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797A - 퍼팅 연습 매트 및 퍼팅 연습 매트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단말 - Google Patents

퍼팅 연습 매트 및 퍼팅 연습 매트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797A
KR20190036797A KR1020170126132A KR20170126132A KR20190036797A KR 20190036797 A KR20190036797 A KR 20190036797A KR 1020170126132 A KR1020170126132 A KR 1020170126132A KR 20170126132 A KR20170126132 A KR 20170126132A KR 20190036797 A KR20190036797 A KR 20190036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terminal
putting exerciser
height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재
Original Assignee
장윤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재 filed Critical 장윤재
Priority to KR102017012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6797A/ko
Priority to PCT/KR2018/011479 priority patent/WO2019066517A1/ko
Publication of KR2019003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퍼팅 연습 매트가 개시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상기 퍼팅 연습기로 송신하는 상기 퍼팅 연습기로 송신하는 사용자단말 송수신부,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에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사용자단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퍼팅 연습 매트 및 퍼팅 연습 매트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단말 {PUTTING PRACTICE MAT AND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A PUTTING PRATICE MAT}
본 개시는 퍼팅 연습 매트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단말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퍼팅 연습 매트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세계적으로 많은 인구에 의해 즐겨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약 350만명에 달하는 인구가 즐기며 경쟁하는 스포츠이다.
골프는 야외의 골프장에서 시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동을 위한 시간, 비용 절약 등의 문제로 실내에서 연습하는 경우가 상당하다.
퍼팅 연습의 경우, 실내에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골프인들은 실제로 야외 골프장에서 퍼팅을 하는 느낌을 받기 위해, 연습 매트의 경사도를 조절하고 싶어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출원번호 10-1998-0028380은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기를 개시한다. 상기 골프 연습기는 복수개의 실린더를 자동 조작하여 전, 후, 좌, 우로 기울여 경사도를 조절한다. 하지만, 이 골프 연습기는 매트면이 평면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경사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실제 그린 상태를 구현하는데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매트 바닥의 평면의 굴곡까지 조절할 수 있어 실제 그린 상태와 흡사한 굴곡을 구현할 수 있는 퍼팅 연습기의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단말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퍼팅 연습 매트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퍼팅 연습 매트가 개시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상기 퍼팅 연습기로 송신하는 상기 퍼팅 연습기로 송신하는 사용자단말 송수신부,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에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사용자단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는, 상기 퍼팅 연습기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사용자단말 송수신부는,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상기 퍼팅 연습기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퍼팅 연습기로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인터페이스 조작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단말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인터페이스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퍼팅 연습기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퍼팅 연습기의 그린 영역을 표시하는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 상기 그린 영역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높이 상승 또는 높이 하강 입력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선택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를 선택한 후 상기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를 길게 누르는 행위가 인식된 경우 연속적으로 높이 상승 또는 높이 하강하는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높이 상승 또는 높이 하강 입력 후 상기 사용자의 위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위치 선택 입력에 상응하는 위치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사용자단말 송수신부는, 상기 제어부가 생성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퍼팅 연습기가 개시된다. 상기 퍼팅 연습기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퍼팅 연습기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퍼팅 연습기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여 매트면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퍼팅 연습기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경사 상태가 제어되며 상면에 골프공이 이동 가능하고, 홀컵을 위한 구멍을 구비한 매트, 상기 골프공을 수용하는 홀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매트는, 상기 매트의 하부에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의 결합이 존재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된 높낮이 조절부의 끝부분들이 연속적인 평명을 형성하고, 상기 평면은 각자 다른 높이를 가지는 높낮이 조절부의 끝부분들에 의해 굴곡이 생겨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단말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퍼팅 연습 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 퍼팅 연습기 및 경사도 공유 사이트간의 통신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메인 메뉴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경사도 공유 사이트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버튼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버튼의 내부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버튼의 회전부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버튼의 단계별 높이 조절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대한 정의를 기술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0), 퍼팅 연습기(500) 및 서버(600) 간의 통신 모식도를 도시한다.
사용자단말(100)은 퍼팅 연습기(500)를 제어할 수 있다. 퍼팅 연습기를 제어하는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를 조절하여 설정하거나, 서버(600)로부터 공유된 파일을 전송받을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단말(100)의 종류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퍼팅 연습기(500)는 실제 골프장이 아닌 실내의 공간에서 골프 퍼팅 연습을 하기 위한 기구이다. 퍼팅 연습기(500)는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에 의해 구동된다. 퍼팅 연습기(5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직접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받을 수 있고, 또는 서버(600)로부터 공유 파일을 받아 제어될 수도 있다.
