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411A - 고체 비누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체 비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411A
KR20190032411A KR1020197003530A KR20197003530A KR20190032411A KR 20190032411 A KR20190032411 A KR 20190032411A KR 1020197003530 A KR1020197003530 A KR 1020197003530A KR 20197003530 A KR20197003530 A KR 20197003530A KR 20190032411 A KR20190032411 A KR 20190032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soap
soap
weight
soli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콘스탄틴
마가렛 조안 콘스탄틴
헬렌 엘리자베스 앰브로슨
로웨나 재클린 버드
사이먼 콘스탄틴
위즐리 버리지
다니엘 캠벨
Original Assignee
코스메틱 워리어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메틱 워리어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코스메틱 워리어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3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41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20Shaping in the form of small particles, e.g. powder or fl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2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on alkali or ammonium soap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적어도 70 중량% 비누, 0.01 내지 15 중량% 물을 포함하고, 7 내지 9.5의 pH를 갖는 (미립자 형태의) 고체 비누 조성물. (a) 수산화물 용액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접촉시켜 비누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혼합물이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0 내지 70℃에서 (a)를 교반하는 단계; (c) 130 내지 170℃에서 (b)를 경화시켜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제조 방법. (a) 비누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고체 비누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a)를 가열하여 액체 형태의 비누 베이스를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비누 베이스를 글리세롤과 접촉시켜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b)를 몰드에 붓고 굳어지게 하여 고체 비누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체 세정용 고체 비누 제품의 생산 방법으로, 고체 비누 제품은 0.01 내지 35 중량%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 중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되는 것인 방법.

Description

고체 비누 조성물
본 발명은 고체 비누 조성물, 상기 고체 비누 조성물을 생산하는 방법, 상기 고체 비누 조성물로부터 고체 비누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본원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품, 특히 인체와 접촉하여 사용하기 위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수천년 동안, 비누는 피부와 옷을 세척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세정제(cleansing agent)로서 가장 먼저 기록된 비누 사용은 BC 2800년 경 고대 바빌론에서였으며, 여기서 물, 시나몬 오일 및 용해된 재(ash)로 형성된 비누가 옷을 세탁하고 직조용 양모를 제조하는데 사용되었다. 이집트 사람들 또한 개인위생, 의학적 적용 및 의복(garment)의 효과적인 세탁을 목적으로 한 비누 유도체의 사용을 입증하였다. 실제, 이집트 사람들은 식물성 지방을 이용한 비누 제조법을 갖춘 반면, 그리스 사람들은 재, 물, 사이프러스 오일 및 참기름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로마의 과학자 플리니우스(Pliny the Elder)의 박물지(Historia Naturalis)가 간행된 AD 77년이 지난 후에야 비로소 사포(sapo, 비누의 라틴어)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 이 책은 우지(tallow)와 재로부터의 사포의 제조와 머릿기름으로서의 이의 용도를 논하고 있다. 그러나 몸에서 불순물을 씻어내기 위한 비누의 용도를 묘사한 사람은 AD 300년의 유명한 로마의 의사 갈렌(Galen)이었다.
세정제 및 개인 위생제로서 비누의 매력은 커졌으나, 비누가 반산업화되고 개인 위생에서의 역할이 이해된 15세기 및 16세기 이후에서야 비로소, 비누는 산업화된 국가에서 보편적으로 허용되는 세정 제품이 되었다. 16세기에는 양질의 비누에 대한 수요가 생겨나, 해당 산업은 동물성 지방에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질 좋은 식물성 오일로 옮겨갔다. 잠재적으로 유해한 미생물의 개체군 크기를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위생의 역할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되자, 비누의 사용은 산업화된 국가에서 범용화되었다. 유럽과 미국에서 광고 캠페인이 청결과 건강 사이의 관계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촉진함에 따라, 산업적으로 제조된 막대형 비누가 18세기 후반에 처음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비누 화학은 비교적 간단하고; 비누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지방산과 알칼리 사이의 중화반응으로부터 글리세린과 함께 제조되는 이온성 화합물이다. 지방산 공급원은 전형적으로 식물성 오일과 버터에서 유래되며, 비누에 사용되는 버터 또는 오일의 조합이 비누의 특성을 결정할 것이다. 예를 들어, 코코넛 오일 또는 팜 오일과 같은 라우르산(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오일은 극미량의 수준만을 함유하는 올리브 오일 또는 코코아 버터와 비교하여 다량의 비누 거품을 생성할 것이다.
비누 제조에 사용되는 알칼리는 전형적으로 수산화나트륨(또는 액체 비누의 경우 수산화칼륨)이다. 수산화나트륨은 증류수 또는 탈이온수로 30 내지 50% 용액으로 희석된다. 물에 존재할 수 있는 과량의 중금속이 비누화 반응(saponification reaction)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증류수/탈이온수가 사용된다. 이 용액의 생성은 발열 반응(exothermic reaction)이다. 다음으로,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볍게 교반하고, 30 내지 50℃ 사이로 냉각시킨다. 두 개의 상(phase)이 비슷한 온도가 되면,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지방산과 혼합한다. 대부분의 비누화 반응은 5 내지 10분 이내에 완료된다. 그러나 이 비누가 미용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pH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하여 비누를 경화시키는 데 최대 2개월이 소요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비누는 전형적으로 비누화 과정이 완전히 완료되도록 보장하고, 비누로부터 충분한 물이 증발되어 비누가 경화되도록 하기 위해 경화된다. 따라서, 비누의 생산시 경화 단계 동안, 비누의 pH는 전형적으로 비누화 반응이 완료됨에 따라 감소한다.
비누는 효과적인 세정제이지만, 비누가 연약하고 민감한 피부에 홍반(erythema), 각화(scaling) 및 균열(fissure) 형성과 같은 건조 및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는 비누의 알칼리성과 상부 표피(upper epidermis)(각질층(stratum corneum))의 피부 세균총, 효소 활성 및 피부와 모발에서 발견되는 자연 발생적인 기름에 악영향을 미치는 비누의 세정 작용 때문이다.
본 발명은 연약하고 민감한 피부 유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조성물 및 신속한 경화 단계로 고체 비누 조성물을 생산하는 방법을 추구한다.
요약
제1 양태에서는,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에서 비누 조성물은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한다.
제2 양태에서는,
(a) 수산화물 용액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접촉시켜 비누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비누화 혼합물을 혼합물이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
(c)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을 경화시켜 비누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누 조성물의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제3 양태에서는,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생산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a) 비누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고체 비누 베이스(base)를 제공하는 단계;
(b) 고체 비누 베이스를 가열하여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비누 베이스를 글리세롤과 접촉시켜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비누 액체 혼합물을 몰드에 붓고, 굳어지게(set) 하여 고체 비누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그리고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된다.
제4 양태에서는,
(a) 비누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고체 비누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고체 비누 베이스를 가열하여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비누 베이스를 글리세롤과 접촉시켜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비누 액체 혼합물을 몰드에 붓고, 굳어지게 하여 고체 비누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부터 수득되거나 수득될 수 있는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이 제공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그리고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된다.
피부는 인체와 그 외부 환경 사이에 보호 장벽을 형성하는 복합적이고 동적인 생리학적 평형을 포함한다. 수화 수준, 온도 및 pH와 같은 핵심적인 물리화학적 특징은 피부의 생리학적 평형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인자에 반응하여 유지되고 조정된다.
