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763B1 -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763B1
KR101453763B1 KR1020130083368A KR20130083368A KR101453763B1 KR 101453763 B1 KR101453763 B1 KR 101453763B1 KR 1020130083368 A KR1020130083368 A KR 1020130083368A KR 20130083368 A KR20130083368 A KR 20130083368A KR 101453763 B1 KR101453763 B1 KR 101453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shaft
sprocket
single plat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석
박상범
홍순일
강선길
송요진
전기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08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 B27D1/08Manufacture of shaped articles; Press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7D1/086Manufacture of oblong articles, e.g. tubes by spirally winding vene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wo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Veneer Processing And Manufacture Of Ply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판을 적층시켜 적층재를 생산하는 성형장치의 주축을 모터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켜 단판에 일정한 장력 부여 및 접착제 도포 기능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연동 구조를 갖춰 단판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균일한 강도를 갖는 원주형 또는 원통형의 적층재를 단시간 내에 대량 성형할 수 있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는, 외주면에 단판(veneer)이 적층되는 주축; 상기 주축의 양단에 각각 장착 고정되며,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제1 및 제2축이 형성된 제1척 및 제2척(chuck); 상기 제1 및 제2축이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장착대; 단판취부대에 롤(roll) 상태로 감긴 단판을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주축에 공급하는 단판공급부; 상기 주축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단판취부대를 주축을 따라 일정속도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동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주축이 회전하고, 모터의 구동과 함께 상기 단판취부대가 상기 제1 및 제2장착대 사이를 왕복운동하면서 주축에 단판을 공급하여 주축의 외주면에 단판을 적층시켜 적층재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United glue spreading and pressing type cylindrical laminated veneer lumber manufacturing machine}
본 발명은 단판적층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판을 적층시켜 적층재를 생산하는 성형장치의 주축을 모터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켜 단판에 일정한 장력 부여 및 접착제 도포 기능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연동 구조를 갖춰 단판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균일한 강도를 갖는 원주형 또는 원통형의 적층재를 단시간 내에 대량 성형할 수 있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조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목재는 용도에 따라 그 크기와 형상 등을 결정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건축물의 골격이 되는 부재들은 많은 하중을 받게 되므로 그에 맞은 크기와 강도 등을 구비한 목재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크기(직경, 길이 등)가 크고 강도가 뛰어난 목재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구입할 수도 없으며, 설령 그런 목재를 구입했다고 하더라도 건조, 가공 등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시공성이 뛰어나며 강도가 높은 구조용 집성재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구조용 집성재(Glulam; Glued laminated timber)는 작은 크기의 판재(板材) 및 소각재(小角材) 등을 서로 접착하여, 필요로 하는 하중과 크기 및 강도를 갖는 큰 각재(角材)로 압착 성형한 것인데, 이렇게 성형한 구조용 집성재는 치수안정성과 구조 신뢰성이 높고, 옹이 등과 같은 목재 특유의 결함을 제거하여 제조하므로 강도를 일반목재보다 크게 할 수 있고, 변형이 작으며 사용용도에 따라 길이나 두께 등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의 구조용 집성재의 형태는 통직형 또는 원주형 각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성형장치가 작은 크기의 판재 및 각재는 성형할 수 있지만, 원주형 또는 중공(中空) 원통형 적층재는 성형할 수 없었기 때문에 각재로 성형한 집성재의 외주를 원형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성형한 각재를 다시 가공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산림, 임업, 목재산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국가연구기관으로서, 목재와 관련된 많은 기술을 개발 보급하였고 또한 지금도 끊임없는 연구 개발을 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원주형 또는 원통형 적층재를 성형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200380호 "수동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를 개발하여 특허받았고, 상기 성형장치로 원주형 및 원통형 적층재를 생산하여 현장에 보급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실제 적용하여 적층재를 제작하다 보니 다음과 같은 개선해야 할 점이 있었다.
