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372A -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372A
KR20190038372A KR1020180113975A KR20180113975A KR20190038372A KR 20190038372 A KR20190038372 A KR 20190038372A KR 1020180113975 A KR1020180113975 A KR 1020180113975A KR 20180113975 A KR20180113975 A KR 20180113975A KR 20190038372 A KR20190038372 A KR 20190038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wer
pressing
mobile phone
support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첸주용
Original Assignee
센젠 커 신랑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커 신랑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센젠 커 신랑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관통홀에 가압부를 결합하고, 이 가압부 사이에 구동부를 설치하며, 본체 상부를 받침패드로 덮어 커버하고, 본체 하단에 받침걸이를 형성하며, 본체 내측 상단에 터치센서를 설치하되, 본체 내측에 받침패드의 투과홀에 대응하는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본체 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를 설치함으로써, 본체 상단 터치에 의해 구동부가 구동되어 가압부를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받침패드 상에 올려진 휴대폰을 감지센서가 감지함과 동시에 구동부가 구동되어 가압부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혀지도록 하여, 받침패드 상에 올려진 휴대폰을 받침패드 상에 자동으로 견고하게 거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상단을 터치하는 단순 동작을 통해 가압부가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완력이 불필요하고, 또한, 받침패드 상에 휴대폰 안착시 가압부가 휴대폰 양측면을 자동으로 견고하게 물어 고정하며, 본체 상단을 터치하거나 혹은 휴대폰을 받침패드 상에 안착시키는 단순 동작을 통해 가압부가 자동 작동되어 한손 조작이 가능하고, 이러한, 한손 조작으로 다른 업무를 수행하거나 혹은 운전중에 휴대폰을 받침패드 상에 손쉽고 빠르게 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Mobile phone cradle}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센서 및 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로 가압부를 서로 마주보거나 혹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시켜, 받침패드 상에 올려진 휴대폰을 가압 고정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거치대는 정해진 장소에서 휴대폰이 정해진 각도로 세워지도록 고정하여, 휴대폰 화면을 바라보거나 혹은 휴대폰의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차량용 휴대폰거치대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부가 개방되어 그 내측에 요함실을 형성하고, 하단에 이탈 방지턱을 형성한 몸체와, 상기 요함실 내에 결합되어 팽창스프링에 의해 상, 하 이동하는 수납지지판과, 상기 몸체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이 인장스프링에 의해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크립 및 상기 몸체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여기서, 크립을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당겨 상기 크립 사이가 벌어지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휴대폰을 안착시켜, 이 휴대폰의 하단이 이탈방지턱에 걸림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폰이 상기 몸체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때, 상기 크립의 당김력을 해제함에 따라, 상기 크립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상기 인장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크립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휴대폰 양측을 가압 고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크립의 홈으로 휴대폰 양측면이 진입되면서, 상기 걸림턱이 휴대폰 양측면 상면에 걸림되어 휴대폰이 상기 크립 사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휴대폰의 후면에 보조배터리를 밀착한 상태 또는 대용량 배터리가 부착된 휴대폰을 몸체에 안착시키게 되면, 보조배터리 또는 대용량 배터리가 수납지지판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수납지지판을 가압하여, 상기 수납지지판이 요함실 내로 정해진 깊이 이상 진입된다.