피부의 자연적인 pH는 각질층 지질, 각질층 수화 수준, 피부의 장벽 기능 및 피부 세균총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전반적인 생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부의 자연적인 pH는 일반적으로 산성막(acid mantle)이라 지칭되는 산성 보호 장벽 때문에 5.4 내지 5.9 사이의 범위인 것으로 인정된다. 산성막은 락트산, 우로칸산 및 궁극적으로 피지를 생성하는 지방산 유도체와 같은 피지샘(sebaceous) 및 에크린땀샘(eccrine sweat gland)으로부터의 분비물을 포함하는 수지질층(hydrolipid layer)이다.
기존의 비누를 이용한 피부 세정은 피부 pH의 일시적인 증가를 가져와 피부의 생리학적 평형에 영향을 미치고 잠재적으로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H가 전형적으로 10 내지 11 범위인 기존의 비누를 이용함으로써, 피부의 pH는 수시간 동안 3개 단위만큼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부의 보호 장벽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7 내지 9.5의 pH를 갖는 비누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비누 조성물과 비교할 때 실질적으로 더 순한 세정 작용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연약하거나 민감한 피부 유형의 자극 또는 건조를 초래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참조의 용이함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이들 양태 및 추가적인 양태는 적절한 섹션 표제하에 논의된다. 그러나 각 섹션의 교시는 각각의 특정 섹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
고체 비누 조성물
본원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에서 비누 조성물은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한다.
본원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고체 제품은 외부 수단, 예를 들어 포장 등에 의해 지지되지 않을 때 물리적 형태를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조성물이다. 따라서, 이들은 실온에서 고체, 고체 유사(solid-like), 고체 형태 또는 고체 유사 형태인 것으로 간주된다. 의심의 여지를 없애기 위해, 고체 제품은 최대 30℃에서 실질적으로 여전히 고체여야 한다.
고체 유사의 경우, 일부 물질, 예를 들어 유리 등과 같은 비정질 물질은 날마다 고체로 간주되지만, 매우 오랜 기간 동안 형태가 바뀔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들은 고체라는 것을 충족시키기 위해, 고체 유사인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고체 조성물의 고체 형태는 조성물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 포장이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비누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비누는 강알칼리 용액을 사용하여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비누화에 의해 생성된 지방산의 염이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비누는 1종 이상의 지방산의 나트륨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8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82.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8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의 70 내지 10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75 내지 9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8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대략 8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비누, 물 및 글리세롤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본원에서 사용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consists essentially of)"은 조성물의 필수적인 특징이 이들의 존재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받지 않는 한, 다른 특정되지 않은 성분 또한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비누, 물 및 글리세롤로 이루어진다.
본원에 기술된 비누 조성물에 존재하는 비누는 임의의 적합한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비누는 비누화된 식물성 오일, 비누화된 식물성 버터 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일 양태에서, 비누는 비누화된 식물성 오일이다. 일 양태에서, 비누는 비누화된 식물성 버터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는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지방산의 염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포화 지방산(saturated fatty acid)"은 각각의 지방산 사슬이 단일 탄소-탄소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각각의 지방산 사슬이 포화된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불포화 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은 적어도 하나의 지방산 사슬이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포함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방산 사슬이 불포화된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을 의미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1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화 지방산 염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1 내지 7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1 내지 72.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1.25 내지 7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1.25 내지 67.5 중량%의 양으로 포화 지방산 염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총 비누량의 1 내지 8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총 비누량의 1.5 내지 75 중량%의 양으로 포화 지방산 염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15 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불포화 지방산 염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15 내지 99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17.5 내지 98.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20 내지 98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20 내지 9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2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불포화 지방산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15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불포화 지방산 염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총 비누량의 20 내지 10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총 비누량의 22.5 내지 98 중량%의 양으로 불포화 지방산 염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4 중량%의 양으로, 8개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C8)를 갖는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4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10개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C10)를 갖는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24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23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22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21.5 중량%의 양으로, 12개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C12)를 갖는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9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01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05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14개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C14)를 갖는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1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2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3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4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6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7 내지 2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8 내지 2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9 내지 25 중량%로, 16개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C16)를 갖는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1 내지 99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5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1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15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2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25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3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35 내지 9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40 내지 9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41 내지 88 중량%로, 18개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C18)를 갖는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2 내지 9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3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4 내지 7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5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5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20개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C20)를 갖는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4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22개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C22)를 갖는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4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01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에서 지방산 총량의 0.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24개 탄소 원자의 탄소 사슬 길이(C24)를 갖는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는 식물성 버터 및/또는 식물성 오일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식물성 버터는 코코아 버터, 일립(illipe) 버터, 무루무루(murumuru) 버터, 코쿰(kokum) 버터, 알로에 버터, 아보카도 버터, 쿠푸아수(cupuacu) 버터, 마카다미아 너트 버터, 망고 버터, 올리브 버터, 시어 버터, 코코넛 버터, 호박씨 버터, 땅콩 버터, 아몬드 버터, 커피콩 버터, 정제 버터, 대마씨 버터, 모카치노 버터, 피스타치오 너트 버터, 시알로(shealoe) 버터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식물성 오일은 해바라기 오일, 아몬드 오일, 참깨 오일, 로즈힙 오일, 아몬드 오일, 라즈베리씨 오일, 호호바 오일, 아보카도 오일, 피마자 오일, 코코넛 오일, 유채씨 오일, 모링가 오일, 올리브 오일, 포도씨 오일, 아르간 오일, 바오밥 오일, 칼라하리 멜론 오일, 브라질 너트 오일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는 코코아 버터, 시어 버터, 아보카도 오일, 아르간 오일, 해바라기 오일, 칼라하리 멜론 오일, 바오밥 오일, 피마자 오일, 코코넛 오일, 유채씨 오일,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성 버터 및/또는 식물성 오일로부터 유래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고,
여기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의 1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의 15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한다.
pH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7 내지 9.5의 pH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7 내지 9.5, 예컨대 7 내지 9.4, 예컨대 7 내지 9.3, 예컨대 7 내지 9.2, 예컨대 7 내지 9.1, 예컨대 7 내지 9, 예컨대 7 내지 8.9의 pH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7.1 내지 9.5, 예컨대 7.2 내지 9.5, 예컨대 7.3 내지 9.5, 예컨대 7.4 내지 9.5, 예컨대 7.5 내지 9.5, 예컨대 7.6 내지 9.5, 예컨대 7.7 내지 9.5, 예컨대 7.8 내지 9.5, 예컨대 7.9 내지 9.5의 pH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7.1 내지 9.5, 예컨대 7.1 내지 9.3, 예컨대 7.5 내지 9.5, 예컨대 7.5 내지 9.3, 예컨대 7.9 내지 9.5, 예컨대 7.9 내지 9.3, 예컨대 8 내지 9.5, 예컨대 8.1 내지 9.5, 예컨대 8.2 내지 9.5의 pH를 갖는다.
상기 제공된 범위 내의 pH를 갖는 고체 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은 기존의 비누 조성물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더 순한 세정 작용을 일으키며, 이는 연약하거나 민감한 피부 유형의 자극 또는 건조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4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1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2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2 내지 9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2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2 내지 7.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2 내지 7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글리세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글리세롤을 더 포함한다.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글리세롤은 비누화의 잘 알려진 부산물이며, 모든 비누 조성물에 다양한 정도로 존재한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고체 비누 조성물 대부분에서, 글리세롤은 제거되어 식품, 제약 및 화장품 산업에서와 같은 그것의 광범위한 응용 가능성으로 인해 개별 상품(separate commodity)으로서 활용된다.