첫째, 수동식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핸들을 손으로 잡고 돌려 인력으로 성형장치의 중심축을 회전시키면서 단판(veneer)을 공급하여 주축에 감아서 인력으로 당기면서 접합(jointing)시켜야 하므로, 모든 작업이 인력에 의존하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적층재의 직경과 길이가 일정 이상으로 커지면 사람의 힘으로 핸들을 돌리기가 상당히 어려워져 대경(大徑)이면서 장재(長材)인 적층재를 생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고,
둘째, 단판을 한 층씩 접착시킨 다음, 몇 겹 적층된 단판을 압착시키기 위하여 고무밴드를 감아서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접착제 경화를 유도하기 위한 고무밴딩 압체 및 핸들 돌리기 등을 반복하여 필요로 하는 직경을 갖는 적층재를 생산하므로 작업인원도 많이 필요하지만 너무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판(veneer)이 적층되는 주축을 모터에 의해 균일한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단판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키고, 주축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한 단판을 공급하는 단판공급장치와 적층되는 단판을 일정한 힘으로 눌러주는 가압로울러가 동일한 속도로 주축을 따라 왕복 이송되도록 연동 구조를 갖춰, 강도가 균일한 원주형 또는 원통형의 적층재를 단시간 내에 대량 성형할 수 있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는, 외주면에 단판(veneer)이 적층되는 주축; 상기 주축의 양단에 각각 장착 고정되며,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제1 및 제2축이 형성된 제1척 및 제2척(chuck); 상기 제1 및 제2축이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장착대; 단판취부대에 롤(roll) 상태로 감긴 단판을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주축에 공급하는 단판공급부; 상기 주축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단판취부대를 주축을 따라 일정속도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동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주축이 회전하고, 모터의 구동과 함께 상기 단판취부대가 상기 제1 및 제2장착대 사이를 왕복운동하면서 주축에 단판을 공급하여 주축의 외주면에 단판을 적층시켜 적층재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동력부는, 감속기를 구비하며, 회전축에 스프로켓이 장착된 모터; 제1축에 장착된 제1스프로켓과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스프로켓 사이에 체결되는 제1체인; 일단(一端)에 제2스프로켓을 구비하고, 제1장착대에 장착되며, 모터의 구동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제1구동축; 제2스프로켓과 대응하는 스프로켓을 구비하여 제2장착대에 장착되는 제1피동축; 제1구동축에 장착된 제2스프로켓과 제1피동축에 장착된 스프로켓 사이에 체결되는 제3체인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단판공급부는, 제1 및 제2장착대 사이에 주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이동레일; 제1 및 제2이동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서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이동레일 상을 함께 왕복 이동하는 제1 및 제2로울러; 제1 및 제2로울러의 하부에 장착되고, 롤(roll) 상태의 단판을 취부하도록 된 단판취부대; 단판취부대에 돌출 설치되어, 서로 상하로 위치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체인고정핀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단판취부대는, 단판에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를 저장하고 있는 접착제 도포부; 접착제 도포부 내에 설치되고, 공급되는 단판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1장력로울러; 한쌍의 로울러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어, 제1장력로울러를 거친 단판이 간격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 제2 및 제3장력로울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제2 및 제3장력로울러를 통과한 단판이 주축의 외주면에 적층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동력부는, 양단(兩端)에 제3 및 제4스프로켓을 구비하고, 제1장착대에 장착되며, 모터의 구동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제2구동축; 제4스프로켓과 대응하는 스프로켓을 구비하여 제2장착대에 장착되는 제2피동축; 제1구동축에 장착된 연결스프로켓과, 제2구동축에 구비된 제3스프로켓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제2구동축을 구동시키는 제2체인; 제2구동축에 장착된 제4스프로켓과, 제2피동축에 장착된 스프로켓 사이에 체결되는 제4체인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부는, 제1 및 제2장착대 사이에 주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3 및 제4이동레일; 제3 및 제4이동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서로 연결되어 제3 및 제4이동레일 상을 함께 왕복 이동하는 제3 및 제4로울러; 제3 및 제4로울러의 하부에 연결되어 장착되고, 선단에 적층된 단판을 눌러주기 위한 가압로울러가 장착된 로울러취부대; 로울러취부대에 돌출 설치되어, 서로 상하로 위치하도록 배치된 제3 및 제4체인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는, 단판이 적층되는 주축이 모터에 의해 균일한 속도로 회전되면서, 접착제를 도포한 단판을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여 자동으로 공급하는 단판공급장치와 적층되는 단판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눌러주는 