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966A -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966A
KR20190037966A KR1020170127839A KR20170127839A KR20190037966A KR 20190037966 A KR20190037966 A KR 20190037966A KR 1020170127839 A KR1020170127839 A KR 1020170127839A KR 20170127839 A KR20170127839 A KR 20170127839A KR 20190037966 A KR20190037966 A KR 20190037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ginger
angelica
mixed extract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960B1 (ko
Inventor
정의수
박민희
이종섭
김지운
김성주
김지혜
최찬기
백현
채가연
전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주) 아마란스
주식회사 라오가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주) 아마란스, 주식회사 라오가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Priority to KR1020170127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9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및 흑당귀, 흑생강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도라지 및 당귀, 생강을 9증9포하여 추출, 농축, 건조한 추출분말을 제공함으로써, 세포 내 자유라디칼 소거를 하고, 지질과산화, 리폭시게나아제, 히아루로니다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도록 하고, 상기 흑도라지 및 흑당귀 추출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피부 염증, 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고, 피부 자극에 대한 부작용이 없도록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라지, 당귀, 생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된 약재를 9증9포하여 초음파 또는 열수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라지와 당귀, 생강을 혼합하여 9증9포하는 단계(S10), 초음파 또는 열수 추출하여 흑도라지 및 흑당귀, 흑생강 혼합추출물을 얻는 단계(S20)와, 상기 흑도라지 및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농축액을 얻는 단계(S30)와, 상기 흑도라지 및 흑당귀, 흑생강 추출 농축액을 동결 건조하여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농축 분말을 얻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해조류 혼합 발효물을 포함하여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Black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and Black Angelica Sinensis root, Black Zingiber Officinale (Ginger) Root complex with an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and atopic skin improvement,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 cosmetic composi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및 흑당귀, 흑생강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도라지 및 당귀, 생강을 각각 9번 증기로 찌고 9번 건조(9증9포)하여 얻은 흑도라지 및 흑당귀, 흑생강을 추출, 농축, 동결건조 시킨 혼합 추출물을 제공함으로써, 세포 내 자유라디칼을 소거하고,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히아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의 활성을 억제하도록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혼합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라지 및 당귀, 생강을 9증9포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피부 염증, 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고, 피부 자극에 대한 부작용이 없도록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과도한 자외선이나 오염물질 등에 노출되면 홍반, 부종, 가려움 등의 피부자극 및 염증반응이 유발된다. 이러한 피부 트러블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염증반응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부수적으로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 손상에는 자유라디칼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유라디칼 이론은 1950년대 중반 디 하만(D. Harman)에 의해서 제시되었으며, 최근 학회와 관련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자유라디칼은 세포를 파괴하거나 피부 진피층의 결합조직을 절단하거나 교차 결합을 일으키므로 주름형성, 피부암, 세포 살상, 류마티스성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킨다.
자유라디칼이 생성되는 원인은 백혈구의 식작용, 미토콘드리아에서의 ATP 생산과정 중 전자 전달계, 미엘로퍼 옥사이드(Myeloper Oxide, MPO)의 작용, 자외선, 담배, 정상적인 대사 과정, 스트레스, 공해 물질, 세균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식작용이란 세포체가 이물 혹은 박테리아 등을 자기 체내에 받아들여서 이것을 분해, 무해화(無害化)하는 작용을 말한다.
물론 인체에는 항산화 물질(라디칼 소거제)인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SuperOxide Dismutase : SOD), 카탈라아제, 비타민 E, 비타민 C, 유비퀴놀 (Uviquinol)있지만, 나이, 공해, 자외선, 스트레스에 의해 항산화 체계가 무력화되고, 자유라디칼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증가된 자유라디칼은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 (Elastin),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을 파괴하여 피부의 일정 부위 침하 현상(주름)을 일으키며, 또한, 세포막의 지질 부분을 산화시켜 세포의 파괴 현상이 발생되어 피부염, 여드름, 피부암의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자유라디칼은 멜라닌 형성과정 중 자발적인 산화반응(도파퀴논 → 멜라닌)에 관여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 및 주름생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한 화장품학회지 23권 1호 75~132)
염증은 해로운 주위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이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생리적인 반응이다. 이 염증현상은 여러 종류의 다형핵 백혈구(PMNs)와 면역 물질의 많은 증가를 초래하고, 이들 세포들은 염증성 세포산물인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분해효소와 시토키닌(Cytokine) 등을 분비 함으로써 치료 및 방어를 할 수 있게 한다. Elastase, hyalurinidase 및 lipoxygenase와 같은 효소들은 염증시 생성되는 단백질 및 지질 분해 효소들로 잘 알려져 있다.
