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624A - 방염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방염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624A
KR20190040624A KR1020170129873A KR20170129873A KR20190040624A KR 20190040624 A KR20190040624 A KR 20190040624A KR 1020170129873 A KR1020170129873 A KR 1020170129873A KR 20170129873 A KR20170129873 A KR 20170129873A KR 20190040624 A KR20190040624 A KR 20190040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flame
cable
flame retardan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0794B1 (ko
Inventor
조혜경
Original Assignee
김병길
조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길, 조영기 filed Critical 김병길
Priority to KR102017012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7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터널,고층 건물등의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케이블 트레이 하측의 직접적인 화염을 차단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파손 및 열을 방지하고, 동시에 케이블 트레이 내부의 케이블로의 고열을 차단하여 케이블이 녹아 흘러내리는 DROP현상을 방지한 방염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트레이(10)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외측의 양측면에서 바닥 저부에 걸쳐 형성되는 방염시트(30)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 내면에 층착 결합되는 불화성 실리콘 패드(20)를 포함하고, 상기 불화성 실리콘 패드(20)는 그 저면에 수개의 돌출라인(22)을 형성할 수 있고, 이 돌출라인(22)은 돌출라인(22)들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냉라인(21)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공냉라인(21)의 양단에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챔버(43)를 형성한 커버부재(40)와, 이 커버부재(40)에 연결되어 배기되는 배기라인(45)과, 이 배기라인(45)에 연결되는 배기용 팬으로 이루어진 커버유닛(40) 을 포함하는 방염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염 케이블 트레이{Flame Retardant Cable Tray for Fire Spreading Prevention}
본 발명은 방염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터널,고층 건물등의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케이블 트레이 하측의 직접적인 화염을 차단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파손 및 열을 방지하고, 동시에 케이블 트레이 내부의 케이블로의 고열을 차단하여 케이블이 녹아 흘러내리는 현상(이하, DROP현상이라 함)을 방지한 방염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트레이는 천정 또는 벽면 등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배치시키는 수단이며, 이 케이블 트레이가 설치된 터널 내부, 건물등의 설치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염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방염 케이블 트레이 관련한 특허문헌들이 아래와 같이 알려져 있다.
등록특허 10-0913973의 방염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 트레이와, 이 케이블 트레이의 하방의 화염으로 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 저부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부재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하여 상부에서 덮여지는 상부 커버부재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상부 커버부재 및 하부 커버부재에 형성되는 불연재를 포함하는 방염 케이블 트레이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외부로 부터의 화염으로부터 기구적으로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 화염에서 내부로 유입됨을 차단하는 불연재를 포함함으로써 내부로 유입되는 화염을 차단하기는 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외부 화염으로부터 전달되는 고열로서 내부 케이블이 촛농처럼 녹아내리는 현상('DROP'현상)등을 차단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763857호로 알려진 케이블 트레이 방염 유닛은, 케이블이 경유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하부를 감싸도록 덧대어지는 하부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에 의해 감싸진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상부를 감싸도록 덧대어지되,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와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방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와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프레임측 방염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염 유닛 역시 터널등에서의 화재시에 케이블 트레이로 전달되는 고열로 인하여 케이블의 표피가 녹아 내리는 DROP현상을 막을 수단이나 방안이 없다.