가압로울러를 동일한 속도로 주축을 따라 왕복 이송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적층재가 균일한 강도를 갖게 될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길고 직경이 커서 인력으로 주축을 회전시키기 힘들었던 원주형 또는 원통형의 적층재를 단시간 내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필요한 작업 인력도 대폭 줄일 수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a, 3b는 단판공급부와 가압부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단판공급부의 단판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로 제작한 원통형 및 원주형 적층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적층시키기 전의 단판(veneer)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성형장치의 주축을 모터에 의해 균일한 속도로 회전시키고, 주축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한 단판을 공급하는 단판공급장치와 적층되는 단판을 일정한 힘으로 눌러주는 가압로울러를 설치하여 균일한 강도를 갖는 원주형 또는 원통형의 적층재를 단시간 내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했다는 점이다.
본 명세서에서 '원목'이란 단판 절삭하기 전의 통나무 또는 박피된 상태로 원주 가공된 목재를 말하고, '원주목(圓周木)'이란 단면(斷面)이 원형으로 원주 가공된 중·소경목의 목재를 말하며, '주축'이란 적층재를 성형하기 위하여 성형장치에서 양 척(chuck) 사이에 장착되는 축을 말하는데, 주축으로는 원주목, 중공(中空) 철제 파이프 또는 PVC 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후 원주목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성형한 단판적층재는 원주형이 된다. 또한, 성형장치를 '접착·압체 조합식'이라고 명명한 것은, 단판을 접착시킴과 동시에 가압로울러로 압체시키기 때문에 단판의 접착과 압체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재(6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목을 박층(薄層)으로 깎은 단판(37)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적층시켜, 중심을 따라 빈 공간이 형성되어 중공(中空) 원통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거나, 중공 부분에 중·소경의 간벌재 등으로 된 원주목(61)을 위치시키고, 원주목(61) 주위에 단판(37)을 적층시켜서 원주목과 단판이 일체로 성형된 원주(圓柱)형으로 성형한 것이다. 원주형 적층재를 성형할 때는 숲가꾸기 작업시 발생하는 저급의 단척재 또는 중·소경 간벌재 등을 원주목으로 사용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판(veneer)(37)은 원목을 두께 2∼3㎜의 박판(薄板)으로 절삭한 다음 폭 10㎝ 내외의 소폭으로 재단한 것이기 때문에 적층 작업시 찢어지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길이방향(단판 섬유방향과 직각이 되는 방향)을 따라 폴리에스테르사(絲)와 같은 화학사(絲)로 재봉하고, 재봉된 단판을 적층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나선식으로 감아 압체 및 경화하여 적층재를 성형하는데, 단판(37)을 적층시킬 때 접착제로는 리조시놀수지(Resorcinol resin)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수지(Isocyanate resin)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상온경화와 접착내구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단판(37)은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공급되어 한 층을 적층시키고 절단한 다음, 다음 층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단판(37)을 공급하면서 적층시키는 작업을 반복하면서 적층작업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판적층 성형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에 주축(10)이 위치하고, 주축(10)의 양단에는 각각 제1척 및 제2척(chuck, 11, 12)이 끼워져서 장착되며, 제1척 및 제2척(11, 12)의 양단 외측으로는 각각 제1축 및 제2축(13, 14)이 돌출 설치되어, 제1축 및 제2축(13, 14)이 제1 및 제2장착대(15, 16)에 각각 거치되며, 제1장착대(15) 쪽에는 모터(21)를 포함한 동력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명칭을 '조합식'이라고 한 것은 주축(10)에 모터 구동 등으로 부여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단판에 접착제 도포, 단판에 일정한 장력 부여 및 주축에 적층된 단판의 압체를 한꺼번에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주축(10)은 성형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고 외주면에 단판(37)이 적층되게 되는데, 주축(10)으로는 원주목(61)을 사용할 수도 있고, 4분원으로 분할된 목재, 철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주축(10)으로 중공(中空) 철제 파이프 또는 PVC 파이프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작이 완료된 적층재에서 주축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원통형 적층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동력부(20)는 주축(10)을 회전시키면서 단판취부대(36)를 주축(10)을 따라 일정속도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1)를 구비하는데, 모터(21)는 감속기를 구비한 감속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주축(10)이 회전하고, 모터(10)의 구동과 함께 단판취부대(36)가 제1 및 제2장착대(15, 16) 사이를 왕복운동하면서 주축(10)에 단판을 공급하여 주축의 외주면에 단판(37)을 적층시켜 적층재(60)를 성형하게 된다.
