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260A - 조립식 셔터 및 그를 갖는 조립식 셔터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셔터 및 그를 갖는 조립식 셔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260A
KR20090118260A KR1020080043944A KR20080043944A KR20090118260A KR 20090118260 A KR20090118260 A KR 20090118260A KR 1020080043944 A KR1020080043944 A KR 1020080043944A KR 20080043944 A KR20080043944 A KR 20080043944A KR 20090118260 A KR20090118260 A KR 20090118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unit
plate
shutte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1713B1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이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호 filed Critical 이상호
Priority to KR1020080043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71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셔터에 관한 것으로, 유지 보수가 쉬운 조립식 셔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셔터는 복수의 제 1 단위판으로 조립된 제 1 단위판 그룹과, 복수의 제 2 단위판으로 조립된 제 2 단위판 그룹을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단위판 그룹이 서로 결합되어 유연성을 갖는 모자이크판 형태로 구현된다. 그리고 조립식 셔터는 제 1 단위판 그룹과 제 2 단위판 그룹의 결합된 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과 연결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조립식 셔터는 제 1 단위판 그룹과 제 2 단위판 그룹의 중첩된 부분을 체결 부재로 직접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상된 단위판이 발생될 경우, 고정판 또는 체결 부재를 탈착하여 손상된 단위판을 분리하여 보수작업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셔터를 분리하는 것에 비해서 셔터의 유지보수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43944
셔터, 조립, 유지보수, 수리, 분할

Description

조립식 셔터 및 그를 갖는 조립식 셔터 장치 {Fabricated shutter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셔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지 보수가 쉬운 조립식 셔터 및 그를 갖는 조립식 셔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물의 출입구나 창문에 방범의 목적으로 셔터(shutter)를 설치한다. 셔터는 폭이 좁은 철판을 발(簾) 모양으로 연결하여 감아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 문의 일종이다. 즉 셔터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봉이나 판들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발 모양을 형성한다. 셔터의 양측은 문틀의 양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셔터를 구성하는 봉이나 판들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양단이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봉이나 판이 손상될 경우 가이드 레일에서 손상된 봉이나 판이 위치한 곳까지 셔터 부분을 분리한 후 수리 작업을 진행해야 함으로 수리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조립식 셔터 및 그를 갖는 조립식 셔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단위판 그룹과 제 2 단위판 그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셔터를 제공한다. 제 1 단위판 그룹은 양쪽의 장변부에 각각 제 1 고리가 형성되고, 양쪽의 제 1 고리 중 하나가 측면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 1 단위판을 포함하며, 제 1 단위판들은 양쪽의 제 1 고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유연성을 갖는다. 제 2 단위판 그룹은 양쪽의 장변부에 각각 제 2 고리가 형성된 복수의 제 2 단위판을 포함하며, 제 2 단위판들은 양쪽의 상기 제 2 고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유연성을 갖는다. 