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763A -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763A
KR20190033763A KR1020170122313A KR20170122313A KR20190033763A KR 20190033763 A KR20190033763 A KR 20190033763A KR 1020170122313 A KR1020170122313 A KR 1020170122313A KR 20170122313 A KR20170122313 A KR 20170122313A KR 20190033763 A KR20190033763 A KR 20190033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electrical
devices
input voltage
pow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353B1 (ko
Inventor
김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2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353B1/ko
Priority to US15/832,501 priority patent/US11040675B2/en
Publication of KR20190033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84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voltag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4Balancing the load in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8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the power on the line being D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6Electric voltages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6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ICE-powered road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62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 H04B2203/547System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via DC power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은 발전기; 배터리; 상기 발전기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복수의 전기 장치들;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 {VEHICLE AND POWER CONTROL APPARATUS}
개시된 발명은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전장 부품들에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화석 연료, 전기 등을 동력원으로 하여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이동 수단 또는 운송 수단을 의미한다.
차량은 시동을 걸기 위한 시동 모터를 포함하며, 차량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고 운전자에게 편의와 재미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장 부품들이 마련되고 있다. 또한, 차량은 시동 모터 및 전장 부품들에 공급되는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와, 발전기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차량에는 전동 조향 장치, 공조 장치, 열선 등 큰 전력을 소비하는 고전력 전장 부품들이 설치되고 있으며, 고전력 전장 부품들은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전력 전장 부품들에 의하여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전력이 소비되며, 전장 부품들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으며, 저전압으로 인하여 몇몇 전장 부품들은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특히, 엔진 제어 장치, 변속 제어 장치, 제동 제어 장치, 조향 제어 장치 등 차량의 운행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전장 부품들이 동작을 중단하는 경우,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아질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전장 부품들에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전장 부품들을 위치에 따라 복수의 그룹들로 구분하고, 복수의 그룹 각각에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그룹 각각에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전압 변동에 따라 해당 그룹에 속하는 전장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발전기; 배터리; 상기 발전기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복수의 전기 장치들;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 각각은 상기 상기 발전기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입력 전압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전력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의 출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상기 전기 장치의 출력을 저감시킨 이후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상기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제1 그룹에 속하는 제1 전기 장치 및 제2 전기 장치; 제2 그룹에 속하는 제3 전기 장치; 상기 제1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을 수집하고, 상기 제1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에 따라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제1 및 제2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기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장치를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3 전기 장치를 상기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기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기초로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장치를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3 전기 장치를 상기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제1 및 제2 전기 장치들의 출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장치들의 출력을 저감시킨 이후 상기 제1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상기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제2 및 제3 전기 장치들의 입력 전압을 수집하고, 상기 제2 및 제3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상기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기 장치들 각각은 입력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입력 전압을 상기 전력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전력 관리 장치는 차량 내 복수의 전기 장치들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의 출력을 저감시키는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의 출력을 저감시키는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상기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장 부품들에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장 부품들을 위치에 따라 복수의 그룹들로 구분하고, 복수의 그룹 각각에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그룹 각각에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전압 변동에 따라 해당 그룹에 속하는 전장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장 부품들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력 시스템 및 전력 관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전기 장치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전력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력 관리를 위한 전기 장치들의 그룹화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기 장치들의 그룹화를 위한 전기 장치들의 전압 변동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전기 장치들의 그룹화 방법에 의한 전기 장치들의 그룹화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력 관리를 위한 전기 장치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어 방법에 따라 전기 장치들의 동작 상태와 입력 전압을 저장하는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제어 방법에 따라 전기 장치들을 제어하는 일 예가 도시된다.
도 13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력 시스템 및 전력 관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1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력 시스템 및 전력 관리 장치를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장 부품들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고 운전자 및/또는 수화물을 수용하는 차체(body)와, 차체 이외의 차량(1)의 구성 부품을 포함하는 차대(chassis) (20)와, 운전자를 보호하거나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전장 부품들(3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대(20)는 운전자의 제어에 따라 차량(1)이 주행할 수 있도록 동력을 생성하고, 동력을 이용하여 차량(1)을 주행/제동/조향하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생성 장치(21)와, 동력 전달 장치(22)와, 조향 장치(23)와, 제동 장치(24)와, 차륜(25)와, 프레임(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생성 장치(21)는 차량(1)이 주행하기 위한 회전력을 생성하며, 엔진(21a), 연료 공급 장치(21b), 배기 장치(21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 장치(22)는 동력 생성 장치(21)에 의하여 생성된 회전력을 차륜(25)으로 전달하며, 변속기(22a), 변속 레버, 차동 장치, 구동축(22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장치(23)는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며, 스티어링 휠(23a), 조향 기어(23b), 조향 링크(23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동 장치(24)는 차륜(25)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브레이크 페달, 마스터 실린더(24a), 브레이크 디스크(24b), 브레이크 패드(24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륜(25)은 동력 생성 장치(21)로부터 동력 전달 장치(22)를 통하여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차량(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차륜(25)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과,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6)는 동력 생성 장치(21), 동력 전달 장치(22), 조향 장치(23), 제동 장치(24), 차륜(25)을 고정할 수 있다.
차량(1)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계 부품들뿐만 차량(1)의 제어, 운전자 및 동승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다양한 전장 부품들(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엔진 관리 시스템(Engine Management System, EMS) (31)과, 변속기 제어 유닛(Transmission Control Unit, TCU) (32)과, 전자 제동 시스템(Electronic Braking System, EBS) (33)과, 전동 조향 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EPS) (34)와, 바디 컨트롤 모듈(body control module, BCM) (35)과, 오디오 장치(36)와, 공조 장치(heating/ventilation/air conditioning, HVAC) (37)와, 운전 보조 시스템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38)과, 배터리 센서(39)와, 전력 관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장 부품들(3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B)가 마련될 수 있다.
