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660A -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660A
KR20190034660A KR1020197006658A KR20197006658A KR20190034660A KR 20190034660 A KR20190034660 A KR 20190034660A KR 1020197006658 A KR1020197006658 A KR 1020197006658A KR 20197006658 A KR20197006658 A KR 20197006658A KR 20190034660 A KR20190034660 A KR 20190034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liquid
controller
pressur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978B1 (ko
Inventor
예광 천
쉬민 우
샤오룽 우
Original Assignee
에스지 디제이아이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 디제이아이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에스지 디제이아이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34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30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with means for predetermining quantity of liquid to be transferred
    • B67D7/3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with means for predetermining quantity of liquid to be transferred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 B67D7/303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with means for predetermining quantity of liquid to be transferred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16Arrangements of liquid 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45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the transfer method
    • B67D7/327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the transfer method us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4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6Arrangements of devices for purifying liquids to be transferred, e.g. of filters, of air or water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는 펌프(1), 유량 검출 어셈블리(2) 및 컨트롤러(3)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 검출 어셈블리(2)는 상기 펌프(1)의 유량을 검출하도록 상기 펌프(1)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유량 검출 어셈블리(2)가 검출한 유량을 근거로 펌프(1)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도록 각각 펌프(1) 및 유량 검출 어셈블리(2)와 연결된다. 본 발명은 농업용 무인기에 대해 정량 액체주입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본 발명은 농업용 기계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 등 분야에서는 작물의 정상적인 생장을 보장하기 위해 농약 또는 액체비료를 자주 살포할 필요가 있다.
현재, 농약 등 액체의 최적의 사용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정량의 액체를 주입함으로써 정확한 정량으로 액체를 살포를 완수하여야 한다. 액체의 정량화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눈금이 새겨진 용기를 사용하여 액체를 정확하게 정량 취급 및 방출하며, 구체적으로는 수동으로 용기 중의 액체 수위와 각도 간의 차이를 관찰하여 액체의 추가 주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수동 측정 방식을 통해 액체를 주입할 경우, 작업 효율이 낮고, 농약 등 액체는 독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인체가 접촉될 경우 중독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농업용 무인기에 대해 정량 주입을 구현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펌프, 유량 검출 어셈블리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를 제공하며; 유량 검출 어셈블리는 펌프의 유량을 검출하도록 펌프와 상호 연결되고; 컨트롤러는 유량 검출 어셈블리가 검출한 유량을 근거로 펌프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도록 각각 펌프 및 유량 검출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는 구체적으로 펌프, 유량 검출 어셈블리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그 중 유량 검출 어셈블리는 펌프의 유량을 검출하도록 펌프와 상호 연결되고; 컨트롤러는 유량 검출 어셈블리가 검출한 유량을 근거로 펌프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도록 각각 펌프 및 유량 검출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면,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가 펌핑하여 배출하는 액체량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 시, 즉시 액체 주입을 중지하여 농업용 무인기의 정확한 정량 주입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 중의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묘사에 필요한 첨부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며, 아래에 묘사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약간의 실시예로서,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에게 