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411A - 회수 가능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수 가능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411A
KR20190037411A KR1020170126691A KR20170126691A KR20190037411A KR 20190037411 A KR20190037411 A KR 20190037411A KR 1020170126691 A KR1020170126691 A KR 1020170126691A KR 20170126691 A KR20170126691 A KR 20170126691A KR 20190037411 A KR20190037411 A KR 20190037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hamber
fluorocarbon
based precursor
turbo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남
오광진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2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7411A/ko
Publication of KR20190037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3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perfluorocarbons [PFC], hydrofluorocarbons [HFC] or sulfur hexafluoride [SF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웨이퍼의 식각 또는 표면처리를 위한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챔버(10)와; 챔버(10)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챔버(10)의 내부를 고진공 상태로 만드는 터보펌프(20)와; 터보펌프(20)와 제1 유로(L1)를 통해 연결되면서 터보펌프(20)의 진공펌핑을 조력하는 드라이펌프(30) 및; 제1 유로(L1)상에 설치되면서 터보펌프(20)에 의해 챔버(10)에서 배출되는 공정가스를 분리 회수하는 멤브레인필터(40); 를 포함하고, 챔버(10)로 공급되는 공정가스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지구 온난화 지수(GWP)가 낮은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공정가스로 사용하면서도 멤브레인을 통해 사용된 공정가스를 배출가스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수 가능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System with recoverable Fluorocarbon-based Precursor}
본 발명은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식각, 표면처리 등) 시 사용되는 공정가스를 플루오르카본(fluorocarbon)계 전구체(Precursor)를 사용하고, 사용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회수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 및 디스플레이 제조를 위한 플라즈마 공정에서는 많은 종류의 전구체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전구체로는 산화실리콘(SiO2), 질화실리콘(Si3N4) 또는 금속류 등을 식각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CF4, NF3, C4F8 등의 과불화탄소(Perfluorocarbon, PFC) 계열 공정가스를 예로들 수 있다.
이러한 PFC 계열 전구체들은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한 상태를 갖는 화합물이고, 이산화탄소에 비해 수천 배에서 수만 배에 이르는 긴 안정 상태를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PFC 계열 전구체들은 대기 중 분해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 때문에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주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의해 배출 규제의 필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PFC 계열 전구체는 대체적으로 끓는점이 매우 낮아 가스 상태로 존재하여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공정 후 배기 영역에서 회수 또는 분해를 통해 대기 중 배출되는 가스량을 감축하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대기로의 배출을 감소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공정은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을 가지며 공정 시 적용되는 고열공정으로 인해 또 다른 형태로 온실가스가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반도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PFC 계열 전구체를 대체하기 위해서 지구 온난화 지수(GWP)가 낮으면서도 쉽게 회수 가능한 대체 화합물(전구체)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001-0063392 A KR 10-2002-0075214 A KR 10-2004-0012052 A KR 10-1522277 B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제조 공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구 온난화 지수(GWP)가 낮은 전구체를 공정가스로 사용하고, 사용된 공정가스를 쉽게 회수할 수 있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을, 웨이퍼의 식각 또는 표면처리를 위한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챔버와; 챔버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챔버의 내부를 고진공 상태로 만드는 터보펌프와; 터보펌프와 제1 유로를 통해 연결되면서 터보펌프의 진공펌핑을 조력하는 드라이펌프 및; 제1 유로상에 설치되면서 터보펌프에 의해 챔버에서 배출되는 공정가스를 분리 회수하는 멤브레인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챔버로 공급되는 공정가스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가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챔버와 