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810A -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810A
KR20190038810A KR1020197002372A KR20197002372A KR20190038810A KR 20190038810 A KR20190038810 A KR 20190038810A KR 1020197002372 A KR1020197002372 A KR 1020197002372A KR 20197002372 A KR20197002372 A KR 20197002372A KR 20190038810 A KR20190038810 A KR 20190038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ide plate
guiding
foldin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2968B1 (ko
Inventor
요하네스 헨드리커스 메겐스
Original Assignee
롤플렉스 엑스플로이타티에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플렉스 엑스플로이타티에 비.브이. filed Critical 롤플렉스 엑스플로이타티에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90038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06B3/483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folding upward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lding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slid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5Sectional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69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zig-zag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7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stacked configu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2015/26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the wings being successively fold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는, 한 쌍의 대향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 - 이들 사이에서 도어 개방부를 규정하고, 각 가이드 수단은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을 포함함 - 및 상기 지지 및 가이드 수단을 따르는 수직적인 이동을 접기 위해 구성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직사각형 패널들을 포함하는 도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각 측면에서 접힘 이동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제1 패널 및 제3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힘 이동 제어 부재 상부 단부를 각각 가지며, 각자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에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힌지 축을 중심으로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하부 단부를 가지고,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는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을 더 포함하고,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로 상기 제2 패널에 부착된 측면 플레이트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이 연장한다.

Description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본 발명은:
한 쌍의 대향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side) 지지 및 가이드 수단 - 이들 사이에서 도어 개방부(door opening)를 규정하고, 각 가이드 수단은 나란히(side-by-side) 배치되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도어 개방부의 높이를 수직으로 연장하는 메인 제1 채널 섹션을 가지고, 상기 제2 채널은 수직으로 연장하는 메인 제2 채널 섹션과,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상단에서 만곡된(curved) 제2 채널 섹션을 가지고, 상기 만곡된 제2 채널 섹션은 상기 메인 제2 채널 섹션에 연결됨 -; 및
복수의 직사각형 패널들 - 상기 패널들이 동일 평면에 있고 상기 도어 개방부를 닫기 위해 수직으로 정렬된 닫힌 위치로부터 상기 도어 개방부를 통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접근 위치까지 상기 지지 및 가이드 수단을 따르는 수직적인 이동을 접기 위해 구성되고, 접근 위치에서 상기 패널들은 상기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상단에서 수평의 위치로 접히고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단에 수평으로 적층되고, 각 패널은 수평 상부 에지, 수평 하부 에지 및 2개의 측면 에지들을 가짐 -을 포함하는 도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컴포넌트는 상기 복수의 패널들 중 인접한 패널들의 수평 에지들을 아코디언(accordion) 방식으로 함께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힌지 수단들을 더 포함하고, 각 힌지 수단은 수평 힌지 축(hinge axis)을 규정하고, 상기 닫힌 위치에서 상기 패널들은 상기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의 대향하는 제1 채널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복수의 패널들은 적어도 제1 패널과 상기 제1 패널에 수평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제2 패널을 적어도 포함하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와 관련된다.
이러한 이러한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는 예컨대, WO-A-96/09457에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지된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는 한 쌍의 대향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 - 이들 사이에 도어 개방부를 규정함 -을 포함한다. 각각의 가이드 수단은 메인 트랙 및 메인 트랙의 상단에서 메인 트랙으로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측면 트랙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지된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는 복수의 패널들을 포함하는 도어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패널들 중 일부는 패널들의 측면 에지들에 고정되어 연결된 가이딩 핀들을 포함하며, 가이딩 핀들은 각자의 트랙들로 연장된다. 특히, 메인 트랙에서 분기된 측면 트랙들은 패널들의 접힘 이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공지된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는 적절하게 기능하지만, 올바른 접힘을 제공하기 위해 도어 개방부의 일 측면에서 메인 트랙 및 측면 트랙들이 도어 개방부의 다른 측면에서의 메인 트랙 및 측면 트랙들과 정확하게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트랙들의 매우 정확한 장착을 요구한다. 또한, 상당한 높이의, 즉, 비교적 많은 수의 패널들을 갖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를 위해서는, 대응하는 많은 수의 메인 및 측면 트랙들이 요구되며, 이는 트랙들을 장착하기 위해 비교적 넓은 영역을 요구한다. 또한, 공지된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에서는, 상부 위치의 패널들이 충분하게 지지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로서 패널들에는 새깅(sagging)이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패널들의 접힘 이동이 대안적인 방식으로 실현되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적절한 기능을 위해 대향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 - 이들 사이의 도어 개방부가 규정됨 -의 오정렬에 덜 민감한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패널들에 대해 감소된 수의 채널들이 요구되도록 하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상부 위치에서 충분하게 지지되고 새깅이 일어나지 않거나 더 적게 일어나며 따라서 더 무거운 패널들이 사용될 수 있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음의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는:
한 쌍의 대향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side) 지지 및 가이드 수단 - 이들 사이에서 도어 개방부(door opening)를 규정하고, 각 가이드 수단은 나란히(side-by-side) 배치되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도어 개방부의 높이를 수직으로 연장하는 메인 제1 채널 섹션을 가지고, 상기 제2 채널은 수직으로 연장하는 메인 제2 채널 섹션과, 상기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상단에서 만곡된(curved) 제2 채널 섹션을 가지고, 상기 만곡된 제2 채널 섹션은 상기 메인 제2 채널 섹션에 연결됨 -; 및
복수의 직사각형 패널들 - 상기 패널들이 동일 평면에 있고 상기 도어 개방부를 닫기 위해 수직으로 정렬된 닫힌 위치로부터 상기 도어 개방부를 통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접근 위치까지 상기 지지 및 가이드 수단을 따르는 수직적인 이동을 접기 위해 구성되고, 접근 위치에서 상기 패널들은 상기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상단에서 수평의 위치로 접히고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단에 수평으로 적층되고, 각 패널은 수평 상부 에지, 수평 하부 에지 및 2개의 측면 에지들을 가짐 -을 포함하는 도어 컴포넌트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컴포넌트는 상기 복수의 패널들 중 인접한 패널들의 수평 에지들을 아코디언(accordion) 방식으로 함께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힌지 수단들을 더 포함하고, 각 힌지 수단은 수평 힌지 축(hinge axis)을 규정하고, 상기 닫힌 위치에서 상기 패널들은 상기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의 대향하는 제1 채널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복수의 패널들은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패널에 수평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제2 패널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만곡된 제2 채널 섹션에 연결되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2 채널 단부 섹션을 가지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도어 개방부의 높이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패널에는 상기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 내에서 상기 제1 패널을 가이드하고 지지하기 위한, 상기 제1 패널의 측면 에지들의 각각에서 상단 부근에 있고 상기 제1 패널로부터 각자의 제2 채널로 연장하는 제1 가이딩 핀과 같은, 디바이스가 마련되고, 가이드 및 지지를 위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도어 컴포넌트의 하부 패널들의 접힘 이동을 시작하는 동작을 위해 더 배치되고;