있어서, 창조적인 노동을 기울이지 않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을 근거로 기타 도면을 획득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제공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 중의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방안과 장점이 더욱 명확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첨부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묘사할 것이며, 물론, 묘사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분야의 기술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기울이지 않는 전제하에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제공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 중의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 중의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는 구체적으로 펌프(1), 유량 검출 어셈블리(2)와 컨트롤러(3)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유량 검출 어셈블리(2)는 펌프(1)의 유량을 검출하도록 펌프(1)와 연결되고; 컨트롤러는 유량 검출 어셈블리(2)가 검출한 유량을 근거로 펌프(1)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도록 각각 펌프(1) 및 유량 검출 어셈블리(2)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농업용 무인기는 농림 작업용 자동 무인비행기에 적용되어, 농경지 상공에서 농약, 화학비료 등의 살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농업용 무인기에 농약을 투입하기 위하여,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는 펌프(1) 및 펌프(1)와 연결되는 관로를 포함하며, 펌프(1)는 주입할 액체를 흡취하여, 주입할 액체를 농업용 무인기의 농약탱크에 주입할 수 있다. 액체주입장치의 관로에 유량 검출 어셈블리(2)가 설치되어, 유량 검출 어셈블리(2)로 펌프(1)의 순간 유량과 전체적인 누계 액체배출량을 검출하여, 검출된 유량과 액체배출량을 컨트롤러(3)로 전송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3)와 펌프(1) 사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펌프(1)의 액체 유량과 액체배출량 상황에 따라 펌프(1)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여, 전체적인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의 액체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액체배출량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 시, 액체 주입을 즉시 중지하여 농업용 무인기의 정확한 정량 주입을 구현할 수 있다.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본 실시예 중의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는 농업용 무인기의 농약탱크에 농약을 주입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용기에 액체를 주입할 수도 있고, 다양한 종류의 상이한 액체를 주입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펌프(1)의 작업 상태는 펌프의 작동 정지 상태 및/또는 펌프의 회전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액체주입량과 펌프의 누계 액체배출량을 근거로 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액체를 주입 시, 펌프(1)는 작동하는 작업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의 액체배출량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 시, 펌프(1)는 즉시 운전을 중지하여 정량 액체주입을 구현한다. 액체주입장치의 액체배출량이 미리 설정된 값에 거의 도달하였을 때, 컨트롤러(3)는 펌프(1)의 회전속도가 저하되도록 제어하여, 펌프의 액체가 유동하는 순간 유속을 점차 감소시킴으로써, 펌프의 액체 유동이 지나치게 큼으로 인해 액체배출량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3)가 펌프(1)의 모터를 제어 시, 일반적인 컨트롤러(3) 중의 마이크로컨트롤러 유닛(Microcontroller Unit, 약칭 MCU)이 신호를 발송하여, 전자속도조절기(Electrical Speed Controller, 약칭 ESC)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자 속도조절기는 컨트롤러(3) 중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이한 전기 신호를 출력하여, 펌프(1)의 모터가 상이한 회전속도로 운전하도록 구동한다.
통상적으로, 특히 본 발명의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자체에 액체저장용기가 포함된 경우, 유량 검출 어셈블리(2)는 펌프(1)의 액체배출측에 위치하며, 이와 같이 하면 유량 검출 어셈블리(2)가 검출한 유량이 농업용 무인기의 농약탱크 내로 주입되는 농약량과 근접하게 일치하여, 펌프 관로의 잔류로 인한 액체주입량 오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어, 농업용 무인기의 농약 주입의 정확성이 강화된다.
선택적으로, 액체의 추출 및 주입이 편리하고,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 사용의 원활성이 강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는 액체유입관(41)과 액체배출관(42)을 더 포함한다.
그 중, 액체유입관(41)의 제1단은 추출할 액체 내에 삽입되고, 액체유입관(41)의 제2단은 펌프(1)의 액체유입구(11)와 연통되며; 액체배출관(42)의 제1단은 펌프(1)의 액체배출구(12)와 연통되고, 유량 검출 어셈블리(2)는 액체배출관(42)의 제1단과 액체배출구(12) 사이에 설치되며, 액체배출관(42)의 제2단은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액체유입관(41)과 액체배출관(42)은 모두 농약 주입 시의 편리성이 강화되도록 구부러질 수 있는 연성튜브일 수 있다. 유량 검출 어셈블리(2)는 펌프(1)와 인접한 액체배출관(41)의 제1단과 연결되며, 따라서 편리하게 펌프(1)와 함께 집적될 수 있어 전체적인 액체주입장치의 휴대성이 향상된다.