동력부(20)는, 회전축에 스프로켓이 장착된 모터(21)와, 모터의 구동력을 주축(10)에 전달하기 위한 제1체인(28)과, 단판공급부(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축(23) 및 제1피동축(23')과, 제1구동축(23)과 제1피동축(23') 사이를 연결하는 제3체인(35)을 구비하게 된다.
제1체인(28)은 제1축(13)에 장착된 제1스프로켓(22)과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스프로켓 사이에 체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으로 주축(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제1구동축(23)은 일단(一端)에 제2스프로켓(25)을 구비하고 제1장착대(15)에 장착되며, 제1피동축(23')은 제2스프로켓(25)과 대응하는 스프로켓을 구비하여 제2장착대(16)에 장착되는데, 모터의 구동과 함께 제1구동축(23)이 회전하면서 제1구동축(23)에 장착된 제2스프로켓(25)과 제1피동축(23')에 장착된 스프로켓 사이에 체결되는 제3체인(35)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단판공급부(30)가 주축(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단판공급부(30)는 단판취부대(36)에 롤(roll) 상태로 감긴 단판(37)을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여 주축(10)에 공급하는 구성인데, 제1 및 제2이동레일(31, 32)과 제1 및 제2로울러(33, 34) 및 단판취부대(36)를 구비하게 된다.
제1 및 제2이동레일(31, 32)은 제1 및 제2장착대(15, 16) 사이에 주축(10)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단판취부대(36)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1 및 제2로울러(33, 34)는 제1 및 제2이동레일(31, 32)에 접하면서 각각 레일상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2개의 로울러가 서로 연결되어 레일 상을 함께 왕복 이동하게 되며, 제2로울러(34)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로울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판취부대(36)는 제1 및 제2로울러(33, 34)의 하부에 장착되어, 롤(roll) 상태의 단판을 취부하는 구성이다. 또한, 단판취부대(36)에는 제1 및 제2체인고정핀(38, 39)이 각각 돌출 설치되는데 이들은 서로 상하로 위치하게 되며, 제3체인(35)이 2개의 고정핀 중 어느 하나에 꽂혀져서 단판공급부(30)의 이송방향을 결정해 주게 된다(도 3a, 3b 참조).
단판취부대(36)는, 단판(37)에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를 저장하고 있는 접착제 도포부(50)와, 단판(37)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3개의 로울러를 구비하게 된다. 제1장력로울러(361)는 공급되는 단판(37)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인데 접착제 도포부(50) 내에 접착제가 저장된 부분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2 및 제3장력로울러(362, 363)는 한쌍의 로울러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어, 제1장력로울러(361)를 거친 단판이 로울러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서, 단판이 주축(10)의 외주면에 적층되게 된다.