상기 제2 패널에는 그 측면 에지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2 패널의 각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에지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패널의 각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에지의 연장부를 넘어 연장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상단부(top end) 및 반대측의 제2 측면 플레이트 단부를 갖고, 각각의 제1 측면 플레이트 단부에는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이 마련되고, 각각의 반대측의 제2 측면 플레이트 단부에는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이 마련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은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수단의 수평 힌지 축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축인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제2 패널에는 그 측면 에지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2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2 패널의 각 가이드 플레이트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upper end) 및 반대측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를 갖고, 각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에는 상기 제2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채널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가이딩 핀이 마련되고, 각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에는 제3 가이딩 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제2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채널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가이딩 핀이 마련되고,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각 측면에서 접힘 이동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제1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힘 이동 제어 부재 상부 단부와, 각자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에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힌지 축을 중심으로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하부 단부를 가지고,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는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을 더 포함하고,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로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은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과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연결하는 각자의 힌지 수단의 수평 힌지 축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형 세그먼트의 형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진다. 본 발명의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에 의해, 특히, 패널들에 연결된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들에 의해, 패널들의 접힘 움직임을 제어하는 컴포넌트들은 이제, WO-A-96/09457에서 공지된 것처럼 한 쌍의 대향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에 연결되는 대신에, 패널들에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들에 의해, 접힘 이동은 대향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의 정렬에 덜 민감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환경의 영향에 덜 민감하게 된다. 또한, 측면 플레이트들 및 가이드 플레이트들과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들이 연장하는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의 조합은, WO-A-96/09457에서 공지된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에 비해, 더 무거운 패널들이 패널들의 후방으로의 틸팅의 위험과 이로 인한 접힘 이동의 방해 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 패널을 위한 지지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화성 패널들 또는 심지어는 유리 패널들을 갖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이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로 연장하기 때문에, 채널은 가이딩 핀을 둘러싸고, 이에 따라, 도어 컴포넌트의 닫힌 위치에서 패널들을 위한 잠금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잠금 기능에 의해, 예컨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일례로, 돌풍에 의한, 부적절한 패널들의 접힘이나 도어 컴포넌트의 원치 않는 개방이 방지된다. 추가로, 잠금 동작 및 접힘의 타이밍은 그 중에서도 접힘 이동 제어 부재의 각자의 가이드 플레이트로의 힌지 가능한 연결에 의해 결정되므로, 잠금 동작 및 접힘의 타이밍은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힌지 축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접힘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잠금 기능은 제2 가이딩 핀이 측면 플레이트 내에 마련된 제2 가이딩 핀 슬롯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잠금 스프링이 마련되며, 그 일단부는 측면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부착되고 타단부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단부에 부착되되, 특히, 제2 가이딩 핀에 부착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개선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잠금 스프링은,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이 해제되고 접힘이 계속될 수 있도록 패널들이 상승되고 잠금 스프링이 가압될 때까지,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이 잠금 위치에서 머물도록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를 하방으로 밀어 낸다. 적어도 하나의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은 도어 컴포넌트의 닫힌 위치로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을 수용하고 잠그기 위해 자신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하부 단부 부근의 자신의 단부에서 확장부(widening) 및/또는 가이딩 표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 도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2 패널과 수평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제3 패널과, 상기 제3 패널과 수평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제4 패널을 더 포함하고, 제4 패널에는 그 측면 에지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4 패널의 각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에지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4 패널의 각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에지의 연장부를 넘어 연장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상단부 및 반대측의 제2 측면 플레이트 단부를 갖고, 각각의 제1 측면 플레이트 단부에는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이 마련되고, 각각의 반대측의 제2 측면 플레이트 단부에는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이 마련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은 상기 제3 패널 및 제4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수단의 수평 힌지 축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축인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제4 패널에는 그 측면 에지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4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4 패널의 각 가이드 플레이트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 및 반대측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를 갖고, 각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에는 상기 제4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채널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4 가이딩 핀이 마련되고, 각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에는 제5 가이딩 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제4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채널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5 가이딩 핀이 마련되고,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3 패널 및 제4 패널의 각 측면에서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제3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 상부 단부와, 각자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에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힌지 축을 중심으로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하부 단부를 가지고, 각각의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는 제2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을 더 포함하고, 제2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로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이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은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과 상기 제3 패널 및 제4 패널을 연결하는 각자의 힌지 수단의 수평 힌지 축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형 세그먼트의 형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3 및 제4 패널의 접힘 이동은 제1 및 제2 패널의 접힘 이동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효하게 된다. 또한, 제 2 및 제 3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수단의 결과로서, 닫힌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의 도어 컴포넌트의 접힘 이동은 제 1 패널이 그 수평 위치로 접혀진 후에만 제 2 패널 및 제 3 패널 간의 접힘 이동이 시작되고, 제 2 패널이 그 수평 위치로 접혀진 후에만 제 3 패널 및 제 4 패널 간의 접힘 이동이 개시되도록 이루어진다. 도어 컴포넌트가 제 5 및 제 6 패널이나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에, 이들은 각각 제 3 및 제 4 패널과 동일하게 구성된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어 컴포넌트가 고르지 않은 개수의 패널들을 포함하는 경우, 힌지 수단에 의해 제 1 패널에 연결되는 하나의 패널 (바람직하게는, 상단 패널)은, 예컨대, 하나의 추가 채널만을 요구하는 WO-A-96/09457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되고 가이드될 수 있다.
