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756B1 -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756B1
KR101290756B1 KR1020110112817A KR20110112817A KR101290756B1 KR 101290756 B1 KR101290756 B1 KR 101290756B1 KR 1020110112817 A KR1020110112817 A KR 1020110112817A KR 20110112817 A KR20110112817 A KR 20110112817A KR 101290756 B1 KR101290756 B1 KR 101290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golf ball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965A (ko
Inventor
장덕진
장덕수
유경국
심상만
정진군
차영석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에스에이치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10112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75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63B2024/0031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at the starting p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56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for statistical or strategic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골프 연습 장치와 일반적인 표시 장치 간에 연동이 가능한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연습 장치에서 수행되는 퍼팅 연습에 따라 출력되는 퍼팅 정보를 표시 장치를 통하여 출력하여 퍼팅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 연습 장치는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퍼팅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퍼팅 정보를 무선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통신 단말기는 골프 연습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표시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골프 연습 장치로부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 장치로 전달한다. 그리고 표시 장치는 통신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가상 그린을 표시하고, 통신 단말기로부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 그린에 퍼팅 영상과, 그에 따른 음성을 출력한다. 이때 통신 단말기로는 일반적인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타블릿 PC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표시 장치로는 일반적인 모니터, 아날로그 텔레비전, 디지털 텔레비전이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golf using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 연습 장치와 일반적인 표시 장치 간에 연동이 가능한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연습 장치에서 수행되는 퍼팅 연습에 따라 출력되는 퍼팅 정보를 표시 장치를 통하여 출력하여 퍼팅을 연습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경기는 야외의 필드에서 이루어지는 운동 경기로서, 티박스(Tee Box)에서 그린(Green)까지 골프공을 타격하여 그린의 홀컵(Hole Cup)에 넣는 경기이다. 그러나 바쁜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필드에 나가는 것은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실내에서도 골프 경기를 즐길 수 있는 실내 골프 연습장이 등장하게 되었다. 실내 골프 연습장은 건물 내에서 이용이 가능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등을 이용한 골프 연습 및 가상의 골프 경기를 즐길 수 있는 이른바 스크린 골프 시스템을 이용한다. 이러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실내에 가상 골프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크린을 설치하고, 골퍼가 골프공을 스크린을 향해 타격을 하면 골프공의 속도, 방향 등을 감지하여 스크린 상에 골프공의 궤적을 표시해주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실내 또는 실외 골프 경기 시에 필요한 스윙을 포함한 골프 동작 중에서 그린에서 홀컵에 골프공을 넣는 동작인 퍼팅은 홀컵에 골프공을 넣는 동작이므로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퍼팅(Putting)의 경우에는 그린 상의 라이(Lie)를 정확히 파악하여 정확한 힘과 방향 등으로 골프공을 타격해야 하므로 골프 경기를 함에 있어서 매우 신중하게 수행하여야 하는 동작이다. 따라서 골퍼들은 퍼팅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퍼팅 연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필드에 나가지 않더라도 실내에서 골프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고가이기 때문에, 개인이 구입하여 댁내에서 이용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크며 특히 퍼팅 연습용으로 구입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큰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로 인해 퍼팅 연습은 홀컵이 마련된 일정 크기의 매트를 갖는 퍼팅 연습용 기구를 이용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댁내에서 제대로 된 퍼팅 연습을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퍼팅 연습용 기구를 이용할 경우 매트가 제공하는 조건으로 퍼팅 연습을 수행할 수 있을 뿐, 다양한 그린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퍼팅 연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퍼팅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퍼팅 연습용 기구를 이용할 경우 매트가 제공하는 조건으로 퍼팅 연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쉽게 지루함을 줄 수 있다. 더욱이 퍼팅 연습용 기구는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방향, 타구의 세기 등에 대한 조언과 같은 퍼팅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퍼팅 연습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9-012916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서 저가의 비용으로 퍼팅을 가상 연습할 수 있고, 퍼팅에 따른 퍼팅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댁내에 구비된 모니터, 디지털 텔레비전, 아날로그 텔레비전 등의 표시 장치, 통신 단말기 등을 활용하여 퍼팅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여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구매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 연습 장치와 일반적인 표시 장치 간에 연동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연습 장치에서 수행되는 퍼팅 연습에 따라 생성한 퍼팅 정보를 표시 장치를 통하여 출력하여 퍼팅을 연습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프 연습 장치, 통신 단말기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골프 연습 장치는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퍼팅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퍼팅 정보를 무선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골프 연습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표시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골프 연습 장치로부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가상 그린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그린에서 퍼팅 영상과, 그에 따른 음성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골프 연습 장치는 센서부, 제1 통신부 및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퍼팅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퍼팅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퍼팅 정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골프 연습 장치는 일측에 골프공이 놓여져 타측으로 퍼팅이 이루어지는 매트, 상기 매트의 타측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이 걸리는 네트, 및 상기 매트의 타측에 이웃하는 상기 매트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통신부 및 제1 제어부가 설치되는 제어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매트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골프공의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시작점 센서, 상기 시작점 센서에서 골프공의 진행 방향으로 앞쪽의 상기 매트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 센서, 및 상기 시작점 센서와 상기 방향 감지 센서를 바라보는 쪽의 상기 제어 박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향 감지 센서는 상기 시작점 센서와 상기 매트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1 가상선에 대해서 한 점에서 만나는 제2 가상선 상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 센서는 퍼팅 시의 골프공의 초기 속도를 더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시작점 센서에 위치한 골프공의 제1 위치 정보, 퍼팅에 따른 상기 골프공의 초기 속도, 퍼팅에 따라 상기 골프공을 감지한 상기 방향 감지 센서의 제2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및 퍼팅에 따라 상기 골프공을 감지한 상기 높이 감지 센서의 높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산출한다.