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541A -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섀시로서의 이동 가능한 섀시 또는 이동 가능한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를 위한 바닥 문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섀시로서의 이동 가능한 섀시 또는 이동 가능한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를 위한 바닥 문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541A
KR20190031541A KR1020197005163A KR20197005163A KR20190031541A KR 20190031541 A KR20190031541 A KR 20190031541A KR 1020197005163 A KR1020197005163 A KR 1020197005163A KR 20197005163 A KR20197005163 A KR 20197005163A KR 20190031541 A KR20190031541 A KR 20190031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adapter
receiving groove
chassis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베렌스
Original Assignee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filed Critical 지게니아-아우비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3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06B1/702Window s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06B3/4618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the sliding wing being arranged beside a fixe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06B2001/707Threshold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윈도우 또는 도어(1)의 슬라이딩 섀시(3)로서의 이동 가능한 섀시 또는 이동 가능한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를 위한 바닥 문턱 시스템(9)으로, 바닥 문턱 시스템(9)은 섀시 측의 활주 차량(14)의 활주 롤러(13)를 포함하는 활주 레일(15)을 위한 가이드 웹(12)을 수용하기 위한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0)을 포함하고, 활주 레일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상측에서 슬라이딩 섀시(3)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가이드 웹(12)은 그 전체 길이를 넘어 수용 홈(10) 안으로 형상 맞춤 또는 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맞물려 들어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프로파일(16)이 구비되고, 이러한 어댑터 프로파일은 하측(17)에서 볼록하게 형성된 연결 수단(18)을 통해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0) 내에 형상맞춤 및/또는 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고, 상측(19)에서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0)과 합동으로 형성된 수용 홈(20)을 포함하고, 어댑터 프로파일(16)의 수용 홈(20)은 상측에서 가이드 웹(12)을 수용하고 상측(19)과 함께 표면 연접된 걸림 부분 없는 인접부를 형성한다. 또한, 어댑터 프로파일(16)의 각각의 측면에 가시적 인접면(21, 22)이 형성되고, 이러한 인접면에서 공간 내측(23)으로는 내부 바닥면(24)이, 공간 외측(25)으로는 선택적으로 상이한 확장 프로파일(26, 27)이 외부 바닥면(28)의 이행 구간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걸림 부분 없는 이행 구간을 위해 인접 가능하다.

Description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섀시로서의 이동 가능한 섀시 또는 이동 가능한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를 위한 바닥 문턱 시스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섀시로서의 이동 가능한 섀시 또는 이동 가능한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를 위한 바닥 문턱 시스템(ground sill system)에 관한 것이다.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섀시로서의 이동 가능한 섀시, 또는 이동 가능한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는 매우 다양한 실시 형태로 공지되어 있으며 가장 단순한 경우 외부 창틀 내에서 슬라이딩 섀시로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섀시의 개폐를 위한 도어 또는 윈도우 부재 및 마찬가지로 창틀 내에 배치되는 추가적 도어 부재 또는 윈도우 부재, 예컨대 고정부로 구성된다.
닫힌 슬라이딩 섀시는 추가적 도어 부재 또는 윈도우 부재를 등지는 방향의 측면에서 섀시 프레임 내에 구비된 피팅의 작동에 의해 창틀에 잠겨질 수 있고 이로써 권한 없이 개방되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다. 슬라이딩 섀시는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섀시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리프트-슬라이딩 섀시의 열림 시, 일반적으로 작동 그립에 의한 열림 시, 슬라이딩 섀시는 실링들(sealings,밀봉부재)과 함께 들어올려짐으로써, 이러한 섀시는 바닥 문턱 시스템 상에서 용이하게 활주한다. 열린 슬라이딩 섀시는 그 옆에 위치한 고정부 앞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는 각 구성에 따라 오로지 슬라이딩만 하거나 틸팅될 수도 있다. 닫힘 시, 슬라이딩 섀시는 바닥 문턱 시스템으로 하강하고, 실링들은 다시 압접된다. 열림 및 닫힘은 전동식, 유압식 또는 공압식 액추에이터들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바닥 문턱 및 슬라이딩 부재는 공지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는 슬라이딩 도어, 슬라이딩 윈도우 또는 발코니 부재로서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슬라이딩 부재에서는, 이동하는 섀시 또는 섀시들, 특히 바닥 문턱 시스템의 수평 하부 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섀시 또는 섀시들을 위해 필요한 가이드로 인하여 걸림 부분 없는 이행(barrier-free transition)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는데, 슬라이딩 도어, 슬라이딩 윈도우 또는 발코니 부재를 위해 필요한 롤러는 바닥 문턱으로부터 돌출한 가이드 웹 또는 롤러 가이드 상에서 안내되기 때문이다. 특히, 바닥 리세스를 포함하지 않는 소위 구식 문턱에서, 이러한 구식 문턱은 걸림 부분 없는 이행을 위해 높이가 낮아야만 하며, 섀시의 롤러를 위한 가이드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를 문턱 내에 내장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수준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공지된 바닥 문턱 시스템의 또 다른 단점은 이러한 시스템의 배수 시스템이 양호하지 않다는 것이다. 슬라이딩 섀시의 민감한 통과 영역 내에서 풍압에 의해 흘러나오는 물은 다시 슬라이딩 섀시의 공지된 실링 시스템쪽으로 가압되며, 극한의 날씨 상황에서 공간 내부로 침투한다.
또한, 마루의 상부 에지로 이행하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은 공간 내부에서 및/또는 공간 외측 상에 단차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단차부는 활주 롤러를 위한 돌출 가이드 웹 외에 마찬가지로 걸려 넘어질 위험이 있는 모서리로서 작용할 수 있다.
공지된 하나의 장치는 EP 0657610 A2에 설명되어 있다. 여기서 바닥 문턱은 슬라이딩- 또는 리프트-슬라이딩 윈도우 및 도어의 창틀을 위해 금속으로 구성된 바닥 문턱이 제안되며, 이러한 바닥 문턱은 섀시 측의 활주 캐리지의 활주 롤러를 위한 가이드 웹을 포함하는 활주 레일을 포함한다. 가이드 웹은 바닥 문턱의 상측에 직접적으로 고정 또는 일체형으로 - 즉 물질적으로 단일체로 - 형성되며, 이러한 가이드 웹은 그 전체 길이를 넘어서 바닥 문턱의 상측까지 언더컷 부분들을 포함함으로써, 하측에서 종방향 갭을 포함하고 상측에서 가이드 웹을 지지하는 활주 레일-중공 프로파일은 필요 시 바닥 문턱의 가이드 웹의 언더컷 부분들과 직접적으로 체결 가능하다.
