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224A - 교차 배열된 홈을 갖는 pba 케이스 - Google Patents

교차 배열된 홈을 갖는 pba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224A
KR20190035224A KR1020170124208A KR20170124208A KR20190035224A KR 20190035224 A KR20190035224 A KR 20190035224A KR 1020170124208 A KR1020170124208 A KR 1020170124208A KR 20170124208 A KR20170124208 A KR 20170124208A KR 20190035224 A KR20190035224 A KR 20190035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ordinate
pba
grooves
coordi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0184B1 (ko
Inventor
박종현
송민수
이왕준
김동휘
진성월
김영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18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5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encapsulation, e.g. waterproof resin forming an integral casing, 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PBA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PBA 케이스는 복수의 제1 홈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310) 및 복수의 제2 홈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32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홈과 상기 복수의 제2 홈은 상기 상부 케이스(310)와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폭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각각 상기 상부 케이스(310)와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길이 방향에 걸쳐 교차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교차 배열된 홈을 갖는 PBA 케이스{PBA CASE WITH CROSSOVER GROOVE}
본 출원은 교차 배열된 홈을 갖는 PBA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비데는 좌변기에 설치되어, 비데 본체에 구비되는 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시켜 항문 세정, 여성 국부 세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사용자는 비데 본체 측면에 장착되는 조작부를 이용하여 비데 장치의 제어가 가능하다.
조작부에는 PBA(Printed Board Assembly) 기판이 내장된다. PBA 기판은 압력이나 정전기 등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비데 장치의 세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조작부의 PBA 케이스는 PBA 기판을 조립한 후 케이스에 결합시키고, 몰딩액을 부어 굳히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하지만, 몰딩액이 경화되는 과정 또는 저온의 환경에서 몰딩액과 조작부 케이스 사출물의 수축율이 상이하여 케이스의 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조작부의 PBA 케이스 하단에 다수의 리브를 형성하여 휨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주변 환경 및 조건에 따라 휨 현상이 여전히 발생하여 몰딩액이 터지거나, 조립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였다.
조작부는 비데 장치 제어의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케이스의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균열이 생긴 틈으로 수분이 유입되어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하므로 휨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조작부 케이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46826호 (2009.12.03) 한국공개실용신안문헌 제1998-058328호 (1998.10.26)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PBA 케이스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 홈이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차 배열되어, 케이스에 힘이 가해짐으로써 PBA 케이스가 휘는 현상이 방지되는 PBA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결정된 제1 좌표들에 복수의 제1 홈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310) 및 기결정된 제2 좌표들에 복수의 제2 홈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320)를 포함하며, 상기 기결정된 제1 좌표들과 상기 기결정된 제2 좌표들이 서로 동일한 x 좌표를 가질 때, y 좌표 및 z 좌표는 서로 상이하며, 상기 x 좌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장축 방향으로의 좌표이고, 상기 y 좌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단축 방향으로의 좌표이며, 상기 z 좌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높이 방향으로의 좌표인, PBA 케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과 상기 복수의 제2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과 상기 복수의 제2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은 "ㄱ"자 형상 또는 "ㄴ"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과 상기 복수의 제2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은 직각인 5개의 내각과 270도인 하나의 내각을 가진 육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외면(311)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홈은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내면(322)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홈이 형성된 면적과 상기 하부 케이스(320)에서 상기 복수의 제2 홈이 형성된 면적의 합은, 상기 상부 케이스 외면(311) 또는 내면(312)의 면적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 외면(321) 또는 내면(322)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이 형성된 깊이는 상기 복수의 제1 홈이 형성된 x 좌표에 따라 서로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홈이 형성된 깊이는 상기 복수의 제2 홈이 형성된 x 좌표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좌표들은 x 좌표와 z 좌표가 동일하되 y 좌표가 상이한 두 개의 좌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좌표들은 x 좌표와 z 좌표가 동일하되 y 좌표가 상이한 두 개의 좌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BA 케이스에 내장되며, 비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PBA 기판(330) 및 상기 PBA 케이스와 상기 PBA 기판(330)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몰딩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기결정된 제1 좌표들에 복수의 제1 홈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310) 및 기결정된 제2 좌표들에 복수의 제2 홈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320)를 포함하며, 상기 기결정된 제1 좌표들과 상기 기결정된 제2 좌표들이 서로 동일한 x 좌표를 가질 때, y 좌표 및 z 좌표는 서로 상이하되, 상기 기결정된 제1 좌표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좌표들은 동일한 x 좌표 및 z 좌표를 가지며, 상기 x 좌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장축 방향으로의 좌표이고, 상기 y 좌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단축 방향으로의 좌표이며, 상기 z 좌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높이 방향으로의 좌표인, PBA 케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x 좌표 및 z 좌표를 갖는 두 개의 좌표들의 x 좌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x 좌표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전술한 PBA 케이스가 적용된, 비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PBA 케이스에 홈이 형성되어 강성이 부여됨으로써, 몰딩액이 경화되는 과정 또는 저온의 환경에서 몰딩액과 PBA 케이스 사출물의 수축율이 상이하여 발생하는 케이스의 휨 현상이 방지된다.