서버(600)는 퍼팅 연습기(500)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들끼리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서버(600)를 통해 경사도 공유 사이트에 존재하는 실제 골프 연습장의 특정 그린의 경사도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를 이용하여 스스로 설정한 퍼팅 연습기(500)의 경사도 정보를 특정 이름으로 저장한 후 서버(6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서버에서 불러들인 실제 골프 연습장의 특정 그린의 경사도를 임의로 수정하여 다시 서버에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들은 위의 경사도 정보들을 서버(600)에서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의 사용자단말 송수신부(110)는 사용자단말 제어부(140)가 결정한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퍼팅 연습기(500)의 퍼팅 연습기 송수신부(51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 송수신부(110)는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서버(600)로부터 송신 또는 수신하고, 서버(600)로부터 수신된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퍼팅 연습기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퍼팅 연습기 송수신부(5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0)이 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단말(100)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 송수신부(110)는 각각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유/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기술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s to the hom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있다.
또한, 사용자단말 송수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0)은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퍼팅 연습기(500)로 송신하는 사용자단말 송수신부(110),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에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30),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사용자단말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 제어부(140)는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를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 및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420)를 조작하여 직접 원하는 경사 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경사 상태는 사용자단말 제어부(140)에 의해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경사도 공유 사이트 인터페이스(300)에서 선택한 공유 파일의 경사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경사도 공유 사이트 인터페이스(300)에서 특정 골프장의 특정 그린의 경사도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단말 제어부(140)는 선택한 특정 골프장의 특정 그린의 경사도에 관한 정보를 서버(600)로부터 수신한 후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 제어부(140)는 사용자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메뉴 인터페이스(200)에서 사용자가 경사도 직접 조절 서브 인터페이스(210)를 선택할 경우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를 표시할 것을 결정할 수 있고, 공유 파일 불러오기 서브 인터페이스(220)를 선택할 경우 경사도 공유 사이트 인터페이스(300)를 표시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을 반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30)에 입력한 내용에 기초하여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에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경사도 직접 조절 서브 인터페이스(210)에서 경사도를 직접 조작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공유 파일 불러오기 서브 인터페이스(220)에서 공유 파일을 선택하여 경사도를 입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30)는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420)에 대한 사용자의 높이 상승 또는 높이 하강 입력을 수신하고, 그리고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420) 중 상승 버튼을 터치한 후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를 터치하면, 터치한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 부분의 높이가 상승하여 매트(550)의 굴곡에 의해 경사도가 조작될 수 있다. 전술한 경사도 조작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30)는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420)를 선택한 후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를 길게 누르는 행위가 인식된 경우 연속적으로 높이 상승 또는 높이 하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420) 중에 상승 버튼을 터치한 후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를 길게 누르고 있는 경우, 길게 터치하고 있는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 부분의 높이가 연속적으로 상승하여 매트(550)의 굴곡에 의해 경사도가 조작될 수 있다. 전술한 경사도 조작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단말 송수신부(110)는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퍼팅 연습기(5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 송수신부(110)는 서버(600)와 제어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메인 메뉴 인터페이스(200), 경사도 직접 조절 서브 인터페이스(210), 공유 파일 불러오기 서브 인터페이스(220), 경사도 공유 사이트 인터페이스(300),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 또는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42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인터페이스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는 퍼팅 연습기(500)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에서 직접 조작할 수 있으며, 경사도 공유 사이트에서 서버(600)를 통해 얻을 수도 있다.
사용자는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 및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420)를 조작하여 직접 원하는 경사 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경사 상태는 사용자단말 제어부(140)에 의해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가 된다. 생성된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는 제어부(520)에 의하여 퍼팅 연습기(500)의 경사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퍼팅 연습기(500)의 매트(550) 의 각 부분은 액추에이터(530)와 각각 결합하여, 액추에이터(530)의 동작에 의해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매트(550)는 복수개의 액추에이터의 배치에 의해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액추에이터(530)는 매트(550)의 밑에서 m * n 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액추에이터(530)는 가로 m개, 세로 n개의 사각형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m과 n은 같거나 상이한 자연수일 수 있다. 따라서 각자 다른 높이를 갖는 돌출부(531)의 높이 차이에 의해 굴곡이 생성되어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매트(550)는 액추에이터(530)의 위쪽에 부착되며, 굴곡을 형성하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단말 송수신부(110)는 사용자가 조작한 매트(550)의 경사도를 서버(600)를 통해 공유 사이트에 공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경사도 직접 조절 서브 인터페이스(210)를 통해서 경사도를 직접 조작한 후, 경사도를 서버(600)를 통해 공유 사이트에 공유할 수 있다. 공유한 경사도는 경사도 공유 사이트 인터페이스(30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메뉴 인터페이스(200)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발명의 설명을 위해 간략화해서 나타낸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인 메뉴 인터페이스(200)는 사용자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경사도 직접 조절 서브 인터페이스(210)를 선택하여 인터페이스에서 매트(550)의 경사도를 직접 조작할 수 있으며, 공유 파일 불러오기 서브 인터페이스(220)를 선택하여 공유 사이트에 공유되어 있는 실제 골프장의 그린의 경사도를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경사도 직접 조절 서브 인터페이스(210)를 선택한 경우, 도 5의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가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에서, 인터페이스의 조작에 의해 매트(550)의 경사도를 직접 조작할 수 있다. 자세한 조작법은 이하 후술한다.