한편 이들의 작용은 때로는 인접해 있는 조직 세포와 비세포 성분들에게도 해로운 손상을 일으키기도 하므로, 따라서 적절한 조건하에서는 염증은 초기 상태가 지난 후에는 정상기능을 되찾게 되지만 염증을 자극하는 자극제가 없어지지 않거나 계속해서 만들어지면 결과적으로 만성염증이 일어나게 되어서 더욱더 심각한 조직의 손상을 가져온다.
이처럼 과다 염증에 의해 유발되는 단백질 분해 효소들에 의해 세포 및 결합조직이 손상을 입고 결합 조직의 손상은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켜 주름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나아가 세포의 재생 및 증식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어 빠른 피부노화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피부에 있어서 염증은 국소적인 홍반과 부풀음에 의해 특정 지어지며, 손상이 보다 커지게 되면 정상조직은 섬유아세포의 증식과 결합조직 단백질의 축적의 결과로 나타나는 흉터조직에 의한 소산단계에 있어서 복원된다. 그러나 만일 조직이 보다 심각하게 손상되고 염증반응이 지속된다면 정상적인 조직구조와 기능을 회복시키는 일은 훨씬 어렵게 된다.
염증과 함께 백혈구의 이주를 촉진시키는 매개체의 생성은 arachidonic acid를 통한 과정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이 경로는 cyclooxygenase에 의한 과정과 lipoxygenase에 의한 과정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 효소에 의해 생성된 leukotriene과 prostagladine이 염증 유발 인자로 작용한다. 따라서 lipoxygenase와 cyclooxygenase의 저해제는 염증 유발물질의 생성 억제뿐만 아니라 염증시 생성되는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막 파괴와 지질의 과산화반응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항염증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과다 염증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 및 지질분해효소들을 억제함으로서 그로 인해 손상되는 세포들을 보호하여 피부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토피 피부는 종전 유아기에 주로 발생하여 태열이라고도 하였으며 주로 각질층 내의 세라마이드(Ceramides)의 함량이 감소됨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서 각질층의 수분유지기능이 떨어짐에 따라 피부가 건조되어 각질이 쉽게 일어나며 피부장벽(skin barrier)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자극유발물질이 각질층 내로 침입하여 자극을 유발시키고 정상피부에서는 침입하기 어려운 항원 단백질이 침입함에 따라 피부 알러지 등이 용이하게 발생하여 견디기 힘들만큼의 소양증 증상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아토피 환자의 90% 이상이 포도상구균에 감염되어 있는데 이 균은 환자가 가려움을 참지 못해 긁어서 생기기도 하지만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이 세균의 외독소가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나오게 하여 아토피를 악화시킨다고 한다. 즉, 이 세균 자체가 알레르겐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크게 네 가지로 밝혀져 있는데, 첫째는 유전적 원인에 의한 것으로 피부보호기능을 담당하는 피부 보호막인 세포막의 인지질과 각질세포간의 결합물질인 세포간 지질을 구성하는 필수 지방산인 감마-리놀레인산(γ-linoleic acid; GLA)이 부족한 상태로 인해 피부 보호막을 단단하게 만들지 못하므로 피부표면의 수분의 쉽게 소실되고 외부자극에 의해 쉽게 알러지가 발생한다는 것이며, 둘째로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현대인의 주거환경의 변화로 아파트생활이 보편화되면서 생활환경이 건조한 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세계적으로 아토피 피부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분 보유력이 저하되고 피부보호기능이 상실되어 적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알러지가 발생한다는 것이고, 셋째는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활성산소에 의해 과산화지질이 생성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아토피 피부가 발생한다는 것, 넷째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에 감염되어 발생한다는 것으로서 이러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관계하여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피부과학, 대한피부과학회 간행위원회, 여문각, 1992).