또한, 동력부(20)는 가압부(40)를 왕복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하게 되는데, 모터의 구동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제2구동축(24)과 제2피동축(24') 및 이들에 각각 장착된 스프로켓 사이를 연결하는 제4체인(45), 제1구동축(23)과 제2구동축(24) 및 이들에 각각 장착된 스프로켓 사이를 연결하는 제2체인(29)을 구비하게 된다.
제2구동축(24)은 양단(兩端)에 제3 및 제4스프로켓(26, 27)을 구비하고, 제1장착대(15)에 장착되며, 제1구동축(23)에 장착된 연결스프로켓(25')과 제2구동축(24)에 장착된 제3스프로켓(26)을 제2체인(29)으로 연결시켜 모터(21)의 구동과 함께 제2구동축(24)이 회전하게 된다.
제2피동축(24')은 제4스프로켓(27)과 대응하는 스프로켓을 구비하고 제2장착대(16)에 장착되는데, 제2구동축(24)에 장착된 제4스프로켓(27)과 제2피동축(24')에 장착된 스프로켓 사이에 제4체인(45)을 체결하여, 모터(21)의 구동과 함께 제2구동축(24)이 회전하면서 가압부(40)를 왕복이송시키게 된다.
가압부(40)는 주축(10)을 중심으로 단판공급부(30)의 반대쪽에 위치하여 주축(10)에 적층된 단판을 가압하여 눌러주기 위한 구성인데, 가압부(40)는 제3 및 제4이동레일(41, 42)과, 제3 및 제4로울러(43, 44) 및 가압로울러(47)를 구비하게 된다.
제3 및 제4이동레일(41, 42)은 제1 및 제2장착대(15, 16) 사이에 주축(10)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가압부(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3 및 제4로울러(43, 44)는 제3 및 제4이동레일(41, 42)에 접하면서 각각 레일상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2개의 로울러가 서로 연결되어 레일 상을 함께 왕복 이동하게 되며, 제4로울러(44)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로울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울러취부대(46)는 제3 및 제4로울러(43, 44)의 하부에 장착되고, 적층된 단판을 눌러주기 위한 가압로울러(47)가 로울러취부대(46)의 선단에 장착된다. 또한, 로울러취부대(46)에는 제3 및 제4체인고정핀(48, 49)이 각각 돌출 설치되는데 이들은 서로 상하로 위치하게 되며, 제4체인(45)이 2개의 고정핀 중 어느 하나에 꽂혀져서 가압부(40)의 이송방향을 결정해 주게 된다(도 3a, 3b 참조).
가압로울러(47)는 자중에 의해 주축(10)에 적층된 단판을 눌러주는데, 가압로울러(47)는 로울러취부대(46)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장착대(461)의 선단에 가압로울러(47)가 장착되고, 손잡이(462)가 구비되어 가압부(40)의 이송방향이 바뀔 때 손잡이(462)를 잡고 가압로울러(47)를 회동시킨다(도 5 참조).
