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443A -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443A
KR20190037443A KR1020170126779A KR20170126779A KR20190037443A KR 20190037443 A KR20190037443 A KR 20190037443A KR 1020170126779 A KR1020170126779 A KR 1020170126779A KR 20170126779 A KR20170126779 A KR 20170126779A KR 20190037443 A KR20190037443 A KR 20190037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vehicle
state signal
control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2474B1 (ko
Inventor
김창주
권석근
최수영
문지환
예정열
이민희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6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4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는 전자제어유닛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차량 주변 상태를 확인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제2 스위치부;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상태 신호를 입력 받는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 및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된 후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n/off control of camera monitor system}
본 발명은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스마트 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차량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오프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석에서 전방의 감시는 용이한 반면 측방이나 후방의 감시가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사각 지대가 발생하게 되며,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대부분의 인명 사고나 구조물 파손 등의 사고는 이러한 사각 지대에서 발생하게 된다.
운전자는 차량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미러를 통해 주변, 특히 사각 지대를 감시하며 차량을 운행하게 되나, 이러한 미러에 의한 감시는 운전자의 지속적인 주의가 요구되므로 운전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고, 차량 자체에 의한 시야 방해로 인해 안전 운행을 도모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차량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차량의 운전석 내에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이른바 CMS(Camera Monitor System)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CMS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운전자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석 부근에 차량용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존의 사이드 미러만 설치된 경우보다 사각 지대가 감소하여 안전성을 도모하고, 운전자 시야 확보 및 피로도 경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CMS는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오프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동이 꺼질 때 CMS가 오프되더라도 큰 문제가 없으나, 운전자가 잠시 차량을 비우고 재탑승하는 경우 등에는 신속하게 차량의 후방이나 측방의 영상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1998호(2009.03.31)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라도 특정 조건 만족시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구동을 유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는 전자제어유닛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차량 주변 상태를 확인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제2 스위치부;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상태 신호를 입력 받는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 및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된 후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된 후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제2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신호는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 디스플레이 온 상태 신호,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신호, 시동 온 상태 신호 및 시동 오프 상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된 후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온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온(on)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된 후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 및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은 경우, 상기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온(on)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키로부터 송출되는 스마트 키 신호를 획득하는 스마트 키 신호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 신호는 도어(door) 락(lock)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door) 락(lock)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도어(door) 락(lock)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방법은 전자제어유닛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차량 주변 상태를 확인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된 후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확인 결과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제2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확인 결과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라도 특정 조건 만족시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구동을 유지하여, 운전자가 잠시 차량을 비우고 재탑승하는 경우 등에서 즉각적으로 차량의 후방 또는 측방의 영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닛과 디스플레이의 오프 조건을 분리시켜,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배터리 소모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이 포함된 차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카메라가 설치된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와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로 입력되는 각종 신호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방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이 포함된 차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카메라가 설치된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0)은 카메라(110), 전자제어유닛(120) 및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한다.
