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630A -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630A
KR20190038630A KR1020197007040A KR20197007040A KR20190038630A KR 20190038630 A KR20190038630 A KR 20190038630A KR 1020197007040 A KR1020197007040 A KR 1020197007040A KR 20197007040 A KR20197007040 A KR 20197007040A KR 20190038630 A KR20190038630 A KR 20190038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exchange tube
hairpin
stopper
shaped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1442B1 (ko
Inventor
케이이치 모리시타
Original Assignee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8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1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turning devices, e.g. turn-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다리부의 벌어짐을 억제하여 정규 피치로 수평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으로서 스토퍼 장치(40, 42)에 의해 정지해 있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다리부(22)의 상류측에 맞닿는 롤러(92)를 갖고, 다리부(22)의 외측 측면에 맞닿는 복수의 외측 가이드판(94)과, 외측 가이드판(94)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장치(108)와, 외측 가이드판(94)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동 장치(102, 104)와, 수평 이동 장치(108)를 작동시켜 외측 가이드판(94)을 삽입 위치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키고, 그 후 상하동 장치(102, 104)를 작동시켜 외측 가이드판(94)을 소정 거리 상승시킴으로써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수평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어부(7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
본 발명은 적층된 핀(fin)에 삽입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를 삽입 장치에 보내기 전에 방향을 전환시켜 정렬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쿨러 등의 열교환기는 투공(透孔)(11)이 형성된 핀(fin)(9)을 복수매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핀(fin)(10)이 투공(11)에, 열 매체를 유통시키는 열교환용 파이프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열교환용 파이프로서는 구리관을 중앙부에서 U자 형상으로 구부려 형성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사용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적층 핀(10)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삽입 장치(5)가 사용된다(특허문헌 1의 도 5 참조).
여기에서 도시되어 있는 삽입 장치(5)는 적층 핀(10)을 상하 방향에 적층시켜 놓고,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상방으로부터 하강시켜 적층 핀(10)에 삽입시킨다.
삽입 장치(5)의 배면측에는, 파이프 굽힘 장치인 벤더로부터 배출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보내져 오고,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중앙의 굽힘부(21)가 로드(6)에 걸쳐져 매달아진다.
로드(6)에 매달아진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삽입 장치(5)의 정렬 장치(7)로 반송된다. 정렬 장치(7)는 삽입 위치측을 향하여 상면이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판(8)을 가지고 있다. 경사판(8)의 상면에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중앙의 굽힘부(21)가 배치되어 있고,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그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삽입 위치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사판(8)은 도 16의 지면 깊이 방향을 향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고,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이들 복수의 경사판(8)의 각각에 스톡되어 있다.
경사판(8)의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파지 장치(4)에 의해, 굽힘부(21)가 파지되고 적층 핀(10)에 삽입된다.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파이프 굽힘 장치인 벤더로부터 배출되고, 중앙에서 구부러진 개소인 굽힘부(21)를 로드에 걸치고,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로 이송된다.
일본 특허 제3315151호 공보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는 각각의 다리부가 벌어져 있거나, 꼬여 있는 경우가 있어, 투공의 피치와 동일한 폭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굽힘부를 투공의 피치와 동일하게 되도록 맞춘다고 해도, 다리부가 벌어져 있으면 인접하는 다리부와 겹쳐 버린다.
특히,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를 수평면 위에 배치하고,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적층 핀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층 핀에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를 삽입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의 경우에서는, 굽힘부를 로드에 올려놓은 상태로부터,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에 반송할 때까지,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다리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다리부를 오므림과 아울러, 방향을 변경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으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벤더로부터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에 이르는 사이에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다리부를 오므리게 하고 방향 전환시키는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에 의하면, 열교환기용의 적층 핀의 투공에 삽입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를 정렬시키는 정렬 장치로서,
삽입 위치측을 향하여 상면이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가지고 있고, 이 경사부에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굽힘부가 걸쳐져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가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배치판이 적층 핀의 투공의 피치의 2배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정규 피치 정렬부와, 이 정규 피치 정렬부의 각 배치판에 배치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가 동일한 위치에서 이웃하지 않도록, 배치판마다 경사 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굽힘부의 하류측에 맞닿아,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를 정지시키는 복수의 스토퍼를 갖는 스토퍼 장치와, 이 스토퍼 장치에 의해 정지해 있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다리부의 상류측에 맞닿는 롤러를 갖고,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다리부의 외측 측면에 맞닿는 복수의 외측 가이드판과, 이 외측 가이드판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장치와, 상기 외측 가이드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동 장치와, 상기 수평 이동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외측 가이드판을 삽입 위치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키고, 그 후 상기 상하동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외측 가이드판을 소정 거리 상승시킴으로써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를 수평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정규 피치로 상하 방향으로 뻗어 정렬하고 있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에 대하여, 외측 가이드판이 다리부의 벌어짐을 억제하면서, 외측 가이드판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다리부의 상류측에 맞닿은 롤러에 의해, 다리부의 하단부가 삽입측을 향하도록 들어올려진다. 이때, 굽힘부가 스토퍼에 맞닿음으로써 굽힘부가 회전 중심이 되어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가 회전하고, 최종적으로 외측 가이드판을 상하동 장치가 상승시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를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가이드판과 일체로 수평 이동 및 상하동 가능하며, 상기 외측 가이드판보다도 하류측에서 상기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다리부의 사이에 진입 가능한 내측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는 다리부의 외측은 외측 가이드판에 의해 가이드 되고, 다리부의 내측은 내측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되므로, 다리부의 폭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가이드판과 일체로 수평 이동 및 상하동 가능하며, 상기 외측 가이드판보다도 하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다리부의 상면에 맞닿는 상면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평 방향을 향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하면은 롤러가 맞닿고, 상면은 상면 가이드가 맞닿으므로 수평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에 의하면, 벤더로부터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에 이르는 사이에,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다리부의 벌어짐을 억제하여, 정규 피치로 수평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도 1은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정렬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정렬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3 스토퍼∼제4 스토퍼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제5 스토퍼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제2 스토퍼의 정면도이다.