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 정보에 따른 상기 가상 그린 상에서의 골프공의 궤적 정보를 산출하고, 퍼팅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 정보, 상기 산출된 골프공의 궤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퍼팅 정보로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골프 연습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상기 표시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골프 연습 장치로부터 퍼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퍼팅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퍼팅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서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퍼팅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골프 연습 장치와 상기 통신 단말기 간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 단말기와 상기 표시 장치 간에는 USB, HDMI, DVI, RGB 또는 Composite 방식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선 연결 방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타블릿 PC, 노트북, 넷북, 셋탑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중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모니터, 아날로그 텔레비전, 디지털 텔레비전 중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퍼팅 정보는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에 대한 감지 정보, 상기 감지 정보에 따른 가상 그린 상에서의 골프공의 궤적 정보, 및 퍼팅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골프 연습 장치, 통신 단말기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골프 연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골프 연습 장치는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한 감지 정보를 무선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골프 연습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표시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골프 연습 장치로부터 수신한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 장치의 규격에 맞는 퍼팅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퍼팅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전달하다. 그리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가상 그린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그린에서 퍼팅 영상과, 그에 따른 음성을 출력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골프 연습 장치는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퍼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골프 연습 장치는 상기 생성한 퍼팅 정보를 무선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골프 연습 장치로부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유선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 그린에서 퍼팅 영상과, 그에 따른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퍼팅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서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변환된 퍼팅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에 퍼팅 연습용 어플리케이션을 추가하여 골프 연습 장치와 표시 장치를 연동시킴으로써, 골프 연습 시스템은 사용자가 퍼팅 연습을 저가의 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고, 퍼팅에 따른 퍼팅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를 매개로 한 댁내에 구비된 모니터, 디지털 텔레비전, 아날로그 텔레비전 등의 표시 장치와 골프 연습 장치 간의 연결을 통하여 퍼팅 연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비해서 저가의 비용으로 퍼팅을 연습할 수 있다. 즉 골프 연습 장치와 표시 장치 간에 연동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골프 연습 장치에서 수행되는 퍼팅 연습에 따라 생성한 퍼팅 정보를 표시 장치를 통하여 출력하여 퍼팅을 연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골프 연습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골프 연습 장치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통신 단말기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고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골프 연습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100)은 통신 단말기(20)를 매개로 연결된 퍼팅을 연습할 수 있는 골프 연습 장치(10)와 퍼팅에 따른 영상과 음성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20)와 골프 연습 장치(10)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통신 단말기(20)와 표시 장치(3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골프 연습 장치(10)는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퍼팅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퍼팅 정보를 무선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20)로 전송한다. 여기서 골프 연습 장치(10)는 통신 단말기(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매트(12), 네트(14) 및 제어 박스(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20)는 골프 연습 장치(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표시 장치(30)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골프 연습 장치(10)로부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 장치(30)로 전달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20)는 골프 연습 장치(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표시 장치(30)와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 연결 방식으로는 USB, HDMI, DVI, RGB, Composite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통신 단말기(20)로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타블릿 PC, 노트북, 넷북, 셋탑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표시 장치(30)는 통신 단말기(2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가상 그린(31)을 표시하고, 통신 단말기(20)로부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 그린(31)에 퍼팅 영상과, 그에 따른 음성을 출력한다. 즉 표시 장치(30)는 가상 그린(31)에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궤적을 표시하고, 퍼팅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예컨대 퍼팅 결과로서 홀인이 된 경우, 표시 장치(30)는 '축하합니다', '나이스', '굿' 등의 멘트가 출력될 수 있다. 퍼팅 결과 홀인이 되지 않은 경우, 표시 장치(30)는 골프공의 방향, 타구의 세기에 대한 조언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30)는 영상과 음성 출력이 가능한 출력 장치로서, 예컨대 모니터, 아날로그 텔레비전, 디지털 텔레비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30)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일체로 구비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골프 연습 장치(1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골프 연습 장치(10)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골프 연습 장치(10)는 센서부(15), 제1 통신부(17), 및 제1 제어부(19)를 포함하며, 그 외 제1 입력부(11) 및 제1 저장부(13)를 더 포함한다. 골프 연습 장치(10)는 외형적으로 매트(12), 네트(14) 및 제어 박스(16)를 포함한다.