사용자가 공유 파일 불러오기 서브 인터페이스(220)를 선택한 경우, 도 4의 경사도 공유 사이트 인터페이스(300)가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사도 공유 사이트 인터페이스(300)에 공유된 파일 중 원하는 경사도를 선택하여 매트(550)의 경사도를 공유 파일의 경사도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공유된 파일을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를 통해서 임의로 조작하여 원하는대로 다시 수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도 공유 사이트 인터페이스(300) 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간략화해서 나타낸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사용자가 퍼팅 연습기의 경사를 공유된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즉, 도 2 의 예시에서 공유 파일 불러오기 서브 인터페이스(220)를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단말(100)에 표시될 수 있는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의 리스트의 예시이다. 사용자가 퍼팅 연습기의 경사를 기존의 골프장의 그린의 상태와 유사하게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경사도 공유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경사도 공유 사이트 인터페이스(300)는 실제 골프장 서브 인터페이스(310), 매트 연결 서브 인터페이스(320), 경사도 직접 조절 서브 인터페이스(330) 및 프로필 서브 인터페이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사용자가 팔공컨트리클럽 아웃코스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단말(100)은 서버에 팔공컨트리클럽의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즉, 팔공컨트리클럽의 그린의 경사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4 의 예시에서와 같이 사용자단말(100)은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 존재하는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 송수신부(110)는 사용자가 실제 골프장 서브 인터페이스(310)에 디스플레이된 여러 골프장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서버(600)로부터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서버(600)로부터 수신된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는 실제 골프장 서브 인터페이스(310)에서 선택한 실제 골프장의 그린의 경사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골프장 서브 인터페이스(310)에서 팔공컨트리클럽 아웃코스를 선택한 경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는 실제 팔공컨트리클럽 아웃코스의 그린의 경사도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실제 골프장 서브 인터페이스(310)에서 실제 골프장 중 하나를 선택한 후, 매트 연결 서브 인터페이스(320)를 선택하는 경우, 서버(600)로부터 수신된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퍼팅 연습기(500)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퍼팅 연습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퍼팅 연습기(5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실제 골프장의 그린의 경사도를 매트(550)에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제 골프장의 그린의 경사도가 매트(550)에 구현된 후, 사용자가 경사도 직접 조절 서브 인터페이스(330)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제어부(140)는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에서 사용자의 스타일에 맞게 다시 경사도를 직접 조절할 수 있다.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의 조작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의 도 5에서 후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필 서브 인터페이스(340)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제어부(140)는 실제 골프장 서브 인터페이스(310)에서 선택한 그린 상태 각각에 대한 프로필 인터페이스(2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필 인터페이스(230)는 사용자의 프로필 및 선택한 그린 상태 각각에 대한 일별 성공률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필 인터페이스(2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의 도 6에서 후술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 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간략화해서 나타낸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직접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는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420), 최근 매트 불러오기 서브 인터페이스(430), 매트 연결 서브 인터페이스(440), 경사도 직접 조절 서브 인터페이스(450) 및 프로필 서브 인터페이스(4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조작에 의하여 생성되고, 사용자단말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조작에 기초하여 퍼팅 연습기(500)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퍼팅 연습기(500)의 그린 영역을 표시하는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 그린 영역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4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30)는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420)에 대한 사용자의 높이 상승 또는 높이 하강 입력을 수신하고, 그리고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매트 연결 서브 인터페이스(440)를 터치하여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와 퍼팅 연습기(500)를 연동시킨 뒤, 경사도 직접 조절 서브 인터페이스(450)를 터치하여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420) 및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로 경사도를 직접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420) 중 상승 버튼을 터치한 후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를 터치하면, 터치한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 부분의 높이가 상승하여 매트(550)의 굴곡에 의해 경사도가 조작될 수 있다. 전술한 경사도 조작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30)는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420)를 선택한 후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를 길게 누르는 행위가 인식된 경우 연속적으로 높이 상승 또는 높이 하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420) 중에 상승 버튼을 터치한 후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를 길게 누르고 있는 경우, 길게 터치하고 있는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410) 부분의 높이가 연속적으로 상승하여 매트(550)의 굴곡에 의해 경사도가 조작될 수 있다. 전술한 경사도 조작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520)는 사용자의 높이 상승 또는 높이 하강 입력 후 사용자의 위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위치 선택 입력에 상응하는 위치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퍼팅 연습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최근 매트 불러오기 서브 인터페이스(430) 중에서 하나의 파일을 선택하여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제어부(140)는 선택된 파일의 경사 상태 정보를 연동된 매트(550)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된 파일의 경사 상태 정보가 구현된 매트(550)에 추가적으로 조작을 더해서 또 다른 경사도의 매트(550)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프로필 서브 인터페이스(460)를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경사도 각각에 대한 일별 성공률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필 인터페이스(2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의 도 6에서 후술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 송수신부(110)는 제어부(520)가 생성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서버(60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공유 사이트에 제공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매트(550)의 경사도를 공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00)에 의해, 사용자는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의 조작을 통해 원하는 경사도의 그린을 퍼팅 연습기 매트(550)에 구현할 수 있다.