양쪽의 제 2 고리 중 하나가 장변부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연결된 제 2 고리에 각각 삽입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단위판 그룹의 측면으로 돌출된 제 1 단위판의 제 1 고리 부분은 제 1 단위판 그룹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 2 단위판 그룹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조립식 셔터를 구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셔터는 조립된 제 1 및 제 2 단위판의 경계 부분의 제 1 및 제 2 단위판에 체결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셔터는 조립된 제 1 및 제 2 단위판의 좌우 이동을 억제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은 조립된 제 1 및 제 2 단위판 양측의 제 1 및 제 2 본체판에 체결되는 고정편과, 고정편과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편을 중심으로 양쪽의 제 1 및 제 2 덮개고리의 측면으로 뻗어 있는 고정바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제 1 단위판 그룹과 제 2 단위판 그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셔터를 제공한다. 제 1 단위판 그룹은 양쪽의 장변부에 각각 제 1 덮개고리와 제 1 삽입고리가 형성되고, 제 1 덮개고리에 비해 제 1 삽입고리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 1 단위판을 포함하며, 제 1 단위판들은 양쪽의 제 1 덮개고리 및 제 1 삽입고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유연성을 가지며, 제 1 삽입고리의 일부가 제 1 덮개고리 밖으로 돌출된다. 제 2 단위판 그룹은 제 1 단위판에 대향하게 양쪽의 장변부에 각각 제 2 덮개고리와 제 2 삽입고리가 형성되고, 제 1 덮개고리에 비해 제 1 삽입고리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복수의 제 2 단위판을 포함하며, 제 2 단위판들은 양쪽의 제 2 덮개고리 및 제 2 삽입고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유연성을 가지며, 제 2 삽입고리가 삽입된 제 2 덮개고리 내에 삽입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단위판 그룹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이 중첩되면서, 제 1 덮개고리 밖으로 돌출된 제 1 삽입고리의 일부가 2 덮개고리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조립식 셔터 및 가이드 레일을 갖는 조립식 셔터 장치를 제공한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은 조립식 셔터의 양측의 일부가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홈을 통한 조립식 셔터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조립식 셔터의 일측이 삽입된 이후의 가이드 홈의 공차폭은 적어도 삽입홈 보다는 길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셔터는 단위판들이 조립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손상된 단위판이 발생될 경우, 손상된 단위판을 분리하여 보수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전체 셔터를 분리하는 것에 비해서 셔터의 유지보수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셔터(30)를 갖는 조립식 셔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셔터(30) 및 가이드 레일(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립식 셔터(30)는 복수의 단위판(41,51)이 서로 결합되어 유연성을 갖는 모자이크판을 형성한다. 가이드 레일(10)은 문틀의 양쪽에 설치되며 조립식 셔터(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조립식 셔터(30)는 양측의 일부가 가이드 레일(10)의 가이드 홈(13)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조립식 셔터(30)의 상단부는 출입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에 연결되며, 구동수단의 구동에 따라 조립식 셔터(30)를 상하로 이동시켜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조립식 셔터(30)가 상승하는 경우, 유연성을 갖는 조립식 셔터(30)는 롤 형태로 감겨져 출입구의 상부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조립식 셔터(30)는,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위판 그 룹(40)과 제 2 단위판 그룹(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1 단위판 그룹(40)과 제 2 단위판 그룹(50)이 결합되어 유연성을 갖는 모자이크판 형태를 갖는다. 조립식 셔터(30)는 제 1 단위판 그룹(40)과 제 2 단위판 그룹(50)의 결합된 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60)과 고정핀(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단위판 그룹(40)은 양쪽의 장변부에 각각 제 1 고리(45,47)가 형성된 복수의 제 1 단위판(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제 1 단위판(41)은 양쪽의 제 1 고리(45,47)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유연성을 갖는 판 형태로 제 1 단위판 그룹(40)을 구현한다. 