항염, 항알러지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2886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피롤리딘 고리를 갖는 16,17 위치에서 응축된 항염증용 스테로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항염증 및 항알러지 작용을 갖는 글루코코르티코 스테로이드 류의 화합물, 이들 화합물의 제조방법, 그들을 포함한 약제 조성물, 조합물 그리고 그들의 치료용도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피롤리딘 유도체인 글루코코리티코 스테로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항염, 항알러지의 효능을 얻기 위하여 인위적인 유기 합성을 통해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합성 시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 어렵고, 사람에 따라 상기 화합물에 의해 부작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각종 스트레스원에 의한 피부 자극 및 염증을 감소시키고, 화장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항염증, 항알러지 및 피부자극 완화 효능이 있는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와 함께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의 유용성분의 성분 파괴를 최소화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 함께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항염,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 개선 개선을 위해서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의 효과가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고 비용이 저렴한 물질의 개발 및 그 물질을 함유하는 사용이 용이한 화장료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라지 및 당귀를 9번 증기로 찌고 9번 건조(9증9포)하여얻은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을 초음파로 추출시켜 농축, 동결건조시킨 혼합 추출물을 제공함으로써, 세포 내 자유라디칼을 소거하고, 지질과산화, 리폭시게나아제, 히아루로니다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도록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혼합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라지 및 당귀를 9증9포하여 추출한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피부 염증, 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고, 피부 자극에 대한 부작용이 없도록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라지 및 당귀를 9번 증기로 찌고 9번 건조(9증9포)하여얻은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을 초음파로 추출시켜 농축, 동결건조시킨 혼합 추출물을 제공함으로써, 세포 내 자유라디칼 소거를 하고, 지질과산화, 리폭시게나아제, 히아루로니다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도록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혼합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라지 및 당귀를 9증9포하여 추출한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피부 염증, 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고, 피부 자극에 대한 부작용이 없도록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도라지, 당귀로부터 증숙과 건조의 9증9포과정을 거친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을 확보하여 추출, 농축, 동결 건조공정을 거친 후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분말을 제공함으로써, 세포 내 자유라디칼 소거를 하고, 지질과산화, 리폭시게나아제, 히아루로니다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피부 염증, 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고, 피부 자극에 대한 부작용이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은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에 효과가 있는 근본적인 물질을 찾고자 자연의 여러 가지 천연물질들을 검색한 결과, 도라지, 당귀, 생강에 매우 우수한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등의 효능을 나타냄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증숙과 건조과정을 통한 9증9포 과정을 거친 후 초음파로 추출한 혼합 추출물 적용 제품들의 안정성, 안전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였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서 일정 농도이상 배합하여 사람 피부에 직접 도포한 실험결과에서도 뚜렷한 피부 상태가 개선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됨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도라지, 당귀를 증숙과 건조과정은 통한 9증9포를 거친 후 초음파 추출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는 초롱꽃 (Campanulaceae) 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대만, 러시아 등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도라지의 뿌리(길경)는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의보감이나 본초강목에서는 예로부터 한약재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거담, 배농, 진해약, 편도섬염, 최유, 감기, 기침, 천식, 폐결핵, 거담제로서 유용하고 늑막염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또한, platicodin 류와 saponin류, glaticodin, spinasterol 등의 효능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염, 항산화, 아토피 피부염 저해 효능효과를 지니고 있다(정승일 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42(5), p759-765).
상기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당귀속 산형과(Apiaceae)에 속하는 숙근초로 잘알려져 있다. 주로 늦가을에서 이듬해 봄 새싹이 돋기 전에 뿌리를 캐내어 잎/줄기를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수세한 뒤 바람이 잘드는 그늘지 곳에서 건조하여 약용으로 사용한다. 특히, 여성들에게 유효한 약재로 잘 알려져 있을 뿐 아니라 토당귀라고 불리우는 한국당귀에는 decursin, decrusinol, modakenin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항염, 진통, 면역, 간기능 강화, 진정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 효능을 지니고 있다(이재준 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9, 16(1), p94-100).
상기 생강(Zingiberis Rhizoma)은 생강과(Zingiberace)의 다년초인 생강(Zingiber officinale)의 뿌리줄기로, 한방에서는 소화불량, 구토, 설사 등에 효과가 있으며, 혈생순환 촉진작용 등 약리적으로 높은 효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생강에는 6-gingerol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강한 항산화 및 항균, 항염, 피부염 유발 및 치료 효과를 지니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양재헌 등, 한국약제학회, 2006, 36(4), p253-262).
상기 도라지와 당귀, 생강을 이용하여 제조된 흑도라지, 당귀 혼합 추출물 또는 상기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을 초음파를 통하여 혼합 추출한 혼합 추출물은 세포 내 자유라디칼 소거를 하고, 지질과산화, 리폭시게나아제, 히아루로니다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상기 도라지와 당귀, 생강을 이용하여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내용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의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수세한 도라지와 당귀, 생강을 증숙하는 과정과, 증숙한 도라지와 당귀, 생강을 건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을 얻는 9증9포 단계와, 상기 증숙과 건조과정을 거친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초음파 또는 열수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과정을 거친 혼합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 농축액을 얻는 단계와, 상기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농축 분만을 얻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라지와 당귀, 생강을 증자와 건조를 반복하는 9증9포를 통하여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을 얻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도라지와 당귀, 생강을 물로 여러 번 수세하여 도라지와 당귀, 생강을 각각 증숙기 증숙을 하고, 건조기에서 건조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는 9증9포 과정을 통하여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을 얻는다.