엔진 관리 시스템(31)은 가속 페달을 통한 운전자의 가속 명령에 응답하여 엔진(21a)의 동작을 제어하고 엔진(21a)을 관리할 수 있다. 엔진 관리 시스템(31)은 엔진(21a)에 주입되는 혼합 가스를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 등을 포함하는 엔진 액추에이터(31b)와, 엔진 액추에이터(31b)의 동작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기(ECU, electric control unit) (31a)를 포함할 수 있다.
변속기 제어 유닛(32)은 변속 레버를 통한 운전자의 변속 명령 또는 차량(1)의 주행 속도에 응답하여 변속기(22a)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변속기 제어 유닛(32)은 변속기(22a)의 기어를 변경하는 시프트 솔레노이드(shift solenoid) 등을 포함하는 변속기 액추에이터(32b)와 변속기 액추에이터(32b)의 동작을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기(ECU) (32a)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제동 시스템(33)은 제동 페달을 통한 운전자의 제동 명령에 응답하여 차량(1)의 제동 장치를 제어하고, 차량(1)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전자 제동 시스템(33)은 제동 압력을 생성하는 펌프/모터 및 제동 압력을 단속하는 밸브 등을 포함하는 제동 액추에이터(33b)와 제동 액추에이터(33b)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동 제어기(ECU) (33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 조향 장치(34)는 운전자가 쉽게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자를 보조할 수 있다. 전동 조향 장치(34)는 보조 조향력을 생성하는 모터 등을 포함하는 조향 액추에이터(34b)와 조향 액추에이터(34b)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향 제어기(ECU) (34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컨트롤 모듈(35)은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거나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전장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디 컨트롤 모듈(35)은 차량(1)에 설치된 도어 잠금 장치, 헤드 램프, 와이퍼, 파워 시트, 시트 히터, 클러스터, 룸 램프, 테일 게이트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잠금 장치, 헤드 램프, 와이퍼, 파워 시트, 시트 히터, 클러스터, 룸 램프, 테일 게이트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기(ECU)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오디오 장치(36)는 음향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다양한 정보와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36)는 운전자의 명령에 따라 내부 저장 매체 또는 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헤드 유닛(36a)과, 재생된 오디오 파일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36b)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조 장치(37)는 차량(1) 외부의 공기 유입을 제어하거나 차량(1) 실내 온도에 따라 실내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할 수 있다. 공조 장치(37)는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를 차량(1)의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팬(37b)과, 차량(1) 실내 온도에 따라 송풍팬(37a)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조 제어기(ECU) (37a)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보조 시스템(38)은 주행 중에 차량(1)의 전방 및 후방의 장애물을 검출하고, 장애물 검출을 운전자에게 경고하거나 차량(1)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운전 보조 시스템(38)은 차량(1)의 전방 및 후방의 장애물을 검출하는 카메라(38b)/레이더(38c)와, 카메라(38b)/레이더(38c)의 동작을 제어하고 카메라(38b)/레이더(38c)의 출력을 처리하는 운전 보조 제어기(ECU) (38a)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B)는 엔진의 회전력으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차량(1)에 포함된 각종 전장 부품들(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주행 중에 발전기는 엔진의 회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으며, 배터리(B)는 발전기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B)는 차량(1)의 주행을 위하여 시동 모터에 엔진의 시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량(1)의 전장 부품들(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 센서(39)는 배터리(B)와 관련된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배터리 센서(39)는 배터리(B)의 출력 전압, 배터리(B)의 입출력 전류, 배터리(B)의 온도 등의 배터리(B)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센서(39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센서(39)는 배터리(B)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배터리(B)의 충전율(State of Charge, SoC) 및 배터리(B)의 수명(State of Health, SoH) 등을 연산하는 센서 제어기(39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100)는 차량(1)에 포함된 전장 부품들(30)을 그 위치에 다라 복수의 그룹들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 장치(100)는 각 그룹들에 포함된 전장 부품들(30)로부터 전장 부품들(30)의 동작 상태 및 전장 부품들(30)의 입력 전압 등을 수집하고, 전장 부품들(30)의 입력 전압에 따라 해당 그룹에 속하는 전장 부품들(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 부품들(30)의 입력 전압이 변동이 심하고 안정화되지 않은 경우,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거나 전장 부품들(30)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100)의 동작은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전장 부품들(30)은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 부품들(30)은 이더넷(Ethernet), 모스트(MOST,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플렉스레이(Flexray),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차량(1)의 전력 시스템 및 전력 관리 장치(100)가 설명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력 시스템 및 전력 관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전기 장치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전력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시동 모터(M)와, 엔진(21a)과, 발전기(G)와, 배터리(B)와, 전기 장치들(40: 40a, 40b, 40c, 40d)과, 전력 관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동 모터(M)와, 엔진(21a)과, 발전기(G)와, 배터리(B)와, 전기 장치들(40: 40a, 40b, 40c, 40d)은 전력선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기 장치들(40: 40a, 40b, 40c, 40d)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시동 모터(M)은 엔진(21a)이 정지 중에 엔진(21a)의 시동을 걸기 위하여 엔진(21a)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시동 모터(M)는 배터리(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엔진(21a)의 시동을 걸기 위하여 시동 모터(M)는 많은 전력을 소비하므로, 배터리(B)는 시동 모터(M)의 동작을 위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충전율(예를 들어, 대략 80% 이상의 충전율)을 유지할 수 있다.
