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588A - 비접촉식 제어를 이용한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제어를 이용한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588A
KR20190039588A KR1020197007999A KR20197007999A KR20190039588A KR 20190039588 A KR20190039588 A KR 20190039588A KR 1020197007999 A KR1020197007999 A KR 1020197007999A KR 20197007999 A KR20197007999 A KR 20197007999A KR 20190039588 A KR20190039588 A KR 20190039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operating mode
optical path
detector uni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887B1 (ko
Inventor
펠릭스 슈미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39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5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파들의 빔(38)이 프로젝터(2)에 의해 방출되는 제1 작동 모드(B1)를 포함한 복수의 작동 모드(B1, B2)를 갖는 프로젝터(2)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젝터(2)의 제1 작동 모드(B1)에서, 빔(38)의 광로(40) 내 객체(5)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검출기 유닛(3)에 관한 것이다. 또한, 프로젝터(2)는, 빔(38)의 광로(40) 내에서 객체(5)의 검출 시 제1 작동 모드(B1)로부터 상기 제1 작동 모드(B1)와 상이한 제2 작동 모드(B2)로 전환하도록 형성된 프로세서 유닛(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제어를 이용한 프로젝터
본 발명은 상이한 작동 모드들을 갖는 프로젝터,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가 내장되어 있는 장치,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투사면들 상에서 이미지들의 생성을 위해, 스캐닝 레이저 프로젝터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 빔들은 영상 데이터 기술에 의해 변조되고, 미러 모듈(mirror module)에 의해 제어되면서 투사면 상에서 안내된다. 이를 위해, 보통 RGB 레이저가 이용된다. 객체 상에서 산란되는 광의 측정을 위해 적외선 레이저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전자기파들의 빔이 프로젝트에 의해 방출되는 제1 작동 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작동 모드를 갖는 프로젝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프로젝터의 제1 작동 모드에서, 빔의 광로 내 객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검출기 유닛(detector unit)도 제공된다. 또한, 본원의 프로젝터는, 빔의 광로 내에서 객체를 검출한 경우 제1 작동 모드로부터 이 제1 작동 모드와 상이한 제2 작동 모드로 전환하도록 형성된 프로세서 유닛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는, 접촉 없이 프로젝터의 상이한 작동 모드들 간에 전환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예컨대 직접적인 위생학적 장점들을 가지며, 이는 특히 의학적 용례들에서와 같이 위생학적으로 임계적인 영역들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현은, 바람직하게는 거의 추가적인 기술 비용을 요구하지 않는다. 프로세서 유닛은 예컨대 하나 또는 복수의 디지털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객체들로서는,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는 대상들이 포함된다. 이는 예컨대 펜(pen), 커피 컵 또는 여타의 주방용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객체는 사용자의 손이다.
바람직하게 검출기 유닛은 프로젝터의 제2 작동 모드에서 빔의 광로 내 객체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프로세서 유닛은 빔의 광로 내에서 객체를 검출한 경우 제2 작동 모드로부터 이 제2 작동 모드와 상이한 제1 작동 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작동 모드들 간에 양방향으로 비접촉식 왕복 전환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는 레이저 프로젝터이다.
제1 작동 모드는 바람직하게는 에너지 절약 모드이다. 이는, 객체 검출을 이용하여 프로젝터를 에너지 저장 모드로부터 웨이크업시키거나, 프로젝터를 상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한다.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는 그에 상응하게 전류가 절약될 수 있다.
제1 작동 모드에서 빔은 비스캐닝(non-scanning)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는 예컨대 레이저 포인터 모드일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포인터 모드는 예컨대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색상을 가질 수 있는데, 다른 색상 또는 주파수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류가 절약된다.
프로젝터의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검출기 유닛은 에너지 절약 모드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바람직하게 에너지 또는 전류가 절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검출기 유닛은 사용자의 제스처를 검출하도록 형성된다. 제스처는 사람의 동작을 통한 상호작용이다.
