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599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599A
KR20190030599A KR1020180101176A KR20180101176A KR20190030599A KR 20190030599 A KR20190030599 A KR 20190030599A KR 1020180101176 A KR1020180101176 A KR 1020180101176A KR 20180101176 A KR20180101176 A KR 20180101176A KR 20190030599 A KR20190030599 A KR 20190030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oil
path
fuel
tank
hf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593B1 (ko
Inventor
다카아키 미쯔코시
유토 츠노다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 마린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02D19/0602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607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adjust the fuel mass or volume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9/00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 B63B277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연료유의 종별마다 소비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한다.
선박(1)은, 제1 연료유를 저류하는 제1 연료유탱크(11)와, 제1 연료유와는 다른 제2 연료유를 저류하는 제2 연료유탱크(12)와, 제1 연료유탱크(11)로부터 제1 연료유를 배출하는 제1 연료유경로(L1)와, 제2 연료유탱크(12)로부터 제2 연료유를 배출하는 제2 연료유경로(L2)와, 제1 연료유경로(L1) 및 제2 연료유경로(L2)의 후단에 마련되어, 이들 경로로부터의 연료유를 합류시키는 합류경로(L3)와, 합류경로(L3)로부터의 연료유를 도입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관(15)과, 합류경로(L3)보다도 전단에 있어서, 제1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13)와, 합류경로(L3)보다도 전단에 있어서, 제2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14)를 갖는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출원은 2017년 09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7-176714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일본 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의 종류에 따른 소비량을 산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있어서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유의 소비량을 계측하는 방법으로서, 종래부터 연료탱크에 마련되는 액면계를 이용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에서는, 액면계를 이용하지 않고 연료유의 소비량을 계측하는 자동차용 연료잔량계측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48851호
최근, 해운업계에 있어서 연비보고에 관한 법정비 등이 진행되어, 연료유의 종류마다 연료의 소비량을 높은 정밀도로 계측하여 보고하는 것이 요구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선박에서는 연료유의 소비량을 종류마다 높은 정밀도로 계측하는 것은 요구되지 않았었다.
본 발명은 이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연료유의 종류마다 소비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선박은, 제1 연료유를 저류하는 제1 연료유탱크와, 상기 제1 연료유와는 다른 제2 연료유를 저류하는 제2 연료유탱크와, 상기 제1 연료유탱크로부터 상기 제1 연료유를 배출하는 제1 연료유경로와, 상기 제2 연료유탱크로부터 상기 제2 연료유를 배출하는 제2 연료유경로와, 상기 제1 연료유경로 및 상기 제2 연료유경로의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연료유경로 및 상기 제2 연료유경로로부터의 연료유를 합류시키는 합류경로와, 상기 합류경로로부터의 연료유를 도입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관과, 상기 합류경로보다도 전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와, 상기 합류경로보다도 전단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를 갖는다.
상기 선박에 의하면, 서로 다른 2종류의 연료유가 합류경로를 거쳐 연소기관에 대하여 공급되는 경우에, 합류경로보다도 전단에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가 마련됨과 함께, 합류경로보다도 전단에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가 마련된다. 따라서, 연료유의 종류마다 그 소비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 및 상기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 중 일방은, 상기 합류경로보다도 전단의 경로 상에 마련된, 상기 합류경로로 흐르는 연료유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인 양태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 및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 중 일방이 합류경로로 흐르는 연료유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이기 때문에, 유량계에 의하여 연료유의 이동량을 직접 측정할 수 있어, 유량계가 마련되어 있는 경로에서의 연료유의 소비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1 연료유경로 상에, 상기 제1 연료유를 저류하는 중간탱크를 더 갖고, 상기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는, 상기 제1 연료유탱크로부터의 상기 제1 연료유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상기 중간탱크에서의 상기 제1 연료유의 저류량을 측정하는 저류량측정부를 갖는 양태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연료유경로 상에 중간탱크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제1 연료유탱크로부터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중간탱크에서의 제1 연료유의 저류량을 측정하는 저류량측정부를 조합함으로써, 중간탱크에서의 제1 연료유의 소비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유량계는 질량유량계인 양태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유량계는, 체적유량계와, 온도측정부 또는 밀도측정부를 포함하는 양태로 할 수 있다. 유량계를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량계가 마련되어 있는 경로에서의 연료유의 소비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저류량측정부는, 상기 중간탱크 내에서의 상기 제1 연료유의 액면을 측정하는 액면계와, 온도측정부 또는 밀도측정부를 포함하는 양태로 할 수 있다.
