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406A -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406A
KR20190031406A KR1020170118957A KR20170118957A KR20190031406A KR 20190031406 A KR20190031406 A KR 20190031406A KR 1020170118957 A KR1020170118957 A KR 1020170118957A KR 20170118957 A KR20170118957 A KR 20170118957A KR 20190031406 A KR20190031406 A KR 20190031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lastic tape
board
plastic
micr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철
양혜진
Original Assignee
이영철
양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양혜진 filed Critical 이영철
Priority to KR1020170118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1406A/ko
Publication of KR2019003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100)이 공사 현장에서 여러 번 반복 사용으로 표면이 거칠어져 사용에 어려움이 있을 때, 거푸집 널(100)을 공사 현장 외부로 이동시키지 않고 공사 현장에 준비된 압착롤러(230)를 갖춘 압착장치(200)를 이용하여 거푸집 널(100)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110)를 가압 방식으로 접착시켜 거푸집 널(100)의 표면을 매끈하게 처리하여 재사용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Remaking Method of Sheathing Board for Con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공사 현상에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이 여러 번 반복 사용으로 표면이 거칠어져 재사용에 어려움이 있을 때, 건축 현장에 준비된 압착롤러를 갖춘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거푸집 널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를 가압 방식으로 접착시켜 거푸집널의 표면을 매끈하게 처리함으로써, 거푸집 널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 널은 건축 현장에서 설계 두께를 갖는 벽이나 기둥, 축대 등을 타설하기 위한 것으로, 적정간격이 유지되도록 내 외측에 2 개 이상의 거푸집 널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양생시킴으로써 소망하는 형태와 두께 및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종래의 거푸집 널은 사각틀체의 프레임 전면에 목재의 거푸집판을 고정볼트 등에 의해 고정시키고, 상기 프레임의 둘레에는 거푸집 널들을 서로 연결시키거나 적정간격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연결대가 끼워지는 연결홈 및 연결구멍 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보강대가 구비되어 콘크리트의 압력 또는 하중에 의한 프레임의 휨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거푸집 널은 수명이 짧아 과대한 비용과 보수시간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거푸집 널의 표면에는 콘크리트의 양생 후 분리가 잘되도록 하기 위해 이 형제를 도포하게 되는데, 콘크리트 타설을 수 회 반복하게 되면 그 표면에 많은 손상이 발생되어 콘크리트의 표면품질이 불량해짐은 물론, 거푸집 널의 분리가 매우 어렵게 된다.
따라서, 통상 5 ~ 6회 사용하고 난 거푸집 널은 새로운 합판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건설단가 상승의 주요인을 제공하게 됨은 물론 작업지연에 의해 작업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유발된다.
또한, 콘크리트와 접촉되는 거푸집 널의 이면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데, 이 경우 건설현장 전체의 미관이 불량해지고 작업자의 시각적 피로를 가중시킨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을 참고하면, 종래의 유로폼 타입 거푸집(1)의 프레임(2)은 일반적으로 철제로 제조되며 전체적으로 4각형을 이룬다. 프레임(2)의 테두리 면에는 파이프 후크(pipe hook) 및 웨지핀(wedge pin)이 체결되도록 한 체결공(2a)과 납작하고 길이가 긴 사각형의 플랫 타이 바(flat tie bar) 또는 간격대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간격대 홈(2b)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마련된다. 프레임(2)의 내부에는 프레임 및 판재를 보강하기 위한 앵글(3)이 적절히 배열되어 있으며, 판재(4)는 프레임(2)의 전면에 배치되어서 리벳 등으로 체결된다. 이러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1)은 일정 규격으로 정형화되어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여러 번 사용에 의해 수명이 다한 거푸집(1)을 재활용하는 경우 종래에는 거푸집(1)의 프레임(2)과 앵글(3) 등을 모두 해체하고 프레임(2), 앵글(3) 및 판재(4)를 소정 간격만큼 절단한 이후에 다시 해체된 프레임(2)과 앵글(3) 및 판재(4)를 크기에 맞추어 일일이 용접 및 리벳 체결함으로써 조금 더 작아진 크기의 거푸집(1)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의 경우 거푸집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번거로운 절단, 해체 및 용접 작업을 반복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작업시간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재활용되는 거푸집은 일정한 크기를 가지게 되는데 이 크기에 맞추기 위하여 프레임(2)과 앵글(3) 등을 절단하는 경우에 프레임(2)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절단해야 하기 때문에 일일이 치수를 계산, 측정하여 절단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특히 다수의 거푸집을 재활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각각 거푸집마다 별도로 이러한 번거로운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외에도 종래 거푸집 널을 재사용 및 콘크리트구조물과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하여주면서 축조된 콘크리트 표면이 우수한 평활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285166호(2001.3.1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6642호(2003.3.11.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91398호(2009.8.2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95219호(2012.8.28. 