글리세롤은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고, 더 촉촉하고 수화된 상부 표피를 유지할 수 있으며,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 및 개인 관리 용품에서 습윤제로서 그 용도 또한 널리 알려져 있다. 글리세롤 함량이 높은 비누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기존의 비누에 의해 야기되는 건조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종종 연약하고 민감한 피부 유형을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높은 농도(level)의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을 관통하는 공기 및 환경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는 글리세롤의 능력으로 인해 균열 및 증가된 수준의 머쉬(mush)가 발생하기 쉽다. 본원에 사용된 "머쉬"는 장기간 비누 조성물이 물과 접촉한 채로 방치될 때 형성되는 페이스트(paste)이다. "머쉬"는 본원에서 비누의 가용성 성분이 조성물 밖으로 용해되고 물이 나머지 고체 비누에 흡수되어, 조성물의 팽창(swelling) 및 연화(softening)를 일으키는 페이스트로 정의된다. 균열은 비누가 건조됨에 따른 비누 조성물의 수축 및 가소성 감소의 결과로서 발생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2.5 중량%의 양으로,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2.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5.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고체 비누 조성물이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제조에서 비누 베이스로서 사용될 때,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제조 공정의 후기 단계 동안, 추가 글리세롤 첨가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고체 비누 조성물 중 0.01 내지 15 중량%의 양의 글리세롤의 존재는 또한, 고체 비누 조성물이 고체 비누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 중에(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녹여 붓기(melt and pour)' 공정에서) 생성된 시럽에 훨씬 더 효율적으로 용해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제조 공정 중에 비누 조성물을 완전히 용해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고,
(i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한다.
입자 크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미립자 형태(particulate form)이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미립자 형태이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는 1 mm를 초과하는 크기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미립자 형태이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5 중량%는 1 mm를 초과하는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6 중량%는 1 mm를 초과하는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7 중량%는 1 mm를 초과하는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8 중량%는 1 mm를 초과하는 크기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미립자 형태이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는 1 내지 80 mm의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5 중량%는 1 내지 80 mm의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6 중량%는 1 내지 80 mm의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7 중량%는 1 내지 80 mm의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8 중량%는 1 내지 80 mm의 크기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미립자 형태이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는 1 내지 75 mm의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는 1 내지 70 mm의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5 중량%는 1 내지 70 mm의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8 중량%는 1 내지 70 mm의 크기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미립자 형태이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45 중량%는 5 mm 미만의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50 중량%는 5 mm 미만의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55 중량%는 5 mm 미만의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60 중량%는 5 mm 미만의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65 중량%는 5 mm 미만의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는 5 mm 미만의 크기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미립자 형태이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45 중량%는 1 내지 5 mm의 입자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50 중량%는 1 내지 5 mm의 입자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55 중량%는 1 내지 5 mm의 입자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60 중량%는 1 내지 5 mm의 입자 크기를 갖고,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65 중량%는 1 내지 5 mm의 입자 크기를 갖는다.
놀랍게도, 고체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가 1 내지 80 mm의 크기를 가질 때, 고체 비누 조성물로부터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이 개선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놀랍게도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녹여 붓기' 제조 공정 중에 비누 조성물의 용해가 개선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고체 비누 조성물의 미립자가 80 mm를 초과하는 크기를 갖는 경우, 대량의 덩어리(mass agglomerate)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과도한 열 전달 및 수상(aqueous phase) 내에서의 비효율적인 용해로 인해 악화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입자 크기가 1 mm 미만인 경우, 고체 비누 조성물의 미립자는 수상의 표면에 계속 남아 있어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과도한 열 전달 및 수상 내에서의 비효율적인 용해로 인해 악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고,
(iii) 미립자 형태이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는 1 내지 80 mm의 크기를 갖는다.
밀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0.5 g/cm3 내지 1.5 g/cm3의 밀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0.5 내지 1.5 g/cm3, 예컨대 0.6 내지 1.25 g/cm3, 예컨대 0.7 내지 1.1 g/cm3, 예컨대 0.75 내지 1.1 g/cm3, 예컨대 0.8 내지 1.1 g/cm3, 예컨대 0.85 내지 1.1 g/cm3, 예컨대 0.9 내지 1.1 g/cm3의 밀도를 갖는다.
놀랍게도, 고체 비누 조성물이 0.5 내지 1.5 g/cm3의 밀도를 가질 때, 고체 비누 조성물로부터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이 개선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놀랍게도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녹여 붓기' 제조 공정 중에 비누 조성물의 용해가 개선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고체 비누 조성물의 미립자가 1.5 g/cm3를 초과하는 밀도를 갖는 경우, 대량의 덩어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과도한 열 전달 및 수상 내에서의 비효율적인 용해로 인해 악화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밀도가 0.5 g/cm3 미만인 경우, 고체 비누 조성물의 미립자는 수상 표면에 계속 남아 있어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과도한 열 전달 및 수상 내에서의 비효율적인 용해로 인해 악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고, 그리고
(iii) 0.5 g/cm3 내지 1.5 g/cm3의 밀도를 갖는다.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르면,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고,
(i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그리고
(iv) 미립자 형태이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는 1 내지 80 mm의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고,
(i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iv) 미립자 형태이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는 1 내지 80 mm의 크기를 가지며, 그리고
(v) 0.5 내지 1.5 g/cm3의 밀도를 갖는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고,
(i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iv) 미립자 형태이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는 1 내지 80 mm의 크기를 가지며,
여기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의 1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화 지방산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비누는 고체 비누 조성물의 15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한다.
고체 비누 조성물은 예컨대 원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1종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향료, 허브, 착색제, 킬레이트화제, 곡물, 과일, 채소, 해초, 꽃, 점토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추가적인 성분을 더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향료, 허브, 착색제, 킬레이트화제, 곡물, 과일, 채소, 해초, 꽃, 점토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추가적인 성분을 더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향료, 허브, 착색제, 곡물, 과일, 채소, 해초, 꽃, 점토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추가적인 성분을 더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킬레이트화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킬레이트화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 나트륨,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 아세트산(ethylene diamine tetra acetic acid, EDTA)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킬레이트화제는 시트르산 나트륨이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1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2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22.5 내지 27.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조성물의 대략 25 중량%의 양으로 킬레이트화제(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 나트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형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녹여 붓기 공정에 의해, 고체 비누 제품으로 형성될 수 있는 비누 조성물 또는 비누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녹여 붓기 공정은 WO 2015/128649에 기술된 바와 같은 비누를 용융시킬 때 열 이동을 돕기 위하여 프로필렌 글리콜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 또는 비누 베이스는 사용자에게 프로필렌 글리콜을 함유하지 않고 그 제조에 프로필렌 글리콜을 활용하지 않은 비누를 구입할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필렌 글리콜 회피는 여러 가지 이유로 유리하다. 특히, 프로필렌 글리콜은 전형적으로 석유 산업으로부터 유래된다. 많은 소비자가 원료 물질로서 화석 연료에 의존하는 제품을 피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화장품에의 프로필렌 글리콜의 사용이 사용자에게 피부 감작(sensitisation)를 초래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시스템은 녹여 붓기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선행 기술 시스템의 단점, 즉 사용시 피부 감작을 막는 비누 제품을 제공한다.