또는, 경사도 공유 사이트 인터페이스(300)에서 실제 골프장의 그린 상태 중 하나를 선택하여, 퍼팅 연습기 매트(550)의 상태를 선택한 실제 골프장의 그린의 경사도 상태와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프로필 인터페이스(230)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발명의 설명을 위해 간략화해서 나타낸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필 인터페이스는 프로필 정보 서브 인터페이스(240), 그래프 서브 인터페이스(250) 및 프로필 서브 인터페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경사도 공유 사이트 인터페이스(300)에서 프로필 서브 인터페이스(340)를 터치하거나,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에서 프로필 서브 인터페이스(460)를 터치하는 경우, 프로필 인터페이스(23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프로필 인터페이스(230)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프로필 서브 인터페이스(260)는 색이 변하거나 밝아지는 방법으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음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방법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필 정보 서브 인터페이스(240)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총 도전 횟수, 총 파 횟수 및 평균 파 성공률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름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100)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이름을 사용자단말에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 송수신부(110)으로 하여금 서버(600)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서버(600)는 전송받은 사용자의 이름을 저장할 수 있다.
총 도전 횟수는 경사도 공유 사이트 인터페이스(300)에서 선택한 실제 골프장의 경사도, 선택한 실제 골프장의 경사도를 경사도 직접 조절 서브 인터페이스(330)를 이용해 사용자가 다시 조작한 경사도 또는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400)에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한 경사도 중 하나에 대한 총 도전 횟수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총 파 횟수는 예를 들어 매트에서 한번의 퍼팅으로 홀컵에 골프공을 넣은 횟수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서 총 도전 횟수와 총 파 횟수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30)에 도전 시작을 입력하고 퍼팅을 하면, 센서를 통해 골프공이 홀컵(560) 안으로 들어왔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파의 성공여부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
평균 파 성공률은 총 도전 횟수 대비 총 파 횟수를 계산하여 퍼센트 단위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제어부(140)는 총 도전 횟수 대비 총 파 횟수를 계산하여 프로필 인터페이스(230)에 디스플레이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그래프 서브 인터페이스(250)는 일별 성공률을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별 성공률 그래프는 가로축 및 세로축의 데이터를 기초로 한 이차원의 그래프를 도시할 수 있다. 가로축의 정보는 퍼팅을 한 날짜를 의미할 수 있다. 세로축의 정보는 총 도전 횟수 또는 평균 파 성공률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가로축 및 세로축의 정보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5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5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퍼팅 연습기 송수신부(510),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퍼팅 연습기(500)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53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520), 제어부(52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여 매트(550)면의 높이를 조절하여 퍼팅 연습기(500)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530)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 액추에이터(530)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에 의하여 경사 상태가 제어되며 상면에 공프공이 이동 가능하고, 홀컵(560)을 위한 구멍으르 구비한 매트(550) 및 골프공을 수용하는 홀컵(5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530)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은 매트(550)의 밑에서 m * n 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매트(550)는 m * n 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530)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의 배치에 의해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매트(550)는 m * n 으로 배치된 액추에이터(530)의 돌출부(531)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의 버튼 상부(545)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각자 다른 높이를 갖는 돌출부(531) 또는 버튼 상부(545)의 높이 차이에 의해 굴곡이 생성되어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m * n의 배치란 가로 m개, 세로 n개의 사각형 형태로 액추에이터(530)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이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m * n의 배치는 홀컵(560)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액추에이터(530)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이 원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매트(550)의 모양에 따라 임의의 도형의 면적에 분포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전술한 m * n의 배치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m * n의 배치란 복수개의 액추에이터(530)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이 이미지에서의 픽셀과 같이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530)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은 이미지에서의 픽셀과 같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각각 상이한 액추에이터(530)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들의 높이에 의해 매트(550)의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액추에이터(530)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의 높이 변화에 따라 굴곡이 변해 경사가 조절되므로, 매트(550)를 실제 골프장의 그린 상태와 매우 흡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
퍼팅 연습기 송수신부(51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퍼팅 연습기 송수신부(510)는 각각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유/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기술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s to the hom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있다.
