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543A -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8543A
KR20130118543A KR1020120041492A KR20120041492A KR20130118543A KR 20130118543 A KR20130118543 A KR 20130118543A KR 1020120041492 A KR1020120041492 A KR 1020120041492A KR 20120041492 A KR20120041492 A KR 20120041492A KR 20130118543 A KR20130118543 A KR 20130118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integrated control
stick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5195B1 (ko
Inventor
주성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195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날로그 방식의 제어 수단을 통해 디지털 방식 및 터치 방식의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 운전자가 해당 기기를 친숙한 조작 방식으로 실행하도록 하여 차량 내 기기의 제어 편의성을 높이며, 단일의 장치로 직관적 조작을 통해 임의의 차량 내 기기와 무선 연결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다수의 차량 내 기기를 편리하게 조작하도록 하여 차량 내 기기의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한 조작에 대한 숙련의 난이도를 완화하고, 핫 키의 설정을 통해 연결된 차량 내 기기로 기 설정된 조작 또는 기능의 명령을 직접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해당 기능을 매우 단순한 조작으로 실행하도록 하여 차량 내 기기에 대한 제어 복잡성을 완화하며 운전 중 조작에 대한 위험성을 낮추며, 차량 중앙에 위치한 콘솔박스 등에 거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시 일반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손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며 필요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며 운전의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UNIVERSAL CONTROL APPARATUS FOR DEVICE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내 위치한 다수의 기기를 친숙한 아날로그 방식의 조작을 통해 제어하도록 하여 운전 중 사고의 위험성을 줄이고 운전자에게 심리적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한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에는 내비게이션 장치 외에도 핸즈프리, 차량용 블랙박스, 후방 카메라 등 고유의 기능을 가진 기기들이 많이 내장되거나 설치되고 있으며 그 종류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스마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차량 내 기기들은 급속히 스마트 기기로 대체되고 있으며, 현재 일반적인 차량 내 기기들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방식을 통한 무선 통신도 가능하다.
하지만, 운전자가 이와 같은 다양한 차량 내 기기를 각각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운전의 편의성이 높아져야 함에도, 내비게이션 장치나 차량용 블랙박스, 핸즈프리, 스마트 기기 등 차량 내 기기들은 대부분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 조작 시 운전에 방해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최근의 차량 내 기기들은 조작 방식이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터치 인터페이스가 많아 입력을 위해 화면을 지속적으로 주시해야 하며, 잘못 건드리는 경우 오 입력되어 조작이 번거롭고 사고의 위험성이 높았다.
특히, 이러한 터치 방식을 제공하는 차량 내 기기는 그 종류에 따라 조작 방법이 각각 서로 상이한 이유로 인해, 디지털 및 터치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의 경우에는 다양한 차량 내 기기의 조작 방법을 숙지하여 각각 능숙하게 사용하는 것에 매우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0811928호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목적은 아날로그 방식의 제어 수단을 통해 디지털 방식 및 터치 방식의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 운전자가 해당 기기를 친숙한 조작 방식으로 실행하도록 한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단일의 장치로 직관적 조작을 통해 임의의 차량 내 기기와 무선 연결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다수의 차량 내 기기를 편리하게 조작하도록 한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핫 키의 설정을 통해 연결된 차량 내 기기로 기 설정된 조작 또는 기능의 명령을 직접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해당 기능을 매우 단순한 조작으로 실행하도록 한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중앙에 위치한 콘솔박스 등에 거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시 일반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손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며 필요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한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는 차량의 팔걸이, 콘솔 박스 등에 장착하거나 연장 설치 가능한 거치 수단을 구비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단 일 측에 돌출 배치되어 운전자의 팔 또는 손목 부위를 거치하는 팔 거치대, 차량 내 기기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본체부 상단 일 측 중 상기 팔 거치대와 대 측으로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여 선택시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기와 페어링을 실행하거나 해당 기기와 연결하는 페어링 버튼부, 운전자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팔 거치대와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부가 스틱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하,좌,우의 방향 및 선택을 포함하는 조작이 가능한 스틱형 조작부 및 상기 페어링 버튼부를 통해 연결된 차량 내 기기로 상기 스틱형 조작부의 조작을 기 설정된 대응 방식으로 전환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페어링 버튼부는 선택시에, 연결된 상기 차량 내 기기로 기 설정된 조작 또는 기능의 명령을 제공하며 이를 상기 제어부가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어링 버튼부는 선택시에, 