상세하게는 상기 9증9포 과정에서 수세한 도라지와 당귀, 생강을 각각 65 내지 90℃의 온도로 8 내지 16시간 동안 증숙과정을 수행한고, 상기 증자과정을 진행한 도라지와 당귀, 생강은 다시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8 내지 48시간동안 건조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의 수세한 도라지와 당귀, 생강을 증숙하여 건조하는 과정을 9 내지 15회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 90 내지 96℃를 초과하여 장시간 증숙과정을 진행할 경우, 도라지에 함유된 사포닌류 또는 프라디코딘류 등의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으며, 120℃보다 더 높은 온도로 증자를 진행 시 도라지 자체 조직체가 흐믈해지기 때문에 제품으로써 가치가 낮아진다. 또한, 상기의 증자 온도 범위 중 65℃ 보다 낮은 온도로 증자를 진행할 충분히 중숙되지 않거나 또는 도라지 뿌리 자체의 향과 맛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상기의 온도와 시간은 도라지와 당귀, 생강의 형태를 유지하여 원하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범위이다.
다음으로, 상기의 9증9포를 통하여 얻은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은 다시 초음파 또는 열수 추출하여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초음파 추출기에서 10 내지 70 KHz를 가지는 파장과 50 내지 1,000 watt 출력으로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하되, 60 내지 80℃에서 4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을 수행한다.
상기 파장과 출력 범위는 흑도라지와 당귀의 조직이 파쇄되어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최적의 범위이고, 상기 온도 범위는 흑도라지와 당귀가 삶아지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함유된 유효성분을 최적으로 용출시킬 수 있는 범위이다.
또한, 상기 파장, 출력, 온도 범위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으로부터 세포 내 자유라디칼 소거를 하고, 지질과산화, 리폭시게나아제, 히아루로니다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나는 최적의 범위이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및 에틸렌 클리콜로 중에서 한가지 또는 한가지 이상이 선택되어 혼합시킨 혼합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방식으로 상기의 9증9포를 통해 얻은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에 투입하고,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흑도라지, 당귀 혼합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세하게는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에 흑도라지, 당귀 및 추출용매를 투입하고, 60 내지 80 ℃에서 4 내지 24 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다.
열수 추출 시 온도 범위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으로부터 세포 내 자유라디칼 소거를 하고, 지질과산화, 리폭시게나아제, 히아루로니다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나는 최적의 범위이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및 에틸렌 클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혼합된 추출 용매를 사용하고,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중량의 1 내지 20배의 양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추출 방법은 상기 9증9포를 통해 얻은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을 균일한 비율로 침적기에 투입하고,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및 에틸렌 클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혼합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5 내지 30 ℃에서 1 내지 7 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다음으로, 상기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 농축액을 얻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추출 단계(S20)에서 얻은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감압농축기에 투입하여 30 내지 50℃에서 농축함으로써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 농축액을 수득한다.
다음으로, 상기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농축 분말을 얻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감압농축 단계(S30)에서 얻은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 농축액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농축 분말을 수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은 피부 염증, 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고, 피부 독성이 없고, 민감성 피부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피부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각종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 내 자유라디칼 소거효과, 지질과산화, 히아루로니다아제 활성억제,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등의 항산화, 항염, 피부개선의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자극시험에서 부작용이 없는 안전하고 또한 생산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이 용이한 화장료로써 효능성과 안전성 그리고 저렴성, 사용의 용이성이 탁월한 화장료 조성물이다.