저류량측정부가 중간탱크 내에서의 제1 연료유의 액면을 측정하는 액면계와, 온도측정부 또는 밀도측정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액면계를 이용하여 중간탱크 내의 제1 연료유의 저류량을 보다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유의 종류마다 소비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선박이 제공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에 포함되는 연료유관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에 포함되는 연료유관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에 포함되는 연료유관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선박(1)에 포함되는 연료유관리시스템(2)의 개략 구성도이다. 연료유관리시스템(2)은, 선박(1)에서 사용되는 연료유의 관리를 행하는 시스템이며, 선박(1) 내에 마련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유관리시스템(2)은, 제1 연료유탱크(11)와, 제2 연료유탱크(12)와,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13)와,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14)와, 연소기관(15)을 갖는다.
연료유관리시스템(2)에서는, 이상과 같이 적어도 2종류의 연료유(제1 연료유 및 제2 연료유)가 개별적으로 저류되는 2개의 연료유탱크가 마련되어 있다. 즉, 제1 연료유탱크(11) 및 제2 연료유탱크(12)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연료유가 저류된다. 이들 연료유탱크로부터 공급되는 2종류의 연료유는, 동일한 연소기관(15)에 대하여 공급된다. 연소기관(15)이란, 연료유를 연소하여 소비하는 기관이며, 예를 들면, 주기(主機), 발전기, 보일러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연료유관리시스템(2)에서는, 제1 연료유탱크(11)로부터 공급되는 제1 연료유가 흐르는 제1 연료유경로(L1)와, 제2 연료유탱크(12)로부터 공급되는 제2 연료유가 흐르는 제2 연료유경로(L2)와, 제1 연료유경로(L1)로부터의 제1 연료유 및 제2 연료유경로(L2)로부터의 제2 연료유의 양방이 흐르는 합류경로(L3)를 갖는다. 제1 연료유경로(L1)를 흐르는 제1 연료유는, 합류경로(L3)를 거쳐 연소기관(15)으로 공급된다. 또, 제2 연료유경로(L2)를 흐르는 제2 연료유는, 합류경로(L3)를 거쳐 연소기관(15)으로 공급된다. 연소기관(15)으로 공급하는 연료유의 종류 및 그 공급량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부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밸브가 개폐되거나 펌프가 작동하거나 함으로써, 연소기관(15)으로 공급하는 연료유의 종류 및 공급량이 제어된다.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13)는, 제1 연료유경로(L1) 또는 그것보다도 전단에 마련된다.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13)는, 제1 연료유의 소비량, 즉, 제1 연료유경로(L1)를 거쳐 연소기관(15)으로 공급된 제1 연료유의 중량을 측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 연료유경로(L1)로부터 연소기관(15)으로 공급된 제1 연료유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는, 개략적으로, 유량계 등을 이용하여 제1 연료유경로(L1)를 흘러 연소기관(15)으로 공급되는 제1 연료유의 유량(체적)을 측정하고, 당해 유량으로부터 중량을 산출하는 방법과, 액면계 등을 이용하여 제1 연료유탱크(11)에 저류되는 제1 연료유의 체적 변화를 측정하고, 당해 체적 변화로부터 중량을 산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연료유의 체적으로부터 중량을 산출하는 경우에는, 연료유의 밀도가 필요하게 되지만, 밀도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그 보정을 위하여 온도에 관한 정보가 필요해진다. 유량계에는, 체적유량계와 질량유량계가 있다. 체적유량계는, 구해진 체적유량을 질량유량으로 변환하기 위한 밀도를 온도보정하기 위한 온도센서(온도측정부) 또는 밀도센서(밀도측정부)를 적절히 마련하지만, 질량유량계는 직접 질량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온도센서 등은 필요없다. 