공개) 등이 선행문헌으로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285166호(2001.3.15. 공고, 명칭: 조립식 거푸집패널 재생방법)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6642호(2003.3.11. 공고, 명칭: 콘크리트 거푸집용 패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91398호(2009.8.28. 공개, 명칭: 거푸집 재생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95219호(2012.8.28. 공개, 명칭: 거푸집 재활용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다양하게 제시되는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과 차별화되면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 공사 현상에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이 여러 번 반복 사용으로 표면이 거칠어져 재사용에 어려움이 있을 때, 건축 현장에 준비된 압착롤러를 갖춘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거푸집 널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를 가압 방식으로 접착시켜 거푸집 널의 표면을 매끈하게 처리함으로써, 거푸집 널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이 공사 현장에서 여러 번 반복 사용으로 표면이 거칠어져 사용에 어려움이 있을 때, 거푸집 널을 공사 현장 외부로 이동시키지 않고 공사 현장에 준비된 압착롤러를 갖춘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거푸집 널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를 가압 방식으로 접착시켜 거푸집 널의 표면을 매끈하게 처리하여 재사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착장치는 거푸집 널을 안착시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테이블과, 이 이송테이블의 중앙 부위를 가로질러 이송되는 거푸집 널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롤러와, 상기 받침롤러와 상하로 한 쌍을 이루면서 롤러지지대를 통해 대향되게 배치되어 거푸집 널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를 압착시킬 수 있는 압착롤러와, 상기 압착롤러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동력모터와, 상기 플라스틱테이프를 거치하여 받침롤러와 압착롤러쪽으로 공급할 수 있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거치대에는 압착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받침롤러와 압착롤러 사이의 압착강도를 구현하기 위해 거푸집 널의 총 두께보다 2㎜ 내외로 받침롤러와 압착롤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테이프는 두께 38마이크론(μ)에서 75마이크론(μ) 갖는 플라스틱모재와, 상기 플라스틱모재에 도포된 두께 80마이크론(μ)에서 100마이크론(μ) 갖는 점착제와, 이 점착제를 보호하는 이형지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사 현장에 준비된 압착롤러를 갖춘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거푸집 널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를 가압 방식으로 접착시켜 거푸집 널의 표면을 매끈하게 처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건축 공사 현상에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이 여러 번(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5회~6회 정도) 반복 사용으로 표면이 거칠어져 재사용에 어려움이 있을 때, 거푸집 널을 공사 현장 외부로 이동시키지 않고 공사 현장에 곧바로 준비된 압착롤러를 갖춘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거푸집 널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를 가압 방식으로 접착시켜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종래 거푸집 널의 재사용을 위해 공사 현장에서 다른 장소로 운반 및 이동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 공정 상의 문제점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매우 유용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널을 재생하기 위한 거푸집 널에 플라스틱테이프를 접착할 수 있는 압착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널에 플라스틱테이프가 압착장치를 통해 압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널에 접착되는 플라스틱테이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 현상에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100)이 여러 번(통상 5회~ 6회 정도) 반복 사용으로 표면이 거칠어져 사용에 어려움이 있을 때, 건축 현장에 준비된 압착롤러를 갖춘 압착장치(200)를 이용하여 거푸집 널(100)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110)를 가압 방식으로 접착시켜 거푸집 널(100)의 표면을 매끈하게 처리함으로써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라스틱테이프(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혹은 필름, 시트 형태) 형태의 플라스틱 모재(111)와 이 플라스틱 모재의 일면에 도포된 점착제(112)와, 이를 보호하는 이형지(11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모재(111)의 두께는 38마이크론(μ)에서 75마이크론(μ)(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50마이크론(μ) 정도) 수준을 사용하게 되고, 점착제(112)의 두께는 80마이크론(μ)에서 100마이크론(μ)(예를 들어,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마이크론(μ))수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현재의 기술력에 의한 압착방식으로 거푸집 널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를 견고하게 압착하여 부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써, 기술의 진보가 이루어진다면, 플라스틱 모재(111)와 점착제(112)의 두께를 각각 상기와 같은 수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현재 보다 압착 기술의 진보 및 점착제의 성능 개선이 이루어지게 되거나 거푸널 집(100)의 표면 거칠기 등을 감안할 경우, 충분한 압착강도를 구현하여 거푸집 널(100)에 플라스틱테이프(110)가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정도의 플라스틱모재(111) 및 점착제(112)의 두께 정도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한 기술 분야라 할 수 있다.
