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882A -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882A
KR20190034882A KR1020170123452A KR20170123452A KR20190034882A KR 20190034882 A KR20190034882 A KR 20190034882A KR 1020170123452 A KR1020170123452 A KR 1020170123452A KR 20170123452 A KR20170123452 A KR 20170123452A KR 20190034882 A KR20190034882 A KR 20190034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old
cover member
lay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to KR102017012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4882A/ko
Publication of KR2019003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29C45/345Moulds having venting means using a porous mould wall or a part thereof, e.g. made of sintere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5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vacuum or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 제어용 전파 탐지기의 보호를 위한 커버 부재의 배면에 수지(Resin) 재질의 커버 베이스를 일체로 성형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을 개시한다. 상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은: 상기 커버 베이스의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 내에 상기 커버 부재가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1금형; 및 상기 제1금형과의 합체에 의해 상기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금형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 부재를 흡착해서 고정하는 커버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의 분리에 의해 상기 커버 장착부가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베이스의 성형 전에 미리 제조되는 커버 부재를 공압(공기압)방식으로 흡착해서 기설정된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커버 부재와 커버 베이스의 일체화 및 규격/형상 관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Mold For Manufacturing Shielding Cover Protecting Radio Detector For Car Cruise Contro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제어에 사용되는 전파 탐지기를 보호하기 위한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를 제조하는 금형과 이를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행 컨트롤 장치 예를 들면 적응식 또는 지능형 주행제어 시스템의 보호를 위한 방호 커버 제조용 인서트 사출 금형과 이를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자동차에는 적응식 주행제어(Adaptive Cruise Control, Smart Cruise Control) 시스템(적응식 주행 시스템) 등과 같은 자동차 자동주행 제어를 위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상기 적응식 주행제어는 '감응식 주행제어' 또는 '지능형 주행제어'라고도 불리고 있다.
상기 적응식 주행 시스템은 자동차의 주행속도와 차간거리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기설정된 주행속도 예를 들면 주행속도 범위 약 30km/h~200km/h 범위에서 작동하며, 주행 중 운전자의 운전부담을 크게 경감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적응식 주행 시스템은, 차량 전방 예를 들면 엔진룸의 전방에 장착된 탐지기(1)를 사용하여 선행차량 등 전방 물체를 감지하고 차량의 엔진/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응식 주행 시스템은, 안전하게 차량의 속도를 제어해서 속도를 줄이거나 선행차량을 피해 차선을 변경하고, 일정 거리 내에 선행차량이 없는 상태가 되면 최초 설정된 속도로 다시 가속 후 정속주행을 가능케 하는 시스템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적응식 주행 시스템 즉 스마트 크루즈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탐지기(1), 예를 들면 레이더를 사용해서 자동차의 주행 시에 선행차량과의 거리 및 상대속도를 감지/측정하고, 다른 차량과의 간격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주행장치이다.
상술한 적응식 주행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하여, 주행 시스템의 탐지기 즉 레이더(Radar)의 전방에는 방호 커버(2)가 배치되며, 상기 방호 커버(2)는 상기 탐지기(1)에서 출력되는 탐지 전파의 송수신을 방해하지 않는 동시에 주행시 외부 환경(파편이나 기후 환경 등)으로부터 상기 탐지기(1)를 보호한다. 즉 상기 방호 커버(2)는 탐지 전파의 투과와 반사파의 투과가 가능한 광학 커버이다.
상기 탐지기(1)는 차량 전방의 중앙부 예를 들면 엔진 그릴(3; 라디에이터 그릴)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3)에는 자동차 제조사 고유의 엠블럼이나 로고가 배치되고, 또 심미감과 고급 질감을 위해 금속 도금이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금속 도금 등의 두께 편차로 인하여 균일한 전파 송수신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기 탐지기(1)의 전파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3)의 중앙부 특히 상기 탐지기(1)의 직전방에는 상술한 방호 커버(2)가 구비된다. 상기 방호 커버(1)는, 라디에이터 그릴(3)과의 디자인 조화(디자인 연속성 또는 디자인 일체감) 및 전파 투과성 확보를 위해, 인듐 또는 주석 증착 또는 필름을 적용하여 금속 질감 즉 메탈톤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듐이나 주석은 가격이 고가이므로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으며, 소재 자체의 낮은 융점으로 인한 제한이 따르며, 종래의 방호 커버(2)는 내구성과 내후성 및 전파 송수신 성능에 한계가 있고, 복층의 적층 구조를 갖는 방호 커버가 층간 경계면을 기준으로 분리되거나 벌어짐으로써 전파 송수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240358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5411호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제어용 전파 탐지기의 전방에서 상기 전파 탐지기를 보호하는 커버 즉 방호 커버 제조를 위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제조되는 커버 부재의 후방에 커버 베이스를 일체로 성형하는 금형(사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 부재와 커버 베이스의 경계면(접촉 계면)이 긴밀하게 접합될 수 있고 양 부재간의 일체성 즉 층간 접합력이 강화할 수 있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자동차 주행 제어용 전파 탐지기의 보호를 위한 커버 부재의 배면에 수지(Resin) 재질의 커버 베이스를 일체로 성형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으로서: 상기 커버 베이스의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 내에 상기 커버 부재가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1금형; 및 상기 제1금형과의 합체에 의해 상기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금형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 부재를 흡착해서 고정하는 커버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의 분리에 의해 상기 커버 장착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을 제공한다.