주입할 액체가 통상적으로 농약 등 복잡한 성분을 지닌 액체이기 때문에, 주입할 액체 내에 잔류 찌꺼기 또는 이물질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잔류 찌꺼기 또는 이물질이 농업용 무인기의 농약탱크 내로 유입되어 막히는 현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는 필터(5)를 더 포함하며, 필터(5)는 액체유입관(41)과 액체유입구(11) 사이에 설치되어, 주입할 액체를 여과하고, 주입할 액체 내의 고체 잔류 찌꺼기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한편으로는 농업용 무인기의 농약탱크 내로 유입되는 액체에 이물질이 없도록 보장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물질이 펌프(1)로 유입되어 펌프(1)의 내부 구조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필터(5) 내에 일반적으로 여과망(미도시)이 포함된다. 여과망의 규격과 메쉬 직경은 주입할 액체 성분에 따라 상응하게 교체 가능하며, 필터(5) 내에 다중 여과망을 설치하거나, 또는 여과망과 스폰지 등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유량 검출 어셈블리(2) 중 일반적으로 유량계(미도시)가 포함된다. 유량계는 펌프(1)의 액체배출구(42)와 기타 관로 사이에 접속되어, 유량계를 지나는 액체 유동의 실시간 유량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량계는 차압식 유량계, 회전자 유량계, 용적 유량계, 전자 유량계와 초음파 유량계 등 다양한 상이한 구조 및 규격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액체를 주입 시, 작업자가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는 워터건(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워터건(6)은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외형을 지니며, 워터건(6)은 액체배출관(42)의 제2단과 연통되는 출수통로를 구비하고, 워터건(6)에 출수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스위치(61)가 설치된다. 작업자가 액체를 주입 시, 스위치(61)를 누르고 조종함으로써, 전체적인 액체주입장치의 액체배출 또는 차단을 제어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농약주입량을 수동으로 제어하기에 유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돌발상황이 발생 시 즉시 농약 주입을 중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과 원활성이 대폭 증가한다.
또한, 워터건(6) 상의 스위치(61)의 제어를 통해 액체 유량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펌프(1)의 흡력 작용하에 청수 또는 세정액을 흡입하고, 워터건(6)의 조종을 통해 청수 또는 세정액을 분출하여 세척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세척 시, 기타 물체를 세척할 수도 있고,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 자체를 세척할 수도 있다.
워터건(6)은 스위치(61)를 통해 액체배출관(42)과 연통되는 출수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기 때문에,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 내부의 펌프(1)가 만약 따라서 폐쇄되지 않을 경우, 관로의 폐쇄로 인해 관로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고, 심지어 관로가 파열되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펌프(1) 내에 압력 스위치가 설치되며, 압력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펌프(1)의 펌프 헤드 위치에 설치된다. 압력 스위치는 펌프(1) 내의 액체의 유동이 정지 시, 액체의 압력하에 펌프(1)의 운전을 중지시키거나, 또는 액체가 유동 시, 펌프(1)의 운전을 가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한편으로는 워터건(6)이 폐쇄되었을 때 펌프 내부의 압력이 과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워터건(6)의 스위치의 제어만으로 펌프의 작동과 중지를 제어할 수 있어, 액체 주입, 세척 등 기능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압력 스위치 내부에 파이프 압력에 따라 개방되는 밸브 등 기구가 설치될 수 있으며, 펌프(1) 내의 액체의 유동이 정지 시, 펌프(1)가 여전히 액체를 흡취하는 상태이므로, 펌프(1) 내의 압력이 증가할 수 있는데, 이때 압력 스위치의 밸브가 압력 작용에 의해 차단되어 펌프(1)의 운전이 정지되며, 이때, 펌프(1)는 더 이상 액체를 펌핑하여 유입시키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관로의 압력이 따라서 감소하게 된다. 워터건(6)의 스위치가 개방되어, 액체가 유동하기 시작하면, 펌프(1) 내의 액체 압력이 감소하며, 이때, 압력 스위치는 비교적 작은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 펌프(1)의 운전을 가동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펌프(1)가 지속적으로 폐쇄된 관로로 액체를 공급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 급증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워터건(6)의 스위치 제어만으로 펌프(1)를 작동 및 중지시킬 수 있다.