트립 인터페이스로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 또는 차량 내 구성과 통신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와 연결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로 상기 차량 내 기기 또는 구성을 제어하는 기 설정된 조작 또는 기능의 명령을 제공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가 이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는 상기 스틱형 조작부와 운전자의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소정 거리로 이격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버튼으로 상,하,좌,우의 방향 및 선택을 포함하는 조작이 가능한 버튼형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틱형 조작부는 회전 가능하며, 회전시 미세 단위의 걸림을 통해 조작이 결정되는 조그 다이얼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연결된 기기의 정보 일부를 백업 및 저장하거나 정보를 기기에 제공하며, 상기 통합 제어 장치는 이를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를 위한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연결된 기기의 촬영 영상 일부를 캡처하여 저장하거나 영상을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는 아날로그 방식의 제어 수단을 통해 디지털 방식 및 터치 방식의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 운전자가 해당 기기를 친숙한 조작 방식으로 실행하도록 하여 차량 내 기기의 제어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는 단일의 장치로 직관적 조작을 통해 임의의 차량 내 기기와 무선 연결하고 이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다수의 차량 내 기기를 편리하게 조작하도록 하여 차량 내 기기의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한 조작에 대한 숙련의 난이도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는 핫 키의 설정을 통해 연결된 차량 내 기기로 기 설정된 조작 또는 기능의 명령을 직접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해당 기능을 매우 단순한 조작으로 실행하도록 하여 차량 내 기기에 대한 제어 복잡성을 완화하며 운전 중 조작에 대한 위험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는 차량 중앙에 위치한 콘솔박스 등에 거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시 일반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손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며 필요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며 운전의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어링 설정 및 연결의 예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의 동작 예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 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의 사시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팔걸이, 콘솔 박스 등에 장착하거나 연장 설치 가능한 거치 수단을 구비한 거치부(145), 상기 거치부(145)에 연결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 상단 일 측에 돌출 배치되어 운전자의 팔 또는 손목 부위를 거치하는 팔 거치대(105), 차량 내 기기(10,20,30,40)와 블루투스(Blue 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부(150), 상기 본체부(110) 상단 일 측 중 상기 팔 거치대(105)와 대 측으로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여 선택시에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차량 내 기기(10,20,30,40)와 페어링(Pairing)을 실행하거나 해당 차량 내 기기(10,20,30,40)와 연결하는 페어링 버튼부(115), 운전자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팔 거치대(105)와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부가 스틱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하,좌,우의 방향 및 선택을 포함하는 조작이 가능한 스틱형 조작부(120) 및 상기 페어링 버튼부(115)를 통해 연결된 차량 내 기기(10,20,30,40)로 상기 스틱형 조작부(120)의 조작을 기 설정된 대응 방식으로 전환하여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기기(10,20,30,40)로 전송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내 기기의 예로는, 내비게이션 장치(10), 차량용 블랙박스(20), 후방 카메라(30), 스마트 폰 등의 스마트 기기(40) 등을 들 수 있으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상기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을 지원하는 차량 내 기기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 내 기기와 트립 인터페이스(Trip interface)로 연결되어 그 제어가 가능한 차량 내 기기 또는 차량 내 구성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내비게이션 장치(10)에 트립 인터페이스로 차량의 비상등이 연결된 경우, 상기 통합 제어 장치(100)는 내비게이션 장치(10)로 비상등의 점멸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가 해당 명령을 실행하여 비상등이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상기 스틱형 조작부(120)와 운전자의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소정 거리로 이격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버튼으로 상,하,좌,우의 방향 및 선택을 포함하는 조작이 가능한 버튼형 조작부(12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차량 내 기기(10, 20, 30, 40)로부터 전송받는 영상을 저장하거나 하는 등의 용도를 위한 저장 장치를 구비한 저장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외부 메모리 장착을 위한 메모리 삽입부(13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제어부(160)는 연결된 기기의 정보 일부를 백업 및 저장하거나 정보를 기기에 제공하며, 상기 통합 제어 장치(100)는 이를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를 위한 메모리 인터페이스(메모리 삽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연결된 기기의 촬영 영상 일부를 캡처하여 저장하거나 영상을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전원 연결 수단을 구비하거나 또는 배터리를 내장하는 전원부(140)를 더 포함한다.
