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366A - 저압 수은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저압 수은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366A
KR20190038366A KR1020180113735A KR20180113735A KR20190038366A KR 20190038366 A KR20190038366 A KR 20190038366A KR 1020180113735 A KR1020180113735 A KR 1020180113735A KR 20180113735 A KR20180113735 A KR 20180113735A KR 20190038366 A KR20190038366 A KR 20190038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tube
amalgam
pressure mercury
pressing member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505B1 (ko
Inventor
카즈키 카노마타
사다하루 니시다
타카시 이비
Original Assignee
이와사키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사키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사키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8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38Exhausting, degassing, filling, or cleaning vessels
    • H01J9/395Filling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5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7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specially adapted for gas-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12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 H01J61/18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having a metallic vapour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H01J61/20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Specified operating pressure or temperature having a metallic vapour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mercury vapou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3Special shape of cross-section, e.g. for producing cool sp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38Exhausting, degassing, filling, or cleaning vessels
    • H01J9/385Exhaust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charge Lamp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발광관 내의 아말감을 소정 장소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자외선 강도를 높게 유지한 저압 수은 램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램프의 제조 방법은, 금속제 누름 부재를 가지는 전극 마운트를 발광관 내에 삽입하고, 상기 금속제 누름 부재를, 상기 발광관의 내면에 형성된 오목부 근방에 위치 결정하며, 상기 발광관의 단부를 핀치 밀봉하고, 상기 발광관 내에 배기관을 경유하여 아말감을 봉입하며, 상기 발광관을 배기하고, 상기 아말감을, 상기 금속제 누름 부재와 상기 발광관에 형성된 오목부에 대하여 가열 용착하여 상기 발광관의 오목부에 고정하는, 아말감의 고정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저압 수은 램프 및 그 제조 방법{LOW PRESSURE MERCURY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압 수은 램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압 수은 램프는 점등 중인 발광관 내의 수은증기압이 100㎩ 이하의 아크방전을 이용한 램프이다. 저압 수은 램프는 주로 유수살균장치, 자외선 산화 수처리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다. 저압 수은 램프를 사용한 수처리조의 대표예로, 음료용 정화조에서 사용되는 유수살균처리장치, 반도체 제조에서 사용되는 초순수(超純水) 생성을 위한 자외선 산화 수처리장치가 있다.
자외선 산화 수처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a는 복수개의 수냉 재킷("슬리브"라고도 한다.)(6)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횡형 수처리조(10-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1b는 복수개의 수냉 재킷(6)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종형 수처리조(10-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어느 수처리조(10-1, 10-2)에서도, 처리 대상인 물은 급수구(2)로부터 수처리조 내부로 급수되고, 수냉 재킷(6)의 주위를 통과하면서 자외선처리되어 배수구(4)로부터 외부로 배수된다. 대규모 플랜트의 수처리조에서는 수백개의 저압 수은 램프(8)가 구비되고, 처리되는 수량(水量)은 40만톤/일에나 달한다.
도 2a는 저압 수은 램프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각 수냉 재킷(6)의 내부에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단부(端部)에 베이스(12-1, 12-2)를 각각 가지는 1개의 발광관(8-1)이 삽입되고, 베이스(12-1, 12-2)는 수냉 재킷(6)의 내주면(內周面)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있다.
저압 수은 램프(8)의 발광 효율은 베이스(12-1, 12-2) 근방에 위치하는 램프의 최냉부(最冷部) 온도로 결정된다. 램프 점등 중에는 베이스(12-1, 12-2)를 냉각하여 램프 최냉부 온도를 소정 온도(35~45℃)로 유지함으로써, 램프를 높은 조도로 점등시킬 수 있다.
저압 수은 램프(8)에는 수은 또는 아말감(수은과 다른 금속의 합금)이 봉입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6-209993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의 제조 방법 및 저압 수은 증기 방전 램프"(공개일 2006/08/10) 출원인: 닛포덴키가부시키가이샤(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4621508호) 일본 공표특허 특표2010-535396 "아말감실을 가지는 아말감 캡슐을 구비한 저압 수은 방전 램프"(공표일 2010/11/18) 출원인: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5174148호)
저압 수은 램프에 있어서, 램프의 발광 효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아말감은 발광관 내의 전극 부근에 위치하는 최냉부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아말감을 최냉부에 위치하는 발광관의 내벽에 가열 용착하여 고정했었다.