즉, 상기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로 적용하기 위해, 유화형, 가용화형, 오일성, 분말 분산형, 또는 고체 분말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로는 화장수,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등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유화형 자외선 차단용 크림, 유화형 파운데이션, 유화형 메이크업 베이스, 오일케익형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익, 파우더 팩트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액상 중량 대비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그 건조중량으로서 0.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 실시예 1 >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및 분말 제조방법
채취한 도라지와 당귀를 흐르는 물에 여러 번 수세하여 흙과 유해물질을 충분히 제거 한 후에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물기를 제거한 도라지와 당귀, 생강을 각각 증숙기에서 90℃, 1.3기압의 조건으로 12시간 증숙하고, 다시 50℃에서 18시간 동안 열풍건조하는 과정을 총 9회 진행하여 얻은 흑도라지 1.5 kg 과 흑당귀 0.9 kg, 흑생강 0.6 kg(총 무게 3.0 kg)을 30% 에틸알코올 20 kg에 넣고 초음파 추출기(파장 : 50 KHz, 출력 800 watt)로 50℃로 4시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 1 마이크로, 0.45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buchi사)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한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 농축액을 동결건조기(일신랩)를 이용하여 동결 건조하여 건조 중량 498.5 g을 얻었다.
< 실시예 2~7 > 흑도라지 , 흑당귀 , 흑생강 혼합 추출물 및 분말 제조방법
상기의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래의 표 1의 시료(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를 혼합한 비율로 추출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이 추출 건조물을 얻었다.
흑도라지 : 흑당귀 : 흑생강 사용량(Kg) 전체사용량(Kg) 수득량(g)
실시예 2 2.0 : 0.5 : 0.5 3 476.3
실시예 3 0.5 : 2.0 : 0.5 3 485.7
실시예 4 0.5 : 0.5 : 2.0 3 472.7
실시예 5 1.5 : 0.75 : 0.75 3 479.6
실시예 6 0.75 : 1.5 : 0.75 3 483.2
실시예 7 0.75 : 0.75 : 1.5 3 477.5
< 제조예 1 > 본 발명에 따른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 흑당귀 ,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의 제조
실시예 1의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처방예는 표 2와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 0.1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11번에 2, 3, 4, 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 ℃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하여 용해한 후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6, 7, 9번을 투입하되, 1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 제조예 2 > 본 발명에 따른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 흑당귀 ,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로션의 제조
실시예 1의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처방예는 표 3과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 0.1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10, 11, 13, 16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 ℃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를 80 ~ 85 ℃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35 ℃에 1번을 투입하여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 제조예 3, 비교예 1 > 본 발명에 따른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 흑당귀 ,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제조
실시예 1의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표 4의 제조예 3과 같다.
번호 원료 제조예 3
함량(중량%)
비교예 1
함량(중량%)
1 실시예 1 0.1 -
2 스테아린산 2.0 2.0
3 세틸알콜 2.0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1.0
8 왁스 1.0 1.0
9 유동파라핀 4.0 4.0
10 스쿠알란 4.0 4.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0.3
13 부틸렌글리콜 5.0 5.0
14 글리세린 3.0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5 0.5
16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12, 13, 14, 16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 ℃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1을 80 ~ 85 ℃ 사이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15를 투입 교반하여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 ℃까지 냉각하고 1번을 투입하여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 제조예 4 > 본 발명에 따른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의 제조
실시예 1의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 분말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표 5와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 0.1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7, 8 및 14를 혼합하되, 1번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 시험예 1 > 세포 무독성 및 세포증식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 7에서 제조된 추출, 건조분말에 대하여 세포배양을 이용한 세포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세포 독성 및 증식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세포(파이브로블라스트, 3T3 cell)를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000세포/웰로 분주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 별 각각 50, 100, 200, 400(μg/ml)로 투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티아졸린 블루(Thiazoline blue)를 투여하고 4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율을 계산하였다.
2) 실험결과
세포증식 효과는 계산식 1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Figure pat00001
농도
(ug/ml)
세포증식효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대조군 100 100 100 100 100 100 100
50 108.7 100.9 103.5 100.6 100.5 102.1 103.1
100 116.7 102.1 107.2 101.2 101.6 105.1 105.5
200 123.3 104.4 111.2 104.2 103.3 108.9 109.2
400 129.1 111.6 119.7 110.4 109.6 114.3 115.1
본 실시예 1~7의 추출물은 모두 세포 증식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도라지 9증9포, 당귀 9증9포 및 생강 9증9포한 시료를 동일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 추출물에서 비교 실시예 2~7의 추출물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세포증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2 > 자유라디칼( free radical ) 소거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 7에서 제조된 추출, 건조분말에 대하여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1)실험방법
DPPH(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법 (참조: Blois.M.S.Nature 181, 1190, 1958)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DPPH와 Quercetin은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0.2 mM DPPH 메탄올 용액 1 ml에 여러 농도(5, 10, 20, 40, 80 μg/ml)의 실시예 1 ~ 6의 에탄올 또는 메탄올 용액 2ml를 첨가하고 잘 교반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을 시킨다. 그리고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공시험으로 각 시료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2) 실험결과
하기 계산식 2를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7에 기재하였다.