올바른 접힘 이동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이 상기 각자의 제2 가이딩 핀과 동일한 높이에서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이 상기 제4 가이딩 핀과 동일한 높이에서 위치될 때, 쉽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딩 핀과 상기 제3 가이딩 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패널의 수직 높이의 50~7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패널의 수직 높이의 약 60%이고, 상기 제4 가이딩 핀과 상기 제5 가이딩 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4 패널의 수직 높이의 50~7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 패널의 수직 높이의 약 60%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수명(life span)에 걸쳐 적절한 접힘 이동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비교적 큰 중량을 갖는 패널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 상부 단부는 슬라이딩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의 각각의 측면 에지에는 종방향(longitudinal) 슬롯이 마련되고 이를 통해 각자의 슬라이딩 핀이 연장하고, 각각의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 상부 단부는 제2 슬라이딩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패널의 각각의 측면 에지에는 제2 종방향 슬롯이 마련되고 이를 통해 각자의 제2 슬라이딩 핀이 연장한다. 이는 도어 컴포넌트의 접근 위치에서 각자의 패널의 올바른 수평 위치를 보장한다. 예컨대, 내화성 패널들 또는 유리 패널들이 사용되는 경우에, 각각의 종방향 슬롯이 제1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부착된 제1 패널 측면 플레이트 내에 마련되고 각각의 제2 종방향 슬롯이 제3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부착된 제3 패널 측면 플레이트 내에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게 될 수 있고, 따라서, 패널들 자체에는 슬롯들이 마련될 필요가 없게 된다.
패널들이 수평 위치로 접혀졌을 때 패널들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한 쌍의 대향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스터드들 또는 지지 슬롯들과 같은, 지지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에지의 연장부를 넘어 연장하는 상기 제2 패널의 각각의 제1 측면 플레이트 상단부는 제1 경사진 표면을 가지고, 또는/추가적으로,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에지의 연장부를 넘어 연장하는 상기 제4 패널의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 상단부는 제2 경사진 표면을 가지고, 각각의 제1 및 제2 경사진 표면은 상기 도어 컴포넌트의 접근 위치에서 각자의 지지 부재들에 의해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제2, 제3, 제4 또는 제5 가이드 핀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그 단부에서 디스크 형상의 연장부, 바람직하게는, 롤러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는 한 쌍의 대향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 - 이들 사이에서 도어 개방부를 규정하고, 각 가이드 수단은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을 포함함 - 및 상기 지지 및 가이드 수단을 따르는 수직적인 이동을 접기 위해 구성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직사각형 패널들을 포함하는 도어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제공되고, 상기 도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각 측면에서 접힘 이동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제1 패널 및 제3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힘 이동 제어 부재 상부 단부를 각각 가지며, 각자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에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힌지 축을 중심으로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하부 단부를 가지고,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는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을 더 포함하고,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로 상기 제2 패널에 부착된 측면 플레이트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이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은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과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연결하는 각자의 힌지 수단의 수평 힌지 축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형 세그먼트의 형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진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는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닫힌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투시도로 나타낸다;
도 1b는 도 1a의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가이드 수단의 상단 부분을 개략적으로 투시도로 나타내고, 특히, 제1 채널과 만곡된 제2 채널 섹션에 연결되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2 채널 단부 섹션을 갖는 제2 채널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2a, 2b 및 2c는 상단 3개의 패널들이 수평 위치로 접힌 위치에서 도 1a에 따른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투시도와, 우측으로부터의 측면도와, 좌측으로부터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a 및 3b는 도 2에 따른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특히, 수평 위치로 접힌 (가이드 수단이 없는) 제1 및 제2 패널을 나타내고, 투시도와, 좌측으로부터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a는 도 1a의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제3 및 제4 패널을 투시도로 나타낸다;
