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801B1 - 터치패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패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801B1
KR101177801B1 KR1020100099661A KR20100099661A KR101177801B1 KR 101177801 B1 KR101177801 B1 KR 101177801B1 KR 1020100099661 A KR1020100099661 A KR 1020100099661A KR 20100099661 A KR20100099661 A KR 20100099661A KR 101177801 B1 KR101177801 B1 KR 101177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eco
coordinate
sensing patterns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8096A (ko
Inventor
박인식
금정훈
백운호
Original Assignee
한울정보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울정보기술(주) filed Critical 한울정보기술(주)
Priority to KR102010009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80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큰 폭의 윈도우 데코 및 적은 폭의 윈도우 데코를 복층 인쇄하는 방식으로 윈도우 데코를 형성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가 극단적인 단차 없이 부드러운 경사면을 이루면서 윈도우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윈도우 데코의 내측 영역에 상응하는 윈도우 패널의 배면에 윈도우 데코의 돌출 높이에 상응하는 버퍼 층을 추가 형성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가 자신의 돌출 단차를 해당 버퍼 층에 의해 보정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인쇄 완료된 윈도우 데코의 내측면을 비스듬하게 추가 패터닝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가 극단적인 단차 없이 부드러운 경사면을 이루면서 윈도우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 구현하고, 이를 통해, 윈도우 패널의 배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Y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윈도우 데코의 돌출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Y좌표용 센싱패턴들이 불필요한 단절 없이, 상호 자연스러운 물리적/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종 완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Y좌표용 센싱패턴들 측에서 윈도우 데코의 돌출 형성 국면에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일련의 센싱기능(예컨대,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드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a touch pad}
본 발명은 터치패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큰 폭의 윈도우 데코 및 적은 폭의 윈도우 데코를 복층 인쇄하는 방식으로 윈도우 데코를 형성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가 극단적인 단차 없이 부드러운 경사면을 이루면서 윈도우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윈도우 데코의 내측 영역에 상응하는 윈도우 패널의 배면에 윈도우 데코의 돌출 높이에 상응하는 버퍼 층을 추가 형성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가 자신의 돌출 단차를 해당 버퍼 층에 의해 보정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인쇄 완료된 윈도우 데코의 내측면을 비스듬하게 추가 패터닝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가 극단적인 단차 없이 부드러운 경사면을 이루면서 윈도우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 구현하고, 이를 통해, 윈도우 패널의 배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Y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윈도우 데코의 돌출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Y좌표용 센싱패턴들이 불필요한 단절 없이, 상호 자연스러운 물리적/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종 완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Y좌표용 센싱패턴들 측에서 윈도우 데코의 돌출 형성 국면에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일련의 센싱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터치패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및 통신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터치패드를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전자기기들에 구비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터치패드(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강화유리 재질을 가지는 윈도우 패널(1)(Window panel)과, 이 윈도우 패널(1)의 테두리를 감싸는 윈도우 데코(2)(Window deco)와, 이 윈도우 데코(2)를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1)의 배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3)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4)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X좌표용 센싱패턴(3)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4)들은 서로 반대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하게 된다(예를 들어, X좌표용 센싱패턴(3)들이 가로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할 경우, Y좌표용 센싱패턴(4)들은 세로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X좌표용 센싱패턴(3)들은 전기연결 패턴(도시 안됨)을 통해, 전자기기 측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윈도우 패널(1)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를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 X좌표용 센싱패턴(3)들의 배열방향과 반대방향을 이루면서 이들과 함께 배열되는 Y좌표용 센싱패턴(4)들은 전기연결 패턴을 통해, 전자기기 측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윈도우 패널(1)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앞의 X좌표용 센싱패턴(3)들과의 연계 하에,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를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패널(1)의 테두리에는 윈도우 데코(2)가 예컨대, 인쇄방식을 통해 추가로 돌출 형성되는 바, 이 경우, 윈도우 패널(1)의 배면과 윈도우 데코(2)의 돌출면 사이에는 일련의 단차(T)가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단차(T)의 발생 상황에서, 별다른 조치 없이, X좌표용 센싱패턴들(3)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4)이 일련의 금속증착공정을 통해 증착?