이때, 상기 수납지지판은 팽창스프링을 눌러 가압하면서 상기 요함실 내로 진입되고, 상기 몸체에서 휴대폰을 탈거하게 되면, 상기 팽창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납지지판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한손으로 크립을 벌리는게 불가능 하여, 양손을 이용하여 크립을 벌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노약자 또는 어린이와 같이 완력이 약한 사용자의 경우 크립을 벌리는데 큰 어려움이 있으며, 휴대폰 거치 및 탈거시 매번 크립을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당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특히, 이 크립을 벌리는 반복 작업으로 인해 인장스프링의 인장력이 현저히 저하되며, 이 인장스프링의 인장력 저하로 휴대폰을 가압 고정하는 크립의 가압력이 저하되어, 휴대폰이 몸체에서 손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353373 Y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관통홀에 가압부를 결합하고, 이 가압부 사이에 구동부를 설치하며, 본체 상부를 받침패드로 덮어 커버하고, 본체 하단에 받침걸이를 형성하며, 본체 내측 상단에 터치센서를 설치하되, 본체 내측에 받침패드의 투과홀에 대응하는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본체 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를 설치함으로써, 본체 상단 터치에 의해 구동부가 구동되어 가압부를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받침패드 상에 올려진 휴대폰을 감지센서가 감지함과 동시에 구동부가 구동되어 가압부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혀지도록 하여, 받침패드 상에 올려진 휴대폰을 받침패드 상에 자동으로 견고하게 거치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양 측면에 관통홀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고, 그 말단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거나 혹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구동되어 상기 가압부를 수평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 상부를 덮어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면에 투과홀을 형성하여 상면에 휴대폰이 떠받쳐 지도록 하는 받침패드; 상기 본체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받침패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패드에 떠받쳐진 상기 휴대폰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걸이; 상기 본체의 내측 상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 상단을 터치하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터치센서; 상기 받침패드의 투과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패드에 올려진 휴대폰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감지센서; 및 상기 본체의 하단과 상기 받침패드 사이에 설치되고, 외부전원선 입력을 허용하여 상기 구동부, 터치센서 및 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에 상기 전원단자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되, 상기 구동부, 터치센서 및 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패드는, 상기 전원단자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면에 올려진 휴대폰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패드는 상면 하부에 표시홀을 형성하고, 상기 전원단자는 상면에 상기 표시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표시홀을 통해 정해진 색상으로 발광하여 상기 전원단자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상태를 알리는 발광램프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제1동력전달기어;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와 맞물리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기어; 및 외면이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와 맞물리도록 결합되되, 상면에 상기 가압부와 맞물리는 소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압부를 수평 이동시키는 구동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와 웜기어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판재형상으로 그 내측에 일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의 벽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소기어에 맞물림되는 톱니부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인 타측에 받침패드에 안착된 휴대폰 양측을 눌러 고정하는 가압돌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내측에 상기 터치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가압부가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입력받거나 혹은 정해진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가압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7 ~ 15초를 초과하는 시점에서 상기 가압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상단을 터치하는 단순 동작을 통해 가압부가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완력이 불필요하고, 또한, 받침패드 상에 휴대폰 안착시 가압부가 휴대폰 양측면을 자동으로 견고하게 물어 고정하며, 본체 상단을 터치하거나 혹은 휴대폰을 받침패드 상에 안착시키는 단순 동작을 통해 가압부가 자동 작동되어 한손 조작이 가능하고, 이러한, 한손 조작으로 다른 업무를 수행하거나 혹은 운전중에 휴대폰을 받침패드 상에 손쉽고 빠르게 거치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조작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의 받침패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가 고정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양 측면에 관통홀(101)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00)는 후면에 차량 내에 고정된 고정대(10)에 연결되는 연결구(100a)를 더 형성한다.
상기 본체(100)는 상단 일측에 상기 구동부(2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버튼(P)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00)는 내측에 구동부(300), 터치센서(600) 및 감지센서(700)를 수용한다.
상기 본체(100)는 내측에 상기 전원단자(800)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되, 상기 구동부(300), 터치센서(600) 및 감지센서(7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102)를 더 형성한다.
상기 충전배터리(102)는 판재 형상의 리튬이온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배터리(102)는 상기 전원단자(800)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단자(8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된다.
상기 본체(100)는 그 내측에 상기 터치센서(600) 및 상기 감지센서(700)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103)를 더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103)는 상기 터치센서(600)의 신호를 입력받아 가압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센서(700)의 신호를 입력받거나 혹은 정해진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가압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3)는 7 ~ 15초를 초과하는 시점에서 상기 가압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한다.
가압부(200)는 상기 본체(100) 내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고, 그 말단이 상기 관통홀(101)을 통해 상기 본체(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거나 혹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상기 가압부(200)는 상기 구동부(300)에 의해 수평 이동되어 상기 휴대폰(C) 양단을 가압 고정한다.
상기 가압부(200)는 판재형상으로 그 내측에 일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홈(201)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201)의 벽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304)의 소기어(304a)에 맞물림되는 톱니부(202)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인 타측에 받침패드(400)에 안착된 휴대폰(C) 양측을 눌러 고정하는 가압돌부(203)를 더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홈(201) 직경은 상기 구동부(300)의 소기어(304a) 직경과 동일하거나 혹은 상기 소기어(304a)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톱니부(202)는 회전작동되는 상기 소기어(304a)와 맞물림 되면서 수평이동되어 상기 가압부(2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가압돌부(203)는 상기 가압부(200) 타측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구동부(300)는 상기 가압부(200)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구동되어 상기 가압부(200)를 수평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터치센서(600) 및 감지센서(700)에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모터(301)와, 상기 구동모터(30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제1동력전달기어(302),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302)와 맞물리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30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기어(303) 및 외면이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303)와 맞물리도록 결합되되, 상면에 상기 가압부(200)와 맞물리는 소기어(304a)를 형성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303)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압부(200)를 수평 이동시키는 구동기어(304)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301)는 상기 전원단자(800)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거나 혹은 상기 본체(100)의 충전배터리(102)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구동된다.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모터(301)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302)와 웜기어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302)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1, 제2동력전달기어(302, 302)는 상기 구동모터(301)의 회전동력을 상기 구동기어(304)로 전달한다.