도 4b 및 도 4c는 제2 패널이 수평 위치 쪽으로 접히고 있는 위치에서 도 1a의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제3 및 제4 패널을 나타내고, 우측으로부터의 측면도와, 좌측에서 본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d는 제2 패널이 자신의 수평 위치에 위치된 위치에서 도 1a의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제3 및 제4 패널을 좌측으로부터의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5a 및 5b는 도 1a의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측면도와, 상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a 및 6b는 도 1a의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제2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측면도와, 상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7a 및 7b는 도 1a의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제2 패널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측면도와, 상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8은 도 1a의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제1 및 제3 패널 측면 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상면도로 나타낸다;
도 9a 내지 도 9e는, 도어 컴포넌트에는 잠금 스프링들이 마련되고, 닫힌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 컴포넌트를 접는 제1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a에서, 닫힌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투시도로 나타낸다.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1)는 한 쌍의 대향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2 및 3)(여기에서는 좌측 지지 및 가이드 수단(2) 및 우측 지지 및 가이드 수단(3)으로 또한 명명됨)을 포함하고, 지지 및 가이드 수단(2, 3)은 그 사이에서 벽부(4A) 내의 도어 개방부(4)를 규정한다.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1)는 도 1a에서 도시된 패널들(6 내지 10')이 동일 평면에 있고 도어 개방부(4)를 닫기 위해 수직으로 정렬된 닫힌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부(4)를 통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접근 위치까지 지지 및 가이드 수단(2, 3)을 따르는 수직적인 이동을 접기 위해 구성되는 복수의 직사각형 패널들(6, 7, 8, 9, 10, 10')을 포함하는 도어 컴포넌트(5)를 더 포함한다. 접근 위치에 있어서, 패널들(6 내지 10')은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1)의 상단에서 모두 수평 위치로 접히고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단에 수평으로 적층된다(모든 패널들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2a에서 패널들(6, 7 및 8)이 도시됨). 도면에서 도어 개방부(4)를 보다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패널들(6 내지 9, 10')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도어 개방부(4)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실제로 패널들(6 내지 9, 10')은 패널(10)에 대해 나타낸 것처럼, 닫힌 위치에서 패널들(6 내지10')은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2, 3)의 대향하는 제1 채널들(11)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도어 개방부(4)의 폭을 가로질러 완전하게 연장하는 폭을 가지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동일한 이유로, 도어 패널들은 도면들에서 도어 어셈블리(1)의 구성요소들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다른 도면들에서도 축소된 폭을 가지고 도시되었다.
좌측 지지 및 가이드 수단(2)에 대해 도 1b에서 도시된 것처럼, 지지 및 가이드 수단(2)은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채널(11) 및 제2 채널(12)을 포함한다. 제1 채널(11)은 도어 개방부(4)의 높이를 수직으로 연장하는 메인 제1 채널 섹션(11A)을 포함한다. 제2 채널(12)은 수직으로 연장하는 메인 제2 채널 섹션(12A)과,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1)의 상단에서 만곡된(curved) 제2 채널 섹션(12B)을 가진다. 만곡된 제2 채널 섹션(12B)은 메인 제2 채널 섹션(12A)에 연결된다. 제 2 채널(12)은 만곡된 제2 채널 섹션(12B)에 연결되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2 채널 단부 섹션(12C)을 더 가진다. 도 1a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2 채널(12)은 도어 개방부(4)의 높이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장한다. 우측 지지 및 가이드 수단 (3)은 유사하게 구성되지만, 좌측 지지 및 가이드 수단(2)에 대해 거울형이라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도어 컴포넌트(5)의 각각의 패널(6 내지 10')은 수평 상부 에지(6A 내지 10'A), 수평 하부 에지(6B 내지 10'B) 및 2개의 측면 에지들 - 이들 중에서 좌측의 것들(즉, 좌측 지지 및 가이드 수단(2)에 가까운 측면들)은 문자 C에 의해 나타내어지고(도 2a에서는 6C만이 도시됨), 우측의 것들(즉, 좌측 지지 및 가이드 수단(2)에 가까운 측면들)은 문자 D에 의해 나타내어지고(도 2a에서는 6D만이 도시됨) -을 가진다.
도어 컴포넌트(5)는 복수의 패널들(6 내지 10') 중 인접한 패널들의 수평 에지들을 아코디언(accordion) 방식으로 함께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힌지 수단(13)을 더 포함한다. 각 힌지 수단(13)은 각자의 수평 힌지 축(hinge axis)(13A)을 규정한다.
도 1a에서 도시된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1)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패널들은 제1 패널(6) 및 제1 패널(6)에 각자의 수평 힌지 수단(13)을 통해 연결되는 제2 패널(7)을 적어도 포함한다. 도어 컴포넌트(5)는 제2 패널(7)과 각자의 수평 힌지 수단(13)을 통해 연결되는 제3 패널(8)과, 제3 패널(7)과 각자의 수평 힌지 수단(13)을 통해 연결되는 제4 패널(9)을 더 포함한다. 도어 컴포넌트(5)는 제4 패널(9)과 각자의 수평 힌지 수단(13)을 통해 연결되는 제5 패널(10)과, 제5 패널(10)과 각자의 수평 힌지 수단(13)을 통해 연결되는 제6 패널(10')을 추가로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패널들의 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분명할 것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1 패널(6)에는 그 측면 에지들(6C)(도면들에서는 하나만이 도시됨)의 각각에서 상단 부근에서 제1 패널로부터 각자의 제2 채널(12)로 연장하는 제1 가이딩 핀(14)이 도 1a에서 도시된 것처럼 마련된다. 제1 가이딩 핀(14)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패널(6)에 고정되는 삼각형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삼각형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측면 플레이트(30) 상에 일체로(integrally) 형성된다.