한편, 대부분의 건물의 실내 화재시 화염으로부터 벽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방염시트들이 알려져 왔다. 그중에서 등록 실용신안 제20-0360252호의 경우 폴리올레핀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PE)수지, 폴리프로필렌(PP)수지 또는 특허등록 제0429660호 '무해성 폴리올레핀시트'로 시트를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이하, '폴리올레핀시트라' 함), 이러한 폴리올레핀시트는 염화비닐수지와는 달리 각종 유해성 물질 등을 방출하지는 않지만, 방염테스트시 탄화막(탄화막은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차단함과 동시에 열전달을 방해하여 화염형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함)이 형성되지 않아 시트에 구멍이 생기면서 촛농처럼 녹아내리는 'DROP'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열을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많은 방법이 알려져 왔다. 특히 발열량이 많은 전자 부품에서는 전자 부품과 히트 싱크 등의 부재 사이에 열전도성 컴파운딩이나 열전도성 시트 등의 열전도성 재료를 개재시켜 열을 밀어내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열전도성 재료로는 실리콘 오일을 기재로 하고, 산화아연이나 알루미나 분말을 배합한 방열 컴파운딩이 알려져 있다. 또한, 열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질화알루미늄 분말을 이용한 열전도성 재료로서 액상 오르가노실리콘 캐리어, 실리카 섬유, 덴드라이트상 산화아연, 박편상 질화알루미늄 및 박편상 질화붕소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요변성 열전도 재료도 알려져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374486호에는 특정한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일정 입경 범위의 구상 육방정계 질화알루미늄 분말을 배합하여 얻은 실리콘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일본공개특허에는 입경이 미세한 질화알루미늄 분말과 입경이 거친 질화알루미늄 분말을 조합한 열전도성 실리콘 조성물; 질화알루미늄 분말과 산화아연 분말을 조합한 열전도성 실리콘 조성물; 오르가노실란으로 표면 처리한 질화알루미늄 분말을 이용한 열전도성 compound조성물; 및 실리콘 수지, 다이아몬드, 산화아연 및 분산제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실리콘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질화알루미늄의 열전도율은 70 내지 270 W/(mㆍK)이고, 다이아몬드의 열전도성은 이보다 높아 900 내지 2,000 W/(mK)이다.
이 열전도성 실리콘 조성물은 높은 열전도성을 갖고, 장기 저장시 안정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유동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며, 나아가 미세한 요철을 추종하고, 접촉 열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방열 성능이 우수하며, 고온고습 조건에서의 내구성이 높아 실장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성능 방열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A) 25℃에서 동점도가 5,000 내지 30,000 mm2/s인 오르가노폴리실록산, (B) 헥사메틸렌 디실라잔(Hexamethylene disilazane, HMDZ)으로 처리된 실리카 및 (C) 열전도성 충전재를 포함하는 방열성 실리콘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방열효과를 위하여 열전도성 충전재가 포함된다. (C) 성분의 구체예로는 알루미늄, 은,구리, 니켈, 산화아연,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질화알루미늄, 금속분말, 질화붕소, 질화규소, 다이아몬드, 흑연, 탄소 나노튜브, 금속 규소, 산화철, 탄소 섬유, 유리섬유, 유리 비즈 분말, 플라렌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한편, 장기 저장 안정성 및 방열성이 우수한 실리콘 조성물로서 높은 열전도성을 갖고, 장기 저장시 안정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유동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양호하며, 나아가 미세한 요철을 추종하고, 접촉 열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방열 성능이 우수하며, 고온 고습 조건에서의 내구성이 높아 실장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열성 조성물이 있으며, 예를 들면 일반적인 전원; 전원용 파워 트랜지스터, 파워 모듈, 서미스터, 열전대,온도 센서 등의 전자 기기; LSI, CPU 등의 집적 회로 소자 등의 발열성 전자 부품과 히트 스프레더, 히트 싱크,히트 파이프, 방열판 등의 방열 부품 사이에 개재시켜 도포하면 상기 발열체로부터 상기 방열체로 효율적으로 열을 전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발열체로부터 효과적으로 열을 제거할 수 있다(공개특허 10-2016-0135690호공보).
KR 등록특허 10-144723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통하여 케이블 트레이 내부의 케이블이 외부 고열로부터 녹아내리지 않도록 고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염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내부의 케이블이 탄화막을 형성할 수 있는 불화성(不火性) 실리콘패드로서 탄화막을 형성하여 'DROP'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염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케이블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케이블 트레이 하방으로부터 전달되는 화염에 의한 고열을 1차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케이블 트레이 내측에서도 케이블에 가해지는 