빔은 제1 작동 모드에서 스펙트럼의 비가시 범위 내 전자기파들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레이저 포인터로서 작동하는 프로젝터는, 예컨대 적외선 스펙트럼에서처럼,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는 스펙트럼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2 작동 모드는, 바람직하게 빔의 색상 전환에 의해 제1 작동 모드와 구분된다. 이 경우에, 프로젝터는 간단한 방식으로 2가지 색상 상태 간에 전환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프리젠테이션 목적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프로젝터의 제2 작동 모드는, 빔이 미러 모듈에 의해 투사면에 걸쳐서 스캐닝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레이저 프로젝터를 위한 전형적인 작동 모드에 상응한다.
빔의 광로 내 객체의 검출은 동기화 신호들의 유무와 무관하게 실행될 수 있다.
제2 작동 모드에 비해 제1 작동 모드에서는, 프로젝터의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이 스위치 오프되거나, 상대적으로 더 약한 세기를 갖는다. 하나의 광원은 예컨대 레이저일 수 있다. 그로 인해 전류가 절약될 수 있다.
검출기 유닛은 포토다이오드, CCD 카메라, CMOS 카메라 또는 근접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장치, 바람직하게는 이동 무선 장치도 제안된다. 상기 장치는 예컨대 프리젠테이션에서 예컨대 포인터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손, 객체 또는 제스처를 이용하여 레이저의 다양한 색상들 또는 이들 색상의 임의의 혼합값들 간의 원활한 전환을 달성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특정 정보의 강조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빔의 세기는 가변적이며, 그럼으로써 예컨대 스팟의 강도 또는 휘도가 변한다.
프로젝터의 비접촉식 제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기본적으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제1 단계 a)에서, 상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프로젝터가 제공된다. 제2 단계 b)에서, 검출기 유닛이 광로 내 객체의 존재를 검출할 경우 검출기 유닛을 통해 신호가 발생한다. 다음 단계 c)에서, 상기 신호는 프로세서 유닛으로 전달된다. 다음 단계 d)에서, 상기 신호를 기반으로 프로세서 유닛을 통해 프로젝터의 작동 모드가 변경된다. 본 방법의 장점들은 전술한 프로젝터 및 장치의 장점들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명세서 본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들 및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다양한 작동 모드들 간에 전환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상세도이다.
도 3은 프로젝터의 비접촉식 제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2) 그리고 2가지 작동 모드(B1, B2) 간의 전환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우측 부분도와 좌측 부분도를 포함하며, 우측 부분도에는 제1 작동 모드(B1)가 도시되어 있고 좌측 부분도에는 제2 작동 모드(B2)가 도시되어 있다. 두 부분도에는, 바람직하게 레이저 프로젝터(2)로서 구현된 프로젝터(2)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로젝터(2)로부터 전자기파들의 빔(38)이 방출된다.
빔(38)은 레이저 빔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측 부분도에는 제1 작동 모드(B1)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 모드(B1)는 비-스캐닝 작동 모드로서 구현된다. 이는, 예컨대 에너지 절약 모드 또는 대기 모드(stand-by mode)일 수 있다. 이 경우, 움직이지 않는 점 형태의 이미지(13)가 생성된다. 이 경우, 프로젝터(2)는 레이저 포인터로서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시 및 비가시 광 빔 뿐만 아니라 레이저 빔, 예컨대 적외선 레이저도 이용될 수 있다. 