상기 구동기어(304)는 상기 소기어(304a)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가압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 또는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한다.
받침패드(400)는 상기 본체(100) 상부를 덮어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100)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면에 투과홀(401)을 형성하여 상면에 휴대폰(C)이 떠받쳐 지도록 한다.
상기 받침패드(400)는 상기 전원단자(800)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면에 올려진 휴대폰(C)을 무선으로 충전한다.
상기 받침패드(400)는 상면 하부에 표시홀(402)을 형성한다.
상기 표시홀(402)은 상기 전원단자(800)의 발광램프(801)에서 조사되는 불빛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표시홀(402)은 상기 전원단자(800)의 발광램프(80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받침패드(400)는 상면 테두리에 상기 받침패드(801) 상에 안착된 휴대폰(C)이 상기 받침패드(400)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밴드(미부호)를 더 형성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밴드(미부호)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걸이(500)는 상기 본체(100)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받침패드(4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패드(400)에 떠받쳐진 상기 휴대폰(C)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받침걸이(500)는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를 통해 상기 전원단자(800)에 삽입되는 외부전원선을 통과시킨다.
상기 받침걸이(500)의 길이는 상기 받침패드(400) 상에 안착되는 휴대폰(C)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된다.
터치센서(60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 상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 상단을 터치하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300)를 구동시킨다.
감지센서(700)는 상기 받침패드(400)의 투과홀(401)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100)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패드(400)에 올려진 휴대폰(C)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300)를 구동시킨다.
전원단자(8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과 상기 받침패드(400) 사이에 설치되고, 외부전원선 입력을 허용하여 상기 구동부(300), 터치센서(600) 및 감지센서(7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단자(800)는 상기 본체의 충전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배터리(102)를 충전한다.
상기 받침패드(400)는 상면 하부에 표시홀(402)을 형성하고, 상기 전원단자(800)는 상면에 상기 표시홀(402)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표시홀(402)을 통해 정해진 색상으로 발광하여 상기 전원단자(800)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상태를 알리는 발광램프(801)를 더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상기 전원단자(800)는 상기 구동부(300), 터치센서(600), 감지센서(700) 및 받침패드(4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300), 터치센서(600), 감지센서(700) 및 받침패드(400)로 전원을 직접 공급할 수 있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전원단자(800)가 본체(100) 내에 구비된 충전배터리(102) 및 받침패드(400)와 연결되어, 충전배터리(102)와 받침패드(400)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체(100)의 하단에 결합된 전원단자(800)에 외부전원선을 삽입하여, 전원단자(80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전원단자(800)로 입력되는 전원이 상기 충전배터리(102) 및 상기 받침패드(400)로 공급되고, 이때, 상기 충전배터리(102)는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원단자(800)에 외부전원선이 삽입되어 상기 전원단자(800)로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발광램프(801)에서 빛이 조사되고, 이 빛은 상기 받침패드(400)의 표시홀(402)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어, 사용자가 전원입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배터리(102)에 충전되어 있던 전원은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모터(301) 및 상기 터치센서(600)와 감지센서(700)로 공급되어, 상기 구동모터(301), 터치센서(600) 및 감지센서(700)를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전원단자(800)로 외부전원선을 삽입하여, 구동부(300), 터치센서(600), 감지센서(700) 및 받침패드(400)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를 터치하게 되면, 상기 터치센서(600)가 터치동작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03)로 전달한다.
그리고, 터치동작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103)는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모터(301)를 회전시켜,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302)가 상기 구동모터(301)와 웜기어 방식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302)의 회전동력은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303)로 전달되고, 이후,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303)가 상기 구동기어(304)를 회전작동시켜, 상기 구동기어(304)의 소기어(304a)가 상기 가압부(200)의 톱니부(202)와 맞물려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소기어(304a)에 맞물림 된 상기 톱니부(202)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201)이 상기 소기어(304a)를 기준으로 수평 이동되고, 이에따라, 한 쌍의 상기 가압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되어 상기 가압부(200) 사이가 벌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받침패드(400) 상에 휴대폰(C)을 안착시켜, 이 휴대폰(C)의 하단이 상기 받침걸이(500)에 걸림되도록 하면, 상기 받침패드(400)의 투과홀(401)을 통해 상기 받침패드(400) 상에 올려진 휴대폰(C)이 감지센서(700)에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103)로 감지센서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3)가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모터(301)를 상기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때, 이 구동모터(301)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 제2동력전달기어(302, 303)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304)가 회전되면서 소기어(304a)를 상기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가압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200)의 가이드홈(201)이 상기 소기어(304a)를 기준으로 수평 이동되어 상기 가압부(200) 사이가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하되, 상기 가압부(200)의 가압돌부(203)가 상기 받침패드(400) 상에 올려진 휴대폰(C) 양측면을 가압 고정함으로써, 상기 받침패드(400) 상에 휴대폰(C)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패드(400) 상에 올려진 휴대폰(C)은 상기 받침패드(400)로 공급되는 전원을 무선방식으로 전달받아 충전된다.