상기 커버 장착부는, 공기 흡입력으로 상기 커버 부재를 흡착하며; 상기 제2금형은, 상기 커버 장착부를 차폐해서 상기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금형과 합체 가능하고,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이 합체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제1금형 측으로 가압해서 상기 커버 장착부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장착부의 흡착력은 제1금형과 제2금형의 합체 후에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장착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전면을 흡착하기 위한 커버 흡착홀을 가지며; 상기 제2금형은, 상기 커버 부재의 가장자리를 눌러서 상기 커버 부재의 전면을 상기 커버 장착부의 표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공기 흡착구에 의한 흡착력이 정지 즉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캐비티 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금형은, 상기 커버 부재의 흡착을 위한 공기 흡입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 장착부를 형성하는 제1코어와, 상기 제1코어를 수용하는 코어홈을 가지며 상기 제1코어를 지지하는 제1금형 블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금형에는, 상기 커버 베이스의 성형을 위한 용융 재료를 상기 캐비티에 공급하는 수지 주입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2금형은; 상기 커버 베이스의 표면 성형을 위해 상기 캐비티의 표면 일부를 형성하며 가스 배출이 가능한 통기성의 제2코어와, 상기 제2코어를 수용하는 제2금형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어는 포세락스 재질의 인서트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코어는, 상기 커버 베이스의 성형 중에 상기 캐비티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상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의 외부를 강제 배출하는 강제 배기 채널에 연결된다.
상기 제2금형은, 상기 인서트 코어를 관통해서 상기 커버 베이스의 성형을 위한 용융 재료를 상기 캐비티에 공급하는 수지 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금형은, 상기 커버 부재의 흡착을 위한 공기 흡입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 장착부를 형성하는 제1코어와, 상기 제1코어를 수용하는 코어홈을 가지며 상기 제1코어를 지지하는 제1금형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장착부는, 상기 공기 흡입통로의 입구를 이루며 상기 커버 부재의 전면을 흡착하는 커버 흡착홀을 갖는다.
상기 제1금형은 가동측 금형이고, 상기 제2금형은 고정측 금형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은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2금형은 상기 제1금형과의 합체와 분리를 위해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상술한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을 이용한 자동차 전파 탐지기용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으로서: 탐지 전파의 투과가 가능하며 배면에 접착층을 갖는 상기 커버 부재를 인서트 사출을 위한 상기 제1금형의 커버 장착부에 로딩하는 단계; 상기 커버 장착부에 로딩되는 상기 커버 부재를 공압으로 흡착해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을 합체해서 상기 커버 장착부를 차폐하고 상기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의 합체에 의한 커버 부재의 고정과 동시 또는 그 후에 상기 커버 부재에 대한 흡착력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상기 커버 베이스의 성형을 위한 용융 재료를 주입해서 상기 커버 부재의 후방에 상기 커버 베이스를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베이스가 일체화된 인서트 사출물을 상기 금형에서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용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전파 탐지기용 방호 커버 제조를 위한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베이스의 성형 공정에서 커버 부재와 커버 베이스의 일체화가 동시에 진행되므로, 전파 투과형 광학 커버 즉 자동차 전파 탐지기용 방호 커버의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커버 부재(전방 부재)와 커버 베이스(후방 부재)간의 일체성과 결합력이 강화되고, 커버 부재와 커버 베이스의 경계면에 갭(Gap)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인한 전파 송수신성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베이스의 성형 전에 미리 제조되는 커버 부재를 공압(공기압)방식으로 흡착(진공 흡착)해서 기설정된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커버 부재와 커버 베이스의 일체화 및 규격/형상 관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 베이스의 성형 중에 발생되는 가스가 통기성 코어, 보다 구체적으로 포세락스 재질의 코어를 통해 금형 외부로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방호 커버의 성형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호 커버와 그 주변(라디에이터 그릴)의 디자인 일체감(디자인 조화)이 확보될 수 있고,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방호 커버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패턴 즉 방호 커버의 전방에서 시인되는 광학막 패턴이 메탈 질감이나 다양한 색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전방 커버 및 이를 갖는 방호 커버 즉 전파 투과형 광학 커버는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제조가 용이하고 제품 수명이 크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은 종래의 전파 투과형 광학 커버(방호 커버)가 라디에이터 그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적응식 주행 시스템을 갖는 자동차의 주행상태를 나타낸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용 방호 커버가 전파 탐지기의 전방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용 방호 커버의 일 예를 나타낸 정면 사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호 커버의 종단면도와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의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금형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금형의 제1금형(가동측 금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금형에 커버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금형의 제2금형(고정측 금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2금형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금형의 캐비티에 커버 부재가 인서트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A와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실시 예에 의한 방호 커버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
도 15는 본 발명을 위한 커버 부재(전방 커버)와 이를 위한 커버 패널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6a와 도 16b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 가능한 방호 커버의 다른 예와 이를 위한 전방 커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7a와 도 17b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 가능한 방호 커버의 또 다른 예와 이를 위한 전방 커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 가능한 방호 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조 가능한 자동차 전파 탐지기용 방호 커버의 예가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상기 방호 커버의 설명을 위한 도면들 중,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용 방호 커버가 전파 탐지기의 전방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용 방호 커버의 일 예를 나타낸 정면 사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호 커버의 종단면도와 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전파 탐지기 보호를 위한 커버 즉 방호 커버는 전파 투과형 커버 즉 탐지 전파의 투과가 가능한 광학 커버(Optical Cover)로서, 상기 방호 커버(100)는, 자동차 주행 제어를 위한 전파 탐지기(10)의 전방,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 그릴에 구비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전파 탐지기(10)를 보호하는 커버,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물체가 상기 전파 탐지기에 충격을 주거나 충돌하는 것을 막으며 탐지 전파의 송수신을 위해 탐지 전파를 투과시키는 커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이하, '방호 커버용 금형'이라 )에 의해 제조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용 방호 커버(100; 이하 '방호 커버'라 칭함)는, 상기 전파 탐지기(10)에서 출력되는 전파(탐지 전파)의 투과 즉 전파 송수신이 가능한 전방 커버(110)와, 상기 전방 커버(110)의 후방에 일체로 고정되는 커버 베이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방호 커버(100)는 SCC 커버(Smart cruise control Cover) 또는 ACC(Adaptive Cruise Control) 커버라 불리기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방호 커버의 제조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방호 커버의 일 제조 예가 라디에이터 그릴의 중앙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 적용된 방호 커버를 나타낸 정면 사진으로서, 라디에이터 그릴의 디자인으로 제조된 예, 다시 말해서, 라디에이터 그릴과 디자인 일체감(디자인 조화)를 갖는 방호 커버 즉 라디에이터 그릴의 금속 도금과 방호 커버의 패턴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디자인(디자인 연속성)을 갖는 제조 예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 커버(110)는 상기 방호 커버(100)의 전면 디자인을 형성하는 커버 부재, 예를 들면 복층 구조의 구성으로서, 상기 전파 탐지기(10)에서 출사되는 탐지 전파 예를 들면 레이더 전파를 전방으로 투과시키고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입사파(반사파)를 후방으로 투과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방 커버를 커버 부재라고 칭한다.