카메라(110)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외부를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의 양측 프론트 도어나 프론트 도어 부근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110)는 상기 차량의 후방이나 측방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일반적으로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IS(CMOS Image Sensor) 등의 촬상 소자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10)는 매초 15~30프레임의 2차원 화상을 촬영하여 디지털 변환함으로써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카메라(110)가 디지털카메라가 아니라면 촬영한 영상은 RGB 아날로그 영상 신호이므로 ADC컨버터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10)가 디지털카메라라면 ADC컨버터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카메라(110) 자체에서 영상을 인코딩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므로, 카메라(110)가 영상을 촬영하면 곧바로 인코딩되어 압축 영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최근에는 초고해상도 영상인 UHD(Ultra High Definition)의 관심으로 UHD 영상 인코딩을 위한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의 표준화가 완료되며 H.264/MPEG-4 AVC보다 2배 이상의 인코딩 효율을 향상시켰다. 상기 영상을 인코딩하기 위한 코덱으로는, 최근 주로 사용되는 MPEG4 또는 H.264/MPEG-4 AVC, 상기 소개한 HEVC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코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자제어유닛(120)은 그 자체로 영상을 인코딩(Encoding)을 하거나 디코딩(Decoding)을 할 수 있고, 영상 처리 과정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카메라(110) 자체에서 영상을 인코딩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면,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은 곧바로 인코딩이 되고, 전자제어유닛(120)으로 압축 영상이 전송된 후 디코딩의 과정을 거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전자제어유닛(120)과 차량용 디스플레이(130) 사이의 연결 라인은 신호 대역폭이 작다. 따라서 상기 영상을 차량용 디스플레이(130)에 전송하기 위해서, 인코딩 및 디코딩 과정을 거치면서 영상의 로 데이터(Raw Data)는 다운 사이징(Down Sizing) 내지 다운 스케일링(Down Scaling) 될 필요가 있다. 상기의 영상이 차량용 디스플레이(130)로 전송이 되면, 디스플레이(130) 내부의 영상 처리 보드에서 다시 인코딩 및 디코딩 과정을 거쳐 복원 영상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130) 내부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전자제어유닛(120)은 차량에 탑재된 각종 센서의 입력을 수신하고, 영상 처리 과정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주야 판단을 하여 영상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별도로 차량에 탑재된 조도센서(54) 등과 같은 센서가 전자제어유닛(120)에 신호를 인가한다. 전자제어유닛(120)은 센서의 신호를 받으면, 야외의 주간, 야간 여부를 판단하고 영상의 밝기 조절을 명령한다. 상기 밝기 조절 명령은 디스플레이(130)에 영상의 디코딩을 비롯한 영상 처리 과정에서 화소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전자제어유닛(120)이 직접 디스플레이(130)에 부착된 백라이트(Backlight)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야외가 주간이라면 출력되는 영상의 밝기를 대략 500cd/m2 이상으로 밝게 하고, 야외가 야간이라면 출력되는 영상의 밝기를 대략 100cd/m2 이하로 어둡게 할 수 있으나, 상기 수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의 기능 외에도 전자제어유닛(120)은 각종 설정된 내용들을 구현하거나 내부의 신호들을 제어한다. 상기 설정된 내용은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설정한 내용뿐만 아니라 자체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의 설정 내용은 화면의 줌, 해상도, 밝기, 색도, 채도를 포함하고, 회전, 흑백, 스타일, 뷰 모드 등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모든 내용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면 화면의 줌 인 및 줌 아웃을 하여 화면의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하고, 화면의 밝기 또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0)가 촬영한 영상 중에서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부분을 볼 수 있도록 뷰 모드를 조정할 수 있고, 카메라(110)를 회전 및 이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제어유닛(120)은 음성 처리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0)에 마이크가 설치되어 있다면, 카메라(110)가 별도로 차량 외부의 음성을 녹음할 수 있다. 상기 녹음된 음성 데이터 또한 카메라(110) 자체에서 인코딩 될 수 있고, 인코딩된 압축 음성 데이터는 음성 처리 모듈(미도시)에서 디코딩 및 기타 음성 처리가 된다. 상기 음성 처리된 복원 음성은 전자제어유닛(120)의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130) 내부의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안내 메시지 또는 단순한 버저(Buzzer)음이 미리 음성 데이터로 저장되어, 음성 처리 모듈(미도시)을 통해 음성 처리가 된 후 디스플레이(130) 내부의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다.
전자제어유닛(120)은 네트워크 통신(5)을 통해 차량에 탑재된 각종 센서 및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통신(5)은 차량의 내부에서 액셀레이터 센서(51), 브레이크 시스템(52), 휠 스피드 센서(53), 조도 센서(54), 램프 조절 시스템(55) 등 각종 센서 또는 시스템들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시킨다.
이때, 네트워크 통신(5)은 캔 통신(Controller Area Network: CA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린 통신(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등 다양한 네트워크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에 탑재된 각종 센서 및 시스템은 액셀레이터 센서(51), 브레이크 시스템(52), 휠 스피드 센서(53), 조도 센서(54), 램프 조절 시스템(55) 등을 포함한다.
액셀레이터 센서(51)는 엔진의 RPM을 조절하도록 액셀레이터 페달이 받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이며, 휠 스피드 센서(53)는 차량의 바퀴의 회전량 또는 단위시간 당 회전수를 검출하는 센서로써 홀(Hall) 소자 등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브레이크 센서(522)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량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브레이크 센서(522)는 브레이크 시스템(52)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에 접속된다. 변속 레버 스위치(57)은 변속 레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 또는 스위치이며, 변위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조도 센서(54)는 차량의 외부에 탑재되어 수광량을 측정함으로써 주야를 판단하는 센서로, 광전지 또는 광전관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브레이크 시스템(52)은 구동부(521)를 이용하여 제동력을 증강시키는 브레이크 어시스트(Brake Assist), 브레이크의 락을 억제하는 ABS(Anti-lock Braking System) 등을 가진 전동 브레이크 시스템이다. 램프 조절 시스템(55)은 상기 조도 센서(54) 또는 사용자의 제어 입력에 따라 차량의 램프 발광량을 조절하는 시스템이다. 외부 시스템(56)은 차량의 생산, 점검 및 정비 시에 사용되는 검사 시스템이나 조정 시스템을 외부에서 접속 커넥터 등을 통해 접속하는 옵션 시스템으로, 차량에 항상 탑재되는 것이 아니라 탈착이 가능하다.