프로젝터(2)와의 더 나은 상호작용을 위해, 가시 광원, 예컨대 가시 범위의 레이저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사용자가 광로(40)를 더 잘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광원 또는 레이저는 적외선 레이저의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기본 색상들로, 또는 적외선 레이저를 포함한 다양한 색상들로 합성된 복합 레이저의 형태로 이용될 수도 있고, 다른 색상들 또는 혼합 색상들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예컨대 프로젝터(2)의 레이저들과 같은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의 광빔(40)의 세기가 감소할 수도 있으며, 그럼으로써 프로젝터(2)는 레이저 포인터로서 작동되는 경우에 레이저 등급 1 이내에서 (가시 레이저의 경우에는 레이저 등급 2 이내에서) 유지되고, 그에 따라 표준 레이저 포인터로서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좌측 부분도에는, 제2 작동 모드(B2)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이미지(13)는 스캐닝 프로젝터(2), 바람직하게는 스캐닝 레이저 프로젝터를 통해 직사각형 형태로 생성된다. 이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2)의 레이저 빔은 행별로 스캐닝되어 상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로 변조된다. 그렇게 하여 생성되는 이미지(13)가 투사면(12) 상에 투사된다. 이 경우, 투사면(12)은 예컨대 평판이며, 이미지(13)는 직사각형 이미지 매트릭스에 상응한다. 대안적인 레이저 빔 가이드들도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빔들(38)의 광로(40)는 좌측 부분도에서 빔들의 모서리 위치들을 통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터(2)는 검출기 유닛(3), 프로세서 유닛(7) 및 A/D 변환기(15)도 추가로 포함한다. 이 경우, 검출기 유닛(3)은, 빔(38)의 광로(40) 내 객체(5)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검출기 유닛(3)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포토다이오드가 고려되며, 대안으로는 CCD 카메라, CMOS 카메라, ALS, 근접 스위치(근접 센서) 등이 고려된다. 이 경우, 포토다이오드는 예컨대 적외선 범위에서처럼 특정 주파수 영역(frequency window) 내에서 검출하도록 필터 특성을 보유하여 설계될 수 있다. A/D 변환기(15)는 검출기 유닛(3)에 의해 검출된 아날로그 측정 변수의 디지털화를 위해 이용된다. 이 경우, 프로세서 유닛(7)은, 빔(38)의 광로(40) 내에서 객체(5)를 검출한 경우, 제1 작동 모드(B1)로부터 이 제1 작동 모드(B1)와 상이한 제2 작동 모드(B2)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는, 도 1에서, 우측 부분도로부터 좌측 부분도를 가리키는 제1 전환 화살표(W1)로 표시되어 있다. 그에 따라, 에너지 절약 모드, 예컨대 제1 작동 모드(B1)로부터 제2 작동 모드(B2)로의 전환은 웨이크업 과정이다.
프로젝터(2)의 제2 작동 모드(B2)에서 검출기 유닛(3)은, 마찬가지로, 빔(38)의 광로(40) 내에서 객체(5)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프로세서 유닛(7)은, 빔(38)의 광로(40) 내에서 객체(5)를 검출할 경우, 제2 작동 모드(B2)로부터 이 제2 작동 모드(B2)와 상이한 제1 작동 모드(B1)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는, 도 1에서, 좌측 부분도로부터 우측 부분도를 가리키는 제2 전환 화살표(W2)로 표시되어 있다. 그 대안으로,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더 오래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프로젝터(2)는 자동으로 제1 작동 모드(B1)로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람직하게는 작동 모드들(B1, B2) 간에 임의로 왕복 전환될 수 있다.
검출기 유닛(3)을 통한 작동 모드 변경의 초기화는 반사광(42)의 측정 변수로서의 세기의 측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데, 이때 광로(40) 내에 포지셔닝된 객체(5)를 통해 반사되는 반사광(42)의 세기의 증가가 검출되며, 그에 이어서 신호가 통신 수단(30)에 의해 프로세서 유닛(7)으로 전송된다. 광로(40)를 가로지르는 스와이프 제스처(swipe gesture)도 개시자(intiator)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검출기 유닛(3)은, 레이저 프로젝터(2)의 광로(40) 내에 포지셔닝된 객체(5)를 통해 반사되는 반사광(42)의 세기의 증가 시, 그리고 그에 후속하여 레이저 프로젝터(2)의 광로(40)로부터 떨어져 있는 객체(5)를 통해 반사되는 반사광(42)의 세기의 감소 시, 검출기 유닛(3)이 신호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는 바람직하게 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검출기 유닛(3)을 통한 제스처의 인식과 같은 다른 검출 방법들, 즉, 사람의 동작을 통한 상호작용도 허용된다.