발전기(G)는 전기 에너지 즉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엔진(21a)은 연료의 폭발적 연소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엔진(21a)의 회전력은 변속기(22a)를 거쳐 차륜(25)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엔진(21a)에 의하여 생성된 회전력 중 일부가 발전기(G)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발전기(G)는 엔진(21a)의 회전력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발전기(G)는 예를 들어 회전자 코일(계자 코일, field coil)을 구비한 회전자와 고정자 코일(전기자 코일, armature coil)을 구비한 고정자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자는 엔진(21a)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고정자는 고정될 수 있다. 회전자가 엔진(21a)에 의하여 회전하는 중에 회전자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하는 자계가 발생하며, 회전하는 자계로 인하여 고정자 코일에 유도 전류가 유도된다. 이처럼, 발전기(G)는 엔진(21a)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회전자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회전자가 생성하는 자계의 크기가 변화하며, 고정자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 전류의 크기가 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자의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발전기(G)의 전력 생산량이 조절될 수 있다.
발전기(G)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의 일부는 차량(1)의 전기 장치들(40)에 공급되며, 다른 일부는 차량(1)의 배터리(B)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발전기(G)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은 전기 장치들(40)에 공급되고, 남은 전력은 배터리(B)에 저장될 수 있다.
발전기(G)는 엔진(21a) 인근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21a)이 차량(1)의 앞부분에 위치하면, 발전기(G) 역시 차량(1)의 앞부분 즉 전방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B)는 엔진(21a)의 정지 시에 엔진(21a)의 시동을 걸기 위한 전력을 시동 모터(M)에 공급할 수 있으며, 차량(1)의 전기 장치들(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주행 중에 전기 장치들(40)이 소비하는 전력이 발전기(G)가 생산하는 전력보다 크면 배터리(B)는 전기 장치들(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엔진(21a)이 정지된 주차 중에 배터리(B)는 전기 장치들(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B)는 발전기(G)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납산(Pb-Acid) 배터리 또는 리튬 이온(Li-ion) 배터리를 채용할 수 있다.
배터리(B)는 차량의 뒷부분 즉 후방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전기 장치들(40)은 발전기(G) 및/또는 배터리(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운전자를 보호하거나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전기 장치들(40)은 도 2에 도시된 전기 장치들(30) 예를 들어 엔진 관리 시스템(31)과, 변속기 제어 유닛(32)과, 전자 제동 시스템(33)과, 전동 조향 장치(34)와, 바디 컨트롤 모듈(35)과, 오디오 장치(36)와, 공조 장치(37)와, 운전 보조 (38) 및 배터리 센서(39)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되지 아니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장치들(40)은 제1 전기 장치(40a), 제2 전기 장치(40b), 제3 전기 장치(40c) 및 제4 전기 장치(40d)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장치들(40) 각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전기 장치들(40)과 통신하는 부하 제어 통신부(42)와, 해당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을 측정하는 입력 전압 감지부(43)와, 운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차량(1)을 구동시키는 전기 부하(44)와, 전기 부하(4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기 부하 제어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 제어 통신부(42)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전기 장치들(40)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전기 장치들(40)로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캔 트랜시버(CAN transceiver) (42a)와 캔 트랜시버(42a)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캔 트랜시버(42a)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전기 장치들(40)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통신 데이터를 전기 부하 제어부(41)로 출력할 수 있으며, 전기 부하 제어부(41)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통신 데이터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CNT)를 통하여 전기 장치들(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캔 트랜시버(42a)는 발전기(G) 및/또는 배터리(B)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과 전기 부하(44)의 동작 상태를 전력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력 관리 장치(100)로부터 전기 부하(44)의 동작에 관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전압 감지부(43)는 해당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 센서(43a)와 전압 센서(43a)의 동작을 제어하는 센싱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센서(43a)는 미리 정해진 샘플링 시간마다 해당 전기 장치에 인가되는 전압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값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기 부하 제어부(41)로 출력할 수 있다.
전기 부하(44)는 운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차량(1)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기계적인 동작 및/또는 전기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부하(44)는 모터, 밸브, 열선, 디스플레이 패널, 스피커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전기 부하 제어부(41)의 제어에 따라 회전 운동력을 생성하거나, 병진 운동력을 생성하거나, 광을 출력하거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는 앞서 설명된 엔진 액추에이터(31b), 변속기 액추에이터(32b), 제동 액추에이터(33b), 조향 액추에이터(34b), 스피커(36b), 송풍팬(37b), 카메라(38b)/레이더(38c)일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는 바디 컨트롤 모듈(35)에 의하여 제어되는 도어 잠금 장치, 헤드 램프, 와이퍼, 파워 시트, 시트 히터, 클러스터, 룸 램프, 테일 게이트 등일 수 있다.
전기 부하(44)는 동작 중에 소비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고전력 부하와 저전력 부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열선 등의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전기 부하(44)는 고전력 부하로 구분될 수 있으며, 밸브,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의 비교적 적은 전력을 소비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전기 부하(44)는 저전력 부하로 구분될 수 있다.
전기 부하 제어부(41)는 부하 제어 통신부(42), 입력 전압 감지부(43) 및 전기 부하(4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부하 제어부(41)는 앞서 설명된 엔진 제어기(ECU) (31a), 변속기 제어기(ECU) (32a), 제동 제어기(ECU) (33a), 조향 제어기(ECU) (34a), 바디 컨트롤 모듈(35), 공조 제어기(ECU) (37a) 및 운전 보조 제어기(ECU) (38a) 등일 수 있다.