액면계는 체적밖에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온도센서(온도측정부) 또는 밀도센서(밀도측정부) 등을 마련한다. 단,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13)의 장치구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밀도센서는 밀도를 직접 계측할 수 있으므로 온도보정을 할 필요는 없다. 또한 밀도센서는, γ선이 물질을 투과할 때의 흡수정도를 계측하는 것, 밀도의 변화에 의한 자유진동수의 변화를 이용하여 계측하는 것 등이 시판되고 있다.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14)는, 제2 연료유경로(L2) 또는 그것보다도 전단에 마련된다.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14)는, 제2 연료유의 소비량, 즉, 제2 연료유경로(L2)를 거쳐 연소기관(15)으로 공급된 제2 연료유의 중량을 측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13)와 마찬가지로,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14)는, 제2 연료유경로(L2)에서의 유량계 또는 제2 연료유탱크(12)에서의 액면계와, 제2 연료유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단,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14)의 장치구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연료유관리시스템(2)을 포함하는 선박에서는, 서로 다른 복수 종류(연료유관리시스템(2)에서는, 2종류)의 연료유가 합류경로(L3)를 거쳐 연소기관에 대하여 공급되는 경우에, 각 연료유가 개별적으로 흐르는 경로 또는 그것보다도 전단에 있어서,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연료유소비량측정부가 마련된다. 연료유관리시스템(2)의 경우에는, 제1 연료유경로(L1) 또는 그 전단(즉, 합류경로(L3)보다도 전단)에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13)가 마련되고, 제2 연료유경로(L2) 또는 그 전단(즉, 합류경로(L3)보다도 전단)에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14)가 마련된다. 따라서, 연료유의 종류마다 그 소비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최근, 환경규제의 일환으로서 CO2 배출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비보고제도에 관한 유럽규칙(EU-MRV규칙)이 채택된 것과 같이, 해운업계에 있어서 연료의 종류마다 CO2 발생량이 다르기 때문에 연료유의 종류마다 소비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선박에서는 자선(自船)에서의 연비관리 등을 목적으로 하여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것은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EU-MRV규칙과 같이 연료유의 종류마다 소비량의 관리를 높은 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법적으로 요구되지 않았기 때문에, 특히, 복수 종류의 연료유를 연소기관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종류마다의 연료유의 소비량의 측정을 높은 정밀도로 행하고 있지 않아, 종류마다 소비량의 측정을 행하기 위한 장치구성도 마련되지 않았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유관리시스템(2)을 포함하는 선박(1)에서는, 합류경로(L3)에 있어서 각 연료유가 합류하는 것보다도 전단에서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함으로써, 연료유의 소비량을 그 종류마다 개별적으로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을 실현한다. 