또한, 퍼팅 연습기 송수신부(5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퍼팅 연습기(500)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530)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을 구동시킨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53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액추에이터(530)는 제어부(520)의 신호에 기초하여 돌출부(531)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매트(550)면의 높이를 조절하여 퍼팅 연습기(500)의 경사 상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액추에이터(530)는 전자식 모터, 유압식 모터 또는 공기압식 모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531)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구동에 의하여, 돌출부(531)의 끝부분에 부착된 매트(550)면의 높이가 상승하거나 하강된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530)가 전자식 모터를 이용한 방식인 경우, 높낮이 조절시 전자석에 전류를 흘리는 정도에 따라서 기 구성된 몇단계의 해당 높이에 돌출부(531)가 세팅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높낮이 조절 방법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액추에이터(530)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유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공급되는 전기 방식은 직류용, 단상 교류용 또는 3상 교류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530)와 유선으로 연결된 제어부(520)의 명령에 의해 돌출부(531)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추에이터(530)의 돌출부(531)는 매트(550)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531)의 길이 변화는 매트(550)면의 굴곡을 만들어 그린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550)의 각 부분은 액추에이터(530)와 각각 결합하여, 액추에이터(530)의 동작에 의해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매트(550)는 복수개의 액추에이터의 배치에 의해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액추에이터(530)는 매트(550)의 밑에서 m * n 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매트(550)는 액추에이터(530)에 의하여 경사 상태가 제어되며 상면에 골프공이 이동 가능하고, 홀컵(560)을 위한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매트(550)는 액추에이터(530)의 돌출부(531)의 끝부분에 부착되어 매트(550)의 높이가 상승하거나 하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매트(550)는 m * n 으로 배치된 액추에이터(530)의 돌출부(531)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각자 다른 높이를 갖는 돌출부(531)의 높이 차이에 의해 굴곡이 생성되어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매트(550)는 액추에이터(530)의 위쪽에 부착되며, 굴곡을 형성하기 위해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컵(560)은 골프공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복수의 액추에이터(530)에 의하여 매트(550)의 경사도를 실제 골프장의 그린의 경사도와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골프 연습기는 매트면이 평면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경사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실제 그린 상태의 굴곡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없었다. 하지만, 본 개시는 m * n로 결합된 액추에이터(530)의 결합체에 의해 높이 차이를 만들어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그린 상태의 경사를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버튼(540)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높이 조절 버튼(540)은 제어부(520)의 신호에 기초하여 버튼 상부(545)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매트(550)면의 높이를 조절하여 퍼팅 연습기(500)의 경사 상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높이 조절 버튼(540)은 전자석 홀더(541)에 전류를 흘려 자석 홀더(542)가 지면 방향으로 받은 힘을 이용해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버튼 상부(545)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구동에 의하여, 버튼 상부(545)의 끝부분에 부착된 매트(550)면의 높이가 상승하거나 하강된다. 예를 들어, 높낮이 조절시 전자석에 전류를 흘리는 경우, 회전체 가이드(547)에 기 구성된 몇단계의 해당 높이에 회전체(544)가 세팅되어 버튼 상부(545)의 높이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높낮이 조절 방법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높이 조절 버튼(540)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유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공급되는 전기 방식은 직류용, 단상 교류용 또는 3상 교류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 버튼(540)과 유선으로 연결된 제어부(520)의 명령에 의해 버튼 상부(545)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 조절 버튼(540)의 버튼 상부(545)는 매트(550)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버튼 상부(545)의 길이 변화는 매트(550)면의 굴곡을 만들어 그린의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550)의 각 부분은 높이 조절 버튼(540)과 각각 결합하여, 높이 조절 버튼(540)의 동작에 의해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매트(550)는 복수개의 높이 조절 버튼(540)의 배치에 의해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높이 조절 버튼(540)은 매트(550)의 밑에서 m * n 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매트(550)는 높이 조절 버튼(540)에 의하여 경사 상태가 제어되며 상면에 골프공이 이동 가능하고, 홀컵(560)을 위한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매트(550)는 높이 조절 버튼(540)의 버튼 상부(545)의 끝부분에 부착되어 매트(550)의 높이가 상승하거나 하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매트(550)는 m * n 으로 배치된 높이 조절 버튼(540)의 버튼 상부(545)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각자 다른 높이를 갖는 버튼 상부(545)의 높이 차이에 의해 굴곡이 생성되어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매트(550)는 높이 조절 버튼(540)의 위쪽에 부착되며, 굴곡을 형성하기 위해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컵(560)은 골프공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복수의 높이 조절 버튼(540)에 의하여 매트(550)의 경사도를 실제 골프장의 그린의 경사도와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골프 연습기는 매트면이 평면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경사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실제 그린 상태의 굴곡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없었다. 하지만, 본 개시는 m * n로 결합된 높이 조절 버튼(540)의 결합체에 의해 높이 차이를 만들어 굴곡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그린 상태의 경사를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버튼(540)의 내부도이다.