최근의 차량 내 기기들은 운전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차량 내 거치하지만 그 종류가 점차 다양해지고 조작 방식이 종류에 따라 상이해짐에 따라, 오히려 운전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최근의 차량 내 기기들은 터치 입력을 위해 화면을 지속적으로 주시해야하여 조작이 번거롭고 사고의 위험성이 높으며, 디지털 및 터치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의 경우에는 각각의 차량 내 기기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를 이용하면 단순한 아날로그 방식의 조작을 통해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며, 차량 운전 시 일반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 오른손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주면서 친숙한 조작감을 제공하는 조작 수단을 통해 복수의 차량 내 기기들을 선택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팔걸이에 장착하거나 연장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거치부(145)와 상기 거치부(145)에 연결되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에 구성되는 팔거치대(105) 및 조작 인터페이스(115, 120, 125)를 포함한다.
상기 팔거치대(105)는 운전자가 운전 시 잘 사용하지 않는 오른손을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아날로그 조작을 위한 스틱형 조작부(120)의 돌출 구조(121)가 손바닥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높인다.
예를 들어, 상기 팔거치대(105)는 연질의 탄성 재질을 사용하여 팔을 거치하는 데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본체부(110)는 차량의 팔걸이 등에 배치 가능한 외형을 갖거나 차량 내 중앙에 위치한 콘솔 박스의 상단에 배치되도록 평평한 형태의 바닥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부(145)는 상기 콘솔 박스에 용이하게 거치하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하측에 구성된 거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거치부(145)는 단순히 콘솔 박스 혹은 팔걸이에 상기 본체부(110)를 거치 및 고정하기 위한 수단뿐만 아니라 고정 후 사용자의 신체에 맞추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예를 들어, 앞뒤, 좌우, 상하, 거치 각도 조절을 위한 이동 및 고정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는 운전자의 오른손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넓이로 구성하여 그 심리적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형은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편안함을 배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페어링 버튼부(115)를 통해서 복수의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기기들과 연결하거나 해당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스틱형 조작부(120) 및 버튼형 조작부(125) 또는 조그 다이얼(122)을 통해 선택한 차량 내 기기에서 원하는 메뉴 선택이나 입력의 조작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통합 제어 장치(100)가 내비게이션 장치와 연결된 경우 버튼형 조작부(125)의 중앙 버튼을 특정 기능 버튼으로 등록한 후, 이의 선택을 통해 빠른 검색(예를 들어, 현재 위치로부터 집 또는 회사까지의 경로 검색 기능 등) 또는 조작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메모리 삽입부(135)를 통해 추가 메모리를 적용하거나 저장부(130)를 내장한 경우에 내비게이션 장치의 경로를 저장하거나 그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할 수도 있으며, 차량용 블랙박스의 동영상을 시간 단위를 설정하여 백업하거나 화면을 백업할 수도 있으며, 핸즈프리의 선택시 통화 내용을 녹음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부(150)는 차량 내 기기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며, 상기 차량 내 기기의 백업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 명령을 상기 차량 내 기기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연결된 차량 내 기기로 스틱형 조작부(120) 또는 버튼형 조작부(125)의 조작 명령을 기 설정된 대응 방식으로 전환하여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전송하는 데, 예를 들어 스틱형 조작부(120)의 아래, 위로 움직이는 조작 명령을 각각 내비게이션 장치의 아래,위 스크롤 단위의 움직임으로 전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운전자는 상기 스틱형 조작부(120)의 상단(121)을 손바닥으로 쥐고 상, 하, 좌, 우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연결된 차량 내 기기의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메뉴의 선택시에는 스틱형 조작부(120)를 손바닥으로 누르는 조작을 통해 선택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틱형 조작부(100)는 조그 다이얼 수단(121) 혹은 조그 다이얼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시한 바와 같이 조그 다이얼의 수단(121)을 물리적으로 분리 구성하거나 스틱형 조작부(120) 전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조그 