연소기관(15)에 있어서 연료유를 사용하는 경우, 실제로는 서로 다른 연료유의 일방을 연소기관(15)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합류경로(L3)에 있어서 종류마다의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합류경로(L3)에 있어서는, 연료유의 전환 시 등에 복수 종류의 연료유가 혼합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연료유의 종류마다 소비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유관리시스템(2)을 포함하는 선박(1)에서는, 합류경로(L3)보다도 전단에서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혼합된 연료유의 소비량이 측정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13) 또는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14)로서, 연료유경로에 마련된 유량계를 포함하는 경우, 연소기관(15)으로 공급되는 연료유의 유량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기 때문에, 연료유의 소비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13) 또는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14)로서, 연료유탱크에 마련된 액면계를 포함하는 경우, 연료유탱크에 있어서의 연료유의 액면의 변동으로부터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음과 함께, 연료유경로측에는 새로운 측정계 등을 마련하는 것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경로의 처리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단, 액면계에 의한 탱크 내에서의 연료유의 액면변동의 측정에 근거하는 연료유의 소비량의 산출에는 오차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탱크 바닥면적이 큰 경우에는, 연료유의 근소한 소비는 액면변동으로부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탱크 내에서의 액면계를 이용한 연료유의 소비량의 산출은, 탱크의 바닥면적이 어느 정도 작은 경우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제2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2종류의 연료유(제1 연료유 및 제2 연료유)가, 각각의 연료유탱크로부터 1개의 연소기관(15)에 대하여 공급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연료유를 저류하는 탱크와 연소기관의 사이에 청정기(Purifier) 등이 마련되기 때문에, 그 후단에 청정 후의 연료유를 저류하기 위한 탱크(중간탱크)가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또, 선박은, 연소기관을 복수로 갖고, 복수의 연소기관에 대하여, 동일한 연료유탱크로부터 연료유를 공급하는 경우가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2종류의 연료유를 복수의 연소기관에 대하여 공급하고, 또한 각 연료유의 경로 상에 중간탱크가 마련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유관리시스템(3)을 포함하는 선박(1A)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제1 연료유에 대응하는 연료유가 디젤유(Diesel Oil: D.O.)이며, 제2 연료유에 대응하는 연료유가 중질연료유(Heavy Fuel Oil: HFO)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 2에서는, 연소기관(15)으로서 발전기(15A)(G/E), 주기(15B)(M/E), 및 보일러(15C)(BLR)의 3개의 연소기관이 마련되어 있다. 이하, 디젤유를 DO라고 기재하고, 중질연료유를 HFO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선박(1A)의 연료유관리시스템(3) 중, 먼저, 디젤유(DO)측의 유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연료유탱크에 상당하는 탱크로서, DO 저류탱크(11A)(D.O. Storage Tank)가 마련된다. 이 DO 저류탱크(11A)로부터의 DO는, 경로(L11)를 거쳐 청정기(21)(Purifier)에 도입된다. 또, 청정기(21)에 의한 청정 후의 DO는, 경로(L12)를 거쳐 중간탱크인 DO 서비스탱크(22)(D.O. Service Tank)에 도입된다. 또, DO 서비스탱크(22)로부터 DO 저류탱크(11A)에 대하여, DO 서비스탱크(22)에 있어서 DO가 오버플로한 경우의 반송경로(L13)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DO측에서는, DO 저류탱크(11A), 청정기(21), 및 DO 서비스탱크(22)를 포함하는 순환경로가 형성된다.
DO 서비스탱크(22)로부터 분기한 일부의 DO가, 발전기(15A) 및 주기(15B)에 대하여 연료유를 공급하는 합류경로(L31)에 대하여 경로(L14)를 거쳐 공급된다. 또, 경로(L11)로부터 분기한 일부의 DO가, 보일러(15C)에 대하여 연료유를 공급하는 합류경로(L32)에 대하여 경로(L15)를 거쳐 공급된다.