그러나 아말감은 램프를 수송할 때의 진동 등의 외력이나 종형 수처리조에서 램프를 점등할 때에 발광관의 소정 장소로부터 이동하는 일이 있었다.
아말감은, 발광관의 소정 장소로부터 이동하면, 램프 발광시의 발광관 내의 수은 증기압이 변동되고, 적정한 동작 온도로부터 벗어나 자외선 방사량이 감쇠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발광관 내의 아말감을 소정 장소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자외선 강도를 높게 유지한 저압 수은 램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램프의 제조 방법은, 발명의 일면(一面)에서는, 금속제 누름 부재를 가지는 전극 마운트를 발광관 내에 삽입하고, 상기 금속제 누름 부재를 상기 발광관의 내면에 형성된 오목부 근방에 위치 결정하며, 상기 발광관의 단부를 핀치 밀봉(pinch seal)하고, 상기 발광관 내에 배기관을 경유하여 아말감을 봉입하며, 상기 발광관을 배기하고, 상기 아말감을 상기 금속제 누름 부재와 상기 발광관에 형성된 오목부에 대하여 가열 용착하여 상기 발광관의 오목부에 고정하는, 아말감의 고정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램프는, 발명의 일면에서는, 양단(兩端) 부근의 내면에 오목부가 각각 형성된 발광관과, 금속제 누름 부재를 가지고, 상기 발광관 내에 삽입된 전극 마운트와, 상기 오목부에 위치 결정된 아말감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제 누름 부재는 상기 아말감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램프에서는, 상기 아말감은 가열 용착에 의해 상기 오목부에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램프에서는, 상기 금속제 누름 부재가 탄성을 가지는 금속박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램프에서는, 상기 금속제 누름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박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램프에서는, 상기 금속박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니켈(Ni), 니오브(Nb), 및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램프에서는, 상기 전극 마운트는 유리제의 스테이를 가지고, 상기 금속박은 상기 유리제의 스테이에 유지된 리드봉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램프에서는, 상기 리드봉의 일부는 상기 발광관에 형성된 오목부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램프에서는, 상기 리드봉은, 상기 유리제의 스테이에 고정된 제1 리드봉과, 제1 리드봉에 접속된 제2 리드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박은 상기 제2 리드봉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발광관 내의 아말감을 소정 부분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자외선 강도를 높게 유지한 저압 수은 램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저압 수은 램프가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산화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복수개의 수냉 재킷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횡형 수처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저압 수은 램프가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산화 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복수개의 수냉 재킷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종형 수처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저압 수은 램프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내는 저압 수은 램프의 발광관의 단부 부근의 발광관, 베이스, 수냉 재킷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일방(一方) 측의 금속제 누름 부재를 가지는 전극 마운트 단체(單體)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일방 측의 금속제 누름 부재를 가지는 전극 마운트 단체의 정면도이다.
도 3c는 도 2a에 나타내는 저압 수은 램프의 발광관의 오목부를 절단하고, 또한 램프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 본 발광관 단부 부근의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3c의 절단면과 수직인 관계에서, 저압 수은 램프의 램프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 본 발광관 단부 부근의 부분 절단면도이다.
도 4a는 발광관의 오목부와 전극 마운트의 금속제 누름 부재를 이용하여, 아말감을 고정한 발광관의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b는 발광관의 오목부를 바로 위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4c는 발광관의 오목부에 들어간 아말감을, 전극 마운트의 금속제 누름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를 바로 위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5는 저압 수은 램프의 제조 방법 중 본 실시예에 관한 아말감의 고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램프 및 그 제조 방법의 실시형태에 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저압 수은 램프]
(저압 수은 램프의 구조)
도 2a는 저압 수은 램프(8)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저압 수은 램프(8)의 발광관(8-1)은 석영 유리로 형성되어 있다. 발광관(8-1)의 내부에는 아말감이 봉입되어 있다. 아말감은, 수은(Hg)에 더하여, 인듐(In), 비스무트(Bi), 주석(Sn), 및 납(Pb) 중 적어도 1종류의 금속이 포함되는 합금이다. 일반적으로, 다른 금속의 비율은 수은(Hg)에 대하여 5중량% 이하이다.