도 8은 가동 피치 정렬부를 이동시켰을 때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흔들림 방지 스토퍼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방향 전환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외측 가이드판이 정규 피치 정렬부에 하강하여 진입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방향 전환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2a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2d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를 적층 핀에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삽입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이하, 단지 정렬 장치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음)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구리관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의 금속관으로, 중앙의 굽힘부(21)에서 U자 형상으로 구부린 것이다.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벤더(도시 생략)에 의해 U자 형상으로 구부린 것이기 때문에, 그 탄성력에 의해 다리부(22)가 벌어져 있는 경우가 많고, 또 구부러짐이나 꼬임도 발생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벤더로부터 적층 핀으로의 삽입 장치에 이송되기 전에, 본 실시형태와 같은 정렬 장치에 의해 정렬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도 2에 정렬 장치의 전체 구성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정렬 장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정렬시키는 정렬부(30)와, 정렬부(30)에서 정렬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방향 전환하는 방향 전환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정렬부(30)는 적층 핀의 투공의 피치에 맞춘 피치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정렬시킨다. 그리고 방향 전환부(90)는 정렬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수평 방향을 향하게 함과 아울러, 벌어져 있는 다리부(22)의 폭을 투공의 피치에 맞춘다.
또한, 도 2에서는, 방향 전환부(90)의 하방에는, 수평 방향을 향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유지하는 가이드 장치(110)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정렬 장치에는 가이드 장치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정렬부)
도 3에 배치판에 의한 정렬부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에 정렬부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정렬부(30)는 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배치판(32)을 구비하고 있다. 배치판(32)은 그 상면이 삽입 장치측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부(32a)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경사부(32a)에서 낮게 되어 있는 측 즉 삽입 장치측을 하류측, 높게 되어 있는 측 즉 벤더측을 상류측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굽힘부(21)를 배치판(32)의 경사부(32a)에 걸므로써 배치된다.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배치판(32)에 배치시키면, 그 다리부(22)는 배치판(32)을 사이에 끼고 좌우 양측에 배치되게 된다.
배치판(32)끼리의 수평 방향의 간격은 상류측에서는 삽입 대상이 되는 적층 핀의 투공의 피치(이하, 정규 피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4배의 간격이다. 이 상류측에서의 복수의 배치판을 광피치 정렬부(34)라고 칭한다.
하류측에서의 배치판(32)끼리의 수평 방향의 간격은 정규 피치의 2배이다. 이 하류측에서의 복수의 배치판을 정규 피치 정렬부(36)라고 칭한다.
즉, 정규 피치 정렬부(36)에서는, 광피치 정렬부(34)의 배치판(32)의 2배의 수의 배치판(32)이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광피치 정렬부(34)는 배치판(32)의 배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동 광피치 정렬부(38)와, 배치판(32)의 배열 방향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고정 광피치 정렬부(33)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 광피치 정렬부(38)는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와 배치판(32)의 수가 같은 만큼 설치되어 있고, 배치판(32)끼리의 간격도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와 동일한 간격의 정규 피치의 4배이다.
가동 광피치 정렬부(38)는 복수의 배치판(32)을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 광피치 정렬부(38)는, 예를 들면, 볼 나사와 모터의 조합, 또는 에어 실린더 등의 직동 장치(39)를 채용하여 복수의 배치판(32)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정규 피치 정렬부(36), 고정 광피치 정렬부(33), 가동 광피치 정렬부(38)에 배치되어 있는 배치판(32)은 측면에서 보아 경사부(32a)가 연속되어 있다.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의 경사부(32a)에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배치한 경우, 어느 것인가의 스토퍼(후술함)가 존재하지 않으면,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고정 광피치 정렬부(33)로부터 정규 피치 정렬부(36)까지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내려와 이동한다.
또한, 정규 피치 정렬부(36)에 있어서의, 복수의 배치판(32)의 삽입 장치측으로의 돌출 길이는 1개 걸러 상이한 길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지면 최하부에 위치하는 배치판(32)을 1, 그 위에 위치하는 배치판을 2라고 하는 것과 같이 배치판(32)에 차례로 부호를 붙이고 있다. 홀수의 부호가 붙여진 각 배치판은 짝수의 부호가 붙여진 각 배치판보다도 삽입 장치측으로 길어지도록 돌출해 있다.