방법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a) 수산화물 용액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접촉시켜 비누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비누화 혼합물을 혼합물이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 및
(c)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을 경화시켜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의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상기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식물성 버터 및/또는 식물성 오일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식물성 버터는 코코아 버터, 일립 버터, 무루무루 버터, 코쿰 버터, 알로에 버터, 아보카도 버터, 쿠푸아수 버터, 마카다미아 너트 버터, 망고 버터, 올리브 버터, 시어 버터, 코코넛 버터, 호박씨 버터, 땅콩 버터, 아몬드 버터, 커피콩 버터, 정제 버터, 대마씨 버터, 모카치노 버터, 피스타치오 너트 버터, 시알로 버터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식물성 오일은 해바라기 오일, 아몬드 오일, 세삼 오일, 로즈힙 오일, 아몬드 오일, 라즈베리씨 오일, 호호바 오일, 아보카도 오일, 피마자 오일, 코코넛 오일, 유채씨 오일, 모링가 오일, 올리브 오일, 포도씨 오일, 아르간 오일, 바오밥 오일, 칼라하리 멜론 오일, 브라질 너트 오일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코코아 버터, 시어 버터, 아보카도 오일, 아르간 오일, 해바라기 오일, 칼라하리 멜론 오일, 바오밥 오일, 피마자 오일, 코코넛 오일, 유채씨 오일,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성 버터 및/또는 식물성 오일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화 혼합물은 혼합물이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5 내지 70℃의 온도에서 단계 (b)에서 교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화 혼합물은 혼합물이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0 내지 65℃의 온도에서 단계 (b)에서 교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화 혼합물은 혼합물이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5 내지 65℃의 온도에서 단계 (b)에서 교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화 혼합물은 혼합물이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대략 60℃의 온도에서 단계 (b)에서 교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점도는 비스코라이트(Viscolite) 700 휴대용 점도계로 측정되는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점도는 비스코라이트 700 휴대용 점도계로 측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a) 수산화물 용액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접촉시켜 비누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비누화 혼합물을 혼합물이 비스코라이트 700 휴대용 점도계로 측정되는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
(c)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을 경화시켜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의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비누화 혼합물은 혼합물이 300 내지 500 cP의 점도, 예컨대 305 내지 495 CP의 점도, 예컨대 310 내지 490 cP의 점도, 예컨대 315 내지 485 cP의 점도, 예컨대 320 내지 480 cP의 점도, 예컨대 320 내지 475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단계 (b)에서 교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점도는 비스코라이트 700 휴대용 점도계로 측정되는 것이다.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1 cP(센티포아즈)는 1 mPa. s(밀리파스칼-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비누화 혼합물은 혼합물이 300 내지 500 mPa. s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단계 (b)에서 교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단계 (c)에서 135 내지 170℃의 온도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단계 (c)에서 135 내지 165℃의 온도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단계 (c)에서 140 내지 160℃의 온도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단계 (c)에서 145 내지 155℃의 온도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단계 (c)에서 대략 150℃의 온도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24시간 이하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18시간 이하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12시간 이하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10시간 이하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9시간 이하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8시간 이하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7시간 이하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6시간 이하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5시간 이하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4시간 이하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3시간 이하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2시간 이하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0.5시간 내지 약 24시간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0.5시간 내지 약 12시간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은 약 1시간 내지 약 6시간의 기간 동안 단계 (c)에서 경화되어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생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수산화물 용액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접촉시켜 비누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비누화 혼합물을 혼합물이 (예를 들어, 비스코라이트 700 휴대용 점도계로 측정되는)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 및
(c) 약 24시간 이하의 기간 동안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을 경화시켜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c)의 고체 비누 조성물은 (d) 그 후에 처리하여 미립자 형태로 고체 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는 1 내지 80 mm의 크기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방법은
(a) 수산화물 용액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접촉시켜 비누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비누화 혼합물이 (예를 들어, 비스코라이트 700 휴대용 점도계로 측정되는)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
(c)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을 경화시켜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그 후에 단계 (c)의 고체 비누 조성물을 처리하여 미립자 형태로 고체 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는 1 내지 80 mm의 크기를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d)의 처리는 밀링(milling), 그레이팅(grating) 및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d)의 처리는 밀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d)의 처리는 그레이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d)의 처리는 밀링과 그레이팅의 조합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단계 (c)에서 생산된 고체 비누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 비누 조성물이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생산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a) 수산화물 용액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접촉시켜 비누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비누화 혼합물을 혼합물이 (예를 들어, 비스코라이트 700 휴대용 점도계로 측정되는)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 및
(c)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을 경화시켜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비누화 공정 중에 글리세롤을 현장에서(in situ) 보존하고 경화 단계 중에 그 존재를 유지시킴으로써, 균열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 및 감소된 머쉬 형성 속도를 갖는,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식물성 버터 및 식물성 오일의 비누화 공정은 당해 분야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염기 가수분해로 알려져 있으며, 지방산의 염과 글리세롤을 생성한다. 식물성 버터 및 식물성 오일은 전형적으로 균질화되고,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강한 염기와 혼합되어 비누화 반응을 개시한다. 비누화는 비누 제조를 위한 '저온 공정법(cold-process)' 또는 '가열 공정법(hot-process)' 방법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가열 공정법' 기술은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비누화가 일어나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외부 에너지 투입을 필요로 하며, 이는 주위 온도에서 진행되어 비교시 더 느린 비누화 속도를 보이는 '저온 공정법' 기술과는 상이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소정의 온도에서 트리글리세라이드 공급원을 균질화하고, 열 재킷 리본 블렌더(heat-jacketed ribbon blender) 내에서 잿물과 혼합함으로써, 고품질의 균일한 비누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리본 블렌더는 전형적으로 U자형 수평 트로프(trough), 및 내부와 외부 나선형 블레이드의 세트로 이루어지는 이중 나선형 리본 교반기를 포함한다. 외부 리본은 혼합물의 말단에서 중심으로 물질을 옮기고, 내부 리본은 혼합물의 중심에서 말단으로 물질을 이동시킨다. 이 대향류(counter-current) 작용이 구성 요소의 균질하고 효율적인 혼합을 가져온다. 리본 블렌더는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서 건조 성분과 액체 성분 모두를 혼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건조 성분을 균질화하기 위하여 종종 사용된다.
리본 블렌더는 식물성 버터, 식물성 오일 및 잿물의 우수한 혼합 효율을 제공하여, 전통적인 단ㅇd일상(single-phase) 패들 믹서 또는 스틱 블렌더를 사용할 때보다 더 빠른 속도로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비누화를 실현할 수 있게 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a) 리본 블렌더에서 수산화물 용액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접촉시켜 비누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비누화 혼합물을 혼합물이 (예를 들어, 비스코라이트 700 휴대용 점도계로 측정되는)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 및
(c)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을 경화시켜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의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상 공정에 의해 제공되는 조성물은 추가적인 경화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고, 고품질이며 균질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프로세싱을 필요로 하거나 밀링, 그레이팅 또는 플로딩(plodding)과 같은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방법으로부터 생성된 고체 비누 조성물은 연약하고 민감한 피부에 사용하기에 유리한 특정 성질(quality)을 전달하는, 보다 개선되고 장인적인 미용 비누의 제조에 차후 활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나아가, 전술된 공정의 효율성, 낮은 에너지 요구량 및 최소한의 낭비로 인해, 환경적 및 사회적 영향이 감소되며, 암묵적(implicit) 설치비와 유지비 및 제조 시간 또한 최소화된다.
고체 비누 제품의 생산 방법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생산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a) 비누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고체 비누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고체 비누 베이스를 가열하여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비누 베이스를 글리세롤과 접촉시켜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비누 액체 혼합물을 몰드에 붓고, 굳어지게 하여 고체 비누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된다.