상기 기술한 센서 및 시스템은 예시적인 것이며, 그 연결 형태 또한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 또는 연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전자제어유닛(120)에서 처리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디스플레이(130)는 네비게이션, AV 시스템, HUD, 룸미러 등과 같은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0)의 구동도 오프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차량을 잠시 비우고 재탑승하는 경우에 전자제어유닛(120)의 부팅시간 때문에 운전자는 신속하게 차량의 후방이나 측방의 영상을 확인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보다 빠르게 주변 상황을 파악할 수 없어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바,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차량의 후방이나 측방의 영상을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200)는 스마트 키 신호 획득부(210),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220) 스위치 제어부(230), 제1 스위치부(240) 및 제2 스위치부(250)를 포함한다.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와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200)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100)의 온/오프 여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오프 제어 장치(200)의 일 구성인 스위치 제어부(230)가 제1 스위치부(240) 및 제2 스위치부(250)를 제어하여 전자제어유닛(120) 및 디스플레이(130)를 각각 온/오프 시킨다. 이하에서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오프 제어 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마트 키 신호 획득부(210)는 스마트 키로부터 감지되는 스마트 키 신호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키 신호는 도어(door) 락(lock)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도어(door) 락(lock) 신호는 상기 스마트 키에서 도어(door) 락(lock) 버튼을 누르는 경우, 스마트 키 신호 획득부(210)에서 획득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220)는 상기 차량의 소정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상태 신호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차량 상태 신호는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 디스플레이 온 상태 신호,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신호, 시동 온 상태 신호 및 시동 오프 상태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는 상기 차량의 도어(door)가 온(on)된 경우,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220)에서 획득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는 상기 차량의 도어(door)가 오프(off)된 경우,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220)에서 획득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온 상태 신호는 디스플레이(130)의 온(on) 버튼을 누른 경우,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220)에서 획득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신호는 디스플레이(130)의 오프(off) 버튼을 누른 경우,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220)에서 획득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시동 온 상태 신호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on)된 경우,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220)에서 획득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시동 오프 상태 신호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된 경우,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220)에서 획득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즉,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220)는 상기 차량의 각 부분에서 차량의 현재 상태에 해당되는 신호를 획득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로 입력되는 각종 신호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 (a)는 시동 온/오프 상태 신호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 (a)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 된 경우, 시동 온/오프 상태 신호는 소정 레벨의 전압이 된다. 그러나,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된 경우, 시동 온/오프 상태 신호는 Ground 레벨이 된다. 이때,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220)는 시동 온/오프 상태 신호가 소정 레벨의 전압인 경우, 시동 온 상태 신호를 획득하고, Ground 신호인 경우 시동 오프 상태 신호를 획득한다.
도 5 (b)는 도어 오픈/클로즈 상태 신호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 (b)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의 도어가 오픈 된 경우, 도어 오픈/클로즈 상태 신호는 소정 레벨의 전압이 된다. 그러나, 상기 차량의 도어가 클로즈 된 경우, 도어 오픈/클로즈 상태 신호는 Ground 레벨이 된다. 이때,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220)는 도어 오픈/클로즈 상태 신호가 소정 레벨의 전압인 경우,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를 획득하고, Ground 신호인 경우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를 획득한다.
도 5 (c)는 디스플레이 온/오픈 스위치 신호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 (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0)의 온/오프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온/오픈 스위치 신호는 소정 레벨의 전압이 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120)의 온/오프 버튼을 때면, 디스플레이 온/오픈 스위치 신호는 Ground 레벨이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120)가 온 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20)의 온/오프 버튼을 눌렀다 때면,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2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신호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120)가 오프 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20)의 온/오프 버튼을 눌렀다 때면,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220)는 상기 디스플레이 온 상태 신호를 획득한다.
도 5 (d)는 도어 락 펄스 신호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 (d)를 참조하면, 스마트 키의 도어 락 버튼을 누르면, 도어 락 펄스 신호는 수 ms 동안 소정 레벨의 전압을 유지하다가 Ground 레벨로 복귀한다. 이 경우, 스마트 키 신호 획득부(210)는 도어(door) 락(lock) 신호를 획득한다.