정규 피치 정렬부(36)에는,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각 배치판(32)에 배치되어 있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이 위치에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지지하여 정지시키는 제1 스토퍼(40), 제2 스토퍼(4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스토퍼(40)는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홀수열의 배치판(32)의 하류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홀수열의 배치판(32)에 배치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정지시킨다.
제2 스토퍼(42)는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짝수열의 배치판(32)의 하류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짝수열의 배치판(32)에 배치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정지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수열의 배치판(32)은 짝수열의 배치판(32)보다도 하류측으로 길게 돌출해 있으므로, 제1 스토퍼(40)는 제2 스토퍼(42)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해 있다.
제1 스토퍼(40) 및 제2 스토퍼(42)는 상하동 장치에 의해 상하동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동 장치로서 에어 실린더 등의 실린더 장치(45)를 채용하고 있다.
실린더 장치(45)는, 제1 스토퍼(40) 및 제2 스토퍼(42)의 상방에서, 로드(46)를 하방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장치(45)의 로드(46)의 하단부에는, 제1 스토퍼(40) 및 제2 스토퍼(42)의 쌍방의 상단부가 부착된 기부(4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실린더 장치(45)가 작동하면, 제1 스토퍼(40) 및 제2 스토퍼(42)는 동시에 상하동한다.
또한, 정규 피치 정렬부(36)에서의 제2 스토퍼보다도 상류측에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제1 스토퍼(40) 및 제2 스토퍼(42)로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5 스토퍼(44)가 설치되어 있다.
제5 스토퍼(44)의 상방에는, 실린더 장치(47)가 로드(48)를 하방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로드(48)의 하단부에 제5 스토퍼(44)의 상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실린더 장치(47)가 작동함으로써, 제5 스토퍼(44)가 상하동한다.
가동 광피치 정렬부(38)에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정규 피치 정렬부(36)로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4 스토퍼(50)가 설치되어 있다.
제4 스토퍼(50)의 상방에는, 실린더 장치(51)가 로드(52)를 하방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로드(52)의 하단부에 제4 스토퍼(50)의 상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실린더 장치(51)가 작동함으로써, 제4 스토퍼(50)가 상하동한다.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의 각 배치판(32)의 경사부(32a)에는, 벤더로부터 보내져 온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1개의 배치판(32)에 대하여 복수 배치된다.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에서는, 각 배치판(32)에 있어서의 복수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로부터 1개씩 하류측으로 내보내기 위한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에는, 제3 스토퍼(54)와, 세퍼레이터(57)가 설치되어 있다.
제3 스토퍼(54)는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의 각 배치판(32)에 복수 배치되어 있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 중 최하류에 위치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하류측에 맞닿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최하류에 위치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상류측에는, 세퍼레이터(57)가 배치되어 있다. 세퍼레이터(57)는, 제3 스토퍼(54)의 상류측에 있어서, 각 배치판(32)에서 복수 배치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 중 하류측의 선두에 위치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와, 그 후방에 나열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 사이에 진입하여, 후방에 나열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그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제3 스토퍼(54)의 상방에는, 실린더 장치(55)가 로드(56)를 하방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로드(56)의 하단부에 제3 스토퍼(54)의 상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실린더 장치(55)가 작동함으로써, 제3 스토퍼(54)가 상하동한다.
세퍼레이터(57)의 상방에는, 실린더 장치(58)가 로드(59)를 하방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로드(59)의 하단부에 세퍼레이터(57)의 상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실린더 장치(58)가 작동함으로써, 세퍼레이터(57)가 상하동한다.
도 5에, 제3∼제4 스토퍼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제3∼제4 스토퍼(54, 5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배치판(32)의 상부가 진입 가능한 슬릿부(60)가 고정 광피치 정렬부(33) 및 가동 광피치 정렬부(38)의 배치판(32)의 수만큼 형성된 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3∼제4 스토퍼(54, 50)는 각각의 위치에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각 슬릿부(60) 내에 배치판(32)이 진입할 때까지 하강함으로써, 각각의 위치에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
도 6에, 제5 스토퍼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제5 스토퍼(44)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배치판(32)의 상부가 진입 가능한 슬릿부(60)가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배치판(32)의 수만큼 형성된 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5 스토퍼(44)의 슬릿부의 수는 제3∼제4 스토퍼의 슬릿부(60)의 수의 2배의 수로 되어 있다.
제5 스토퍼(44)는 각 슬릿부(60) 내에 배치판(32)이 진입할 때까지 하강함으로써 홀수열의 배치판(32)으로 이동해 온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 및 짝수열의 배치판(32)으로 이동해 온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
도 7에, 제1 스토퍼 및 제2 스토퍼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제1 스토퍼(40) 및 제2 스토퍼(42)는 모두 기부(43)의 하면에 하방으로 뻗는 것과 같이 부착된 원주 형상의 부재이다.