상기 커버 베이스(120)는 상기 커버 부재(110)의 배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수지(Resin) 재질의 구성으로서, 상기 커버 부재(110)를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베이스(120)는 상기 커버 부재(110)의 배면에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커버 부재(110)를 보강하고, 상기 방호 커버(100)를 상기 차량의 소정부위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 그릴의 중앙부에 고정하는 구성 즉 커버 브라켓(Bracket) 또는 커버 홀더(Holder)이다.
상기 커버 베이스(120)는,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호 커버용 금형(200)에 의해,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상기 커버 부재(110)의 배면에 일체화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호 커버용 금형(200)은, 자동차 주행 제어용 전파 탐지기의 보호를 위한 상기 커버 부재(110)의 배면에 수지(Resin) 재질의 커버 베이스(120)를 일체로 성형하는 금형 즉 인서트 사출 금형이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방호 커버용 금형(200)은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은 합체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의 합체에 의해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성형공간을 이루는 캐비티(Cavity)가 형성된다.
상기 제1금형(210)은,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Cavity) 내에 상기 커버 부재(110)가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 부재(110)를 고정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 부재(110)는 상기 제1금형(210)의 일측에 부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금형(21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 부재(110)를 흡착해서 고정하는 커버 장착부(210a)가 구비되고,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의 분리에 의해 상기 커버 장착부(210a)가 개방되고,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의 합체에 의해 상기 커버 장착부(210a)가 차폐 즉 닫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금형(2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금형(210)과의 합체에 의해 상술한 캐비티(C)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 장착부(210a)는 상기 캐비티(C)의 내측면 중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 장착부(210a)에 상기 커버 부재(110)가 부착된 후에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이 합체되면,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의 합체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C)의 내부에 상기 커버 부재(110)가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 장착부(210a)는, 공압(공기압)을 이용해서 상기 커버 부재(110)를 흡착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버 장착부(210a)는 공기 흡입력으로 상기 커버 부재(110)를 흡착한다.
상기 커버 장착부(210a)는 소위 진공압(음압 또는 부압)으로 상기 커버 부재(110)를 진공 흡착하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110)가 상기 커버 장착부(210a)에 부착/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금형(220)은, 상기 커버 장착부(210a)를 차폐해서 상기 캐비티(C)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금형(210)과 합체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이 합체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110)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제1금형(210) 측으로 가압해서 상기 커버 장착부(210a)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장착부(210a)의 흡착력 즉 공기 흡입력은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의 합체 후에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장착부(210a)는 상기 커버 부재(110)의 전면을 흡착하기 위한 커버 흡착홀(214a)을 가지며, 상기 제1금형(210)에는 상기 커버 부재(110)의 흡착을 위한 공기 흡입통로(214)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흡착홀(214a)은 상기 공기 흡입통로(214)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 흡입통로(214)의 입구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제1금형(210)은, 상기 커버 장착부(210a)를 형성하는 제1코어(211)와, 상기 제1코어(211)를 수용하는 코어홈을 가지며 상기 제1코어(211)를 지지하는 제1금형 블록(2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금형 블록(212)은 금형 플레이트(213; 제1금형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코어(211)에는 상술한 공기 흡입통로(214)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 장착부(210a)는 상기 커버 부재(110)의 전면에 형합되는 표면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커버 장착부(210a)는 상기 커버 부재(110)가 삽입되는 커버 장착홈을 가지며, 상기 커버 부재(110)는 상기 커버 장착부(210a)의 표면에 진공 흡착에 의해 밀착되고, 상기 공기 흡입통로(214)는 상기 제1코어(211)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통로(214)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즉 진공 발생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상기 진공 발생기는 상기 제1금형(2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진공 발생기) 그 자체는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제2금형(220)은,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표면 성형을 위해 상기 캐비티(C)의 표면 일부를 형성하며 가스 배출이 가능한 통기성의 제2코어(221)와, 상기 제2코어(221)를 수용하는 제2금형 블록(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금형 블록(222)는 금형 플레이트(223; 제2금형 플레이트)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지지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금형(22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부재(110)의 가장자리(Edge)를 눌러서 상기 커버 부재(110)의 전면을 상기 커버 장착부(210a)의 표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커버 흡착홀(214a)에 의한 커버 흡착력이 정지 즉 해제된 상태에서도 상기 커버 부재(110)를 상기 캐비티(C) 내에 고정해서 상기 커버 부재(110)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커버 장착부(210a)가 상기 커버 부재(110)의 전면을 누르고, 상기 제2금형(220) 특히 상기 제2코어(221)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110)의 테두리를 상기 커버 장착부(210a)를 향해 누름으로써, 상기 커버 부재(110)의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이 합체된 후에는 상술한 진공 발생기가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성형 후에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이 분리되면, 상기 커버 부재(110)와 커버 베이스(120)가 일체화된 제품, 즉 인서트 사출물이 상기 제2금형(220)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코어(221)는 통기 가능한 포세락스(Porcerax) 재질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 코어(221, 221b, 221c, 221d)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코어(221, 221b, 221c, 221d)는,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성형 중에 상기 캐비티(C)에 생성되는 가스를 본 실시 예에 따른 금형(200)의 외부를 강제 배출하는 강제 배기 채널(224) 즉 배기 통로에 연결된다. 상기 인서트 코어는 상기 제2코어에 일체형으로 하나가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분산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강제 배기 채널(224)은 가스 배출을 위해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배기 장치 예를 들면 진공 발생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가스 배출용 진공 발생기는 상기 제2금형(220)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금형(220)에는,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성형을 위한 용융 재료를 상기 캐비티(C)에 공급하는 수지 주입부(225)가 구비된다. 상기 수지 주입부(225)는 상기 인서트 코어(225)를 관통해서 상기 캐비티(C)에 용융 상태의 수지를 충진할 수도 있으며, 상기 수지 주입부(225)의 출구가 게이트(Gate)가 된다.