이 경우, 구성된 작동 모드의 개수는 도 2의 예에서처럼 2개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도 1의 부분도들에서 상술한 작동 모드들(B1, B2)의 바람직한 조합일 필요는 없다. 이는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다른 작동 모드들도 포함한다. 또는 2개보다 더 많은 작동 모드(B1, B2)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순차적으로 3개 또는 그보다 훨씬 더 많은 작동 모드들 간에 전환될 수 있다. 한 대안적 실시예에서, 제2 작동 모드(B2)에 비해 제1 작동 모드(B1)에서는, 프로젝터(2)의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이 스위치 오프될 수 있거나, 상대적으로 더 약한 세기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작동 모드(B1)의 색상은 제2 작동 모드(B2)의 색상과 다르며, 말하자면 구분 가능한 주파수가 제공된다. 특히 프로젝터(2)가 장치(50),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장치 또는 이동 무선 장치 내에 내장되는 실시예들의 경우, 빔(38) 내로의 객체의 포지셔닝 또는 예컨대 광로(40)를 가로지르는 스와이프와 같은 제스처 활성화를 통해, 레이저 포인터로서 작동되는 레이저 프로젝터(2)의 색상 전환을 실행하거나, 레이저 스팟의 강도 변경을 요구할 수 있는 가능성이 구축된다. 이는, 특히 설명(demonstration) 또는 프리젠테이션의 목적을 위한 포인팅 장치로서 이용 시 바람직한 툴일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2)의 상세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레이저 프로젝터(2)로서 구현된 프로젝터(2)는, 도 1의 좌측 부분도와 유사한 스캐닝 작동 모드(B2)의 상태에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기술한 것처럼, 프로젝터(2)를 통해 빔 또는 레이저 빔이 방출되며, 미러 모듈(23)에 의해 투사면(12) 상에 이미지(13)를 생성하는 광로(40)가 생성된다. 도 2에는 4개의 빔(38)을 통해 광로(40)의 극단 위치들(extreme position)만이 표시되어 있다. 객체(5)는 레이저 프로젝터(2)의 광로(40) 내로 배치되거나 안내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객체가 예컨대 사용자의 손이다. 객체(5) 상에서 빔(38) 또는 레이저 빔의 반사가 발생한다. 이런 반사광(42)은 특히 검출기 유닛(3)의 방향으로 역산란되어 검출기 유닛(3)에 의해 신호 기술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객체(5)로서 예컨대 손이 사용된다. 또는 대안적으로 객체(5)는 커피 컵, 펜 또는 여타의 주방용품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특정 객체들(5)로 한정되지 않는다.
레이저 프로젝터(2)에는, 예컨대 반사광(42)의 세기처럼 검출기 유닛(3)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 변수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15)가 제공된다. 광로(40) 내에 포지셔닝된 객체(5)를 통해 반사되는 반사광(42)의 검출을 위해 요구되는 샘플 레이트(sample rate)는 스캐닝 모드에서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의 검출을 위한 경우보다 더 낮다. 그러므로 예컨대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샘플 레이트는 바람직하게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전기 소모량을 감소시킨다. 검출기 유닛(3)도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A/D 변환기(15)는 예컨대 신호 처리의 목적으로도 구성된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AFE)에 의해 구현된다.
A/D 변환기(15)는 통신 수단(30)을 이용하여 프로세서 유닛(7)으로 디지털 신호들을 전달할 수 있다. 통신 수단(30)은 유선으로도 그리고 무선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 유닛(7)이 신호들의 처리를 담당한다. 프로세서 유닛(7)에는 메모리 수단(17)이 할당되며, 이 메모리 수단 내에는 다양한 작동 모드들(B1, B2)을 위한 다양한 구성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거나 기록되어 있다. 작동 모드(B1, B2)의 개수에 따라서, 메모리 수단은 2개일 수도 있고 그보다 훨씬 더 많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메모리 수단(17)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메모리로서의 영구 비휘발성 메모리(NVM)가 고려된다.
메모리 수단(17)은 전압 공급을 위한 ASIC(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20)에 할당된다. 드라이버(19)는, 메모리 수단(17)으로부터 저장된 구성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으며, ASIC(20) 내에서 구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된 설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라이버(19)와 ASIC(20) 간의 통신 및 드라이버(19)와 예컨대 레이저 드라이버(22) 간의 통신도 예컨대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I2C(Inter-intergrated circuit)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7)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21), 예컨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검출기 유닛(3)의 신호 검출 시, 미러 모듈(23)의 드라이버(19)에 지시하여 레이저 프로젝터(2)를 다른 작동 모드(B1, B2)로 전환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레이저 프로젝터(2)가 에너지 절약 모드로 작동되지 않을 때,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더 오래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미러 모듈(23)의 드라이버(19) 또는 레이저 프로젝터(2)에 지시하여 본원에서 제안된 비-스캐닝 작동 모드들 중 하나로 전환하게 하는 방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스캐닝 작동 모드에서 프로세서 유닛(7)은, 스캐닝 작동 모드에서 객체(5)의 위치 확인을 위한 위치 확인 신호들로서 요구되는 ASIC(20)의 동기화 신호들뿐만 아니라 검출기 유닛(3)의 디지털화되어 검출된 신호들도 수신하며, 그럼으로써 스캐닝 작동 모드로부터 다른 작동 모드로의 본 발명에 따른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 유닛(7)이, 검출기 유닛(3)의 신호만 고려되고 동기화 신호들은 고려되지 않는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비-스캐닝 작동 모드로부터도 다른 작동 모드로의 본 발명에 따른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 동기화 신호들은 비-스캐닝 작동 모드에서는 송신되지 않는다.