비누 제품의 이러한 생산 방법은 전형적으로 '녹여 붓기' 기법으로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비누 베이스는 수상에서 용융된 후, 향료, 착색제, 연화제, 습윤제 및 다른 유익한 첨가제와 같은 추가적인 품목이 첨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보다 더 높은 온도의 수상에의 고체 비누 베이스의 첨가를 통해 고체 비누 베이스가 단계 (b)에서 가열되어 비누 액체 혼합물이 형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보다 더 높은 온도의 수상에의 고체 비누 베이스의 첨가를 통해 고체 비누 베이스가 단계 (b)에서 가열되어 비누 액체 혼합물이 형성되며, 여기에서 수상은 물, 습윤제(예를 들어, 꿀 및/또는 글리세롤), 당, 당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보다 더 높은 온도의 수상에의 고체 비누 베이스의 첨가를 통해 고체 비누 베이스가 단계 (b)에서 가열되어 비누 액체 혼합물이 형성되며, 여기에서 수상은 물, 꿀, 글리세롤, 아가베 시럽, 당, 당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보다 더 높은 온도의 수상에의 고체 비누 베이스의 첨가를 통해 고체 비누 베이스가 단계 (b)에서 가열되어 비누 액체 혼합물이 형성되며, 여기에서 수상은 적어도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수상에의 고체 비누 베이스의 첨가를 통해 단계 (b)에서 가열되며, 여기에서 생성된 고체 비누 베이스와 수상의 혼합물은 가열되어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수상에의 고체 비누 베이스의 첨가를 통해 단계 (b)에서 가열되며, 여기에서 생성된 고체 비누 베이스와 수상의 혼합물은 가열되어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수상은 물, 습윤제(예를 들어, 꿀 및/또는 글리세롤), 당, 당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수상에의 고체 비누 베이스의 첨가를 통해 단계 (b)에서 가열되며, 여기에서 생성된 고체 비누 베이스와 수상의 혼합물은 가열되어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수상은 물, 꿀, 글리세롤, 아가베 시럽, 당, 당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수상에의 고체 비누 베이스의 첨가를 통해 단계 (b)에서 가열되며, 여기에서 생성된 고체 비누 베이스와 수상의 혼합물은 가열되어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수상은 적어도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단계 (b)에서 직접적으로 가열되어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하여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단계 (b)에서 직접적으로 가열되어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하고, 액체 형태의 비누 베이스는 글리세롤과 접촉하여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단계 (b)에서 가열되어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한 다음, 이어서 수상과 접촉하여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단계 (b)에서 가열되어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한 다음, 이어서 수상과 접촉하여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수상은 물, 습윤제(예를 들어, 꿀 및/또는 글리세롤), 당, 당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단계 (b)에서 가열되어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한 다음, 이어서 수상과 접촉하여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수상은 물, 꿀, 글리세롤, 아가베 시럽, 당, 당 알코올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단계 (b)에서 가열되어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한 다음, 이어서 수상과 접촉하여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수상은 적어도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수상은 물을 포함한다. 수상이 물을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물은 고체 비누 제품의 0.5 내지 48.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4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0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5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5 내지 3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수상에 존재하는 물은 임의의 적합한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수상의 물은 증류수, 탈이온수, 수돗물, 식물 추출물(infusion), 식물 침출액(decoction)(차와 커피를 포함함), 과일 주스, 채소 주스, 식초, 맥주, 와인, 스피릿트(spirit)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수상의 물은 증류수, 탈이온수 및 수돗물로부터 선택되는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수상은 꿀을 포함한다. 수상이 꿀을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꿀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수상은 당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당은 수크로스, 프룩토스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일 양태에서, 당은 수크로스이다. 일 양태에서, 당은 프룩토스이다. 일 양태에서, 당은 정제당, 과립당, 황설탕, 수크로스 분말, 프룩토스 분말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수상이 당을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당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수상이 정제당, 과립당, 황설탕, 수크로스 분말, 프룩토스 분말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당을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당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수상은 당 알코올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당 알코올은 소르비톨, 말티톨, 만니톨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수상이 당 알코올을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당 알코올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꿀 및/또는 당 및/또는 당 알코올의 사용(열 및 글리세롤과 같은 추가적인 습윤제의 존재하에, 여기서 글리세롤은 비누 베이스 그 자체 내에 존재할 수 있음)은 시럽의 형성을 초래한다. 녹여 붓기 비누를 생산하는 동안, 열은 이 시럽을 통해 비누 베이스에 존재하는 글리세롤과 같은 습윤제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전달은 비누화된 지방산이 그것의 마이셀 구조 바깥으로 방출되도록 한다. 비누화된 헤드(head)는 시럽의 수분 함량에 끌리고, 지방 사슬은 시럽의 당 함량 내에 존재(reside)할 수 있다. 이는 비누가 용해되어, 이전에 열거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물질을 포함시켜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는 조성물이 생성될 수 있게 한다. 이는 WO 2015/128649에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시킬 필요 없이 비누 제품이 생산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양태에서,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비누 제품이 생성될 수 있으며, 프로필렌 글리콜은 전술된 방법의 단계 (b) 중에 첨가된다.
여전히 용융된 상태에서, 조성물은 몰드로 부어져 냉각되어,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정제된 고체 비누 제품을 생성하며, 여기에서 제품은 슬라이스되거나 압축되거나 고체 바(bar)로서 제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 비누 조성물이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생산 ㅂ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a) 글리세롤 및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는 것인 단계;
(b) 고체 비누 조성물을 가열하여 비누 조성물을 액체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비누 조성물을 글리세롤과 접촉시켜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비누 액체 혼합물을 몰드에 붓고, 굳어지게 하여 고체 비누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그리고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고체 비누 조성물이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생산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a) 다음에 의해 글리세롤 및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는 것인 단계:
(a-i) 수산화물 용액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접촉시켜 비누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a-ii) 비누화 혼합물을 혼합물이 (예를 들어, 비스코라이트 700 휴대용 점도계로 측정되는)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
(a-iii)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단계 (a-ii)의 혼합물을 경화시켜 글리세롤 및 비누를 포함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b) 고체 비누 조성물을 가열하여 비누 조성물을 액체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비누 조성물을 글리세롤과 접촉시켜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비누 액체 혼합물을 몰드에 붓고, 굳어지게 하여 고체 비누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0.5 내지 3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3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2.5 내지 27.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되도록 하기 위하여, 글리세롤은 고체 비누 제품의 2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7.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4 중량% 이하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3 중량% 이하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2.5 중량% 이하의 양으로 단계 (b)의 비누 베이스에 첨가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생산 방법은 단계 (c) 이전에 추가적인 단계 (b-i)를 더 포함하며, 여기에서 단계 (b-i)은 비누 액체 혼합물에 1종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1종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은 꿀, 당, 당 알코올, 계면활성제, 오일, 버터, 왁스, 과일, 채소, 점토, 허브, 곡물, 콩, 단백질, 결합제, 충진제, 불투명체(ofacifier), 향수, 색소, 향료, 스크럽, 각질 제거제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당이 단계 (b-i)에 첨가되는 구현예에서, 당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당 알코올이 단계 (b-i)에 첨가되는 구현예에서, 당 알코올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꿀이 단계 (b-i)에 첨가되는 구현예에서, 꿀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놀랍게도, 비누 베이스의 고체 비누 미립자의 입자 크기 및 밀도는 '녹여 붓기' 제조 공정 중에 비누 조성물의 용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미립자 크기가 너무 크거나 밀도가 너무 큰 경우, 대량의 덩어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과도한 열 전달 및 수상 내에서의 비효율적인 용해로 인해 악화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입자 크기가 너무 작거나 밀도가 너무 작은 경우, 비누 미립자가 수상의 표면에 계속 남아 있어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에 과도한 열 전달 및 수상 내에서의 비효율적인 용해로 인해 악화될 수 있다. 최적 입자 크기는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가 1 내지 80 mm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경우인 것으로 밝혀졌다. 최적 밀도는 0.5 g/cm3 내지 1.5 g/cm3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생산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a) 비누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고체 비누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여기에서 비누 베이스는 미립자 형태이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는 1 내지 80 mm의 크기를 갖는 것인 단계;
(b) 고체 비누 베이스를 가열하여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비누 베이스를 글리세롤과 접촉시켜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비누 액체 혼합물을 몰드에 붓고, 굳어지게 하여 고체 비누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생산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a) 비누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고체 비누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여기에서 비누 베이스는 0.5 g/cm3 내지 1.5 g/cm3의 밀도를 갖는 것인 단계;
(b) 고체 비누 베이스를 가열하여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비누 베이스를 글리세롤과 접촉시켜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비누 액체 혼합물을 몰드에 붓고, 굳어지게 하여 고체 비누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된다.
