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414A -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414A
KR20190036414A KR1020170125593A KR20170125593A KR20190036414A KR 20190036414 A KR20190036414 A KR 20190036414A KR 1020170125593 A KR1020170125593 A KR 1020170125593A KR 20170125593 A KR20170125593 A KR 20170125593A KR 20190036414 A KR20190036414 A KR 20190036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arm
finger
fixing member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숙정
Original Assignee
곽숙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숙정 filed Critical 곽숙정
Priority to KR1020170125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6414A/ko
Publication of KR20190036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팔 또는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개방된 삽입구(10)가 형성된 몸체(1)를 가지며, 몸체(1)의 표면 측면부에는 스마트폰(21)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2)가 설치되고, 이러한 고정부재(2)에는 자석 또는 그립(grip)(22)이 구비된다.

Description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 Smartphone cradle using an arm or a finger fitted }
본 발명은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사용시 스마트폰을 손으로 꽉 질 필요없이 단순히 팔 또는 손가락에 거치기만 하면 되는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사용시 손으로 쥐어야한다. 그것도 그냥 느슨하게 쥐어서는 손에서 미끄러져 나가 바닥으로 떨어져 나가기 십상이어서, 어느 정도 힘을 주어서 쥐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로 장기간 스마트폰을 사용하다보면, 손목과 손가락의 근육에 무리가 따르고 제대로 쥐고 있기에도 힘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 거치대가 고안되었으나, 기존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바닥에 단단히 고정되어 설치되므로, 각도 및 길이의 제한이 있고, 이로 인해 기존의 스마트폰 거치대를 사용할 경우, 스마트폰을 움직일 수 있는 위치 및 사용범위가 매우 좁게 한정된다. 또한 한번 정해진 각도 및 위치를 조금이라고 변경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사용자가 그기에 맞게 거치대를 다시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도 따른다. 사용자는 이러한 좁은 사용범위에서 한번 정해진 각도 및 위치로 스마트폰의 화면에 집중해야 하므로, 이 또한 경직된 자세를 유발하고, 이러한 자세를 오래 유지하다 보면 결국 또 다른 근육에 무리를 주게 된다.
따라서 손목과 손가락의 근육에 무리가 따르지 않으면서, 스마트폰의 사용범위가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도록, 보다 편하고 쉽게 힘을 덜 사용하면서도 안정되고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손목과 손가락의 근육에 무리가 따르지 않으면서, 편하고 쉽게 힘을 덜 사용하면서도 안정되고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는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개방된 삽입구가 형성되어 이러한 삽입구에 팔 또는 손가락을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거나, 또는 횡방향으로 분리시켜 팔 또는 손가락을 감싼 후 분리된 부분을 결합시킴으로써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는 자석 또는 그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는 그립을 부착하고 탈착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 또는 고정부재에는 상기 자석 또는 그립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을 원격으로 조작하기 위해 손가락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원격 제어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원격 제어기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팔 또는 손가락에 스마트폰 거치대를 끼워서 여기에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사용하므로, 스마트폰을 손으로 힘주어 쥘 필요가 전혀 없다. 따라서 손목과 손가락의 근육에 무리가 따르지 않고, 단지 팔만 일정 각도로 유지하면 된다.
또한 스마트폰은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진 거치대에 단단히 고정되고 탈부착이 용이하므로, 스마트폰이 손에서 빠져 밑으로 떨어질 염려도 없다.
또한 기존의 스마트폰 거치대와는 달리 바닥에 단단히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는 자유롭게 이동하며 편한 자세로 항상 자기가 원하는 위치와 원하는 각도로 스마트폰의 화면을 보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보관할 때, 몸체에 구비된 자석을 통해 주위의 철 구조물에 간단히 부착시켜 보관할 수 있어, 다음에 사용이 필요할 때도 여기저기 찾아다닐 번거로움 없이 쉽게 접할 수 있고, 팔 또는 손가락에 끼우기만 하면 된다.
또한, 팔 또는 손가락에 끼울 때에도, 왼손과 오른손의 구분 없이 양손 모두에 사용할 수 있어, 한쪽 손이 불편하더라도 다른 손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손으로 스마트폰을 쥘 필요가 전혀 없으므로, 손목과 손가락의 근육 피로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도 줄이고,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스마트폰을 부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상 편리함과 안정성 등 모든 면에 있어 기존의 스마트폰 거치대보다 탁월한 효과를 지닌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 2,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용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인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일실시예의 개략도로서, 양측 단면에는 개방된 삽입구(10)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몸체(1)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1)는 팔 또는 손가락의 일부분에 끼워지는 것으로, 끼워지는 방식은 상기 삽입구(10)에 팔 또는 손가락을 집어넣어 팔 또는 손가락의 굵기에 맞게 밀착시키는 방식이 있고, 또 다른 방식으로는 몸체(1)를 횡방향으로 분리하여 팔 또는 손가락을 감싸면서 다시 결합시키는 방식이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가 손가락에 끼워지는 경우, 일측 단면은 밀폐되고 타측 단면에만 삽입구(10)가 형성된 골무형상의 몸체(1)를 가져도 무방하다.
