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569A - 노측 통신 장치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노측 통신 장치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569A
KR20190039569A KR1020197007459A KR20197007459A KR20190039569A KR 20190039569 A KR20190039569 A KR 20190039569A KR 1020197007459 A KR1020197007459 A KR 1020197007459A KR 20197007459 A KR20197007459 A KR 20197007459A KR 20190039569 A KR20190039569 A KR 20190039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
communication
vehicle
connec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723B1 (ko
Inventor
가츠야 가와이
마사히코 이카와
요시아키 츠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9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04L69/085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specially adapted for interworking of IP-based networks with oth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1Inter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or service data unit [SDU] definitions; Interfaces between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차간 통신에 있어서의 트래픽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노측 통신 장치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노측 통신 장치는, 노차간 메시지 및 차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와, 트랜잭션 서비스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전송부(2)와, 노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와, 차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와,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차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상황을 관리하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와, 통신 장치(200)와의 접속 상황을 관리하는 노측 통신 관리부(6)를 구비하고, 노측 통신 관리부(6)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로부터 통지된 차차간 메시지의 수신 상황에 근거하여 통신 장치(200)와의 접속 상태를 관리한다.

Description

노측 통신 장치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
본 발명은, 도로상을 주행하는 이동국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차차간 통신(inter-vehicle communication), 및 도로상에 설치된 기지국과 도로상을 주행하는 이동국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노차간 통신(roadside-to-vehicle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이동국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측 통신 장치, 및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차량탑재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차간 통신 및 노차간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를 이용한 안전 운전 지원 시스템의 실용화가 검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차간 통신을 이용한 차차간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국 사이에서 일정 주기마다 자국의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는 정보 교환형 애플리케이션이 이용된다. 한편, 노차간 통신을 이용한 노차간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해당 기지국의 주변을 주행하는 각 이동국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통신 장치 사이의 접속 상태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종래, 특허문헌 1 및 비특허문헌 1에서는, 노차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로컬 포트 제어 프로토콜(Local Port Control Protocol : LPCP)을 이용하고, 메시지의 재송 또는 분할 조립에 대응하기 위해 로컬 포트 프로토콜(Local Port Protocol : LPP)을 이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하위의 통신 프로토콜에 있어서의 접속 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개별 통신을 실현하고 있다.
차차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도, 멀티 애플리케이션의 이용, 메시지의 재송 또는 분할 조립이 필요하게 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이 장래에 상정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특허문헌 2에서는, 초기 접속의 확립 수순을 제공하고, 멀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고, 메시지의 재송 또는 분할/조립을 행하고, 노차간 통신 시스템 및 차차간 통신 시스템의 양쪽에 대응할 수 있는 차량탑재 통신 장치 및 노차간-차차간 통신 연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국제 공개 제 2005/039075호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제 4999989호 공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차량탑재 통신 장치 및 노차간-차차간 통신 연계 시스템에서는, 초기 접속을 개시할 때 또는 접속 상태를 유지할 때에, 노차간 통신의 프로토콜에 근거한 노차간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필요가 있고, 노차간 통신에 있어서의 트래픽이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노차간 통신에 있어서의 트래픽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노측 통신 장치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노측 통신 장치는, 기지국에 탑재되고, 이동국에 탑재된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노측 통신 장치(100)로서,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노차간 통신의 프로토콜에 근거한 노차간 메시지, 및 차차간 통신의 프로토콜에 근거한 차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와,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를 통해서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노차간 메시지의 재송, 분할, 및 조립을 포함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 서비스와, 상위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로컬 포트 번호를 부가하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전송부(2)와,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 및 통신 전송부(2)를 통해서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노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와,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를 통해서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차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와,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차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상황을 관리하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와, 통신 장치(200)와의 접속 상황을 관리하는 노측 통신 관리부(6)를 구비하고, 노측 통신 관리부(6)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로부터 통지된 차차간 메시지의 수신 상황에 근거하여 통신 장치(200)와의 접속 상태를 관리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탑재 통신 장치는, 이동국에 탑재되고, 기지국 또는 다른 이동국에 탑재된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로서,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노차간 통신의 프로토콜에 근거한 노차간 메시지, 및 차차간 통신의 프로토콜에 근거한 차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와,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를 통해서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노차간 메시지의 재송, 분할, 및 조립을 포함하는 트랜잭션 서비스와, 상위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로컬 포트 번호를 부가하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전송부(2)와,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 및 통신 전송부(2)를 통해서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노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와,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를 통해서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차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와,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차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상황을 관리하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와, 통신 장치(100, 200)와의 접속 상황을 관리하는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를 구비하고,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로부터 통지된 차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상황을 이용하여 접속 상태를 관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측 통신 장치는, 기지국에 탑재되고, 이동국에 탑재된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노측 통신 장치(100)로서,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노차간 통신의 프로토콜에 근거한 노차간 메시지, 및 차차간 통신의 프로토콜에 근거한 차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와,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를 통해서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노차간 메시지의 재송, 분할, 및 조립을 포함하는 트랜잭션 서비스와, 상위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로컬 포트 번호를 부가하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전송부(2)와,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 및 통신 전송부(2)를 통해서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노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와,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를 통해서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차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와,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차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상황을 관리하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와, 통신 장치(200)와의 접속 상황을 관리하는 노측 통신 관리부(6)를 구비하고, 노측 통신 관리부(6)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로부터 통지된 차차간 메시지의 수신 상황에 근거하여 통신 장치(200)와의 접속 상태를 관리하기 때문에, 노차간 통신에 있어서의 트래픽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차량탑재 통신 장치는, 이동국에 탑재되고, 기지국 또는 다른 이동국에 탑재된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로서,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노차간 통신의 프로토콜에 근거한 노차간 메시지, 및 차차간 통신의 프로토콜에 근거한 차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와,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를 통해서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노차간 메시지의 재송, 분할, 및 조립을 포함하는 트랜잭션 서비스와, 상위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로컬 포트 번호를 부가하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전송부(2)와,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 및 통신 전송부(2)를 통해서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노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와,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를 통해서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차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와,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차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상황을 관리하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와, 통신 장치(100, 200)와의 접속 상황을 관리하는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를 구비하고,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로부터 통지된 차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상황을 이용하여 접속 상태를 관리하기 때문에, 노차간 통신에 있어서의 트래픽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태양,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차량탑재 통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노측 통신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노측 통신 장치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의 프로토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이벤트 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PDU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제어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PDU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NCP-PDU의 액세스 제어 정보의 필드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NCP-PDU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의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NCP-PDU의 프로토콜 식별자의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ELCP-PDU의 통신 제어 정보의 필드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초기 접속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의 초기 접속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접속 유지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기지국과 이동국의 통신에서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의 접속 유지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이동국 사이의 통신에서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의 접속 유지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기지국의 초기 접속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이동국의 초기 접속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기지국의 접속 유지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이동국의 접속 유지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근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1. 프로토콜 구성>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 1~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노측 통신 장치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는, 노차간 통신 시스템, 차차간 통신 시스템, 또는 노차간-차차간 연계 시스템의 통신 장치로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주로 노차간 통신 시스템의 통신 장치로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노측 통신 장치(100)의 프로토콜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의 프로토콜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것은 명세서의 전문에 있어서 공통이다.
노측 통신 장치(100)는, 도로의 주변에 설치된 기지국(노측기)에 탑재된다. 또한,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는, 도로상을 주행하는 이동국(차량)에 탑재된다. 그리고, 노측 통신 장치(100)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를 통해서, 이동국과 기지국의 사이, 및 이동국 사이에 있어서 무선 통신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무선 통신으로서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를 이용하더라도 좋고,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휴대전화 등에서 채용되는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는,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가 탑재된 "자차량"이라고 칭하는 이동국에 주목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해당 "자차량" 이외에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를 탑재한 차량을 "주변 차량"이라고 칭한다. 주변 차량은, 1대이더라도 좋고, 복수 대이더라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측 통신 장치(100)는,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와, 통신 전송부(2)와,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와,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와, 송수신 상황 관리부(5)와, 노측 통신 관리부(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는,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와, 통신 전송부(2)와,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와,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와, 송수신 상황 관리부(5)와,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를 구비하고 있다.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는, 기지국에 탑재된 노측 통신 장치(100), 및 주변의 이동국에 탑재된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와의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해, 송신 서비스 및 수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는, "IEEE 1609.3"에 기재된 WSMP(WAVE Short Message Protocol)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 전송부(2)는,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와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의 사이에 개재되고,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 또는 노측 통신 관리부(6) 등에 대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신 전송부(2)는,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된 LPP 및 LPCP와, LPCP와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를 중개하는 확장 통신 제어 프로토콜(Extended Link Control Protocol : ELCP)로 구성된다.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는, 통신 전송부(2)상에서 동작하는 노차간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갖고 있다. 또,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는, 노차간 통신 애플리케이션 이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갖더라도 좋다.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상에서 동작하는 차차간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갖고 있다. 또,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차차간 통신 애플리케이션 이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갖더라도 좋다.