고체 비누 제품
일부 구현예에서는,
(a) 비누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고체 비누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고체 비누 베이스를 가열하여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비누 베이스를 글리세롤과 접촉시켜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비누 액체 혼합물을 몰드에 붓고, 굳어지게 하여 고체 비누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부터 수득되거나 수득될 수 있는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이 제공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 비누 조성물이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a) 글리세롤 및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여기에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는 것인 단계;
(b) 고체 비누 베이스를 가열하여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비누 베이스를 글리세롤과 접촉시켜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비누 액체 혼합물을 몰드에 붓고, 굳어지게 하여 고체 비누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부터 수득되거나 수득될 수 있는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이 제공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된다.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고체 비누 제품은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고체 비누 제품은 사용자의 피부를 고체 비누 제품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고체 비누 제품은 사용자에 의해 스스로 적용될 수 있거나, 또 다른 개체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고체 비누 제품은 바람직하게는 피부용 클렌저(cleanser)로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글리세롤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총량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0.5 내지 3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3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27.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2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22.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2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2 내지 2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2.5 내지 17.5 중량%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글리세롤의 총량(total amount of glycerol)"은 비누 베이스에 존재하는 글리세롤 및 고체 비누 제품의 추가적인 글리세롤의 양을 모두 합한 양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추가적인 글리세롤"은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생산 방법의 단계 (b) - 고체 비누 베이스를 가열하여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비누 베이스를 글리세롤과 접촉시켜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 에서 비누 베이스에 첨가되는 글리세롤을 의미한다. 따라서, "추가적인 글리세롤"은 단계 (b)에서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기 전에는 비누 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았던 고체 비누 제품 중 임의의 글리세롤을 의미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되도록,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2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7.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4 중량% 이하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3 중량% 이하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2.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추가적인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적어도 2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적어도 3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적어도 3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적어도 37.5 중량%의 양으로 비누 베이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20 중량% 내지 7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25 중량% 내지 6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30 중량%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35 중량%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35 중량% 내지 57.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35 중량% 내지 55 중량%의 양으로 비누 베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적어도 5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5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은 물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물의 총량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49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49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49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5 내지 49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5 내지 4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0 내지 4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0 내지 4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5 내지 4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5 내지 3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7.5 내지 35 중량%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물의 총량"은 비누 베이스에 존재하는 물 및 고체 비누 제품의 추가적인 물의 양을 모두 합한 양을 의미한다. 고체 비누 제품이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49 중량%의 물의 총량을 포함할 때, 고체 비누 조성물의 균질한 미립자가 수득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추가적인 물"은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생산 방법 중에 비누 베이스에 첨가되는 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추가적인 물"은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기 전에는 비누 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았던 고체 비누 제품 중 임의의 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물"은 고체 비누 베이스가 고체 비누 베이스보다 더 높은 온도의 수상에의 고체 비누 베이스의 첨가를 통해 단계 (b)에서 가열되어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구현예에서 수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은 어떠한 추가적인 물도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5 내지 48.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4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0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5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5 내지 32.5 중량%의 양으로 추가적인 물을 포함한다.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물은 임의의 적합한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물은 고체 비누 베이스, 및 증류수, 탈이온수, 수돗물, 식물 추출물, 식물 침출액(차와 커피를 포함), 과일 주스, 채소 주스, 식초, 맥주, 와인, 스피릿트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공급원의 수분 함량의 조합으로부터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물은 고체 비누 베이스 및 증류수, 탈이온수 및 수돗물로부터 선택되는 공급원의 수분 함량의 조합으로부터 제공된다.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은 원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1종 이상의 추가적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꿀, 당, 당 알코올, 계면활성제, 오일, 버터, 왁스, 과일, 채소, 점토, 허브, 곡물, 콩, 단백질, 결합제, 충진제, 불투명체, 향수, 색소, 향료, 스크럽, 각질 제거제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추가적인 성분을 더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꿀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꿀을 포함하고, 본질적으로(essentially) 비누 베이스에 첨가되었던 추가적인 글리세롤은 포함하지 않는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0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꿀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본질적으로 비누 베이스에 첨가된 글리세롤을 포함하지 않고, 고체 비누 제품의 1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꿀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당을 더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당은 수크로스, 프룩토스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일 양태에서, 당은 수크로스이다. 일 양태에서, 당은 프룩토스이다. 일 양태에서, 당은 정제당, 과립당, 황설탕, 수크로스 분말, 프룩토스 분말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3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2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당(바람직하게는, 정제당, 과립당, 황설탕, 수크로스 분말, 프룩토스 분말 또는 이의 혼합물)을 더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1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0.5 내지 1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1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5 내지 1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6 내지 1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7 내지 1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8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정제당, 과립당, 황설탕, 수크로스 분말, 프룩토스 분말 또는 이의 혼합물을 더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당 알코올을 더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당 알코올은 소르비톨, 말티톨, 만니톨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존재할 경우, 당 알코올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추가적인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한다. 추가적인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 소듐 코코암포아세테이트,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 라우릴 베타인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존재할 경우, 추가적인 계면활성제는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오일, 버터, 왁스 또는 이의 혼합물을 더 포함한다. 오일, 버터, 왁스 또는 이의 혼합물은 (존재할 경우) "과지(superfatting)"로 알려져 있는 공정에서 혼입될 수 있다. 오일, 버터 및 왁스는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참깨 오일, 달맞이꽃 오일, 호호바 오일, 코코아 버터, 시어 버터, 망고 버터, 쿠푸아수 버터, 라놀린, 밀납, 장미 왁스 및 오렌지 껍질 왁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존재할 경우, 오일, 버터 및 왁스는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1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5 중량%의 조합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과일 및 채소를 더 포함한다. 과일 및 채소는 올리브, 아보카도, 바나나, 딸기 및 블루베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존재할 경우, 과일 및 채소는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10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5 중량%의 조합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향료를 더 포함한다. 존재할 경우, 향료는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향료는 본 조성물을 보다 쾌적하게 사용하는 경험을 하도록 하기 위해 제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위해 라벤더, 카모마일 또는 장미 앱솔루트와 같은 에센셜 오일을 향료에 조합하는 것은 사용자가 쾌적하게 씻는 경험을 할 수 있게 한다. 향료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0.5 내지 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5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4 중량%,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2 내지 4 중량%이다.