매트(12)는 댁내의 실내 바닥에 깔아서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며, 일측에 골프공이 놓여져 타측으로 퍼팅이 이루어지는 바닥판이다.
네트(14)는 매트(12)의 타측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이 걸린다. 네트(14)는 매트(12)의 타측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네트 프레임과, 네프 프레임에 설치된 그물망을 포함한다. 매트(12)의 일측에서 퍼팅된 골프공은 네트 프레임에 설치된 그물망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제어 박스(16)는 골프 연습 장치(1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 소자들이 설치되는 박스로서, 매트(12)의 타측에 이웃하는 매트(12)의 측부에 설치된다. 제어 박스(16)에 제1 입력부(11), 제1 저장부(13), 센서부(15)의 높이 감지 센서(15c), 제1 통신부(17) 및 제1 제어부(19)가 설치된다.
제1 입력부(11)는 골프 연습 장치(1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1 제어부(19)로 전달한다. 사용자는 제1 입력부(11)를 통해 제1 저장부(13)에 새 저항계수를 입력하거나,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저항계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1 입력부(11)로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3)는 골프 연습 장치(1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제1 저장부(13)는 퍼팅에 따른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퍼팅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퍼팅 정보를 통신 단말기(20)로 전송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1 저장부(13)는 복수의 상이한 라이에 대한 가상 그린(31)의 정보, 잔디의 상황에 따른 복수의 저항계수를 저장한다. 또한 제1 저장부(13)는 사용자의 퍼팅 연습에 따른 퍼팅 정보를 누적한 기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3)는 문자 및 숫자에 대한 음성 정보와, 퍼팅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 속도 측정값 및 기울기 정보 등에 대한 음성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퍼팅 정보는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에 대한 감지 정보, 감지 정보에 따른 가상 그린(31) 상에서의 골프공의 궤적 정보, 및 퍼팅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포함한다.
센서부(15)는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제1 제어부(19)로 전달한다. 이때 센서부(15)는 매트(12)에 설치되는 시작점 센서(15a) 및 방향 감지 센서(15b), 제어 박스(16)에 설치되는 높이 감지 센서(15c)를 포함한다. 시작점 센서(15a)는 매트(12)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골프공의 초기 위치를 감지한다. 방향 감지 센서(15b)는 시작점 센서(15a)에서 골프공의 진행 방향으로 앞쪽의 매트(12) 부분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의 방향을 감지한다. 그리고 높이 감지 센서(15c)는 시작점 센서(15a)와 방향 감지 센서(15b)를 바라보는 쪽의 제어 박스(16)의 측면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의 높이를 감지한다.