제2 패널(7)은 그 측면 에지들의 각각에서 제2 패널(7)의 측면 플레이트(15)(도 5에서 또한 도시됨)가 마련된다. 제2 패널(7)의 각 측면 플레이트(15)는 제2 패널(7)의 각자의 측면 에지(7c)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측면 에지(7C)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2 패널(7)을 따라 연장한다. 제2 패널(7)의 각 측면 플레이트(15)는 제2 패널(7)의 측면 에지(7C)의 연장부를 넘어 연장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상단부(top end)(15A) 및 반대측의 제2 측면 플레이트 단부(15B)를 갖는다. 각각의 제1 측면 플레이트 단부(15A)에는 제2 패널(7)의 측면 플레이트(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16)이 마련된다. 각각의 반대측의 제2 측면 플레이트 단부(15B)에는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17)이 마련된다.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16)(도 5 참조)은 제1 패널(6) 및 제2 패널(7)을 연결하는 각자의 힌지 수단의 수평 힌지 축(13A)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축인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 축(16A)을 규정한다.
예컨대,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2 패널(7)에는 그 측면 에지들의 각각에서 제2 패널(7)의 가이드 플레이트(18)가 더 마련되고, 가이드 플레이트는 도 6a 및 6b에서 또한 도시된다. 제2 패널(7)의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18)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18A) 및 반대측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18B)를 가진다.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18A)에는 제2 패널(7)의 가이드 플레이트(18)로부터 (도 1에서 또한 도시되는) 제1 채널(11)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가이딩 핀(19)이 마련된다.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18B)에는 제3 가이딩 핀 축(20A)을 규정하고 제2 패널(7)의 가이드 플레이트(18)로부터 제2 채널(12)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가이딩 핀(20)이 마련된다(제2 패널에 대해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2b에서 제4 패널에 대해 그 구조로 나타낸 것이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제2 패널의 구조와 유사함). 도 3a에서 도시된 것처럼, 제2 플레이트(7)의 측면 플레이트(15)의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16)은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18A)에 힌지 가능하게, 특히, 그 슬리브(21)로 연장하는 것에 의해, 연결된다.
도어 컴포넌트(5)는 제1 패널(6) 및 제2 패널(7)의 각 측면에서, 도 7A 및 7B에서 또한 도시된, 접힘 이동 제어 부재(22)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22)는 제1 패널(6)의 각자의 측면 에지(6C)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힘 이동 제어 부재 상부 단부(22A)와, 각자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18B)에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힌지 축(22C)(예컨대, 제3 및 제4 패널에 관한 도 4a 참조, 제4 패널의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은 제2 패널의 그것과 유사함)을 중심으로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하부 단부(22B)를 가진다.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22)는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22D)을 더 포함하고,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22D)로 제2 패널(7)의 측면 플레이트(15)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17)이 연장한다.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22D)은 제2 패널(7)의 측면 플레이트(15)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17)과 제1 패널(6) 및 제2 패널(7)을 연결하는 각자의 힌지 수단(13)의 수평 힌지 축(13A)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형 세그먼트의 형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진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은 서로에 대해 일 각도로 위치된 일련의 짧은 직선 세그먼트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4a의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22D)은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17)을 그 길이의 메인 부분(main part)에 걸쳐서(over) 둘러싸고, 따라서, 도어 컴포넌트에 대해 그것이 자신의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잠금 기능을 제공한다.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은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17)을 적절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접힘 동안 채널을 통한 그 이동의 전체 경로에 걸쳐 둘러쌀 필요는 없다는 것에 유의한다, 이는 특정 시점(certain moment)에서,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들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상단부들을 접는 것이 지지 슬롯들(40, 41, 42)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이다.
이제 도어 컴포넌트에는 잠금 스프링들(50)이 마련되고, 닫힌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도어 컴포넌트를 접는 제1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9a 내지 9e를 참조한다. 도 9a에서, 도어 컴포넌트는 모든 패널들(6 내지 9)이 수직으로 위치되는 닫힌 위치에 있다. 제 2 가이딩 핀(19)은 측면 플레이트(15)에 마련된 제 2 가이딩 핀 슬롯(5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잠금 스프링(50)이 마련되고, 제2 가이딩 핀(19)에 부착된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 일단은 측면 플레이트(15)에 고정되어 부착되고 타단은 측면 플레이트(15)의 상부 단부에 부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잠금 스프링(50)은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17)이 잠금 위치에서 머물도록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18B)를 하방으로 밀어 낸다. 도 9b에서, 도어 컴포넌트는 상방으로 이동되고 패널(6)은 수평 위치에서 접히기 시작한다. 다른 패널들(7 내지 9)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잠금 스프링들(50)에 의해 수직으로 남아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상부 패널(6)이 그 수평 위치에 있을 때(도 9c와 도 9ca 및 도 9cb에서 도시된 세부 내용), 잠금 스프링(50)은 그 잠긴 위치에서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17)을 유지한다. 도어 컴포넌트가 더 위로 올라가면(도 9d), 잠금 스프링(50)은 밀리고 짧아지고(도 9dc), 결과적으로, 잠금 스프링(50)은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17)이 릴리즈되도록 가압되고(도 9dd), 접힘은 계속될 수 있다(도 9E). 접힘 이동 제어 부재(22)는 올바른 접힘을 더 보장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17)을 소기의 방향으로 더 올바르게 상승시키고 가이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은 도어 컴포넌트의 닫힌 위치로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을 수용하고 잠그기 위해 자신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하부 단부(22B) 부근의 자신의 단부에서 확장부(widening)(52)를 포함하고 또한 가이딩 표면(53)이 이를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 1a의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1)의 제3 패널(8) 및 제4 패널(9)이 정렬된(닫힌) 위치에 있는 것을 투시도로 나타낸다. 제3 패널(8) 및 제4 패널(9)의 구조는 제1 패널(6) 및 제2 패널(7)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각각 동일하다. 