전기 부하 제어부(41)는 부하 제어 통신부(42)의 통신 데이터와 입력 전압 감지부(43)의 입력 전압값을 처리하고 부하 제어 통신부(42)와 전기 부하(44)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41a)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41a)는 논리 연산 및 산술 연산 등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41a)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프로세서의 연산 처리 결과에 따라 전기 부하(44)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41a)는 입력 전압 감지부(43)로부터 입력 전압값을 수신하고, 입력 전압값을 부하 제어 통신부(42)를 통하여 전력 관리 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41a)는 부하 제어 통신부(42)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통신 데이터에 포함된 부하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 부하(44)를 제어하는 부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전기 부하 제어부(41)는 운전자의 명령 및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 부하(44)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 전압 감지부(43)의 입력 전압값을 전력 관리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부하 제어 통신부(42)를 제어하고, 전력 관리 장치(100)로부터의 부하 제어 명령에 따라 전기 부하(44)를 제어할 수 있다.
전기 장치들(40)은 차량(1) 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기 장치(40a)와 제2 전기 장치(40b)는 차량(1)의 앞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관리 시스템(31), 변속기 제어 유닛(32), 전자 제동 시스템(33), 전동 조향 장치(34), 오디오 장치(36), 공조 장치(37), 운전 보조 시스템(38), 전방 시트 열선, 헤드 램프, 와이퍼 등은 차량(1)의 앞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전기 장치(40c)와 제4 전기 장치(40d)는 차량(1)의 뒷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시트 열선, 테일 게이트 등은 차량(1)의 뒷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100)는 발전기(G) 및/또는 배터리(B)로부터 전기 장치들(40)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기 장치들(40)을 그 위치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각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값에 따라 각각 그룹에 속하는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전기 장치들(40)과 통신하는 전력 관리 통신부(120)와, 전기 장치들(40)의 동작 상태 및 전압 상태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력 관리 저장부(130)와, 전기 장치들(40)의 동작 상태 및 전압 상태에 따라 전기 장치들(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관리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통신부(12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전기 장치들(40)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전기 장치들(40)로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캔 트랜시버(121)와 캔 트랜시버(121)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캔 트랜시버(121)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전기 장치들(40)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통신 데이터를 전기 부하 제어부(41)로 출력할 수 있으며, 전기 부하 제어부(41)로부터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통신 데이터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CNT)를 통하여 전기 장치들(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캔 트랜시버(121)는 전기 장치들(40)에 공급되는 전력의 입력 전압값과 전기 부하(44)의 동작 상태를 전기 장치들(4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전기 장치들(40)로 전기 부하(44)의 동작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저장부(130)는 전기 장치들(40)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과 전기 부하(44)의 동작 상태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131)와, 저장 매체(131)에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삭제/로딩 등을 제어하는 저장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131)는 전기 장치들(40)이 속하는 그룹, 전기 장치들(40)의 현재 동작 상태, 미리 정해진 샘플링 시간마다 측정된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값,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매체(131)는 전력 관리 제어부(110)의 갱신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터 테이블에 포함된 데이터들을 갱신하거나, 독출 제어 신호에 따라 데이터 테이블에 포함된 데이터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 매체(131)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Solid Stat Drive, SSD),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c Drive, HD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제어부(110)는 전력 관리 통신부(120) 및 전력 관리 저장부(1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전기 장치들(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제어부(110)는 전력 관리 통신부(120)의 통신 데이터 및 전력 관리 저장부(130)의 저장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기 장치들(40)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메시지를 생성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11)는 논리 연산 및 산술 연산 등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11)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프로세서의 연산 처리 결과에 따라 전기 장치들(40)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111)는 전력 관리 통신부(120)로부터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값을 수신하고,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값을 전력 관리 저장부(130)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111)는 전력 관리 저장부(130)에 저장된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값으로부터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를 산출할 수 있으며,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에 따라 해당 그룹에 속하는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전력 관리 제어부(110)는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값을 저장하도록 전력 관리 저장부(130)를 제어하고,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에 따라 전기 장치들(40)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메시지를 전기 장치들(40)로 전송하도록 전력 관리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전력 관리 제어부(110)는 발전기(G) 및/또는 배터리(B)로부터 전기 장치들(40)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전기 장치들(40)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값에 따라 각각의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40)을 모두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전기(G) 및/또는 배터리(B)로부터 전기 장치들(40)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차량(1) 및 전력 관리 장치(100)의 동작이 설명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력 관리를 위한 전기 장치들의 그룹화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기 장치들의 그룹화를 위한 전기 장치들의 전압 변동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전기 장치들의 그룹화 방법에 의한 전기 장치들의 그룹화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 도 7 및 도 8과 함께, 차량(1)의 전력 관리를 위한 전기 장치들(40)의 그룹화 방법(1000)이 설명된다.
차량(1)은 전기 장치들(40)이 설치된 위치에 따라 전기 장치들(40)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한다(1010).