이때 제 1 단위판(41)은 양쪽의 제 1 고리(45,47) 중 하나가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 단위판 그룹(50)은 양쪽의 장변부에 각각 제 2 고리(55,57)가 형성된 복수의 제 2 단위판(51)을 포함하며, 제 2 단위판(51)들은 양쪽의 제 2 고리(55,57)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유연성을 갖는 판 형태로 구현된다. 제 2 단위판(51)들은 양쪽의 제 2 고리(55,57) 중 하나가 장변부보다는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된 제 2 고리(55,57)에 각각 삽입홈(59)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59)은 제 1 단위판(41)의 측면으로 돌출된 제 1 고리(47)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단위판 그룹(40)의 측면으로 돌출된 제 1 고리(47) 부분은 제 1 단위판 그룹(40)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 2 단위판 그룹(50)의 삽입홈(59)에 각각 삽입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1 단위판 그룹(40)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 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 1 단위판(41a,41b)은 제 1 본체판(43)과 제 1 고리(45,4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1 고리(45,47)는 제 1 덮개고리(45)와 제 1 삽입고리(47)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개방되어 있다. 제 1 본체판(43)은 직사각판 형태로 평행한 양쪽의 장변부에 각각 제 1 삽입 고리(45)와 제 1 덮개 고리(47)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덮개고리(45)는 제 1 본체판(43)의 일측의 장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본체판(43)의 일측의 장변부를 따라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 1 덮개고리(45)는 제 1 본체판(43)의 일측의 장변 밖에 형성된다. 제 1 삽입고리(47)는 제 1 본체판(43)의 타측의 장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본체판(43)의 타측의 장변을 따라서 제 1 덮개고리(45)와 같은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 1 삽입고리(47)는 제 1 본체판(43)의 측면으로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제 1 삽입고리(47)는 제 1 덮개고리(45)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두 개의 제 1 단위판(41a,41b)을 조립할 경우, 아래쪽의 제 1 단위판(41a)의 제 1 삽입고리(47)가 위쪽의 제 1 단위판(41b)의 제 1 덮개고리(45)에 삽입한다. 즉 아래쪽의 제 1 단위판(41a)의 일측면에서, 위쪽의 제 1 단위판(41b)의 제 1 덮개고리(45)를 아래쪽의 제 1 단위판(41a)의 제 1 삽입고리(47)에 맞게 위치를 정렬시킨다. 그리고 아래쪽의 제 1 단위판(41a)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쪽으로 위쪽의 제 1 단위판(41b)을 삽입하여 조립하게 된다. 이때 두 개의 제 1 단위판(41a,41b)의 양측면이 서로 동일선 상에 올 수 있도록 조립한다. 두 개의 제 1 단위판(41a,41b)의 조립이 완료되면, 제 1 단위판(41a,41b)들의 제 1 삽입고리(47) 는 제 1 본체판(43)의 일측면으로 돌출된다. 특히 아래쪽의 제 1 단위판(41a)의 제 1 삽입고리(47)는 위쪽의 제 1 단위판(41b)의 제 1 덮개고리(45)를 통과하여 제 1 본체판(43)의 일측면으로 돌출된다.
한편 제 1 덮개고리(45)에 제 1 삽입고리(47)가 삽입되어 제 1 단위판 그룹(40)의 제 1 본체판(43)의 하부면이 동일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 1 덮개고리(45)와 제 1 삽입고리(47)는 적어도 제 1 본체판(43)의 상부면 위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덮개고리(45)와 제 1 삽입고리(47)가 동일한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덮개고리(45)에 제 1 삽입고리(47)가 삽입되어 제 1 단위판 그룹(40)을 형성하더라도 서로 결합된 제 1 덮개고리(45)와 제 1 삽입고리(47)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 1 단위판 그룹(40)은 유연성을 갖게 된다.
다음으로 제 2 단위판 그룹(50)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 2 단위판(51a,51b)은 제 1 단위판(41a,41b)과 동일하게 제 2 본체판(53), 제 2 덮개고리(55) 및 제 2 삽입고리(5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지 제 1 삽입고리(47)와 비교하여 제 2 삽입고리(57)는 제 2 본체판(53)의 타측의 장변보다는 짧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제 2 단위판(51a,51b)은 제 2 본체판(53)의 타측의 장변과 제 2 삽입고리(57)의 끝단 사이에 형성된 요부(58)를 갖는다.