도 5 (e)는 도어 언락 펄스 신호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 (d)를 참조하면, 스마트 키의 도어 언락 버튼을 누르면, 도어 언락 펄스 신호는 수 ms 동안 소정 레벨의 전압을 유지하다가 Ground 레벨로 복귀한다. 이 경우, 스마트 키 신호 획득부(210)는 도어(door) 언락(unlock) 신호를 획득한다.
스위치 제어부(230)는 상기 시동 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 중 상기 시동 오프 상태 신호를 제외한 신호의 입력 여하에 따라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2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 중 상기 시동 오프 상태 신호를 제외한 신호 및 상기 도어(door) 락(lock) 신호의 입력 여하에 따라 전자제어유닛(120)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1 스위치부(24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길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 제어부(230)는 상기 시동 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 중 상기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 및 상기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은 경우, 상기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제2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 즉, 이 경우는 운전자가 시동을 오프(off)시키고 도어(door)를 열고 밖으로 나간 뒤 도어(door)를 닫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위치 제어부(230)는 운전자가 차량 밖으로 나간 것으로 추정하여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제2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
이후, 스위치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130)가 오프 된 후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온(on)되도록 제2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 즉, 이 경우는 운전자가 차량 밖으로 나갔다가 제2 시간 이내에 재탑승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위치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온(on)되도록 제2 스위치부(250)를 제어하여 운전자가 신속하게 차량 후방 또는 측방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스위치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130)가 오프 된 후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door) 락(lock)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도어(door) 락(lock)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전자제어유닛(120)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제1 스위치부(240)를 제어한다. 또한, 스위치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130)가 오프 된 후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door) 락(lock) 신호를 입력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2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 전자제어유닛(120)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제1 스위치부(240)를 제어한다. 즉, 이 경우는 모두 운전가 차량 밖으로 나간 후 당분간 재탑승하지 않을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자제어유닛(120)의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신속히 전자제어유닛(120)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다만, 양자는 상기 도어(door) 락(lock) 신호를 입력여하에 따라, 전자제어유닛(120)의 전원을 오프할 시점이 달라진다.
다른 예로, 스위치 제어부(230)는 상기 시동 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 중 상기 시동 오프 상태 신호를 제외한 어떤 신호도 입력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후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제2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 즉, 이 경우는 운전자가 시동을 오프(off)시키고 차량 내에서 다른 용무를 보고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스위치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130)의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제2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
이후, 스위치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 중 상기 시동 오프 상태 신호를 제외한 어떤 신호도 입력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2 시간이 경과한 후 전자제어유닛(120)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제1 스위치부(240)를 제어한다. 즉, 이 경우는 운전자가 시동을 오프(off)시키고 차량 내에서 장기간동안 다른 용무를 보고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스위치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130) 뿐만 아니라, 전자제어유닛(120)의 배터리 방전도 방지하기 위해 전자제어유닛(120)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제1 스위치부(240)를 제어한다.
그러나, 스위치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130)가 오프 된 후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온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온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온 되도록 제2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 즉, 이 경우는 운전자가 차량 내에서 보던 용무를 마치고 차량의 후방 또는 측방 영상을 확인하려는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스위치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신속하게 온 되도록 제2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
한편, 스위치 제어부(230)는 상기 시동 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제2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
제1 스위치부(240)는 전자제어유닛(12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한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부(240)는 스위치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전자제어유닛(12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한다.
제2 스위치부(250)는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한다. 구체적으로, 제2 스위치부(250)는 스위치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오프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방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스위치 제어부(230)는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220)로부터 시동 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S601), 제1 시간 이내에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 및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를 순차적으로 입력받는지 확인한다(S603).
이후, 스위치 제어부(230)는 S603 단계에서 확인 결과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 및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은 경우,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2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S605).
이후, 스위치 제어부(230)는 제2 시간 이내에 도어(door) 락(lock) 신호를 입력받는지 확인한다(S607).
이후, 스위치 제어부(230)는 S607 단계에서 확인 결과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door) 락(lock)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도어(door) 락(lock)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전자제어유닛(12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1 스위치부(240)를 제어한다(S609).
그러나, 스위치 제어부(230)는 S607 단계에서 확인 결과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door) 락(lock) 신호를 입력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2 시간이 경과한 후 전자제어유닛(12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1 스위치부(240)를 제어한다(S611).
한편, 스위치 제어부(230)는 S603 단계에서 확인 결과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 및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1 시간 경과한 후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2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S613).
이후, 스위치 제어부(230)는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디스플레이 온 상태 신호를 입력받는지 확인한다(S615).