차량(1)의 전력 관리 장치(100)는 차량(1) 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설치된 전기 장치들(40)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장치(100)는 차량(1)을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제1 전기 장치(40a)와 제2 전기 장치(40b)는 차량(1)의 전방 영역에 위치하고, 제3 전기 장치(40c)와 제4 전기 장치(40d)는 차량(1)의 후방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관리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전기 장치(40a) 및 제2 전기 장치(40b)를 제1 그룹(G1)으로 그룹화하고,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제3 전기 장치(40c) 및 제4 전기 장치(40d)를 제2 그룹(G2)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후, 차량(1)은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에 따라 전기 장치들(40)을 복수의 그룹으로 재구분한다(1020).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기 장치들(40)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기초로 전기 장치들(40)을 복수의 그룹으로 재구분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기 장치들(40)로부터 입력 전압값을 수신하고,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에 따라 전기 장치들(40)을 그룹화할 수 있다.
전기 장치들(40) 중 어느 하나의 전기 장치가 많은 전력을 소비하면, 해당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해장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 역시 함께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감소 크기는 해당 전기 장치로부터 멀고 전원(예를 들어, 발전기 또는 배터치)으로부터 가까울수록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기 장치(40a)가 많은 전력을 소비하면 제1 전기 장치(40a)의 입력 전압이 변동된다. 제1 전기 장치(40a)의 압력 전압의 변동은 제2 전기 장치(40b), 제3 전기 장치(40c) 및 제4 전기 장치(40d)의 입력 전압에도 영향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전기 장치(40a)의 압력 전압의 변동에 의한 제2 전기 장치(40b)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제3 및 제4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보다 크다. 또한, 제2 전기 장치(40b)의 압력 전압의 변동에 의한 제1 전기 장치(40a)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제3 및 제4 전기 장치(40c,40d)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보다 크다.
제3 전기 장치(40c)의 압력 전압의 변동에 의한 제4 전기 장치(40d)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제1 및 제2 전기 장치(40a ,40b)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보다 크다. 또한, 제4 전기 장치(40d)의 압력 전압의 변동에 의한 제3 전기 장치(40c)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제1 및 제2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보다 크다.
전력 관리 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관된 제1 전기 장치(40a) 및 제2 전기 장치(40b)을 제1 그룹(G1)으로 그룹화하고, 전기적으로 서로 연관된 제3 전기 장치(40c) 및 제4 전기 장치(40d)을 제2 그룹(G2)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아, 전력 관리 장치(100)는 차량(1)의 전기 장치들(40)을 위치 및/또는 전기적 연결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력 관리를 위한 전기 장치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어 방법에 따라 전기 장치들의 동작 상태와 입력 전압을 저장하는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제어 방법에 따라 전기 장치들을 제어하는 일 예가 도시된다.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와 함께, 차량(1)의 전력 관리를 위한 전기 장치들(40)의 제어 방법(1100)이 설명된다.
차량(1)은 전기 장치들(40)의 전압 상태 및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1110).
차량(1)의 전력 관리 장치(10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을 통하여 전기 장치들(40)로부터 입력 전압값 및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기 장치들(40) 각각은 입력 전압 감지부(43)를 통하여 발전기(G) 또는 배터리(B)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장치들(40) 각각은 측정된 전압값을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을 통하여 전력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기 장치들(40) 각각은 전기 부하(44)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장치들(40) 각각은 전기 부하(44)가 동작 수행 중인지 또는 동작 중지 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전기 부하(44)의 동작 수행 중인 경우 전기 부하(44)의 동작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장치들(40) 각각은 전기 부하(44)가 동작 수행 중인지 여부 및 전기 부하(44)의 동작 레벨을 포함하는 동작 상태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을 통하여 전력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1)은 전기 장치들(40)의 전압 상태 및 동작 상태를 그룹 별로 저장한다(1120).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기 장치들(40)의 전압 상태 및 동작 상태를 전력 관리 저장부(130)의 데이터 테이블에 그룹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장치(100)는 도 10에 도시된 정보를 전력 관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는 그룹들의 식별 정보(210), 전기 장치들의 식별 정보(220), 그룹들의 기준 변동 크기(230), 전기 장치들(40)의 동작 상태(240),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250) 및 전기 장치들(40)의 전압 변동 크기(2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룹들의 식별 정보(210)는 앞서 설명된 그룹화 동작(1000)에 의하여 구분된 그룹들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들은 제1 그룹(G1)과 제2 그룹(G2)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장치들의 식별 정보(220)는 차량(1)에 포함된 전기 장치들(40)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장치들(40)은 제1 그룹(G1)에 속하는 제1 전기 장치(40a) 및 제2 전기 장치(40b)와 제2 그룹(G2)에 속하는 제3 전기 장치(40c) 및 제4 전기 장치(40d)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변동 크기(230)는 그룹들 각각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에 대하여 허용되는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기준 변동 크기(230)는 각 그룹들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동작 상태(240)는 전기 장치들(4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전기 장치들(40)의 동작 수행 여부 및/또는 동작 레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상태(240)는 "on" 또는 "off" 또는 "동작 레벨"로 표시될 수 있다.
입력 전압(250)은 전기 장치들(4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값을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입력 전압(250)은 현재 전기 장치들(40)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나타낼 수 있다.