이밖에, 컨트롤러(3)로 제어신호를 발송하여, 전자 속도조절기를 통해 펌프(1)의 작동과 중지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때, 액체주입장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내의 액체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검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검출장치는 펌프(1)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펌프(1) 외부에 설치되어 펌프(1)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압력 검출장치는 컨트롤러(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컨트롤러(3)는 또한 압력 검출장치가 검출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거나 또는 같을 때, 펌프(1)가 운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압력 검출장치가 검출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을 때, 펌프(1)가 운전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압력 검출장치는 펌프(1) 내부에 설치되는 압력계를 포함하여 펌프(1) 내의 실시간 압력을 직접 검출하고, 압력값 신호를 컨트롤러(3)로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3)는 압력값 신호를 수신한 후, 내부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는 일반적으로 펌프(1)가 액체를 배출할 때의 압력과 비슷하다. 상기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거나 또는 같으면, 액체주입장치의 액체배출관(42)이 차단 상태임을 증명하며, 이때, 컨트롤러(3)는 펌프(1)가 운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해야 한다.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액체배출관(42이 개방상태임을 설명하며, 이때, 펌프(1)가 운전을 개시하여 액체를 배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농업용 무인기의 농약탱크에 액체를 더욱 편리하게 주입하기 위하여, 워터건(6)의 출수 통로 말단에 출수노즐(62)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출수 노즐(62)은 출수 통로에 가동 연결되고, 또한 출수 노즐을 돌리면 출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 중, 출수 노즐(62)은 출수 통로의 단면 면적을 조절하도록 자신의 축심을 따라 회전 가능하며, 출수 통로의 단면 면적이 작아지면 출수 압력이 커지고, 출수 통로의 단면 면적이 커질 경우, 출수 압력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워터건(6)의 출수 압력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세척 시, 출수 노즐(62)의 출수 압력 제어를 통해 상이한 세척 요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주입장치의 액체 주입 이외의 기타 기능, 예를 들어 외부 물품의 세척이나 자체 세척을 구현하기 위하여, 때로는 상이한 형상 및 크기의 액체 유동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워터건(6)상의 출수 노즐(62)은 교체 가능한 출수 노즐로서, 상이한 출수 노즐로 상이한 액체 분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 형상의 액체 유동을 분출하여야 할 때, 워터건(6)상의 출수 노즐(62)을 내부 캐비티 단면이 일치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출수 노즐로 교체하여, 출수 노즐이 굵기가 일치하는 기둥 형상의 액체 유동을 분출하도록 할 수 있고, 방사상의 액체 유동을 분출하여야 할 때, 출수 노즐(62)을 내부 캐비티의 단면이 전방은 작고 후방은 큰 출수 노즐로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이한 출수 노즐의 교체를 통해, 압력과 확산 형상이 상이한 액체 유동을 형성함으로써 상이한 방식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 중의 펌프(1)와 컨트롤러(3) 등 구성 부분을 집적하여 간편 휴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에 베이스시트(7)와 브래킷(8)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 중, 베이스시트(7)는 브래킷(8)에 설치되고, 펌프(1)는 베이스시트(7)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래킷(8)은 다수의 지지바로 구성되며, 다수의 지지바는 하나의 빈 캐비티를 공동으로 둘러싸고, 베이스시트(7)는 빈 캐비티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베이스시트(7)의 가장자리와 지지바 사이는 고정부재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함께 용접될 수 있다. 베이스시트(7)는 일반적으로 면적이 비교적 큰 지지면을 구비하며, 펌프(1)가 지지면에 고정되어 빈 캐비티를 구성하는 지지바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될 수 있다. 작업자는 브래킷(8)을 잡고, 장치 전체를 들어올려 이동할 수 있다.