상기 캐비티(C)의 가장자리,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부재(110)의 가장자리에 수지 충진을 위한 사이드 게이트(225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게이트(225a)에 공급되는 용융 재료(용융 수지)는 상기 캐비티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수지 유로(225b)를 통해 상기 커버 부재(110)의 가장자리 영역에 충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금형(210)은 가동측 금형이고, 상기 제2금형(220)은 고정측 금형이 되며,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은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2금형(220)은 상기 제1금형(210)과의 합체/분리를 위해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방호 커버용 금형(200)을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과정이 설명된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방호 커버용 금형은 상술한 실시 예에서 설명된 금형의 구조와 일부 차이가 있으나, 상술한 실시 예에서 설명된 구조가 적용된 예이다.
상기 방호 커버(100)의 제조방법 즉 인서트 사출에 의한 방호 커버 제조과정은, 커버 부재(110)의 인서트 단계(S210)와, 커버 베이스(120)의 성형 단계(S220)와 인서트 사출물(커버 부재와 커버 베이스가 일체화된 제품)의 취출 단계(S2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서트 단계(S210)는, 상기 금형(200)이 열린 상태(도 14A의 (a) 참조) 즉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이 분리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을 위해 상기 커버 부재(110)를 상기 제1금형의 커버 장착부(210a)에 로딩(도 14A의 (b) 참조)하는 단계(S211)와, 상기 커버 부재(110)를 공기 흡입력에 의한 진공압으로 흡착(부착)해서 상기 커버 장착부(210a)에 고정하는 단계(S212)와,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을 합체(도 14B의 (a) 참조; 금형 닫힘)해서 상기 커버 장착부(210a)를 차폐하고 상기 제2금형(220)이 상기 커버 부재(110)를 누르는 힘으로 커버 부재(110)를 고정하는 단계(S21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금형(210)이 가동측 금형이고 상기 제2금형(220)은 제자리에 고정된 고정측 금형이므로, 상기 금형(200)이 닫히도록 상기 제1금형(210)이 움직여서 상기 제2금형(220)에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인서트 사출에서는 배면에 접착층(후술되는 커버 접착층)을 갖는 커버 부재(110)를 사용해서 인서트 사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성형 단계(S220)는, 상기 제1금형(210)과 제2금형(220)의 합체(금형 닫힘)에 의한 커버 부재의 고정과 동시 또는 그 후에 상기 커버 부재(110)에 대한 흡착력(진공 흡착)을 해제하는 단계(S221)와, 상기 금형의 캐비티(C)에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성형을 위한 용융 재료(성형 재료)를 주입해서 상기 커버 부재(110)의 후방에 상기 커버 베이스(120)를 일체로 성형(도 14B의 (b) 참조)하는 단계(S22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성형 단계(S220)는,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성형 중에 발생하는 가스를 통기성의 코어, 예를 들면 상술한 포세락스 재질의 인서트 코어(221, 221b, 221c, 221d)와 강제 배기 채널(224)을 통해 강제 배출하는 가스 배출 단계(S223)를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인서트 사출물(G)의 취출 단계(S230)는, 상기 커버 부재(110)와 상기 커버 베이스(120)가 일체화된 인서트 사출물(G)을 상기 금형(200)에서 취출(도 14B의 (c) 참조)하는 단계로서, 금형을 분리해서 개방(금형 열림)하는 단계(S231)와, 상기 인서트 사출물(G)을 제2금형(220)에서 분리/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시 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금형(220)에는 상기 인서트 사출물(G)의 취출을 위한 이젝터(Ejector)가 구비되며, 상기 금형(200)에는 냉각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인서트 사출물(G)의 취출 단계(230)에서는 상기 커버 부재의 진공 흡착력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금형이 열리면 상기 인서트 사출물이 상기 제2금형(220)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서트물(커버 부재)의 로딩 및 성형 중 위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성형 후 인서트 사출물(G)의 취출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110)의 배면에 코팅된 접착층(후술되는 커버 접착층)에 의해, 상기 인서트 사출에서 상기 커버 부재(110)와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접촉 계면(경계면) 즉 상기 커버 부재(110)의 배면과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전면이 상호 견고하게 부착(접합)될 수 있다.