제1 스토퍼(40) 및 제2 스토퍼(42)의 폭(원주의 직경)은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굽힘부(21) 내에 수납 가능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스토퍼(40) 및 제2 스토퍼(42)를 구성하는 원주의 직경은 굽힘부(21)의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향 전환부(90)에 의해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방향을 바꿀 때, 굽힘부(21)를 제1 스토퍼(40) 또는 제2 스토퍼(42)에 걸어 수평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1 스토퍼(40)는 그 상류측의 면이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홀수열의 배치판(32)의 하류측 선단부에 맞닿는다.
그러면 홀수열의 배치판(32)을 이동해 온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굽힘부(21)의 하류측 단면에 제1 스토퍼(40)가 맞닿아, 배치판(32)을 이동해 온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정지한다.
또한, 제2 스토퍼(42)는 제1 스토퍼(40)와 일체로 상하동하기 때문에, 제1 스토퍼(40)가 홀수측의 배치판(32)의 하류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을 때도, 짝수열의 배치판(32)의 하류측 단면에 맞닿아 있다.
짝수열의 배치판(32)을 이동해 온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굽힘부(21)의 하류측 단면에 제2 스토퍼(42)가 맞닿아, 배치판(32)을 이동해 온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정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세퍼레이터(57)는 배치판(32)이 진입 가능한 슬릿부(60)를 설치하지 않은 판 형상의 부재이다(정면도는 도시 생략). 단, 세퍼레이터(57)는 하단부가 끝이 뾰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의 최하류측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와, 최하류측에서 2번째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 사이에 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세퍼레이터(57)의 선단부는 배치판(32)의 상면인 경사부(32a)에 맞닿는다.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하방에는,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배치판(32)에 배치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흔들림을 정지시키는 흔들림 방지 스토퍼(74)가 설치되어 있다.
흔들림 방지 스토퍼(74)는 홀수열의 배치판(32)을 하강해 와서 제1 스토퍼(40)에 의해 정지시켜졌을 때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흔들림을 정지시키기 위해,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하단부에 맞닿는다.
흔들림 방지 스토퍼(74)에는, 흔들림 방지 스토퍼(74)를 상하동시키는 상하동 장치(76)와, 흔들림 방지 스토퍼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직동 장치(78)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동 장치(76) 및 직동 장치(78) 모두 에어 실린더 등의 실린더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상하동 장치(76)를 작동함으로써 흔들림 방지 스토퍼(74)를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하류 측면에 맞닿는 위치와,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에 맞닿지 않는 위치(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직동 장치(78)를 작동시킴으로써, 흔들림 방지 스토퍼(74)를, 제1 스토퍼(40)에 맞닿아 있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하류 측면과, 제2 스토퍼(42)에 맞닿아 있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하류 측면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광피치 정렬부(38)를 수평 이동시키는 직동 장치(39), 각 실린더 장치(45, 47, 51, 55, 58), 및 흔들림 방지 스토퍼(74)의 상하동 장치(76), 직동 장치(78)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70)는 CPU 및 메모리로 구성되고, 메모리에는 직동 장치(39), 각 실린더 장치(45, 47, 51, 55, 58), 상하동 장치(76), 직동 장치(78)의 동작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CPU가 메모리로부터 제어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각 구성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정렬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홀수열의 배치판(32)에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배치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제1∼제5 스토퍼(40, 42, 54, 50, 44)는 하강하고 있는 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의 각 배치판(32)에는, 벤더에 의해 성형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보내져 온다.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에 보내져 오는 복수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제3 스토퍼(54)에 의해, 하류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그 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에 제어부(70)는 세퍼레이터(57)를 하강시켜,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의 최하류측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와, 최하류측에서 2번째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 사이에 진입시킨다. 이것에 의해, 최하류에 위치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그것보다 상류측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제어부(70)는 실린더 장치(55)를 작동시켜 제3 스토퍼(54)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의 최하류에 위치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만이 가동 광피치 정렬부(38)를 향하여 자중에 의해 이동한다.
제어부(70)는 제3 스토퍼(54)를 상승시킨 뒤, 바로 제3 스토퍼(54)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실린더 장치(58)를 작동시켜 세퍼레이터(57)를 상승시키고, 세퍼레이터(57)에 의해 정지해 있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자중에 의해 이동하여 제3 스토퍼(54)에 맞닿아 정지한다.
가동 광피치 정렬부(38)에서는, 제4 스토퍼(50)가 광피치 정렬부(34)로부터 이동해 온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정지시킨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광피치 정렬부(38)의 각 배치판(32)이,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홀수열의 배치판(32)의 위치와 일치해 있을 때, 제어부(70)가 실린더 장치(51)를 작동시켜 제4 스토퍼(50)를 상승시키면, 가동 광피치 정렬부(38)에 배치되어 있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자중에 의해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홀수열의 배치판(32)으로 이동한다.
제어부(70)는 제4 스토퍼(50)를 상승시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이동시킨 뒤, 실린더 장치(51)를 작동시켜 제4 스토퍼(50)를 하강시킨다.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홀수열의 배치판(32)으로 이동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제5 스토퍼(44)에 맞닿아 정지한다.