[계산식 2]
Figure pat00002
농도 (ug/ml) 자유라디칼소거 효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0 0 0 0 0 0 0 0
5 25.9 19.3 11.7 19.1 11.6 13.5 17.1
10 53.7 43.7 24.2 32.5 20.4 23.5 29.5
20 84.1 61.2 40.8 53.7 39.7 44.1 55.7
40 97.6 85.3 79.6 86.8 75.6 80.5 86.2
80   97.7 94.8 96.5 92.1 95.1 97.6
SC50 14.03 19.00 24.58 20.55 25.98 23.93 20.82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추출분말의 자유라디칼 50% 소거효과는 14.03이며, 실시예 2 ~ 7 의 자유라디칼 50% 소거 효과 농도(IC50)는 19.00, 24.58, 20.55, 25.98, 23.93, 20.82 μg/ml보다 월등히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3 > 지질과산화( Lipid peroxydation ) 억제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 7에서 제조된 추출, 건조분말에 대하여 지질과산화(Lipid peroxydation)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1)실험방법
8% Sodium lauryl sulfate 수용액에 linolenic acid를 0.1%가 되게 용해하여 3.9 ml을 취해서 여기에 농도별(56.25, 112.5, 225, 450, 900 μg/ml)로 시료를 0.1 ml를 첨가한 후 자외선을 한시간 조사한다. 그리고 1 ml를 취해서 0.8% TBA 수용액 1.5 ml와 20% 초산(pH 3.5) 1.5 ml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중탕하여 냉각한 후 정제수 1 ml와 n-BuOH:Pyridine(15:1) 5 ml를 가하여 진탕하고 원심분리 후 n-BuOH층을 취해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2) 실험결과
공시험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으로 하였다. 하기 계산식 3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 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8에 기재하였다.
[계산식 3]
Figure pat00003
농도(ug/ml) 지질과산화 활성억제 효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0 0 0 0 0 0 0 0
56.25 5.8 3.2 1.8 1.9 1.5 2.2 1.9
112.5 15.3 9.6 4.3 8.2 2.9 6.5 4.8
225 36.7 24.3 12.1 28.3 9.9 18.7 13.9
450 77.5 51.8 48.3 53.2 43.1 45.2 39.8
900 96.7 90.9 85.7 91.3 86.3 88.9 78.7
IC50 390.72 482.97 533.89 475.65 547.87 516.49 585.19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실시예 2 ~ 7 의 지질과산화 50% 억제 농도(IC50) 482.97, 533.89, 475.65, 547.87, 516.49, 585.19 μg/ml보다 월등히 우수한 390.72 μg/ml로 매우 우수한 지질 과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시험예 4 > 리폭시게나아제 ( Lpoxygenase ) 활성억제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 7에서 제조된 추출, 건조분말에 대하여 리폭시게나아제(Lpoxygen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1)실험방법
TBARS법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하는 Linoleic acid와 Lipoxygenase, Thiobabitulic acid, Quercetin는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1 mM Linoleic acid 1 ml에 여러 농도(6.25, 12.5, 25, 50 μg/ml)의 실시예 1~6을 0.05 ml를 첨가하고 Lipoxygenase 0.95 ml를 투여 후 잘 교반하고 25℃에서 10분간 반응을 시킨다. 그리고 Trichloroacetic acid를 0.5 ml 투여하고 Thiobarbiturlic acid 1ml 첨가한 후 10분간 heating을 한 후 얼음물에서 2~3분간 냉각시켜 반응을 종료시킨다. 반응이 종결된 반응액에 Butanol 2 ml를 넣고 4,000ⅹg로 5분간 원심분리 한 후 53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공시험으로 각 시료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2) 실험결과
하기 계산식 4를 이용하여 Lipoxygenase 활성억제 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9에 기재하였다.
[계산식 4]
Figure pat00004
농도(ug/ml)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억제 효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0 0 0 0 0 0 0 0
6.25 10.7 5.7 5.2 7.2 4.9 4.1 6.8
12.5 31.5 13.5 12.1 15.1 11.9 9.8 15.3
25 74.9 35.7 37.3 39.2 31.1 24.3 35.6
50 93.1 85.8 85.7 84.7 81.5 80.1 81.9
IC50 22.83 31.18 31.12 30.73 33.21 34.94 32.01
상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리폭시게나아제 50% 활성억제 농도(IC50)는 22.83 μg/ml로 실시예 2 ~ 7의 리폭시게나아제 50% 활성억제 농도(IC50) 31.18, 31.12, 30.73, 33.21, 34.94, 32.01 μg/ml보다 월등히 우수하였다.