또한, DE 20 2004 005 204 U1으로부터 슬라이딩 도어의 프레임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섀시들은 각각 글래이징(glazing)을 포함하고, 이러한 글래이징은 섀시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섀시 프레임의 종방향 리세스는 이동하는 섀시의 하부 프레임-횡방향 프로파일에서 롤러 쌍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롤러 쌍은 이동하는 섀시의 슬라이딩 변위 시 이러한 섀시의 섀시 프레임과 바닥 문턱 프로파일의 롤러 지지 프로파일 사이에서 활주한다. 프레임 고정적인 섀시의 섀시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횡방향 프로파일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의 지지 프로파일을 통해 지지된다. 프레임 고정적인 섀시의 프레임 프로파일은 지지 프로파일에서 복수의 고정 스크류들에 의해 고정된다. 섀시 프레임과 지지 프로파일 사이에서 각각 한 쌍의 섀시 밀봉 프로파일이 위치하며, 이러한 섀시 밀봉 프로파일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에 대하여 섀시 프레임을 밀폐한다.
공지된 장치들은 슬라이딩 섀시에서 활주 롤러를 위하여 안정된 롤러 가이드를 수행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가이드 웹을 필요로 한다. 공지된 가이드 웹은 바닥 문턱 시스템에서 돌출하고, 추가적 실시 변형예들에 따라 바닥 문턱 시스템을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추가적 가이드 웹이 추가 장착된 장치는 걸림 부분 없는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되어, 넘어질 위험이 있는 모서리를 더 크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과제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섀시로서의 이동 가능한 섀시 또는 이동 가능한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를 위해 기능 안정적이며 견고한 바닥 문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바닥 문턱 시스템은 전술한 단점들을 해소하고, 즉 걸림 부분 없는 이행을 구현하고, 배수 및 휘몰아치는 비(driving rain)에 대한 기밀성을 개선하고, 윈도우 또는 도어를 위한 양호한 외관을 갖추며 비용 효율적이고, 간단하고 신속하며 안전하고 정확한 방식으로 작은 설치 면적으로 설치 및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섀시 또는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는 바닥 문턱 시스템을 포함한다. 가이드 웹을 수용하기 위해, 바닥 문턱 프로파일에서 수용 홈이 구비된다. 가이드 웹은 섀시 측의 활주 캐리지의 활주 롤러를 위해 포함하는 활주 레일을 형성하고, 이러한 활주 레일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의 상측에서 슬라이딩 섀시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그 전체 길이를 넘어 수용 홈 내에 형상맞춤(form-fit) 또는 강제끼워맞춤(force-fit)으로 안내되어 맞물려 들어간다. 바람직하게는, 바닥 문턱 시스템에는 어댑터 프로파일이 부속하며, 어댑터 프로파일은 그 하측에서 볼록하게 형성된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이러한 연결 수단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의 수용 홈 내에 형상맞춤 및/또는 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맞물려 들어갈 수 있고, 어댑터 프로파일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과 연동하며 결합된다. 하측에 반대되는 어댑터 프로파일의 상측에는 수용 홈이 구비되고, 이러한 수용 홈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의 수용 홈과 동일하며, 가이드 웹을 일체형으로 - 즉 단일 물질 방식으로 - 또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수용하기에 적합하며, 가이드 웹은 활주 레일의 상부 에지에서 어댑터 프로파일의 상부 에지와 함께 표면 연접하며 걸림 부분 없는 인접부를 형성한다. 바닥 문턱 시스템상에서 어댑터 프로파일이 단차부를 형성하며 안착함으로써, 어댑터 프로파일의 각각의 측면에서는 가시적인 인접면이 형성되며, 이러한 인접면에서 윈도우 또는 도어의 공간 내측으로는 내부 바닥면이 인접할 수 있고, 공간 외측으로는 선택적으로 외부 바닥면으로의 이행을 위한, 바람직하게는 걸림 부분 없는 이행을 위한 서로 다른 확장 프로파일이 인접할 수 있다.
걸려 넘어질 위험이 없는 평평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어댑터 프로파일의 수용 홈 내에 가이드 웹은 삽입되며, 상측에서 표면 연접하여 종결되고, 수용 홈의 높이는 가이드 웹의 높이에 부합한다.
전술한 이점들을 구현하기 위해, 어댑터 프로파일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과 함께 조정되어 모듈식 구조 유닛을 형성한다. 바닥 문턱 프로파일은 어댑터 프로파일과 함께 형상맞춤 방식으로 고정 가능하고, 체결 연결/스냅 연결을 통해 또는 예컨대 고정 스크류와 같은 추가적 고정 부재들에 의하여 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방식에 의해 높은 기밀성이 달성되고, 풍력 하중 및 휘몰아치는 비로 인한 물의 가능한 침투를 방지한다.
기존의 윈도우 또는 도어의 외관을 개선하고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제조를 달성하기 위해, 어댑터 프로파일의 횡단면에서 형상 및 간격은 상이하게 형성된 확장 프로파일에 맞추어 폭과 높이가 선택 가능하고, 어댑터 프로파일은 폭 부분에서 가변적으로 분리 가능하고, 슬라이딩 섀시에 의해 덮인다. 이로써, 바닥 문턱 시스템은 서로 다른 시스템 제조사의 매우 상이한 확장 프로파일에 보편적으로 설치 및 조정될 수 있다. 간단한 분리를 위해, 어댑터 프로파일 내에 사전 제조된 분리 이음부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분리 이음부는 분리의 결과로 꺾여질 수 있거나 절단을 위한 가시적 에지로서 적용될 수 있다.
어댑터 프로파일과 바닥 문턱 프로파일의 안정적이면서 기밀한 연결, 및 제조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변형예는, 연결 수단이 횡단면에서 각이 지게 형성되어 어댑터 프로파일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바닥 문턱 프로파일의 길이에 걸쳐 맞물림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복수의 부분들로 나누어진 연결 수단도 가능하나, 전술한 이점이 상실된다.
바닥 문턱 프로파일 상에서 어댑터 프로파일의 간단한 설치 및 안정적 고정은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유리한 방식으로 구현하되, 체결 연결을 위한 연결 수단 및/또는 추가적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바닥 문턱 프로파일의 수용 홈 내에 맞물려 들어가면서 고정되어 형성됨으로써 구현된다.
전술한 이점들을 구현하기 위해, 어댑터 프로파일은 단일 물질 또는 단일 프로파일로, 예컨대 목재 또는 임의의 강한 내구성의 재료, 예컨대 대리석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중공 챔버형 프로파일로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거나, 알루미늄으로부터 압출 프레스 프로파일로서 구성되어 제조된다.