드라이펌프를 연결하는 제2 유로가 더 설치되고, 제1, 2 유로상에는 각각, 제1, 2밸브가 설치되며, 멤브레인필터는, 터보펌프와 제1 밸브 사이의 제1 유로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보펌프와 드라이펌프 사이의 제1 유로가 병렬로 2개의 유로로 분기되고, 분기된 제1 유로상에 각각 제1 밸브와 멤브레인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터보펌프와 드라이펌프 사이의 제1 유로가 병렬로 4개의 유로로 분기되고, 분기된 제1 유로상에 각각 제1 밸브와 멤브레인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4개로 분기된 제1 유로가, 2개의 유로가 한 조를 이루도록 2개 조로 구분되고, 터보펌프와 멤브레인필터 사이의 제1 유로상에는 2개 조로 구분된 유로를 개폐하는 제1, 2 전환밸브가 설치되며, 제1, 전환밸브는, 한 조씩 교대로 유로가 연결되도록 개폐 제어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2 유로상에 각각, 제1, 2 밸브가 설치되고, 드라이펌프의 하류쪽에는 제3 유로가 설치되며, 멤브레인필터는, 제1 유로 상에 설치되는 대신, 제3 유로상에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멤브레인필터가 제3 유로의 하단에 병렬로 복수 개 설치되고, 제3 유로상에는 드라이펌프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가스를 복수 개의 멤브레인필터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보틀이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웨이퍼의 식각 또는 표면처리를 위한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챔버(10)와;
상기 챔버(10)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챔버(10)의 내부를 고진공 상태로 만드는 터보펌프(20)와;
상기 터보펌프(20)와 제1 유로(L1)를 통해 연결되면서 상기 터보펌프(20)의 진공펌핑을 조력하는 드라이펌프(30) 및;
상기 제1 유로(L1)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터보펌프(20)에 의해 상기 챔버(10)에서 배출되는 공정가스를 분리 회수하는 멤브레인필터(40); 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10)로 공급되는 공정가스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챔버(10)와 상기 드라이펌프(30)를 연결하는 제2 유로(L2)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2 유로(L1, L2)상에는 각각, 제1, 2밸브(V1, V2)가 설치되며,
상기 멤브레인필터(40)는, 상기 터보펌프(20)와 제1 밸브(V1) 사이의 상기 제1 유로(L1)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터보펌프(20)와 상기 드라이펌프(30) 사이의 상기 제1 유로(L1)가 병렬로 2개의 유로로 분기되고,
분기된 상기 제1 유로(L1)상에 각각 제1 밸브(V1)와 상기 멤브레인필터(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터보펌프(20)와 상기 드라이펌프(30) 사이의 상기 제1 유로(L1)가 병렬로 4개의 유로로 분기되고,
분기된 상기 제1 유로(L1)상에 각각 제1 밸브(V1)와 상기 멤브레인필터(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4개로 분기된 상기 제1 유로(L1)는, 2개의 유로가 한 조를 이루도록 2개 조로 구분되고,
상기 터보펌프(20)와 상기 멤브레인필터(40) 사이의 상기 제1 유로(L1)상에는 2개 조로 구분된 유로를 개폐하는 제1, 2 전환밸브(V3, V4)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전환밸브(V3, V4)는, 한 조씩 교대로 유로가 연결되도록 개폐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2 유로(L1, L2)상에는 각각, 제1, 2 밸브(V1, V2)가 설치되고,
상기 드라이펌프(30)의 하류쪽에는 제3 유로(L3)가 설치되며,
상기 멤브레인필터(40)는, 상기 제1 유로(L1) 상에 설치되는 대신, 상기 제3 유로(L3)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멤브레인필터(40)는, 상기 제3 유로(L3)의 하단에 병렬로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유로(L3)상에는 상기 드라이펌프(30)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50)와, 압축된 가스를 복수 개의 상기 멤브레인필터(40)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보틀(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구 온난화 지수(GWP)가 낮은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공정가스로 사용하고, 사용된 공정가스를 멤브레인필터를 사용하여 분리 회수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공정가스량을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공정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구 온난화 지수(GWP)가 낮은 전구체인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사용함에 따라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전량 회수가 가능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으로서 대기환경오염의 현저한 방지 효과 및 지구온난화 주범 물질을 배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정가스 분리 회수를 위하여 멤브레인필터가 사용되기 때문에 종래의 공정 가스의 분리 회수를 위해 공정을 추가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하므로 설치와 유지보수가 쉽고, 또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멤브레인필터의 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의 제4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구 온난화 지수(GWP)가 낮은 전구체를 공정가스로 사용하고, 사용된 공정가스를 쉽게 회수할 수 있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 터보펌프(20), 드라이펌프(30), 멤브레인필터(40)를 포함한다.