따라서 두 개의 제 2 단위판(51a,51b)을 조립할 경우, 아래쪽의 제 2 단위판(51a)의 제 2 삽입고리(57)가 위쪽의 제 2 단위판(51b)의 제 2 덮개고리(55)에 삽입된다. 즉 아래쪽의 제 2 단위판(51a)의 일측면에서, 위쪽의 제 2 단위판(51b)의 제 2 덮개고리(55)를 아래쪽의 제 2 단위판(51a)의 제 2 삽입고리(57)에 맞게 위치를 정렬시킨다. 그리고 아래쪽의 제 2 단위판(51a)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쪽으로 위쪽의 제 2 단위판(51b)을 삽입하여 조립하게 된다. 이때 두 개의 제 2 단위판(51a,51b)의 양측면이 서로 동일선 상에 올 수 있도록 조립한다. 두 개의 제 2 단위판(51a,51b)의 조립이 완료되면, 제 2 단위판(51a,51b)들의 제 2 덮개고리(55)는 제 2 삽입고리(57)를 지나 요부(58)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제 1 삽입고리(57)에 결합된 제 2 덮개고리(55)는 요부(58)쪽에 삽입홈(59)을 형성하며, 삽입홈(59)의 바닥면에는 제 2 삽입고리(57)의 일단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 2 삽입고리(57)를 짧게 형성하는 이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단위판(41,51)을 퍼즐 형태로 조립하여 직사각판 형태로 구현하기 위해서이다. 즉 제 1 단위판(41)의 일측으로 돌출된 제 1 삽입고리(47)가 제 2 단위판(51)의 요부(58)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제 2 단위판(51)의 요부(58)의 길이는 제 1 단위판(41)의 일측으로 돌출된 제 1 삽입고리(45)의 길이에 대응된다. 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삽입고리(47,57)의 길이의 합과 제 1 및 제 2 덮개고리(45,55)의 길이의 합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제 2 덮개고리(55)에 제 2 삽입고리(57)가 삽입되어 제 2 단위판 그룹(50)의 제 2 본체판(53)의 하부면이 동일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 2 덮개고리(55)와 제 2 삽입고리(57)는 적어도 제 2 본체판(53)의 상부면 위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덮개고리(55)와 제 2 삽입고리(57)가 동일한 방향으로 라운드지 게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단위판과 같이 제 2 덮개고리(55)에 제 2 삽입고리(57)가 삽입되어 제 2 단위판 그룹(50)을 형성하더라도 서로 결합된 제 2 덮개고리(55)와 제 2 삽입고리(57)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 2 단위판 그룹(50)은 유연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제 1 단위판(41a,41b)을 조립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삽입고리(47)의 일부는 제 1 단위판(41a,41b)의 측면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 2 단위판(51a,51b)을 조립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삽입고리(57)가 삽입되고 남은 제 2 덮개고리(55) 부분에 삽입홈(58)이 형성된다. 제 1 단위판 그룹(40)과 제 2 단위판 그룹(50)을 조립할 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삽입고리(47)의 돌출된 부분은 제 2 단위판(41)의 요부(58)에 형성된 삽입홈(59)에 삽입된다. 따라서 이로 인해 조립되는 제 1 및 제 2 단위판 그룹(40,50)은 하나의 모자이크판 형태의 조립식 셔터(30)로 구현된다.