< 시험예 5 > 히아루로니다아제 활성 억제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 7에서 제조된 추출, 건조분말에 대하여 히아루로니다아제 활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1) 실험방법
Morgan-Elson 법을 응용한 방법이다. Hyaluronidase의 최종 효소 활성을 400NF unit/㎖, HA의 최종 농도를 0.4 mg/ml로 하고 게다가 활성제인 Compound 48/80 buffer 용액(0.1 mg/ml)을 사용하여 불활성형 Hyaluronidase의 활성화 단계의 저해작용을 중심으로 Hyaluronid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시료는 buffer에 용해하여 시료 용액으로 하고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에 buffer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blank로는 효소용액 대신에 buffer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녹차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2) 실험결과
하기 계산식 5를 이용하여 히아루로니다아제 활성억제 효과를 구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0에 기재하였다.
[계산식 5]
Figure pat00005
농도(ug/ml) 히아루로니다아제 활성억제 효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0 0 0 0 0 0 0  
56.25 23.1 18.2 15.2 15.6 10.9 9.1 11.3
112.5 48.3 41.2 29.7 34.3 24.7 22.1 25.7
225 79.7 69.7 63.2 55.7 51.6 49.2 52.9
450 95.4 90.2 88.9 90.2 83.5 81.7 86.6
900   97.2 97.8 98.9 97.5 96.7 95.6
IC50 172.16 263.23 298.79 298.88 339.24 353.34 242.07
상기 표 10에서와 같이 실시예 1의 히아루로니다아제 50% 활성억제 농도(IC50)는 172.16 μg/ml로 실시예 2 ~ 7의 히아루로니다아제 50% 활성억제 농도(IC50) 263.23, 298.79, 298.88, 339.24, 353.34, 242.07 μg/ml 보다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6 > 아토피 개선효과 평가
제조예 3의 화장료에 대한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의 임상 평가를 측정하였다. 상기 제조예 3 화장료의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아토피성 피부를 가지고 있는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시료를 이중 맹검법(double-blinded test)에 의하여 각각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누어 전신에 도포하되, 가능한 한 시험시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보습제의 사용은 금지하였다. 시험 시료를 도포한 지 1, 2, 3, 4주 후의 효과를 스코래드 (SCORAD; SCORing Atopic Dermatitis) 측정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냈다.
1) 판정기준
① 정도 기준(Extent criteria) : 면적 = 피손부위/100
② 강도 기준(Intensity criteria)
- 홍반 (1/2/3)
- 부종 (1/2/3)
- 삼출 (1/2/3)
- 피부 벗겨짐 (1/2/3)
- 태선화 정도 (1/2/3)
- 건조 정도 (1/2/3)
③ 주관적 기준
- 가려움 (1-10)
- 불면증 (1-10)
*스코래드 계산 = (정도기준/5) + (강도기준/7) + 주관적기준
분류 0주 1주 2주 3주 4주
제조예 3 65.8 36.2 18.2 13.6 8.2
0.00% 44.98% 72.34% 79.33% 87.54%
비교예 1 67.1 47.5 36.7 29.6 20.7
0.00% 29.21% 45.31% 55.89% 69.15%
상기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라지 당귀 9증9포 혼합 추출물(실시예 1)을 함유하는 제조예 3의 화장료가 제조예 3에서 도라지 당귀 9증9포 혼합 추출물 (실시예 1) 함량만큼 정제수를 첨가한 비교예 1에 비해 아토피 피부 개선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4주 후의 결과를 보면 스코래드 지수 기준 87.54% 개선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보호자가 느끼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제조예 3 및 비교예 1의 화장료를 1개월 동안 사용한 후, 사용자가 하기 표 12의 기준에 따라 피부염의 가려움증, 홍반 변화, 피부 건조증에 대한 만족도와 함께 전반적인 피부염 개선 정도 및 시험시료에 의한 부작용 여부 등을 평가하도록 하여 하기 표 13에 나타냈다.
