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424A -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424A
KR20190042424A KR1020180027136A KR20180027136A KR20190042424A KR 20190042424 A KR20190042424 A KR 20190042424A KR 1020180027136 A KR1020180027136 A KR 1020180027136A KR 20180027136 A KR20180027136 A KR 20180027136A KR 20190042424 A KR20190042424 A KR 20190042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insulating layer
gate
forming
g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섭
민병규
이종민
강동민
김동영
김성일
김해천
도재원
안호균
이상흥
임종원
장성재
조규준
지홍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042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31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 or gate, e.g. HFET, HIGFET, SISFET, HJFET, HEM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5Plasma etching; Reactive-ion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02Material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 H01L2924/1025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924/1026Compound semiconductors
    • H01L2924/1032III-V
    • H01L2924/1033Gallium nitride [G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캐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핑층 상에 제1 및 제2 오믹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오믹 전극을 덮는 제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제2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층, 상기 제2 절연층 및 상기 캐핑층을 식각하여 게이트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리세스를 채우는 제1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전극 상에 제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게이트 전극 옆에 보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에 의해 자기 정렬되고; 및 상기 제1 오믹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을 연결하는 에어 브릿지형 필드 플레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MICROWAVE DEVICE}
본 발명은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높은 전기장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높은 주파수 영역에서 사용하는 전계 효과형 고주파 전자소자는 고전자 이동도 트랜지스터(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HEMT) 및 금속-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etal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ESFET)를 포함한다. HEMT는 전하가 전하 공급층(Charge donor layer)에서 도핑되지 않은 채널층으로 이동된다는 점에서 MESFET과 구분된다.
노멀리 오프(Normally off)형 고주파 소자는 게이트-소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소자로서, 증가형 또는 강화형(Enhancement mode) 고주파 소자로 불리기도 한다. 노멀리 온(Normally on)형 고주파 소자는 게이트-소스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도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소자로서, 공핍형(Depletion mode) 고주파 소자로 불리기도 한다.
전형적인 HEMT는 노멀리 온(Normally on) 특성을 갖는다. 노멀리 온 특성의 HEMT를 오프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게이트 전극을 음전위로 하기 위한 마이너스 전원이 필요하다. 또한, 노멀리 온 특성의 HEMT는 전원투입시에 과대 전류가 흐를 가능성이 있어 과대 전류를 억제하기 위한 특별한 회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높은 전기장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고주파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고주파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캐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핑층 상에 제1 및 제2 오믹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오믹 전극을 덮는 제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제2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층, 상기 제2 절연층 및 상기 캐핑층을 식각하여 게이트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리세스를 채우는 제1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전극 상에 제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게이트 전극 옆에 보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에 의해 자기 정렬되고; 및 상기 제1 오믹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을 연결하는 에어 브릿지형 필드 플레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은 필드 플레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함으로써, 게이트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높은 전기장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고주파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은 게이트 전극과 보조 전극의 간격을 최소화하고, 필드 플레이트 전극이 절연층과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 고주파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 내지 도 2l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기판(1), 버퍼층(2), 채널층(3), 스페이서층(4) 및 쇼트키층(5)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다. 기판(1)은 SiC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2)은 AlN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층(3)은 미도핑된 GaN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층(4)은 미도핑된 AlGaN을 포함할 수 있다. 