챔버(10)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이하 '공정가스'라 한다.)가 공급되어 웨이퍼를 식각 또는 표면처리를 위한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챔버(10)는 밀폐되어 소정의 분위기하에서 공정가스를 투입함으로써 챔버(10) 내의 웨이퍼상에서 반응토록 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여기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fluorocarbon-based Precursor)는 탄화수소의 분자 내의 수소가 전부 플루오르 원자로 치환된 화합물로, 이러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fluorocarbon-based Precursor)는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플루오르카본계 화합물 중에서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실시된다.
상기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fluorocarbon-based Precursor)는 carbon tetrafluoride, Perfluorooctane, Perfluoro-2-methylpentane, Perfluoro-1,3-dimethylcyclohexane, Perfluorodecalin, Fluoroalkenes, fluoroalkynes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fluorocarbon-based Precursor)는 액상의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fluorocarbon-based Precurs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챔버(10)는 후술하는 터보펌프(20)와 드라이펌프(30)에 의해 고진공상태가 유지되는데, 이를 위해 챔버(10)와 터보펌프(20) 및 드라이펌프(30)를 차례로 연결하는 제1 유로(L1)와, 챔버(10)와 드라이펌프(30)를 직접 연결하는 제2 유로(L2)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 유로(L1)상에는 유로내부의 압력을 유지하여 터보펌프(20)를 보호하기 위한 제1 밸브(V1)가 설치되고, 제2 유로(L2)상에는 터보펌프(20)를 이용하여 챔버(10)를 고진공 상태로 만들기 전에 챔버(10)의 내부를 저, 중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2 밸브(V2)가 설치된다.
이때 제1 밸브(V1)는 일반적으로 터보펌프(20)의 배기라인쪽에 설치되는 플로라인밸브(Foreline Valve, FV)로 이루어지고, 제2 밸브(V2)는 저진공 형성을 위한 러핑밸브(Roughing Valve, RV)로 이루어진다.
또한, 챔버(10)와 후술하는 터보펌프(20) 사이의 제1 유로(L1)상에는 메인밸브(11)가 설치되고, 이러한 메인밸브(11)에 의해 챔버(10) 내부의 압력이 조절되거나 또는 챔버(10) 내부의 압력이 유지된다.
터보펌프(20)는 챔버(10)의 내부를 고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한 진공펌프로서, 이러한 터보펌프(20)는 고속 회전되는 표면을 이용하여 배기하고, 부드럽게 작동하여 진동이 적으며, 트랩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진공도에 도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터보펌프(20)는 탄화수소가 없는 진공에서 배기가 빠르고 깨끗한 장점이 있고, 통상 후술하는 드라이펌프(30) 등의 다른 펌프에 의해 보조되도록 구성된다.
드라이펌프(30)는 제1 유로(L1)상에 설치되면서 터보펌프(20)의 진공펌핑을 조력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터보펌프(20)를 이용하여 챔버(10)를 고진공상태로 만들기에 앞서, 제2 유로(L2)를 통해 챔버(10)를 저, 중진공상태로 만드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터보펌프(20)를 이용하여 챔버(10)를 고진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드라이펌프(30)를 보조하여 사용하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멤브레인필터(40)는 제1 유로(L1)상에 설치되면서 터보펌프(20)에 의해 챔버(10)에서 배출되는 공정가스를 분리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멤브레인필터(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L1) 유로를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원통 모양의 필터하우징(41)과, 필터하우징(41)의 상류쪽에 필터하우징(4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챔버(10)의 내부에서 해리(dissociation)되지 않고 터보펌프(20)를 통해 배출되는 미반응 공정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42)와, 필터하우징(41)의 하류쪽에 필터하우징(4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클린 가스가 배출되는 제1 배출구(43)와, 필터하우징(41)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유입된 미반응 공정가스를 분리하는 중공사 분리막(45) 및 필터하우징(41)의 일측에 위치되어 필터하우징(4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중공사 분리막(45)을 통해 분리된 미반응 공정가스가 배출되는 제2 배출구(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공사 분리막(45)은 고분자소재의 분자사슬 간격을 조절하여 막을 제조한 후, 통과하는 기체분자의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공정가스로 공급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가 제1 유로(L1)를 통해 멤브레인필터(40)의 내부로 유입되면, 중공사 분리막(45)에 의해 공정가스(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와 클린가스가 서로 분리되어 제1 배출구(43)와 제2 배출구(44)로 각각 배출되게 된다.