한편, 도 2a에 나타내는 발광관은 직관형(直管形)인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는 U형, W형, M형 등의 다른 형상의 발광관에 관해서도 전극부의 구조가 동일하므로 적용 가능하다.
저압 수은 램프(8)는 발광관(8-1)의 양 단부에 베이스(꼭지쇠)(12-1, 12-2)를 각각 구비하고, 베이스(12-1, 12-2)가 발광관의 최냉부인 발광관 단부를 덮고 있다. 베이스(12-1, 12-2)는 발광관(8-1)을 고정하고, 발광관 단부의 파손 방지 커버이다. 베이스(12-1, 12-2)는 세라믹스, 금속, 내(耐)자외선성을 가지는 탄성체 수지(예를 들면, 불소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저압 수은 램프가 수냉 재킷 내에서 위치 결정·유지되어 있는 구조)
도 2b는 저압 수은 램프가 수냉 재킷 내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유지되어 있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A)는 램프 단부 부근의 램프 축선을 따라 절단한 일부 절단면도이고, (B)는 B-B 절단면도이다.
수냉 재킷(6)의 내부에 발광관(8-1)이 배치되어 있다. 수냉 재킷(6)은 램프와 피(被)처리수 사이의 절연 및 램프 파손 보호를 위해 마련되고, 자외선 투과성을 가지는 부재(예를 들면, 석영 유리)로 이루어진다.
발광관(8-1)은 일단(一端)에서 베이스(12-2)에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12-2)는 베이스 위치 결정 유지부재(16)에 의해 수냉 재킷(6)의 내부의 소정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램프의 반대 측 단부도 동일한 구조이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12-1, 12-2)는 수냉 재킷(6)에 접촉한 상태로 발광관(8-1)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발광관(8-1)의 최냉부는, 점등시의 고온의 발광관(8-1) 온도와, 피처리수로 식혀진 수냉 재킷(6)에 접촉한 저온의 베이스(12) 온도 양쪽의 영향을 받는다. 피처리수의 수온은 통상 25℃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저압 수은 램프(8)의 자외선 출력은 램프 점등시 발광관 내의 아말감의 증기압에 의해 좌우된다. 발광관 관벽의 최냉부를 온도제어함으로써 램프 내부의 수은 증기압을 제어할 수 있다. 발광관 관벽의 최냉부를 약 40℃로 유지하고, 아말감을 약 80~120℃로 유지함으로써 저압 수은 램프(8)로부터 방사되는 파장 254㎚의 자외선 출력이 최대가 된다.
(아말감의 고정 수단)
도 3a는 일방 측의 금속제 누름 부재를 가지는 전극 마운트 단체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일방 측의 금속제 누름 부재를 가지는 전극 마운트 단체의 정면도이다. 저압 수은 램프(8)는 교류 구동이고, 반대 측 단부도 동일한 전극 마운트 구조로 되어 있다.
발광관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전극 리드선(22)의 선단에 애노드(22-1)가 접합되어 있다. 애노드(22-1) 바로 앞에, 전자방사물질이 도포된 필라멘트(22-2)가 접합되어 있다. 전극 리드선(22)은, 2개의 유리제 부재로 형성된 스테이(24)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협지(挾持)되어 유지되어 있다.
전극 마운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금속제 누름 부재(18)는, 유리제의 스테이(24)에 의해 유지된 몰리브덴(Mo)으로 형성된 제1 리드봉(18-1)과, 이 제1 리드봉(18-1)의 선단에 장착된 니켈(Ni)로 형성된 제2 리드봉(18-2), 더욱이 이 제2 리드봉의 선단에 판상(板狀)의 금속박(18-3)을 가지고 있다. 제1 리드봉(18-1)의 일부는 L자로 접혀 구부러져, 발광관(8-1)에 형성된 오목부(20)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1 리드봉(18-1)의 선단에 제2 리드봉(18-2)이 장착되고, 이 제2 리드봉(18-2)의 선단에 판상의 금속박(18-3)이 장착되며, 이 금속박(18-3)은 발광관(8-1)의 오목부(20)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다.