고열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화염에 의하여 타지 않는 재질로서 최소한의 불에타지 화재발생에 따른 고열이 1,2차적 차단을 통하여 고열이 차단되도록하여 내부 케이블이 'drop'현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염과 불연성재료를 통한 고열의 차단과 함께 약간이나마 공기냉각을 통하여 케이블 손상을 방지하도록 케이블 'drop'현상이 지연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즉, 화재발생 경보후 소방출동하여 진화되는 시간동안 케이블이 고열로 녹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압전류등이 흐르는 케이블,전선등의 외피가 녹아 절연이 파손됨에 따른 후속 정전사고등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외측의 양측면에서 바닥 저부에 걸쳐 형성되는 방염시트;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 내면에 층착 결합되는 불화성 실리콘 패드;를 포함한 방염 케이블 트레이로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상기 불화성 실리콘 패드는 그 저면에 수개의 돌출라인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불화성 실리콘패드 저면의 돌출라인은 엠보싱이 바람직하며, 상기 불화성 실리콘 패드는 프레스가공이 용이한 PVC 판재와, 이 PVC 판재의 상부에 접합된 석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상기 불화성 실리콘 패드의 상기 돌출라인은 이 돌출라인들과의 사이에 공냉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상기 공냉라인의 양단에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밀폐챔버를 형성한 커버부재와, 이 커버부재에 연결되어 배기되는 배기라인과, 이 배기라인에 연결되는 배기용 팬으로 이루어진 커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이 녹지 않도록 트레이 하부에서 화재발생시 고열의 화염을 방염시트로서 차단하고, 2차적으로 트레이 내측에서 고열을 차단하되, 다수 돌기로 엠보싱 처리된 돌기 사이에서 고열의 체류공간(공냉라인)을 형성하여 고열 전도를 지연시켜 내측의 케이블들의 용융을 지연시키고, 공냉라인과 돌출라인은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열의 전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차열 단면적을 극대화 시키고, 극대화된 차열구조가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며, 평상시 시설물과 접촉되는 면을 최소화 하면서 통기구조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파형 단면구조를 길게 형성할 경우 평판형태보다 뒤틀림을 줄일 수 있어 수평 하중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공냉라인을 형성한 패드자체로서 고열의 전도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케이블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케이블 트레이 하방으로부터 전달되는 화염에 의한 고열을 1차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케이블 트레이 내측에서도 케이블에 가해지는 고열을 요철라인을 통하여 2차적인 차단과 함께 가열된 고열이 체류토록 하여 화재발생에 따른 고열이 1,2차적 차단과 함께 3차적 지연되게 하는 효과를 거두어 화재발생 경보후 소방출동하여 진화하는 동안 충분히 트레이내 케이블이 고열로 녹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a는 종래 일반적인 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케이블의 일부 확대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이 실린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1c는 종래 케이블 트레이 하측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불화성 실리콘 패드의 요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하측 화재시의 케이블 트레이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커버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커버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방염시트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의한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는 크게 케이블 트레이(10)와, 불화성 실리콘 패드(20)와, 방염시트(30)로 구분된다.
케이블 트레이(10)는 평판형의 바닥부(11)와, 이 바닥부(11)의 좌,우 양측에서 수직 형성된 양측벽부(12)로 이루어지고, 전,후단과 상부(부호생략)는 개구된다(도시하지 않았지만 트레이 커버를 추가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10)의 바닥부(11) 내측에는 불화성(不火性) 실리콘패드(20)가 층착 결합되고, 바닥부(11)에서 양측벽부(12)에 결쳐 외측으로 방염시트(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10)의 내부에는 소정의 케이블 배치 라인에 따른 케이블("c")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불화성 실리콘 패드(20)는 케이블의 피복등에 적용되는 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불에 타지 않는 재료를 의미하며, 예를들면, 불화성 TPE재질의 전선정리기구가 알려져 있고, 내후성(耐朽性)이 좋은 성질을 가진다. 특히, 실리콘(실리콘 고무)은 다른 유기계 고무와 달리 탄화수소의 함량이 일반 유기계 고무보다 적어 쉽게 연소하지 않으며, 할로겐 때문에 연소시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으며, 난연재(flame retartdant)를 배합하면 UL규격에 적합한 자기 소화성(燒火性,self-extinguish)실리콘 고무를 만들 수 있다. 응용예로는 아노드캡, 고압콘덴서,전선 피복재등에 적용되고 있다. 특성은 고온 Test 시 250~300도까지는 열변형이 없다.