보통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투명점착테이프는 모재 30마이크론과, 점착제 30마이크론 정도이나, 이러한 투명점착테이프는 거푸집 널의 표면이 콘크트리트 타설 등으로 거칠어졌을 때 잘 점착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콘크트리트 타설 등에 반복적으로 사용 후 거푸집 널의 표면에 붙은 이물질로 인하여 점착제가 얇으면 부착이 매우 어렵고 불가능한 점을 고려하여 점착제의 두께를 100 마이크론 수준으로 통상적인 투명점착테이프에 사용되는 점착제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 전 거푸집 널(100)의 표면은 매우 매끈한 상태인 관계로, 거푸집 널(100)의 표면에 본 발명의 플라스틱테이프(110)는 수작업을 통해 통상의 접착 방식에 의해 직접 부착시키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콘크리트 타설용으로 여러 번(통상 5회~6회) 반복 사용된 거푸집 널(100)은 그 표면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있어 매우 거칠기 때문에 플라스틱테이프(110)를 일반적인 점착테이프 접착 방식으로 부착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타설용으로 여러 번 반복 사용되어 거푸집 널(100)의 표면이 매우 거칠어져 재사용할 수 없는 경우, 거푸집 널(100)의 재사용을 위해 거푸집 널(100)의 표면을 매끈하게 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테이프(110)를 강한 압착 방식으로 부착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거푸집 널(100)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110)를 부착하는 데 있어서, 거푸집 널(100)을 건축 현장인 사용 장소에서 이동시켜 별도의 장소에서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거푸집을 벽체로부터 분리한 현장에서 곧바로 거푸집으로부터 거푸집 널(100)을 해체한 다음, 이 거푸집 널(100)에 플라스틱테이프(11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거푸집이 5회~6회 정도 반복적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은 1층부터 거푸집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했다고 했을 때, 5층 ~ 6층까지 순차적으로 거푸집을 이동시켜 사용했다는 의미이므로, 5층이나 6층에서 사용된 거푸집을 공사 현장이 아닌 다른 장소로 이동시킨다고 할 때,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사 지연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거푸집이 사용된 그 공사 현장에서 외부로 이동시키지 않고, 그 자리에서 거푸집을 해체하여 거푸집 널(100)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110)를 부착 사용함으로써, 거푸집의 운반 이동의 번거로움 및 공사지연의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서 5회~6회 정도 반복적으로 사용된 거푸집 널(100)의 표면은 이물질이 달라붙어 있어 매우 거칠기 때문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플라스틱테이프(110)를 거푸집 널(100)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부착하는 데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거푸집 널(100)의 거칠어진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110)를 부착하기 위하여 건축 현장으로 곧바로 운반 및 이동 사용이 가능한 압착장치(200)를 활용하는 데 그 방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 널(100)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110)를 압착롤러(230)에 의한 압착방식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압착장치(200)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압착장치(200)는 거푸집 널(100)을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테이블(210)과, 이 이송테이블(210)의 중앙 부위를 가로질러 이송되는 거푸집 널(10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롤러(220)와, 상기 받침롤러(220)와 상하로 한 쌍을 이루면서 롤러지지대(260)를 통해 대향되게 배치되어 거푸집 널(100)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110)를 압착시킬 수 있는 압착롤러(230)와, 상기 압착롤러(23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동력모터(250)와, 상기 플라스틱테이프(110)를 거치하여 압착롤러(230) 쪽으로 공급할 수 있는 거치대(270)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테이블(210)은 일정한 작업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211)를 통해서 사방이 지지 고정될 수 있으며, 