단판공급부(30)와 가압부(40)는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을 왕복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성형장치는 가압부(40)를 구비하고 있어서 단판공급부(30)로부터 일정 장력이 부여된 단판이 적층되고 난 다음, 곧바로 가압부(40)가 적층된 단판을 눌러서 압체시켜 주기 때문에, 적층재를 원하는 직경으로 단판을 적층시킨 후에 마지막으로 고무밴드로 적층재의 외주면을 감아서 경화시키면 성형작업이 끝나게 되므로, 한층을 적층시킬 때마다 고무밴드를 감아서 압체 경화시킬 필요가 없어서, 본 발명의 성형장치는 적층재 성형작업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들므로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단판(37)을 한 층 적층시킨 다음, 단판(37)의 감는 방향을 바꿀 때 또는 필요시 주축(1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2축(14)에는 핸들(17)을 더 부착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주축 11 : 제1척
12 : 제2척 13 : 제1축
14 : 제2축 15 : 제1장착대
16 : 제2장착대 17 : 핸들
20 : 동력부 21 : 모터
22 : 제1스프로켓 23 : 제1구동축
23' : 제1피동축 24 : 제2구동축
24' : 제2피동축 25 : 제2스프로켓
25' : 연결스프로켓 26 : 제3스프로켓
27 : 제4스프로켓 28 : 제1체인
29 : 제2체인
30 : 단판공급부 31 : 제1이동레일
32 : 제2이동레일 33 : 제1로울러
34 : 제2로울러 35 : 제3체인
36 : 단판취부대 37 : 단판(veneer)
38 : 제1체인고정핀 39 : 제2체인고정핀
40 : 가압부 41 : 제3이동레일
42 : 제4이동레일 43 : 제3로울러
44 : 제4로울러 45 : 제4체인
46 : 로울러취부대 47 : 가압로울러
48 : 제3체인고정핀 49 : 제4체인고정핀
50 : 접착제 도포부
60 : 적층재 61 : 원주목

Claims (15)

  1. 단판(veneer)를 적층시켜 원통형 적층재를 성형하는 단판적층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장치는,
    외주면에 단판(veneer)이 적층되는 주축;
    상기 주축의 양단에 각각 장착 고정되며, 외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제1 및 제2축이 형성된 제1척 및 제2척(chuck);
    상기 제1 및 제2축이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장착대;
    단판취부대에 롤(roll) 상태로 감긴 단판을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주축에 공급하는 단판공급부;
    상기 주축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단판취부대를 주축을 따라 일정속도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동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주축이 회전하고, 모터의 구동과 함께 상기 단판취부대가 상기 제1 및 제2장착대 사이를 왕복운동하면서 주축에 단판을 공급하여 주축의 외주면에 단판을 적층시켜 적층재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감속기를 구비하며, 회전축에 스프로켓이 장착된 모터;
    상기 제1축에 장착된 제1스프로켓과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스프로켓 사이에 체결되는 제1체인;
    일단(一端)에 제2스프로켓을 구비하고, 상기 제1장착대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제1구동축;
    상기 제2스프로켓과 대응하는 스프로켓을 구비하여 상기 제2장착대에 장착되는 제1피동축;
    상기 제1구동축에 장착된 제2스프로켓과 제1피동축에 장착된 스프로켓 사이에 체결되는 제3체인;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판공급부는,
    상기 제1 및 제2장착대 사이에 주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이동레일;
    상기 제1 및 제2이동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서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이동레일 상을 함께 왕복 이동하는 제1 및 제2로울러;
    상기 제1 및 제2로울러의 하부에 장착되고, 롤(roll) 상태의 단판을 취부하도록 된 단판취부대;
    상기 단판취부대에 돌출 설치되어, 서로 상하로 위치하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체인고정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로울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로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판취부대는,
    단판에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를 저장하고 있는 접착제 도포부;
    상기 접착제 도포부 내에 설치되고, 공급되는 단판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1장력로울러;
    한쌍의 로울러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장력로울러를 거친 단판이 간격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 제2 및 제3장력로울러;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 및 제3장력로울러를 통과한 단판이 주축의 외주면에 적층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양단(兩端)에 제3 및 제4스프로켓을 구비하고, 상기 제1장착대에 장착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제2구동축;
    상기 제4스프로켓과 대응하는 스프로켓을 구비하여 상기 제2장착대에 장착되는 제2피동축;
    상기 제1구동축에 장착된 연결스프로켓과, 제2구동축에 구비된 제3스프로켓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제2구동축을 구동시키는 제2체인;
    상기 제2구동축에 장착된 제4스프로켓과, 제2피동축에 장착된 스프로켓 사이에 체결되는 제4체인;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을 중심으로 단판공급부의 반대쪽에는 주축에 적층된 단판을 가압하여 눌러주기 위한 가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및 제2장착대 사이에 주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3 및 제4이동레일;
    상기 제3 및 제4이동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서로 연결되어 제3 및 제4이동레일 상을 함께 왕복 이동하는 제3 및 제4로울러;