쇼트키층(5)은 미도핑된 AlGa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쇼트키층(5) 상에 제1 오믹 전극(6a) 및 제2 오믹 전극(6b)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오믹 전극(6a) 및 제2 오믹 전극(6b)은 쇼트키층(5)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오믹 전극들(6a,6b)은 Ti, Al, W, Au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오믹 전극들(6a,6b)은 진공 증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믹 전극(6a)은 소스 전극일 수 있다. 제2 오믹 전극(6b)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다. 이어서, 레지스트 패턴(7)을 형성할 수 있다. 레지스트 패턴(7)은 제1 오믹 전극(6a), 제2 오믹 전극(6b) 및 쇼트키층(5)을 덮을 수 있다. 레지스트 패턴(7)은 게이트 리세스(GR)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리세스(GR)는 제1 리세스(GR1) 및 제1 리세스(GR1) 아래의 제2 리세스(GR2)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리세스(GR)는 T자 형태일 수 있다. 쇼트키층(5), 제1 오믹 전극(6a) 및 제2 오믹 전극(6b) 상에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및 고분자 공중합체(Co-polymer)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전자선 리소그래피법을 통해 레지스트 패턴(7)및 게이트 리세스(GR)를 형성할 수 있다. 고분자 공중합체의 일부가 제거되어 제1 리세스(GR1)가 형성될 수 있고, PMMA의 일부가 제거되어 제2 리세스(GR2)가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리세스(GR)에 의해 쇼트키층(5)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게이트 금속층(8) 및 게이트 전극(9)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금속층(8)은 레지스트 패턴(7)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9)은 게이트 리세스(GR)를 채울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게이트 전극(9)은 제2 리세스(GR2) 및 제1 리세스(GR1)의 일부를 채울 수 있다. 게이트 금속층(8) 및 게이트 전극(9)은 게이트 금속을 증착시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금속은 진공 증착 방식으로 증착될 수 있다. 게이트 금속은 Ni 또는 Au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면, 레지스트 패턴(7, 도 1c 참조) 및 게이트 금속층(8, 도 1c 참조)을 제거할 수 있다. 레지스트 패턴(7)을 리프트 오프(Lift off)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레지스트 패턴(7)이 제거됨에 따라, 게이트 금속층(8)이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다시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은 PMMA를 전자선 리소그래피법으로 제거하여 게이트 리세스(GR)의 제2 리세스(GR2)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리세스(GR)의 제2 리세스(GR2)의 폭이 미세한 경우 게이트 리세스(GR)의 제2 리세스(GR2)의 폭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금속이 균일하게 증착되지 않을 수 있고, 제2 리세스(GR2)를 채우는 게이트 전극(9)의 폭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9)의 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게이트 금속을 높게 증착할 경우, 진공 증착 장비의 온도가 높아져 레지스트 패턴(7)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전극(9)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없고, 고주파 소자 제조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주파 소자는 게이트 전극(9)과 제1 및 제2 오믹 전극들(6a,6b) 사이에서 높은 전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소자의 파괴 전압이 낮아질 수 있고, 고주파 소자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l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기판(10), 버퍼층(11), 채널층(12), 스페이서층(13), 쇼트키층(14) 및 캐핑층(15)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다. 기판(10)은 SiC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1)은 AlN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층(12)은 미도핑된 GaN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층(13)은 미도핑된 AlGaN을 포함할 수 있다. 쇼트키층(14)은 미도핑된 AlGaN을 포함할 수 있다. 캐핑층(15)은 미도핑된 GaN을 포함할 수 있다.
캐핑층(15) 상에 제1 및 제2 오믹 전극들(16a,16b)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오믹 전극들(16a,16b)은 캐핑층(15)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오믹 전극들(16a,16b)은 Ti, Al, W, Au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오믹 전극들(16a,16b)은 진공 증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오믹 전극들(16a,16b)을 형성한 후 열처리를 할 수 있다. 일 예로, 열처리 온도는 850℃일 수 있다. 제1 오믹 전극(16a)은 소스 전극일 수 있다. 제2 오믹 전극(16b)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다. 이어서, 제1 절연층(17)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7)은 제1 및 제2 오믹 전극들(16a,16b) 및 캐핑층(15)을 덮을 수 있다. 제1 절연층(17)은 Si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7)은 PECVD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절연층(17)의 두께는 1000Å일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절연층(17) 상에 제2 절연층(1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8)은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8)은 PECVD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절연층(18)의 두께는 2000Å일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2 절연층(18) 상에 제1 레지스트 패턴(19)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레지스트 패턴(19)은 홀(H)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8) 상에 PMMA를 도포하고, 전자선 리소그래피법을 통해 제1 레지스트 패턴(19) 홀(H)을 형성할 수 있다. 