높이 조절 버튼(540)은 전자석 홀더(541), 자석 홀더(542), 압축 스프링(543), 회전체(544), 볼트 1(545-1), 원통 케이스(546), 회전체 가이드(547), 스프링 가이드(548), 하부 커버(549) 및 볼트 2(549-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실제 설계도면이 아니고, 발명의 설명을 위해 간략화해서 나타낸 도면이므로,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석 홀더(541)는 유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전자석 홀더(541)의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서 도선 주위에 동심원 모양의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자석 홀더(541)는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영구자석과 구분될 수 있다. 전자석 홀더(541)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자기장의 세기가 변할 수 있다. 전자석 홀더(541)는 사각 전자석 홀더, 원형 전자석 홀더, 보빈 전자석 홀더, 코일 전자석 홀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각 또는 원형 전자석 홀더는 사각형 모양 또는 원형 모양의 구조를 갖는 전자석 홀더를 의미할 수 있다. 보빈 전자석 홀더는 절연체에 코일을 감아 제작한 전자석 홀더를 의미할 수 있다. 코일 전자석 홀더는 절연체 없이 코일만을 감아 제작한 전자석 홀더를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전자석 홀더(541)의 종류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자석 홀더(542)는 압축 스프링(543), 볼트 1(545-1) 및 너트(544-1)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자석 홀더(542)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전자석 홀더(541)에 전류가 흘러서 자기장이 발생하는 경우, 자석 홀더(542)는 전자석 홀더(541) 방향으로 끌려올 수 있다. 자석 홀더(542)가 전자석 홀더(542) 방향으로 끌려오는 경우, 자석 홀더(542)와 볼트 1(545-1)로 연결된 버튼 상부(545)가 전자석 홀더(542) 방향으로 같이 끌려올 수 있다.
압축 스프링(543)은 스프링 가이드(548), 자석 홀더(542) 및 너트(544-1)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압축 스프링(543)은 전자석 홀더(541)에 의해 끌려온 자석 홀더(542)가 다시 위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체(544)는 회전체 가이드(547)에 의해 둘러 쌓여 있을 수 있다. 회전체(544)는 너트(544-1)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너트(544-1)에 연결되어 있는 압축 스프링(543)의 탄성이 너트(544-1)를 위로 이동시키는 경우, 너트(544-1)에 연결된 회전체(544)는 회전체 가이드(547)를 따라서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버튼 상부(545)는 회전체(544)의 이동에 따라서 같이 위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버튼 상부(545)는 원통 케이스(546)에 의해 둘러 쌓여 있을 수 있다. 버튼 상부(545)는 볼트 1(545-1)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볼트 1(545-1)에 연결된 자석 홀더(542)가 전자석 홀더(541) 방향으로 끌려가는 경우, 버튼 상부(545)도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끌려갈 수 있다. 회전체(544)가 압축 스프링(543)의 탄성에 의해 위로 밀려 올라오는 경우, 회전체(544) 위에 존재하는 버턴 상부(545)는 회전체(544)에 밀려 같이 위로 올라올 수 있다.
원통 케이스(546)는 높이 조절 버튼(540)의 내부 구성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가 될 수 있다. 원통 케이스(546)의 재료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 목재, 아크릴 또는 세라믹일 수 있다. 전술한 원통 케이스(546)의 재료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회전체 가이드(547)는 버튼 상부(545) 및 회전체(544)를 감싸고 있어서 이동 경로를 가이드해줄 수 있다. 회전체(544)는 회전체 가이드(547)에 생긴 톱니 형상의 홈에 고정되어서 매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체 가이드(547)에 의한 버튼 상부(545) 및 회전체(544)의 이동 경로는 하기 도 11에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스프링 가이드(548)는 압축 스프링(543) 및 원통 케이스(546)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548)는 압축 스프링(543)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자석 홀더(542)의 이동 방향이 지평면과 수직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커버(549)는 원통 케이스(546) 및 볼트 2((549-1)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 커버(549)는 전자석 홀더(541)가 원통 케이스(546) 내부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볼트 2(549-1)는 하부 커버(549) 및 전자석 홀더(541)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볼트 2(549-1)는 하부 커버(549)와 전자석 홀더(541)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높이 조절 버튼(540)의 구동 원리를 설명한다.
전자석 홀더(541)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석 홀더(541)에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자기장이 형성되면 자석 홀더(542)가 전자석 홀더(541) 방향으로 끌려 내려올 수 있다. 이때, 자석 홀더(542)에 연결된 볼트 1(545-1)이 버튼 상부(545)를 같이 끌어 내릴 수 있다. 버튼 상부(545)가 끌려 내려오는 경우, 아래에 위치하는 회전체(544)가 눌려 동시에 하강할 수 있다. 회전체(544)가 하강하면 회전체 가이드(547)의 톱니 형상의 홈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자석 홀더에 의해 버튼 상부가 1회 클릭될 때마다 1톱니 만큼 회전체가 이동하여 높이 단수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체(544)가 하강하는 힘과 압축 스프링(543)의 탄성력의 방향은 반대 방향이므로 두 힘의 차이에 의해 회전체(544)는 회전체 가이드(547)의 톱니 형상의 표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회전체(544)가 회전한 후 고정된 톱니의 높이가 달라지게 되면 버튼 상부(545)의 높이가 달라지게 되므로 매트(5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톱니 형상의 홈의 개수에 따라 높이 조절 단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체 가이드(547)의 톱니 형상의 홈의 개수가 3개인 경우, 4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즉, 톱니 형상의 홈의 개수가 n개인 경우, 높이 조절 단수는 n+1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톱니 형상의 홈의 개수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버튼의 회전부의 확대도이다.