다이얼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버튼형 조작부(125)는 운전자의 손가락을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가락을 이용하여 방향 버튼을 선택하거나 중앙 버튼을 눌러 메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복잡해지는 차량 내 기기들을 통합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아날로그 방식의 제어 수단을 통해 차량 내 기기를 제어하여 운전 중에도 터치 방식과 같은 디지털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 운전자가 다수의 차량 내 기기를 친숙한 조작 방식으로 실행하도록 하므로 차량 내 기기의 제어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의 측면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부(145)는 차량의 콘솔 박스 등에 용이하게 결합하도록 탄성이나 접착력 또는 타공을 통한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차량의 팔걸이 등에 결합하거나 연결 구성하는 등 운전자의 오른손이 편안하게 거치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도록 하는 거치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팔거치대(105)는 운전 중 오른손의 손의 하부, 손목 또는 팔의 상부를 편안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돌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틱형 조작부(120)는 손바닥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틱형 조작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며 회전시 미세 단위의 걸림을 통해 조작이 결정되는 조그 다이얼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형 조작부(125)는 손가락을 통해 조작 가능하도록 스틱형 조작부(120)와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차량 중앙에 위치한 콘솔박스 등에 거치하도록 구성하여 운전시 일반적으로 이용하지 않는 손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며 필요에 따라 차량 내 기기를 용이하게 조작하도록 하므로 운전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며 운전의 안전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페어링 설정 및 연결의 예시도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내비게이션 장치(10), 차량용 블랙박스(20), 후방 카메라(30), 스마트 기기(40) 등 다양한 차량 기기와 페어링 및 직, 간접 연결이 가능하다.
이때, 후방 카메라(30)와 같은 차량 내 기기의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10)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20)와 연결 케이블 통해 연결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상기 통합 제어 장치(100)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20)와 연결한 후 후방 카메라(30)를 작동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여 후방 카메라의 동작을 간접 제어할 수 있다.
페어링 버튼(116,117,118,119)을 누르는 경우,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차량 내 기기와 페어링하는 과정을 실행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므로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페어링은 블루투스의 경우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당연히 포함하며,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차량 내 기기의 경우에는 상기 통합 제어 장치(100)가 해당 기기와 최초로 연결을 시도하여 체결되는 과정 또는 이러한 과정 중 인증 또는 식별 절차를 거치는 과정을 포함함에 유의한다.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차량 내 기기의 경우 상기의 최초 연결 절차(페어링) 이후 해당 기기의 선택시에 인증, 식별 절차를 생략하고 바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페어링 이후 각 버튼을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기기와의 연결에 각각 대응(예를 들어, 116과 10 또는 117과 20)시키거나 각 버튼에 기 설정 기기의 특정 동작을 대응(예를 들어, 118과 30 또는 119와 40)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페어링 버튼부(115)는 버튼 내부에 발광체를 삽입하여 차량 내 기기와의 연결시에나 차량 내 기기에서의 연결 요청시에 해당 버튼의 발광체가 발광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선택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의 동작 예시도다.
도 5는 상기 통합 제어 장치(100)가 내비게이션 장치(10)와 연결되어 내비게이션 장치(10)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페어링 버튼부(116)는 선택시에, 연결된 상기 차량 내 기기(10)로 기 설정된 조작 또는 기능의 명령을 제공하며 이를 상기 제어부(160)가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합 제어 장치(100)를 조작하는 운전자는 스틱형 조작부(120)을 손바닥으로 잡고 위, 아래(123)로 움직여 내비게이션 장치(10)의 메뉴를 위, 아래로 스크롤(11)하거나 버튼형 조작부(125)의 상,하 버튼을 조작(126)하여 메뉴를 스크롤(11)할 수 있다.