고정판(60)은 조립된 제 1 및 제 2 단위판(41,51)의 경계 부분의 제 1 및 제 2 단위판(41,51)에 체결되어 제 1 및 제 2 단위판(41,51)의 조립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고정판(60)은 탈착이 가능한 볼트, 리벳, 못과 같은 체결 부재로 제 1 및 제 2 단위판(41,51)에 체결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고정판(60)은 제 1 및 제 2 단위판(41,51)의 경계 부분의 양면에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한 면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핀(70)은 조립된 제 1 및 제 2 단위판(41,51)의 좌우 이동을 억제하며, 고정편(73)과 고정바(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편(73)은 조립된 제 1 및 제 2 단위판(41,51)의 양측면에 체결된다. 고정바(71)는 고정편(73)과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편(73)을 중심으로 양쪽의 제 1 및 제 2 덮개고리(45,55)의 측면으로 뻗어 있다. 이때 고정편(73)은 제 1 및 제 2 본체판의 상부면에 용접, 볼트, 리벳, 못과 같은 체결 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고정핀(70)은 조립된 제 1 및 제 2 단위판(41,51)의 측면에 교대로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10)에 설치된 조립식 셔터(30)에 대한 유지보수는 고정판(60)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의 분리를 통하여 수행된다. 이때 유지보수가 필요한 특정 제 1 또는 제 2 단위판(41,51)만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셔터(30)의 일측이 삽입된 이후의 가이드 홈(13)의 공차폭(d)은 삽입홈(59)보다는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공차폭(d)을 삽입홈(59)보다는 길게 형성하는 이유는, 유지보수가 필요한 특정 제 1 또는 제 2 단위판(41,51)만을 가이드 홈(13)의 안쪽으로 후퇴시켜 제 1 삽입 고리(45)의 돌출된 부분이 제 2 덮개 고리(57)의 삽입홈(59)에서 이탈시켜 특정 제 1 또는 제 2 단위판(41,51)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특정 제 1 단위판(41)에 대한 유지보수는 아래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특정 제 1 단위판(41)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특정 제 1 단위판(41)을 체결하고 있는 고정판(60)과, 그 고정판(60)을 중심으로 상하의 고정판(60)을 분리한다. 이어서 특정 제 1 단위판(41)의 일부가 삽입된 가이드 홈(13)의 안쪽으로 제 1 단위판(41)을 후퇴시키면, 가이드 홈(13)의 공차폭(d)이 삽입홈(59)보다는 길기 때문에, 특정 제 1 단위판(41)의 제 1 삽입 고리(45)의 돌출된 부분이 특정 제 1 단위판(41)이 결합된 제 2 단위판(51)의 제 2 덮개 고리(47)의 삽입홈(49)에서 이탈하게 된다. 삽입홈(59)에서 이탈된 특정 제 1 단위판(41)은 좌우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특정 제 1 단위판(41)만을 조립식 셔터(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제 1 단위판을 조립하는 과정은 전술된 특정 제 1 단위판(41)을 분리하는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함으로써, 유지보수 작업은 완료된다.