압착장치(200)의 운반 및 이동의 용이성을 위해 지지대(211)는 이송테이블(210)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거나, 이송테이블(210)의 저면에 접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이송테이블(210)도 필요에 따라 좌우 측을 분리하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운반 및 이동 시 중량을 최소화하고, 작업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압착장치를 현장 조립하고자 할 경우를 대비하여 이송테이블(210), 지지대(211), 받침롤러(220), 압착롤러(230), 롤러지지대(260), 동력모터(250), 거치대(270) 등 각각의 구성품은 각각 해체한 상태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설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받침롤러(220)와 압착롤러(230)는 경도 80정도를 갖는 고무재질로 강관롤러의 외주면을 감싼 형태의 롤러 구조로 가지고 있어, 거푸집 널(100)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110)를 압착하여 부착시킬 때 압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롤러(220)는 이송테이블(210)의 중앙 부위를 가로질러 양단이 이송테이블(210) 상에 축(221) 고정되어 지지된 상태로 종속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착롤러(230)는 받침롤러(220)의 상부쪽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바, 압착롤러(230)의 양단은 이송테이블(210)의 양 측면에 대향되게 수직 배치된 롤러거치대(260)를 통해 지지된 상태로 축(231)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롤러거치대(260)에는 압착롤러(2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고 있는바, 상기 롤러거치대(260) 상단에 형성된 회전손잡이(261)와 롤러거치대(260)를 따라 압착롤러(230)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축(2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롤러거치대(260)에 거치된 압착롤러(230)의 양쪽 축은 작업자가 회전손잡이(261)를 잡고 회전 조절함에 따라 승강축(262)에 연계되어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계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착롤러(230)의 회전 구동은 이송테이블(210)의 저면 일측에 배치된 동력모터(250)의 구동력을 제공받아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테이블(210)의 저면 일측에 배치된 동력모터(250)의 회전축과 압착롤러(230)의 축 일단에 각각 구동풀리(251) 및 종동풀리(253)가 구비되어 체인(240)으로 연결됨으로써, 체인(240)을 통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동풀리(251)와 종동풀리(253)의 사이에는 장력 조절 및 체인(240)의 안정적인 회전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풀리(25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270)는 롤 타입으로 제공되는 플라스틱테이프(110)를 거치하여 압착롤러(230) 쪽으로 플라스틱테이프(110)를 연속적으로 풀어서 공급할 수 있도록 롤러거치대(260)와 대향되게 일정 간격을 두고 이송테이블(210)의 상단 양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 널(100)을 이송 공급하는 이송테이블(210)의 상단면에는 거푸집 널(100)의 양측면을 잡아주어 안정적으로 거푸집 널(100)을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판(28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280)은 거푸집 널(100)의 좌우 폭에 따라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테이블(210)의 상단 일측에는 작동스위치(290)가 마련되어 동력모터(250)의 구동에 대한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거푸집 널에 플라스틱테이프를 압착하여 부착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롤러(220)와 압착롤러(230)로 구성된 롤러 세트를 작업장 현장에서 이송테이블(210)에 상에 설치하는 등의 압착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품을 조립 구성하여 작업 준비를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공사 작업장 현장에서 5회 ~ 6회 정도 반복 사용되어 거푸집 널(100)의 표면이 매우 거칠어져 사용이 어렵게 된 경우, 거푸집을 벽체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거푸집으로부터 거푸집 널(100)을 해체하여 플라스틱테이프(110)를 부착할 수 있도록 거푸집 널(100)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최대한 제거한 상태로 준비한다.