버튼 상부(545)는 상하 운동만 할 뿐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전체(544)는 회전체 가이드(547)의 톱니 모양의 홈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버튼 상부(545)는 회전체(544) 위에 위치하므로, 회전체의 상하 운동에 따라서 높이가 변화할 수 있다.
회전체 가이드(547)는 톱니 형상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톱니 형상의 홈의 개수에 따라 높이 조절 단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체 가이드(547)의 톱니 형상의 홈의 개수가 3개인 경우, 4단의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즉, 톱니 형상의 홈의 개수가 n개인 경우, 높이 조절 단수는 n+1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톱니 형상의 홈의 개수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버튼의 단계별 높이 조절 개략도이다.
도 12는 높이 조절의 단수가 3단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12는 실제 설계 도면이 아니고, 발명의 설명을 위해 간략화해서 나타낸 도면이므로,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초 매트 높이를 중간 단계로 설정하는 경우, 버튼 상부(545)의 높이는 매트의 높이에 맞춰져 있을 수 있다. 이때, 버튼 상부(545)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회전체(544)는 회전체 가이드(547)의 톱니 형상의 홈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체(544)가 회전하여 회전체 가이드(547)의 다른 톱니 형상의 홈에 고정되는 경우 버튼 상부(545)의 높이가 변화할 수 있다. 다른 톱니 형상의 홈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우 버튼 상부(545)는 최고 높이에 도달할 수 있다. 다른 톱니 형상의 홈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 버튼 상부(545)는 최저 높이에 도달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단수는 생산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전술한 높이 조절의 단수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500)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실제 설계도면이 아니고, 발명의 설명을 위해 간략화해서 나타낸 도면이므로,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550)는 매트(550)의 하부에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530)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의 결합이 존재하고, 액추에이터(530)에 연결된 돌출부(531)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에 연결된 버튼 상부(545)의 끝부분들이 연속적인 평면을 형성하고, 평면은 각자 다른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531) 또는 버튼 상부(545)의 끝부분들에 의해 굴곡이 생겨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20)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530)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에게 각자 다른 높이를 형성하라는 명령을 하여 매트(550)에 굴곡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매트(550)면에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쪽에 위치한 액추에이터(530)의 돌출부(531)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의 버튼 상부(545)의 길이가 오른쪽에 위치한 액추에이터(530)의 돌출부(531) 또는 높이 조절 버튼(540)의 버튼 상부(545)의 길이보다 긴 경우, 왼쪽의 돌출부(531) 또는 버튼 상부(545)에 부착되어 있는 매트(550) 부분의 높이가 오른쪽의 돌출부(531) 또는 버튼 상부(545)에 부착되어 있는 매트(550) 부분의 높이보다 더 높아지므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경사 형성 방법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퍼팅 연습기(500)는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에 의해 그린의 경사도를 실제 골프장의 그린 상태와 흡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 기존의 퍼팅 연습기의 경우, 매트는 탄력성이 없는 고정된 평면이고, 그 평면을 기울여 경사도를 형성한다. 이 경우, 매트 자체는 고정된 평면이므로 굴곡이 생길 수가 없어 실제 그린의 지형 상태를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각자 다른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531)에 의해 탄력성이 있는 매트(550)가 굴곡을 만들어 경사를 형성하므로, 실제 그린 상태의 경사를 완전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여기서 매체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단말
110: 사용자단말 송수신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사용자단말 제어부
200: 메인 메뉴 인터페이스
210: 경사도 직접 조절 서브 인터페이스
220: 공유 파일 불러오기 서브 인터페이스
230: 프로필 인터페이스
240: 프로필 정보 서브 인터페이스
250: 그래프 서브 인터페이스
260: 프로필 서브 인터페이스
300: 경사도 공유 사이트 인터페이스
310: 실제 골프장 서브 인터페이스
320: 매트 연결 서브 인터페이스
330: 경사도 직접 조절 서브 인터페이스
340: 프로필 서브 인터페이스
400: 경사 상태 제어 인터페이스
410: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
420: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
430: 최근 매트 불러오기 서브 인터페이스
440: 매트 연결 서브 인터페이스
450: 경사도 직접 조절 서브 인터페이스
460: 프로필 서브 인터페이스
500: 퍼팅 연습기
510: 퍼팅 연습기 송수신부
520: 제어부
530: 액추에이터
531: 돌출부
540: 높이 조절 버튼
541: 전자석 홀더
542: 자석 홀더
543: 압축 스프링
544: 회전체
544-1: 너트
545: 버튼 상부
545-1: 볼트 1
546: 원통 케이스
547: 회전체 가이드
548: 스프링 가이드
549: 하부 커버
549-1: 볼트 2
550: 매트
560: 홀컵
600: 서버

Claims (9)

  1. 퍼팅 연습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단말로서,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상기 퍼팅 연습기로 송신하는 사용자단말 송수신부;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에 관련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사용자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는,
    상기 퍼팅 연습기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 송수신부는,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서버로부터 송신 또는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상기 퍼팅 연습기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퍼팅 연습기로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인터페이스 조작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단말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인터페이스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퍼팅 연습기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퍼팅 연습기의 그린 영역을 표시하는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
    상기 그린 영역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높이 상승 또는 높이 하강 입력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선택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높이 제어 서브 인터페이스를 선택한 후 상기 그린 영역 서브 인터페이스를 길게 누르는 행위가 인식된 경우 연속적으로 높이 상승 또는 높이 하강하는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높이 상승 또는 높이 하강 입력 후 상기 사용자의 위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위치 선택 입력에 상응하는 위치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 송수신부는,
    상기 제어부가 생성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단말.