도 3에는, 프로젝터(2)의 비접촉식 제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단계(S1)에서,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기술한 실현들 중 하나에 따른 프로젝터(2)가 제공된다. 제2 단계(S2)에서는, 검출기 유닛(3)이 광로 내에서 객체(5)의 존재를 검출하는 경우에 검출기 유닛(3)을 통해 신호가 생성된다. 제3 단계(S3)에서 상기 신호가 프로세서 유닛(7)으로 전달된다. 그런 다음, 상기 신호를 기반으로 제4 단계(S4)에서 프로세서 유닛(7)을 통해 프로젝터(2)의 작동 모드(B1, B2)가 변경된다.

Claims (17)

  1. 프로젝터(2)에 있어서,
    - 전자기파들의 빔(38)이 상기 프로젝터(2)에 의해 방출되는 제1 작동 모드(B1)를 포함한 복수의 작동 모드(B1, B2);
    - 상기 프로젝터(2)의 제1 작동 모드(B1)에서, 상기 빔(38)의 광로(40) 내 객체(5)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검출기 유닛(3);
    - 빔(38)의 광로(40) 내에서 객체(5)의 검출 시, 제1 작동 모드(B1)로부터 제1 작동 모드(B1)와 상이한 제2 작동 모드(B2)로 전환하도록 형성된 프로세서 유닛(7);을 포함하는, 프로젝터(2).
  2. 제1항에 있어서, 검출기 유닛(3)은, 프로젝터(2)의 제2 작동 모드(B2)에서, 빔(38)의 광로(40) 내 객체(5)의 존재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프로세서 유닛(7)은, 빔(38)의 광로(40) 내에서 객체(5)를 검출 시, 제2 작동 모드(B2)로부터 상기 제2 작동 모드(B2)와 상이한 제1 작동 모드(B1)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프로젝터(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검출기 유닛(3)은, 상기 검출기 유닛(3)이 반사광(42)의 세기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이때 검출기 유닛(3)은 레이저 프로젝터(2)의 광로(40) 내에 포지셔닝된 객체(5)를 통해 반사되는 반사광(42)의 세기의 증가 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프로젝터(2).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검출기 유닛(3)은, 레이저 프로젝터(2)의 광로(40) 내에 포지셔닝된 객체(5)를 통해 반사되는 반사광(42)의 세기의 증가 시, 그리고 그에 후속하여 레이저 프로젝터의 광로(40)로부터 떨어져 있는 객체(5)를 통해 반사되는 반사광(42)의 세기의 감소 시, 검출기 유닛(3)이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프로젝터(2).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젝터(2)는 레이저 프로젝터인, 프로젝터(2).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작동 모드(B1)는 에너지 절약 모드인, 프로젝터(2).