본 발명에 응용된 불화성 실리콘패드는 화재로서 타지 않는 난연성,불연성의 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케이블 트레이 내부의 케이블이 탄화막을 형성할 수 있는 불화성 실리콘패드로서 탄화막을 형성하여 'DROP'현상을 방지하는 모든 타지 않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4는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불화성 실리콘 패드의 요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하측 화재시의 케이블 트레이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10)의 불화성 실리콘패드(20)는 그 저면에 다수의 돌출라인(22)을 형성할 수 있고, 그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장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장홈을 공냉라인(21)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불화성 실리콘패드(20) 저면의 돌출라인(22)은 엠보싱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에 돌출라인(22)와, 공냉라인(21)의 형성은 여러 가지로 현장 설치 기준에 맞게 변경하여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공냉라인(21)과 돌출라인(22)은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열의 전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차열 단면적을 극대화 시키고, 극대화된 차열구조가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며, 평상시 시설물과 접촉되는 면을 최소화 하면서 통기구조를 극대화시킨 구조이고(파형 단면구조를 이용하여 늘어나고 줄어드는 형상이 용이한 신축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파형 단면구조를 길게 형성할 경우 평판형태보다 뒤틀림을 줄일 수 있어 수평 하중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방염시트(30)는 알려진 바와 같이,
발포 팽창성 난연시트로서 단열재의 양면에 인체에 무해한 비할로겐 제품으로 카본을 3,000℃ 이상에서 추출한 탄소조직의 방염제이며 100~200℃에서 40~300% 까지 팽창하는 그라파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포 팽창성 난연시트이다. 화재발생시 상기 발포 팽창성 난연시트가 팽창하여 단열재의 양면에 두꺼운 난연패드층이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단열재 내부로의 화염전파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됨으로써 단열재의 보호는 물론, 열에 의한 탄화현상을 방지하여 연기 및 유해가스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화재로 인한 단열재의 유해성을 최소화하여 인체나 환경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는 발포 팽창성 난연시트이다.
즉, 통상의 단열재(31)와, 필름커버지(34)의 사이에 0.3~5mm 두께의 발포 팽창성 난연시트(32)가 적층된 방염시트(30)는, 염화고무, 실리콘고무, 니트릴고무, 불소고무 중에서 선택된 1종의 난연성 액상 바인더 22~70wt%와,카본을 추출한 탄소조직의 방염제로서 100~200℃에서 40~300% 까지 팽창하는 그라파이터 14~40wt%와,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안티몬, 주석산아연, 지르코늄 중에서 선택된 1종의 무기질 난연필러15~35wt%와,폴리실록산계 공중합체, 하이드록시 관능기 카르복실릭산 에스테르계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첨가제 1~3wt%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의 방염시트는 질식소화 기능을 가지며, 150℃ 이상의 화염과 접촉시 팽창 및 탄화되는 제1화염접촉 팽창시트층과, 150℃ 이상의 화염과 접촉시 팽창 및 탄화되는 제2화염접촉 팽창시트층과, 상기 제1화염접촉 팽창시트층과 제2화염접촉 팽창시트층 사이에 위치하며, 1,500℃이하의 화염과 접촉시열변형되지 않는 내열시트층과, 상기 제1화염접촉 팽창시트층, 제2화염접촉 팽창시트층 및 내열시트층을동시에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하고, 화염이 접촉하여 팽창 및 탄화되는 상기 제1화염접촉 팽창시트층 또는 제2화염접촉 팽창시트층에 의하여 산소의 공급이 차단되어 화염이 소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방염시트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위치를 나타내는 발광 또는 야광의 도료를 더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방염시트를 형성하는 방염도료에는 발광도료 또는 야광도료가 더 혼합되어 포함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발광도료 또는 야광도료가 포함된 방염도료는 야간에도 케이블 트레이의 위치를 용이하게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방염도료의 도색에 의해 형성된 방염시트 위에 발광도료나 야광도료로서 경고문구 등을 별도로 새겨 넣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염시트는 그 일면에 방염제가, 이면에는 접착제 등과 같은 접착층이 형성된 통상의 시트지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그 일례로 상기 방염시트는 먼 거리에서 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케이블 트레이의 위치를 간편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고휘도 반사지나 또는 실크지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방염시트는 케이블 트레이 외부에서의 화재발생 시는 화재로부터 케이블 트레이 내부의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고, 케이블 트레이 내부로의 발화를 지연시켜 화재의 확산을 늦추므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염시트에 구성된 방염제는 가연물에 불꽃을 점화해도 스스로 계속 연소되거나 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처리제로서, 내세탁성(耐洗濯性)을 고려하여 영구적 방염제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염기능을 갖는 수지로는 테프론,네오프론 수지등의 불화성수지가 알려져 있고, Fluorocarbon polymer(不火性 실리콘계)소재의 패드로도 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방염 케이블 트레이에 적용된 커버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커버유닛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방염 케이블 트레이의 커버유닛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방염 케이블 트레이는 크게 케이블 트레이(10)와, 불화성 실리콘 패드(20)와, 방염시트(30)로 구분된다.