여기서 시작점 센서(15a)는 매트(12)에 놓인 골프공의 위치를 감지하고, 또한 퍼팅 시의 골프공의 초기 속도를 감지한다. 사용자가 시작점 센서(15a)가 설치된 위치에 골프공을 놓을 수 있도록 매트(12)의 일측에는 골프공을 놓을 수 있는 골프공 탑재 영역(18)이 표시되어 있다. 이때 시작점 센서(15a)는 골프공 탑재 영역(18)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골프공 탑재 영역(18)에 놓인 골프공의 위치를 감지한다. 또한 골프공이 놓인 위치에서 퍼팅에 따라 이동이 발생할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시작점 센서(15a)가 이를 감지하여 골프공의 초기 속도를 감지한다. 예컨대 퍼팅에 따라 골프공의 이동을 두 개의 시작점 센서(15a)가 감지한 경우, 해당 두 개의 시작점 센서(15a) 간의 거리와, 두 개의 시작점을 통과한 시간을 감지함으로써, 골프공의 초기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시작점 센서(15a)로는 광 센서나 근접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방향 감지 센서(15b)는 시작점 센서(15a)와 매트(12)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1 가상선에 대해서 한 점에서 만나는 제2 가상선 상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방향 감지 센서(15b)는 제1 가상선에 수직한 제2 가상선 상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매트(12)가 직사각형 형상이라고 가정할 때, 매트(12)의 일측 단변의 중간 부분에 시작점 센서(15a)가 설치되는 골프공 탑재 영역(18)이 위치한다. 골프공 탑재 영역(18)에서 매트(12)의 타측 쪽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일측 단변에 수평한 방향으로 복수의 방향 감지 센서(15b)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골프공 탑재 영역(18)의 중심 부분과 방향 감지 센서(15b) 간의 최단 거리가 20~50cm 정도가 되는 지점에 방향 감지 센서(15b)가 배열되어 설치될 수 있다. 20~50cm의 최단 거리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매트(12)의 장변 길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 감지 센서(15b)로는 광 센서 또는 근접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높이 감지 센서(15c)는 골프공 탑재 영역(18)에 퍼팅된 골프공이 매트 위에서 구르거나 뜨는 높이를 감지한다. 이때 높이 감지 센서(15c)는 골프공 탑재 영역(18)이 형성된 지점을 포함하여 네트(14)가 설치된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제어 박스(16)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높이 감지 센서(15c)는 골프공 탑재 영역(18)과 방향 감지 센서(15b)가 형성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길이로 제어 박스(16)에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감지 정보는 시작점 센서(15a)에 위치한 골프공의 제1 위치 정보,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초기 속도, 퍼팅에 따라 골프공을 감지한 방향 감지 센서(15b)의 제2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및 퍼팅에 따라 골프공을 감지한 높이 감지 센서(15c)의 높이 정보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17)는 통신 단말기(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제1 통신부(17)는 제1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라 퍼팅에 따라 생성된 퍼팅 정보를 통신 단말기(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9)는 골프 연습 장치(1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서, 퍼팅 연습에 필요한 각종 정보의 생성 및 제공을 제어한다. 즉 제1 제어부(19)는 센서부(15)로부터 퍼팅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퍼팅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퍼팅 정보를 제1 통신부(17)를 통하여 통신 단말기(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1 제어부(19)는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퍼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시작점 센서(15a)에 위치한 골프공의 제1 위치 정보,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초기 속도, 퍼팅에 따라 골프공을 감지한 방향 감지 센서(15b)의 제2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및 퍼팅에 따라 골프공을 감지한 높이 감지 센서(15c)의 높이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제어부(19)는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산출한다. 제1 제어부(19)는 산출된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 정보에 따른 가상 그린(31) 상에서의 골프공의 궤적 정보를 산출하고, 퍼팅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제1 저장부(13)에서 추출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9)는 산출된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 정보, 골프공의 궤적 정보, 및 퍼팅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퍼팅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제1 제어부(19)는 골프공의 속도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통과한 시간을 토대로 퍼팅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퍼팅 거리는 골프공의 진행을 방해하는 저항력이 잔디에 의해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골프공의 운동에너지가 저항력에 의해 모두 소진되는 동안에 진행하는 거리로 하여 산출한다. 골프공이 잔디 위를 구를 때 골프공의 진행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저항력은 잔디의 상황에 따라 저항계수에 비례한다고 설정하고, 이러한 저항계수에 대한 데이터는 제1 저장부(13)에서 제공된다.
또한 제1 제어부(19)는 산출된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으로부터 퍼터의 헤드 속도와, 회전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 장치(10)는 음성 출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는 제1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른 퍼팅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퍼팅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는 퍼팅 성공 여부에 대한 음성, 기울기에 대한 음성, 골프공 속도에 대한 음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퍼팅 결과로서 홀인이 된 경우, 음성 출력부는 '축하합니다', '나이스', '굿' 등의 멘트가 출력될 수 있다. 퍼팅 결과 홀인이 되지 않은 경우, 음성 출력부는 골프공의 방향, 타구의 세기에 대한 조언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골프 연습 장치(10)는 골프 연습 장치(1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제1 저장부(13)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는 골프 연습 장치(10)의 온/오프(ON/OFF) 여부를 포함하여, 퍼팅 연습에 따른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단말기(2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도 1의 통신 단말기(20)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통신 단말기(20)는 제2 통신부(25), 인터페이스부(27) 및 제2 제어부(29)를 포함하며, 제2 입력부(21) 및 제2 저장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부(21)는 통신 단말기(2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2 제어부(29)로 전달한다. 사용자는 제2 입력부(21)를 통해 퍼팅 연습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고, 골프 연습 장치(10)와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2 입력부(21)로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저장부(23)는 통신 단말기(2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제2 저장부(23)는 퍼팅 연습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퍼팅 연습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골프 연습 장치(10)로부터 수신한 퍼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5)는 골프 연습 장치(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제2 통신부(25)는 제2 제어부(29)의 제어에 따라 통신 단말기(10)로부터 퍼팅에 따른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제어부(29)로 전달한다.
