.
한편 결합부(12)가 홀드다운부(24, 25)의 삽입개구부로부터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될 때에, 홀드다운부(24, 25)의 압벽부(242, 252)의 결합돌기부(245, 255)는, 결합부(12)의 보강판(13)의 단변 방향의 측단부에 접촉된다.
또한 결합부(12)가 홀드다운부(24, 25)의 내부 공간으로 압입되면, 결합돌기부(245, 255)는, 결합부(12)의 보강판(13)의 단변 방향의 측단부에 올라타고, 그것을 더 타고 넘어가서 오목부(14)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부(245, 255)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것은, 결합돌기부(245, 255)가 형성되어 있는 압벽부(242, 252)가 변형 가능하여 탄성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결합을 해제할 때에는, 플러그 조립체를 FPC(100)의 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리셉터클(20)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홀드다운부(24, 25)의 내부로부터 결합부(12)를 인출하도록 한다.
이 때에 결합돌기부(245, 255)가 오목부(14)로부터 보강판(13)의 곡면을 따라 외측을 향하여 밀어 올려져서 보강판(13)의 끝부를 타고 넘어가서 결합부(12)로부터 빠지면, 결합돌기부(245, 255)는 압벽부(242, 252)의 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 시점에서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결합이 해제된다.
다음에 도10을 참조하면서, 플러그(10) 및 리셉터클(20)의 결합이 적정한가 아닌가를 확인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0(a)에서는, 리셉터클(20)의 홀드다운부(24)의 결합돌기부(245)와 플러그(10)의 결합부(12)의 오목부(14)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결합돌기부(245)가 오목부(14)에 적절하게 삽입되지 않아 원위치로 복귀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결합은 미완료이다.
도10(b)에서는, 리셉터클(20)의 홀드다운부(24)의 결합돌기부(245)가, 플러그(10)의 결합부(12)의 오목부(14)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결합돌기부(245)가 오목부(14)에 적절하게 삽입되어 있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는 정상의 결합이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20)의 홀드다운부(24, 25)에 결합돌기부(245, 255)를 형성하고, 플러그(10)의 결합부(12)에 오목부(14)를 형성하여, 결합돌기부(245, 255)가 오목부(14)에 삽입되도록 하였다.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결합부(12)에 결합돌기부를 형성하고, 홀드다운부(24, 25)의 압벽부(242, 252)에, 그 결합부(12)에 결합돌기부가 삽입되는 오목부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결합부(12)에, 결합돌기부가 돌출되거나 인입되거나 하는 것과 같은 탄성을 갖게 하더라도 좋고, 또는 압벽부(242, 252)의 일부를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부분에, 결합돌기부가 삽입되는 것과 같은 오목부가 형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리셉터클(20)의 홀드다운부(24, 25)의 결합돌기부(245, 255)가, 플러그(10)의 결합부(12)의 오목부(14)에 삽입됨으로써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결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대신하여 홀드다운부(24, 25)에 결합돌기부(245, 255)를 형성하지 않고 또한 결합부(12)에 오목부(14)를 형성하지 않고, 결합부(12)의 기준면이 되는 측면이, 홀드다운부(24, 25)의 정지벽(244, 254)의 삽입개구부측의 끝면에 형성된 정지부(244b, 254b)에 접촉되면, 결합이 완료하였다고 판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정지부(244b, 254b)가 지지부로서 기능을 한다.
이 구성의 경우에는, 결합돌기부와 오목부의 결합이 없더라도, 리셉터클(20)의 콘택트(22, 23)의 탄성력에 의하여 플러그(10)의 결합부(12)의 보강판(13)이 설치되어 있는 면이, 홀드다운부(24, 25)의 압벽부(242, 252)의 내측의 면에 가압되기 때문에, 그 위치에 있어서의 마찰력에 의하여 플러그(10)와 리셉터클(20)의 결합은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이나 개변(modification)을 포함한다.
1 : 커넥터
10 : 플러그
11, 21 : 하우징
11c, 22, 23 : 콘택트
12 : 결합부
12s : 슬라이딩면
13 : 보강판
14 : 오목부
20 : 리셉터클
24, 25 : 홀드다운부
100 : FPC
212 : 안내부
212g : 안내면
242 : 압벽부
245 : 결합돌기부

Claims (8)