바닥 문턱 프로파일과의 사이에서 하측에서 어댑터 프로파일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결 수단의 각각의 측면들에 배치되는 실링들(sealings)로서, 유리한 방식으로 어댑터 프로파일에 볼록하게 압출 성형되는 실링(밀봉부재)들에 의하여, 풍력 하중 및 휘몰아치는 비로 인한 물의 가능한 침투에 대하여 높은 기밀성이 달성된다. 이러한 실링은 어댑터 프로파일과 바닥 문턱 프로파일의 연결 사이의 공차를 보상하고, 가압 거동에 의해 연결부의 안착에 지지력을 부여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보듯이, 어댑터 프로파일이 바닥 문턱 프로파일과 함께 바닥 문턱 시스템의 전체 높이의 변동을 야기하고 창틀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인데, 이를 통해 측면으로 어댑터 프로파일의 횡단면에서 적어도 수직 바의 각 내측의 길이에 걸쳐 추가적인 인접면들을 형성하고, 이러한 인접면들은 추가로 연결 가능하고 조합 가능한 확장 프로파일들의 위치 결정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며, 이러한 확장 프로파일들은 바닥 문턱 시스템의 폭에 맞춰 장착될 수 있다. 전체 높이의 정도는 어댑터 프로파일의 형상 및 기능성에 따라 및/또는 확장 프로파일의 형상에 따라 정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매우 유리하게는, 공간 내측의 확장 프로파일은 배수 그리드이다. 배수 그리드는 배출 배수를 위한 적합한 리세스들을 구비한 상부 구조물을 포함하고, 이러한 리세스들은 다양한 패턴으로 예컨대 어댑터 프로파일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방향 웹들로, 어댑터 프로파일쪽으로 연장된 횡방향 웹들 또는 천공되거나 각이 진 웹들로 형성된다. 상부 구조물은 간격을 두어 배치된 거리 프로파일 블록들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이러한 거리 프로파일 블록들 스스로는 공간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바닥 문턱 프로파일 상에 안착한다. 바닥 문턱 프로파일과 상부 구조물 사이에서 거리 프로파일 블록들의 형성되는 중공에 의하여 배수로가 생성되어, 예기치 않게 물이 침투 가능하게 되는 것 또는 이미 침투한 물을 공간 외측으로 경사진 바닥 문턱 프로파일의 표면에 걸쳐 자동으로 윈도우 또는 도어로부터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리베이트(rebate) 내에 침투하는 물은 리베이트 내의 배수 리세스들 또는 배수 보어들을 통하여 어댑터 프로파일과 슬라이딩 섀시 사이에서 어댑터 프로파일의 수용 홈으로부터 시작하여 확장 프로파일의 방향으로 경사지며 배출될 수 있다.
어댑터 프로파일에서 배수 그리드가 직접 인접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리베이트 내에 도달한 물이 시야에 가려진 상태로(hidden) 공간 외측으로 내보내질 수 있다.
전술한 이점들을 구현하기 위해, 확장 프로파일의 길이는 창틀의 닫힘측 수직 프레임 바로부터 고정부 프레임까지 달하며, 이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열림 폭과 동일하다. 또한, 확장 프로파일은 유리한 방식으로 횡단면에서 공간 내측으로 가는 방향에서 표면 연접하는 방식으로 어댑터 프로파일에 인접하고, 공간 외측으로 가는 방향에서 외부 바닥면에 표면 연접한 인접부를 형성한다. 이로써 확장 프로파일 또는 배수 그리드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섀시의 전체 열림 영역을 덮음으로써, 슬라이딩 섀시의 열림 영역 내에서 침투 가능한 물은 간단한 수단을 이용하여 확실하고 문제 없이 그리고 걸림 부분 없는 평편한 바닥면에 맞게 조정된 양호한 외관을 갖추어 이미 공간 외측으로부터 목적에 맞게 배출될 수 있다.
침투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 바닥 문턱 프로파일 내에 모일 수 있는 물에 대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어댑터 프로파일의 기능적 확장은, 어댑터 프로파일이 배수 리세스들 또는 배수 보어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리세스들이 어댑터 프로파일 또는 바닥 문턱 시스템의 리베이트의 수용 홈으로부터 시작하여 슬라이딩 섀시쪽으로 공간 외측으로 확장 프로파일 또는 배수 그리드의 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유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수 리세스들 또는 배수 보어들은 어댑터 프로파일의 인접면에서 비가시적으로, 이로써 시야에 가려진 상태로 배수 그리드의 영역 내로 이어지며, 이때 바닥 문턱 시스템의 리베이트로부터의 물 및 공간 외측에 남아있는 물은 바깥쪽으로 경사진 바닥 문턱 프로파일에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과제는 바닥 문턱 시스템을 포함하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부재, 특히 슬라이딩- 또는 리프트-슬라이딩 섀시에 의하여 해결된다. 바닥 문턱 프로파일은 섀시 측의 활주 캐리지의 활주 롤러를 포함하는 활주 레일을 위한 가이드 웹을 위한 수용 홈을 포함하고, 활주 레일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의 상측에서 슬라이딩 섀시에 대향하여 가이드 웹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다. 가이드 웹은 그 전체 길이를 넘어 이러한 수용 홈 내에 형상맞춤 또는 강제끼워맞춤으로 삽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용 홈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어댑터 프로파일이다. 이를 위해, 어댑터 프로파일은 그 하측에서 돌출 형성된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이러한 연결 수단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의 수용 홈의 형상에 맞게 조정된다. 각 실시 형태에 따라, 어댑터 프로파일은 형상 맞춤 또는 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체결 연결/스냅 연결을 이용하여 또는 고정 스크류들에 의하여 바닥 문턱 프로파일의 수용 홈 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 프로파일은 연결 수단의 등진 방향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일 축에 대향하는 상측에서 수용 홈을 포함하고, 이러한 수용 홈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의 수용 홈과 동일하다. 슬라이딩 섀시에 고정된, 활주 롤러를 위한 활주 캐리지를 포함하는 활주 레일을 수용하기 위해, 어댑터 프로파일의 수용 홈은 가이드 웹을 수용한다. 바닥 문턱 프로파일 상에 어댑터 프로파일이 안착함으로써, 각각의 측면에 적합한 인접면들이 형성되며, 이러한 인접면들은 서로 다른 확장 프로파일의 인접 및 위치 결정을 위해 적용된다. 어댑터 프로파일 및 확장 프로파일은 스스로, 공간 내측 및 공간 외측의 바닥면들과 함께 표면 연접하며 평편한 이행을 형성한다.