  7. 제6항에 있어서, 프로젝터(2)의 에너지 절약 모드에서는 검출기 유닛(3)도 에너지 절약 모드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터(2).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작동 모드(B1)에서 빔은 비-스캐닝 방식으로 형성되는, 프로젝터(2).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38)은 제1 작동 모드(B1)에서 스펙트럼의 비가시 범위 내 전자기파들로 형성되는, 프로젝터(2).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출기 유닛(3)은 사용자의 제스처를 검출하도록 형성되는, 프로젝터(2).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작동 모드(B2)는 빔(38)의 색상 전환을 통해 제1 작동 모드(B1)와 구분되는, 프로젝터(2).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젝터(2)의 제2 작동 모드(B2)는, 빔(38)이 미러 모듈(23)에 의해 투사면(12)에 걸쳐서 스캐닝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프로젝터(2).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38)의 광로(40) 내 객체(5)의 검출은 동기화 신호의 유무와 무관하게 실행될 수 있는, 프로젝터(2).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작동 모드(B1)에서는 제2 작동 모드(B2)에 비해, 프로젝터(2)의 하나 또는 복수의 광원이 스위치 오프되거나 더 약한 세기를 갖는, 프로젝터(2).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출기 유닛(3)은 포토다이오드, CCD 카메라, CMOS 카메라 또는 근접 센서인 것인, 프로젝터(2).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로젝터(2)를 포함하는 장치(50), 바람직하게는 이동 무선 장치(50).
  17. 프로젝터(2)의 비접촉식 제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로젝터(2)를 제공하는 단계;
    b) 검출기 유닛(3)이 빔(38)의 광로(40) 내 객체(5)의 존재를 검출할 경우 검출기 유닛(3)을 통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신호를 프로세서 유닛(7)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d) 상기 신호를 기반으로 프로세서 유닛(7)을 통해 프로젝터(2)의 작동 모드(B1, B2)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젝터의 비접촉식 제어 방법.
KR1020197007999A 2016-08-23 2017-06-23 비접촉식 제어를 이용한 프로젝터 KR102295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5746.9 2016-08-23
DE102016215746.9A DE102016215746A1 (de) 2016-08-23 2016-08-23 Projektor mit berührungsfreier Steuerung
PCT/EP2017/065480 WO2018036685A1 (de) 2016-08-23 2017-06-23 Projektor mit berührungsfreier steue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588A true KR20190039588A (ko) 2019-04-12
KR102295887B1 KR102295887B1 (ko) 2021-08-31

Family

ID=5925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999A KR102295887B1 (ko) 2016-08-23 2017-06-23 비접촉식 제어를 이용한 프로젝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95455B2 (ko)
JP (1) JP6861798B2 (ko)
KR (1) KR102295887B1 (ko)
CN (1) CN109643045B (ko)
DE (1) DE102016215746A1 (ko)
TW (1) TWI733883B (ko)
WO (1) WO2018036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0071B2 (en) 2018-12-21 2023-08-29 Apple Inc. Optical interferometry proximity sensor with temperature variation compensation
CN111526346A (zh) * 2019-02-03 2020-08-11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系统及投影方法
US11243068B1 (en) 2019-02-28 2022-02-08 Apple In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rray of self-mixing interferometry sensors
US10871820B2 (en) 2019-05-09 2020-12-22 Apple Inc. Self-mixing based 2D/3D user input detection and scanning laser system
US11156456B2 (en) 2019-05-21 2021-10-26 Apple Inc. Optical proximity sensor integrated into a camera modul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473898B2 (en) 2019-05-24 2022-10-18 Apple Inc. Wearable voice-induced vibration or silent gesture sensor
US11150332B1 (en) 2020-06-30 2021-10-19 Apple Inc. Self-calibrating optical transceiver system with reduced crosstalk sensitivity for through-display proximity sensing
US11874110B2 (en) 2020-09-25 2024-01-16 Apple Inc. Self-mixing interferometry device configured for non-reciprocal sensing
US11460293B2 (en) 2020-09-25 2022-10-04 Apple Inc. Surface quality sensing using self-mixing interferometry
US11629948B2 (en) 2021-02-04 2023-04-18 Apple Inc. Optical interferometry proximity sensor with optical path exten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7645A (ja) * 2010-02-24 2011-10-06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16076175A (ja) * 2014-10-08 2016-05-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0404A1 (de) * 1996-09-30 1998-04-09 Ldt Gmbh & Co Vorrichtung zur Darstellung von Bildern
DE19708240C2 (de) * 1997-02-28 1999-10-14 Siemens Ag Anordnung und Verfahren zur Detektion eines Objekts in einem von Wellen im nichtsichtbaren Spektralbereich angestrahlten Bereich
JP3630015B2 (ja) 1999-04-21 2005-03-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JP4517601B2 (ja) * 2003-07-09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投射型画像表示装置
TWI232346B (en) * 2004-01-09 2005-05-11 Coretronic Corp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nti-melt projection lens cap
US7394459B2 (en) * 2004-04-29 2008-07-01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on between objects and a virtual environment display