다음에 제어부(70)는 실린더 장치(47)를 작동시켜 제5 스토퍼(44)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제5 스토퍼(44)에 의해 정지해 있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자중에 의해 홀수열의 배치판(32)의 하류측 선단부까지 이동하여, 제1 스토퍼(40)에 맞닿아 정지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제5 스토퍼(44)를 상승시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이동시킨 뒤, 실린더 장치(47)를 작동시켜 제5 스토퍼(44)를 하강시킨다.
다음에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짝수열의 배치판(32)에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배치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제어부(70)는 세퍼레이터(57)를 하강시켜,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의 최하류측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와, 최하류측에서 2번째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 사이에 진입시킨다. 이것에 의해, 최하류에 위치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그것보다 상류측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실린더 장치(55)를 작동시켜 제3 스토퍼(54)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의 최하류에 위치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만이 가동 광피치 정렬부(38)를 향하여 자중에 의해 이동한다.
제어부(70)는 제3 스토퍼(54)를 상승시킨 뒤, 바로 제3 스토퍼(54)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실린더 장치(58)를 작동시켜 세퍼레이터(57)를 상승시키고, 세퍼레이터(57)에 의해 정지해 있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자중에 의해 이동하여 제3 스토퍼(54)에 맞닿아 정지한다.
가동 광피치 정렬부(38)에서는, 제4 스토퍼(50)가 광피치 정렬부(34)로부터 이동해 온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정지시킨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70)는 직동 장치(39)를 작동시켜, 가동 광피치 정렬부(38)의 배치판(32)이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배치판(32)의 짝수열과 일직선이 되는 위치까지 가동 광피치 정렬부(38)를 이동시킨다.
제어부(70)는 가동 광피치 정렬부(38)의 이동 종료 후, 실린더 장치(51)를 작동시켜 제4 스토퍼(50)를 상승시키면, 가동 광피치 정렬부(38)에 배치되어 있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자중에 의해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짝수열의 배치판(32)으로 이동한다.
제어부(70)는 제4 스토퍼(50)를 상승시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이동시킨 뒤, 실린더 장치(51)를 작동시켜 제4 스토퍼(50)를 하강시킨다.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짝수열의 배치판(32)으로 이동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제5 스토퍼(44)에 맞닿아 정지한다.
다음에 제어부(70)는 실린더 장치(47)를 작동시켜 제5 스토퍼(44)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제5 스토퍼(44)에 의해 정지해 있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자중에 의해 짝수열의 배치판(32)의 하류측 선단부까지 이동하고, 제2 스토퍼(42)에 맞닿아 정지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제5 스토퍼(44)를 상승시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이동시킨 뒤, 실린더 장치(47)를 작동시켜 제5 스토퍼(44)를 하강시킨다.
다음에 도 9에 기초하여 흔들림 방지 스토퍼(74)의 동작 설명을 한다. 도 9에서는, 정규 피치 정렬부(36)에서의 동작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9a에서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홀수열의 배치판(32)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70)가 제5 스토퍼(44)를 상승시키고,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하강시키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9b에서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홀수열의 배치판(32)을 하강하여 제1 스토퍼(40) 및 흔들림 방지 스토퍼(74)의 쌍방에 맞닿아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흔들림 방지 스토퍼(74)의 상류 측면은 제1 스토퍼(40)의 상류 측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홀수열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배치판(32)의 최하류로 이동해 오면,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상부가 제1 스토퍼(40)에 맞닿음과 아울러, 하부가 흔들림 방지 스토퍼(74)에 맞닿기 때문에, 이동으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다리부(2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c에서는, 제어부(70)가 실린더 장치(47)를 작동시켜 제5 스토퍼(44)를 하강시키고, 또 상하동 장치(76)를 작동시켜 흔들림 방지 스토퍼(74)를 하강시킨 뒤 직동 장치(78)를 작동시켜 흔들림 방지 스토퍼(74)를 제1 스토퍼(40)의 상류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9d에서는 제어부(70)가 상하동 장치(76)를 작동시켜, 짝수열의 배치판(32)에서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하부에 맞닿음 가능한 위치까지 흔들림 방지 스토퍼(74)를 상승시킨다.
도 9e에서는,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짝수열의 배치판(32)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70)가 제5 스토퍼(44)를 상승시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다.