상기 방호 커버의 두께는 전파 투과 감쇠율에 영향을 미치며, 상기 커버 부재(110)와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부착이 불안정하여, 상기 커버 부재(110)와 상기 커버 베이스(120)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면, 방호 커버의 두께가 증가하고 상기 커버 부재(110)와 상기 커버 베이스(12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전파 탐지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커버 접착층(110b)을 상기 커버 부재의 최후방층 즉 상기 커버 부재의 배면을 형성하는 층으로 적용함으로써, 상술한 금형(200)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110)의 후방에 성형되는 커버 베이스(120)와 상기 커버 부재(110)의 접합력(부착력)을 강화하고 인서트 사출물(G)에 갭(Gap) 발생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 베이스(120)는, ASA(Acrylonitrile-Styrene-Acrylate) 재질이나 AES(Acrylonitrile-EPDM-Styrene)나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나 PC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수지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ASA는 뛰어난 내충격성을 가짐과 동시에 내후성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이며 광범위한 환경조건하에서 뛰어난 물성균형을 발휘하는 재료로서, 장시간에 걸친 옥외사용에서 특성 저하 및 성형품 외관의 변화가 ABS에 비해 현저하게 작고 플라스틱에 필요한 물성균형과 모든 성형성을 갖추고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상기 커버 부재(110)의 일 예는, 상기 탐지 전파의 투과가 가능한 커버 패널(110a)과, 상기 커버 패널(110a)의 배면에 적층되는 커버 접착층(110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접착층(110b)은 상기 커버 패널(110a)의 배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 접착층(110b)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커버 패널(110a)에 일체화되는 상기 커버 베이스(120)와 상기 커버 패널(110a)의 경계면 접합을 위하여, 상기 커버 패널(110a)의 배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접착층(110b)은, 상기 커버 패널(110a)의 배면 즉 커버 부재(110)의 배면과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전면이 강하게 접합되도록, 상기 커버 베이스(120)와 상기 커버 패널(110a)의 접합력을 강화하게 된다.
상기 커버 패널(110a)은, 투시 가능한 커버층(111)과,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에 구비되는 패턴층(P)과, 상기 패턴층(P)의 후방에 적층되는 내열 보호막(114)을 포함한다.
상기 패턴층(P)은, 상기 커버 패널(110a)의 전방에서 소정 디자인의 패턴(Pattern)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도록, 상기 커버층(111)의 내측면 즉 배면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열 보호막(114)은, 상기 패턴층(P)을 열(Heat)로부터 보호하는 내열층(Layer)으로서, 상기 패턴층(P)의 후방에 도포되어 상기 패턴층(P)을 덮으며,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상기 커버 부재(110)에 가해지는 열로부터 상기 커버 패널(110a) 특히 상기 패턴층(P)을 보호한다.
상기 패턴층(P)은, 상기 커버층(111)의 후방 즉 내측면에 코팅되어서 상술한 탐지 전파를 투과시키는 광학막(112)을 포함한다.
상기 광학막(112)은, 상술한 패턴 예를 들면 자동차 제조사의 로고나 엠블럼 등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커버층(111)의 후방에 형성되는데, 일 예로서 상기 광학막은 상기 프라이머 층(113)을 매개로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에 형성된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광학막(112)은, 상기 광학막(112)의 부착을 위해 상기 커버층(111)의 후방에 제공되는 프라이머 층(113)을 매개로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에 코팅될 수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 층(113)은 상기 광학막의 안정적 부착을 위해 상기 광학막(112)보다 먼저 도포된다.
상기 광학막(112)은, 상술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프라이머 층(113)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학막(112)은, 상기 프라이머 층(113)의 배면에 상기 커버 패널의 패턴(방호 커버의 전면에서 시인되는 금속 질감의 패턴)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광학막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예처럼, 상기 패턴층(P)은, 상기 커버층의 배면에 적층되는 차폐층(111a)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폐층(111a)은, 상기 프라이머 층(113)에 의해 덮이도록 상기 프라이머 층(113)의 전방, 즉 커버층과 프라이머 층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 패널(110a)을 통해 상기 방호 커버의 전방으로 상기 패턴이 출력 즉 표시(Display)되어서 시인되도록, 상기 광학막(112)을 전방에서 상기 광학막을 부분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에 상술한 패턴이 형성되는지 여부 즉 패턴의 유무와 관계없이, 상기 커버 패널(110a)은, 투시 가능한 커버층(111)과, 상기 커버층의 후방에 코팅되며 상기 탐지 전파를 투과시키는 광학막(112)과, 상기 광학막(112)을 열(Heat)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광학막의 후방에 적층되어 상기 광학막을 덮는 내열 보호막(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막(112)은, 상기 광학막(112)의 부착을 위해 상기 커버층(111)의 후방에 제공되는 프라이머 층(113)을 매개로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에 코팅된다.
이하, 도 16(도 16a와 도 16b)와 도 17(도 17a와 도 17b)을 참조하여 방호 커버를 위한 커버 부재 즉 전방 커버의 실시 예들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6a와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부재(110)의 일 예는, 커버층(111)과, 상기 탐지 전파가 투과하도록 상기 커버 패널(111)의 후방에 구비되는 광학막(112)과, 상기 커버층(111)과 상기 광학막(112) 사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 층(113)과, 상기 광학막(112)의 후방에 적층되어 상기 광학막(112)을 보호하는 내열 보호막(114)과, 상기 내열 보호막(114)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부재(110)와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접촉 계면을 접합하는 커버 접착층(110b)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층(111)은 상기 방호 커버(100) 특히 상기 커버 부재(110)의 전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커버 부재(110)의 프레임(Frame) 즉 골격을 이루는 패널 부재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층(111)은 플라스틱 재질의 패널 예를 들면 투명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나 아크릴 수지 등 다양한 종류의 수지를 이용해서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투시 가능한 패널 예를 들면 투명한 패널이나, 상기 커버층(111)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광학막(112)은, 상기 커버층(111)의 전방에 소정의 패턴, 예를 들면 차량 제조사의 엠블럼이나 로고나 라디에이터 그릴의 디자인으로 시인되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층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금속 질감의 패턴 구현을 위해 적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광학막(112)은 복층의 광학막이며, 이산화티탄(TiO2) 층과, 실리카 즉 이산화규소(SiO2) 층과, 게르마늄(Ge) 층과, 크롬 또는 크롬 산화물(예를 들면 Cr2O3) 층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학막(112)을 형성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이산화티탄 층과 실리카 층은 교대로 번갈아 적층되며, 예를 들면 4회 이상 교대로 적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학막(112)은, 공지의 증착기술 예를 들면 PECVD(플라즈마 화학증착;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과 E-beam 증착에 의해 코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 예에서는 PECVD을 이용해서 상기 게르마늄 층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발수층을 형성한다.