홀(H)에 의해 제2 절연층(18)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어서, 게이트 리세스(GR)를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리세스(GR)는 제2 절연층(18) 및 제1 절연층(17)을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리세스(GR)는 제1 리세스(GR1) 및 제2 리세스(GR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8)을 식각하여 제1 리세스(GR1)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절연층(17)을 식각하여 제2 리세스(GR2)가 형성될 수 있다. 홀(H)에 의해 노출된 제2 절연층(18)을 SF6 가스로 식각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8)은 등방성 플라즈마 식각법으로 식각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8)의 식각에 의해 제1 절연층(17)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제1 절연층(17)을 CF4 가스로 식각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7)은 비등방성 건식 식각법으로 식각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7)의 식각에 의해 캐핑층(15)이 노출될 수 있다. 게이트 리세스(GR)의 제1 리세스(GR1)의 폭은 제2 리세스(GR2)의 폭 보다 넓을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제1 레지스트 패턴(19, 도 2c 참조)의 일부를 제거하여 게이트 헤드 패턴(2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레지스트 패턴(19)의 일부는 전자선 리소그래피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노출된 캐핑층(15)을 BCl3 가스 및 Cl2 가스로 식각할 수 있다. 캐핑층(15)은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건식 식각법으로 식각될 수 있다. 캐핑층(15)의 식각에 의해 게이트 리세스(GR)의 제2 리세스(GR2)가 더 깊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게이트 리세스(GR)의 제2 리세스(GR2)의 하부가 캐핑층(15)과 같은 레벨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e를 참조하면, 제1 금속층(23) 및 제1 게이트 전극(2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금속층(23)은 게이트 헤드 패턴(2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22)의 일부는 게이트 리세스(GR)를 채울 수 있고, 제1 게이트 전극(22)의 다른 일부는 제2 절연층(18)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22)은 Γ자 형태일 수 있다. 제1 금속층(23) 및 제1 게이트 전극(22)은 제1 금속을 증착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금속은 진공 증착 방식으로 증착될 수 있다. 제1 금속은 내열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금속은 Ni, WNx, Au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f를 참조하면, 게이트 헤드 패턴(21, 도 2e) 및 제1 금속층(23, 도 2e)을 제거할 수 있다. 게이트 헤드 패턴(21)을 리프트 오프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게이트 헤드 패턴(21)이 제거됨에 따라, 제1 금속층(23)이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도 2g를 참조하면, 언더컷(24)을 형성할 수 있다. 언더컷(24)은 제2 절연층(18, 도 2f 참조)을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22)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제2 절연층(18)을 식각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8)은 건식 식각법으로 식각될 수 있다.
도 2h를 참조하면, 제1 절연층(17) 상에 제2 레지스트 패턴(25)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7) 상에 포토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포토 리소그래피법을 통해 제2 레지스트 패턴(25)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2 금속층(26), 제2 게이트 전극(27) 및 보조 전극(28)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금속층(26)은 제2 레지스트 패턴(2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전극(27)은 제1 게이트 전극(2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전극(28)은 제1 게이트 전극(22) 옆의 제1 절연층(17)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전극(27)과 보조 전극(28)은 제1 게이트 전극(22)에 의해 자기 정렬(Self-align)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전극(27)과 보조 전극(28)이 자기 정렬됨에 따라, 제2 게이트 전극(27)과 보조 전극(28)의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2 금속층(26), 제2 게이트 전극(27) 및 보조 전극(28)은 제2 금속을 증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제2 금속은 진공 증착 방식으로 증착될 수 있다. 제2 금속은 Ti 또는 Au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i를 참조하면, 제2 레지스트 패턴(25, 도 2h 참조) 및 제2 금속층(26, 도 2h 참조)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레지스트 패턴(25)이 리프트오프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2 레지스트 패턴(25)이 제거됨에 따라, 제2 금속층(26)이 함께 제거될 수 있다.
도 2j를 참조하면, 제1 절연층(17) 상에 제3 절연층(29)을 형성할 수 있다. SiN을 500Å 두께로 증착시켜 제3 절연층(29)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절연층(29)은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22,27)을 덮을 수 있다. 제3 절연층(29)을 식각하여 제1 비아홀(30) 및 제2 비아홀(31)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 전극(28) 상의 제3 절연층(29)을 식각하여 제1 비아홀(3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제1 비아홀(30)은 보조 전극(28)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오믹 전극(16a) 상의 제1 절연층(17) 및 제3 절연층(29)을 식각하여 제2 비아홀(31)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비아홀(31)은 제1 오믹 전극(16a)을 노출시킬 수 있다.