송수신 상황 관리부(5)는,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와 노측 통신 관리부(6) 또는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의 사이에 개재되고,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주변의 이동국 또는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한 차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상황을, 노측 통신 관리부(6) 또는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에 제공한다. 또, 송수신 상황 관리부(5)는,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가 갖는 노차간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로 하더라도 좋고,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갖는 차차간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로 하더라도 좋다.
노측 통신 관리부(6)는, 통신 전송부(2) 및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주변의 이동국과 접속하기 위해 초기 접속의 접속 수순 또는 절단 수순을 제공하고, 통신 상황을 관리하는 통신 접속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통신 전송부(2) 및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주변의 이동국 및 기지국과 접속하기 위해 초기 접속의 접속 수순 또는 절단 수순을 제공하고, 통신 상황을 관리하는 통신 접속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1-2. 프로토콜 사양>
이하에서는,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노측 통신 장치(100)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에 있어서의 통신 전송부(2)와, 노측 통신 관리부(6) 또는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로 구성되는 고속도로 교통 시스템용 애플리케이션 서브레이어(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Application Sub-Layer : ITS-ASL)의 사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2-1. 차차간 통신 서브프로토콜의 개요>
도 3은 ITS-ASL을 구비하는 노측 통신 장치(100)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의 프로토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ITS-ASL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로컬 포트 프로토콜(LPP)과, 로컬 포트 제어 프로토콜(LPCP)과, 확장 통신 제어 프로토콜(ELCP)과, 통신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브레이어 관리 엔티티(Application Sub-Layer Management Entity : ASLME)로 구성된다.
LPP는, 데이터의 재송 또는 분할/조립 등의 트랜잭션 서비스, 및 초기 접속 또는 절단 등의 통신 상황을 관리하는 접속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것에 의해, LPP는, 차차간 통신 시스템에 요구되는 재송 제어 또는 분할/조립 제어를 실현한다.
LPCP는, 로컬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App) 등의 상위 프로토콜을 식별하고, 상위 프로토콜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이나 이벤트 통지 등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LPCP는, 노측 통신 장치(100)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에 있어서 멀티 애플리케이션을 실현한다.
ELCP는, LPCP와 통신 하위 프로토콜의 사이에 개재되고, 노차간-차차간 통신 연계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우선도 제어를 제공하고, ASLME의 기능을 보완한다. 또한, 상위 프로토콜 또는 ASLME에 대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벤트 전송 서비스, 및 ELCP 내에서 발생한 에러 및 이벤트 등을 상위 프로토콜에 통지하는 이벤트 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ASLME는, App 및 ELCP에 대하여, 초기 접속의 개시 또는 절단을 행하거나, 통신 상황을 관리하거나 하는 접속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통신 하위 프로토콜로서는, IEEE 802.11p 프로토콜 및 5.8㎓대 또는 UHF/VHF대의 통신 프로토콜,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통신 하위 프로토콜은, 통신 하위 프로토콜의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층을 갖는다. ELCP와 IEEE 802.11p의 사이에는, IEEE 1609.3에 규정된 WSMP가 개재되는 것을 상정한다.
도 4는 ITS-ASL에 있어서 ELCP 및 ASLME가 제공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Service Access Point : SAP)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ELCP 및 ASLME가 제공하는 기능은 이하와 같다.
(1) ELCP가 제공하는 기능(ELCP SAP)
(1-1) 데이터 전송 서비스
(1-2) 이벤트 통지 서비스
(2) ASLME가 제공하는 기능(ALCP SAP)
(2-1) 접속 관리 서비스
(2-2) 이벤트 통지 서비스
<1-2-2. 기능의 개요>
1. 확장 통신 제어 프로토콜(ELCP)의 기능
1.1. 데이터 전송 서비스
ELCP는, LPCP로부터 상위의 프로토콜 및 ASLME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5는 ELCP가 상위 프로토콜 및 ASLME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2. 이벤트 통지 서비스
ELCP는, 해당 ELCP 내에서 발생한 이벤트 또는 에러, 및 ASLME로부터 수신한 이벤트(통신의 접속 또는 절단의 통지 등)를 상위 프로토콜 및 상대국에 통지하기 위해 이벤트 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6은 ELCP가 상위 프로토콜 및 ASLME에 대하여 이벤트 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애플리케이션 서브레이어 관리 엔티티(ASLME)의 기능
2.1. 접속 관리 서비스
ASLME는, 노차간-차차간 연계 통신 시스템에 필요한 통신 접속의 초기 접속을 개시하거나, 접속 상태의 유지 또는 통지를 행하거나 하는 접속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2.2. 이벤트 통지 서비스
ASLME는, 해당 ASLME 내에서 발생한 이벤트(통신의 접속 또는 절단의 통지 등) 또는 에러를, ELCP를 경유하여 LPCP로부터 상위의 프로토콜 및 상대국에 통지하기 위해 이벤트 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1-2-3. 서비스 인터페이스(Service Access Point : SAP)>
다음으로, ELCP 및 ASLME가 갖는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기법의 설명
본 실시의 형태에서 규정되는 프리미티브 종별을 이하에 나타낸다.
ㆍrequest : 상위층이 하위층에 대하여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에 이용한다.
ㆍindication : 하위층이 상위층에 대하여 상대측으로부터의 서비스를 통지하는 경우에 이용한다.
2. ELCP가 제공하는 SAP(ELCP SAP)
ELCP는, 데이터 전송 서비스로서 이하의 프리미티브를 LPCP 및 ASLME에 제공한다.
(1) 데이터 송신 요구 프리미티브(SendDataUnit. request)
(2) 데이터 수신 통지 프리미티브(SendDataUnit. indication)
ELCP는, 이벤트 통지 서비스로서 이하의 프리미티브를 LPCP에 제공한다.
(3) 이벤트 통지 프리미티브(EventInformation. indication)
2.1. 데이터 송신 요구 프리미티브
2.1.1. 기능
데이터 송신 요구 프리미티브는, ASL-SDU를 상대국에 송신하는 것을 요구하는 서비스 프리미티브이다.
2.1.2. 생성 계기
데이터 송신 요구 프리미티브는, LPCP 혹은 ASLME가 생성한다.
2.1.3. 프리미티브의 변수
데이터 송신 요구 프리미티브는, 다음의 변수를 갖는다.
SendDataUnit. request(linkAddress, parameter)
변수 linkAddress에는, ELCP에 있어서 상대방을 식별하는 링크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링크 어드레스는, 프라이빗 링크 어드레스, 또는 그룹 브로드캐스트 링크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다. 또, 그룹 브로드캐스트 링크 어드레스를 지정한 경우, ASL-SDU는 브로드캐스트 모드에서의 전달이 된다. 변수 parameter에는, 자국의 LPCP 또는 ASLME로부터 건네받은 ASL-SDU를 저장한다.
2.2. 데이터 착신 통지 프리미티브
2.2.1. 기능
데이터 착신 통지 프리미티브는, 상대국으로부터의 ASL-SDU의 착신을 통지하는 서비스 프리미티브이다.
2.2.2. 생성 계기
데이터 착신 통지 프리미티브는, ASL-SDU의 착신을 나타낼 때에 ELCP가 생성한다.
2.2.3. 프리미티브의 변수
데이터 착신 통지 프리미티브는, 다음의 변수를 갖는다.
SendDataUnit. indication(linkAddress, parameter)
변수 linkAddress에는, ELCP에서 사용하는 링크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링크 어드레스는, 프라이빗 링크 어드레스 또는 그룹 브로드캐스트 링크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변수 parameter에는, 착신한 ASL-SDU를 저장한다.
2.3. 이벤트 통지 프리미티브
2.3.1. 기능
이벤트 통지 프리미티브는, ELCP 내에서 발생한 에러 등의 사상을 통지하는 서비스 프리미티브이다.
2.3.2. 생성 계기
이벤트 통지 프리미티브는, ELCP 내에서 발생한 에러 등의 사상을 통지할 때에 ELCP가 생성한다.
2.3.3. 프리미티브의 변수
이벤트 통지 프리미티브는, 다음의 변수를 갖는다.
EventInformation. indication(linkAddress, status, [extensionParameter])
변수 linkAddress에는, ELCP에 있어서 상대방을 식별하는 링크 어드레스가 저장된다. 변수 status에는, 발생한 사상을 나타내는 코드를 저장한다. 변수 extensionParameter에는, 필요에 따라서 변수 status의 내용을 보충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 변수 extensionParameter는, 옵션으로 한다.
3. ASLME가 제공하는 SAP(ASLME SAP)
ASLME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접속 관리 서비스로서 이하의 프리미티브를 제공한다.