둘째, 다양한 형상의 홈이 PBA 케이스에 형성되고, 각각의 홈은 서로 다른 깊이로 형성됨으로써, PBA 케이스에 전방위적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이에 대항할 수 있는 강성이 부여될 수 있다.
셋째, PBA 케이스에 균열이 발생하여 그에 내장된 PBA 기판에 수분이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수분 유입으로 인한 PBA 기판의 오작동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PBA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PBA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른 PBA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3의 PBA 케이스의 우수성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 실험 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은 도 2의 PBA 케이스를 이용한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3의 PBA 케이스를 이용한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1. 비데 장치의 설명
도 1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50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5000)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데 장치(5000)는 좌변기(1)에 고정 설치되는 비데 본체(1000)와, 비데 본체(1000)의 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3000)와, 시트(30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덮개(4000) 및 비데 본체(1000) 측면에 장착되는 조작부(2000)를 포함한다.
조작부(2000)에는 수압, 수온, 비데 노즐과 세정 노즐의 위치, 살균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 구비된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버튼에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2. PBA 케이스의 설명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PBA 케이스(300)를 상세히 설명한다.
PBA 케이스(300)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을 띈다.
이하에서, "x 좌표"는 x 축의 좌표를 의미하며, x 축은 PBA 케이스(300)의 장축 방향, 즉 PBA 케이스(300)의 길이가 긴 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y 좌표"는 y 축의 좌표를 의미하며, y 축은 PBA 케이스(300)의 단축 방향, 즉 PBA 케이스(300)의 길이가 짧은 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z 좌표"는 z 축의 좌표를 의미하며, z 축은 PBA 케이스(300)의 상하 방향, 즉 PBA 케이스(300)의 높이 방향을 의미한다.
먼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PBA 케이스(300)에는 PBA 기판(330)이 내장된다. PBA 기판(330)은 압력이나 정전기 등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 비데 장치(5000)의 세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PBA 케이스(300)는 비데 장치(5000)의 조작부(2000)에 내장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조작부(2000)의 버튼을 누르면 PBA 기판(330)은 압력을 감지하여 비데 장치(50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PBA 케이스(300)는 상부 케이스(310)와 하부 케이스(320)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310)와 하부 케이스(320)는 서로 결합되어 PBA 케이스(300)의 외형을 이룬다. 이를 위하여, 상부 케이스(310)의 내면(312)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320)의 내면(322)에는 결합 돌기가 결합되는 결합 홈이 형성된다. 하지만, 하부 케이스(320)의 내면(322)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부 케이스(310)의 내면(312)에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PBA 케이스(300)에 내장되는 PBA 기판(330)은 전기 부품이기 때문에 수분에 취약하다. 따라서, PBA 기판(330)은 몰딩액을 굳힌 몰딩부(340)에 의해 밀봉된다.
하지만, 몰딩액이 경화되는 과정 또는 저온의 환경에서 몰딩액과 PBA 케이스(300) 사출물의 수축율이 상이하여 PBA 케이스(300)의 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PBA 케이스(300)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PBA 케이스(300)에 홈이 형성됨으로써 몰딩액이 경화되거나 저온 환경에서 PBA 케이스(300)가 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후술한다.