그런 다음, 작업자 2인이 한 조가 거푸집 널 재생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한 사람의 작업자가 플라스틱테이프(110)를 접착하여야 할 이물질이 제거된 거푸집 널(100)을 이송테이블의 이송 진행 방향으로 안착시키면, 다른 작업자가 이송테이블의 일측 거치대에 거치되어 있는 플라스틱테이프(110)를 풀어서 이형지(113)를 제거한 상태에서 그 끝을 거푸집 널(100)에 맞춘 다음, 받침롤러(220)와 압착롤러(230)사이에 삽입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동력모터(250)의 작동스위치(290)를 작동하면, 동력모터(250)에 연결된 압착롤러(230)가 회전 구동하면서 거푸집 널(100)과 플라스틱테이프(110)가 압착롤러(230)와 받침롤러(220) 사이에서 압착되어 접착되게 된다.
이렇게 압착에 의한 플라스틱테이프(110)의 플라스틱모재(111)가 거푸집 널(100)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이송테이블(210) 상에서 이송되어 하나의 거푸집 널(100)에 플라스틱테이프(110)를 부착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적정위치에서 동력모터(250)의 구동을 멈춘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거푸집 널(100)에 플라스틱테이프(110)를 압착상태로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작업자들은 이물질이 제거된 거푸집 널(100)을 연속으로 삽입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작업자 중 한 사람은 먼저 삽입한 거푸집 널(100)이 받침롤러(220)와 압착롤러(230) 사이를 지나서 적정위치에 정지할 때 공업용 커터칼로 거푸집 널(100)의 표면에 접착 연결된 플라스틱테이프(110)를 절단하고, 이렇게 플라스틱테이프(110)가 부착된 거푸집 널(100)은 작업이 지장이 없는 곳으로 이송 적치하면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받침롤러(101)와 압착롤러(102)의 압착강도가 매우 중요한 작업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받침롤러(220)와 압착롤러(230)로 이루어진 한 쌍의 롤러 세트 사이에서 거푸집 널(100)의 두께에 따른 간극을 잘 조절해야만 적절한 압착강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롤러거치대(260) 상단에 위치한 회전손잡이(261)를 원하는 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착롤러의 승하강 상태를 조절하여 거푸집 널(100)의 총 두께보다 대략 2㎜ 내외로 받침롤러(220)와 압착롤러(230) 사이의 간극이 유지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강한 압착강도가 구현되도록 간극을 조절함으로써, 압착롤러(230)가 플라스틱테이프(110)와 거푸집 널(100)이 완전히 밀착되어 거푸집 널(100)의 표면에 붙어있는 미세한 잔여 이물질이 플라스틱테이프(110)의 점착제(112)성분과 압착시 밀착, 혼합되어 거푸집 널(100)과 일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처럼, 상기 받침롤러(220)와 압착롤러(230)사의 간격을 조절하여 적절한 압착강도를 구현함에 있어서, 거푸집 널(100)의 총 두께 보다 2㎜ 내외로 적은 간극을 유지하는 것이 압착롤러(230)의 외주면에 붙어있는 고무재질의 탄력성으로 강한 압착강도를 얻을 수 있음을 실제적인 작업 환경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거푸집 널 110 : 플라스틱테이프
111 : 플라스틱모재 112 : 점착제
113 : 이형지 200 : 압착장치
210 : 이송테이블 211 : 지지대
220 : 받침롤러 230 : 압착롤러
240 : 체인 250 : 동력모터
260 : 롤러거치대 261 : 회전손잡이
262 : 승강축 270 : 거치대
280 : 가이드판 290 : 작동스위치

Claims (3)

  1.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100)이 공사 현장에서 여러 번 반복 사용으로 표면이 거칠어져 사용에 어려움이 있을 때, 거푸집 널(100)을 공사 현장 외부로 이동시키지 않고 공사 현장에 준비된 압착롤러(230)를 갖춘 압착장치(200)를 이용하여 거푸집 널(100)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110)를 가압 방식으로 접착시켜 거푸집 널(100)의 표면을 매끈하게 처리하여 재사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장치(200)는 거푸집 널(100)을 안착시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테이블(210)과, 이 이송테이블(210)의 중앙 부위를 가로질러 이송되는 거푸집 널(10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롤러(220)와, 상기 받침롤러(220)와 상하로 한 쌍을 이루면서 롤러지지대(260)를 통해 대향되게 배치되어 거푸집 널(100)의 표면에 플라스틱테이프(110)를 압착시킬 수 있는 압착롤러(230)와, 상기 