금속박(18-3)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니켈(Ni), 니오브(Nb), 및 알루미늄(Al)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이들 재질의 선정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수은과 아말감을 형성하지 않는 재질인 것,
(2) 뒤에 설명하는 제조 방법의 단계(S7)의 가열 용융 공정을 견디어낼 수 있는 고융점 재질인 것,
(3) 일정의 탄성을 가지고, 아말감을 누르는 기능을 가지는 재질인 것.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전극 마운트를 발광관 내에 위치 결정하고, 그 후, 봉입한 아말감을 발광관 오목부 및 금속제 누름 부재에 대하여 용착한 상태를 설명한다. 도 3c는, 도 2a에 나타내는 저압 수은 램프의 발광관(8-1)의 오목부(20)를 절단하고, 또한 램프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 본 발광관 단부 부근의 부분 절단도이다. 도 3d는, 도 3c의 절단면과 수직인 관계에서, 저압 수은 램프(8)의 램프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 본 발광관 단부 부근의 부분 절단도이다. 발광관(8-1)의 단부 부근에는 내면으로부터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저압 수은 램프(8)의 실시예의 한 사양은 다음과 같다.
램프: 직관형, 램프 전력: 110W, 램프 전류: 1.38A, 램프 길이(베이스 단부 사이): 1,020㎜, 램프 지름: φ17㎜,
오목부 형상: 세로 5㎜×가로 5㎜×깊이 1㎜인 모서리가 라운드형인 사각형
금속제 누름 부재의 제1 리드봉(18-1): φ0.4㎜×7㎜(총 길이)
금속제 누름 부재의 제2 리드봉(18-2): φ0.6㎜×3㎜
금속제 누름 부재의 금속박(18-3): 폭 5㎜×두께 35㎛×길이 10㎜
도 4a는 발광관(8-1)의 오목부(20)와 전극 마운트의 금속제 누름 부재(18)를 이용하여, 아말감(26)을 고정한 발광관(8-1)의 상태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석영제의 발광관(8-1)의 내면에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제 누름 부재(18)를 이용하여 오목부(20)의 내부에 아말감(26)이 고정되고, 양자(兩者)에 용착되어 있다. 여기서, 도 4a(a)는 금속제 누름 부재(18a)가 오목부(20)의 개구 면적의 약 1/3을 덮은 상태이다. 도 4a(b)는 금속제 누름 부재(18b)가 오목부(20)의 개구 면적의 약 2/3를 덮은 상태이다.
도 4a(a)의 약 1/3을 덮은 상태에서는 아말감(26)의 표면 형상은 부호 26a로 나타내게 된다. 아말감(26)은 오목부(20) 및 금속제 누름 부재(18a) 양쪽에 용착되어 있다. 도 4a(b)의 약 2/3를 덮은 상태에서는 아말감(26)의 표면 형상은 부호 26b로 나타내게 된다. 아말감(26)은 오목부(20) 및 금속제 누름 부재(18b) 양쪽에 용착되어 있다.
표면 형상(26a, 26b)의 상이함은, 금속제 누름 부재(18)의 오목부에 대한 접촉 면적의 대소에 기인하는 차이이다.
도 4b는 발광관의 오목부(20)를 바로 위에서 본 모식도이다. 오목부(20)의 사이즈는, 대표적으로는 세로 5㎜×가로 5㎜×깊이 1㎜인 모서리가 라운드형인 사각형이지만, 이 사이즈 및 형상은 예시이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c는, 발광관의 오목부(20)에 들어간 아말감(26)을, 오목부(20) 및 전극 마운트의 금속제 누름 부재(18)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상태를 바로 위에서 본 모식도이다.
(저압 수은 램프의 제조 방법)
도 5는 저압 수은 램프의 제조 방법 중 본 실시예에 관한 아말감의 고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S1)에서, 발광관의 제조 시에 양 단부 부근에 있는 램프 최냉부에 오목부를 각각 형성한다. 오목부의 형성은 발광관의 외측으로부터 가열하면서 내측으로부터 전용 지그(jig)를 이용하여 가압하여 형성한다.