한편 제 2 단위판(51)의 삽입홈(59)에서 특정 제 1 단위판(41)을 이탈시킴으로써, 제 2 단위판(51) 또한 좌우 이동 또한 자유로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 2 단위판(51)에 대한 유지보수 또한 전술된 특정 제 1 단위판(41)에 대한 유지보수와 동일하게 수행된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에서는 조립식 셔터(30)를 조립할 때, 각각의 제 1 및 제 2 단위판 그룹(40,50)을 조립한 이후에 제 1 및 제 2 단위판 그룹(40,50)을 조립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 1 및 제 2 단위판(41,51)을 조립한 이후에 조립된 제 1 및 제 2 단위판(41,51) 위에 새로운 제 1 및 제 2 단위판(41,51)을 각각 순차적으로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셔터(30)는 고정판(60)으로 제 1 및 제 2 단위판(41,51)의 경계 부분을 체결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단위판(141,151)을 중첩시켜 체결 부재(181)로 체결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는 하나의 제 1 단위판(141)과 제 2 단위판(151)이 조 립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조립식 셔터(130)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단위판(141,151)이 모자이크판 형태로 조립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셔터(1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단위판(141,151)의 중첩된 부분이 체결 부재(181)로 체결되며, 그 외 부분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셔터(도 2의 3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셔터(30)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제 1 및 제 2 단위판(141,151)의 중첩된 부분이 체결 부재(181)로 체결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단위판(141)은 양쪽의 장변부에 각각 제 1 덮개고리(145)와 제 1 삽입고리(147)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삽입고리(147)는 제 1 덮개고리(145)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 1 본체판(143)은 제 1 덮개고리(145)의 끝단과 제 1 삽입고리(147)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중첩부(142)를 더 포함한다. 제 1 중첩부(142)는 제 1 본체판(143)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상향 단차치게 형성된다. 제 1 중첩부(142)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상향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단위판(151)은 양쪽의 장변부에 각각 제 2 덮개고리(155)와 제 2 삽입고리(157)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삽입고리(157)는 제 1 삽입고리(147)와는 반대로 제 2 덮개고리(155)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제 2 본체판(153)은 제 2 삽입고리(157)의 끝단과 제 2 덮개고리(155)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중첩부(152)를 더 포함한다. 제 2 중첩부(152)는 제 2 본체판(153)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하향 단차치게 형성된다. 제 2 중첩부(152)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하향 단차지 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단위판(141)과 제 2 단위판(151)을 조립할 때, 제 1 중첩부(142)가 제 2 중첩부(152)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며,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삽입고리(147,157)와, 제 1 및 제 2 덮개고리(145,155)의 양단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물론 제 1 및 제 2 삽입고리(147,157)의 길이의 합과 제 1 및 제 2 덮개고리(145,155)의 길이의 합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중첩된 제 1 중첩부(142)와 제 2 중첩부(152)는 체결 부재(181)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체결 부재(181)로 볼트가 사용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리벳이나 못 등과 같이 탈착이 가능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단위판(141)의 제 1 삽입고리(147)와, 제 1 중첩부(142) 위에 위치하는 제 2 단위판(151)의 제 2 삽입고리(157) 부분은, 제 1 단위판(141) 위에 결합되는 새로운 제 1 단위판의 제 1 덮개고리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셔터(30)는 제 1 조립식 셔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 1 단위판 그룹과 제 2 단위판 그룹의 조립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셔터를 갖는 조립식 셔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셔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식 셔터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조립식 셔터의 두 개의 제 1 단위판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로서, 서로 결합된 제 1 덮개고리 및 제 1 삽입고리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조립식 셔터의 두 개의 제 2 단위판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셔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립식 셔터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가이드 레일 13 : 가이드 홈
30. 130 : 조립식 셔터 40 : 제 1 단위판 그룹
41, 141 : 제 1 단위판 50 : 제 2 단위판 그룹
51, 151 : 제 2 단위판 60 : 고정판
70 : 고정핀 100 : 조립식 셔터 장치

Claims (11)

  1. 양쪽의 장변부에 각각 제 1 고리가 형성되고, 양쪽의 상기 제 1 고리 중 하나가 측면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 1 단위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위판들은 양쪽의 상기 제 1 고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유연성을 갖는 제 1 단위판 그룹과;
    양쪽의 장변부에 각각 제 2 고리가 형성된 복수의 제 2 단위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위판들은 양쪽의 상기 제 2 고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유연성을 갖는 제 2 단위판 그룹으로, 양쪽의 상기 제 2 고리 중 하나가 상기 장변부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연결된 상기 제 2 고리에 각각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 2 단위판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위판 그룹의 측면으로 돌출된 상기 제 1 단위판의 제 1 고리 부분은 상기 제 1 단위판 그룹의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 2 단위판 그룹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셔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판은,
    제 1 본체판과;
    상기 제 1 본체판의 평행한 양쪽의 상기 장변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 1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고리는,
    상기 제 1 본체판의 일측의 장변부를 따라서 라운드지게 절곡된 제 1 덮개고 리와;
    상기 제 1 본체판의 타측의 장변부를 따라서 상기 제 1 덮개고리의 같은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상기 제 1 덮개고리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본체판의 측면으로 일부가 돌출된 제 1 삽입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셔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위판은,
    제 2 본체판과;
    상기 제 2 본체판의 평행한 양쪽의 상기 장변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 2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고리는,
    상기 제 2 본체판의 일측의 장변을 따라서 라운드지게 절곡된 제 2 덮개고리와;
    상기 제 2 본체판의 타측의 장변을 따라서 제 2 덮개고리의 같은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상기 제 2 덮개고리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본체판의 타측의 장변부보다는 짧게 형성된 제 2 삽입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셔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 2 삽입고리가 삽입되고 남은 상기 제 2 덮개고리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셔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고리의 길이의 합과 상기 제 1 및 제 2 삽입고리의 길이의 합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셔터.
  6. 제 5항에 있어서,
    조립된 상기 제 1 및 제 2 단위판의 경계 부분의 상기 제 1 및 제 2 단위판에 체결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셔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된 상기 제 1 및 제 2 단위판의 좌우 이동을 억제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조립된 상기 제 1 및 제 2 단위판 양측의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판에 체결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을 중심으로 양쪽의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고리의 측면으로 뻗어 있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셔터.