이밖에, 컨트롤러(3)와 펌프(1)의 외부 전원 등 회로 모듈을 보호하고, 전체적인 액체주입장치의 환경 적응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는 보호커버(9)를 더 포함하며, 보호커버(9)는 베이스시트(7)와 함께 배터리(10)를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함을 형성한다. 이때, 보호커버(9)와 베이스시트(7)가 함께 펌프(1)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를 감싸줌으로써, 외부의 액체가 유입되어 배터리(10)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10)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보호커버(9)는 베이스시트(7)의 상방에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함과 펌프(1)는 각각 베이스시트(7)의 상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고, 베이스시트(7)의 동측에 병렬로 설치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 가능한 실시방식으로서, 보호커버(9)와 베이스시트(7) 사이는 힌지축(91)을 통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호커버(9)는 보호커버(9)와 베이스시트(7) 사이에 위치한 배터리(10)를 장착하거나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또는 베이스시트(78)에 고정된 펌프(1)를 보호하도록 일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9)를 잠금 고정시키기 위하여, 보호커버(9)의 힌지축(91)과 대향하는 일측에 체결구(92)가 더 설치된다. 체결구(92)는 수동 개방 또는 잠금을 통해, 보호커버(9)와 베이스시트(7) 사이를 잠금 결합시키거나 또는 개방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구(92)를 잠근 후, 보호커버(9)와 베이스시트(7)가 함께 형성하는 배터리함이 밀폐되어,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를 세척 시, 배터리 시스템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이밖에, 컨트롤러(3)는 통상적으로 제어 버튼과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집적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제어하기 용이하도록, 컨트롤러(3)는 통상적으로 보호커버(9)의 외측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보호커버(9)의 상부면에 위치하거나 또는 보호커버(9) 외측의 개방홈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펌프(1)를 제어 시, 간편하게 컨트롤러(3)를 관찰 및 조종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컨트롤러(3)의 방수를 보장하기 위하여, 컨트롤러(3)의 외부면에 보호필름이 피복될 수 있다.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에 주입되는 액체는 통상적으로 농약 등의 액체이므로, 자주 내부를 세척해야 한다.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100) 내부의 펌프(1)에 대해 내부 세척을 실시하기 위하여, 펌프(1)는 구체적으로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구동모터는 액체의 흡취와 주입을 수행하도록 펌프(1) 내부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때 컨트롤러(3)는 전자 속조조절기를 통해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펌프(1)에 공진을 발생시킴으로써, 펌프(1) 내부의 오염때를 진동을 통해 탈락시키고, 펌프(1) 내의 액체 유동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펌프(1) 자체의 내부 세척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는 구체적으로 펌프, 유량 검출 어셈블리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그 중 유량 검출 어셈블리는 펌프의 유량을 검출하도록 펌프와 상호 연결되고; 컨트롤러는 유량 검출 어셈블리가 검출한 유량을 근거로 펌프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도록 각각 펌프 및 유량 검출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면,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가 펌핑하여 배출하는 액체량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 시, 즉시 액체 주입을 중지하여 농업용 무인기의 정확한 정량 주입을 구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명해두어야 할 점으로, 이상의 각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결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비록 전술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라면 전술한 각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방안을 수정하거나, 또는 그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술특징을 동등하게 교체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또는 교체는 상응하는 기술방안의 본질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기술방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펌프 2: 유량 검출 어셈블리
3: 컨트롤러 5: 필터
6: 워터건 7: 베이스시트
8: 브래킷 9: 보호커버
10: 배터리 11: 액체유입구
12: 액체배출구 41: 액체유입관
42: 액체배출관 61: 스위치
62: 출수노즐 91: 힌지축
92: 체결구

Claims (17)

  1.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에 있어서,