유일한 차이점은 제3 패널(8)에는 제1 패널(6)의 제1 가이딩 핀(17)과 동등한 가이딩 핀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대신에, 제3 패널(8)은 각자의 힌지 수단(13)을 사용하여 제2 패널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3 및 제4 패널 참조의 설명은 전술된 제1 및 제2 패널의 상호 연결 및 구조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예컨대, 제4 및 제3 패널을 연결하는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22)는 제2 및 제1 패널을 연결하는 접힘 이동 제어 부재(22)와 동일하고, 제4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제1 채널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4 가이딩 핀은 제2 패널 (7)의 가이딩 플레이트(18)로부터 (도 1a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제1 채널(11)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가이딩 핀(19)과 동일하다. 또한, 제3 가이딩 핀 축(20A)을 규정하고 제2 패널(7)의 가이드 플레이트(18)로부터 제2 채널(12)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가이딩 핀(20)과 유사하게, 제5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에는 제5 가이딩 핀 축을 규정하고 제4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제2 채널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5 가이딩 핀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패널에 대해 사용된 것과 같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예컨대, 도 3 및 4에서 제3 및 제4 패널의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 사용된다. 동일한 것이 제5 패널(10) 및 제6 패널(10')의 상호 연결 및 구조(도 1에서, 측면 플레이트, 가이드 플레이트, 접힘 이동 제어 부재 등과 제5 및 제6 패널을 연결하는 것은 도시되지 않았음에 유의)와 그 이상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도 3 및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15A)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패널(7)의 측면 플레이트(15)의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16)은 각자의 제2 가이딩 핀(19)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고,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15A)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패널(9)의 측면 플레이트(15)의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16)은 제4 가이딩 핀(19)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가이딩 핀(19)과 제3 가이딩 핀(20) 사이의 거리는 제2 패널(7)의 수직 높이의 50~70%이고, 바람직하게는, 제2 패널(7)의 수직 높이의 약 60%이며, 동일한 것이 제4 패널(9)의 구조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도시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 상부 단부(22A)는 슬라이딩 핀(32)을 포함하고, 제1, 제3, 또는 제5 패널의 각각의 측면 에지에는 종방향(longitudinal) 슬롯(31)이 마련되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1, 제3 또는 제5 패널 측면 플레이트(30)에 각각 마련되고(도 8을 또한 참조), 측면 플레이트(30)는 각자의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부착된다. 이러한 종방향 슬롯(31)을 통해 각자의 슬라이딩 핀(32)은 연장하고, 닫힌 위치로부터 접근 위치로 및 그 반대로의 패널들의 접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가이드된다.
도 1b에서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대향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2, 3)은, 도시된 실시예의 지지 슬롯들 내에서, 지지 부재들(40, 41, 42)을 포함한다(다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대안적으로 지지 스터드들이 사용될 수 있음). 이러한 지지 슬롯들(40, 41, 42) 내에서,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들(15)의 측면 플레이트 상단부들(15A)(측면 플레이트 상단부들(15A)은 각자의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의 연장부를 넘어 연장함)은 각자의 패널의 수평 위치로, 즉, 도어 컴포넌트의 접근 위치로 연장한다. 예컨대, 도 5b에서 도시된 것처럼, 측면 플레이트 상단부들(15A)은 측면 플레이트 상부 단부의 지지 슬롯으로의 도입을 돕기 위한 제1 경사진 표면(15E)을 가진다.

Claims (15)

  1. 부분 접이식(sectional folding)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한 쌍의 대향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side) 지지 및 가이드 수단 - 이들 사이에서 도어 개방부(door opening)를 규정하고, 각 가이드 수단은 나란히(side-by-side) 배치되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도어 개방부의 높이를 수직으로 연장하는 메인 제1 채널 섹션을 가지고, 상기 제2 채널은 수직으로 연장하는 메인 제2 채널 섹션과, 상기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상단에서 만곡된(curved) 제2 채널 섹션을 가지고, 상기 만곡된 제2 채널 섹션은 상기 메인 제2 채널 섹션에 연결됨 -; 및
    복수의 직사각형 패널들 - 상기 패널들이 동일 평면에 있고 상기 도어 개방부를 닫기 위해 수직으로 정렬된 닫힌 위치로부터 상기 도어 개방부를 통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접근 위치까지 상기 지지 및 가이드 수단을 따르는 수직적인 이동을 접기 위해 구성되고, 접근 위치에서 상기 패널들은 상기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의 상단에서 수평의 위치로 접히고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단에 수평으로 적층되고, 각 패널은 수평 상부 에지, 수평 하부 에지 및 2개의 측면 에지들을 가짐 -을 포함하는 도어 컴포넌트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컴포넌트는 상기 복수의 패널들 중 인접한 패널들의 수평 에지들을 아코디언(accordion) 방식으로 함께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힌지 수단들을 더 포함하고, 각 힌지 수단은 수평 힌지 축(hinge axis)을 규정하고, 상기 닫힌 위치에서 상기 패널들은 상기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의 대향하는 제1 채널들 사이에서 연장하고;
    상기 복수의 패널들은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패널에 수평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제2 패널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만곡된 제2 채널 섹션에 연결되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2 채널 단부 섹션을 가지고,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도어 개방부의 높이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패널에는 상기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 내에서 상기 제1 패널을 가이드하고 지지하기 위한, 상기 제1 패널의 측면 에지들의 각각에서 상단 부근에 있고 상기 제1 패널로부터 각자의 제2 채널로 연장하는 제1 가이딩 핀과 같은, 디바이스가 마련되고, 가이드 및 지지를 위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도어 컴포넌트의 하부 패널들의 접힘 이동을 시작하는 동작을 위해 더 배치되고;
    상기 제2 패널에는 그 측면 에지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2 패널의 각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에지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패널의 각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에지의 연장부를 넘어 연장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상단부(top end) 및 반대측의 제2 측면 플레이트 단부를 갖고, 각각의 제1 측면 플레이트 단부에는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이 마련되고, 각각의 반대측의 제2 측면 플레이트 단부에는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이 마련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은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수단의 수평 힌지 축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축인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제2 패널에는 그 측면 에지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2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2 패널의 각 가이드 플레이트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upper end) 및 반대측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를 갖고, 각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에는 상기 