에센셜 오일은 원하는 향료, 다루어지는 피부 유형 및 에센셜 오일의 잘 알려진 특성을 기반으로 한 다른 원하는 효과를 기반으로 하여 선택될 수 있다. 에센셜 오일의 첨가는 코로 흡수될 때 기분을 전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에센셜 오일은 나른함 또는 감각을 자극하는 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센셜 오일의 사용으로 기록에 의해 충분히 입증된 여러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품에 존재하는 1종 이상의 에센셜 오일은 사철쑥(Tarragon), 레몬 머틀(Lemon myrtle), 자스민(Jasmin), 일랑일랑(Ylang ylang), 라다넘(Labdanum), 레몬그라스(Lemongrass), 장미 오토(Rose otto), 자몽(Grapefruit), 파촐리(Patchouli), 로즈마리(Rosemary), 알무와즈(Armois), 레몬, 네롤리(Neroli), 향제비꽃(Sweet violet), 라벤더(Lavender), 오렌지 50 폴드(Orange 50 fold), 바닐라(Vanilla), 페퍼민트(Peppermint), 안식향(Benzoin), 수국(Hydrangea), 메이창(Litsea Cubeba), 카다몬(Cardamon), 통카(Tonka) 및 카모마일 블루(Chamomile blue)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현예에서, 제품에 존재하는 1종 이상의 에센셜 오일은 사철쑥, 레몬 머틀, 라다넘 및 레몬그라스로부터 선택된다.
비타민, 특히 비타민 B, C 및 E는 피부에 매우 유익하다. 밀배아 오일과 같은 비타민이 풍부한 성분 또한, 피부에 비타민을 전달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비타민은 비타민 B, 비타민 C, 비타민 E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당업자라면 비타민이 임의의 적합한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비타민은 합성 공급원으로부터 또는 비타민 함량이 높은 물질, 예컨대 천연물질의 생성물 내로의 혼입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착색제 물질을 더 포함한다. 존재할 경우, 착색제 물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01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점토를 더 포함한다. 점토는 모든 적합한 점토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점토는 카올린(kaolin), 탈크(talc), 칼라민(calamine), 라솔 머드(rhassoul mud), 백토(fullers earth), 벤토나이트 점토(bentonite clays)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존재할 경우, 점토는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허브, 곡물, 콩 또는 이의 혼합물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허브, 곡물, 콩 또는 이의 혼합물은 귀리, 쌀, 계피, 바닐라, 팥, 해초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존재할 경우, 허브, 곡물, 콩 또는 혼합물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10 중량%의 조합된 양으로, 예컨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10 중량%의 조합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단백질을 더 포함한다. 단백질은 모든 적합한 단백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백질은 두부, 바나나, 콩, 콩 레시틴, 달걀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존재할 경우, 단백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
추가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음을 제공한다:
고체 비누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고체 비누 베이스로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고체 비누 베이스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베이스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는 것인 고체 비누 베이스.
고체 비누 베이스의 생산 방법으로,
(a) 수산화물 용액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접촉시켜 비누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비누화 혼합물을 혼합물이 (예를 들어, 비스코라이트 700 휴대용 점도계로 측정되는)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 및
(c)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을 경화시켜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생산 방법으로,
(a) 비누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고체 비누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고체 비누 베이스를 가열하여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비누 베이스를 글리세롤과 접촉시켜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비누 액체 혼합물을 몰드에 붓고, 굳어지게 하여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되는 것인 방법.
비누 베이스로부터 수득되거나 수득될 수 있는 고체 비누 제품으로,
(i) 고체 비누 제품의 적어도 50 중량%의 양의 비누,
(ii)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49.9 중량%의 양의 물, 및
(iii)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의 양의 글리세롤
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되는 것인 고체 비누 제품.
다음을 포함하는 고체 비누 제품:
(i) 고체 비누 제품의 적어도 50 중량%의 양의 비누,
(ii) 고체 비누 제품의 1 내지 49.9 중량%의 양의 물, 및
(iii)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의 양의 글리세롤.
실시예
이에 본 발명을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서는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다음의 식물성 버터 및 식물성 오일로부터 다수의 고체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1
고체 비누 조성물을 다음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1. 구성 요소가 액상으로 균일해질 때까지, 식물성 오일을 재킷 리본 블렌더에서 60℃로 가열하였다.
2. 수산화나트륨을 시트르산 나트륨 용액에 첨가하였다. 그런 다음, 생성된 수산화나트륨과 시트르산 나트륨 용액을 용융된 식물성 오일에 첨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개시하였다.
3. 비스코라이트 700 휴대용 점도계로 측정되는 조성물의 점도가 300 내지 500 cP가 될 때까지 모든 구성 요소를 60℃에서 함께 혼합하였다.
4. 그런 다음, 온도를 150℃로 증가시키고, 비누 조성물이 7 내지 9.5의 pH와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게 될 때까지 45 내지 55 rpm의 속도로 조성물을 혼합하여 비누 조성물을 경화시켰다.
실시예 1a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아래 표에 나타낸 양으로 수산화나트륨과 시트르산 나트륨을 식물성 버터에 첨가하여 코코아 버터로부터 고체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1a 내지 1k의 비누 조성물의 수분 함량, pH 및 글리세롤 함량을 분석하였다.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수분 함량
Figure pct00003
pH
Figure pct00004
글리세롤 함량
Figure pct00005
실시예 1l
상기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아래 표에 나타낸 양으로 수산화나트륨과 시트르산 나트륨을 식물성 오일에 첨가하여 해바라기 오일 및 올리브 오일의 혼합물로부터 고체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6
실시예 1m
아래 표에 나타낸 양으로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코코아 버터로부터 고체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7
고체 조성물을 다음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1. 구성 요소가 액상으로 균일해질 때까지, 식물성 오일을 재킷 리본 블렌더에서 60℃로 가열하였다.
2.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용융된 식물성 오일에 첨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개시하였다.
3. 비스코라이트 700 휴대용 점도계로 측정되는 조성물의 점도가 300 내지 500 cP가 될 때까지 모든 구성 요소를 60℃에서 함께 혼합하였다.
4. 그런 다음, 온도를 150℃로 증가시키고, 비누 조성물이 7 내지 9.5의 pH와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수분 함량을 갖게 될 때까지, 45 내지 55 rpm의 속도로 조성물을 혼합하여 비누 조성물을 경화시켰다.
실시예 1n
상기 실시예 1m에 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아래 표에 나타낸 양으로 수산화나트륨을 식물성 오일에 첨가하여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및 피마자 오일의 혼합물로부터 고체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8
실시예 2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다음의 고체 비누 제품을 제조하였다. 비누 제품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9
방법
1. 상(phase) A를 대략 85℃로 가온하였다.
2. 온도를 유지하면서, 상 B의 식물성 오일 비누 베이스를 상 A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3. 비누 베이스 전부가 용융될 때까지 상 A와 B를 함께 저었다.
4. 혼합물을 대략 35℃로 냉각시켰다.
5. 그런 다음, 상 C와 상 D를 첨가하였다.
6. 그런 다음, 생성된 비누 액체 혼합물을 몰드에 붓고, 냉각시켜 굳혔다.
실시예 3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다음의 고체 비누 제품을 제조하였다. 비누 제품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10
방법
1. 상 A를 대략 85℃로 가온하였다.
2. 온도를 유지하면서, 상 B의 식물성 오일 비누 베이스 및 식물성 버터 비누 베이스를 상 A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3. 비누 베이스 전부가 용융될 때까지 상 A와 B를 함께 저었다.