한편, 상기 전원단자(800)에 삽입 결합된 외부전원선을 상기 전원단자(800)에서 탈락시켜 상기 전원단자(80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상기 발광램프(801)의 불빛이 점멸됨과 동시에 상기 받침패드(4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300), 터치센서(600) 및 감지센서(700)는 상기 충전배터리(102)의 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와 같이 상기 본체(100 상단을 터치하게 되면, 상기 터치센서(600)에 입력된 신호가 상기 제어부(103)로 전달되고, 이에따라, 이 제어부(103)가 상기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01)를 회전작동시켜 상기 가압부(200)를 수평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받침패드(400) 상에 휴대폰(C)을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700)가 상기 휴대폰(C)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103)로 전달하고, 이어서, 상기 제어부(103)가 상기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01)를 회전시켜, 상기 휴대폰(C) 양측면을 상기 가압부(200)의 가압돌부(203)로 가압 고정한다.
이때, 상기 받침패드(400)로 공급되는 전원 차단으로, 상기 받침패드(400) 상에 올려진 휴대폰(C)의 충전이 제한된다.
만약, 상기 본체(100)의 상단을 터치하여, 상기 가압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이 초과되면, 이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103)가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모터(301)를 회전시켜, 상기 가압부(20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3)에 입력되어 있는 정해진 시간은 7초 ~ 15초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체(100) 상단을 터치하는 터치 동작으로 가압부(200) 사이가 벌어지도록 하되, 휴대폰(C)을 받침패드(400) 상에 올려놓는 동작으로 가압부(200)가 자동으로 수평 이동되어 휴대폰(C) 양측면을 가압 고정하는 구조는, 본체(100) 상단을 터치하는 단순 동작을 통해 가압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별도의 완력이 불필요하고, 또한, 받침패드(400) 상에 휴대폰(C) 안착시 가압부(200)가 휴대폰(C) 양측면을 자동으로 견고하게 물어 고정하며, 본체(100) 상단을 터치하거나 혹은 휴대폰(C)을 받침패드(400) 상에 안착시키는 단순 동작을 통해 가압부(200)가 자동 작동되어 한손 조작이 가능하고, 이러한, 한손 조작으로 다른 업무를 수행하거나 혹은 운전중에 휴대폰(C)을 받침패드(400) 상에 손쉽고 빠르게 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본체 101 : 관통홀
102 : 충전배터리 103 : 제어부
200 : 가압부 201 : 가이드홈
202 : 톱니부 203 : 가압돌부
300 : 구동부 301 : 구동모터
302 : 제1동력전달기어 303 : 제2동력전달기어
304 : 구동기어 304a : 소기어
400 : 받침패드 401 : 투과홀
402 : 표시홀 500 : 받침걸이
600 : 터치센서 700 : 감지센서
800 : 전원단자 801 : 발광램프
C : 휴대폰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양 측면에 관통홀(101)을 형성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측에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고, 그 말단이 상기 관통홀(101)을 통해 상기 본체(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거나 혹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가압부(200);
    상기 가압부(200)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구동되어 상기 가압부(200)를 수평 이동시키는 구동부(300);
    상기 본체(100) 상부를 덮어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100)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면에 투과홀(401)을 형성하여 상면에 휴대폰(C)이 떠받쳐 지도록 하는 받침패드(400);
    상기 본체(100)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받침패드(4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패드(400)에 떠받쳐진 상기 휴대폰(C)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걸이(500);
    상기 본체(100)의 내측 상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 상단을 터치하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300)를 구동시키는 터치센서(600);
    상기 받침패드(400)의 투과홀(401)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100)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패드(400)에 올려진 휴대폰(C)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300)를 구동시키는 감지센서(700); 및
    상기 본체(100)의 하단과 상기 받침패드(400) 사이에 설치되고, 외부전원선 입력을 허용하여 상기 구동부(300), 터치센서(600) 및 감지센서(7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8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내측에 상기 전원단자(800)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되, 상기 구동부(300), 터치센서(600) 및 감지센서(7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배터리(102)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패드(400)는,
    상기 전원단자(800)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면에 올려진 휴대폰(C)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패드(400)는 상면 하부에 표시홀(402)을 형성하고,
    상기 전원단자(800)는 상면에 상기 표시홀(402)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표시홀(402)을 통해 정해진 색상으로 발광하여 상기 전원단자(800)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상태를 알리는 발광램프(801)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0)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모터(301)와;
    상기 구동모터(30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제1동력전달기어(302);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302)와 맞물리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30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기어(303); 및