제2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채널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가이딩 핀이 마련되고, 각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에는 제3 가이딩 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제2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채널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가이딩 핀이 마련되고,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각 측면에서 접힘 이동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제1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힘 이동 제어 부재 상부 단부와, 각자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에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힌지 축을 중심으로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하부 단부를 가지고,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는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을 더 포함하고,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로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은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과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연결하는 각자의 힌지 수단의 수평 힌지 축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형 세그먼트의 형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지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2 패널과 수평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제3 패널과, 상기 제3 패널과 수평 힌지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제4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패널에는 그 측면 에지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제4 패널의 각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에지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4 패널의 각 측면 플레이트는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에지의 연장부를 넘어 연장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상단부 및 반대측의 제2 측면 플레이트 단부를 갖고, 각각의 제1 측면 플레이트 단부에는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이 마련되고, 각각의 반대측의 제2 측면 플레이트 단부에는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이 마련되고, 상기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은 상기 제3 패널 및 제4 패널을 연결하는 힌지 수단의 수평 힌지 축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축인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제4 패널에는 그 측면 에지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4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4 패널의 각 가이드 플레이트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 및 반대측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를 갖고, 각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에는 상기 제4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채널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4 가이딩 핀이 마련되고, 각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에는 제5 가이딩 핀 축을 규정하고 상기 제4 패널의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채널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5 가이딩 핀이 마련되고,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도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3 패널 및 제4 패널의 각 측면에서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제3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 상부 단부와, 각자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에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힌지 축을 중심으로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하부 단부를 가지고, 각각의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는 제2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을 더 포함하고, 제2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로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이 연장하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은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과 상기 제3 패널 및 제4 패널을 연결하는 각자의 힌지 수단의 수평 힌지 축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형 세그먼트의 형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지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은 상기 각자의 제2 가이딩 핀과 동일한 높이에서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 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 힌지 핀은 상기 제4 가이딩 핀과 동일한 높이에서 위치되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6.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딩 핀과 상기 제3 가이딩 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패널의 수직 높이의 50~7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패널의 수직 높이의 약 60%이고, 상기 제4 가이딩 핀과 상기 제5 가이딩 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4 패널의 수직 높이의 50~7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 패널의 수직 높이의 약 60%인,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 상부 단부는 슬라이딩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의 각각의 측면 에지에는 종방향(longitudinal) 슬롯이 마련되고 이를 통해 각자의 슬라이딩 핀이 연장하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8. 제3항 및 제3항을 인용할 때의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 접힘 이동 제어 부재 상부 단부는 제2 슬라이딩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패널의 각각의 측면 에지에는 제2 종방향 슬롯이 마련되고 이를 통해 각자의 제2 슬라이딩 핀이 연장하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종방향 슬롯은 상기 제1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부착되는 제1 패널 측면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 종방향 슬롯은 상기 제3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부착되는 제3 패널 측면 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대향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은, 지지 스터드들 또는 지지 슬롯들과 같은, 지지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에지의 연장부를 넘어 연장하는 상기 제2 패널의 각각의 제1 측면 플레이트 상단부는 제1 경사진 표면을 가지고, 또는/추가적으로, 상기 제4 패널의 측면 에지의 연장부를 넘어 연장하는 상기 제4 패널의 각각의 측면 플레이트 상단부는 제2 경사진 표면을 가지고,