1 2 3 4 5
효과없음 약간있음 보통 우수 매우우수
매우불만 불만 보통 만족 매우만족
분류 피부가려움증 홍반 변화 피부 건조증 전반적 개선효과 부작용
제조예 3 4.2 3.9 3.9 4.3 4.1
비교예 1 3.5 2.6 3.3 3.1 3.8
상기 표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3의 화장료는 피시험자인 아토피성 피부를 갖는 성인에 대하여 전 평가항목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도라지 당귀 9증9포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12)

  1. 도라지, 당귀, 생강을 각각 9증9포하여 배합한 후 초음파 또는 열수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
  2. 제 1 항에 있어서,
    9증9포를 한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을 5 : 3 : 2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초음파 또는 열수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및 에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
  4. 도라지, 당귀, 생강을 9증9포하여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을 확보하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의 흑도라지, 흑당귀, 흑생강을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초음파 또는 열수 추출하여 혼합 추출물을 얻는 단계(S20);
    상기 단계(S20)의 혼합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혼합 추출물 농축액을 얻는 단계(S30);
    상기 단계(S30)의 혼합 추출물 농축액을 동결 건조하여 혼합 추출물 농축 분말을 얻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에서 9증9포를 한 도라지, 당귀, 생강을 5 : 3 : 2의 비율로 배합하여 초음파 또는 열수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에서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및 에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초음파 또는 열수 추출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에서 초음파 추출은 20 내지 60 KHz를 가지는 파장 및 300 내지 1000 Watt 출력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8.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에서 초음파 추출은 30 내지 60 ℃에서 3 내지 24 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에서 열수 추출은 30 내지 100 ℃에서 3 내지 48 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제 1 항의 도라지, 당귀, 생강의 9증9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도라지 당귀 9증9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청구항 제 1 항의 도라지, 당귀, 생강의 9증9포 혼합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건조중량 대비 0.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유화형 자외선 차단용 크림, 유화형 파운데이션, 유화형 메이크업 베이스, 오일케익형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익, 또는 파우더 팩트의 제형으로 제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도라지, 당귀, 생강 9증9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27839A 2017-09-29 2017-09-29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KR10212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839A KR102122960B1 (ko) 2017-09-29 2017-09-29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839A KR102122960B1 (ko) 2017-09-29 2017-09-29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982A Division KR20190116182A (ko) 2019-09-20 2019-09-20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966A true KR20190037966A (ko) 2019-04-08
KR102122960B1 KR102122960B1 (ko) 2020-06-24

Family

ID=6616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839A KR102122960B1 (ko) 2017-09-29 2017-09-29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9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33B1 (ko) * 2020-05-28 2020-11-06 주식회사 하나모아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강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1939099A (zh) * 2020-09-04 2020-11-17 陈广文 一种祛痘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482367B1 (ko) * 2022-06-14 2022-12-29 (주)올바름디앤비 흑화된 천연 원물의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름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379A (ko) * 2003-10-13 2005-04-18 현 용 이 초음파 병행 저온 추출 기술을 이용한 생약재 추출물제조방법
KR20130010984A (ko) * 2011-07-20 2013-01-30 주식회사 제닉 구증구포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379A (ko) * 2003-10-13 2005-04-18 현 용 이 초음파 병행 저온 추출 기술을 이용한 생약재 추출물제조방법
KR20130010984A (ko) * 2011-07-20 2013-01-30 주식회사 제닉 구증구포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33B1 (ko) * 2020-05-28 2020-11-06 주식회사 하나모아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강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21241934A1 (ko) * 2020-05-28 2021-12-02 주식회사 하나모아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강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3730315A (zh) * 2020-05-28 2021-12-03 株式会社一集募娥 包含生姜提取物的生姜水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11826458B2 (en) 2020-05-28 2023-11-28 Hanamoa Co., Ltd. Ginger water composition having ginger extra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1939099A (zh) * 2020-09-04 2020-11-17 陈广文 一种祛痘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482367B1 (ko) * 2022-06-14 2022-12-29 (주)올바름디앤비 흑화된 천연 원물의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름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960B1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896B1 (ko) 홍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16106B1 (ko)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해조류 혼합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KR101284656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666151B1 (ko)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조밥나물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조밥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7876A (ko) 항산화, 항염 효과를 갖는 화차 발효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0863890B1 (ko)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2960B1 (ko)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KR101736714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442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0992087B1 (ko) 신갈나무잎, 차풀 및 방아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85228B1 (ko) 동아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6182A (ko)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흑도라지와 흑당귀, 흑생강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KR101681258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KR102421800B1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671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7303255B (zh) 具有抗炎、抗过敏和特应性皮肤改善作用的高粱发酵产物,其制备方法及其化妆料组合物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39658B1 (ko) 흑마늘, 과체, 총백 혼합 추출물
KR101803263B1 (ko) 항염, 항알러지 및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수수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1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920

Effective date: 20200429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