    외면이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303)와 맞물리도록 결합되되, 상면에 상기 가압부(200)와 맞물리는 소기어(304a)를 형성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303)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압부(200)를 수평 이동시키는 구동기어(30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모터(301)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302)와 웜기어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200)는,
    판재형상으로 그 내측에 일측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홈(201)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201)의 벽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기어(304)의 소기어(304a)에 맞물림되는 톱니부(202)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인 타측에 받침패드(400)에 안착된 휴대폰(C) 양측을 눌러 고정하는 가압돌부(203)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그 내측에 상기 터치센서(600) 및 상기 감지센서(700)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구동부(20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103)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3)는,
    상기 터치센서(600)의 신호를 입력받아 가압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센서(700)의 신호를 입력받거나 혹은 정해진 시간이 초과되면, 상기 가압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3)는,
    7 ~ 15초를 초과하는 시점에서 상기 가압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20180113975A 2017-09-29 2018-09-21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190038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21276917.XU CN207560092U (zh) 2017-09-29 2017-09-29 一种智能电动支架
CN201721276917 2017-09-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372A true KR20190038372A (ko) 2019-04-08

Family

ID=626753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350A KR20190038340A (ko) 2017-09-29 2018-09-18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1020180113975A KR20190038372A (ko) 2017-09-29 2018-09-21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350A KR20190038340A (ko) 2017-09-29 2018-09-18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90038340A (ko)
CN (1) CN20756009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229A (ko) * 2019-04-26 2020-11-04 강경석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
KR20210053127A (ko) * 2019-10-31 2021-05-11 주식회사 신지모루 무선충전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9860B (zh) * 2018-07-23 2020-12-08 旌德君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移动车载支架
CN109088451B (zh) * 2018-08-09 2021-06-22 深圳市盛延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夹放的控制方法及夹持装置
CN108900680A (zh) * 2018-08-31 2018-11-27 深圳市贝智达科技有限公司 非接触感应型手机支架及其使用方法
WO2020191581A1 (zh) * 2019-03-25 2020-10-01 深圳傲智天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车载手机支架
KR20210034437A (ko) 2019-09-20 2021-03-30 이동훈 차세대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373Y1 (ko) 2004-03-30 2004-06-16 김선암 차량용 휴대폰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373Y1 (ko) 2004-03-30 2004-06-16 김선암 차량용 휴대폰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229A (ko) * 2019-04-26 2020-11-04 강경석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
KR20210053127A (ko) * 2019-10-31 2021-05-11 주식회사 신지모루 무선충전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340A (ko) 2019-04-08
CN207560092U (zh)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8372A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US10299582B2 (en) Accessory cart
JP3220957U (ja) 電動ホルダー
US10491727B1 (en) Mobile phone holder with wirelessly activated robotic arms and charger
US20220025693A1 (en) Motorized door opening device
JP6635962B2 (ja) カーテン開閉装置及びカーテン開閉システム
US10554002B2 (en) Electric conduction apparatus
US20120242462A1 (en) External Haptic Genera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09523403A (ja) 小型電気器具用プラグ差込み式充電ステーション
JP2010528397A (ja) フィンガチップマウスおよびベース
TWI696332B (zh) 無線充電裝置
US20230142408A1 (en) Electric apparatus
KR102341802B1 (ko) 돌기 및 레일 간 결합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 홀더 장치
KR20180068397A (ko) 차량의 휴대 단말기 트레이
CN210881927U (zh) 一种多功能车载手机支架
CN113577329A (zh) 一种消毒装置
CN210351265U (zh) 支架
CN112054566B (zh) 无线充电装置
CN211617583U (zh) 一种手机架胎压侦测结构
KR200294328Y1 (ko) 장갑 착용장치
CN220898788U (zh) 移动组件及手术机器人
CN215652789U (zh) 一种消毒装置
KR102430830B1 (ko) 물체 충돌 감지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KR20160037536A (ko)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장치
KR102085288B1 (ko) 듀얼 모니터 받침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