단계(S2)에서 전극 마운트를 형성한다. 전극 마운트의 애노드 용접 공정에서 금속제 누름 부재를 장착한다.
단계(S3)에서 전극 마운트를 발광관 내에 삽입하고, 금속제 누름 부재를 발광관의 오목부를 덮도록 위치 결정 고정한다.
단계(S4)에서 발광관의 핀치 밀봉을 실시한다.
단계(S5)에서 배기관을 경유하여, 발광관 내에 아말감을 포함하는 첨가물을 봉입한다.
단계(S6)에서 배기관을 경유하여 발광관 내를 배기한다. 그 후, 배기관은 팁오프(tip off)하여 제거한다.
단계(S7)에서 아말감을 발광관 오목부에 위치 결정 고정한다. 램프를 움직이면서 아말감을 이동시켜 발광관 오목부에 넣고, 이 상태로 발광관 오목부를 외측으로부터 가열하여 아말감을 용융하고, 전극 마운트의 금속제 누름 부재와 발광관 오목부에 대하여 용착하고, 고정시킨다.
[정리]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저압 수은 램프 및 그 제조 방법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는데, 이들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하등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 실시형태에 관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추가·삭제·변경·개량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진다.
2: 급수구
4: 배수구
6: 수냉 재킷
8: 저압 수은 램프
8-1: 발광관
10-1: 횡형 수처리조
10-2: 종형 수처리조
12, 12-1, 12-2: 베이스
16: 유지부재
18, 18a, 18b: 금속제 누름 부재
18-1: 제1 리드봉
18-2: 제2 리드봉
18-3: 금속박
20: 오목부
22: 전극 리드선
22-1: 애노드
22-2: 필라멘트
24: 스테이
26: 아말감
26a, 26b: 아말감의 표면

Claims (8)

  1. 저압 수은 램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금속제 누름 부재를 가지는 전극 마운트를 발광관 내에 삽입하고,
    상기 금속제 누름 부재를 상기 발광관의 내면에 형성된 오목부 근방에 위치 결정하며,
    상기 발광관의 단부(端部)를 핀치 밀봉(pinch seal)하고,
    상기 발광관 내에 배기관을 경유하여 아말감을 봉입하며,
    상기 발광관을 배기하고,
    상기 아말감을, 상기 금속제 누름 부재와 상기 발광관에 형성된 오목부에 대하여 가열 용착하여 상기 발광관의 오목부에 고정하는, 아말감의 고정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 저압 수은 램프에 있어서,
    양단(兩端) 부근의 내면에 오목부가 각각 형성된 발광관과,
    금속제 누름 부재를 가지고 상기 발광관 내에 삽입된 전극 마운트와,
    상기 오목부에 위치 결정된 아말감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제 누름 부재는 상기 아말감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수은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말감은, 가열 용착에 의해 상기 오목부에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수은 램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누름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박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수은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니켈(Ni), 니오브(Nb), 및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수은 램프.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마운트는 유리제의 스테이를 가지고,
    상기 금속박은, 상기 유리제의 스테이에 유지된 리드봉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수은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봉의 일부는, 상기 발광관에 형성된 오목부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수은 램프.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봉은, 상기 유리제의 스테이에 고정된 제1 리드봉과, 제1 리드봉에 접속된 제2 리드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박은 상기 제2 리드봉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수은 램프.
KR1020180113735A 2017-09-29 2018-09-21 저압 수은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6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0679 2017-09-29
JPJP-P-2017-190679 2017-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366A true KR20190038366A (ko) 2019-04-08
KR102116505B1 KR102116505B1 (ko) 2020-05-28

Family

ID=6591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735A KR102116505B1 (ko) 2017-09-29 2018-09-21 저압 수은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72786B2 (ko)
KR (1) KR102116505B1 (ko)
CN (1) CN109585240B (ko)
TW (1) TWI703612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9993A (ja) 2005-01-25 2006-08-10 Nippo Electric Co Ltd 低圧水銀蒸気放電ランプの製造方法および低圧水銀蒸気放電ランプ
JP2010186596A (ja) * 2009-02-10 2010-08-26 Stanley Electric Co Ltd 冷陰極蛍光ラ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2010535396A (ja) 2007-05-09 2010-11-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アマルガム室を持つアマルガムカプセルを備えた低圧水銀放電ランプ
JP2015150487A (ja) * 2014-02-13 2015-08-24 岩崎電気株式会社 低圧水銀ランプを使用した水処理槽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983U (ko) * 1973-05-15 1975-01-24
JPS5026374A (ko) * 1973-07-11 1975-03-19
NL8101885A (nl) * 1981-04-16 1982-11-16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lagedrukkwikdampontladingslamp en lagedrukkwikdampontladingslamp vervaardigd met die werkwijze.