다음에 도 9f에서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짝수열의 배치판(32)을 이동하여 제2 스토퍼(42) 및 흔들림 방지 스토퍼(74)의 쌍방에 맞닿아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흔들림 방지 스토퍼(74)의 상류 측면은 제2 스토퍼(42)의 상류 측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짝수열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배치판(32)의 최하류로 이동해 오면,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상부가 제2 스토퍼(42)에 맞닿음과 아울러, 하부가 흔들림 방지 스토퍼(74)에 맞닿기 때문에, 이동으로부터 정지에 이르기까지의 다리부(2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해 온 실시형태에서는,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홀수열의 배치판(32)을 짝수열보다도 삽입 장치측으로 길게 늘인 형태이었다. 그러나, 짝수열의 배치판(32)을 홀수열의 배치판(32)보다도 삽입 장치측으로 길게 한 형태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은 정렬부(30)에 의하면, 다리부(22)가 벌어져 있는 상태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이동 방향에 대하여 오프셋한 위치에 번갈아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규 피치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배치한 경우이어도, 이웃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끼리 접촉하거나 간섭해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정규 피치 정렬부(36)에서는 홀수열의 배치판(32)과, 짝수열의 배치판(32)에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정지 위치를 2단계로 한 것이었지만, 이웃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끼리 이동 방향에 동일한 위치에 있지 않으면 되고, 예를 들면, 배치판(32)마다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정지 위치가 3단계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광피치 정렬부(34)는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2배의 간격으로 배치판(32)이 배치되어 있지만, 광피치 정렬부(34)에서의 배치판(32)의 간격은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배치 간격의 2배 이상의 정수배이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광피치 정렬부(34)가 고정 광피치 정렬부(33)와 가동 광피치 정렬부(38)의 2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광피치 정렬부(34) 전체가 배치판(32)의 배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4 스토퍼(50)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방향 전환부)
다음에 방향 전환부(90)의 구성에 대하여,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방향 전환부(90)는 1개의 배치판(32)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하강하여 1개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2개의 다리부(22)의 상류측에 맞닿는 롤러(92)를 각각 갖는 외측 가이드판(94)과, 외측 가이드판(94)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되고,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수평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었을 때 2개의 다리부(22) 사이에 진입하도록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봉 형상의 내측 가이드(96)와, 내측 가이드(96)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수평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었을 때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2개의 다리부(22)의 상면에 맞닿는 상면 가이드(98)를 구비하고 있다. 상면 가이드(98)의 상부는 상하 방향으로 뻗는 로드(99)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로드(99)의 상단부는 기부(100)에 부착되어 있다.
외측 가이드판(94)의 상단부도 기부(100)에 부착되어 있다. 기부(100)는 실린더 장치(102)의 로드(103)에 부착되어 있고, 실린더 장치(102)가 작동함으로써 상하동한다.
기부(100)가 상하동함으로써, 내측 가이드(96), 상면 가이드(98) 및 외측 가이드판(94)은 일체로 되어 상하동한다.
또 실린더 장치(102)도 또한 실린더 장치(104)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장치(104)의 로드(105)의 하단부는 실린더 장치(102)를 재치하고 있는 재치부(106)에 부착되어 있어, 실린더 장치(104)가 작동함으로써 내측 가이드(96), 상면 가이드(98) 및 외측 가이드판(94)은 실린더 장치(102)를 포함하여 일체로 되어 상하동한다.
또한, 실린더 장치(104)는 직동 장치(108)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직동 장치(108)는 벤더측으로부터 삽입 장치측을 향하는 방향에 걸쳐 왕복운동 가능하다.
실린더 장치(102, 104) 및 직동 장치(108)는 제어부(70)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70)에 의해 동작 제어된다.
도 11에 외측 가이드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외측 가이드판(94)은 배치판(32)의 사이에 진입 가능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각 배치판(32)의 사이와, 가장 외측의 배치판(1의 배치판과, 12의 배치판)의 외측에 배치된다.
각 외측 가이드판(94)의 측면에는, 회전축이 수평면 내에서 폭 방향을 향하는 롤러(92)가 부착되어 있다. 롤러(92)는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배치판(32)에 배치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상류측에 맞닿는 위치에 설치된다.
각 배치판(32)의 사이에 진입하는 외측 가이드판(94)의 일방의 면에는, 홀수열의 배치판(32)에 배치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일방의 다리부(22)에 맞닿는 롤러(92a)가 설치되고, 그 반대측의 타방의 면에는, 짝수열의 배치판(32)에 배치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일방의 다리부(22)에 맞닿는 롤러(9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측 가이드판(94)으로서는, 일방의 면에 짝수열의 배치판(32)에 배치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일방의 다리부(22)에 맞닿는 롤러(92b)가 설치되고, 타방의 면에 홀수열의 배치판(32)에 배치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일방의 다리부(22)에 맞닿는 롤러(92a)가 설치되어 있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각 배치판(32)의 사이에 진입하는 외측 가이드판(94)은 일방측의 면과 타방측의 면에 홀수열의 배치판(32)을 향하는 롤러(92a)와, 짝수열의 배치판(32)을 향하는 롤러(92b) 중 어느 하나가 각각 1개씩 배치되어 있지만, 롤러(92a)와 롤러(92b)의 배치면이 반대의 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즉, 1장의 외측 가이드판(94)에 의해 홀수측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다리부(22) 중 어느 하나와, 짝수측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다리부(22) 중 어느 하나에 맞닿는다.
또한, 1의 배치판(32)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가이드판(94)에는, 1의 배치판(32)에 배치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일방의 다리부에 맞닿는 롤러(92a)만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12의 배치판(32)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가이드판(94)에는, 12의 배치판(32)에 배치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일방의 다리부에 맞닿는 롤러(92b)만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측 가이드판(94)이 각 배치판(32)의 사이와, 폭 방향의 최외부의 배치판(32)의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각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각 다리부(22) 상호간의 간격이 벌어져 있는 경우에 그 벌어짐을 적정한 간격으로 규제할 수 있다.