인터페이스부(27)는 유선을 매개로 표시 장치(30)가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제2 제어부(29)의 제어에 따라 퍼팅 정보를 표시 장치(30)로 전송한다. 유선 연결 방식으로는 USB, HDMI, DVI, RGB, Composite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2 제어부(29)는 통신 단말기(2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 퍼팅 연습에 필요한 각종 정보의 생성 및 제공을 제어한다. 즉 제2 제어부(29)는 퍼팅 연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제2 통신부(25)를 통하여 골프 연습 장치(10)로부터 퍼팅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퍼팅 정보를 가공하여 인터페이스부(27)를 통하여 표시 장치(30)로 전달한다. 즉 제2 제어부(29)는 수신한 퍼팅 정보를 표시 장치(30)에서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퍼팅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7)를 통하여 표시 장치(30)로 전달한다. 물론 변환이 필요하지 않는 퍼팅 정보의 경우, 제2 제어부(29)는 수신한 퍼팅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7)를 통하여 표시 장치(30)로 전달한다.
이때 제2 제어부(29)는 수신한 퍼팅 정보를 가공할 때 표시 장치(30)의 규격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30)의 규격 정보는 표시 장치(30)의 기종, 화면 크기, 해상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9)는 표시 장치(30)의 규격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7)를 통하여 표시 장치(30)로부터 직접 수집할 수도 있고, 제2 입력부(21)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단말기(20)는 통신 단말기(2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제2 저장부(23)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퍼팅 연습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 외 통신 단말기(20)는 음성 처리부, GPS 모듈, 자이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 수행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100)에서는 골프 연습 장치(10)가 감지 정보를 토대로 퍼팅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단말기920)로 전송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통신 단말기(20)는 골프 연습 장치(10)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퍼팅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퍼팅 정보를 표시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단말기(20)는 표시 장치(30)의 규격 정보에 맞게 퍼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 시스템(100)을 이용한 골프 연습 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20)를 이용한 골프 연습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 방법은 골프 연습 장치(10)가 퍼팅에 따른 퍼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51), 골프 연습 장치(10)가 생성된 퍼팅 정보를 통신 단말기(20)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S53), 통신 단말기(20)가 수신한 퍼팅 정보를 표시 장치(30)로 유선으로 전송하는 단계(S55), 및 표시 장치(30)가 수신한 퍼팅 정보를 가상 그린(31)에 출력하는 단계(S5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골프 연습 장치(10)와 통신 단말기(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상호 접속된다. 또한 통신 단말기(20)와 표시 장치(30)는 유선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통신 단말기(20)는 골프 연습 장치(10)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가공하여 표시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는 퍼팅 연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상태이다.
S61단계에서 표시 장치(30)는 화면에 가상 그린(31)을 표시한다. 즉 통신 단말기(20)를 매개로 골프 연습 장치(10)와 표시 장치(30)가 연결되면, 표시 장치(30)는 통신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가상 그린(31)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가상 그린(31)에 대한 정보는 통신 단말기(20)가 직접 제공하거나, 골프 연습 장치(1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30)는 사용자가 다양한 그린에서 퍼팅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린에 놓일 골프공의 위치나 상태에 대한 정보, 홀컵 주변의 그린의 기울기를 포함한 지형 정보, 현재 기온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S63단계에서 골프 연습 장치(10)는 매트(12)에 놓인 골프공을 감지한다. 즉 골프 연습 장치(10)는 매트(12)의 골프공 탑재 영역(18)에 골프공이 놓이면, 시작점 센서(15a)를 통하여 이를 감지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퍼터로 퍼팅을 수행하면, S65단계에서 골프 연습 장치(10)는 센서부(15)를 통하여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한다. 즉 골프 연습 장치(10)는 시작점 센서(15a)를 통하여 골프공의 제1 위치 및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초기 속도를 감지한다. 골프 연습 장치(10)는 방향 감지 센서(15b)를 통하여 골프공의 제2 위치 및 시간을 감지한다. 그리고 골프 연습 장치(10)는 높이 감지 센서(15c)를 통하여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높이를 감지한다.