상기 DO측의 경로 중, 경로(L11~L15)가 DO만 흐르는 경로이며, 제1 연료유경로에 해당한다. 이들 경로 중, DO만 흘러 합류경로(L31)에 대하여 접속하는 경로가 경로(L14)가 된다. 또, DO만 흘러 합류경로(L32)에 대하여 접속하는 경로가 경로(L15)가 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로(L14) 및 경로(L15) 상에, 각각 유량계(131) 및 유량계(132)를 마련함으로써, DO측의 순환경로에서 분기하여 연소기관(15)[발전기(15A), 주기(15B), 및 보일러(15C)]에 접속하는 합류경로(L31, L32)에 흐르는 DO의 유량, 즉, DO의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량계(131, 132)가 DO(제1 연료유)측의 연료유소비량측정부(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로서 기능한다. 다만, DO의 소비량(중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DO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DO측의 경로에 마련되는 유량계(131, 132)에 의한 측정의 결과(그리고 필요에 따라 온도계에 의한 측정의 결과)는, 도 2에 나타내는 연산·기록부(40)로 보내져, 연산·기록부(40)에 의하여 이들 측정결과를 정리하여, DO의 소비량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산·기록부(40)도 DO(제1 연료유)측의 연료유소비량측정부(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중질연료유(HFO)측의 유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2 연료유탱크에 해당하는 탱크로서, HFO 저류탱크(12A)(HFO Storage Tank)가 마련된다. 이 HFO 저류탱크(12A)로부터의 HFO는, 경로(L21)를 거쳐 중간탱크인 HFO 정치탱크(HFO Settling Tank)(31)에 도입된다. 또, HFO 정치탱크(31)로부터의 HFO는, 경로(L22)를 거쳐 청정기(32)(Purifier)에 도입된다. 또, 청정기(32)에 의한 청정 후의 HFO는, 경로(L23)를 거쳐 중간탱크인 HFO 서비스탱크(33)(HFO Service Tank)에 도입된다. 또, HFO 서비스탱크(33)로부터 HFO 정치탱크(31)에 대하여, HFO 서비스탱크(33)에 있어서 HFO가 오버플로한 경우의 반송경로(L24)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HFO측에서는, HFO 저류탱크(12A)보다도 후단에 있어서, HFO 정치탱크(31), 청정기(32), 및 HFO 서비스탱크(33)를 포함하는 순환경로가 형성된다.
HFO 서비스탱크(33)로부터 분기한 일부의 HFO가, 발전기(15A) 및 주기(15B)에 대하여 연료유를 공급하는 합류경로(L31)에 대하여 경로(L25)를 거쳐 공급된다. 또, HFO 정치탱크(31)로부터 분기한 일부의 HFO가, 보일러(15C)에 대하여 연료유를 공급하는 합류경로(L32)에 대하여 경로(L26)를 거쳐 공급된다.
상기 HFO측의 경로 중, 경로(L21~L26)가 HFO만 흐르는 경로이며, 제2 연료유경로에 해당한다. 이들 경로 중, HFO만 흘러 합류경로(L31)에 대하여 접속하는 경로가 경로(L25)가 된다. 또, HFO만 흘러 합류경로(L32)에 대하여 접속하는 경로가 경로(L26)가 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로(L25) 및 경로(L26) 상에, 각각 유량계(141) 및 유량계(142)를 마련함으로써, HFO측의 순환경로에서 분기하여 연소기관(15)[발전기(15A), 주기(15B), 및 보일러(15C)]에 접속하는 합류경로(L31, L32)에 흐르는 HFO의 유량, 즉, HFO의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량계(141, 142)가 HFO(제2 연료유)측의 연료유소비량측정부(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로서 기능한다. 다만, HFO의 소비량(중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HFO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HFO측의 경로에 마련되는 유량계(141, 142)에 의한 측정의 결과(그리고 필요에 따라 온도계에 의한 측정의 결과)는, 도 2에 나타내는 연산·기록부(40)로 보내져, 연산·기록부(40)에 의하여 이들 측정결과를 정리하여, HFO의 소비량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산·기록부(40)도 HFO(제2 연료유)측의 연료유소비량측정부(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로서 기능한다.
또, 201, 202, 203은 펌프이며, 각각 연료유의 공급을 위하여 작동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DO 및 HFO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합류경로(L31, L32)에 대하여 접속하는 경로 상에 유량계를 마련하고, 이 유량계를 이용하여,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하기 위한 연료유소비량측정부로서 유량계를 이용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DO 및 HFO 각각의 소비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3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유관리시스템(4)을 포함하는 선박(1B)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연료유관리시스템(4)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유관리시스템(3)과 비교하여, HFO측의 연료유소비량측정부의 구성이 다르지만, 그 외의 구성은 연료유관리시스템(3)과 동일하다. 따라서, 구성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중질연료유(HFO)측의 유로에 대해서도, 연료유관리시스템(3)과 동일하다. 즉, HFO측에서는, HFO 저류탱크(12A)보다도 후단에 있어서, HFO 정치탱크(31), 청정기(32), 및 HFO 서비스탱크(33)를 포함하는 순환경로가 형성된다. 또, HFO 서비스탱크(33)로부터 분기한 일부의 HFO가, 발전기(15A) 및 주기(15B)에 대하여 연료유를 공급하는 합류경로(L31)에 대하여 경로(L25)를 거쳐 공급된다. 또, HFO 정치탱크(31)로부터 분기한 일부의 HFO가, 보일러(15C)에 대하여 연료유를 공급하는 합류경로(L32)에 대하여 경로(L26)를 거쳐 공급된다.