또는, 조그 다이얼(124)을 이용하여 회전을 통해 용이하게 빠른 스크롤(11)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용 블랙박스와 연결한 상태에서 과거 영상의 재생을 위해 저장 영상 리스트를 스크롤하는 경우에도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와 동일한 조작을 통해 검색 또는 선택할 수 있으며, 연결된 스마트 기기에서의 메뉴 선택도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단일의 장치로 직관적 조작을 통해 임의의 차량 내 기기와 무선 연결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어 운전자가 다수의 차량 내 기기를 편리하게 조작하도록 하므로 차량 내 기기의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한 조작에 대한 숙련의 난이도를 완화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통합 제어 장치(100)가 트립 인터페이스를 통해 후방 카메라(30)와 연결된 내비게이션 장치(10)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페어링 버튼부(118)는 선택시에, 트립 인터페이스로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30) 또는 차량 내 구성과 통신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와 연결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로 상기 차량 내 기기(30) 또는 구성을 제어하는 기 설정된 조작 또는 기능의 명령을 제공(123)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가 이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10)와 연결된 후방 카메라(30)를 즉시 작동시키고 싶은 경우에 핫 키를 설정하여 이를 선택(123)하면 바로 내비게이션 장치(10)와 연결을 수행하고 이후 내비게이션 장치(10)가 후방 카메라(30)를 작동하도록 간접 제어하여 즉시 후방 카메라(30)의 영상(12)을 볼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내비게이션 장치(10)에 차량의 비상등이 연결된 경우 이를 핫 키로 등록하여 차량의 비상등을 바로 켜거나 끌 수 있다.
또는, 직접 연결된 차량 내 기기의 소정 기능 또는 동작을 핫 키로 등록하여 즉시 실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연결된 내비게이션 장치의 메뉴를 이동하는 조작을 간편하게 핫 키로 설정하여 동작시키거나 TV를 켜고 끄거나 주변 교통안내 정보를 즉시 시청하도록 핫 키를 등록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핫 키의 설정을 통해 연결된 차량 내 기기(30)로 기 설정된 조작 또는 기능의 명령을 직접 제공하여 운전자가 해당 기능을 매우 단순한 조작으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차량 내 기기에 대한 제어 복잡성을 완화하며 운전 중 조작에 대한 위험성을 낮추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상기 통합 제어 장치(100)가 차량용 블랙박스(20)를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운전자는 상기 통합 제어 장치(100)의 연결 버튼(117)을 선택하여 차량용 블랙박스(20)와 즉시 연결할 수 있으며, 내부의 저장부(130)나 외부 메모리(136)를 삽입(135)하여 차량용 블랙박스(20)이 카메라(21)를 통해 촬영한 동영상을 백업하거나 화면을 캡처할 수 있다.
이의 동작 실행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핫 키로 등록하여 선택(126)시에 기 설정 동작을 바로 실행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운전자의 조작(123)을 통해 메뉴를 탐색하여 운전자가 직접 메뉴 상에서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기 설정 시간 동안 일정 주기로 차량용 블랙박스(20)의 주행 영상 중 정지 화면을 전송하여 저장하거나 부분 동영상을 발췌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도 8은 상기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가 클라우드 서버(50)와 통신하는 스마트 기기(40)와 연결 버튼(119)을 통해 연결하여 저장부(130) 또는 외부 메모리(136)에 저장된 저장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50)로 전송(2)하여 관리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40)가 인접한 경우에 그 광역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기 저장된 백업 내용을 스마트 기기(40)로 전송(1)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4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41)이 클라우드 서버(50)로 전달(2)하여 중요 정보를 안전하게 재활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블루투스의 인터페이스 프로파일 중 모뎀 기능을 이용하면 외부 기기가 스마트폰의 통신 기능을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도 원격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의 조작 역시, 스틱형 조작부(120)이나 버튼형 조작부(125)를 통해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내비게이션 장치 20: 차량용 블랙박스
30: 후방 카메라 40: 스마트 기기
50: 클라우드 서버
100: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105: 팔 거치대 110: 본체부
115: 페어링 버튼부 120: 스틱형 조작부
125: 버튼형 조작부 130: 저장부
135: 메모리 삽입부 140: 전원부
145: 거치부 150: 통신부
160: 제어부

Claims (7)

  1. 차량의 팔걸이, 콘솔 박스 등에 장착하거나 연장 설치 가능한 거치 수단을 구비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단 일 측에 돌출 배치되어 운전자의 팔 또는 손목 부위를 거치하는 팔 거치대;
    차량 내 기기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본체부 상단 일 측 중 상기 팔 거치대와 대 측으로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여 선택시에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기와 페어링을 실행하거나 해당 기기와 연결하는 페어링 버튼부;
    운전자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팔 거치대와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부가 스틱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하,좌,우의 방향 및 선택을 포함하는 조작이 가능한 스틱형 조작부;및
    상기 페어링 버튼부를 통해 연결된 차량 내 기기로 상기 스틱형 조작부의 조작을 기 설정된 대응 방식으로 전환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버튼부는
    선택시에, 연결된 상기 차량 내 기기로 기 설정된 조작 또는 기능의 명령을 제공하며 이를 상기 제어부가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버튼부는
    선택시에, 트립 인터페이스로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차량 내 기기 또는 차량 내 구성과 통신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와 연결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로 상기 차량 내 기기 또는 구성을 제어하는 기 설정된 조작 또는 기능의 명령을 제공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가 이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형 조작부와 운전자의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한 소정 거리로 이격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버튼으로 상,하,좌,우의 방향 및 선택을 포함하는 조작이 가능한 버튼형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형 조작부는