또한, 어댑터 프로파일이 작동 로드의 피팅과 무관하게 그리고 윈도우 또는 도어의 제조와 무관하게 설치 가능한 것이 피팅의 기능, 설치 및 비용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댑터 프로파일의 설치는 슬라이딩 섀시와 고정부 또는 창틀 사이에서 수평으로 가능하다. 또한, 포개어져 배치되어 사용되는 복수의 어댑터 프로파일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프로파일들은 각각의 수용 홈 내에서 서로 센터링될 수 있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는 도면으로부터 확인된다.
도 1은 공간 내측으로부터 본 윈도우 또는 도어의 정면도로, 닫힌 상태의 슬라이딩 섀시 및 창틀에 고정된 고정부와 함께, 하부의 수평 창틀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섀시 또는 고정부의 바닥 문턱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윈도우 또는 도어의 A-A 단면에 상응하는 슬라이딩 섀시 영역의 수직 단면도로, 이러한 슬라이딩 섀시 영역에서 닫힌 슬라이딩 섀시는 바닥 문턱 시스템의 가이드 웹을 포함하는 어댑터 프로파일 상에 안착하며, 공간 외측으로 배치된 배수 그리드는 마찬가지로 단면으로 도시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윈도우 또는 도어의 B-B 단면에 상응하는 슬라이딩 섀시 영역의 수직 단면도로, 고정부 및 바닥 문턱 시스템 상에 배치되며 슬라이딩 섀시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 웹을 포함하는 어댑터 프로파일이 함께 도시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윈도우 또는 도어의 A-A 단면에 상응하는 슬라이딩 섀시 영역의 수직 단면도로서 제2 실시 변형예에 따르며, 이러한 슬라이딩 섀시 영역에서 닫힌 슬라이딩 섀시는 바닥 문턱 시스템의 어댑터 프로파일 상에 안착하며, 공간 외측으로 배치된 배수 그리드가 마찬가지로 단면으로 도시된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윈도우 또는 도어의 B-B 단면에 상응하는 슬라이딩 섀시 영역의 수직 단면도로, 도 4에 따른 제2 실시 변형예에 따르며, 고정부 및 바닥 문턱 시스템 상에 배치되며 슬라이딩 섀시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 웹을 포함하는 어댑터 프로파일이 함께 도시된다.
도 6은 어댑터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의 바닥 문턱 프로파일을 수직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윈도우 또는 도어의 리베이트에서 침투 가능한 물의 배수를 위한 보어 또는 부분이 함께 도시된다.
도 7은 공간 내측의 바닥 문턱 시스템의 사시도로, 어댑터 프로파일 및 이에 위치 결정된 가이드 웹이 함께 도시되고, 윈도우 또는 도어의 하부 수평 영역에서 평편하고 걸림 부분 없는 이행 구간의 배수 그리드가 어댑터 프로파일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함께 도시된다.
도 8은 공간 외측의 바닥 문턱 시스템의 사시도로, 어댑터 프로파일 및 이에 위치 결정된 가이드 웹이 함께 도시되고, 윈도우 또는 도어의 하부 수평 영역에서 평편하고 걸림 부분 없는 이행 구간의 배수 그리드가 어댑터 프로파일에 인접하여 간격유지 블록들 상에 안착한 상태로 배수로를 형성하며 배치되는 것이 함께 도시된다.
도 9는 공간 외측의 바닥 문턱 시스템과 함께 하부 수평 영역의 도 1에 따르는 윈도우 또는 도어의 부분 사시도로, 도 7에서 간격유지 블록들 상에 안착한 배수 그리드 및 이를 통해 형성되는 배수로가 함께 도시된다.
도 10은 창틀, 슬라이딩 섀시 및 고정부를 제외한 바닥 문턱 시스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들에서 참조번호 1로 표시되는 윈도우 또는 도어는 실질적으로 외부의 케이싱 프레임 또는 창틀(2)로 구성되고, 이러한 프레임 내에서 도어(1)의 열림 및 닫힘을 위해 이동 가능한 섀시는 슬라이딩 섀시(3)로서 구비되고, 고정부(4)가 구비된다. 도 1에 따른 화살표는 슬라이딩 섀시(3)의 열림 경로를 표시한다.
예컨대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로서 형성되는 섀시(3)는 특히 섀시 프레임(5) 및 이러한 프레임 내에 구비되는 글래이징(6)을 포함한다. 고정부(4)는 실질적으로 프레임(7) 및 이에 부속한 글래이징(8)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따르는 닫힌 슬라이딩 섀시(3)에서, 이러한 슬라이딩 섀시는 슬라이딩 섀시(3)의 섀시 프레임(5)에 구비되는 -미도시된- 피팅의 잠금 부재가 창틀(2)의 수직 바에서 잠금 체결에 의해 맞물림으로써 잠겨진다. 고정부(4)를 등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서, 슬래이딩 섀시(3)의 섀시 프레임(5)의 수직 바는 이행 구간의 접합 영역에서 형성되는 고정부 프레임(7)과 중첩하며 추가적 - 미도시된 - 잠금 부재에 의하여 잠겨진다.
또한, 도 1에서 윈도우 또는 도어(1)의 하부 수평 영역에서 바닥 문턱 시스템(9)이 배치된다. 도 1의 해당 단면도 A-A 및 B-B는 이후의 도 2 내지 도 5에서 슬라이딩 섀시(3) 또는 리프트-슬라이딩 섀시의 바닥 문턱 시스템(9)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닥 문턱 시스템(9)은 예컨대 열에 의해 분리된 바닥 문턱으로서 실시되고, 복수의 연결 프로파일들로 구성된다. 이때 관형 또는 박스형 프로파일은 금속 재료, 특히 알루미늄으로부터 압출 프레싱에 의해 제조될 수 있거나, 형태 안정적이며 내부식성(rot-proof)을 가진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압출 공정에서 프로파일로서 제조된다. 물론, 바닥 문턱 시스템(9), 특히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은 전체적으로 금속 재료로, 주로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압출 프레싱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금속 프로파일 인서트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바닥 문턱 프로파일(11) 대신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커버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커버 프로파일은 관형 또는 박스형 횡단면을 포함하지 않으나 비교적 평편하고 아래쪽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목재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창틀(2)의 하부의 수평 바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바닥 문턱 프로파일(11) 및 커버 프로파일에 대하여 전술한 모든 실시 형태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베이스 프로파일(40)과 함께 고정적으로 하나의 구조 유닛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시스템들에 따라 바닥 문턱 시스템(9)을 포함하여 구성된 창틀(2)은 실무 적용 시 슬라이딩- 또는 리프트-슬라이딩 윈도우 및 도어(1)를 위한 것이며, 하부의 수평 영역에서 윈도우 또는 도어(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8에 따르는 바닥 문턱 시스템(9)은 섀시 측의 활주 캐리지(14)의 그루브(grooved) 활주 롤러(13)를 위해 포함하는 활주 레일(15)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웹(12)을 구비한다. 슬라이딩- 또는 리프트-슬라이딩 윈도우 및 도어의 각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활주 레일(15)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활주 레일(15), 장애인을 위한 활주 레일, 특히 휠체어를 타고 넘어갈 수 있는 바닥 문턱 시스템(9)은 비교적 평편하게 형성되고 이로써 평편한 활주 레일(15)을 포함하게 된다.