    펌프, 유량 검출 어셈블리와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 검출 어셈블리는 상기 펌프의 유량을 검출하도록 상기 펌프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량 검출 어셈블리가 검출한 유량을 근거로 상기 펌프의 작업 상태를 제어하도록 각각 상기 펌프 및 유량 검출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상태는 상기 펌프의 작동 중지 상태 및/또는 상기 펌프의 회전속도를 포함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액체유입관과 액체배출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액체유입관의 제1단은 흡취할 액체 내에 삽입되고, 상기 액체유입관의 제2단은 상기 펌프의 액체주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액체배출관의 제1단은 상기 펌프의 액체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유량 검출 어셈블리는 상기 액체배출관의 제1단과 상기 액체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액체배출관의 제2단은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는 상기 액체유입관과 액체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여과망을 포함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검출 어셈블리는 유량계를 포함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워터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워터건은 상기 액체배출관의 제2단과 연통되는 출수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워터건에 상기 출수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내에 압력 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압력 스위치는 상기 펌프 내의 액체가 유동을 정지 시, 상기 액체의 압력하에 상기 펌프의 운전을 중지시키거나, 또는 상기 액체가 유동 시 상기 펌프의 운전을 가동시키기 위한 것안,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액체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검출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 검출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또한 상기 압력 검출장치가 검출한 압력이 미리 설정한 임계치보다 크거나 또는 같을 때, 상기 펌프가 운전을 중지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압력 검출장치가 검출한 압력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을 때, 상기 펌프가 운전을 개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인,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건의 출수 통로 말단에 출수 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출수 노즐은 상기 출수 통로에 가동 연결되어, 상기 출수 노즐을 회전시켜 출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노즐은 교체 가능한 출수 노즐이며, 상이한 출수 노즐로 상이한 액체 분출 형상을 형성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시트와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시트는 상기 브래킷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는 상기 베이스시트에 고정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베이스시트와 함께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함을 형성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베이스시트 사이는 힌지축을 통해 가동 연결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상기 힌지축과 대향하는 측에 체결구가 더 설치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호커버의 외측에 설치되는,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1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펌프에 공진을 발생시켜 상기 펌프의 내부 오염때가 진동으로 인해 탈락되도록 하기 위한 것인,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KR1020197006658A 2016-11-29 2016-11-29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KR102206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107784 WO2018098643A1 (zh) 2016-11-29 2016-11-29 农业无人机加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660A true KR20190034660A (ko) 2019-04-02
KR102206978B1 KR102206978B1 (ko) 2021-01-22

Family

ID=5962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658A KR102206978B1 (ko) 2016-11-29 2016-11-29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06978B1 (ko)
CN (1) CN107074523B (ko)
WO (1) WO2018098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5851A (zh) * 2020-09-29 2021-01-12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加水系统
CN112220358A (zh) * 2020-09-29 2021-01-15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加水系统和加水控制方法、装置