상기 광학막(112)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게르마늄 층-(이산화티탄 층-실리카 층)*N(N=적층횟수≥1)-크롬 산화물 층의 적층구조를 갖거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산화티탄 층-실리카 층)-게르마늄 층-크롬 산화물 층의 적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 부재(110)의 설계조건에 따라 각 층 사이에 다른 층이 추가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광학막(112)은 소정의 모양 예를 들면 상술한 패턴 즉 상기 커버 패널의 전면에서 시인(시각적으로 인지)되는 패턴 즉 커버 패널의 패턴(광학막 패턴)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에 상기 광학막(112)을 특정의 모양(디자인)으로 형성하는 방식은 다양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프라이머 층(113)을 매개로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에 코팅된 광학막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커버층의 후방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도록 소정의 모양으로 뚫린 마스크를 이용해서 광학막을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패턴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광학막(112)의 부분적 제거 후에 잔존하는 부분이 상기 커버층(111)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패턴(광학막 패턴) 예를 들면 금속 질감의 패턴을 형성해서 상기 커버층을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된다. 상기 광학막(112)의 부분 제거 공정에는 에칭 기술 예를 들면 레이저 에칭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라이머 층(113)은 상기 커버층(111)과 상기 광학막(112)의 부착을 위해 커버층의 배면에 도포되는 도막으로서, 상기 커버층(111)의 미세 요철을 제거해서 표면 레벨링을 구현하고, 상기 커버층(111)의 전방에서 시인되는(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상기 광학막(112)의 광택과 선명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프라이머 층(113)은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광학막(112)을 형성하기 위한 증착물과 상기 프라이머 층의 열팽창을 고려하여 경질의 프라이머, 예를 들면 UV에 의해 경화되는 아크릴계 UV 프라이머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상술한 광학막의 증착 기술과 프라이머의 사용 목적과 종류 및 도포 방식 등은 증착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으로, 상기 내열 보호막(114)은 불투명한 재질로서 상기 광학막(112)의 배면에 구비되는 내열성 도료층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내열 보호막(114)은 아크릴 도료로 이루어진 블랙 도장층이며, 내열층과 차폐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열층은 상기 광학막(112)을 덮는 도료층이고, 상기 차폐층은 상기 내열층의 후방을 덮는 도료층으로서 상기 커버 접착층(110b)의 전면 즉 내열층과 접착층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내열 보호막(114)은 아크릴수지와 블랙 색감을 구현하는 안료의 혼합물 예를 들면 내열성 도료이며, 상기 내열층은 상술한 아크릴수지와 안료에 추가하여 소광제와 부착증진제를 포함한다. 상기 내열 보호막(114)을 위한 내열성 도료 즉 내열 재료는, 다양한 종류가 공지되고 제조/판매되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내열층은, 증착면 즉 광학막을 보호하고 블랙 색감을 구현하며 내열성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상기 차폐층은, 내열층과 접착층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고, 블랙면 즉 내열층을 은폐하며 상기 내열층과 함께 상기 커버 부재의 내열성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상기 내열 보호막(114)은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도포되어 광학막이 부분적으로 제거된 부분을 불투명하게 구현해서 광학막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광학막 패턴)의 배경 즉 바탕색(예를 들면 블랙 컬러)을 형성하며, 인서트 사출을 이용한 커버 베이스(120)의 성형에서 열에 의한 커버 부재(110)의 손상이나 변형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내열 보호막(114)는 도 16a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 층(내열층-차폐층)으로 구분(보호막 내부의 점선)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접착층(110b)은 상기 커버 부재(110)와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부착력 즉 일체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커버 부재(110)와 상기 커버 베이스(120) 사이의 갭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 패널(110a)의 배면 즉 상기 내열 보호막(114)의 후방에 적층된다.
상기 커버 접착층(110b)으로는 핫멜트 접착제처럼 일정 온도 이상에서 용융되고 냉각되면서 다시 고화되는 접착제나 일정 온도 이하에서 경화된 상태로 존재하며 가열되면서 용융 경화되는 가열 경화형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사출 소재(커버 베이스 성형용 용융 수지)의 온도에 반응하여 상기 커버 접착층(110b)이 용융되고, 인서트 사출물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경화(고화)되어 커버 부재(110)와 커버 베이스(120)의 강한 경계면 접착을 구현한다.
상기 커버 접착층을 위한 재료 예를 들면 접착 도료의 종류와 재원(용융 온도와 고화 온도 등)은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성형 조건에 맞추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베이스(12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110)의 배면에 일체화되며, 상기 인서트 사출에서 상기 커버 접착층(110b)에 의해 상기 커버 부재(110)와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접촉 계면(경계면) 즉 상기 커버 부재(110)의 배면과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전면이 상호 견고하게 부착(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패널(110a)의 전면에는 표면 보호를 위한 전면 보호층(11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면 보호층(116)은 상기 커버층(111)의 전면을 보호하는 UV(자외선) 경화 수지 재질로서, 상기 커버층(111)의 전면에 코팅되어 상기 커버 패널(110a)의 외관 결함을 은폐할 수 있다.