(1) 접속 요구 프리미티브(ASLME-Connection. request)
(2) 접속 통지 프리미티브(ASLME-Notify. indication)
이벤트 통지 서비스로서, ASLME는 ELCP에 대하여, 이하의 프리미티브를 제공한다.
(3) 이벤트 통지 프리미티브(ASLME-EventInformation)
3.1. 접속 요구 프리미티브(ASLME-Connection)
3.1.1. 기능 개요
이벤트 통지 프리미티브는, 애플리케이션이 주변국과의 접속을 요구하거나,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보를 건네주거나 하는 프리미티브이다.
3.1.2. 생성 계기
이벤트 통지 프리미티브는, 애플리케이션이 생성한다.
3.1.3. 프리미티브의 변수
이벤트 통지 프리미티브는, 다음의 변수를 갖는다.
ASLME-Connection. request(portNo, requestCode, destinationLID)
변수 portNo에는, 요구원(request source)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저장한다. 변수 requestCode에는,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저장한다. 변수 destinationLID에는, 접속 요구 등을 행하는 상대국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저장한다.
3.2. 접속 통지 프리미티브(ASLME-Connection. indication)
3.2.1. 기능 개요
접속 통지 프리미티브는, ASLME가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초기 접속 또는 절단을 통지하는 프리미티브이다.
3.2.2. 생성 계기
접속 통지 프리미티브는, ASLME가 생성한다.
3.2.3. 프리미티브의 변수
접속 통지 프리미티브는, 다음의 변수를 갖는다.
ASLME-Notify(portNo, notifyCode, notifyParameter)
변수 portNo에는, 요구원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저장한다. 변수 notifyCode에는, 애플리케이션에 통지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저장한다. 변수 notifyParameter에는, 애플리케이션에 통지하는 내용의 파라미터 값을 저장한다.
3.3. 이벤트 통지 프리미티브
3.3.1. 기능
이벤트 통지 프리미티브는, ASLME 내에서 발생한 에러 등의 사상을 통지하는 서비스 프리미티브이다.
3.3.2. 생성 계기
이벤트 통지 프리미티브는, ASLME 내에서 발생한 에러 등의 사상을 통지할 때에 ASLME가 생성한다.
3.3.3. 프리미티브의 변수
이벤트 통지 프리미티브는, 다음의 변수를 갖는다.
ASLME-EventInformation. indication(linkAddress, status, [extensionParameter])
변수 linkAddress에는, ELCP에 있어서 상대방을 식별하는 링크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변수 status에는, 발생한 사상을 나타내는 코드를 저장한다. 변수 extensionParameter에는, 필요에 따라서 변수 status의 내용을 보충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 변수 extensionParameter는, 옵션으로 한다.
<1-2-4.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rotocol Data Unit : PDU)>
1. PDU의 구성
ELCP 및 ASLME에서 이용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PDU 구성을 나타내고, 도 8은 제어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PDU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PDU와 SDU(Service Data Unit)의 관계에 대하여 말하면, 어느 Layer에 있어서 헤더가 없는 상태를 SDU라고 부르고, 그 Layer에 있어서 헤더를 부여한 상태를 PDU라고 부른다.
도 7에 나타내는 PDU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LPP 헤더 및 LPCP 헤더를 부가하여 ELCP에 건네지고, ELCP에 있어서 ELCP 헤더를 부가하여 통신 하위 프로토콜(WSMP)에 건네진다. 도 8에 나타내는 PDU는, ASLME에서 생성되는 제어 데이터가 ELCP에 건네지고, ELCP에 있어서 ELCP 헤더를 부가하여 통신 하위 프로토콜(WSMP)에 건네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PDU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LPP에서 LPP SDU로서 다루어지고, LPP 헤더를 부가한 LPP PDU를 LPCP에 건네준다. LPCP에서는, LPP로부터 건네받은 데이터가 LPCP SDU로서 다루어지고, LPCP 헤더를 부가한 LPCP PDU를 ELCP에 건네준다. ELCP에서는, LPCP로부터 건네받은 데이터가 ECLP SDU로서 다루어지고, ELCP 헤더를 부가한 ECLP PDU를 WSMP에 건네준다. WSMP에서는, ELCP로부터 건네받은 데이터가 WSMP SDU로서 다루어진다.
2. NCP-PDU(Network Control Protocol-Protocol Data Unit)의 형식
LPCP를 포함하는 NCP는, NCP마다 상이한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를 할당하고, ELCP의 통신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 ASLME는, NCP와 동등한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를 할당하고, ELCP의 통신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대국의 ASLME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한다. 이 때문에, ASLME의 PDU 형식은, NCP의 PDU 형식과 동일한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NCP-PDU)로 하고 있다.
NCP-PDU는, NCP의 수순을 지시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 필드(NCP Header/액세스 제어 정보)와, 상위 프로토콜의 PDU를 저장하는 정보 필드(네트워크 제어 서비스 단위(NCP Service Data Unit : NCP-SDU))로 이루어진다.
2.1. 커넥션의 식별
NCP 및 ASLME를 식별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는, NCP-PDU의 제어 필드에서 수수한다. 또한, NCP 및 ASLME마다의 커넥션 식별을 행하기 위한 링크 어드레스 등은, ELCP가 제공하는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변수로서 수수한다.
2.2. 정보 필드의 형식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경우, 정보 필드에는 상위 프로토콜로부터 건네받는 NCP-SDU를 투과하여 저장한다. 접속 관리 등, 데이터 전송 이외의 경우의 정보 필드는, NULL(길이 0의 데이터)로 한다.
2.3. 제어 필드의 형식
NCP 및 ASLME의 수순을 지시하는 제어 필드에는, 액세스 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액세스 제어 정보의 필드 형식을 도 9에 나타낸다.
(1)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
NCP 및 ASLME를 식별하는 값.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의 내용을 도 10에 나타낸다.
(2) 프로토콜 식별자
NCP 및 ASLME의 수순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 제어 내용을 보충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다중하는 옵션 필드를 갖고 있고, 필요에 따라서 사용한다. 프로토콜 식별자 서브필드의 내용은, NCP마다 별도로 규정한다. 프로토콜 식별자의 내용을 도 11에 나타낸다.
3. ELCP-PDU(ELCP Protocol Data Unit)의 형식
ELCP가 다루는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는, ELCP의 PDU이고, ELCP(및 ASLME)의 수순을 지시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 필드(ELCP Header)와, LPCP(및 ASLME)로부터 건네받은 PDU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 필드(ELCP-SDU)로 이루어진다.
3.1. 커넥션의 식별
커넥션 식별을 위한 링크 어드레스, 요소 식별자 EID(Element Identifier) 등은, 통신 하위층에 따라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변수 혹은 ASL-SDU의 내용으로서 수수된다.
3.2. 정보 필드의 형식
정보 필드에는, LPCP로부터 건네받는 ASL-SDU를 분할(벌크 세그먼트화) 또는 투과하여 저장한다. 브로드캐스트 통신의 경우는, ASL-SDU의 말미에 오류 검사 부호로서 32비트 폭의 체크섬을 부여한다. 체크섬은, ASL-SDU에 대한 32비트의 1의 보수 합으로 하고, ASL-SDU의 말미가 검사 비트 길이(32비트)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는, 하위 자리에 0을 저장하여 계산한다.
3.3. 제어 필드의 형식
제어 필드에는, 통신 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 제어 정보에는 ELCP의 수순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가 저장되고, 수순을 실행하기 위해 기지국과 이동국의 사이에서 공유된다. 통신 제어 정보의 필드 형식을 도 12에 나타낸다.
(1) 벌크 전송 유효 식별자(bulkEnable)
벌크 전송의 유효/무효를 지시하는 식별자. 벌크 전송 유효 식별자가 참값(true)을 나타내는 ASL-PDU는, 벌크 전송되는 벌크 세그먼트인 것을 나타낸다. 세그먼트 처리하지 않는 경우, 벌크 전송 유효 식별자는 거짓값(false)으로 한다.
(2) 벌크 전송 종단 식별자(bulkTermination)
벌크 전송의 최종 세그먼트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 벌크 전송 종단 식별자가 참값(true)을 나타내는 ASL-PDU는, 벌크 전송되는 최종 세그먼트인 것을 나타낸다. 세그먼트 처리하지 않는 경우, 벌크 전송 종단 식별자는 거짓값(false)으로 한다.
(3) PDU 그룹 번호(pduGroup)
벌크 세그먼트의 식별 정보. 벌크 전송을 위한 분할 처리를 실시하기 전의 ASL-SDU에 대하여 하나의 값을 부번(付番)한다. 부번은, 송신 큐를 단위로 하여 모듈로 32로 행하고, 벌크 전송을 적용하지 않는 ASL-SDU에도 부번한다. 벌크 전송된 벌크 세그먼트를 조립할 때에는, 동일한 PDU 그룹 번호를 대상으로 한다.