US7450221B2 (en) * 2005-10-11 2008-11-11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otion of an apparatus 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motion
US8180114B2 (en) * 2006-07-13 2012-05-15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Gesture recognition interface system with vertical display
JP4991458B2 (ja) * 2007-09-04 2012-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TW200937105A (en) * 2008-02-29 2009-09-01 Coretronic Corp Detector device
JP5276417B2 (ja) 2008-11-25 2013-08-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レーザプロジェクタ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JP2010244484A (ja) * 2009-04-10 2010-10-28 Funai Electric Co Ltd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20110148786A1 (en) * 2009-12-18 2011-06-23 Synaptic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operating modes
TW201145007A (en) * 2010-06-11 2011-12-16 Yu-Chieh Lin Method for power management and computer system using the same thereof
JP2012103938A (ja) * 2010-11-11 2012-05-31 Seiko Epson Corp 光学式検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2208926A (ja) * 2011-03-15 2012-10-25 Nikon Corp 検出装置、入力装置、プロジェクタ、及び電子機器
JP2013061598A (ja) * 2011-09-15 2013-04-04 Funai Electric Co Ltd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
JP6102330B2 (ja) * 2013-02-22 2017-03-29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US9465484B1 (en) * 2013-03-11 2016-10-11 Amazon Technologies, Inc. Forward and backward looking vision system
KR102082702B1 (ko) 2013-03-28 2020-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이저 영상표시장치
JP6171502B2 (ja) * 2013-04-04 2017-08-02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
US9484005B2 (en) * 2013-12-20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Trimming content for projection onto a target
CN104750234B (zh) * 2013-12-27 2018-12-21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北京)有限公司 可穿戴智能设备及可穿戴智能设备的互动方法
TW201528048A (zh) * 2014-01-03 2015-07-16 Egismos Technology Corp 影像式虛擬互動裝置及其實施方法
JP6375672B2 (ja) * 2014-01-21 2018-08-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DE102014210399A1 (de) * 2014-06-03 2015-12-03 Robert Bosch Gmbh Modul, System und Verfahren für die Erzeugung einer Bildmatrix zur Gestenerkennung
JPWO2016021022A1 (ja) 2014-08-07 2017-06-1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432767B2 (ja) 2014-09-22 2018-12-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5932945B2 (ja) 2014-11-05 2016-06-08 船井電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WO2016080565A1 (ko) * 2014-11-18 201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310624B2 (en) 2014-12-17 2019-06-04 Konica Minolta, Inc.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7645A (ja) * 2010-02-24 2011-10-06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16076175A (ja) * 2014-10-08 2016-05-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95455B2 (en) 2020-10-06
CN109643045A (zh) 2019-04-16
TWI733883B (zh) 2021-07-21
CN109643045B (zh) 2021-06-15
US20190196606A1 (en) 2019-06-27
WO2018036685A1 (de) 2018-03-01
JP2019528478A (ja) 2019-10-10
TW201807478A (zh) 2018-03-01
KR102295887B1 (ko) 2021-08-31
JP6861798B2 (ja) 2021-04-21
DE102016215746A1 (de)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887B1 (ko) 비접촉식 제어를 이용한 프로젝터
US10228611B2 (en) Projector, proj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projector
US840872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image display program stored therein
CN105468210B (zh) 位置检测装置、投影仪以及位置检测方法
CN105938410B (zh) 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控制方法
CN105468139B (zh) 位置检测装置、投影仪以及位置检测方法
CN104978079B (zh) 双向显示方法以及双向显示装置
JP6492588B2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CN107203287B (zh) 电子设备以及电子设备的控制方法
JP6403002B2 (ja) 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及び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439398B2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17183776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20200183534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JP6586891B2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WO2017064787A1 (ja) 光測距装置、光測距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映像投写装置
JP2016151924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6707945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6524741B2 (ja) 位置検出装置、表示装置、位置検出装置の制御方法、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6103060A (ja) 画像投影装置、画像投影システムおよび映像供給装置
JP2017090957A (ja) 画像投影装置および画像投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