형성될 경우,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에 놓인 X좌표용 센싱패턴들(3)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4)과 윈도우 데코(2)의 돌출면에 놓인 X좌표용 센싱패턴들(3)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4)은 상호 자연스러운 물리적/전기적 연결을 이루지 못한 체, 일련의 단절현상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X좌표용 센싱패턴들(3)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4) 측에서는 자신에게 주어진 일련의 센싱기능(예컨대,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X좌표용 센싱패턴들(3)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4)의 기능불량 상황 하에서, 최종 완성되는 터치패드(10)는 물론,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 측에서는 원활한 동작수행을 전혀 이룰 수 없게 되며, 결국, 생산자(예컨대, 터치패드 생산자, 전자기기 생산자 등) 측에서는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저하되는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큰 폭의 윈도우 데코 및 적은 폭의 윈도우 데코를 복층 인쇄하는 방식으로 윈도우 데코를 형성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가 극단적인 단차 없이 부드러운 경사면을 이루면서 윈도우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윈도우 데코의 내측 영역에 상응하는 윈도우 패널의 배면에 윈도우 데코의 돌출 높이에 상응하는 버퍼 층을 추가 형성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가 자신의 돌출 단차를 해당 버퍼 층에 의해 보정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인쇄 완료된 윈도우 데코의 내측면을 비스듬하게 추가 패터닝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가 극단적인 단차 없이 부드러운 경사면을 이루면서 윈도우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 구현하고, 이를 통해, 윈도우 패널의 배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Y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윈도우 데코의 돌출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Y좌표용 센싱패턴들이 불필요한 단절 없이, 상호 자연스러운 물리적/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종 완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Y좌표용 센싱패턴들 측에서 윈도우 데코의 돌출 형성 국면에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일련의 센싱기능(예컨대,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윈도우 패널의 배면 테두리에 윈도우 데코를 인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윈도우 데코의 내측을 비스듬하게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윈도우 데코를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의 배면에 X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을 증착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윈도우 패널의 배면 테두리에 윈도우 데코를 인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윈도우 데코의 내측에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윈도우 데코 및 경사 버퍼 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의 배면에 X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을 증착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는 <큰 폭의 윈도우 데코 및 적은 폭의 윈도우 데코를 복층 인쇄하는 방식으로 윈도우 데코를 형성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가 극단적인 단차 없이 부드러운 경사면을 이루면서 윈도우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윈도우 데코의 내측 영역에 상응하는 윈도우 패널의 배면에 윈도우 데코의 돌출 높이에 상응하는 버퍼 층을 추가 형성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가 자신의 돌출 단차를 버퍼 층에 의해 보정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인쇄 완료된 윈도우 데코의 내측면을 비스듬하게 추가 패터닝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가 극단적인 단차 없이 부드러운 경사면을 이루면서 윈도우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 구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하에서, 윈도우 패널의 배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Y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윈도우 데코의 돌출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Y좌표용 센싱패턴들은 불필요한 단절 없이, 상호 자연스러운 물리적/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Y좌표용 센싱패턴들 측에서는 윈도우 데코의 돌출 형성 국면에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일련의 센싱기능(예컨대,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터치패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을 뒤집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에 따른 