(4) 세그먼트 번호(segmentNumber)
벌크 세그먼트의 분할 순서를 나타내는 시리얼 번호. 분할한 최초의 벌크 세그먼트에는 0이 부번되고, 이후 차례로 인크리먼트 된 값을 할당한다. 벌크 세그먼트의 조립에서는, 세그먼트 번호의 순번이 보증된다. 벌크 전송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의 세그먼트 번호는 0으로 한다.
(5) 브로드캐스트 모드용 보조 변수(broadcastParameter)
브로드캐스트 모드용 보조 변수는 옵션이고, 브로드캐스트 모드 제어의 처리에서 세그먼트화한 벌크 세그먼트의 통신 제어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이하의 변수를 부가한다.
(a) 접속 감시 타이머 값(serviceTime)
해당 통신 영역에 있어서의 이동국의 접속 관리 타이머(Connection Timer for OBU : CTO)에 설정하는 타이머 값. 이동국은, 포인트 투 포인트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통신 접속 동작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에, 접속 감시 타이머 값을 이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의 유효 기간을 관리한다. 단위는 밀리초로 하고, 0에서 4095의 범위의 값을 설정한다. 또, 값으로서 "0"을 설정한 경우의 시간은 무한대로 한다. 단, "0"의 설정은 시험 때만으로 하고, 실제 운용 상태에서 "0"을 수신한 이동국은, 해당 ASL-PDU를 파기한다. 브로드캐스트 통신과 병행하여 포인트 투 포인트 통신이 행하여지는 경우, 이동국은 ASL 기지국 프로파일에서 주어진 타이머 값을 우선한다.
<1-2-5. 동작 수순>
1. 데이터 전송 수순
1.1. 전송 서비스 처리의 수순
(1) 송신 서비스의 처리
LPCP 및 ASLME로부터 데이터 송신 요구 프리미티브(SendDataUnit. request)가 호출된 경우에는, 변수 parameter로부터 ELCP-SDU를 취득한다. 변수 linkAddress의 내용이 프라이빗 링크 어드레스인 경우, 취득한 ELCP-SDU에는 후술하는 "1.2. 벌크 전송 제어의 수순"에 규정하는 송신측의 벌크 전송 처리를 적용한다. 또한, 변수 linkAddress의 내용이 그룹 브로드캐스트 링크 어드레스인 경우, 취득한 ELCP-SDU에는 "1.3. 브로드캐스트 모드 제어의 수순"에 규정하는 브로드캐스트 모드 제어 처리를 적용한다.
(2) 수신 서비스의 처리
수신 큐에 ELCP-PDU가 저장되면, LPCP 및 ASLME에 데이터 착신 통지 프리미티브(SendDataUnit. indication)를 이용하여 ELCP-SDU의 전달을 행한다. 이때, 변수 parameter에는, ELCP-PDU로부터 통신 제어 정보와 상대방 식별자 및 송신원 식별자를 삭제하고, LPCP 및 ASLME에 건네주는 ELCP-SDU를 빼내고 저장한다. 변수 linkAddress에는, ELCP-PDU의 링크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또, 데이터 착신 프리미티브의 통지 목적지를 ELCP로 할지 ASLME로 할지는, ELCP-SDU 내의 액세스 제어 필드의 액세스 포인트 식별자를 참조하여 특정한다.
1.2. 벌크 전송 제어의 수순
(1) 송신측의 벌크 전송 처리
ELCP-SDU의 사이즈가 미리 설정한 최소 사이즈(SUU) 이하인 경우에는, 세그먼트 처리하지 않는 경우의 통신 제어 정보를 부가하여 ASL-PDU를 생성하고, 송신 큐에 쌓는다. ELCP-SDU의 사이즈가 SUU를 넘는 경우, 선두로부터 차례로 SUU의 사이즈로 ELCP-SDU를 분할하여 벌크 세그먼트화를 행하고, 벌크 세그먼트마다 통신 제어 정보를 부가하여 ELCP-PDU를 생성하고, 송신한다.
(2) 수신측의 벌크 전송 처리
수신측의 벌크 전송 처리에서는, 수신 큐에 저장된 ELCP-PDU의 통신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벌크 전송 유효 식별자가 참값(true)을 나타내는 벌크 세그먼트가 존재하고, 해당 세그먼트와 PDU 그룹 번호 및 송신원 식별자가 동일하고, 세그먼트 번호 0으로부터 벌크 전송 종단 식별자가 참값(true)을 나타내는 세그먼트까지의 ELCP-PDU가 모두 수신 큐에 저장된 경우에, 세그먼트 번호의 차례로 세그먼트를 연결하여 ELCP-SDU를 재생한다. 벌크 전송 유효 식별자가 거짓값(false)을 나타내는 경우는, ELCP-PDU로부터 통신 제어 정보를 삭제하여 ELCP-SDU를 재생한다.
1.3. 브로드캐스트 모드 제어의 수순
(1) 송신측의 브로드캐스트 모드 제어 처리
ELCP-SDU의 링크 어드레스가 그룹 브로드캐스트 링크 어드레스인 경우, ELCP는 브로드캐스트 모드 제어를 적용하고,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오류 검사 부호를 부여한 후, 송신측의 벌크 전송 처리의 수순에 따라 ELCP-SDU를 세그먼트화하여 ASL-PDU를 작성하고, 브로드캐스트용의 송신 큐에 쌓는다. 단, 세그먼트화의 단위에는 미리 설정한 최소 사이즈(SUM)를 적용한다. 이때, 세그먼트에 결합하는 통신 제어 정보의 PDU 그룹 번호는, 모듈로 32의 연번으로 부번한다. 또한, 통신 제어 정보의 옵션 필드를 유효로 하여 브로드캐스트 모드용 보조 변수를 부가한다. 이 경우의 ASL-PDU의 링크 어드레스에는, 그룹 브로드캐스트 링크 어드레스의 어드레스 값을 설정한다. 브로드캐스트용의 송신 큐에 저장된 ELCP-PDU는, PDU 그룹 번호마다 모든 PDU를 차례로 송신하고, 이것을 미리 설정한 횟수만큼 반복한다. 반복이 완료되면, 해당 PDU 그룹 번호의 모든 세그먼트를 파기한다.
(2) 수신측의 브로드캐스트 모드 제어 처리
브로드캐스트용의 수신 큐에 저장된 ELCP-PDU의 통신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또, 처리 대상으로 하는 링크 어드레스는, 그룹 브로드캐스트 링크 어드레스로 하고, 해당하지 않는 ELCP-PDU는 파기한다.
벌크 전송 유효 식별자가 거짓값(false)을 나타내는 경우는, ASL-PDU로부터 통신 제어 정보와 오류 검사 부호를 삭제하여 ELCP-SDU를 재생한다. 또, 오류 검사 부호의 값이 잘못되어 있는 경우는 ELCP-SDU의 재생은 행하지 않고, 수신 데이터를 파기한다.
ELCP-PDU의 벌크 전송 유효 식별자가 참값(true)을 나타내는 벌크 세그먼트가 존재하고, 그 세그먼트와 PDU 그룹 번호가 동일하고, 세그먼트 번호 0으로부터 벌크 전송 종단 식별자가 참값(true)을 나타내는 세그먼트까지의 ELCP-PDU가 모두 수신 큐에 저장된 경우에, 세그먼트 번호의 차례로 연결하여 ELCP-SDU를 재생한다. 또, 오류 검사 부호의 값이 잘못되어 있는 경우는 ELCP-SDU의 재생은 행하지 않고, 수신 데이터를 파기한다. 결합 재생 후는, 상이한 PDU 그룹 번호의 벌크 세그먼트를 수신할 때까지 처리를 보류하고, 수신 후는 통신 제어 정보의 내용에 따라 처리를 재개한다. 또, 보류 중에 수신한 해당 ELCP-SDU의 PDU 그룹 번호와 동일한 벌크 세그먼트는 모두 파기한다. 결합 재생 처리 중에 PDU 그룹 번호가 상이한 벌크 세그먼트를 수신한 경우에는, 해당 결합 처리는 파기하고, 새로운 PDU 그룹 번호를 대상으로 하여 결합 처리를 개시한다.
2. 초기 접속 수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노차간-차차간 연계 시스템에서는, 개별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초기 접속을 행한다.
2.1.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 13은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초기 접속 수순의 기본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기지국에서의 초기 접속 수순의 개시
기지국의 App는, ASLME에 대하여, ASLME-Connection. request에서 변수 requestCode에 "접속 요구 송신"을 지정하고, 초기 접속 개시를 요구한다. ASLME는, 이하에 나타내는 초기 접속 수순을 개시한다. 또, App로부터의 요구를 트리거로 하지 않고, 기동시에 초기 접속 수순을 개시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2) 기지국에서의 접속 요구 메시지의 송신
기지국의 ASLME는, 미리 정한 스케줄에 따라, ELCP의 SendDataUnit. request를 이용한 브로드캐스트 통신으로, 접속 요구 메시지를 주변의 이동국의 ASLME에 송신한다.