  8. 양쪽의 장변부에 각각 제 1 덮개고리와 제 1 삽입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덮개고리에 비해 상기 제 1 삽입고리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 1 단 위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위판들은 양쪽의 상기 제 1 덮개고리 및 제 1 삽입고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제 1 삽입고리의 일부가 상기 제 1 덮개고리 밖으로 돌출되는 제 1 단위판 그룹과;
    상기 제 1 단위판에 대향하게 양쪽의 장변부에 각각 제 2 덮개고리와 제 2 삽입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덮개고리에 비해 상기 제 1 삽입고리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복수의 제 2 단위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위판들은 양쪽의 상기 제 2 덮개고리 및 제 2 삽입고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제 2 삽입고리가 삽입된 상기 제 2 덮개고리 내에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 2 단위판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단위판 그룹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이 중첩되면서, 상기 제 1 덮개고리 밖으로 돌출된 상기 제 1 삽입고리의 일부가 상기 2 덮개고리의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셔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단위판의 중첩된 부분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셔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된 상기 제 1 및 제 2 단위판의 좌우 이동을 억제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조립된 상기 제 1 및 제 2 단위판의 양측면에 체결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편을 중심으로 양쪽의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고리의 측면으로 뻗어 있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셔터.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식 셔터와;
    상기 조립식 셔터의 양측의 일부가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을 통한 상기 조립식 셔터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조립식 셔터의 일측이 삽입된 이후의 상기 가이드 홈의 공차폭은 적어도 상기 삽입홈 보다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셔터 장치.
KR1020080043944A 2008-05-13 2008-05-13 조립식 셔터 및 그를 갖는 조립식 셔터 장치 KR101001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944A KR101001713B1 (ko) 2008-05-13 2008-05-13 조립식 셔터 및 그를 갖는 조립식 셔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944A KR101001713B1 (ko) 2008-05-13 2008-05-13 조립식 셔터 및 그를 갖는 조립식 셔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260A true KR20090118260A (ko) 2009-11-18
KR101001713B1 KR101001713B1 (ko) 2010-12-16

Family

ID=4160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944A KR101001713B1 (ko) 2008-05-13 2008-05-13 조립식 셔터 및 그를 갖는 조립식 셔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7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1287A (ja) * 2017-02-27 2018-09-13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ャッターのパネル構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980B1 (ko) * 2014-01-03 2016-01-22 주식회사 태산하이텍 지반 임시복구용 이동식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852239B1 (ko) 2015-11-26 2018-05-08 (주)대주기업 셔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963B1 (ko) 1999-12-30 2001-12-24 박상하 투시창 구조를 갖는 셔터
KR200375913Y1 (ko) 2004-11-30 2005-03-10 김원일 셔터용 하단 마감부재
KR200426771Y1 (ko) 2006-07-03 2006-09-20 양희주 셔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1287A (ja) * 2017-02-27 2018-09-13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シャッターのパネル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713B1 (ko)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4183B2 (ja) 建材の位置出し構造及びその位置出し方法
KR101001713B1 (ko) 조립식 셔터 및 그를 갖는 조립식 셔터 장치
US7503551B2 (en) Fence construction systems
US9751539B2 (en) Side bodyshell of railcar
KR102147525B1 (ko) 양문형 연동 미닫이문의 연동장치
KR100720957B1 (ko) 건축물 방범기능을 구비한 창호구조
KR200487597Y1 (ko) 프레임 조립체
JP4944628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作業台の手摺り構造
JP6482860B2 (ja) シャッターケース
KR102133782B1 (ko) 부품 수리와 교체가 가능한 3중 슬라이드 도어 시스템
KR101878877B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 패널 조립구조
KR101183563B1 (ko) 건축물 입구용 텔레스코픽 도어장치
CN102883987B (zh) 乘客传送设备
KR20160003308U (ko) 미닫이문용 프레임
KR20130129031A (ko) 연동 게이트
KR20170066024A (ko) 철골구조물의 건식 내화피복구조체
KR101122251B1 (ko) 구동부 상부레일의 결합구조
ITUD20010011A1 (it) Gruppo di saldatura per macchina gabbiatrice e procedimento connessodi saldatura
KR200492823Y1 (ko) 롤러 레일용 박스 가이드 구조
JP4990199B2 (ja) 手摺型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WO2019194323A1 (ko) 슬라브 거푸집 시스템
KR101025256B1 (ko) 포켓도어 프레임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20003532U (ko) 거푸집 판넬
KR20220082254A (ko) 보강프레임을 통한 포켓도어 프레임과 그의 시공방법
KR200464711Y1 (ko) 패널 모듈을 이용한 터널 라이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