도 2k를 참조하면, 제3 절연층(29) 상에 제3 레지스트 패턴(32)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절연층(29) 상에 포토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포토 리소그래피법을 통해 제3 레지스트 패턴(3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필드 플레이트 전극(33)을 형성할 수 있다. 필드 플레이트 전극(33)은 제1 오믹 전극(16a)과 보조 전극(28)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필드 플레이트 전극(33)은 에어 브릿지형일 수 있다. 필드 플레이트 전극(33)은 Au-plating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l을 참조하면, 제3 레지스트 패턴(32, 도 2k)을 제거할 수 있다. 제3 레지스트 패턴(32)은 리프트 오프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3 레지스트 패턴(32)의 제거에 따라, 필드 플레이트 전극(33)과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들(22,27) 사이에 에어갭(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필드 플레이트 전극(33)을 덮는 제4 절연층(35)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절연층(35)은 고주파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제4 절연층(35)은 ALD(Atomic layer deposition)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절연층(35)은 Al2O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주파 소자는 에어 브릿지형 필드 플레이트 전극(33)을 포함함으로써, 제1 및 제2 게이트 전극(22,27)과 제2 오믹 전극(16b) 사이에서 발생하는 높은 전기장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파괴전압이 높은 고출력 고주파 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주파 소자는 자기 정렬 방식을 통해 제2 게이트 전극(27)과 보조 전극(28)의 간격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에어갭(34)에 의해 필드 플레이트 전극(33)과 제3 절연층(29)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고주파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주파 소자는 제1 게이트 전극(22) 상의 제2 게이트 전극(27)을 포함함으로써, 낮은 게이트 저항을 가져 소자의 고주파 잡음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기판
15: 캐핑층
16a,16b: 제1 및 제2 오믹 전극
22: 제1 게이트 전극
27: 제2 게이트 전극
28: 보조 전극
33: 필드 플레이트 전극

Claims (1)

  1. 기판 상에 캐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핑층 상에 제1 및 제2 오믹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오믹 전극을 덮는 제1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제2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절연층, 상기 제2 절연층 및 상기 캐핑층을 식각하여 게이트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리세스를 채우는 제1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전극 상에 제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게이트 전극 옆에 보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은 상기 제1 게이트 전극에 의해 자기 정렬되고; 및
    상기 제1 오믹 전극 및 상기 보조 전극을 연결하는 에어 브릿지형 필드 플레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
KR1020180027136A 2017-10-16 2018-03-07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 KR201900424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34222 2017-10-16
KR1020170134222 2017-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424A true KR20190042424A (ko) 2019-04-24

Family

ID=6628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136A KR20190042424A (ko) 2017-10-16 2018-03-07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24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10899A1 (en) * 2022-07-22 2024-01-24 Infineon Technologies AG Group iii nitride-based semiconducto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10899A1 (en) * 2022-07-22 2024-01-24 Infineon Technologies AG Group iii nitride-based semiconducto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6710B2 (ja) 斜めフィールドプレートパワーデバイス及び斜めフィールドプレートパワー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6522521B2 (ja) 半導体デバイスの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US9761704B2 (en) Heterostructure power transistor with AlSiN passivation layer
KR101736277B1 (ko)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9577064B2 (en)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with field plate electrode
EP2709157A2 (en) Heterostructure transistor with multiple gate dielectric layers
US8004022B2 (en) Field effect transistor
CN101308796A (zh) 场效应晶体管及其制造方法
CN103022121A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US20140035044A1 (en) Field-effect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199883B (zh) 具有经调整的栅极-源极距离的hemt晶体管及其制造方法
US20130189817A1 (en) Manufacturing of scalable gate length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KR102154336B1 (ko) 고전압 구동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제조 방법
US10134854B2 (en)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1114539B2 (en) Gate stack for heterostructure device
US8722474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stepped gate electrod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596079B1 (ko)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42424A (ko) 고주파 소자 제조방법
TWI373843B (en)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improved field plates
US9570599B2 (en) Transistor having nitride semiconductor used there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istor having nitride semiconductor used therein
JP572574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803756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KR20130037611A (ko)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