터치패드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순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에 따른 터치패드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순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에 따른 터치패드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순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에 따른 터치패드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공정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에 따른 터치패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드 제조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드(20)는 예컨대, 강화유리 재질을 가지는 윈도우 패널(11)(Window panel)과, 이 윈도우 패널(11)의 테두리를 감싸는 윈도우 데코(12)(Window deco)와, 이 윈도우 데코(12)를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1)의 배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들(13)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14)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X좌표용 센싱패턴(13)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은 서로 반대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하게 된다(예를 들어, X좌표용 센싱패턴(13)들이 가로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할 경우, 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은 세로방향의 배열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X좌표용 센싱패턴(13)들은 전기연결 패턴(도시 안됨)을 통해, 전자기기 측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윈도우 패널(11)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를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 X좌표용 센싱패턴(13)들의 배열방향과 반대방향을 이루면서 이들과 함께 배열되는 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은 전기연결 패턴을 통해, 전자기기 측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윈도우 패널(11)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앞의 X좌표용 센싱패턴(13)들과의 연계 하에,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를 인쇄회로기판의 컨트롤 서킷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도, 만약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다면, 윈도우 패널(11)의 배면과 윈도우 데코(12)의 돌출면 사이에는 일련의 단차가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되며, 만약, 이러한 단차의 발생 상황에서, 별다른 조치 없이, X좌표용 센싱패턴들(3)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4)이 일련의 금속증착공정을 통해 증착?형성될 경우,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에 놓인 X좌표용 센싱패턴들(3)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4)과 윈도우 데코(2)의 돌출면에 놓인 X좌표용 센싱패턴들(3)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4)은 상호 자연스러운 물리적/전기적 연결을 이루지 못한 체, 일련의 단절현상을 불가피하게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서는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유리 재질의 윈도우 패널(11)을 준비한 다음, 해당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을 타겟으로 일련의 인쇄공정을 진행시켜, 윈도우 패널(11)의 배면 테두리에 제 1 윈도우 데코(12a)를 형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제 1 윈도우 데코(12a)는 후술하는 제 2 윈도우 데코(12b)의 형성을 고려하여, 그 높이를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12) 보다 낮게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윈도우 패널(11)의 배면 테두리에 제 1 윈도우 데코(12a)가 형성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윈도우 데코(12a)를 타겟으로 일련의 인쇄공정을 추가 진행시켜, 제 1 윈도우 데코(12a)의 표면에 제 1 윈도우 데코(12a)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제 2 윈도우 데코(12b)를 추가로 인쇄 형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처럼, 제 2 윈도우 데코(12b)가 제 1 윈도우 데코(12a) 보다 좁은 폭을 가지면서 해당 제 1 윈도우 데코(12a)의 표면에 적층 형성되는 경우,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12)는 그 단차가 종래에 비해 크게 완만해지는 일련의 계단형 구조를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제 1 윈도우 데코(12a) 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제 2 윈도우 데코(12b)가 제 1 윈도우 데코(12a) 상에 추가 형성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윈도우 데코(12a,12b)를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을 타겟으로 일련의 금속(예컨대, Ag) 증착공정, 금속 패터닝 공정 등을 추가 진행시켜, 제 1 윈도우 데코(12a) 및 제 2 윈도우 데코(12b)를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에 X좌표용 센싱패턴(13)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을 추가 형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큰 폭의 윈도우 데코(12a) 및 적은 폭의 윈도우 데코(12b)를 복층으로 인쇄하는 방식으로 윈도우 데코(12)를 형성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12)가 극단적인 단차 없이 부드러운 경사면을 이루면서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를 탄력적으로 응용 구현하였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하에서,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 및 윈도우 데코(12)의 돌출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은 