(3) 이동국에서의 접속 요구 메시지의 수신과 접속 응답 메시지의 송신
이동국의 ASLME는, ELCP의 SendDataUnit. indication으로 접속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접속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상황을 확인한다. 접속 상황이 "접속 완료"인 경우에는,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에는, ELCP의 SendDataUnit. request를 이용한 개별 통신으로, 접속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의 ASLME에 송신한다.
(4) 기지국에서의 접속 응답 메시지의 수신과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의 송신
기지국의 ASLME는, ELCP의 SendDataUnit. indication으로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접속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응답 메시지에서 나타내어진 상대국과의 접속 상황을 확인한다. 접속 상황이 "접속 완료"인 경우에는,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에는, ELCP의 SendDataUnit. request를 이용한 개별 통신으로,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를 이동국의 ASLME에 송신한다. 마지막으로 초기 접속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5) 이동국에서의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의 수신
이동국의 ASLME는, ELCP의 SendDataUnit. indication으로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접속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상황을 확인한다. 접속 상황이 "접속 완료"인 경우에는,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에는, 초기 접속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2.2.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
도 14는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의 초기 접속 수순의 기본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이동국에서의 차차간 메시지의 송신
이동국의 App는, 미리 정한 스케줄에 따라, 차차간 메시지를 생성하고, 주변의 이동국 및 기지국의 App에 브로드캐스트 통신으로 송신한다.
(2) 기지국에서의 차차간 메시지의 수신과 초기 접속 수순의 개시
기지국의 App는, 차차간 메시지를 수신하면, ASLME에 대하여, ASLME-Connection. request에서 변수 requestCode에 "접속 응답 송신"을 지정하고, 초기 접속 개시를 요구한다. ASLME는, 이하에 나타내는 초기 접속 수순을 개시한다.
(3) 기지국에서의 접속 응답 메시지의 송신
기지국의 ASLME는, 초기 접속 개시 요구를 받으면, 접속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상황을 확인한다. 접속 상황이 "접속 완료"인 경우에는,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에는, ELCP의 SendDataUnit. request를 이용한 개별 통신으로, 접속 응답 메시지를 이동국의 ASLME에 송신한다.
(4) 이동국에서의 접속 응답 메시지의 수신과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의 송신
이동국의 ASLME는, ELCP의 SendDataUnit. indication으로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접속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응답 메시지에서 나타내어진 상대국과의 접속 상황을 확인한다. 접속 상황이 "접속 완료"인 경우에는,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에는, ELCP의 SendDataUnit. request를 이용한 개별 통신으로,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의 ASLME에 송신한다. 마지막으로 초기 접속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5) 기지국에서의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의 수신
이동국의 ASLME는, ELCP의 SendDataUnit. indication으로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접속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상황을 확인한다. 접속 상황이 "접속 완료"인 경우에는,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에는, 초기 접속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2.3. 초기 접속 완료 처리
이동국 및 기지국에서는, 초기 접속 수순의 마지막에 LPCP를 상대국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하고, 접속 관리 테이블에 "접속 완료"로서 추가한다. 또한, ASLME는, App에 대하여, ASLME-Connection. indication으로 "초기 접속의 통지"를 발행한다. 마찬가지로, ASLME는, ELCP에 대하여, ASLME-EventInformation. indication으로 "초기 접속의 통지"를 발행한다. 이것을 받아 ELCP는, LPCP에 대하여, EventInformation. indication으로 "초기 접속의 통지"를 발행한다.
3. 접속 유지 수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한 노차간-차차간 연계 시스템에서는, 초기 접속 수순의 완료 후, 개별 통신의 상태를 감시하여 접속을 계속하기 위한 접속 유지를 행한다. 이 수순에서는, 상대국에 대하여 요구의 정기적인 송신이 보증되고 있는지를 감시하기 위한 송신 스케줄 감시 타이머(Watchdog Timer for Transmission Schedule : WTTS)와, 상대국으로부터의 요구의 수신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통신 접속 관리 타이머(Connection Timer for Request : CT1)와, 상대국으로부터의 응답의 수신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통신 접속 관리 타이머(Connection Timer for Response : CT2)를 이용한다.
3.1.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도 15는 ASLME에 있어서의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접속 유지 수순의 기본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기지국의 통신 접속 관리 수순
기지국의 ASLME에서는, 초기 접속 수순의 완료시에 이동국마다 WTTS와 CT2를 생성한다. 이때, CT2에는 T2max를, WTTS에는 T1max를 설정한다. 기지국의 ASLME는, 이동국과의 통신 접속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접속 유지 요구 메시지의 송신을 계기로 CT2와 WTTS를 기동한다. 통신 하위층이 재송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접속 유지 요구 메시지는, 재송 타이머와 재송 카운터에 의해 재송의 제어를 행한다.
CT2는, 이것에 대응한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에 정지시킨다. WTTS는, 다음의 접속 유지 요구 메시지를 송신할 때에 재기동시킨다.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고 CT2가 타임아웃 한 경우, 또는 다음의 접속 유지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지 못하고 WTTS가 타임아웃 한 경우에는, 접속 유지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접속 유지 수순을 완료한다.
(2) 이동국의 통신 접속 관리 수순
이동국의 ASLME에서는, 통신 접속시에 CT1을 생성한다. 생성한 CT1에는, 접속 요구 메시지로 수신하는 기지국 프로파일로부터 이동국의 접속 관리 타이머 값을 참조하여, 그 값을 설정하고 기동한다. 이후, CT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유효한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착신의 통지를 받을 때마다, 재기동시킨다. 기지국으로부터의 유효한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착신이 없이 CT1이 타임아웃 한 경우에는, 접속 유지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접속 유지 수순을 완료한다.
3.2.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기지국과 이동국)
도 16은 ASLME에 있어서 기지국과 이동국의 통신에서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의 접속 유지 수순의 기본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이동국의 통신 접속 관리 수순
이동국의 App는, 미리 정한 스케줄에 따라, 차차간 메시지를 생성하고, 주변의 이동국 및 기지국의 App에 브로드캐스트 통신으로 송신한다. 초기 접속 수순의 완료 후, 이동국의 App는, 차차간 메시지의 송신시에, ASLME에 대하여, ASLME-Connection. request에서 변수 requestCode에 "접속 유지 응답 대기"를 지정하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를 기다리도록 요구한다.
이동국의 ASLME는, 초기 접속 수순의 완료시에 CT2를 생성한다. 이때, CT2에는 T2max를 설정한다. 이동국의 ASLME는, 기지국과의 통신 접속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접속 유지 응답 대기의 요구를 계기로 CT2를 기동한다. CT2는, 이것에 대응한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에 정지시킨다.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고 CT2가 타임아웃 한 경우에는, 접속 유지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접속 유지 수순을 완료한다.
(2) 기지국의 통신 접속 관리 수순
기지국의 App는, 초기 접속 수순의 완료 후, 차차간 메시지의 수신시에, ASLME에 대하여, ASLME-Connection. request에서 변수 requestCode에 "접속 유지 응답 송신"을 지정하고, 이동국에 대하여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요구한다.
기지국의 ASLME는, 초기 접속 수순의 완료시에 이동국마다 CT1을 생성한다. 생성한 CT1에는, 접속 요구 메시지로 수신하는 기지국 프로파일로부터 이동국의 접속 관리 타이머 값을 참조하여, 그 값을 설정하고 기동한다.
이후, CT1은, App로부터의 접속 유지 응답의 요구를 받을 때마다, 재기동시킨다. 기지국의 ASLME는, App로부터의 접속 유지 응답의 요구가 없이 CT1이 타임아웃 한 경우에는, 접속 유지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접속 유지 수순을 완료한다.
3.3.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이동국 사이)
도 17은 ASLME에 있어서 이동국 사이의 통신에서 차차간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의 접속 유지 수순의 기본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국끼리의 통신에서는, 서로 차차간 메시지를 송신한다. 양 이동국의 App는, 미리 정한 스케줄에 따라 차차간 메시지를 생성하고, 주변의 이동국 및 기지국의 App에 브로드캐스트 통신으로 송신한다.
초기 접속 수순의 완료 후, 양 이동국의 App는, 차차간 메시지의 수신시에, ASLME에 대하여, ASLME-Connection. request에서 변수 requestCode에 "접속 유지 요구 수신"을 지정하고, 이동국에 대하여 접속 유지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것을 통지한다.
ASLME는, 초기 접속 수순의 완료시에 이동국마다 CT1을 생성한다. 생성한 CT1에는, 접속 요구 메시지로 수신하는 기지국 프로파일로부터 이동국의 접속 관리 타이머 값을 참조하여, 그 값을 설정하고 기동한다.