즉, 각 외측 가이드판(94)의 배치판(32)을 향하는 면이 각 다리부(22)에 맞닿음으로써 다리부(22)를 외측으로부터 적정 간격으로 억누르고 있다. 이 때문에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각 다리부(22)의 벌어짐을 억제하여 적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2에 방향 전환부(90)의 동작에 대해 도시한다. 도 12a의 A 방향에서 본 정면도를 도 13에 도시하고, 도 12d의 A 방향에서 본 정면도를 도 14에 도시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동작은 도 9에 도시한 동작의 계속이다. 즉, 도 9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수열의 배치판(32)에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배치된 뒤, 짝수열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배치되고, 그 후 흔들림 방지 스토퍼(74)가 홀수열의 배치판(32)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와, 짝수열의 배치판(32)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로부터 벗어난 후에, 방향 전환부(90)가 동작한다.
도 12a에서는, 제어부(70)에 의해 실린더 장치(102 및 104)가 작동하여, 정규 피치 정렬부(36)의 상방으로부터 방향 전환부(90)가 하강한다. 그리고, 외측 가이드판(94)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92a)가 홀수열의 배치판(32)에 배치되어 있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상류측의 면에 맞닿는다. 또한, 외측 가이드판(94)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92b)가 짝수열의 배치판(32)에 배치되어 있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상류측의 면에 맞닿는다.
방향 전환부(90)의 하강은, 각 롤러(92)가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상단부로부터,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상하 방향의 길이의 1/3 정도인 지점에서 정지한다.
다음에, 도 12b와 같이, 제어부(70)에 의해 방향 전환부(90)의 직동 장치(108)가 작동하여, 방향 전환부(90) 전체가 삽입 장치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그러면, 방향 전환부(9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외측 가이드판(94)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92a)가 홀수열의 배치판(32)에 배치되어 있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상류측을 가압하여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아래로부터 밀어올린다.
이때,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굽힘부(21)는 제1 스토퍼(40) 내에 걸리는 상태가 되고, 굽힘부(21)를 중심으로 하여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하단부가 서서히 삽입 장치측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동작한다.
마찬가지로, 방향 전환부(9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외측 가이드판(94)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92b)가 짝수열의 배치판(32)에 배치되어 있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상류측을 가압하여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아래로부터 밀어올린다.
이때,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굽힘부(21)는 제2 스토퍼(42) 내에 걸리는 상태가 되고, 굽힘부(21)를 중심으로 하여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하단부가 서서히 삽입 장치측으로 회동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하단부가 서서히 삽입 장치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다리부(22) 사이에 내측 가이드(96)가 진입한다.
도 12c에서는, 제어부(70)에 의해, 방향 전환부(90)가 수평 이동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후에, 직동 장치(108)에 의한 수평 이동이 정지하고, 실린더 장치(102)가 작동하여 방향 전환부(90)가 소정 거리 상승한다.
그리고, 도 12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70)에 의해, 실린더 장치(102)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가 수평 방향을 향하는 위치로 된 시점에서 작동 정지한다.
이때,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각 다리부(22)의 상면에 상면 가이드(98)가 맞닿아 있고, 또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하면에는 롤러(92a, 92b)가 맞닿아 있기 때문에, 수평 방향을 향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상하 방향의 가이드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외측 측면에는 외측 가이드판(94)이 맞닿고, 내측 측면에는 내측 가이드(96)가 맞닿기 때문에, 수평 방향을 향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가로 방향(수평 방향)의 가이드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향 전환부(90)를 구비함으로써,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의 다리부(22)의 벌어짐을 억제하여, 적층 핀(10)의 투공(11)의 피치에 맞추어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수평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전환부(90)에 의해 정규 피치로 수평 방향으로 정렬한 복수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는 도 2에 도시한 가이드 장치(110)에 옮겨 실린다.