공간 내측(23) 및 공간 외측(25)으로 가는 바닥 레벨로 평편한 이행 구간이 연결되는, 평편하고 걸림 부분 없는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으로서, 기밀성 및 안티 리프트 특성과 관련한 모든 요건을 충족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은 이하에서 윈도우 또는 도어(1)의 슬라이딩 섀시(3) 또는 리프트-슬라이딩 섀시에 의하여 해결된다.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8에 따라, 가이드 웹(12)을 수용하기 위해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에서 수용 홈(10)이 구비된다.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상측에서 슬라이딩 섀시(3)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가이드 웹(12)을 지지하는 활주 레일(15)은 - 미도시되었으나 -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수용 홈(10) 내에 형상맞춤 또는 강제끼워맞춤으로 안내되어 맞물린다. 추가적 실시 변형예에 따르면, 바닥 문턱 시스템(9)에 어댑터 프로파일(16)이 구비되고, 어댑터 프로파일은 하측(17)에서 볼록하게 형성된 연결 수단(18)을 통해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0) 내에 형상맞춤 및/또는 강제끼워맞춤으로 맞물려 들어갈 수 있고, 어댑터 프로파일(16)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11)과 연동하며 접합한다. 이를 위해, 이전에 맞물린 가이드 웹(12)은 수용 홈(10)으로부터 제거되거나, 수용 홈(10)은, 가이드 웹(12)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결 수단(18)이 접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8에 따르면, 하측(17)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어댑터 프로파일(16)의 상측(19)에 수용 홈(20)이 구비되고, 이러한 수용 홈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0)과 동일하고, 가이드 웹(12)을 일체형으로 - 즉 단일 재료로 - 또는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수용하기에 적합하며, 가이드 부재(12)는 활주 레일(15)의 상부 에지에서 어댑터 프로파일(16)의 상측과 함께 표면 연접하며 걸림 부분 없는 인접부를 형성한다. 바닥 문턱 프로파일(11) 상에 어댑터 프로파일(16)이 단차부를 형성하며 안착함으로써, 어댑터 프로파일(16)의 각각의 측면에는 가시적 인접면(21, 22)이 형성되고, 이러한 인접면에서 윈도우 또는 도어(1)의 공간 내측(23)으로 내부 바닥면(24)이 연결되고, 공간 외측(25)으로 선택적으로 상이한 확장 프로파일(26, 27)이 외부 바닥면(28)으로의 이행을 위해, 걸림 부분 없는 이행 구간을 위해 연결될 수 있다. 인접면들(21, 22)은 그 높이가 어댑터 프로파일(16)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길이는 창틀(2)의 각 수직 바들에 의해 제한된다. 도 2 내지 도 8에 따르면, 어댑터 프로파일(16)의 인접면들(21, 22)은 수직으로 슬라이딩 섀시(3)의 외부 치수에 대해 이행 부분 없이 연속적으로 정렬된다. 어댑터 프로파일(16)의 실시 형태에 따라, 슬라이딩 섀시(3)에 대해 서로 다른 폭(29)을 가지며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어서, 인접면들(21, 22)은 확장 프로파일(26, 27)을 위해 적합하게 변위된다.
도면상 - 미도시되었으나 - 예컨대 어댑터 프로파일(16)의 폭(29)이 감소하면 슬라이딩 섀시(3) 아래에서 배수 그리드(34)의 변위를 야기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따르면, 가이드 웹(12)은 어댑터 프로파일(16)의 수용 홈(20) 내에 삽입되고, 상측(19)과 함께 표면 연접하여 종결되고, 수용 홈(20)의 높이는 가이드 웹(12)의 높이에 상응한다.
어댑터 프로파일(16)은 도 2 내지 도 8에 따라 바닥 문턱 프로파일(11)과 함께 조정되고, 통합적인 구조 유닛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은 어댑터 프로파일(16)과 형상 맞춤 방식으로 고정 가능하며, 체결 연결/스냅 연결을 통해 또는 예컨대 고정 스크류와 같은 추가적 고정 부재에 의하여 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방식에 의해 높은 기밀성이 달성되고, 풍력 부하 및 휘몰아치는 비로 인한 하중으로 인한 물의 가능한 침투를 방지한다.
어댑터 프로파일(16)의 횡단면 치수는 폭(29) 및 높이(30)가, 상이하게 형성된 확장 프로파일(26, 27)에 맞게 선택 가능하다. 이를 위해, 어댑터 프로파일(16)은 폭(29) 면에서 가변적으로 분리 가능하다. 또한, 어댑터 프로파일(16)은 폭(29) 부분에서 전면적으로 슬라이딩 섀시(3)에 의해 덮인다. 각 실시 변형예에 따라 어댑터 프로파일(16)은 폭(29) 부분에서 - 미도시되었으나 - 서로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슬라이딩 섀시(3)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예컨대 인접면(22)은 단차 형성되고, 확장 프로파일(26)은 슬라이딩 섀시(3) 아래로 돌출한다. 따라서 바닥 문턱 시스템(9)은 상이한 시스템 제조자의 매우 상이한 확장 프로파일에 범용적으로 설치 및 조정될 수 있다. 어댑터 프로파일(16)의 종방향에서 간단한 분리를 위해, 어댑터 프로파일(16) 내에 사전 제조된 - 미도시된 - 분리 이음부가 구비될 수 있고, 분리 이음부는 어댑터 프로파일(16)의 폭을 줄이기 위해 개별 부분 영역들의 분리의 결과로 꺾일 수 있거나, 동일한 목적의 절단을 위한 가시적 에지로서 보조적으로 적용된다.
바닥 문턱 프로파일(11)과 어댑터 프로파일(16)의 기밀하고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연결 수단(18)이 역할하고, 이러한 연결 수단은 횡단면에서 각이 지게 형성되고, 어댑터 프로파일(16)의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8에 따라 연결 수단(18)에서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방향으로 돌출한 웹들(39)이 배치되고, 이러한 웹들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0) 내에 형태 안정적으로 맞물려 들어간다.