전압 변동 크기(260)는 미리 정해진 시간 사이에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값의 변동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전압 변동 크기(260)는 입력 전압(250)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사이의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판단할 수 있으며, 입력 전압값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로부터 입력 전압값의 변동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압 변동 크기(260)는 전기 장치들(40)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의 안정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차량(1)은 전기 장치들(40)의 전압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큰지를 판단한다(1130).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력 관리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의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 변동 크기(260)와 그룹들의 기준 변동 크기(230)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로부터 전기 장치들(40)의 전압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기 장치들(40)의 전압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지 않으면(1130의 아니오), 차량(1)은 전기 장치들(40)의 전압 상태 및 동작 상태의 수집 및 저장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기 장치(40a)로부터 수신된 입력 전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V[Volt]에서 14V 사이에서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기 장치(40a)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는 제1 그룹(G1)의 기준 변동 크기인 2V보다 작다. 따라서, 전력 관리 장치(100)는 다른 전기 장치로부터 전압 상태 및 동작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전기 장치(40c)로부터 수신된 입력 전압 역시 12V에서 13V 사이에서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전기 장치(40c)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는 제2 그룹(G2)의 기준 변동 크기인 1V보다 작다. 따라서, 전력 관리 장치(100)는 다른 전기 장치로부터 전압 상태 및 동작 상태를 수신할 수 있다.
전기 장치들(40)의 전압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1130의 예), 차량(1)은 해당 전기 장치의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의 출력을 저감시킨다(1140).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압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전기 장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 모두의 출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기 장치(40a)로부터 수신된 입력 전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V에서 14V 사이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기 장치(40a)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는 제1 그룹(G1)의 기준 변동 크기인 2V보다 크다.
따라서,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제1 그룹(G1)에 속하는 제1 전기 장치(40a)와 제2 전기 장치(40b)의 출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관리 장치(10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제1 전기 장치(40a)와 제2 전기 장치(40b)로 출력 저감 명령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100)의 출력 저감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제1 전기 장치(40a)와 제2 전기 장치(40b) 각각의 전기 부하(44)의 출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3레벨로 동작하는 제2 전기 장치(40b)는 전기 부하(44)의 동작 레벨을 2레벨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 장치의 출력이 저감된 이후, 전력 관리 장치(100)는 출력이 저감된 제1 전기 장치(40a)의 입력 전압 변동 크기를 다시 산출할 수 있다. 출력이 저감된 이후 제1 전기 장치(40a)의 입력 전압 변동 크기가 여전히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위하여 모든 제1 전기 장치(40a)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후, 차량(1)은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 변동 크기를 체크하였는지를 판단한다(1150).
전력 관리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순서 또는 임의의 순서로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 변동 크기를 체크할 수 있으며,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 변동 크기가 체크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 변동 크기를 체크하지 아니하였으면(1150의 아니오), 차량(1)은 전기 장치들(40)의 전압 상태 및 동작 상태의 수집 및 저장을 반복할 수 있다.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 변동 크기를 체크하였으면(1150의 예), 차량(1)은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큰지를 판단한다(1160).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력 관리 저장부(130)에 저장된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 변동 크기(260) 모두가 각 그룹들의 기준 변동 크기(230)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지 않으면(1160의 아니오), 차량(1)은 전기 장치들(40)의 전압 상태 및 동작 상태의 수집 및 저장을 반복할 수 있다.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1160의 예), 차량(1)은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동작을 중지시킨다(1170).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기 장치들(40)로의 전력 공급에 이상이 있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장치들(40)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력 관리 장치(100)는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기 장치(40a)로부터 수신된 입력 전압은 12V에서 14V 사이의 범위를 벗어나며, 제3 전기 장치(40c)로부터 수신된 입력 전압의 변동은 12V에서 13V 사이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제2 전기 장치(40b)와 제4 전기 장치(40d)의 입력 전압의 변동 역시 기준 변동 크기를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제1 그룹(G1) 및 제2 그룹(G2)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40)의 출력을 중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력 관리 장치(100)는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관리 장치(10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제1, 제2, 제3 및 제4 전기 장치(,)로 동작 중지 명령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100)의 동작 중지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제2, 제3 및 제4 전기 장치(,)는 동작을 중지하고, 운전자에게 동작 중지를 경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전기 장치들(40)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감시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 변동이 미리 정해진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차량(1)은 해당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의 모든 전기 장치들의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또는 위치 상으로 인접한 다른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이 안정활 수 있다. 다시 말해, 국부적인 전압의 불안정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전기 장치들(40)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 변동이 미리 정해진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차량(1)은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차량(1)은 차량 내 전력 공급 시스템의 불안정을 감시할 수 있으며, 전력 공급 시스템의 불안정이 감지되면 전기 장치들(40)을 전력 공급의 불안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차량(1)의 전력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전력 시스템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전력 시스템에서도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기 장치들(40)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력 시스템 및 전력 관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구성 중에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것은 도 3의 참조 번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이용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시동 모터(M)와, 엔진(21a)과, 발전기(G)와, 제1 배터리(B1)와, 제2 배터리(B2)와, 전기 장치들(40: 40a, 40b, 40e)과, 제1 직류 전압 변환기 (51)와, 전력 관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비교하여, 제2 배터리(B2)와 제5 전기 장치(40e)와 제1 직류 전압 