이후, CT1은, App로부터의 접속 유지 요구 수신의 통지를 받을 때마다, 재기동시킨다. ASLME는, App로부터의 접속 유지 응답 요구의 통지가 없이 CT1이 타임아웃 한 경우에는, 접속 유지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접속 유지 수순을 완료한다.
3.4. 접속 유지 완료 처리
이동국 및 기지국에서는, 해당 이동국에 대한 LPCP의 사용을 종료한다. 또한, ASLME는, App에 대하여, ASLME-Connection. indication으로 "통신 절단의 통지"를 발행한다. 마찬가지로, ASLME는, ELCP에 대하여, ASLME-EventInformation. indication으로 "통신 절단의 통지"를 발행한다. 이것을 받아 ELCP는, LPCP에 대하여, EventInformation. indication으로 "통신 절단의 통지"를 발행한다. 또한, 해당 상대국과의 처리 프로세스 및 CT1을 종료하고, 새로운 접속 통지 또는 브로드캐스트 수신의 대기를 행하도록 한다.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통신 장치 및 노차간-차차간 통신 연계 시스템은, 이상에서 설명한 차차간 통신 서브프로토콜의 사양에 따라 동작한다.
<1-3. 노측 통신 장치(100)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의 동작>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도 18~도 21을 이용하여 노측 통신 장치(100)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의 각 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1-3-1. 기지국에 있어서의 초기 접속의 동작>
노측 통신 장치(100)를 탑재한 기지국에 있어서의 초기 접속의 동작에 대하여,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기지국에 있어서의 초기 접속 수순의 방법을 결정하는 플로차트이다. 노측 통신 장치(100)는, 이후에 나타내는 스텝 S101~스텝 S112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01에 있어서, 노측 통신 관리부(6)는, 초기 접속에 관한 설정 정보를 확인한다. 설정 정보가 "접속 요구 송신"인 경우는, 스텝 S102로 이행한다. 설정 정보가 "접속 요구 수신"인 경우는, 스텝 S107로 이행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노측 통신 관리부(6)는, 통신 전송부(2)에 "접속 요구 메시지"의 데이터 송신 요구를 송신하고, 접속 응답 수신용의 타이머를 기동한다. 통신 전송부(2)는, 주변의 이동국에 브로드캐스트 통신으로 "접속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스텝 1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이동국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통신 전송부(2)가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스텝 S104로 이행한다. 통신 전송부(2)가 "접속 응답 메시지" 이외를 수신한 경우는, 대기를 계속하고, 접속 응답 수신용의 타이머가 타임아웃 하면 스텝 S102로 이행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노측 통신 관리부(6)에 "접속 응답 메시지"의 데이터 착신 통지를 송신한다. 노측 통신 관리부(6)는, 접속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동국의 접속 상황을 확인한다. 접속 상황이 "접속 완료"인 경우는,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는, 스텝 S105로 이행한다.
스텝 S105에 있어서, 노측 통신 관리부(6)는, 통신 전송부(2)에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의 데이터 송신 요구를 송신한다. 통신 전송부(2)는, 지정된 상대국에 대하여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스텝 S106으로 이행한다. 이때, 송신 목적지로서 스텝 S103에서 수신한 "접속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대국을 지정한다.
스텝 S106에 있어서, 초기 접속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초기 접속 처리를 완료한다.
스텝 S107에 있어서,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이동국으로부터의 차차간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고, 차차간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스텝 S108로 이행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에 차차간 메시지의 수신을 통지한다. 송수신 상황 관리부(5)는, 노측 통신 관리부(6)에 "접속 응답 송신"의 접속 처리 요구를 송신한다. 노측 통신 관리부(6)는, 접속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응답 송신"에 포함되는 이동국의 접속 상황을 확인한다. 접속 상황이 "접속 완료"인 경우는,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는, 스텝 S109로 이행한다.
스텝 S109에 있어서, 노측 통신 관리부(6)는, 통신 전송부(2)에 "접속 응답 메시지"의 데이터 송신 요구를 송신한다. 통신 전송부(2)는, 지정된 상대국에 "접속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스텝 S110으로 이행한다. 이때, 송신 목적지로서 스텝 S107에서 수신한 차차간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동국을 지정한다.
스텝 S110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이동국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통신 전송부(2)가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스텝 S111로 이행한다. 통신 전송부(2)가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 이외를 수신한 경우는, 대기를 계속하고, 타임아웃 하면 스텝 S107로 이행한다.
스텝 S111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노측 통신 관리부(6)에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의 데이터 착신 통지를 송신한다. 노측 통신 관리부(6)는, 접속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동국의 접속 상황을 확인한다. 접속 상황이 "접속 완료"인 경우는,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는, 스텝 S112로 이행한다.
스텝 S112에 있어서, 초기 접속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초기 접속 처리를 완료한다.
<1-3-2. 이동국에 있어서의 초기 접속의 동작>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를 탑재한 이동국에 있어서의 초기 접속의 동작에 대하여,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이동국에 있어서의 초기 접속 수순의 방법을 결정하는 플로차트이다.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는, 이후에 나타내는 스텝 S201~스텝 S211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201에 있어서,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차차간 메시지의 송신을 개시하고, 스텝 S202로 이행한다. 이후의 스텝에서는,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주변의 이동국 또는 기지국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트 통신으로 차차간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스텝 S202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이동국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이동국으로부터의 차차간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통신 전송부(2)가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스텝 S203으로 이행한다. 통신 전송부(2)가 "접속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스텝 S207로 이행한다.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차차간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스텝 S206으로 이행한다. "접속 응답 메시지", "접속 요구 메시지", 및 차차간 메시지 이외를 수신한 경우는, 대기를 계속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에 대하여 "접속 응답 메시지"의 데이터 착신 통지를 송신한다.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접속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기지국의 접속 상황을 확인한다. 접속 상황이 "접속 완료"인 경우는,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는, 스텝 S204로 이행한다.
스텝 S204에 있어서,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통신 전송부(2)에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의 데이터 송신 요구를 송신한다. 통신 전송부(2)는, 지정된 상대국에 대하여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스텝 S205로 이행한다. 이때, 송신 목적지로서 스텝 S202에서 수신한 "접속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동국 또는 기지국을 지정한다.
스텝 S205에 있어서, 초기 접속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초기 접속 처리를 완료한다.
스텝 S206에 있어서,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에 차차간 메시지의 수신을 통지한다. 송수신 상황 관리부(5)는,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에 "접속 응답 송신"의 접속 처리 요구를 송신한다.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접속 응답 송신"에 포함되는 이동국의 식별자와 자국의 식별자를 사전식 순서로 비교한다. 자국의 식별자가 작으면, 스텝 S207로 이행한다. 자국의 식별자가 크면, 스텝 S202로 이행한다.
스텝 S207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에 "접속 요구 메시지"의 데이터 착신 통지를 송신한다.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접속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기지국 또는 "접속 응답 송신"에 포함되는 이동국의 접속 상황을 확인한다. 접속 상황이 "접속 완료"인 경우는,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는, 스텝 S208로 이행한다.
스텝 S208에 있어서,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통신 전송부(2)에 "접속 응답 메시지"의 데이터 송신 요구를 송신한다. 통신 전송부(2)는, 지정된 상대국에 "접속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스텝 S209로 이행한다. 이때, 송신 목적지로서, 스텝 S202에서 수신한 차차간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동국, 또는 "접속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기지국을 지정한다.
스텝 S209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이동국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통신 전송부(2)가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스텝 S210으로 이행한다. 통신 전송부(2)가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 이외를 수신한 경우는, 대기를 계속하고, 타임아웃 하면 스텝 S202로 이행한다.
스텝 S210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에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의 데이터 착신 통지를 송신한다.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접속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동국 또는 기지국의 접속 상황을 확인한다. 접속 상황이 "접속 완료"인 경우는, 초기 접속 수순을 완료한다.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는, 스텝 S211로 이행한다.
스텝 S211에 있어서, 초기 접속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초기 접속 처리를 완료한다.
<1-3-3. 초기 접속 완료 처리>
기지국의 노측 통신 관리부(6) 및 이동국의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초기 접속 수순의 마지막에 LPCP를 상대국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하고, 접속 관리 테이블에 "접속 완료"로서 추가한다. 또한, 기지국의 노측 통신 관리부(6) 및 이동국의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에 대하여, "초기 접속"의 접속 통지를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의 노측 통신 관리부(6) 및 이동국의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통신 전송부(2)에 대하여, "초기 접속"의 이벤트 통지를 송신한다.