불필요한 단절 없이, 상호 자연스러운 물리적/전기적 연결을 유연하게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 측에서는 윈도우 데코(12)의 돌출 형성 국면에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일련의 센싱기능(예컨대,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의 기능향상 국면에서, 최종 완성되는 터치패드(20)는 물론,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 측에서는 원활한 동작수행을 정상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생산자(예컨대, 터치패드 생산자, 전자기기 생산자 등) 측에서는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 생산자 측에서는 강화유리 재질의 윈도우 패널(11)을 준비한 다음, 해당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을 타겟으로 일련의 인쇄공정을 진행시켜, 윈도우 패널(11)의 배면 테두리에 윈도우 데코(12)를 형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윈도우 패널(11)의 배면 테두리에 윈도우 데코(12)가 형성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데코(12)의 내측에 상응하는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을 타겟으로, 예컨대, <자외선 경화액을 도포하고, 이 자외선 경화액을 자외선을 통해 경화시키는 공정>, <금속산화막 증착공정>, <유기절연막 증착공정> 등을 선택적으로 진행시켜, 예컨대, 아크릴 계열의 자외선경화층(Ultra-Violet hardened layer), 실리콘 계열의 자외선경화층, 금속 산화물층(예컨대, SiO2층 TiO2층 등), 유기절연막층(예컨대, <폴리비닐알콜증(Poly Vinyl Alcohol layer)>, <폴리비닐페놀층(Poly Vinyl Phenol layer)>, <폴리이미드층(PolyImide layer)> 등) 등의 재질을 가지는 버퍼 층(30)을 윈도우 데코(12)의 내측에 상응하는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에 추가 형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버퍼 층(30)은 바람직하게, 윈도우 데코(12)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물론, 이처럼, 윈도우 데코(12)의 내측에 상응하는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에 윈도우 데코(12)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버퍼 층(30)이 추가 형성되는 경우, 윈도우 데코(12)는 자신의 단차가 버퍼 층(30)에 의해 메워지는 구조를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윈도우 데코(12)의 내측에 상응하는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에 윈도우 데코(12)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버퍼 층(30)이 추가 형성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데코(12), 버퍼 층(30)을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을 타겟으로 일련의 금속(예컨대, Ag) 증착공정, 금속 패터닝 공정 등을 추가 진행시켜, 윈도우 데코(12), 버퍼 층(30)을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에 X좌표용 센싱패턴(13)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을 형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윈도우 데코(12)의 내측 영역에 상응하는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에 윈도우 데코(12)의 돌출 높이에 상응하는 버퍼 층(30)을 추가 형성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12)가 자신의 돌출 단차를 버퍼 층(30)에 의해 보정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를 탄력적으로 응용 구현하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 및 윈도우 데코(12)의 돌출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은 불필요한 단절 없이, 상호 자연스러운 물리적/전기적 연결을 유연하게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 측에서는 윈도우 데코(12)의 돌출 형성 국면에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일련의 센싱기능(예컨대,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의 기능향상 국면에서도, 최종 완성되는 터치패드(20)는 물론,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 측에서는 원활한 동작수행을 정상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생산자(예컨대, 터치패드 생산자, 전자기기 생산자 등) 측에서는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하에서, 생산자 측에서는 강화유리 재질의 윈도우 패널(11)을 준비한 다음, 해당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을 타겟으로 일련의 인쇄공정을 진행시켜, 윈도우 패널(11)의 배면 테두리에 윈도우 데코(12)를 형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윈도우 패널(11)의 배면 테두리에 윈도우 데코(12)가 형성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윈도우 데코(12)를 타겟으로 일련의 패터닝 공정을 진행시켜, 윈도우 데코(12)의 내측에 비스듬한 경사면(12c)이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처럼, 윈도우 데코(12)의 내측에 비스듬한 경사면(12c)이 형성되는 경우,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12)는 그 단차가 종래에 비해 크게 완만해지는 일련의 경사형 구조를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윈도우 데코(12)의 내측에 비스듬한 경사면(12c)이 추가 형성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데코(12), 경사면(12c) 등을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을 타겟으로 일련의 금속(예컨대, Ag) 증착공정, 금속 패터닝 공정 등을 추가 진행시켜, 윈도우 데코(12), 경사면(12c) 등을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에 X좌표용 센싱패턴(13)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을 형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쇄 완료된 윈도우 데코(12)의 내측면을 비스듬하게 추가 패터닝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가 극단적인 단차 없이 부드러운 경사면을 이루면서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를 