다음으로 S67단계에서 골프 연습 장치(10)는 감지 정보를 이용해 퍼팅 정보를 생성한다. 즉 골프 연습 장치(10)는 시작점 센서(15a)에 위치한 골프공의 제1 위치 정보,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초기 속도, 퍼팅에 따라 골프공을 감지한 방향 감지 센서(15b)의 제2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및 퍼팅에 따라 골프공을 감지한 높이 감지 센서(15c)의 높이 정보를 기반으로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산출한다. 그리고 골프 연습 장치(10)는 산출된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 정보에 따른 가상 그린(31) 상에서의 골프공의 궤적 정보를 산출하고, 퍼팅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제1 저장부(13)에서 추출한다. 그리고 골프 연습 장치(10)는 산출된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 정보, 골프공의 궤적 정보, 및 퍼팅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포함하는 퍼팅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S69단계에서 골프 연습 장치(10)는 생성한 퍼팅 정보를 근거리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2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S71단계에서 통신 단말기(20)는 수신한 퍼팅 정보를 표시 장치(30)의 규격에 맞게 변환한 후, S73단계에서 통신 단말기(20)는 변환된 퍼팅 정보를 유선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30)로 전달한다. 즉 통신 단말기(20)는 수신한 퍼팅 정보를 표시 장치(30)에서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퍼팅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7)를 통하여 표시 장치(30)로 전달한다. 통신 단말기(20)는 수신한 퍼팅 정보를 가공할 때 표시 장치(30)의 규격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30)의 규격 정보는 표시 장치의 기종, 화면 크기, 해상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S75단계에서 표시 장치(30)는 수신한 퍼팅 정보를 가상 그린(31)에 출력한다. 즉 표시 장치(30)는 통신 단말기(20)로부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 그린(31)에서의 퍼팅 영상과, 그에 따른 음성을 출력한다. 표시 장치(30)는 가상 그린(31)에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궤적을 표시하고, 퍼팅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예컨대 퍼팅 결과로서 홀인이 된 경우, 표시 장치(30)는 '축하합니다', '나이스', '굿' 등의 멘트가 출력될 수 있다. 퍼팅 결과 홀인이 되지 않은 경우, 표시 장치(30)는 골프공의 방향, 타구의 세기에 대한 조언 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S71단계에서 통신 단말기(20)가 퍼팅 정보를 표시 장치(30)의 규격에 맞게 변환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S67단계에서 골프 연습 장치(10)가 퍼팅 정보를 생성할 때, 표시 장치(30)의 규격에 맞게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 단말기(20)는 골프 연습 장치(10)로부터 수신한 퍼팅 정보를 표시 장치(30)로 그대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통신 단말기(20)는 수신한 퍼팅 정보가 표시 장치(30)의 규격에 맞는 지는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퍼팅 정보를 변환하여 표시 장치(30)로 제공할 수도 있고, 변환 없이 표시 장치(30)로 퍼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S67단계에서 골프 연습 장치(10)가 감지 정보를 이용해 퍼팅 정보를 생성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20)가 골프 연습 장치(10)로부터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퍼팅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한 골프 연습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연습 방법은 S61단계 내지 S65단계까지는 도 6에 따른 골프 연습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후 단계인 S66단계부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66단계에서 골프 연습 장치(10)는 퍼팅에 따른 감지 정보를 근거리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20)로 무선으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S70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는 수신한 감지 정보를 이용해 퍼팅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통신 단말기(10)는 표시 장치(30)의 규격 정보에 맞게 퍼팅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S72단계에서 통신 단말기(10)는 생성한 퍼팅 정보를 유선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30)로 전달한다.