PBA 케이스(300)는 상부 케이스(310)와 하부 케이스(320)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310)에는 상부 케이스(310)의 기결정된 제1 좌표들에 복수의 제1 홈(313, 314, 315, 316, 317, 318)이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320)에는 하부 케이스(320)의 기결정된 제2 좌표들에 복수의 제2 홈(323, 324, 325, 326, 327)이 형성된다.
PBA 케이스(300)는 3차원 형상을 가지므로, 제1 좌표들과 제2 좌표들은 각각 고유의 x, y, z 좌표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제1 좌표들과 제2 좌표들은 x 좌표와 z 좌표가 동일하되, y 좌표가 상이한 좌표들을 각각 포함한다. 즉, 복수의 제1 홈(313, 314, 315, 316, 317, 318)과 복수의 제2 홈(323, 324, 325, 326, 327)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A-A'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결정된 제1 좌표들과 기결정된 제2 좌표들이 서로 동일한 x 좌표를 가질 때, y 좌표와 z 좌표는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의 제1 홈(313, 314, 315, 316, 317, 318)과 복수의 제2 홈(323, 324, 325, 326, 327)이 PBA 케이스(300)의 y축 상에서 중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도 3 참조).
몰딩액이 경화되는 과정 또는 저온의 환경에서 몰딩액과 PBA 케이스(300) 사출물의 수축율이 상이하여 PBA 케이스(300)에 전방위적으로 3차원 힘이 가해진다.
이 때, PBA 케이스(300)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PBA 케이스(300)의 휨 현상이 어느 정도 방지될 수 있도록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PBA 케이스(300)는 단순히 홈만을 형성하는 것이 아닌 복수의 제1 홈(313, 314, 315, 316, 317, 318)과 복수의 제2 홈(323, 324, 325, 326, 327)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함으로써, 단순히 홈만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더욱 강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홈의 형상을 다양화하여 여러 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PBA 케이스(300)의 휨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홈(313, 314, 315, 316, 317, 318)과 복수의 제2 홈(323, 324, 325, 326, 327)은 "사각형" 형상, "ㄱ"자 형상, "ㄴ"자 형상 및 "직각인 5개의 내각과 270도인 하나의 내각을 가진 육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3 참조).
"사각형" 형상은 "정사각형"과 "직사각형"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가장 일반적인 홈의 형상이다.
"ㄱ"자 형상, "ㄴ"자 형상 및 "직각인 5개의 내각과 270도인 하나의 내각을 가진 육각형" 형상의 홈은 PBA 케이스(300)에 복합방향의 힘(예를 들어, x축+y축+z축 방향을 모두 갖는 힘)이 가해졌을 때, PBA 케이스(300)에 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제1 홈(313, 314, 315, 316, 317, 318)은 상부 케이스(310)의 외면(311)에 형성되고, 복수의 제2 홈(323, 324, 325, 326, 327)은 하부 케이스(320)의 내면(322)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PBA 케이스(300)의 외면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부 케이스(310)에는 복수의 제1 홈(313, 314, 315, 316, 317, 318)이 파여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320)에는 복수의 제2 홈(323, 324, 325, 326, 327)이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부 케이스(310)와 하부 케이스(320) 모두에 파여 있는 형태로 홈을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더욱 강성이 부여된다.
복수의 제1 홈(313, 314, 315, 316, 317, 318)이 형성된 면적과 복수의 제2 홈(323, 324, 325, 326, 327)이 형성된 면적의 합은 상부 케이스(310)의 외면(311) 또는 내면(312)의 면적 또는 하부 케이스(320)의 외면(321) 또는 내면(322)의 면적과 동일하다.
즉, 홈이 형성된 면적이 PBA 케이스(300)의 상면 또는 하면의 면적과 동일하므로 PBA 케이스(300)의 어느 부분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휨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강성이 부여되는 것이다.