탄력적으로 응용 구현하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하에서,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 및 윈도우 데코(12)의 돌출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은 불필요한 단절 없이, 상호 자연스러운 물리적/전기적 연결을 유연하게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 측에서는 윈도우 데코(12)의 돌출 형성 국면에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일련의 센싱기능(예컨대,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의 기능향상 국면에서도, 최종 완성되는 터치패드(20)는 물론,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 측에서는 원활한 동작수행을 정상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생산자(예컨대, 터치패드 생산자, 전자기기 생산자 등) 측에서는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하에서, 생산자 측에서는 강화유리 재질의 윈도우 패널(11)을 준비한 다음, 해당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을 타겟으로 일련의 인쇄공정을 진행시켜, 윈도우 패널(11)의 배면 테두리에 윈도우 데코(12)를 형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윈도우 패널(11)의 배면 테두리에 윈도우 데코(12)가 형성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데코(12)의 내측을 타겟으로 <자외선 경화액을 도포하고, 이 자외선 경화액을 자외선을 통해 경화시킨 후, 경화된 자외선 경화층을 패터닝 하는 공정>, <금속산화막을 증착한 후, 증착된 금속산화막을 패터닝 하는 공정>, <유기절연막을 증착한 후, 증착된 유기절연막을 패터닝 하는 공정> 등을 선택적으로 진행시켜, 윈도우 데코(12)의 내측에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는 일련의 경사 버퍼패턴(31)을 추가 형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경사 버퍼패턴(31)은 아크릴 계열의 자외선경화층 패턴, 실리콘 계열의 자외선경화층 패턴, 금속 산화물 패턴(예컨대, SiO2 패턴 TiO2 패턴 등), 유기절연막 패턴(예컨대, <폴리비닐알콜패턴(Poly Vinyl Alcohol pattern)>, <폴리비닐페놀패턴(Poly Vinyl Phenol pattern)>, <폴리이미드패턴(PolyImide pattern)> 등) 등의 재질을 가지게 된다.
물론, 이처럼, 윈도우 데코(12)의 내측에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 버퍼패턴(31)이 추가 형성되는 경우,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12)는 그 단차가 종래에 비해 크게 완만해지는 일련의 경사형 구조를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윈도우 데코(12)의 내측에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 버퍼패턴(31)이 추가 형성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데코(12), 경사 버퍼패턴(31) 등을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을 타겟으로 일련의 금속(예컨대, Ag) 증착공정, 금속 패터닝 공정 등을 추가 진행시켜, 윈도우 데코(12), 경사 버퍼패턴 등을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에 X좌표용 센싱패턴(13)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을 형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쇄 완료된 윈도우 데코(12)의 내측면에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 버퍼패턴(31)을 추가 형성하여, 최종 완성되는 윈도우 데코(12)가 극단적인 단차 없이 부드러운 경사면을 이루면서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를 탄력적으로 응용 구현하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하에서, 윈도우 패널(11)의 배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 및 윈도우 데코(12)의 돌출면에 형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은 불필요한 단절 없이, 상호 자연스러운 물리적/전기적 연결을 유연하게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 측에서는 윈도우 데코(12)의 돌출 형성 국면에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일련의 센싱기능(예컨대,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의 기능향상 국면에서도, 최종 완성되는 터치패드(20)는 물론,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 측에서는 원활한 동작수행을 정상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생산자(예컨대, 터치패드 생산자, 전자기기 생산자 등) 측에서는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층(30)의 높이를 윈도우 데코(12)의 돌출 높이보다 다소 낮추는 변화된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윈도우 데코(12)는 자신의 단차가 버퍼 층(30)에 의해 메워지는 구조를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되며, 결국, 최종 완성되는 X좌표용 센싱패턴(13)들/Y좌표용 센싱패턴(14)들 측에서는 윈도우 데코(12)의 돌출 형성 국면에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일련의 센싱기능(예컨대, 위치감지용 X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위치감지용 Y축 좌표신호 센싱?생성기능 등)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터치패드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전기 장치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11: 윈도우 패널 2,12: 윈도우 데코 10,20: 터치패드
12a: 제 1 윈도우 데코 12b: 제 2 윈도우 데코 12c: 윈도우 데코 경사면
3,13: X좌표용 센싱패턴 4,14: Y좌표용 센싱패턴 30: 버퍼 층
31: 경사 버퍼패턴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윈도우 패널의 배면 테두리에 윈도우 데코를 인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윈도우 데코의 내측을 비스듬하게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윈도우 데코를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의 배면에 X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을 증착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제조방법.