    회전 가능하며, 회전시 미세 단위의 걸림을 통해 조작이 결정되는 조그 다이얼 기능을 구비하는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결된 기기의 정보 일부를 백업 및 저장하거나 정보를 기기에 제공하며, 이를 저장하는 외부 메모리를 위한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는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결된 기기의 촬영 영상 일부를 캡처하여 저장하거나 영상을 기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KR1020120041492A 2012-04-20 2012-04-20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KR101355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492A KR101355195B1 (ko) 2012-04-20 2012-04-20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492A KR101355195B1 (ko) 2012-04-20 2012-04-20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543A true KR20130118543A (ko) 2013-10-30
KR101355195B1 KR101355195B1 (ko) 2014-01-28

Family

ID=4963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492A KR101355195B1 (ko) 2012-04-20 2012-04-20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1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626A (ko) * 2014-11-19 2016-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콘솔존 스위치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6718A (ko) * 2016-10-28 2018-05-09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복합 무선 조작계
KR20190034905A (ko) * 2017-09-25 2019-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휴대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9107832A1 (en) * 2017-11-29 2019-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providing indication associated with input in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391A (ja) * 1997-04-23 1998-11-10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自動車のスイッチ装置
JP2004050916A (ja) 2002-07-18 2004-02-1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操作装置
JP4623391B2 (ja) 2008-11-07 2011-02-0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用遠隔操作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626A (ko) * 2014-11-19 2016-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콘솔존 스위치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6718A (ko) * 2016-10-28 2018-05-09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복합 무선 조작계
KR20190034905A (ko) * 2017-09-25 2019-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휴대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9107832A1 (en) * 2017-11-29 2019-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providing indication associated with input in vehicle
KR20190069635A (ko) * 2017-11-29 2019-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내에서 입력과 관련된 인디케이션을 적응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732737B2 (en) 2017-11-29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providing indication associated with input in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195B1 (ko) 201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73021B (zh) 可穿戴设备及相关系统
JP6678382B2 (ja) 車両用の携帯端末操作システム
US9900479B2 (en) Operation apparatus
US104344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chieving improved usability,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encoded with program readable by computer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9310887B2 (en) Handheld and wearable remote-controllers
KR102029842B1 (ko) 차량 제스처 인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355195B1 (ko) 차량 내 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KR20160007612A (ko) 원격 제어기,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9389698B2 (en)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mobile device
JP2018511897A (ja) 携帯用端末ケース
US9870118B2 (en)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encoded with computer readabl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virtual camera while grasping overall condition of virtual camera arranged in virtual space
JP2010528397A (ja) フィンガチップマウスおよびベース
EP3659848B1 (en) Operating module, operating method, operat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vehicles
CN111279257B (zh) 用于摄像机的遥控器
GB2359965A (en) Operating devices in a vehicle remotely via apparatus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where the operating elements move in two and/or three dimensions
US202201188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a vehicle using a detachable control device
US20140125097A1 (en) Vehicle Armrest Mounted Control Device with Remote Display
US20090096411A1 (en) Charging Stand
US105491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chieving improved usability,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encoded with program readable by computer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60051360A (ko) 차량용 제스처 인식 장치
JP2011170585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70001389A (ko) 모바일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CN219172316U (zh) 车辆吸顶屏控制装置和车辆
JPWO2019176787A1 (ja) 操作画像表示装置、操作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操作画像表示プログラム
WO20180903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