바닥 문턱 프로파일(11) 상에서 어댑터 프로파일(16)의 간단한 설치 및 안정적 고정은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유리한 방식으로 구현되되, 체결 연결을 위한 연결 수단(18) 및/또는 예컨대 고정 스크류와 같은 추가적인 - 미도시된 -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1) 내에 맞물려 들어가며 고정되어 형성됨으로써 구현된다.
어댑터 프로파일(16)은 예컨대 목재와 같이 단일 재료로부터 또는 단일 프로파일로부터 제조될 수 있거나, 예컨대 대리석과 같은 임의의 내구성이 강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 따르면, 어댑터 프로파일(16)은 중공 챔버형 프로파일로서 형성되고, 플라스틱으로 또는 알루미늄으로부터 압출 프레스 프로파일로서 제조된다.
도 2 내지 도 8에 따르며, 어댑터 프로파일(16)의 전체 길이에 걸쳐 어댑터 프로파일(16)의 하측(17) 상에서 연결 수단(18)의 바로 옆에서 바닥 프로파일(11)과의 사이에 볼록하에 압출 성형되는 실링들(31, 32)에 의하여, 풍력 부하 및 휘몰아치는 비의 하중으로 인하여 물의 가능한 침투에 대비해 높은 기밀성이 달성된다. 이러한 실링은 어댑터 프로파일(16)과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연결 간의 공차를 보상하고, 가압 거동에 의하여 연결부의 안착에 지지력을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어댑터 프로파일(16)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11)과 함께 바닥 문턱 시스템(9)의 전체 높이(33)에 변동을 야기하며, 수직 바의 각 내측의 길이에 걸쳐 또는 - 미도시되었으나 - 전체 창틀(2)의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어댑터 프로파일(16)의 횡단면에서 측면으로 추가적인 인접면들(21, 22)이 형성되며, 이러한 인접면들은 이후에 연결되는 조합 가능한 확장 프로파일(26, 27)의 위치 결정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이러한 확장 프로파일은 바닥 문턱 시스템(9)의 폭에 맞게 장착될 수 있다. 전체 높이(33)의 정도는 어댑터 프로파일(16)의 형상 및 기능성에 맞게 및/또는 확장 프로파일(26, 27)의 형상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에 따르면, 공간 외측(25) 상의 확장 프로파일(26)은 배수 그리드(34)인 것을 알 수 있다(도 7 참조). 배수 그리드(34)는 유출 배수를 위해 적합한 리세스들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35)을 포함하고, 이러한 리세스들은 다양한 패턴으로 예컨대 어댑터 프로파일(16)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하는 종방향 웹들로부터,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프로파일(16)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슬라이딩 섀시(3)의 이동 방향으로 정렬된 웹들 또는 천공되거나 각이진 웹들로부터 형성된다. 상부 구조물(35)은 서로 이격 배치된 거리 프로파일 블록들(36) 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이러한 거리 프로파일 블록들 자체는 공간 외측(25) 방향으로 경사진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표면(41) 위에 놓인다. 윈도우 또는 도어(1)의 종류 및 길이에 따라, 이에 상응하여 거리 프로파일 블록들(36)의 개수가 결정된다. 도 8 내지 도 10으로부터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거리 프로파일 블록(36)이 사용된다. 바닥 문턱 프로파일(11)과 상부 구조물(35) 사이에서 거리 프로파일 블록들(36)에 의해 중공이 생성되고, 이러한 중공은 도 8에 도시한 것 같이 배수로(37)를 형성함으로써, 예기치 않게 물이 침투 가능한 것 또는 이미 침투한 물이 공간 외측(25)으로 경사진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표면(41)을 통해 자동으로 윈도우 또는 도어(1)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또는 도어(1)의 리베이트 내에서 침투하는 물은 배수 리세스들 또는 배수 보어들(38)을 통해 윈도우 또는 도어(1)로부터 멀어져 공간 외측(25)으로 배출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를 위해 어댑터 프로파일(16)은 배수 리세스들 또는 -보어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리세스들은 수용 홈(20)으로부터 시작하여 공간 외측(25)으로, 확장 프로파일(26)의 방향으로 경사져 진행한다. 어댑터 프로파일(16)에서 배수 그리드(34)가 직접 인접함으로써, 리베이트 내에 침투한 물은 시야에서 가려진 채로 공간 외측(25)으로 배출 이송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따르면, 확장 프로파일(26) 또는 배수 그리드(34)는 그 길이가 창틀(2)의 닫힘측의 수직 프레임 바로부터 고정부 프레임(5)까지 도달하고, 이는 윈도우 또는 도어(1)의 열림 폭과 동일하다. 또한, 확장 프로파일(26)은 횡단면에서 공간 내측(23) 방향으로 어댑터 프로파일(16)에 표면 연접하여 인접하고, 공간 외측(25) 방향으로 외부의 바닥면(28)과 표면 연접한 인접부를 형성한다. 이로써, 확장 프로파일(26) 또는 배수 그리드(34)는 윈도우 또는 도어(1)의 슬라이딩 섀시(3)의 전체 열림 영역을 덮음으로써, 슬라이딩 섀시(3)의 열림 영역 내에서 침투할 수 있는 물은 간단한 수단을 이용하여 확실하고 문제없이 그리고 시각적으로도 유리하게, 걸림 부분 없는 평편한 바닥면에 맞게 조정됨으로써, 이미 공간 외측(25)으로부터 목적한 바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따르면, 슬라이딩 부재, 특히 윈도우 또는 도어(1)의 슬라이딩- 또는 리프트-슬라이딩 섀시(3)가 바닥 문턱 시스템(9)을 포함하여 도시된다.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은 섀시 측의 활주 차량(14)의 활주 롤러(13)를 포함하는 활주 레일(15)을 위한 가이드 웹(12)을 위한 수용 홈(10)을 포함하고, 이러한 활주 레일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상측에서 슬라이딩 섀시(3)에 대향하여 가이드 웹(12)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다. 가이드 웹(12)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수용 홈(10) 내에 형상맞춤 또는 강제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용 홈(10)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은, 도 2 내지 도 8에 따르면 어댑터 프로파일(16)이다. 이를 위해, 어댑터 프로파일(16)은 그 하측(17)에서 돌출 형성된 연결수단(18)을 포함하고, 이러한 연결 수단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0)의 형상에 맞게 조정된다. 각 실시 형태에 따라, 어댑터 프로파일(16)은 형상맞춤 또는 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체결 연결/스냅 연결을 이용하여 또는 고정 스크류에 의해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0) 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 프로파일(16)은 연결 수단(18)의 등진 방향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일 축에 대향된 상측(19)에서 수용 홈(20)을 포함하고, 이러한 수용 홈은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0)과 동일하다. 슬라이딩 섀시(3)에 고정되며 활주 레일(13)을 위한 활주 차량(14)을 포함하는 활주 레일(15)을 수용하기 위해, 어댑터 프로파일(16)의 수용 홈(20)은 가이드 웹(12)을 수용한다. 바닥 문턱 프로파일(11) 상에 어댑터 프로파일(16)이 안착함으로써, 각 측면에는 적합한 인접면들(21, 22)이 형성되며, 이러한 인접면들은 서로 다른 확장 프로파일(26, 27)의 인접 및 위치 결정을 위해 적용된다. 어댑터 프로파일(16) 및 확장 프로파일(26, 27)은 스스로, 그리고 공간 내측(23)의 바닥면(24) 및 공간 외측(25)의 바닥면(28)과 함께 표면 연접하고 평편한 이행 구간을 형성한다.