  6. 윈도우 패널의 배면 테두리에 윈도우 데코를 인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윈도우 데코의 내측에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 버퍼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윈도우 데코 및 경사 버퍼패턴을 포함하는 윈도우 패널의 배면에 X좌표용 센싱패턴들 및 Y좌표용 센싱패턴들을 증착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제조방법.
KR1020100099661A 2010-10-13 2010-10-13 터치패드 제조방법 KR101177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661A KR101177801B1 (ko) 2010-10-13 2010-10-13 터치패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661A KR101177801B1 (ko) 2010-10-13 2010-10-13 터치패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096A KR20120038096A (ko) 2012-04-23
KR101177801B1 true KR101177801B1 (ko) 2012-08-30

Family

ID=4613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661A KR101177801B1 (ko) 2010-10-13 2010-10-13 터치패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589B1 (ko) * 2012-03-23 2014-07-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데코 인쇄 필름 및 터치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911B1 (ko) 2013-11-13 2020-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2166252B1 (ko) * 2013-12-20 2020-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763B1 (ko) * 2009-03-30 2010-02-18 (주) 월드비젼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 센서 및 제조 방법
KR100945381B1 (ko) * 2009-07-01 2010-03-08 강용호 모바일기기 표시창용 아이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기기 표시창 및 모바일기기
KR100949684B1 (ko) * 2009-05-25 2010-03-26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휴대기기용 윈도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763B1 (ko) * 2009-03-30 2010-02-18 (주) 월드비젼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 센서 및 제조 방법
KR100949684B1 (ko) * 2009-05-25 2010-03-26 주식회사 에스에스뉴테크 휴대기기용 윈도우 제조방법
KR100945381B1 (ko) * 2009-07-01 2010-03-08 강용호 모바일기기 표시창용 아이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기기 표시창 및 모바일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589B1 (ko) * 2012-03-23 2014-07-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데코 인쇄 필름 및 터치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096A (ko) 2012-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4925U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ッドのタッチ模様構造
RU2515710C2 (ru) Возбуждаемая касанием сенсорная конфигурация, объединенная с органической светодиодной структурой
CN203982334U (zh) 具有指纹识别功能的触控面板
US20120146921A1 (en) Touch screen panel
US9582108B2 (en) Touch input device and touch detecting method
CN103135876B (zh) 触控装置、电子装置和电子装置的触控控制方法
KR101274945B1 (ko) 투영 정전용량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780406A (zh) 控制装置
KR101177801B1 (ko) 터치패드 제조방법
US20120273262A1 (en) Transparent conductive structure applied to a touch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50253901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ingle-sided multi-layer circuit pattern for touch panel
KR102132208B1 (ko)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터치 패널 및 전자 장치
KR101191949B1 (ko) 정전용량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터치 패널
WO2014015618A1 (zh)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触控设备
US9678607B2 (en) Tou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6445212A (zh) 触控装置及其形成方法
CN105302345B (zh) 触控模块及其制造方法
KR20130111785A (ko) 터치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156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US20120273257A1 (en) Transparent conductive structure applied to a touch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4978067A (zh) 一种触控面板
CN203224860U (zh) 触控装置和电子装置
KR102050448B1 (ko) 터치감지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20273256A1 (en) Transparent conductive structure applied to a touch pan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130139038A (ko)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