상술한 커버 부재(110)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예는,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에 상기 프라이머 층(113)을 형성하는 단계(S110), 상기 프라이머 층(113)의 배면에 상기 광학막(112)을 형성하는 단계(S120), 상기 광학막(112)을 레이저 에칭해서 상기 광학막(112)의 일부를 제거하고 상기 커버층(111)의 전방에서 소정 디자인의 패턴으로 시인되는 광학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S130), 상기 광학막(112)을 덮도록 상기 광학막(112)의 후방에 상기 내열 보호막(114)을 적층하는 단계(S140), 그리고 상기 내열 보호막(114)의 배면에 상기 커버 접착층(110b)을 적층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층(111)과 상기 프라이머 층(113)은 투시 가능한 재질 예를 들면 투명한 재질이고, 상기 광학막(112)은 증착에 의해 코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학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S130)는, 상기 커버층(111)의 전방으로 상기 광학막(112)이 소정의 패턴(예를 들면 자동차 제조사의 로고)을 출력되도록, 상기 광학막(112)을 레이저 에칭을 통해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상기 커버 패널(110a)에 광학막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상기 내열 보호막(114)은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을 전체적으로 덮어서 상기 커버층(111)의 후방을 차폐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층(111)의 전방으로 상술한 광학막 패턴이 금속톤 즉 메탈 질감으로 출력되고, 레이저 에칭에 의해 광학막이 제거된 영역은 상기 내열 보호막에 의해 불투명한 바탕면으로 구현된다.
다음으로,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부재(110)의 다른 일 예는, 커버층(111)과,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형성되는 불투명한 차폐층(111a)과, 상기 탐지 전파가 투과하도록 상기 커버층(111)의 후방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층(111a)의 후방에 구비되는 광학막(112)과, 상기 커버층(111)과 상기 광학막(112) 사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 층(113)과, 상기 광학막(112)의 후방에 적층되어 상기 광학막(112)을 보호하는 내열 보호막(114)과, 상기 내열 보호막(114)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부재(110)와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접촉 계면을 접합하는 커버 접착층(110b)을 포함한다.
상기 차폐층(111a)을 위해, 상기 커버층(111)의 전방에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광학막이 시인되도록,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불투명한 차폐 도료가 도포(인쇄)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층(111a)이 도포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상기 광학막(112)이 시각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상술한 패턴(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이나 자동차 제조사 로고 등)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차폐층(111a)은 상기 커버층(111)과 프라이머 층(113)의 사이에 형성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커버층(111)의 배면에 직접 인쇄되어 상기 프라이머 층(113)보다 먼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프라이머 층(113)과 광학막(112)은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을 전체적으로 덮으며, 상기 차폐층(111a)이 도포되지 않은 빈 영역을 통해 상기 광학막(112)이 시인된다. 상기 차폐층(111a)으로는 내열 보호막의(114)과 동일한 재료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에 블랙 안료가 혼합된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층에 적층 가능한 불투명 도료 등의 재료라면 가능하다.
상술한 커버 부재(110)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예는,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불투명한 차폐층(111a)을 형성하는 단계(S110A), 상기 차폐층(111a)을 덮도록 상기 커버층(111)의 후방에 상기 프라이머 층(113)을 형성하는 단계(S120A), 상기 프라이머 층(113)의 배면에 상기 광학막(112)을 형성하는 단계(S130A), 상기 광학막(112)을 덮도록 상기 광학막(112)의 후방에 상기 내열 보호막(114)을 적층하는 단계(S140A), 그리고 상기 내열 보호막(114)의 배면에 상기 커버 접착층(110b)을 적층하는 단계(S15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층(111a)은 상기 커버층(111)의 전방에서 상기 광학막(112)이 소정의 패턴으로 시인 즉 출력되도록, 상기 커버층(111)의 배면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도포(인쇄)되며, 상기 차폐층(111a)이 도포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상기 광학막(112)이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접착층을 적층하는 단계(150, 150A)와 상기 커버 베이스(120)의 성형 단계(200) 사이에는, 상술한 전면 보호층(111a)을 형성하는 단계(S160)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보호층(116)은, UV 경화 수지를 상기 커버 패널(111)의 전면에 도포하고 자외선을 이용해서 경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상기 커버 패널에 코팅되는 표면 보호재이다.