<1-3-4. 기지국의 접속 유지의 동작>
노측 통신 장치(100)를 탑재한 기지국에 있어서의 접속 유지의 동작에 대하여,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기지국에 있어서의 접속 유지 수순의 방법을 결정하는 플로차트이다. 노측 통신 장치(100)는, 이후에 나타내는 스텝 S301~스텝 S309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301에 있어서, 노측 통신 관리부(6)는, 접속 유지에 관한 설정 정보를 확인한다. 설정 정보가 "접속 유지 요구 송신"인 경우는, 스텝 S302로 이행한다. 설정 정보가 "접속 유지 요구 수신"인 경우는, 스텝 S306으로 이행한다.
스텝 S302에 있어서, 노측 통신 관리부(6)는, 이동국마다 WTTS와 CT2를 생성하고, 스텝 S303으로 이행한다. 이때, CT2에는 T2max를, WTTS에는 T1max를 설정한다.
스텝 S303에 있어서, 노측 통신 관리부(6)는, 통신 전송부(2)에 "접속 유지 요구 메시지"의 데이터 송신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노측 통신 관리부(6)는, CT2와 WTTS를 기동한다. 이때, 이미 WTTS가 기동중이면 재기동한다. 또한, WTTS가 기동중이고 재기동 전에 타임아웃 한 경우는, 스텝 309로 이행한다. 통신 하위층이 재송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접속 유지 요구 메시지는, 재송 타이머와 재송 카운터에 의해 재송의 제어를 행한다. 통신 전송부(2)는, 상대국에 "접속 유지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스텝 S304로 이행한다.
스텝 S304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이동국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통신 전송부(2)가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스텝 S305로 이행한다. 통신 전송부(2)가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 이외를 수신한 경우는, 대기를 계속하고, CT2가 타임아웃 하면 스텝 S309로 이행한다.
스텝 S305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노측 통신 관리부(6)에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의 데이터 착신 통지를 송신한다. 노측 통신 관리부(6)는, CT2를 정지하고 스텝 S303으로 이행한다.
스텝 S306에 있어서, 노측 통신 관리부(6)는, 이동국마다 CT1을 생성ㆍ기동하고, 스텝 S307로 이행한다. 이때, CT1에는 T1max를 설정한다.
스텝 S307에 있어서,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이동국으로부터의 차차간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차차간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스텝 S308로 이행한다.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차차간 메시지 이외를 수신한 경우는, 대기를 계속하고, CT1이 타임아웃 하면 스텝 S309로 이행한다.
스텝 S308에 있어서,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에 차차간 메시지의 수신을 통지한다. 송수신 상황 관리부(5)는, 노측 통신 관리부(6)에 "접속 유지 응답 송신"의 접속 처리 요구를 송신한다. 노측 통신 관리부(6)는, 통신 전송부(2)에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의 데이터 송신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노측 통신 관리부(6)는, CT1을 재기동한다. 통신 전송부(2)는, 지정된 상대국에 "접속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스텝 S307로 이행한다. 이때, 송신 목적지로서, 스텝 S307에서 수신한 차차간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동국을 지정한다.
스텝 S309에 있어서, 접속 유지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초기 접속 처리를 완료한다.
<1-3-5. 이동국의 통신 접속 관리 처리>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를 탑재한 이동국에 있어서의 접속 유지의 동작에 대하여,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이동국에 있어서의 접속 유지 수순의 방법을 결정하는 플로차트이다.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는, 이후에 나타내는 스텝 S401~스텝 S413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401에 있어서,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차차간 메시지의 송신을 개시하고, 스텝 S402로 이행한다. 이후의 스텝에서는,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주변의 이동국 또는 기지국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트 통신으로 차차간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스텝 S402에 있어서,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접속 유지에 관한 설정 정보를 확인한다. 설정 정보가 "접속 유지 요구 송신"인 경우는, 스텝 S403으로 이행한다. 설정 정보가 "접속 유지 요구 수신"인 경우는, 스텝 S407로 이행한다. 설정 정보가 "차차간 송수신"인 경우는, 스텝 410으로 이행한다.
스텝 S403에 있어서,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기지국마다 CT2를 생성하고, 스텝 S404로 이행한다. 이때, CT2에는 T2max를 설정한다.
스텝 S404에 있어서,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차차간 메시지의 송신 후,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에 "접속 유지 응답 수신"의 접속 처리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CT2를 기동한다. 통신 하위층이 재송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는, 접속 유지 요구 메시지는, 재송 타이머와 재송 카운터에 의해 재송의 제어를 행한다. 스텝 S404의 처리 후, 스텝 S405로 이행한다.
스텝 S405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통신 전송부(2)가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스텝 S406으로 이행한다. 통신 전송부(2)가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 이외를 수신한 경우는, 대기를 계속하고, CT2가 타임아웃 하면 스텝 S413으로 이행한다.
스텝 S406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에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의 데이터 착신 통지를 송신한다.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CT2를 정지하고, 스텝 S404로 이행한다.
스텝 S407에 있어서,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기지국마다 CT1을 생성ㆍ기동하고, 스텝 S408로 이행한다. 이때, CT1에는 T1max를 설정한다.
스텝 S408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통신 전송부(2)가 접속 유지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는, 스텝 S409로 이행한다. 통신 전송부(2)가 접속 유지 요구 메시지 이외를 수신한 경우는, 대기를 계속하고, CT1이 타임아웃 하면 스텝 S413으로 이행한다.
스텝 S409에 있어서, 통신 전송부(2)는,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에 "접속 유지 요구 메시지"의 데이터 착신 통지를 송신한다.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통신 전송부(2)에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의 데이터 송신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CT1을 재기동한다. 통신 전송부(2)는, 지정된 상대국에 "접속 유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고, 스텝 S408로 이행한다. 이때, 송신 목적지로서, 스텝 S408에서 수신한 접속 유지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는 기지국을 지정한다.
스텝 S410에 있어서,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이동국마다 CT1을 생성ㆍ기동하고, 스텝 S411로 이행한다. 이때, CT1에는 T1max를 설정한다.
스텝 S411에 있어서,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이동국으로부터의 차차간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차차간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스텝 S412로 이행한다.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차차간 메시지 이외를 수신한 경우는, 대기를 계속하고, CT1이 타임아웃 한 경우는 스텝 S413으로 이행한다.
스텝 S412에 있어서,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에 차차간 메시지의 수신을 통지한다. 송수신 상황 관리부(5)는,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에 "차차간 메시지 수신"의 접속 처리 통지를 송신한다.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CT1을 재기동하고, 스텝 S411로 이행한다. 이때, 송신 목적지로서, 스텝 S411에서 수신한 차차간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동국을 지정한다.
스텝 S413에 있어서, 접속 유지 완료 처리를 실시하고, 초기 접속 처리를 완료한다.
<1-3-6. 접속 유지 완료 처리>
기지국의 노측 통신 관리부(6) 및 이동국의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접속 유지 수순의 마지막에 LPCP의 사용을 정지 상태로 하고, 접속 관리 테이블을 "미접속"으로 갱신한다. 또한, 기지국의 노측 통신 관리부(6) 및 이동국의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에 대하여, "통신 절단"의 접속 통지를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의 노측 통신 관리부(6) 및 이동국의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통신 전송부(2)에 대하여, "통신 절단"의 이벤트 통지를 송신한다.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노측 통신 장치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는, 이상에서 설명한 차차간 통신 서브프로토콜의 사양에 따라 동작한다.
<1-4. 효과>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노측 통신 장치(100)는,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 및 송수신 상황 관리부(5)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차차간 메시지의 수신 상황을 노측 통신 관리부(6)에 제공하고, 노측 통신 관리부(6)가 차차간 메시지의 수신 상황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초기 접속을 개시할 때 또는 접속 상태를 유지할 때에 필요한 노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횟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노차간 통신에 있어서의 트래픽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는,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 및 송수신 상황 관리부(5)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차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상황을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에 제공하고,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가 차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상황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초기 접속을 개시할 때 또는 접속 상태를 유지할 때에 필요한 노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횟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노차간 통신에 있어서의 트래픽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5. 변형예>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에서 설명한 이외의 프로토콜로 메시지를 교환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상기에서는, 초기 접속 때에 접속 요구 메시지, 접속 응답 메시지, 및 접속 응답 확인 메시지를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접속 요구 메시지, 접속 응답 메시지만으로 초기 접속하더라도 좋다.
통신 전송부(2)에서는,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트랜잭션 관리부(로컬 포트 프로토콜)와, 전송 서비스 처리(로컬 포트 제어 프로토콜)를 사용하는 계층 구조를 나타냈지만, 로컬 포트 프로토콜 또는 로컬 포트 제어 프로토콜 대신에 다른 쌍방향으로 통신 가능한 프로토콜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미국에서 검토되고 있는 프로토콜 IEEE 1609.3, 혹은 유럽의 CALM(Communications Architecture for Land Mobile environment)에서 검토되고 있는 프로토콜 FAST 또는 Geo-Routing 등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노측 통신 관리부(6) 및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 및 통신 전송부(2)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나타냈지만, IEEE 1609.3에서 검토되고 있는 관리부 WME(WAVE Management Entity) 또는 CALM에서 검토되고 있는 관리부 CME(CALM Management Entity)도 노측 통신 관리부(6) 및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와 동일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노측 통신 관리부(6) 및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를 WME 또는 CME에 포함시키는 구성, 혹은 WME 또는 CME를 노측 통신 관리부(6) 및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에 포함시키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여기서, WAVE는, 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의 약자이다. 여기서 말한 구성에 의해, 노측 통신 관리부(6) 및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는, WME나 CME의 인터페이스에 통합하더라도 좋다.