변환기(51)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시동 모터(M)와, 엔진(21a)과, 발전기(G)는 도 3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배터리(B1)와 제2 배터리(B2)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차량(1)의 전기 장치들(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배터리(B1)는 제1 전압의 전력을 출력하고 제2 배터리(B2)는 제1 전압과 상이한 제2 전압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터리(B1)는 12V의 전력을 출력하고, 제2 배터리(B2)는 48V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배터리(B1)와 제2 배터리(B2)는 차량의 뒷부분 즉 후방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직류 전압 변환기(51)는 제1 배터리(B1)와 제2 배터리(B2) 사이에 마련되어, 제1 배터리(B1)의 제1 전압을 제2 배터리(B2)의 제2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전압이 제2 전압보다 큰 경우 제1 직류 전압 변환기(51)는 승압 컨버터(High DC-DC Convertor, HD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전압이 제2 전압 보다 작은 경우 제1 직류 전압 변환기(51)는 감압 컨버터(Low DC-DC Convertor, LDC)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장치들(40)은 발전기(G), 제1 배터리(B1), 제2 배터리(B2) 및/또는 제1 직류 전압 변환기(5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운전자를 보호하거나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1 전기 장치(40a)와 제2 전기 장치(40b)는 제1 배터리(B1) 및/또는 발전기(G)로부터 제1 전압의 전력을 공급받고, 제5 전기 장치(40e)는 제2 배터리(B2) 및/또는 제1 직류 전압 변환기(51)로부터 제2 전압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100)는 발전기(G), 제1 배터리(B1), 제2 배터리(B2) 및/또는 제1 직류 전압 변환기(51)로부터 전기 장치들(40)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기 장치들(40)을 그 위치 및/또는 입력 전압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각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값에 따라 각각 그룹에 속하는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제1 전기 장치(40a)와 제2 전기 장치(40b)를 제1 그룹(G1)으로 그룹화하고, 제5 전기 장치(40e)를 제2 그룹(G2)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제1 전기 장치(40a)와 제2 전기 장치(40b)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에 따라 제1 그룹(G1)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40a, 40b)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기 장치(40a)와 제2 전기 장치(40b)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제1 그룹(G1)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40a, 40b)의 출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제5 전기 장치(40e)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에 따라 제2 그룹(G2)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40e)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전기 장치(40e)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제2 그룹(G2)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40e)의 출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력 시스템 및 전력 관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구성 중에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것은 도 3의 참조 번호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이용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시동 모터(M)와, 엔진(21a)과, 발전기(G)와, 배터리(B)와, 전기 장치들(40: 40a, 40b, 40c, 40d)과, 제2 직류 전압 변환기 (52)와, 전력 관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비교하여, 제2 직류 전압 변환기(52)가 더 추가될 수 있으며, 배터리(B)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시동 모터(M)와, 엔진(21a)과, 발전기(G)는 도 3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할 수 있다.
배터리(B)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차량(1)의 전기 장치들(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B)는 차량의 앞부분 즉 전방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전기 장치들(40)은 발전기(G) 및/또는 배터리(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운전자를 보호하거나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전기 장치(40a)와 제2 전기 장치(40b)는 차량(1)의 앞부분 즉 전방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전기 장치(40c)와 제4 전기 장치(40d)는 차량(1)의 뒷부분 즉 후방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직류 전압 변환기(52)는 제1 및 제2 전기 장치(40a, 40b)와 제3 및 제4 전기 장치(40c, 40d) 사이에 마련되며, 제3 및 제4 전기 장치(40c, 40d)에 변환된 전압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전기 장치(40c, 40d)는 차량(1)의 전방에 위치하는 발전기(G) 및/또는 배터리(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발전기(G) 및/또는 배터리(B)로부터 제3 및 제4 전기 장치(40c, 40d)까지 전력을 송전하는 중에 전력선의 저항 또는 제1 및 제2 전기 장치(40a, 40b)의 전력 소비 등으로 인하여, 제3 및 제4 전기 장치(40c, 40d)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은 발전기(G) 및/또는 배터리(B)로부터 출력된 전력의 전압(기준 전압)보다 낮아질 수 있다.
제2 직류 전압 변환기(52)는 제3 및 제4 전기 장치(40c, 40d)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을 발전기(G) 및/또는 배터리(B)로부터 출력된 전력의 전압(기준 전압)까지 승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100)는 발전기(G), 배터리(B) 및/또는 제2 직류 전압 변환기(52)로부터 전기 장치들(40)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값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전기 장치들(40)을 그 위치 및/또는 입력 전압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각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40)의 입력 전압값에 따라 각각 그룹에 속하는 모든 전기 장치들(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제1 전기 장치(40a)와 제2 전기 장치(40b)를 제1 그룹(G1)으로 그룹화하고, 제3 전기 장치(40c)와 제4 전기 장치(40d)를 제2 그룹(G2)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제1 전기 장치(40a)와 제2 전기 장치(40b)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에 따라 제1 그룹(G1)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40a, 40b)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기 장치(40a)와 제2 전기 장치(40b)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제1 그룹(G1)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40a, 40b)의 출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제3 전기 장치(40c)와 제4 전기 장치(40d)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에 따라 제2 그룹(G2)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40c, 40d)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전기 장치(40c)와 제4 전기 장치(40d)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전력 관리 장치(100)는 제2 그룹(G2)에 속하는 전기 장치들(40c, 40d)의 출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력 관리 장치(100)는 다양한 차량(1)의 전력 시스템에서 전기 장치들(40)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차량 20: 차대
21: 동력 생성 장치 21a: 엔진
22: 동력 전달 장치 22a: 변속기
23: 조향 장치 24: 제동 장치
25: 차륜 26: 프레임
30: 전장 부품들 40: 전기 장치들
40a: 제1 전기 장치 40b: 제2 전기 장치
40c: 제3 전기 장치 40d: 제4 전기 장치
40e: 제5 전기 장치 41: 전기 부하 제어부
42: 부하 제어 통신부 43: 입력 전압 감지부
44: 전기 부하 51: 제1 직류 전압 변환기
52: 제2 직류 전압 변환기 100: 전력 관리 장치
110: 전력 관리 제어부 120: 전력 관리 통신부
130: 전력 관리 저장부 B: 배터리
B1: 제1 배터리 B2: 제2 배터리
G: 발전기 G1: 제1 그룹
G2: 제2 그룹(G2)

Claims (20)

  1. 발전기;
    배터리;
    상기 발전기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복수의 전기 장치들;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 각각은 상기 상기 발전기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입력 전압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전력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의 출력을 저감시키는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상기 전기 장치의 출력을 저감시킨 이후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상기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차량.