4. 혼합물을 대략 35℃로 냉각시켰다.
5. 그런 다음, 상 C와 상 D를 첨가하였다.
6. 그런 다음, 생성된 비누 액체 혼합물을 몰드에 붓고, 냉각시켜 굳혔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을 특정 바람직한 구현예와 관련하여 기술하였지만, 청구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구현예들로 지나치게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제로 화학, 생물학 또는 관련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기술된 방식의 다양한 변경은 다음의 청구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23)

  1.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70 중량%의 양으로 비누(soap)를 포함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로서,
    (i) 7 내지 9.5의 pH를 갖고,
    (ii)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7.1 내지 9.3의 pH를 갖는 것인 고체 비누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는 것인 고체 비누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2 내지 7 중량%의 양으로 물을 함유하는 것인 고체 비누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80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함유하는 것인 고체 비누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대략 85 중량%의 양으로 비누를 함유하는 것인 고체 비누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비누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비누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고체 비누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미립자 형태이고,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는 1 내지 80 mm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인 고체 비누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글리세롤을 더 포함하는 것인 고체 비누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0.01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더 포함하는 것인 고체 비누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더 포함하는 것인 고체 비누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누는 비누화된 식물성 오일 또는 버터인, 고체 비누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비누 베이스(base)인 것인 고체 비누 조성물.
  14.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
    (a) 수산화물 용액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접촉시켜 비누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비누화 혼합물이 300 내지 500 cP의 점도를 가질 때까지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
    (c)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단계 (b)의 혼합물을 경화시켜 고체 비누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단계 (c)의 고체 비누 조성물은
    (d) 그 후에 처리되어 미립자 형태의 고체 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며,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적어도 90 중량%는 1 내지 80 mm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단계 (d)의 처리는 밀링(milling), 그레이팅(grating)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인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체 비누 조성물은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고체 비누 조성물인 것인 방법.
  18.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
    (a) 비누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고체 비누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b) 고체 비누 베이스를 가열하여 비누 베이스를 액체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비누 베이스를 글리세롤과 접촉시켜 비누 액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비누 액체 혼합물을 몰드에 붓고, 굳어지게 하여 고체 비누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은 고체 비누 제품의 0.01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글리세롤을 함유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고체 비누 제품에 존재하는 글리세롤의 80 중량% 이하가 비누 베이스에 첨가되는 것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고체 비누 베이스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고체 비누 조성물인 것인 방법.
  20.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에 실질적으로 정의된 바와 같은 고체 비누 조성물.
  21.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에 실질적으로 정의된 바와 같은 고체 비누 조성물의 제조 방법.
  22.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에 실질적으로 정의된 바와 같은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의 제조 방법.
  23.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에 실질적으로 정의된 바와 같은 인체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고체 비누 제품.
KR1020197003530A 2016-07-21 2017-07-20 고체 비누 조성물 KR201900324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612658.3A GB2553498A (en) 2016-07-21 2016-07-21 Composition
GB1612658.3 2016-07-21
PCT/GB2017/052136 WO2018015759A1 (en) 2016-07-21 2017-07-20 Solid soap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411A true KR20190032411A (ko) 2019-03-27

Family

ID=5689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530A KR20190032411A (ko) 2016-07-21 2017-07-20 고체 비누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90284515A1 (ko)
EP (1) EP3487976A1 (ko)
JP (1) JP2019523317A (ko)
KR (1) KR20190032411A (ko)
AU (1) AU2017300093A1 (ko)
CA (1) CA3030093A1 (ko)
GB (1) GB2553498A (ko)
RU (1) RU2019104153A (ko)
TW (1) TW201804983A (ko)
WO (1) WO20180157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502B1 (ko) * 2019-04-10 2019-07-08 에코텍 주식회사 블랙솝을 사용한 약산성 천연비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비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0155A1 (de) * 2019-07-10 2021-01-14 Henkel Ag & Co. Kgaa Feste Haarkosmetikzusammensetzu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8366A (en) * 1945-02-23 1951-12-11 Procter & Gamble Continuous process for neutralizing fatty acids
US4663070A (en) * 1985-01-25 1987-05-05 Lever Brothers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soap-acyl isethionate toilet bars
US4767560A (en) * 1986-10-02 1988-08-30 Colgate-Palmolive Company Toilet soap bars made from topped, distilled coco fatty acid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thereof
US4772434A (en) * 1986-10-03 1988-09-20 The Dial Corporation Soap making process
US5041233A (en) * 1988-05-03 1991-08-20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Process for preparing soap-acyl isethionate compositions
US6380153B1 (en) * 2000-04-20 2002-04-30 Chris Carlson Methods for producing surfactants with cellulose compositions
DE10035208A1 (de) * 2000-07-20 2002-01-31 Beiersdorf Ag Geformtes Seifenprodukt, enthaltend Talkum, eine oder mehrere Fettsäuren in Form ihrer Alkaliseifen und ein oder mehrere anionische Tenside bei gleichzeitiger Abwesenheit von Alkyl-(oligo)-glycosiden
GB0403410D0 (en) * 2003-11-18 2004-03-24 Unilever Plc Improved low ph detergent composition
UA86402U (uk) * 2013-07-15 2013-12-25 Софія Ісааківна Роголь Спосіб виготовлення гліцеринового мила
CN103756817B (zh) * 2014-01-26 2015-10-07 夏程 手工研磨皂的制备方法
GB201403561D0 (en) * 2014-02-28 2014-04-16 Cosmetic Warriors Ltd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502B1 (ko) * 2019-04-10 2019-07-08 에코텍 주식회사 블랙솝을 사용한 약산성 천연비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비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84515A1 (en) 2019-09-19
WO2018015759A1 (en) 2018-01-25
CA3030093A1 (en) 2018-01-25
AU2017300093A1 (en) 2019-01-24
JP2019523317A (ja) 2019-08-22
TW201804983A (zh) 2018-02-16
GB201612658D0 (en) 2016-09-07
RU2019104153A (ru) 2020-08-21
GB2553498A (en) 2018-03-14
EP3487976A1 (en)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4403B2 (ja) 組成物
EP3285738B1 (en) Lathering bathing composition
CN105861195B (zh) 一种具有美白祛斑功能的天然手工皂及其制备方法
KR20190032411A (ko) 고체 비누 조성물
EP3110937B1 (en) Soap composition
CA3110161A1 (en) A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quafaba
KR20040053807A (ko) 젤리 비누
JPH11269496A (ja) 植物エキス配合の石けん
Pawar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Soap
JP2007162007A (ja) 天然草木染めされた絹糸微粉末を含有する化粧石鹸
JP3647344B2 (ja) クロレラエキス含有固形石鹸
WO2020053584A1 (en) Composition
CN104893867A (zh) 一种金银花沐浴手工皂
CN101210215A (zh) 一种增白保健香皂及其生产方法
KR101862675B1 (ko) 천연 액체비누의 제조방법
JP6090884B1 (ja) 洗浄剤
JP2009263644A (ja) 石鹸
JP3709131B2 (ja) 月見草種子粉末含有の皮膚保護美容洗浄用品
JPH08209199A (ja) 石鹸組成物
CN107002001B (zh) 具有苯氧乙醇的清洁条
CN115844768A (zh) 中性肤质沫浴用洗涤块及其制备方法
JP2879987B2 (ja) 浴剤組成物
KR20180024589A (ko) 색채 무늬를 갖는 비누 및 그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