  1. 폭방향과 깊이방향과 두께방향을 구비하는 판(板) 형상의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깊이방향의 각 측면에 상기 폭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콘택트(contact)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깊이방향의 중앙에 상기 폭방향으로 배치된 세판(細板) 형상의 보강판(補强板)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폭방향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위치에 형성된 결합부(結合部)를
    구비하는 플러그(plug).
  2. 폭방향과 깊이방향과 두께방향을 구비하는 판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깊이방향의 각 측면에 상기 폭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콘택트로서, 제1항의 플러그의 상기 콘택트의 개수(個數) 및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 및 위치를 구비하는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폭방향의 각 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위치에 설치된 홀드다운부(hold-down部)로서, 각각이 제1항의 상기 플러그의 상기 결합부가 상기 깊이방향을 따라 삽입 가능한 삽입개구부 및 내부공간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를 소정의 위치에 지지하는 지지부(支持部)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개구부와 상기 내부공간이, 상기 하우징의 깊이방향으로 연결되는 홀드다운부를 구비하는 리셉터클(receptacle).
  3. 제1항의 플러그와 제2항의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커넥터(connector).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이 도전성(導電性)인 플러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하우징은 상기 폭방향의 각 끝부에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가 각 홀드다운부의 상기 내부공간의 일부를 획정(劃定)하는 리셉터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하우징에, 상기 플러그 및 상기 리셉터클의 결합 시작 시를 위한 기준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준면 및 상기 안내부에 의하여 상기 삽입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리셉터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홀드다운부에 결합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의 상기 결합부에 상기 결합돌기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셉터클 또는 상기 결합부가 탄성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리셉터클을 상대적으로 각 하우징의 상기 깊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결합돌기부가 상기 오목부와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결합을 해제할 수 있는 커넥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하우징에 각각 기준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및 상기 리셉터클의 결합의 시작 시에 그들 기준면을 평행하게 근접시켜서 배치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및 상기 리셉터클의 결합을 위한 얼라인먼트(alignment)가 달성되는 커넥터.
KR1020130127471A 2013-06-20 2013-10-25 커넥터 KR201401476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29672A JP5747950B2 (ja) 2013-06-20 2013-06-20 コネクタ
JPJP-P-2013-129672 2013-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646A true KR20140147646A (ko) 2014-12-30

Family

ID=5211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471A KR20140147646A (ko) 2013-06-20 2013-10-25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96987B2 (ko)
JP (1) JP5747950B2 (ko)
KR (1) KR20140147646A (ko)
CN (1) CN104241932B (ko)
TW (1) TWI5190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7135B2 (ja) * 2016-04-12 2019-11-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70463B1 (ja) * 2017-11-27 2018-08-08 株式会社ダイカン ダクトレール用電源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0818A (ja) 2003-12-25 2005-07-14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8097851A (ja) * 2006-10-06 2008-04-24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JP4704477B2 (ja) * 2009-02-19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4910201B2 (ja) * 2009-11-27 2012-04-04 Smk株式会社 コネクタロック装置
JP5232202B2 (ja) * 2010-08-03 2013-07-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181399B2 (ja) 2011-06-02 2013-04-10 Smk株式会社 板状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825477B2 (ja) 2011-08-18 2015-12-02 Smk株式会社 接続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77979A1 (en) 2014-12-25
CN104241932B (zh) 2016-08-31
JP2015005395A (ja) 2015-01-08
CN104241932A (zh) 2014-12-24
TW201501422A (zh) 2015-01-01
TWI519004B (zh) 2016-01-21
JP5747950B2 (ja) 2015-07-15
US9196987B2 (en)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8225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50001574A (ko) 커넥터
US9196984B2 (en) Substrate connection structure using substrate connector
US11158967B2 (e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 disengageable by an operation portion
KR20150110313A (ko) 커넥터 조립체
US8986020B2 (en) Inter-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US8529275B2 (en) Assembled component having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cap, electrical connector cap, and method of mounting electrical connector
JP2012238519A (ja) 電気コネクタ
EP3026759B1 (en) Connector with stabilization members and method of assembly
KR10132639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TWI354412B (ko)
US20120149235A1 (en) Detachment and displacement protection structure for insertion of flexible circuit flat cable
KR20140147646A (ko) 커넥터
WO201507215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JP6466266B2 (ja) コネクタ
JP6546973B2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JP6239582B2 (ja) 電気コネクタ
US11114787B2 (en) Terminal for connector mounted to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or supporting said terminal
KR101008213B1 (ko) 커넥터
JP2010192383A (ja) 接続端子及びコネクタ並びにスタック状電極への接続構造
JP2009026591A (ja) 電気接続部品
JP2008077844A (ja) 基板用コネクタ
TWM268774U (en) Electrical connector
TW201138226A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