복수의 제1 홈(313, 314, 315, 316, 317, 318)의 형성된 깊이와 복수의 제2 홈(323, 324, 325, 326, 327)이 형성된 깊이는 각각의 홈이 형성된 x 좌표에 따라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즉, 홈의 깊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PBA 케이스(300)에 x축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의 휨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복수의 제1 홈(313, 314, 315, 316, 317, 318)과 복수의 제2 홈(323, 324, 325, 326, 327)이 PBA 케이스(300)의 y축 상에서 중첩되지 않는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제1 홈(313, 314, 315, 316, 317, 318)이 형성되는 좌표인 제1 좌표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좌표들은 동일한 x 좌표 및 z 좌표를 가질 수도 있다(도 6 참조).
즉, PBA 케이스(300) x축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 복수의 제1 홈(316, 317)이 중첩될 수 있다는 의미이며, 중첩되는 부분은 상부 케이스(310)의 일단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홈이 중첩되는 부분의 강성이 더욱 효과적으로 부여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출원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좌변기
300: PBA 케이스
310: 상부 케이스
311: 외면
312: 내면
313, 314, 315, 316, 317, 318: 제1 홈
320: 하부 케이스
321: 외면
322: 내면
323, 324, 325, 326, 327: 제2 홈
1000: 비데 본체
2000: 조작부
3000: 시트
4000: 덮개
5000: 비데 장치

Claims (12)

  1. 기결정된 제1 좌표들에 복수의 제1 홈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310); 및
    기결정된 제2 좌표들에 복수의 제2 홈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320);를 포함하며,
    상기 기결정된 제1 좌표들과 상기 기결정된 제2 좌표들이 서로 동일한 x 좌표를 가질 때, y 좌표 및 z 좌표는 서로 상이하며,
    상기 x 좌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장축 방향으로의 좌표이고,
    상기 y 좌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단축 방향으로의 좌표이며,
    상기 z 좌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높이 방향으로의 좌표인,
    PBA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과 상기 복수의 제2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은 사각형 형상을 갖는,
    PBA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과 상기 복수의 제2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은 "ㄱ"자 형상 또는 "ㄴ"자 형상을 갖는,
    PBA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과 상기 복수의 제2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은 직각인 5개의 내각과 270도인 하나의 내각을 가진 육각형 형상을 갖는,
    PBA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은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외면(311)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홈은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내면(322)에 형성되는,
    PBA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310)에서 상기 복수의 제1 홈이 형성된 면적과 상기 하부 케이스(320)에서 상기 복수의 제2 홈이 형성된 면적의 합은, 상기 상부 케이스 외면(311) 또는 내면(312)의 면적 또는 상기 하부 케이스 외면(321) 또는 내면(322)의 면적과 동일한,
    PBA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홈이 형성된 깊이는 상기 복수의 제1 홈이 형성된 x 좌표에 따라 서로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홈이 형성된 깊이는 상기 복수의 제2 홈이 형성된 x 좌표에 따라 서로 상이한,
    PBA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좌표들은 x 좌표와 z 좌표가 동일하되 y 좌표가 상이한 두 개의 좌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좌표들은 x 좌표와 z 좌표가 동일하되 y 좌표가 상이한 두 개의 좌표들을 포함하는,
    PBA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BA 케이스에 내장되며, 비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PBA 기판(330); 및
    상기 PBA 케이스와 상기 PBA 기판(330)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는 몰딩부(340);를 더 포함하는,
    PBA 케이스.
  10. 기결정된 제1 좌표들에 복수의 제1 홈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310); 및
    기결정된 제2 좌표들에 복수의 제2 홈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320);를 포함하며,
    상기 기결정된 제1 좌표들과 상기 기결정된 제2 좌표들이 서로 동일한 x 좌표를 가질 때, y 좌표 및 z 좌표는 서로 상이하되,
    상기 기결정된 제1 좌표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좌표들은 동일한 x 좌표 및 z 좌표를 가지며,
    상기 x 좌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장축 방향으로의 좌표이고,
    상기 y 좌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단축 방향으로의 좌표이며,
    상기 z 좌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320)의 높이 방향으로의 좌표인,
    PBA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x 좌표 및 z 좌표를 갖는 두 개의 좌표들의 x 좌표는 상기 상부 케이스(310)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x 좌표인,
    PBA 케이스.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PBA 케이스가 적용된,
    비데 장치.