그리고 S75단계에서 표시 장치(30)는 수신한 퍼팅 정보를 가상 그린(31)에 출력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골프 연습 장치 11 : 제1 입력부
12 : 매트 13 : 제1 저장부
14 : 네트 15 : 센서부
15a : 시작점 센서 15b : 방향 감지 센서
15c : 높이 감지 센서 16 : 제어 박스
17 : 제1 통신부 18 : 골프공 탑재 영역
19 : 제1 제어부 20 : 통신 단말기
21 : 제2 입력부 23 : 제2 저장부
25 : 제2 통신부 27 : 인터페이스부
29 : 제2 제어부 30 : 표시 장치
100 : 골프 연습 시스템

Claims (15)

  1.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퍼팅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퍼팅 정보를 무선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골프 연습 장치;
    상기 골프 연습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표시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골프 연습 장치로부터 상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상기 통신 단말기;
    상기 통신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가상 그린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그린에서 퍼팅 영상과, 그에 따른 음성을 출력하는 상기 표시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 연습 장치는,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퍼팅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퍼팅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퍼팅 정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 연습 장치는,
    일측에 골프공이 놓여져 타측으로 퍼팅이 이루어지는 매트;
    상기 매트의 타측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이 걸리는 네트;
    상기 매트의 타측에 이웃하는 상기 매트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통신부 및 제1 제어부가 설치되는 제어 박스;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매트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골프공의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시작점 센서;
    상기 시작점 센서에서 골프공의 진행 방향으로 앞쪽의 상기 매트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 센서;
    상기 시작점 센서와 상기 방향 감지 센서를 바라보는 쪽의 상기 제어 박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감지 센서는,
    상기 시작점 센서와 상기 매트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1 가상선에 대해서 한 점에서 만나는 제2 가상선 상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 센서는
    퍼팅 시의 골프공의 초기 속도를 더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시작점 센서에 위치한 골프공의 제1 위치 정보, 퍼팅에 따른 상기 골프공의 초기 속도, 퍼팅에 따라 상기 골프공을 감지한 상기 방향 감지 센서의 제2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및 퍼팅에 따라 상기 골프공을 감지한 상기 높이 감지 센서의 높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 정보에 따른 상기 가상 그린 상에서의 골프공의 궤적 정보를 산출하고, 퍼팅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산출된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 정보, 상기 산출된 골프공의 궤적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퍼팅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골프 연습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상기 표시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골프 연습 장치로부터 상기 퍼팅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퍼팅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수신한 상기 퍼팅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서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퍼팅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연습 장치와 상기 통신 단말기 간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와 상기 표시 장치 간에는 USB, HDMI, DVI, RGB 또는 Composite 방식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선 연결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타블릿 PC, 노트북, 넷북, 셋탑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중에 하나이고,
    상기 표시 장치는 모니터, 아날로그 텔레비전, 디지털 텔레비전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12. 삭제
  13.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한 감지 정보를 무선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골프 연습 장치;
    상기 골프 연습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표시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골프 연습 장치로부터 수신한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 장치의 규격에 맞는 퍼팅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퍼팅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상기 통신 단말기;
    상기 통신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가상 그린을 표시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그린에서 퍼팅 영상과, 그에 따른 음성을 출력하는 상기 표시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 연습 장치는,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퍼팅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 연습 장치는,
    일측에 골프공이 놓여져 타측으로 퍼팅이 이루어지는 매트;
    상기 매트의 타측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이 걸리는 네트;
    상기 매트의 타측에 이웃하는 상기 매트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통신부 및 제1 제어부가 설치되는 제어 박스;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매트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골프공의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시작점 센서;
    상기 시작점 센서에서 골프공의 진행 방향으로 앞쪽의 상기 매트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 센서;
    상기 시작점 센서와 상기 방향 감지 센서를 바라보는 쪽의 상기 제어 박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감지 센서는,
    상기 시작점 센서와 상기 매트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1 가상선에 대해서 한 점에서 만나는 제2 가상선 상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14. 골프 연습 장치는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퍼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골프 연습 장치는 생성한 상기 퍼팅 정보를 무선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골프 연습 장치로부터 상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유선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퍼팅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 그린에서 퍼팅 영상과, 그에 따른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 연습 장치는,
    퍼팅에 따른 골프공의 속도, 거리 및 방향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통신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퍼팅에 따른 감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퍼팅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퍼팅 정보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골프 연습 장치는,
    일측에 골프공이 놓여져 타측으로 퍼팅이 이루어지는 매트;
    상기 매트의 타측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이 걸리는 네트;
    상기 매트의 타측에 이웃하는 상기 매트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통신부 및 제1 제어부가 설치되는 제어 박스;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매트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며 골프공의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시작점 센서;
    상기 시작점 센서에서 골프공의 진행 방향으로 앞쪽의 상기 매트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 감지 센서;
    상기 시작점 센서와 상기 방향 감지 센서를 바라보는 쪽의 상기 제어 박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퍼팅된 골프공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감지 센서는,
    상기 시작점 센서와 상기 매트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1 가상선에 대해서 한 점에서 만나는 제2 가상선 상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단말기는 수신한 상기 퍼팅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에서 출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는 변환된 퍼팅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방법.