여기서 팔 또는 손가락의 굵기에 맞게 밀착시키는 방식과, 분리하고 재결합하는 방식은 기존에 알려진 주지, 관용 기술로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몸체(1)의 표면 측면부에는 스마트폰(21)을 안착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가 설치되고, 이러한 몸체(1) 및 고정부재(2)의 재질은 고무, 가죽, 플라스틱, 알루미늄,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에는 자석(미도시) 또는 그립(grip)(미도시)이 부착된다.
상기 자석은 스마트폰(21)의 뒷면 또는 스마트폰(21) 케이스의 뒷면에 부착된 자석 또는 자성체와 자기력으로 결합되어 스마트폰(21)을 충분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립은 상기 고정부재(2)에 형성된 결합부재(3)를 통해 상기 고정부재(2)에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하고, 스마트폰(21)을 감싸듯이 쥐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 또는 고정부재(2)에는 상기 자석 또는 그립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을 부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위치조절수단은 플렉스블(flexible) 링크, 접이식 다단 링크, 볼 조인트 등 기존에 알려진 주지, 관용 기술로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2는 이러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오른팔에 끼운 모습이고, 도면 3은 오른팔에 끼워진 스마트폰 거치대의 고정부재(2)에 구비된 자석에 스마트폰(21)을 안착하여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낸다.
도면 1 내지 3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면 1과 2를 참고하여 보면, 스마트폰 거치대의 몸체(1)에 형성된 삽입구(10)에 손(오른손)을 통과시킨 후 팔(오른팔)에 끼워 팔의 굵기에 맞게 밀착시키거나, 아니면 상기 몸체(1)를 횡방향으로 분리하여 팔(오른팔)을 감싼 후 분리된 상기 몸체(1)를 결합시키거나 하여, 상기 몸체(1)가 원통형상으로 팔을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그런 후 도면 3과 같이 상기 몸체(1)의 고정부재(2)에 형성된 자석에 자기력을 통해 스마트폰(21)을 안착시켜 고정시키거나, 또는 상기 몸체(1)에 형성된 고정부재(2)에 그립을 체결하여, 이러한 그립을 통해 스마트폰(21)을 안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스마트폰 거치대가 바닥에 고정된 형태가 아니고, 사용자의 팔에 고정된 형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편한 자세를 유지하며 스마트폰의 화면을 볼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의 화면을 보면서 손으로 다른 작업을 함께 병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몸체(1)의 크기를 대폭 축소하여 팔 대신 손가락에 끼워 여기에 스마트폰을 안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도면 2와 3에서 스마트폰 거치대의 위치만 팔에서 손가락으로 이동시키면 되는 것이고 나머지 사용방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도면 및 사용방법은 생략한다.
사용한 스마트폰 거치대를 거치시키거나 보관할 때, 몸체(1)에 구비된 자석을 통해 주위의 철 구조물에 간단히 부착시켜 거치 및 보관할 수 있어, 다음에 사용이 필요할 때도 여기저기 찾아다닐 번거로움 없이 쉽게 찾을 수 있고, 그 상태 그대로 팔 또는 손가락에 끼우기만 하면 된다.
부가적인 구성요소로서 스마트폰(21)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스마트폰 원격 제어기(4)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검지손가락에 스마트폰 원격 제어기(4)를 끼운 채, 도 3과 같이, 엄지손가락으로 상기 스마트폰 원격 제어기(4)에 형성된 스위칭부(5)를 조작하면, 스마트폰(21)이 이를 감지하여 스위칭 명령신호에 따라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폰 원격 제어기(4)에는 상기 스마트폰(21)과 스위칭 신호 등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폰(21)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수신을 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지그비(Zigbee) 등 근거리 무선 통신망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 원격 제어기(4)에 형성된 스위칭부(5)에 구비되는 다양한 작동 옵션은 일반적인 원격 제어기기(예를 들면,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와 연동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난 프로그램들을 원격으로 터치 조작이 가능하도록 스위칭 기능을 갖는 무선 마우스)가 갖는 작동 기능과 유사한 것이므로, 작동 옵션에 대한 상세한 조작 기법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원격 제어기(4)를 상기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와 함께 사용하면, 도 3과 같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에 안착되어 고정된 스마트폰(21)의 터치스크린을 보면서 스마트폰 원격 제어기(4)를 통해 쉽게 상기 스마트폰(21)을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조작 방식을 사용하면 다른 쪽 손으로 스마트폰(21)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해가며 스마트폰(21)을 조작하지 않아도 되고, 특히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가 팔 대신 손가락에 끼워지는 형태인 경우, 상기 스마트폰 원격 제어기(4)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의 몸체(1)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안착하여 고정시키는 기능과 함께, 안착된 스마트폰을 원격 제어하는 원격 제어 기능도 동시에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몸체
2 : 고정부재
3 : 결합부재
4 : 스마트폰 원격 제어기
5 : 스위칭부
10 : 삽입구
21 : 스마트폰