    상기 제3 및 제4로울러의 하부에 연결되어 장착되고, 선단에 적층된 단판을 눌러주기 위한 가압로울러가 장착된 로울러취부대;
    상기 로울러취부대에 돌출 설치되어, 서로 상하로 위치하도록 배치된 제3 및 제4체인고정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로울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로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울러는 자중에 의해 주축에 적층된 단판을 눌러주는데, 상기 가압로울러는 로울러취부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에는 주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판은 주축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경사져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판공급부와 가압부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을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은 원주목, 중공(中空) 철제 파이프 또는 PVC 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재는, 원하는 직경으로 단판을 적층시킨 후에 고무밴드로 적층재의 외주면을 감아서 경화시켜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KR1020130083368A 2013-07-16 2013-07-16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KR101453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368A KR101453763B1 (ko) 2013-07-16 2013-07-16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368A KR101453763B1 (ko) 2013-07-16 2013-07-16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763B1 true KR101453763B1 (ko) 2014-10-22

Family

ID=51998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368A KR101453763B1 (ko) 2013-07-16 2013-07-16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138B1 (ko) * 2016-02-19 2016-07-22 류동건 필터 하우징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9847A (ja) 2005-02-14 2008-08-07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 モジュラヘッド積層装置及び方法
KR20110139402A (ko) * 2010-06-23 2011-12-29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원통형 단판적층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8123883B2 (en) 2005-07-15 2012-02-28 Gamesa Innovation & Technology, S.L. Method of producing large hollow parts based on composite materials
KR101200380B1 (ko) 2012-03-12 2012-11-14 대한민국 수동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9847A (ja) 2005-02-14 2008-08-07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 モジュラヘッド積層装置及び方法
US8123883B2 (en) 2005-07-15 2012-02-28 Gamesa Innovation & Technology, S.L. Method of producing large hollow parts based on composite materials
KR20110139402A (ko) * 2010-06-23 2011-12-29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원통형 단판적층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200380B1 (ko) 2012-03-12 2012-11-14 대한민국 수동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138B1 (ko) * 2016-02-19 2016-07-22 류동건 필터 하우징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6082A (en) Wood tubing
JP5232877B2 (ja) 繊維ブランケットの自動位置調整のためのヘッド
CN106182227B (zh) 一种木板压紧装置
CN110067385B (zh) 一种复合木方生产线
CN109808004A (zh) 一种方便上料的拼板机
JP4984256B2 (ja) 湾曲片の成形品に裏当てする方法と工具
CN110733190A (zh) 一种双向复合材料铺带头及双向双轨迹复合材料铺带头
KR101453763B1 (ko) 접착·압체 조합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EP2551511A1 (en) Method for producing flexible end grain balsa panels
KR101489292B1 (ko) 복합재 판스프링 제조 장치
US5009733A (en) Process for fabricating a circular frame
KR101540690B1 (ko) 대경·장재의 원통형 및 원주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KR101313798B1 (ko) 제본기
WO1999044796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laque en bambou, dispositif de decoupe en continu de plaque de bambou et plaque de bambou ainsi obtenue
CN110667094B (zh) 一种阻燃塑木复合材料生产用原料压合装置
CN210616807U (zh) 一种中板拼板机
KR101388620B1 (ko) 자동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CN103963419A (zh) 玻璃棉贴面复合装置
CN112519201A (zh) 一种木门加工覆膜装置及其覆膜方法
KR101200380B1 (ko) 수동식 원통형 단판적층 성형장치
CN108136612B (zh) 用于向所选第一子组的平行条带的一面施加涂料的方法和选择性条带涂覆设备
KR20150116984A (ko) 일방향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다축 보강 적층시트 제조방법
JPH077143Y2 (ja) ロービング材自動積層装置
JPS6253821A (ja) 積層材料から中空体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401345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wood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