가이드 장치(110)는 정규 피치로 수평 방향으로 정렬한 복수의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20)를 유지하고, 삽입측으로 이동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적합한 실시형태를 들어 다양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개변(改變)을 시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3)

  1. 열교환기용의 적층 핀의 투공에 삽입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를 정렬시키는 정렬 장치로서,
    삽입 위치측을 향하여 상면이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부를 가지고 있고, 이 경사부에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굽힘부가 걸쳐져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가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배치판이 적층 핀의 투공의 피치의 2배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정규 피치 정렬부와,
    이 정규 피치 정렬부의 각 배치판에 배치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가 동일한 위치에서 이웃하지 않도록, 배치판마다 경사 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굽힘부의 하류측에 맞닿아,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를 정지시키는 복수의 스토퍼를 갖는 스토퍼 장치와,
    이 스토퍼 장치에 의해 정지해 있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다리부의 상류측에 맞닿는 롤러를 갖고,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다리부의 외측 측면에 맞닿는 복수의 외측 가이드판과,
    이 외측 가이드판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 장치와,
    상기 외측 가이드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동 장치와,
    상기 수평 이동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외측 가이드판을 삽입 위치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키고, 그 후 상기 상하동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외측 가이드판을 소정 거리 상승시킴으로써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를 수평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이드판과 일체로 수평 이동 및 상하동 가능하며, 상기 외측 가이드판보다도 하류측에서 상기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다리부의 사이에 진입 가능한 내측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이드판과 일체로 수평 이동 및 상하동 가능하며, 상기 외측 가이드판보다도 하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된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다리부의 상면에 맞닿는 상면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
KR1020197007040A 2016-11-14 2016-11-14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 KR102181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3709 WO2018087925A1 (ja) 2016-11-14 2016-11-14 ヘアピン状の熱交換チューブ整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630A true KR20190038630A (ko) 2019-04-08
KR102181442B1 KR102181442B1 (ko) 2020-11-23

Family

ID=6210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040A KR102181442B1 (ko) 2016-11-14 2016-11-14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73295B2 (ko)
JP (1) JP6667661B2 (ko)
KR (1) KR102181442B1 (ko)
CN (1) CN109996618B (ko)
WO (1) WO20180879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7195B2 (ja) * 2019-11-12 2022-03-16 日高精機株式会社 ヘアピン状熱交換チューブ整列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2923A (ja) * 1984-04-30 1985-12-02 キヤリア・コーポレイシヨン フインパツクユニツト内へのヘアピン管の取付方法及び装置
JPH0615392A (ja) * 1992-07-02 1994-01-25 Hidaka Seiki Kk 熱交換器組立装置におけるスタックピンホルダー循環装置
JPH0929372A (ja) * 1994-11-21 1997-02-04 Kyoshin Kogyo Kk 熱交換器のヘアピン管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JPH10263733A (ja) * 1997-03-24 1998-10-06 Toshiba Corp 切断積層装置
JPH1128626A (ja) * 1997-07-08 1999-02-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チューブ整列装置
KR19990051517A (ko) * 1997-12-19 1999-07-05 구자홍 열교환기용 리턴 벤더의 피치 교정 장치
JP3315151B2 (ja) 1992-07-02 2002-08-19 日高精機株式会社 熱交換器組立装置のパイプ挿入装置
KR101437863B1 (ko) * 2011-12-22 2014-09-04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편평 튜브용 핀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0044A (ja) * 2011-12-09 2013-06-17 Panasonic Corp フィンチューブ熱交換器とその製造方法
KR101375770B1 (ko) * 2012-06-27 2014-03-19 주식회사 고산 열교환기
JP5673875B2 (ja) * 2013-01-31 2015-02-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伝熱管挿入装置
CN104001803B (zh) * 2014-05-23 2016-03-02 鄞楠 蒸发器成型设备及其成型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2923A (ja) * 1984-04-30 1985-12-02 キヤリア・コーポレイシヨン フインパツクユニツト内へのヘアピン管の取付方法及び装置
JPH0615392A (ja) * 1992-07-02 1994-01-25 Hidaka Seiki Kk 熱交換器組立装置におけるスタックピンホルダー循環装置
JP3315151B2 (ja) 1992-07-02 2002-08-19 日高精機株式会社 熱交換器組立装置のパイプ挿入装置
JPH0929372A (ja) * 1994-11-21 1997-02-04 Kyoshin Kogyo Kk 熱交換器のヘアピン管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JPH10263733A (ja) * 1997-03-24 1998-10-06 Toshiba Corp 切断積層装置
JPH1128626A (ja) * 1997-07-08 1999-02-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チューブ整列装置
KR19990051517A (ko) * 1997-12-19 1999-07-05 구자홍 열교환기용 리턴 벤더의 피치 교정 장치
KR101437863B1 (ko) * 2011-12-22 2014-09-04 히다카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편평 튜브용 핀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7925A1 (ja) 2018-05-17
KR102181442B1 (ko) 2020-11-23
JP6667661B2 (ja) 2020-03-18
CN109996618B (zh) 2020-05-05
JPWO2018087925A1 (ja) 2019-06-24
US10773295B2 (en) 2020-09-15
CN109996618A (zh) 2019-07-09
US20190168284A1 (en)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5876B2 (ja)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JP5505913B2 (ja) 扁平チューブ用フィンの製造装置
KR20190028539A (ko)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
KR20130079178A (ko) 편평 튜브용 핀의 제조장치
JP6473515B2 (ja) ヘアピン状の熱交換チューブ整列装置
KR20190038630A (ko)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 정렬 장치
ITMI951325A1 (it) Stazione di trasferimento di tubi da un apparato di taglio/piegatura ad un apparato di aggraffatura
JP6503468B2 (ja) ヘアピン状の熱交換チューブのガイド装置及びヘアピン状の熱交換チューブの挿入装置
KR20200139661A (ko) 열교환 튜브 삽입 장치
JP7037195B2 (ja) ヘアピン状熱交換チューブ整列装置
KR102173933B1 (ko) 헤어핀 형상의 열교환 튜브의 가이드 장치
KR100928571B1 (ko) 열교환기용 튜브 분배 장치
KR200448735Y1 (ko) 냉각핀정렬장치
CN211162746U (zh) 发夹状热交换管的排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