Claims (6)

  1.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개방된 삽입구가 형성되어 이러한 삽입구에 팔 또는 손가락을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거나, 또는 횡방향으로 분리시켜 팔 또는 손가락을 감싼 후 분리된 부분을 결합시킴으로써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자석 또는 그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그립을 부착하고 탈착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또는 고정부재에는 상기 자석 또는 그립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을 원격으로 조작하기 위해 손가락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원격 제어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원격 제어기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70125593A 2017-09-27 2017-09-27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KR20190036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593A KR20190036414A (ko) 2017-09-27 2017-09-27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593A KR20190036414A (ko) 2017-09-27 2017-09-27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414A true KR20190036414A (ko) 2019-04-04

Family

ID=6610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593A KR20190036414A (ko) 2017-09-27 2017-09-27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64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1511B2 (en) Portable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3229257U (ja) 工業用機械、特にロボットのための携帯型安全制御装置
EP2722728B1 (en) Portable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50281422A1 (en) Handhel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Control Signals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020171559A1 (en) Wrist & hand-held wireless or wired control device
JP2010528397A (ja) フィンガチップマウスおよびベース
US9979428B2 (en) Hand strap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1563058B1 (ko) 스마트폰 거치대
CA2837390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audio control and speaker
US9763505B2 (en) Holder and method for holding a personal computing device
WO2021213506A1 (zh) 输入设备和电子设备输入系统
KR20190036414A (ko) 팔 또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WO2021100567A1 (ja) 手持ち式装置およびホルダー
US20150281417A1 (en) Auxiliary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roduct
WO2017010155A1 (ja) 電子機器カバー
KR200425641Y1 (ko) 핑거마우스
KR20130118543A (ko)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KR20190034479A (ko)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JP2014099442A (ja) 携帯機器用把持具及び携帯機器用把持具を備える携帯機器
KR20190068733A (ko) 스마트폰에 고정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게임 컨트롤러
KR100926113B1 (ko) 센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컴퓨터용 마우스
US20160206085A1 (en) Single-Handed Operation Assisting Device for Handheld Device
KR102199563B1 (ko)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CN203517195U (zh) 手持式移动设备固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