1: 윈도우 또는 도어 2: 창틀
3: 슬라이딩 섀시 4: 고정부
5: 섀시 프레임 6: 글래이징
7: 고정부 프레임 8: 글래이징
9: 바닥 문턱 시스템 10: 수용 홈
11: 바닥 문턱 프로파일 12: 가이드웹
13: 활주 롤러 14: 활주 차량
15: 활주 레일 16: 어댑터 프로파일
17: 하측 18: 연결 수단
19: 상측 20: 수용 홈
21: 인접면 22: 인접면
23: 공간 내측 24: 바닥면
25: 공간 외측 26: 확장 프로파일
27: 확장 프로파일 28: 바닥면
29: 폭 30: 높이
31: 실링 32: 실링
33: 전체 높이 34: 배수 그리드
35: 상부 구조물 36: 거리 프로파일 블록
37: 배수로 38: 배수 리세스/배수 보어
39: 웹 40: 베이스 프로파일
41: 표면

Claims (15)

  1. 윈도우 또는 도어(1)의 슬라이딩 섀시(3)로서의 이동 가능한 섀시 또는 이동 가능한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를 위한 바닥 문턱 시스템(9)으로, 섀시 측의 활주 차량(14)의 활주 롤러(13)를 포함하는 활주 레일(15)을 위한 가이드 웹(1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10)을 포함하고, 상기 활주 레일은 상기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상측에서 상기 슬라이딩 섀시(3)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웹(12)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수용 홈(10) 내에 형상맞춤/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맞물려 들어갈 수 있는 것인, 바닥 문턱 시스템(9)에 있어서,
    하측(17)에서 볼록하게 형성되는 연결 수단(18)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0) 내에 형상맞춤 및/또는 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맞물려 들어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프로파일(16)이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6)은 그 상측(19)에서 상기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0)과 합동으로 형성된 수용 홈(20)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의 수용 홈(20)은 상측에서 상기 가이드 웹(12)을 수용하고, 상기 상측(19)과 함께 표면 연접하며 걸림 부분 없는 인접부를 형성하고,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의 각 측면에는 가시적 인접면(21, 22)이 형성되며, 상기 인접면에서 공간 내측(23)으로는 내부 바닥면(24)이, 공간 외측(25)으로는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확장 프로파일(26, 27)이 외부 바닥면(28)의 이행 구간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걸림 부분 없는 이행 구간을 위해 인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의 수용 홈(20) 내에 상기 가이드 웹(12)은 삽입되고, 상기 상측(19)과 표면 연접하며 종결되고, 상기 수용 홈(20)의 높이는 상기 가이드 웹(12)의 높이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 또는 커버 프로파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은 상기 바닥 문턱 프로파일(11)과 함께 조정되고 모듈식 구조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 또는 커버 프로파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의 횡단면에서 형상 및 간격은, 상이하게 형성된 확장 프로파일(26, 27)에 맞게 폭(29) 및 높이(30)가 선택 가능하고,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은 상기 폭(29) 부분에서 가변적으로 분리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딩 섀시(3)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18)은 횡단면에서 각이 지게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의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18)은 체결 연결을 위해 및/또는 추가적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0) 내에 맞물리면서 고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은 단일 물질 또는 단일 프로파일로부터 예컨대 목재로부터 또는 예컨대 대리석과 같은 임의의 내구성 강한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은 플라스틱으로부터 중공 챔버형 프로파일로서 형성되거나 압출 프로파일로서 알루미늄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은 하측(17)에서 상기 바닥 문턱 프로파일(11)과의 사이에서 상기 연결 수단(18)의 각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링(31, 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은 상기 바닥 문턱 프로파일(11)과 함께 상기 바닥 문턱 시스템(9)의 전체 높이(33)에서 변동을 야기하고, 수직 바의 각 내측의 길이에 걸쳐 또는 상기 창틀(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프로파일(26)은 상기 공간 외측(25)에서 배수 그리드(34)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 그리드는 상부 구조물(35) 및 상기 상부 구조물(35)과 상기 바닥 문턱 프로파일(11) 사이에 배수로(37)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로는 상기 공간 외측(25) 방향으로 경사진 바닥 문턱 프로파일(11) 상에 간격유지 블록들(36)이 안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프로파일(26)은 길이 부분에서 상기 창틀(2)의 닫힘측 수직 프레임 바부터 고정부 프레임(5)까지 달하며, 이는 윈도우 또는 도어(1)의 열림 폭과 동일하고, 횡단면에서 공간 내측(23) 방향으로 표면 연접하면서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에 인접하고, 상기 공간 외측(25) 방향으로 상기 외부 바닥면(28)과 표면 연접한 인접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은 배수 리세스들 또는 -보어들(38)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리세스들은 상기 수용 홈(20)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공간 외측(25)으로 상기 확장 프로파일(26)의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문턱 시스템(9).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닥 문턱 시스템(9)을 구비한 윈도우 또는 도어(1)의 슬라이딩 섀시(3)로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섀시 또는 이동 가능한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닥 문턱 시스템(9)을 포함하는 윈도우 또는 도어(1)의 슬라이딩 부재, 특히 슬라이딩- 또는 리프트-슬라이딩 섀시(3)로서, 섀시 측의 활주 차량(14)의 활주 롤러(13)를 포함하는 활주 레일(15)을 위한 가이드 웹(12)을 위해 배치되는 수용 홈(10)을 포함하고, 상기 활주 레일은 상기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상측에서 상기 슬라이딩 섀시(3)에 대향하여 상기 가이드 웹(12)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웹(12)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수용 홈(10) 내에 형상맞춤 또는 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딩 부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 프로파일(16)이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은 그 하측(17)에서 볼록하게 형성된 연결 수단(18)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0) 내에 형상맞춤 및/또는 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은 그 상측(19)에서 상기 바닥 문턱 프로파일(11)의 수용 홈(10)과 합동으로 형성된 수용 홈(20)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프로파일(16)의 수용 홈(20)은 상측에서 가이드 웹(12)을 수용하고, 각각의 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어댑터 프로파일(16)의 인접면(21. 22)에 상이한 확장 프로파일(26, 27)에 의해 공간 내측(23) 및 공간 외측(25)으로 표면 연접하고 평편한 이행 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부재.