그리고 상기 내열 보호막(114)은 내열성 도료의 도장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열 보호막(114)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광학막(112)을 덮도록 내열층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내열층을 덮는 차폐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광학막(112)은 증착 기술 예를 들면 PECVD, E-beam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 층(113)은 상술한 방호 커버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공지의 UV 경화 프라이머로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커버 부재가 제조된 후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방호 커버 제조과정 즉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커버 부재와 커버 베이스의 일체화 단계(인서트 사출에 의한 방호 커버 제조과정)이 진행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한 광학 커버가 자동차 제조사의 로고 형태로 구현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광학막이 광학 커버의 전방에 로고 패턴으로 출력되어서 시인되는 예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방호 커버 110: 커버 부재(전방 커버)
120: 커버 베이스 200: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210: 제1금형 210a: 커버 장착부
211: 제1코어 212: 제1금형 블록
214: 공기 흡입통로 214a: 커버 흡착홀
220: 제2금형 221: 제2코어
221a~221d: 인서트 코어 222: 제2금형 블록
224: 강제 배기채널 225: 수지 주입부

Claims (11)

  1. 자동차 주행 제어용 전파 탐지기의 보호를 위한 커버 부재의 배면에 수지(Resin) 재질의 커버 베이스를 일체로 성형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으로서:
    상기 커버 베이스의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캐비티 내에 상기 커버 부재가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제1금형; 그리고
    상기 제1금형과의 합체에 의해 상기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금형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 부재를 흡착해서 고정하는 커버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의 분리에 의해 상기 커버 장착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착부는, 공기 흡입력으로 상기 커버 부재를 흡착하며;
    상기 제2금형은, 상기 커버 장착부를 차폐해서 상기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금형과 합체 가능하고,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이 합체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제1금형 측으로 가압해서 상기 커버 장착부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착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전면을 흡착하기 위한 커버 흡착홀을 가지며;
    상기 제2금형은, 상기 커버 부재의 가장자리를 눌러서 상기 커버 부재의 전면을 상기 커버 장착부의 표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공기 흡착구에 의한 흡착력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를 상기 캐비티 내에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은, 상기 커버 부재의 흡착을 위한 공기 흡입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 장착부를 형성하는 제1코어와, 상기 제1코어를 수용하는 코어홈을 가지며 상기 제1코어를 지지하는 제1금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코어에는 상기 커버 부재의 흡착을 위한 공기 흡입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제2금형에는, 상기 커버 베이스의 성형을 위한 용융 재료를 상기 캐비티에 공급하는 수지 주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형은;
    상기 커버 베이스의 표면 성형을 위해 상기 캐비티의 표면 일부를 형성하며 가스 배출이 가능한 통기성의 제2코어와,
    상기 제2코어를 수용하는 제2금형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어는 포세락스 재질의 인서트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 코어는 상기 커버 베이스의 성형 중에 상기 캐비티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상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의 외부를 강제 배출하는 강제 배기 채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형은, 상기 인서트 코어를 관통해서 상기 커버 베이스의 성형을 위한 용융 재료를 상기 캐비티에 공급하는 수지 주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8.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은, 상기 커버 부재의 흡착을 위한 공기 흡입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 장착부를 형성하는 제1코어와, 상기 제1코어를 수용하는 코어홈을 가지며 상기 제1코어를 지지하는 제1금형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장착부는, 상기 공기 흡입통로의 입구를 이루며 상기 커버 부재의 전면을 흡착하는 커버 흡착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은 가동측 금형이고, 상기 제2금형은 고정측 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은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2금형은 상기 제1금형과의 합체와 분리를 위해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을 이용한 자동차 전파 탐지기용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으로서:
    탐지 전파의 투과가 가능하며 배면에 접착층을 갖는 상기 커버 부재를 인서트 사출을 위한 상기 제1금형의 커버 장착부에 로딩하는 단계;
    상기 커버 장착부에 로딩되는 상기 커버 부재를 공압으로 흡착해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을 합체해서 상기 커버 장착부를 차폐하고 상기 커버 부재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금형과 제2금형의 합체에 의한 커버 부재의 고정과 동시 또는 그 후에 상기 커버 부재에 대한 흡착력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금형의 캐비티에 상기 커버 베이스의 성형을 위한 용융 재료를 주입해서 상기 커버 부재의 후방에 상기 커버 베이스를 일체로 성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커버 베이스가 일체화된 인서트 사출물을 상기 금형에서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파 탐지기용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
KR1020170123452A 2017-09-25 2017-09-25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 KR20190034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52A KR20190034882A (ko) 2017-09-25 2017-09-25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52A KR20190034882A (ko) 2017-09-25 2017-09-25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882A true KR20190034882A (ko) 2019-04-03

Family

ID=6616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452A KR20190034882A (ko) 2017-09-25 2017-09-25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48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713A (ko) *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파 송수신 레이더 전파 투과형 커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0358A (ja) 2006-03-09 2007-09-2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外装部品
KR20150095411A (ko) 2014-02-13 2015-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이더 투과 경로 내의 송수신성 메탈릭 표면처리 부재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40358A (ja) 2006-03-09 2007-09-2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外装部品
KR20150095411A (ko) 2014-02-13 2015-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이더 투과 경로 내의 송수신성 메탈릭 표면처리 부재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713A (ko) *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파 송수신 레이더 전파 투과형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1984B2 (ja) レドームの製造方法
CN111527009B (zh) 用于机动车辆的前格栅的雷达透明装饰板
US5419088A (en) Energy absorbing mounting systems for motor vehicles windows
US20140093665A1 (en) Decorative member for vehicle
US20210293933A1 (en) Vehicle window with integrated sensor module
KR20070041578A (ko) 다층 필름,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품
KR101779266B1 (ko) 동일 높이로 마운팅된 불투명 가장자리 대역을 갖는 중합체성 차량 글레이징
KR20190034882A (ko)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 커버 제조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한 방호 커버의 제조방법
WO2017038550A1 (ja) レーダカバーの製造方法及びレーダカバー
US11780379B2 (en) Add-on part having an integrated camera module
KR20190011528A (ko)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용 전방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1527A (ko) 자동차 제어를 위한 전파 투과형 광학 커버 및 그 제조방법
WO2024041405A1 (zh) 主体透明式无缝集成激光雷达的汽车饰件及其制造方法
JP6954941B2 (ja) レーダカバー
US20060012207A1 (en) Vehicle body covering cover of riding type vehicle, riding type vehicle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of fabricating vehicle body covering cover of riding type vehicle
KR102320784B1 (ko) 전파 송수신 레이더 전파 투과형 커버
JP7276266B2 (ja) 車両用装飾部品
JP7482710B2 (ja) レーダカバー及びレーダカバーの製造方法
JP7294125B2 (ja) 車両用外装品及び車両用外装品の製造方法
JP7134190B2 (ja) レーダカバーの製造方法及びレーダカバー
US10259205B2 (en) Vehicular resin glass
JP7246332B2 (ja) レーダカバーの製造方法
KR102382671B1 (ko) 차량용 크루즈 컨트롤 센서 커버 및 그 제조 방법
JP2006175601A (ja) 車両用ウインドゥ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26197A (ja) 艶消しインサートフィルムと艶消し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