압착롤러(230)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동력모터(250)와, 상기 플라스틱테이프(110)를 거치하여 받침롤러(220)와 압착롤러(230)쪽으로 공급할 수 있는 거치대(270)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거치대(260)에는 압착롤러(2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받침롤러(220)와 압착롤러(230) 사이의 압착강도를 구현하기 위해 거푸집 널(100)의 총 두께보다 2㎜ 내외로 받침롤러(220)와 압착롤러(2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테이프(110)는 두께 38마이크론(μ)에서 75마이크론(μ) 갖는 플라스틱모재(111)와, 상기 플라스틱모재(111)에 도포된 두께 80마이크론(μ)에서 100마이크론(μ) 갖는 점착제(112)와, 이 점착제(112)를 보호하는 이형지(1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
KR1020170118957A 2017-09-15 2017-09-15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 KR20190031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957A KR20190031406A (ko) 2017-09-15 2017-09-15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957A KR20190031406A (ko) 2017-09-15 2017-09-15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406A true KR20190031406A (ko) 2019-03-26

Family

ID=6594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957A KR20190031406A (ko) 2017-09-15 2017-09-15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140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166B1 (ko) 1998-06-12 2001-03-15 김수남 조립식 거푸집패널 재생방법
KR100306642B1 (ko) 1999-04-22 2001-09-24 김용진 중탕기의 과열 방지장치
KR20090091398A (ko) 2008-02-25 2009-08-28 주식회사 정진 거푸집 재생방법
KR20120095219A (ko) 2011-02-18 2012-08-28 이상호 거푸집 재활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166B1 (ko) 1998-06-12 2001-03-15 김수남 조립식 거푸집패널 재생방법
KR100306642B1 (ko) 1999-04-22 2001-09-24 김용진 중탕기의 과열 방지장치
KR20090091398A (ko) 2008-02-25 2009-08-28 주식회사 정진 거푸집 재생방법
KR20120095219A (ko) 2011-02-18 2012-08-28 이상호 거푸집 재활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686B2 (en) Thin veneer stone saw
KR101708814B1 (ko) 코팅층이 형성된 파이프의 코팅층 컷팅장치
CN205257583U (zh) 一种带图案片材的定位拼接装置
KR20190031406A (ko)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널 재사용 방법
KR101729488B1 (ko) 탈형 데크의 간격재 자동 조립 장치
KR20150021450A (ko) 기다란 부재에 박막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 및 방법
CN110886496B (zh) 一种楼承板的装配设备
CN112654574B (zh) 导轨加工装置和导轨加工方法
JP3981051B2 (ja) 被装シートの貼着機
US65431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belts
KR101362269B1 (ko) 단열 패드 절단장치
CN106965221A (zh) 一种宽度可调的皮带纵向剪切装置
US7946206B2 (en) Quick-release system
JP4520541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の加工装置
JP6046304B1 (ja) 曲面合板の加工装置
KR200379421Y1 (ko) 소형 경량 에지 벤딩기
CN215200518U (zh) 一种钢筋桁架楼承板的连接件定位上料装置
KR101453763B1 (ko)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CN109532195B (zh) 一种板材拼接表面贴膜装置及其贴膜方法
CN212398301U (zh) 一种用于闸式剪板机的进料装置
JP2007320317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の加工装置
CN218362425U (zh) 一种铝塑型材切割机
CN212684099U (zh) 一种高效的超细玻璃纤维隔板生产线
JP4430478B2 (ja) コーナ用壁面材の製造方法
CN213080184U (zh) 一种大跨径型桥桁架中三角形单元框的钻孔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