또한,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나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ITS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 실시의 형태를 자유롭게 조합하거나, 각 실시의 형태를 적당히, 변형,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태양에 있어서 예시이고, 본 발명이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1 :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
2 : 통신 전송부
3 :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
4 :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
5 : 송수신 상황 관리부
6 : 노측 통신 관리부
7 :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
100 : 노측 통신 장치
200 : 차량탑재 통신 장치

Claims (8)

  1. 기지국에 탑재되고, 이동국에 탑재된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노측 통신 장치(100)로서,
    상기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노차간 통신(roadside-to-vehicle communication)의 프로토콜에 근거한 노차간 메시지, 및 차차간 통신(inter-vehicle communication)의 프로토콜에 근거한 차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와,
    상기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를 통해서 상기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상기 노차간 메시지의 재송, 분할, 및 조립을 포함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 서비스와, 상위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로컬 포트 번호를 부가하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전송부(2)와,
    상기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 및 상기 통신 전송부(2)를 통해서 상기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상기 노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와,
    상기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를 통해서 상기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차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와,
    상기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상기 통신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상기 차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상황을 관리하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와,
    상기 통신 장치(200)와의 접속 상황을 관리하는 노측 통신 관리부(6)
    를 구비하고,
    상기 노측 통신 관리부(6)는, 상기 송수신 상황 관리부(5)로부터 통지된 상기 차차간 메시지의 수신 상황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 장치(200)와의 접속 상태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측 통신 관리부(6)는, 상기 통신 장치(200)로부터 상기 차차간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 장치(200)와의 접속 상황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측 통신 관리부(6)는, 상기 통신 장치(200)와의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200)와의 접속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통신 장치.
  4. 이동국에 탑재되고, 기지국 또는 다른 이동국에 탑재된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탑재 통신 장치(200)로서,
    상기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노차간 통신의 프로토콜에 근거한 노차간 메시지, 및 차차간 통신의 프로토콜에 근거한 차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와,
    상기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를 통해서 상기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상기 노차간 메시지의 재송, 분할, 및 조립을 포함하는 트랜잭션 서비스와, 상위 프로토콜을 식별하기 위한 로컬 포트 번호를 부가하는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전송부(2)와,
    상기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 및 상기 통신 전송부(2)를 통해서 상기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상기 노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노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3)와,
    상기 차차간 송수신 서비스 처리부(1)를 통해서 상기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차차간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와,
    상기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가 상기 통신 장치(100, 20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상기 차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상황을 관리하는 송수신 상황 관리부(5)와,
    상기 통신 장치(100, 200)와의 접속 상황을 관리하는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
    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상기 송수신 상황 관리부(5)로부터 통지된 상기 차차간 메시지의 송수신 상황을 이용하여 접속 상태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 통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상기 통신 장치(100, 200)로부터 해당 통신 장치(100, 200)와의 접속을 요구하는 상기 노차간 메시지 또는 상기 차차간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 장치(100, 200)와의 접속 상황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 통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탑재 통신 관리부(7)는, 상기 통신 장치(100, 200)와의 접속 상황이 미접속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100, 200)와의 접속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 통신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상기 통신 장치(100, 200)와의 접속을 요구하는 상기 차차간 메시지를 상기 통신 장치(100, 20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 통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차간 애플리케이션 처리부(4)는, 상기 차차간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통신으로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 통신 장치.
KR1020197007459A 2016-09-21 2016-09-21 노측 통신 장치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 KR102225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7780 WO2018055685A1 (ja) 2016-09-21 2016-09-21 路側通信装置および車載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569A true KR20190039569A (ko) 2019-04-12
KR102225723B1 KR102225723B1 (ko) 2021-03-09

Family

ID=5901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459A KR102225723B1 (ko) 2016-09-21 2016-09-21 노측 통신 장치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63332B2 (ko)
EP (1) EP3518607B1 (ko)
JP (1) JP6141564B1 (ko)
KR (1) KR102225723B1 (ko)
CN (1) CN109716801B (ko)
CA (1) CA3033714C (ko)
WO (1) WO2018055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674B1 (ko) * 2017-10-31 2019-08-23 (주)이씨스 안테나의 mac id를 이용한 차선 식별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9075A1 (ja) 2003-10-15 2005-04-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路車間通信システム
JP4999989B2 (ja) 2008-04-30 2012-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通信装置および路車間−車々間通信連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3820C (zh) 2003-10-08 2008-03-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道路-车辆通信系统以及用于其中的路边设备和移动设备
EP1564937B1 (en) * 2004-02-13 2012-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adcast method in a WPAN network
JP4765917B2 (ja) * 2005-12-08 2011-09-07 三菱電機株式会社 Dsrc無線装置および車載器
CN102272809B (zh) * 2009-04-07 2014-10-08 三菱电机株式会社 车载短程无线通信装置及路车间短程无线通信系统
JP4588800B2 (ja) * 2010-01-21 2010-12-0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WO2011152572A1 (ko) * 2010-05-31 2011-12-08 주식회사 에이티엔 단거리전용무선통신과 차량간 통신이 가능한 겸용 통신 무선단말장치
JP5821426B2 (ja) 2011-08-31 2015-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接近報知装置および安全杖
WO2014072933A1 (en) * 2012-11-07 2014-05-15 Universidade Do Porto Probabilistic key distribution in vehicular networks with infrastructure support
US9769658B2 (en) * 2013-06-23 2017-09-19 Shlomi Dolev Certificating vehicle public key with vehicle attributes
JP2015115869A (ja) * 2013-12-13 2015-06-2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路側通信機、処理装置、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809953B (zh) * 2014-12-27 2018-07-10 吉林大学 一种基于m2m的城市交通流车路协同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9075A1 (ja) 2003-10-15 2005-04-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路車間通信システム
KR20060095868A (ko) * 2003-10-15 2006-09-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노차간 통신 시스템
JP4999989B2 (ja) 2008-04-30 2012-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通信装置および路車間−車々間通信連携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 "협역 통신(DSRC) 애플리케이션 서브레이어 표준규격 ARIB STD-T88 1.1판", 사단법인 전파산업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33714A1 (en) 2018-03-29
WO2018055685A1 (ja) 2018-03-29
CA3033714C (en) 2021-04-27
EP3518607B1 (en) 2021-08-04
CN109716801A (zh) 2019-05-03
US20190215669A1 (en) 2019-07-11
EP3518607A1 (en) 2019-07-31
US10863332B2 (en) 2020-12-08
JPWO2018055685A1 (ja) 2018-09-20
CN109716801B (zh) 2021-10-19
EP3518607A4 (en) 2019-07-31
KR102225723B1 (ko) 2021-03-09
JP6141564B1 (ja)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91146B (zh) 资源碰撞解决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4999989B2 (ja) 車載通信装置および路車間−車々間通信連携システム
EP3136687B1 (en) Method, vehicle-mounted terminal, and base station for processing message
CN103873177B (zh) 基于车载网络的安全信息传输方法
KR20180048640A (ko) V2x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0831213B (zh) 一种资源调度方法、终端及网络设备
JP497842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コネクション識別子の割当て方法
CN112335280A (zh) 一种无线承载的配置方法、装置及系统
KR20190090015A (ko) V2x 통신 장치 및 그의 데이터 통신 방법
AU2018279551B2 (en) Ser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02065371A (zh) 未获取分量载波的系统消息的处理方法及装置
JP2004530355A (ja) セルラ・サービス圏外地域に存在するローカル・クライアントによって形成される仮想連携ネットワーク
KR20190039569A (ko) 노측 통신 장치 및 차량탑재 통신 장치
JPWO2009147959A1 (ja) 車々間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KR100418199B1 (ko) 단거리 전용 고속 무선 통신 기반의 차량 탑재 장치
KR20190128452A (ko) 긴급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US201300220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broadcasting service in a system that supports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s
KR20030050579A (ko) 단거리 전용 고속 무선 통신 기반의 노변 기지국 시스템
JP7209614B2 (ja) 路側無線機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3395298B (zh) 用于车载通讯的信息集和信息传递方法
US20230080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emergency related data using blockchain
JP2002352387A (ja) 無線通信を用いた配車要求システム
US20210345220A1 (en) Relay for convergence between multi-hop geographical routing and cellular routing
EP4068819A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7917174A (zh) 管理侧行链路中继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