JPH04280033A (ja) * 1991-03-08 1992-10-0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
EP0646942B1 (en) * 1993-10-04 1997-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Accurate placement and retention of an amalgam in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US5923121A (en) * 1997-10-14 1999-07-13 Osram Sylvania Inc. Fluorescent lamp having an attachment therein for reduction of soluble mercury in the lamp and to act as a fail-safe at the end of lamp life
CN101996830B (zh) * 2009-08-10 2014-04-30 江苏豪迈照明科技有限公司 螺旋型热阴极荧光灯管及其制造方法
JP5639363B2 (ja) * 2010-02-05 2014-12-10 Dn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低圧水銀蒸気放電ランプおよび低圧水銀蒸気放電ランプの製造方法
CN202076216U (zh) * 2011-05-19 2011-12-14 杭州临安景亮照明电器有限公司 汞齐灯定位装置
CN103545159B (zh) * 2013-10-30 2016-01-06 广东雪莱特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灯管内固定汞齐的方法
JP2015187948A (ja) * 2014-03-27 2015-10-29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熱陰極紫外線ランプ
CN105470100B (zh) * 2016-01-06 2018-03-09 佛山柯维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高185nm辐射效率的紫外线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9993A (ja) 2005-01-25 2006-08-10 Nippo Electric Co Ltd 低圧水銀蒸気放電ランプの製造方法および低圧水銀蒸気放電ランプ
JP2010535396A (ja) 2007-05-09 2010-11-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アマルガム室を持つアマルガムカプセルを備えた低圧水銀放電ランプ
JP2010186596A (ja) * 2009-02-10 2010-08-26 Stanley Electric Co Ltd 冷陰極蛍光ラ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2015150487A (ja) * 2014-02-13 2015-08-24 岩崎電気株式会社 低圧水銀ランプを使用した水処理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505B1 (ko) 2020-05-28
JP2019067753A (ja) 2019-04-25
CN109585240A (zh) 2019-04-05
JP7072786B2 (ja) 2022-05-23
TWI703612B (zh) 2020-09-01
CN109585240B (zh) 2021-06-08
TW201921402A (zh) 201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3474B2 (ja) フィラメントランプおよび光照射式加熱処理装置
CN1783416B (zh) 放电灯
KR20030084598A (ko) 방전 램프
JP4042588B2 (ja) 放電ランプ
US20140265825A1 (en)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2005243484A (ja) 高圧放電ランプ
TWI455173B (zh) Metal halide lamp
US8072128B2 (en) Filament lamp
KR20190038366A (ko) 저압 수은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2740A (ko) 열음극 자외선 램프
JP5831620B2 (ja) 光照射装置
JP4548212B2 (ja) 閃光放電ランプ
CA3029787C (en) Uv mercury low-pressure lamp with amalgam deposit
JP6120182B2 (ja) 両端封止型ショートアークフラッシュランプ
JP5218582B2 (ja) 放電ランプ
JP2009151991A (ja) 高圧放電ランプおよび光源装置
JP5672030B2 (ja) ロングアーク型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および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点灯装置
JP2007134330A (ja) メタルハライドアーク放電ランプ
JP2012043542A (ja)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5871048B2 (ja)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JP2023095053A (ja) 低圧紫外線ランプユニット
JP2013069609A (ja) 外球保護構造を有する高輝度放電灯
JP2009146660A (ja) 熱陰極蛍光ランプ、及びそのランプの製造方法
JPH09153340A (ja) 多重管形放電ランプおよび点灯回路装置ならびにランプ点灯器具
JP2010225527A (ja) セラミック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