CN112177946A (zh) * 2020-09-29 2021-01-05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加水系统
CN113716061A (zh) * 2021-09-02 2021-11-30 江苏网智无人机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农用无人机用可智能加药液的落地平台
CN116008574B (zh) * 2022-12-14 2023-08-04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免疫组化一体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0706B1 (en) * 1999-12-08 2001-01-09 Oms Investments, Inc. Hand holdable pump spray system
KR20050057438A (ko) * 2002-09-20 2005-06-16 그라코 미네소타 인크. 자가 함유식 윤활유 분배기
CN202808333U (zh) * 2012-09-04 2013-03-20 中国航天科工集团第三研究院第八三五七研究所 一种无人机便携式加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3939B2 (ja) * 1989-10-17 2000-01-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ポンプ装置
CN202348797U (zh) * 2011-12-19 2012-07-25 浙江大福泵业有限公司 自动开启和关闭电源的水泵
CN203061526U (zh) * 2012-12-25 2013-07-17 纽威数控装备(苏州)有限公司 机床水枪的供水泵控制装置
CN103712514B (zh) * 2013-12-27 2015-08-26 长沙理工大学 一种冷凝器共振除垢方法及装置
CN204607572U (zh) * 2015-05-04 2015-09-02 宁夏视博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植保无人机空中悬停加液装置
CN205131718U (zh) * 2015-10-16 2016-04-06 广州极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液体灌装装置
CN105270611A (zh) * 2015-10-30 2016-01-27 深圳高启科技有限公司 农药品喷洒无人机及其喷洒方法
CN205168913U (zh) * 2015-11-11 2016-04-20 杭州深空实业股份有限公司 多旋翼无人机农药喷洒系统吊舱
CN105583203B (zh) * 2016-01-21 2018-12-28 燕山大学 导磁输流管的磁致振动除垢防垢装置及激励频率计算方法
CN205485466U (zh) * 2016-02-04 2016-08-17 广州极飞电子科技有限公司 喷洒控制装置、喷洒系统和植保无人机
CN205509903U (zh) * 2016-02-04 2016-08-24 广州极飞电子科技有限公司 喷洒控制装置、喷洒系统和植保无人机
CN105909506A (zh) * 2016-06-30 2016-08-31 陈辉 基于压力、流量开关传感器的水泵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206203872U (zh) * 2016-11-29 2017-05-3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农业无人机加液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0706B1 (en) * 1999-12-08 2001-01-09 Oms Investments, Inc. Hand holdable pump spray system
KR20050057438A (ko) * 2002-09-20 2005-06-16 그라코 미네소타 인크. 자가 함유식 윤활유 분배기
CN1681725A (zh) * 2002-09-20 2005-10-12 格雷索明尼苏达有限公司 独立式润滑剂分配装置
CN202808333U (zh) * 2012-09-04 2013-03-20 中国航天科工集团第三研究院第八三五七研究所 一种无人机便携式加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8643A1 (zh) 2018-06-07
CN107074523B (zh) 2019-03-05
KR102206978B1 (ko) 2021-01-22
CN107074523A (zh)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4660A (ko) 농업용 무인기 액체주입장치
US11642683B2 (en) Powered liquid sprayer
US20140312142A1 (en) Multi-Configuration Misting and Spraying System
KR102505233B1 (ko) 나무 주입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6408A (ko) 분사노즐 및 필터의 자동 막힘 제거가 가능한 자동 분무시스템
CN206203872U (zh) 农业无人机加液装置
KR20140142647A (ko) 무인 방제기
CN206485048U (zh) 自动粘度控制器的自动极速清洗装置
CN211226308U (zh) 一种灭火飞机药剂存储加注装置
KR101927112B1 (ko) 농약 분무차량의 약액장치
KR100906217B1 (ko) 약제 분사장치
KR101834208B1 (ko) 분무장치가 구비된 예초기
CN211253812U (zh) 一种储罐自动放料装置
KR200485811Y1 (ko) 농사용 약액 정량 희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농사용 약액 정량 희석 및 살포 차량
KR200463866Y1 (ko) 광역살포기의 약액공급장치
KR101484151B1 (ko) 살포방향 선택이 가능한 트랙터 부착형 대용량 제초제 자동살포장치
ES2930176T3 (es) Dispositivo de eyección de líquido para una instalación de lavado de vehículos y procedimiento para su funcionamiento
KR200426504Y1 (ko) 액체농약 살포겸용 입자비료 살포기
CN216107585U (zh) 一种喷涂系统及成衣打印机
ES2930801T3 (es) Dispositivo de eyección de líquido para una instalación de lavado de vehículos y procedimiento para su funcionamiento
CN214209750U (zh) 用于清洗非牛顿流体的过滤元件的清洗设备
KR102270219B1 (ko) 농사용 약액 정량 희석 장치 및 방법
KR102484411B1 (ko) 지능형 분사장치가 구비된 방제기
US20240100551A1 (en) Battery-powered skid sprayer assembly and method thereof
KR101484150B1 (ko) 트랙터 부착용 다수제초제 동시사용 가능형 자동살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