이후, 스위치 제어부(230)는 S615 단계에서 확인 결과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온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온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디스플레이(130)의 전원이 온 되도록 제2 스위치부(250)를 제어한다(S617).
그러나, 스위치 제어부(230)는 S615 단계에서 확인 결과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온 상태 신호를 입력받지 못한 경우, 상기 제2 시간이 경과한 후 전자제어유닛(120)의 전원이 오프되도록 제1 스위치부(240)를 제어한다(S611).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110 : 카메라
120 : 전자제어유닛
130 : 디스플레이
200 :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210 : 스마트 키 신호 획득부
220 :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
230 : 스위치 제어부
240 : 제1 스위치부
250 : 제2 스위치부

Claims (12)

  1. 전자제어유닛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차량 주변 상태를 확인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제2 스위치부;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상태 신호를 입력 받는 차량 상태 신호 획득부; 및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된 후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된 후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제2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전원이 오프 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신호는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 디스플레이 온 상태 신호,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신호, 시동 온 상태 신호 및 시동 오프 상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된 후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디스플레이 온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온(on)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된 후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 및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은 경우, 상기 도어(door) 클로즈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door) 오픈 상태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온(on)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스마트 키로부터 송출되는 스마트 키 신호를 획득하는 스마트 키 신호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 신호는 도어(door) 락(lock)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도어(door) 락(lock)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도어(door) 락(lock)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12. 전자제어유닛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차량 주변 상태를 확인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된 후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확인 결과 상기 제1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제2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오프 된 후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확인 결과 상기 제2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 상태 신호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방법.
KR1020170126779A 2017-09-29 2017-09-29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22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79A KR102322474B1 (ko) 2017-09-29 2017-09-29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79A KR102322474B1 (ko) 2017-09-29 2017-09-29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443A true KR20190037443A (ko) 2019-04-08
KR102322474B1 KR102322474B1 (ko) 2021-11-05

Family

ID=6616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779A KR102322474B1 (ko) 2017-09-29 2017-09-29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4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334A1 (ko)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장치
CN111824020A (zh) * 2019-04-23 2020-10-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操作显示器内部镜的系统和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071A (ja) * 2005-02-01 2006-08-17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監視装置
KR20090031998A (ko) 2007-09-26 2009-03-31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주변 감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JP2009083527A (ja) * 2007-09-27 2009-04-23 Denso Corp 電源制御システム
JP2011011649A (ja) * 2009-07-02 2011-01-20 Toyota Motor Corp 電源制御装置
JP2017039396A (ja) * 2015-08-20 2017-02-2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071A (ja) * 2005-02-01 2006-08-17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監視装置
KR20090031998A (ko) 2007-09-26 2009-03-31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주변 감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JP2009083527A (ja) * 2007-09-27 2009-04-23 Denso Corp 電源制御システム
JP2011011649A (ja) * 2009-07-02 2011-01-20 Toyota Motor Corp 電源制御装置
JP2017039396A (ja) * 2015-08-20 2017-02-2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334A1 (ko)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장치
CN111824020A (zh) * 2019-04-23 2020-10-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操作显示器内部镜的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474B1 (ko)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981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902355B2 (en) Camera activation response to vehicle safety event
JP3916958B2 (ja) 車両後方モニタシステムおよびモニタ装置
KR100663930B1 (ko) 후방 영상 제공 시스템이 구비된 룸미러
KR101846666B1 (ko) 측후방 주시 카메라 시스템 작동 제어장치 및 방법
US10059264B2 (en) Vehicular visual recognition device
JP2008213649A (ja) 車両用周辺監視装置
US20170346878A1 (en) Video activation button
KR20190037443A (ko)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온/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JP7368822B2 (ja) カメラパラメータ設定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パラメータ設定方法
KR20190037438A (ko) 차량 주변 감시 장치
JP2007129290A (ja) 車両/周囲画像提供装置
JP2018069861A (ja) 電子ミラー装置
JPH1035320A (ja) 車両状況認識方法、車載用画像処理装置および記憶媒体
KR102322484B1 (ko)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의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3221998A1 (zh) 车载流媒体显示系统和方法
JP7468885B2 (ja) カメラ装置
KR101853613B1 (ko) 통합 보드를 이용한 차량용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JP2007022360A (ja) 車両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70075141A (ko) 전자 제어 유닛을 공유하는 차량용 영상 감시 장치
JP3774448B2 (ja) 車載用画像処理装置
JP2000280822A (ja) 車両用バックモニタ装置
KR101757201B1 (ko) 주변 영상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GB2495105A (en)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with integral control means
KR20180097976A (ko) 주변 영상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