이때 제2 배출구(44)에는 분리 배출되는 공정가스를 회수하여 저장하기 위해 별도의 저장탱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은 공정가스로서 지구 온난화 지수(GWP)가 낮고, 회수가 용이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챔버(10)에서 미반응되거나 챔버(10)로부터 배출되는 공정가스를 멤브레인필터(40)를 이용하여 쉽게 분리 회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드라이펌프(30)를 통해 상대적으로 클린 가스만이 배출되므로 대기오염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공정가스로 사용되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회수하기 위해 제1 유로(L1)상에 멤브레인필터(40)가 설치되고, 이러한 멤브레인필터(40)의 내부에는 가스의 입자 크기에 따라 공정가스와 클린가스를 분리하기 위한 중공사 분리막(45)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공정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보펌프(20)와 드라이펌프(30) 사이의 제1 유로(L1)가 병렬로 2개의 유로로 분기되고, 분기된 제1 유로(L1)상에 각각 제1 밸브(V1)와 멤브레인필터(40)가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 밸브(V1)의 개폐를 제어하여 공정가스가 2개의 멤브레인필터(40)를 교대로 통과하여 드라이펌프(40)로 흐르면서 공정가스의 흐름이 저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보펌프(20)와 드라이펌프(30) 사이의 제1 유로(L1)가 병렬로 4개의 유로로 분기되고, 분기된 제1 유로(L1)상에 각각 제1 밸브(V1)와 멤브레인필터(40)가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4개로 분기된 제1 유로(L1)는 2개의 유로가 한 조를 이루도록 2개 조로 구분되고, 터보펌프(20)와 멤브레인필터(40) 사이의 제1 유로(L1)상에는 2개 조로 구분된 유로를 개폐하는 제1, 2 전환밸브(V3, V4)가 설치되며, 제1, 전환밸브(V3, V4)는 한 조씩 교대로 유로가 연결되도록 개폐 제어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공정가스가 2개씩 2개조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총 4개의 멤브레인필터(40)를 통과하면서 가스의 흐름성이 적절하게 담보된다.
한편, 위에서는 멤브레인필터(40)가 제1 유로(L1)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펌프(30)의 하류쪽에 제3 유로(L3)가 설치되고, 멤브레인필터(40)는 제3 유로(L3)상에 복수 개가 병렬로 설치되며, 제3 유로(L3)상에는 드라이펌프(30)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50)와, 압축된 가스를 복수 개의 멤브레인필터(40)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보틀(60)이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 유로(L1)를 통해 배출되는 공정가스와 드라이펌프(30)에서 생성되어 배출되는 질소(N2) 가스를 함께 제3 유로(L3)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맴브레인필터(40)를 이용하여 공정가스와 질소가스를 함께 회수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대기 중으로 클린 가스만이 배출되므로 환경오염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구 온난화 지수(GWP)가 낮은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공정가스로 사용하고, 사용된 공정가스를 멤브레인필터를 사용하여 분리 회수함으로써 공정가스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이 감소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챔버 11: 메인밸브
20: 터보펌프 30: 드라이펌프
40: 멤브레인필터 41: 필터하우징
42: 유입구 43: 제1 배출구
44: 제2 배출구 45: 중공사 분리막
L1: 제1 유로 L2: 제2 유로
L3: 제3 유로 V1: 제1 밸브
V2: 제2 밸브 V3: 제1 전환밸브
V4: 제2 전환밸브

Claims (3)

  1. 웨이퍼의 식각 또는 표면처리를 위한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챔버(10)와;
    상기 챔버(10)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챔버(10)의 내부를 고진공 상태로 만드는 터보펌프(20)와;
    상기 터보펌프(20)와 제1 유로(L1)를 통해 연결되면서 상기 터보펌프(20)의 진공펌핑을 조력하는 드라이펌프(30) 및;
    상기 제1 유로(L1)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터보펌프(20)에 의해 상기 챔버(10)에서 배출되는 공정가스를 분리 회수하는 멤브레인필터(40); 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10)로 공급되는 공정가스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10)와 상기 드라이펌프(30)를 연결하는 제2 유로(L2)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2 유로(L1, L2)상에는 각각, 제1, 2밸브(V1, V2)가 설치되며,
    상기 멤브레인필터(40)는, 상기 터보펌프(20)와 제1 밸브(V1) 사이의 상기 제1 유로(L1)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보펌프(20)와 상기 드라이펌프(30) 사이의 상기 제1 유로(L1)가 병렬로 2개의 유로로 분기되고,