KR1020170124208A 2017-09-26 2017-09-26 교차 배열된 홈을 갖는 pba 케이스 KR102540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08A KR102540184B1 (ko) 2017-09-26 2017-09-26 교차 배열된 홈을 갖는 pba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08A KR102540184B1 (ko) 2017-09-26 2017-09-26 교차 배열된 홈을 갖는 pba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24A true KR20190035224A (ko) 2019-04-03
KR102540184B1 KR102540184B1 (ko) 2023-06-07

Family

ID=6616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208A KR102540184B1 (ko) 2017-09-26 2017-09-26 교차 배열된 홈을 갖는 pba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121A (ko) *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파이노 살균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328A (ko) 1996-12-30 1998-09-25 윤원석 상용차용 냉장 및 온장 박스의 온도 조절 장치
JP2000323858A (ja) * 1999-05-13 2000-11-24 Omron Corp ケーシング構造およびスイッチ
JP2008186188A (ja) * 2007-01-29 2008-08-14 Sony Corp タッチ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090059639A (ko) * 2007-12-07 2009-06-11 주식회사 대원비데 비데용 콘트롤러 구조
KR200446826Y1 (ko) 2009-05-25 2009-12-03 김도엽 보강용 비드가 구비된 도어 파손 방지장치
JP2012125963A (ja) * 2010-12-14 2012-07-05 Seiko Epson Corp 板状部材およびこれを備えた記録装置
JP2014194987A (ja) * 2013-03-28 2014-10-09 Keihin Corp 樹脂筐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328A (ko) 1996-12-30 1998-09-25 윤원석 상용차용 냉장 및 온장 박스의 온도 조절 장치
JP2000323858A (ja) * 1999-05-13 2000-11-24 Omron Corp ケーシング構造およびスイッチ
JP2008186188A (ja) * 2007-01-29 2008-08-14 Sony Corp タッチ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090059639A (ko) * 2007-12-07 2009-06-11 주식회사 대원비데 비데용 콘트롤러 구조
KR200446826Y1 (ko) 2009-05-25 2009-12-03 김도엽 보강용 비드가 구비된 도어 파손 방지장치
JP2012125963A (ja) * 2010-12-14 2012-07-05 Seiko Epson Corp 板状部材およびこれを備えた記録装置
JP2014194987A (ja) * 2013-03-28 2014-10-09 Keihin Corp 樹脂筐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1121A (ko) * 2020-05-15 2021-11-23 주식회사 파이노 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184B1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2292B1 (ko) 터치 패널
CN201945951U (zh) 软性保护盖及键盘
KR20190035224A (ko) 교차 배열된 홈을 갖는 pba 케이스
JP2006233743A (ja) 目地用止水材及びその製造方法
BR112016029309B1 (pt) Método para prover entrada em uma unidade eletrônica e brinquedo compreendendo uma unidade eletrônica
TW201917539A (zh) 觸控感應模組、三維曲面觸控面板與觸控顯示裝置
CN203834848U (zh) 阳角装饰组件
KR101177801B1 (ko) 터치패드 제조방법
JP5659857B2 (ja) リモコン
JP4346797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TWI611638B (zh) 防水連接器
CN201059071Y (zh) 混凝土墙体浇注模板定位的模限
KR20110114858A (ko) 다양한 타일 패턴의 구성이 가능한 타일패널 제조용 지그
CN209767996U (zh) 一种连接机构
JPWO2019146536A1 (ja) 水廻り部材
JP7063150B2 (ja) 乾式目地の取付構造および乾式目地
JP6944423B2 (ja) リモコン装置
CN207059248U (zh) 一种pos机外壳定位治具
CN207794360U (zh) 一种隔音消声墙体
KR101621527B1 (ko) 터치패널의 제조방법
JP2019035228A (ja) 洗い場の床面部材端面保護具
KR200289690Y1 (ko) 천장에 설치되는 석고택스 지지구
JP2017089137A (ja) 平盤部に可撓片を介して板材を接続したテーブル状部材とそれを用いた雨水等の流出抑制施設
JP2016074115A (ja) 電子機器の筐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59455A (ja) 成形体及び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