  7. 퍼팅 연습기로서,
    사용자단말로부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퍼팅 연습기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퍼팅 연습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퍼팅 연습기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여 매트면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퍼팅 연습기의 경사 상태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경사 상태가 제어되며 상면에 골프공이 이동가능하고, 홀컵을 위한 구멍을 구비한 매트; 및
    상기 골프공을 수용하는 홀컵;
    을 포함하는
    퍼팅 연습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매트의 각 부분은 복수의 액추에이터와 각각 결합하고,
    상기 매트는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굴곡을 생성하는,
    퍼팅 연습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복수의 액추에이터는 매트에 굴곡을 생성하기 위해 m * n 으로 배치되는,
    퍼팅 연습기
KR1020170126132A 2017-09-28 2017-09-28 퍼팅 연습 매트 및 퍼팅 연습 매트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단말 KR20190036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132A KR20190036797A (ko) 2017-09-28 2017-09-28 퍼팅 연습 매트 및 퍼팅 연습 매트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단말
PCT/KR2018/011479 WO2019066517A1 (ko) 2017-09-28 2018-09-28 퍼팅 연습 매트 및 퍼팅 연습 매트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132A KR20190036797A (ko) 2017-09-28 2017-09-28 퍼팅 연습 매트 및 퍼팅 연습 매트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797A true KR20190036797A (ko) 2019-04-05

Family

ID=6590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132A KR20190036797A (ko) 2017-09-28 2017-09-28 퍼팅 연습 매트 및 퍼팅 연습 매트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36797A (ko)
WO (1) WO201906651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046A1 (ko) * 2021-03-16 2022-09-22 주식회사 지에스피아이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KR20220129428A (ko) *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 지에스피아이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WO2024058525A1 (ko) * 2022-09-14 2024-03-21 주식회사 지에스피아이 구동모듈이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049Y1 (ko) * 2002-09-05 2003-02-07 윤석준 움직이는 골프 연습장
KR200337802Y1 (ko) * 2003-10-20 2004-01-13 이승철 골프퍼팅연습장치
KR101290756B1 (ko) * 2011-11-01 2013-07-30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
KR101517567B1 (ko) * 2014-02-11 2015-05-0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제어에 의한 골프그린 지형 변화 기반의 골프 퍼팅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퍼팅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WO2016085061A1 (ko) * 2014-11-28 2016-06-02 키위플 주식회사 캐디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 및 캐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작동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7046A1 (ko) * 2021-03-16 2022-09-22 주식회사 지에스피아이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KR20220129428A (ko) *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 지에스피아이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WO2024058525A1 (ko) * 2022-09-14 2024-03-21 주식회사 지에스피아이 구동모듈이 구비되는 골프 플레이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6517A1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6797A (ko) 퍼팅 연습 매트 및 퍼팅 연습 매트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단말
CN109562288B (zh) 用于以恒定的移动速度执行体育锻炼的系统
US9616278B2 (en) Laterally tilting treadmill deck
CN110035801B (zh) 踩踏带锁定机构
US20180154207A1 (en) Deck Adjustment Interface
US20180099205A1 (en) Console Positioning
CN102934069B (zh) 自动变形自适应用户接口装置和方法
US10877623B2 (en) Dynamic interface for remote control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WO2014129138A1 (ja) 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085053A1 (en) Distance sensor for console positioning
US201503469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ommand input
CN105674474A (zh) 远程操作空调机的终端装置的控制方法
US20090122086A1 (en) Light control picture frame
US11027168B2 (en) Manual treadmill which can be set to an exercise speed
CN101903847A (zh) 用于远程控制的触敏无线导航设备
WO2016009016A1 (en) Method of obtaining gesture zone definition data for a control system based on user input
CN109946990A (zh) 一种交互方法、交互终端及智能家居系统
EP3516286B1 (en) Display screen device
CN107961491A (zh) 跑步机控制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145513A (zh) 基于电磁场组合激励控制的非接触式力触觉再现系统及方法
KR101937629B1 (ko) 크레인게임기, 크레인게임 시스템 및 크레인게임기의 제어방법
CN207992972U (zh) 触摸屏点击控制系统
CN103092486B (zh) 显示设备及其方法
CN211862141U (zh) 一种多功能家用智能平台
JP2019114880A (ja) 移動端末、及び電動遮蔽装置の遠隔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