케이블 트레이(10)는 평판형의 바닥부(11)와, 이 바닥부(11)의 좌,우 양측에서 수직 형성된 양측벽부(12)로 이루어지고, 전,후단과 상부는 개구된다.
케이블 트레이(10)의 바닥부(11) 내측에는 불화성 실리콘패트(20)가 층착 결합될 수 있고, 바닥부(11)와 양측벽부(12) 외측으로 방염시트(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10)내에는 소정의 케이블 라인에 따른 케이블("c")이 적어도 1층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불화성 실리콘패드(20)는 그 저면에 다수의 돌출라인(22)을 형성할 수 있고, 그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장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장홈을 공냉라인(21)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공냉라인(21)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10)의 전,후방향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커버유닛(40)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유닛(40)은,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10)의 양측벽부(12),바닥부(11)와, 불화성 실리콘 패드(20) 및 방염시트(30)의 전,후단부중 일측단부가 수용되는 커버부재(41)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하측으로 케이블("c")를 제외한 방염시트(30), 바닥부(11) 및 불화성 실리콘 패드(20)가 삽입됨과 아울러 공냉라인(21)에 연통하는 챔버(43)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유닛(40)은 직사각형의 커버부재(41)로서 방염 케이블 트레이(10)의 전,후단부 중 일측이 삽입되도록 양측벽부(12)와 바닥부(11)로 이루어진 방염 케이블 트레이(10)가 삽입됨과 아울러 케이블("c")가 관통되는 개구부(42)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유닛(40)의 챔버(43)는 불화성 실리콘 패드(20)의 돌출라인(22)의 하측 공냉라인(21)과 연통하며, 챔버(43)에 밀착,결합되는 캡(43a)에 연결되는 배기라인(45)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배기라인(45)에는 배기용 팬(P)이 설치되며, 챔버(43)와 연통하는 공랭라인(21)을 통하여 타측 공기가 배기라인(45)으로 강제 배기,순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방염 케이블 트레이(10)는 케이블 트레이가 끝나는 단부에서 불화성 실리콘 패드(20)를 통하여 공냉될 수 있고, 케이블 트레이 하측에서 화재에 의한 화염이 발생하여도 그 고열이 일부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커버유닛(40)을 통한 공냉은 압축기,응축기,탈수기,팽창밸브,냉매증발관을 통하여 냉매가 순환,제어되는 냉동사이클(A)에 의한 냉매 순환에 의한 냉각구조로 할 수 있다. 이 냉동사이클을 통한 냉매의 증발은 순환냉매가 공냉라인(22)를 통하여 적당한 압력으로 순환함으로써 주변 불화성 실리콘 패드(20)와 바닥부(11)의 열을 차갑게 식힐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냉각이나 냉매에 의한 강제 냉각은 화재 발생을 신속하게 감지함을 전제로 할 수 있다.
10:케이블 트레이, 11:바닥부 , 12:양측벽부, 20:불화성 실리콘 패드, 21:공냉라인, 22:돌출라인, 30:방염시트, 40:커버유닛, 41:커버부재, 42:개구부, 43:챔버, 43a:캡, 45:배기라인,

Claims (5)

  1. 방염 케이블 트레이에 있어서,
    케이블 트레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외측의 양측면에서 바닥 저부에 걸쳐 형성되는 방염시트; 및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바닥 내면에 층착 결합되는 불화성 실리콘 패드;
    를 포함하는 방염 케이블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화성 실리콘 패드는 그 저면에 수개의 돌출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케이블 트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화성 실리콘패드 저면의 돌출라인은 엠보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케이블 트레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화성 실리콘 패드의 상기 돌출라인은 이 돌출라인들과의 사이에 공냉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케이블 트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냉라인의 양단에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챔버를 형성한 커버부재와, 이 커버부재에 연결되어 배기되는 배기라인과, 이 배기라인에 연결되는 배기용 팬으로 이루어진 커버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케이블 트레이.