  8. 제1 그룹에 속하는 제1 전기 장치 및 제2 전기 장치;
    제2 그룹에 속하는 제3 전기 장치;
    상기 제1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을 수집하고, 상기 제1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에 따라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제1 및 제2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기 장치가 설치된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장치를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3 전기 장치를 상기 제2 그룹으로 분류하는 차량.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기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기초로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장치를 상기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3 전기 장치를 상기 제2 그룹으로 분류하는 차량.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제1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제1 및 제2 전기 장치들의 출력을 저감시키는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기 장치들의 출력을 저감시킨 이후 상기 제1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상기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차량.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장치는 상기 제2 및 제3 전기 장치들의 입력 전압을 수집하고, 상기 제2 및 제3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상기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차량.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전기 장치들 각각은 입력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입력 전압을 상기 전력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차량.
  15. 차량 내 복수의 전기 장치들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전력 관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을 복수의 그룹들로 분류하는 전력 관리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의 출력을 저감시키는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관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가 속하는 그룹에 속하는 전기 장치의 출력을 저감시키는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한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상기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관리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입력 전압의 변동 크기가 기준 변동 크기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관리 장치.
KR1020170122313A 2017-09-22 2017-09-22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 KR102403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13A KR102403353B1 (ko) 2017-09-22 2017-09-22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
US15/832,501 US11040675B2 (en) 2017-09-22 2017-12-05 Vehicle and power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13A KR102403353B1 (ko) 2017-09-22 2017-09-22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63A true KR20190033763A (ko) 2019-04-01
KR102403353B1 KR102403353B1 (ko) 2022-06-02

Family

ID=6580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13A KR102403353B1 (ko) 2017-09-22 2017-09-22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40675B2 (ko)
KR (1) KR102403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1372B2 (ja) * 2018-12-25 2022-09-06 住友電装株式会社 車載通信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383A (ko) * 2000-09-25 2002-03-30 이계안 자동차의 와이어링 시스템
JP2002200948A (ja) * 2000-12-28 2002-07-16 Denso Corp 車両用配電装置
KR100348839B1 (ko) * 1994-08-05 2002-11-05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전원공급장치
JP2004142662A (ja) * 2002-10-25 2004-05-20 Denso Corp 車両用負荷駆動制御装置
US20150349471A1 (en) * 2014-05-30 2015-12-03 Yazaki Corporation Vehicle harness structure and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171A (ja) 2004-01-27 2005-08-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バッテリーから負荷への給電方法及び給電制御装置並びに自動車
JP4874617B2 (ja) 2005-10-04 2012-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JP5019571B2 (ja) 2006-09-29 2012-09-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車両用負荷制御システム
JP4983941B2 (ja) * 2010-03-02 2012-07-25 株式会社デンソー 通電制御装置
KR101206632B1 (ko) 2010-03-31 2012-11-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산 제어용 제어 모듈을 이용한 와이어링 하니스의 부하 감지 시스템
JP2013116703A (ja) * 2011-12-05 2013-06-13 Denso Corp 車両用電力管理システム、車両用電力情報管理装置、及び車両用電気負荷
DE102011087828A1 (de) 2011-12-06 2013-06-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Netzwerk-Komponente für ein Fahrzeug-Netzwerk und entsprechendes Fahrzeug-Netzwerk
JP5872502B2 (ja) 2013-03-28 2016-03-0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電源システム
JP6458079B2 (ja) * 2017-05-19 2019-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839B1 (ko) * 1994-08-05 2002-11-05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전원공급장치
KR20020024383A (ko) * 2000-09-25 2002-03-30 이계안 자동차의 와이어링 시스템
JP2002200948A (ja) * 2000-12-28 2002-07-16 Denso Corp 車両用配電装置
JP2004142662A (ja) * 2002-10-25 2004-05-20 Denso Corp 車両用負荷駆動制御装置
US20150349471A1 (en) * 2014-05-30 2015-12-03 Yazaki Corporation Vehicle harness structure and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40675B2 (en) 2021-06-22
KR102403353B1 (ko) 2022-06-02
US20190092256A1 (en)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2312B (zh) 经由使用单根导线的双向通讯控制遮板
US107664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o electronic control unit of vehicle
US201602974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control, response and energy management of a vehicle
KR20180065499A (ko) 차량,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전력 분배 장치
JP6673244B2 (ja) 車両用制御システム
KR20200070906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90366956A1 (en) Vehicle p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8352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및 엔진 제어 방법
US8181358B2 (e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10910966B2 (en) Vehicle system, motor control system and motor control method
US20180141508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03353B1 (ko) 차량 및 전력 관리 장치
KR102606983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528233B1 (ko) 차량, 그 제어 방법 및 차량용 전력 관리 장치
KR20220035612A (ko) 차량, 그 제어 방법 및 전력 제어 장치
KR102626326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666657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2389537A (zh) 车辆及其控制方法
US20230398899A1 (en) Power control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2673674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CN117087576A (zh) 电力控制装置及具有电力控制装置的车辆
US20230205294A1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2007126050A (ja) 車両用電力マネジメント装置
KR20200042129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7621826A (zh) 电力网域控制器及具有该电力网域控制器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