    분기된 상기 제1 유로(L1)상에 각각 제1 밸브(V1)와 상기 멤브레인필터(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

KR1020170126691A 2017-09-29 2017-09-29 회수 가능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 KR20190037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691A KR20190037411A (ko) 2017-09-29 2017-09-29 회수 가능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691A KR20190037411A (ko) 2017-09-29 2017-09-29 회수 가능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411A true KR20190037411A (ko) 2019-04-08

Family

ID=6616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691A KR20190037411A (ko) 2017-09-29 2017-09-29 회수 가능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741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392A (ko) 1999-12-22 2001-07-09 고석태 유해개스 처리를 위한 플라즈마 처리 시스템
KR20020075214A (ko) 2001-03-21 2002-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퍼플루오르계 화합물의 배출을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40012052A (ko) 2002-07-31 200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식각장비의 반응가스 공급시스템
KR101522277B1 (ko) 2014-02-13 2015-05-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반도체 배기가스 내 아산화질소의 촉매 제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392A (ko) 1999-12-22 2001-07-09 고석태 유해개스 처리를 위한 플라즈마 처리 시스템
KR20020075214A (ko) 2001-03-21 2002-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퍼플루오르계 화합물의 배출을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40012052A (ko) 2002-07-31 200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식각장비의 반응가스 공급시스템
KR101522277B1 (ko) 2014-02-13 2015-05-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반도체 배기가스 내 아산화질소의 촉매 제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725B1 (ko) 희가스의 회수 방법 및 장치
KR20090048356A (ko) 기판 처리 챔버용 다중 포트 펌핑 시스템
KR101107196B1 (ko) 가스 분리 장치 및 가스 분리 방법
JP6522892B2 (ja) 真空排気システム
JP7198676B2 (ja) 希ガス回収システムおよび希ガス回収方法
WO2014158775A1 (en) Gas sleeve for foreline plasma abatement system
JP2004002944A (ja) Cvd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cvd装置のクリーニング方法
KR102185404B1 (ko) 회수 가능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
KR20190037411A (ko) 회수 가능한 플루오르카본계 전구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용 시스템
JP2013255898A (ja) ガス回収装置およびガス回収方法
CN109155233B (zh) 利用氧等离子体清洁循环的等离子体减量固体回避法
KR20040057470A (ko) 증착 챔버 세정 방법 및 인시튜 세정이 가능한 증착 장치
KR20130105308A (ko) 불소 분자의 동일반응계내 활성화를 이용한 증착 챔버 세정 방법
TW201433702A (zh) 用於泵送輕質氣體之泵系統以及此泵系統之用途
US9592473B2 (en) Separation and recycling system of perfluorinated compounds
US20200294774A1 (en) Collecting and recycling rare gases in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
TW200414288A (en) Method for cleaning a process chamber
JP2005103400A (ja) ガス供給方法及び装置
KR20120032613A (ko) 가스 분리막을 이용한 반도체 및 엘씨디용 설비 가스 재생 공급장치 및 가스 재생 공급방법
KR20060042741A (ko) 상압 공정에 이용되는 가스 반응 분석 장치를 위한 샘플가스 공급 시스템
JP2002001047A (ja) Pfc回収装置及びpfc回収方法
JP4906319B2 (ja) ガス検出装置
KR20190096820A (ko) 플라즈마 처리 시스템 및 플라즈마 처리 방법
US11766635B2 (en) Gas recovering apparatus, semiconductor manufacturing system, and gas recovering method
KR102273855B1 (ko) 반도체 공정용 가스 회수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