KR1020170129873A 2017-10-11 2017-10-11 방염 케이블 트레이 KR102020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873A KR102020794B1 (ko) 2017-10-11 2017-10-11 방염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873A KR102020794B1 (ko) 2017-10-11 2017-10-11 방염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624A true KR20190040624A (ko) 2019-04-19
KR102020794B1 KR102020794B1 (ko) 2019-09-11

Family

ID=6628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873A KR102020794B1 (ko) 2017-10-11 2017-10-11 방염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7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027B1 (ko) * 2019-11-11 2020-03-11 삼원액트 주식회사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
CN112563637A (zh) * 2020-12-17 2021-03-26 宁波邵金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阻燃散热锂电池外壳及其制备方法
CN113285405A (zh) * 2021-07-07 2021-08-20 江苏鸿顺电气有限公司 一种具有风力循环系统的节能型瓦楞桥架
KR102349358B1 (ko) * 2021-03-18 2022-01-11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화재확산 방지장치
CN114389207A (zh) * 2022-01-21 2022-04-22 福建成田科技有限公司 一种阻燃耐火的电缆桥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973B1 (ko) * 2008-04-16 2009-08-25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방염 케이블 트레이
KR101447235B1 (ko) 2014-07-01 2014-10-13 지에스산건 주식회사 방염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68347B1 (ko) * 2016-05-31 2016-10-21 주식회사 광운기술 케이블 트레이의 화재 보호용 돌기형 내화구조체
KR101767563B1 (ko) * 2016-12-13 2017-08-14 아인텍(주) 화재확산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의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973B1 (ko) * 2008-04-16 2009-08-25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방염 케이블 트레이
KR101447235B1 (ko) 2014-07-01 2014-10-13 지에스산건 주식회사 방염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68347B1 (ko) * 2016-05-31 2016-10-21 주식회사 광운기술 케이블 트레이의 화재 보호용 돌기형 내화구조체
KR101767563B1 (ko) * 2016-12-13 2017-08-14 아인텍(주) 화재확산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트레이 및 이의 조립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027B1 (ko) * 2019-11-11 2020-03-11 삼원액트 주식회사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
CN112787298A (zh) * 2019-11-11 2021-05-11 三元Act株式会社 线缆引导装置
CN112787298B (zh) * 2019-11-11 2023-03-10 三元Act株式会社 线缆引导装置
CN112563637A (zh) * 2020-12-17 2021-03-26 宁波邵金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阻燃散热锂电池外壳及其制备方法
CN112563637B (zh) * 2020-12-17 2022-10-04 宁波邵金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阻燃散热锂电池外壳及其制备方法
KR102349358B1 (ko) * 2021-03-18 2022-01-11 (주)하나종합테크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화재확산 방지장치
CN113285405A (zh) * 2021-07-07 2021-08-20 江苏鸿顺电气有限公司 一种具有风力循环系统的节能型瓦楞桥架
CN114389207A (zh) * 2022-01-21 2022-04-22 福建成田科技有限公司 一种阻燃耐火的电缆桥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794B1 (ko)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0624A (ko) 방염 케이블 트레이
US8517568B2 (en) Embedded type lamp with heat radiating device
ES2685951T3 (es) Espuma de caucho de silicona cerámica y método para su preparación
CN104919623B (zh) 用于便携式工具的蓄电池和用来制造用于便携式工具的蓄电池的方法
WO2012147677A1 (ja) 蓄熱部材、それを用いた保管容器及び建造物
JP2004508673A (ja) 防火コンセントおよびスイッチ用防火カバープレート
WO2005121642A1 (fr) Appareil d'eclairage integre protegeant contre le feu
MX2011004411A (es) Unidad de iluminacion.
JP6925245B2 (ja) 組電池の耐火断熱構造用の樹脂組成物及び組電池の耐火断熱部材
TW200930940A (en) Lighting fixture and method
JP5849493B2 (ja) 防火複層ガラス及び防火複層ガラスユニット
JP2021024903A (ja) 耐火性樹脂成形体
KR102254205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JP2014179392A (ja) 太陽電池用不燃化シート及びこれを装着した耐火性太陽電池モジュール
CN216251996U (zh) 通气自闭式防电缆涡流耐火槽盒
CN208045123U (zh) 一种防辐射阻燃复合防火电缆
JPH09176404A (ja) 耐火性樹脂組成物
CN106225220B (zh) 一种高防水保温阻燃电热水器
CN113471904A (zh) 通气自闭式防电缆涡流耐火槽盒
CN201877188U (zh) 一种防火电线
CN214745373U (zh) 一种智慧城市应急照明装置
CN220693585U (zh) 远景加密控制箱
CN216902351U (zh) 一种无卤低烟阻燃电力电缆
CN210200396U (zh) 一种基于耐火材料的通信电缆
CN220190422U (zh) 一种耐火阻燃型母线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