    각각의 제1 및 제2 경사진 표면은 상기 도어 컴포넌트의 접근 위치에서 각자의 지지 부재들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제4 또는 제5 가이드 핀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그 단부에서 디스크 형상의 연장부, 바람직하게는, 롤러가 마련되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딩 핀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 내에 마련된 제2 가이딩 핀 슬롯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잠금 스프링이 마련되며, 그 일단부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부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 단부에 부착되되, 특히, 상기 제2 가이딩 핀에 부착되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은 상기 도어 컴포넌트의 닫힌 위치로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을 수용하고 잠그기 위해 자신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하부 단부 부근의 자신의 단부에서 확장부(widening) 및/또는 및 가이딩 표면을 포함하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15. 한 쌍의 대향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측면 지지 및 가이드 수단 - 이들 사이에서 도어 개방부를 규정하고, 각 가이드 수단은 나란히 배치되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을 포함함 - 및 상기 지지 및 가이드 수단을 따르는 수직적인 이동을 접기 위해 구성되는 제1, 제2, 제3 및 제4 직사각형 패널들을 포함하는 도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각 측면에서 접힘 이동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는 상기 제1 패널 및 제3 패널의 각자의 측면 에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힘 이동 제어 부재 상부 단부를 각각 가지며, 각자의 가이드 플레이트 하부 단부에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힌지 축을 중심으로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힘 이동 제어 부재 하부 단부를 가지고, 각각의 접힘 이동 제어 부재는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을 더 포함하고,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로 상기 제2 패널에 부착된 측면 플레이트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이 연장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힘 이동 가이딩 채널은 상기 제2 패널의 측면 플레이트의 각자의 측면 플레이트 가이딩 핀과 상기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연결하는 각자의 힌지 수단의 수평 힌지 축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형 세그먼트의 형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지는,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KR1020197002372A 2016-06-24 2017-06-23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KR102112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6165.5 2016-06-24
EP16176165 2016-06-24
PCT/NL2017/050420 WO2017222381A1 (en) 2016-06-24 2017-06-23 A sectional folding overhead do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810A true KR20190038810A (ko) 2019-04-09
KR102112968B1 KR102112968B1 (ko) 2020-05-19

Family

ID=5629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372A KR102112968B1 (ko) 2016-06-24 2017-06-23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156029B2 (ko)
EP (1) EP3475513B1 (ko)
JP (1) JP6982896B2 (ko)
KR (1) KR102112968B1 (ko)
AU (1) AU2017279897B2 (ko)
CA (1) CA3029193C (ko)
DK (1) DK3475513T3 (ko)
ES (1) ES2823167T3 (ko)
IL (1) IL263903B2 (ko)
PL (1) PL3475513T3 (ko)
SG (1) SG11201811483RA (ko)
WO (1) WO201722238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9457A1 (en) * 1994-09-23 1996-03-28 Rolflex Oost Nederland B.V. Lifting folding door
US20100287840A1 (en) * 2009-05-15 2010-11-18 Vladimir Godovalov Sectional folding up garage do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544A (en) * 1932-06-02 1935-11-12 Mcilwraith Folding sectional door
US3280888A (en) * 1963-12-23 1966-10-25 Wilbur A Davis Folding overhead door
US3344837A (en) * 1965-07-15 1967-10-03 Hinge Gear Products Inc Folding panel assembly
US3618656A (en) 1969-12-08 1971-11-09 Pamela A Young Folding door apparatus
US3757845A (en) * 1971-09-28 1973-09-11 Compact Closures Overhead stacked folding door
US5133398A (en) * 1990-08-08 1992-07-28 Anthony Yang Shutter assembly
US5893403A (en) * 1994-09-23 1999-04-13 Rolflex Nederland B. V. Lifting folding door
FR2776334B1 (fr) 1998-03-20 2000-06-16 Novoferm France Sa Panneau destine a une porte sectionnelle, porte sectionnelle et conditionnement
DE202007005558U1 (de) 2007-04-16 2008-08-28 Belu Ag Faltfassaden- oder Faltmarkisenanordnung und Betätigungsvorrichtung hierfür
FR2933439B1 (fr) * 2008-07-03 2015-10-02 A Fermetures As Dispositif de fermeture a rideau pour baie de batiment.
DE202011001556U1 (de) * 2011-01-15 2012-04-18 Bernhard Lucas Faltladenanordnung mit mehreren in sich starren Faltladenelementen mit abwechselnd ausknickenden und nicht ausknickenden Elementkanten
DK180160B1 (en) * 2018-03-19 2020-07-02 Ramboll Denmark Contracting Aps A folding shut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09457A1 (en) * 1994-09-23 1996-03-28 Rolflex Oost Nederland B.V. Lifting folding door
US20100287840A1 (en) * 2009-05-15 2010-11-18 Vladimir Godovalov Sectional folding up garag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63903A (en) 2019-01-31
AU2017279897A1 (en) 2019-01-31
EP3475513B1 (en) 2020-08-26
WO2017222381A1 (en) 2017-12-28
JP2019525043A (ja) 2019-09-05
IL263903B2 (en) 2023-08-01
US11156029B2 (en) 2021-10-26
DK3475513T3 (da) 2020-10-19
PL3475513T3 (pl) 2021-02-08
CA3029193A1 (en) 2017-12-28
EP3475513A1 (en) 2019-05-01
JP6982896B2 (ja) 2021-12-17
SG11201811483RA (en) 2019-01-30
ES2823167T3 (es) 2021-05-06
CA3029193C (en) 2021-01-05
IL263903B1 (en) 2023-04-01
AU2017279897B2 (en) 2022-07-28
US20190330913A1 (en) 2019-10-31
KR102112968B1 (ko)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999B1 (ko) 차량용 개방 루프 구조
TWI581736B (zh) 滑軌總成
CN103998365B (zh) 乘客输送机装置
DE19823226A1 (de) Kippbarer Lichtbogenofen
KR20190038810A (ko) 부분 접이식 오버헤드 도어 어셈블리
KR20100016848A (ko) 3도어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이동장치
KR102147525B1 (ko) 양문형 연동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EP2899088B1 (en) Door system for a platform screen
JP5594939B2 (ja) 扉装置
JP2018008699A (ja) ホームドア装置
CN112805448B (zh) 折叠式脚踏板
JP2010007287A (ja) 床用目地装置
KR20090118260A (ko) 조립식 셔터 및 그를 갖는 조립식 셔터 장치
KR102579553B1 (ko) 다중 슬라이딩 도어
JP7341015B2 (ja) パネル体
JP7376300B2 (ja) パネル体の組立方法
KR101354202B1 (ko) 엘리베이터용 다단 도어 장치
JP2013060286A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OA20166A (en) Structure of articulated frames that are deployable on rails.
KR20110003607A (ko) 도어 개폐구조
KR101732437B1 (ko) 더블 익스텐션 시져스타입 리프트
JP2021134596A (ja) 縦型ブラインド
KR20210015138A (ko) 플렛폼 회전 시스템
JP6168496B2 (ja) 伸縮式門扉
SU1230770A1 (ru) Копи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ашин термической резк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листов и заготов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