KR1020110112817A 2011-11-01 2011-11-01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 KR101290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817A KR101290756B1 (ko) 2011-11-01 2011-11-01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817A KR101290756B1 (ko) 2011-11-01 2011-11-01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965A KR20130047965A (ko) 2013-05-09
KR101290756B1 true KR101290756B1 (ko) 2013-07-30

Family

ID=4865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817A KR101290756B1 (ko) 2011-11-01 2011-11-01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7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517A1 (ko) * 2017-09-28 2019-04-04 장윤재 퍼팅 연습 매트 및 퍼팅 연습 매트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단말
KR20210079660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부상 백스윙을 추적 및 표시하는 골프 퍼팅장치
KR20220153700A (ko) * 2021-05-11 2022-11-21 주식회사 제롬 골프 퍼팅 연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431A (ko) * 2013-12-05 2015-06-15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골프 스윙 분석 장치
KR102385648B1 (ko) 2020-09-14 2022-04-12 박진영 스마트미러를 이용한 골프 레슨 시스템
KR102619364B1 (ko) 2021-09-24 2023-12-29 이철우 골프 스윙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136A (ko) * 2007-05-04 2008-11-07 성관석 퍼팅연습이 가능한 스크린골프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연습방법
KR100923452B1 (ko) * 2009-08-07 2009-10-27 (주) 골프존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6530A (ko) * 2009-08-12 2011-02-18 이필원 퍼팅 연습장치
KR20110065737A (ko) * 2009-12-10 2011-06-16 강기조 골프 퍼팅 연습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136A (ko) * 2007-05-04 2008-11-07 성관석 퍼팅연습이 가능한 스크린골프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연습방법
KR100923452B1 (ko) * 2009-08-07 2009-10-27 (주) 골프존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6530A (ko) * 2009-08-12 2011-02-18 이필원 퍼팅 연습장치
KR20110065737A (ko) * 2009-12-10 2011-06-16 강기조 골프 퍼팅 연습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517A1 (ko) * 2017-09-28 2019-04-04 장윤재 퍼팅 연습 매트 및 퍼팅 연습 매트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단말
KR20210079660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부상 백스윙을 추적 및 표시하는 골프 퍼팅장치
KR102287991B1 (ko) * 2019-12-20 2021-08-10 주식회사 부상 백스윙을 추적 및 표시하는 골프 퍼팅장치
KR20220153700A (ko) * 2021-05-11 2022-11-21 주식회사 제롬 골프 퍼팅 연습 장치
KR102563612B1 (ko) * 2021-05-11 2023-08-07 주식회사 제롬 골프 퍼팅 연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965A (ko)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756B1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골프 연습 시스템 및 방법
KR100620873B1 (ko) 골프 스윙 동작 분석 시스템 및 방법
US20090137333A1 (en) Golf putter assembly
US20140213382A1 (e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Real-Time Analysis of Golf Swing Motion on Golf Club
KR20130125799A (ko) 공류운동의 동작식별방법, 장치와 동작지원설비
CN105999677B (zh) 一种可联网的便携式高尔夫模拟系统及模拟方法
KR101195497B1 (ko) 골프스윙의 자세분석 시스템
CA2751419A1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10072713A (ko) 타격상태 출력 기능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 및 방법
KR101415149B1 (ko)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을 위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101008595B1 (ko) 스크린 골프 연습 시스템
KR20130066827A (ko) 외부 감지 장치를 이용한 운동동작 분석 장치 및 운동동작 분석 방법
KR20060082350A (ko) 가상 골프 게임 시스템
JP6417280B2 (ja) ゴルファ分類方法、ゴルフクラブ選定方法及びゴルファ分類システム
KR101376767B1 (ko) 개인용 골프 연습 시스템
KR101255354B1 (ko) 지피에스와 고도 정보를 이용한 골프 클럽 선택 가이드 장치 및 방법
KR101355882B1 (ko) 골프 스윙연습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101145718B1 (ko) 장착이 용이한 골프 경기 보조 장치
KR101121952B1 (ko)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무선통신 퍼팅연습기
CN110812820A (zh) 运动检测训练系统和设备
KR101747351B1 (ko) 모션 감지 센서 모듈을 이용한 운동 분석 장치, 그 운동 분석 방법, 및 그 운동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TWI700114B (zh) 網球發球訓練系統及其方法
KR101430723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201676495U (zh) 可主动回球的高尔夫球挥杆练习装置
KR100946971B1 (ko) 골프클럽 식별장치를 이용하는 골프 시뮬레이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