KR1020197005163A 2016-07-22 2017-05-30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섀시로서의 이동 가능한 섀시 또는 이동 가능한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를 위한 바닥 문턱 시스템 KR201900315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6004456.8 2016-07-22
DE202016004456.8U DE202016004456U1 (de) 2016-07-22 2016-07-22 Bodenschwellensystem für einen verschiebbaren Flügel als Schiebeflügel oder verschiebbaren Hebe-Schiebeflügel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PCT/EP2017/062949 WO2018015053A1 (de) 2016-07-22 2017-05-30 Bodenschwellensystem für einen verschiebbaren flügel als schiebeflügel odr verschiebbaren hebe-schiebeflügel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541A true KR20190031541A (ko) 2019-03-26

Family

ID=5685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163A KR20190031541A (ko) 2016-07-22 2017-05-30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섀시로서의 이동 가능한 섀시 또는 이동 가능한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를 위한 바닥 문턱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3488065B1 (ko)
KR (1) KR20190031541A (ko)
CN (1) CN109477356B (ko)
DE (1) DE202016004456U1 (ko)
DK (1) DK3488065T3 (ko)
ES (1) ES2784397T3 (ko)
HU (1) HUE048818T2 (ko)
PL (1) PL3488065T3 (ko)
SI (1) SI3488065T1 (ko)
WO (1) WO2018015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1227B (zh) * 2017-02-21 2018-10-19 陈鸿涛 密封推拉式平开窗
DE202017001325U1 (de) * 2017-03-13 2017-03-31 Siegenia-Aubi Kg Bodenschwellensystem für einen verschiebbaren Flügel als Schiebeflügel oder verschiebaren Hebe-Schiebeflügel eines Fensters oder einer Tür
DE102017130894A1 (de) * 2017-12-21 2019-06-27 Veka Ag Barrierefreie Bodenschwelle für eine Hebe-Schiebe-Tür
DE102018106539A1 (de) * 2018-03-20 2019-09-26 Veka Ag Hebe-Schiebe-Tür-Profilsystem
DE202019106103U1 (de) 2019-11-04 2019-11-25 Hautau Gmbh Drainageeinrichtung für Tür- oder Fensterelemente
DE102020102901A1 (de) 2020-02-05 2021-08-05 Profine Gmbh Nullschwelle für Schiebe-Hebe-Tü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8284A1 (de) * 1982-12-28 1984-06-28 Fulgurit GmbH & Co KG, 3050 Wunstorf Aus thermisch getrennten aluminiumprofilen bestehender rahmen fuer tuerfluegel oder seitenteile
DE9318973U1 (de) 1993-12-10 1994-02-10 Siegenia Frank Kg Bodenschwelle bzw. Abdeckprofil für Blendrahmen von Schiebe- oder Hebe-Schiebefenstern und -türen o.dgl.
CN1476509A (zh) * 2001-09-28 2004-02-18 九州不二萨西株式会社 板条的摆动机构及使用它的开口部外装装置
DE10353822A1 (de) * 2003-11-18 2005-06-23 Eduard Hueck Gmbh & Co Kg Schwellenprofil für eine Schiebetür oder ein Schiebefenster
DE202004005204U1 (de) 2004-03-30 2004-06-17 Rehau Ag + Co. Schiebetür
DE102007003904B4 (de) * 2007-01-19 2017-03-02 Inge Frey Bodenschwelle und Schiebetüre mit einer Bodenschwelle
CN202926105U (zh) * 2012-11-08 2013-05-08 深圳市华剑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推拉门
CN204163567U (zh) * 2014-09-09 2015-02-18 陈泽鑫 一种防台风的推拉门或推拉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84397T3 (es) 2020-09-25
SI3488065T1 (sl) 2020-08-31
CN109477356B (zh) 2020-06-05
PL3488065T3 (pl) 2020-08-24
EP3488065B1 (de) 2020-04-01
CN109477356A (zh) 2019-03-15
WO2018015053A1 (de) 2018-01-25
DE202016004456U1 (de) 2016-08-17
EP3488065A1 (de) 2019-05-29
HUE048818T2 (hu) 2020-08-28
DK3488065T3 (da)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1541A (ko) 윈도우 또는 도어의 슬라이딩 섀시로서의 이동 가능한 섀시 또는 이동 가능한 리프트-슬라이딩 섀시를 위한 바닥 문턱 시스템
CN110382809B (zh) 窗户或门的可移动扇或可移动的抬升推扇的地梁系统
AU2010100406A4 (en) Sliding windows, doors and the like
US4555868A (en) Vinyl tilt window assembly
US20040163317A1 (en) Fitting for lift-slide doors or windows and lift-slide door or window with such a fitting
CA2524298C (en) Slider window with continuous seals
US10895103B2 (en) Modular threshold assembly
JPS5943634B2 (ja) 鉛直方向又は水平方向の引違い窓のためのサツシユ構造
EP1949834B1 (en) Modular mat
US9097059B1 (en) Draining sill and frame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KR102200708B1 (ko) 롤방충망 타입 유리난간대
ITMI20091055A1 (it) Struttura di telaio modulare per parete mobile
US3526996A (en) Fastener for securing a window track to a windowsill
WO2011067210A2 (de) Schiebewand mit wenigstens zwei flügeln
US11060334B2 (en) Vertical sliding element
RU2780668C1 (ru) Напольная порогов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мещаемой сдвижной или подъемно-сдвижной створки окна или двери
KR100587491B1 (ko) 건축물의 창문틀 구조
WO1992013163A1 (en) System for movable panels
EP1344891A1 (en) Sliding window with improved water- and air-tightness
FI115990B (fi) Siirettävissä ja käännettävissä oleva paneelirakenne sekä sen ohjain
IT201800003481A1 (it) Serramento
EP3879057B1 (en) Guide rail for a sliding door assembly
CA2851022A1 (en) Draining sill and frame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GB2358658A (en) Draught proofing for windows
EP2767661A2 (de) Gebäudetü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