여기에서,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유관리시스템(4)에서는, 유량계와 액면계를 조합하여 HFO의 소비량을 측정한다. 먼저, 경로(L21) 상에 유량계를 마련함으로써, HFO 저류탱크(12A)로부터 배출되는 HFO의 양을 측정한다. 한편, HFO 저류탱크(12A)의 후단의 중간탱크인 HFO 정치탱크(31) 및 HFO 서비스탱크(33)에 대해서는, 각각 액면계(144, 145)를 마련함으로써, 액면의 높이를 이용하여 각 탱크에 저류되는 HFO의 양을 측정한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HFO 저류탱크(12A)로부터 배출되는 HFO의 양으로부터, HFO 정치탱크(31) 및 HFO 서비스탱크(33)에 저류되는 HFO의 증가량을 뺀 양이, 연소기관인 발전기(15A), 주기(15B) 및 보일러(15C)에 있어서의 HFO의 소비량이 된다. 이 측정결과에 근거하는 HFO의 소비량의 산출은,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연산·기록부(40)에서 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량계(143)와, 액면계(144, 145)를 조합하여,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유량계(143)는, HFO 저류탱크(연료유탱크)로부터의 연료유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 액면계(144, 145)는, 중간탱크에서의 연료유의 저류량을 측정하는 저류량측정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액면계만에서는 체적밖에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액면계와 온도센서(온도측정부) 또는 밀도센서(밀도측정부)를 조합하여 마련된다.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유관리시스템(4)에서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유관리시스템(3)과 비교하여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먼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유관리시스템(3)에서는, 유량계(141)가 펌프(202)보다도 상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유량계의 배치에 따라서는 유량계의 압력 손실이 펌프(202)의 흡입 성능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하여, 시스템 전체로서의 작동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유관리시스템(4)에서는, 펌프(202)와 HFO 서비스탱크(33)의 사이에 유량계를 배치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유관리시스템(4)에서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유관리시스템(3)과 비교하여, 유량계를 1개 줄일 수 있어, 유량계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만, 제3 실시형태에서는, HFO 정치탱크(31) 및 HFO 서비스탱크(33)에 대해서는 액면계(144, 145)로 탱크 내의 HFO의 저류량(체적)을 측정하고 있지만, HFO 저류탱크(12A)에 대해서는, 유량계(143)를 이용하여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HFO의 양을 측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 대신에, HFO 저류탱크(12A)에 대해서도, 액면계를 이용하여 탱크로부터 배출되는 HFO의 양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탱크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액면계에 의한 체적의 측정에는 오차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탱크의 용량 등에 근거하여, 액면계 및 유량계 중 어느 쪽을 이용할지를 선택함으로써, 소비량의 측정을 보다 높은 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HFO 저류탱크(12A)에 대하여, HFO 정치탱크(31) 및 HFO 서비스탱크(33)는 용량이 비교적 작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HFO 정치탱크(31) 및 HFO 서비스탱크(33)에 대하여 액면계를 이용하여 탱크 내의 HFO의 양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측정정밀도를 충분히 높게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다만,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2 연료유측이 되는 HFO측에 있어서, 중간탱크에서의 연료유의 저류량을 측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당연히 제1 연료유측, 즉, DO측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 양방의 연료유측에 있어서 중간탱크에서의 연료유의 저류량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DO 저류탱크(11A)에 대하여 오버플로한 DO를 반송하는 반송경로(L13)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유량계(143)와 같이, DO 저류탱크(11A)로부터의 경로(L11) 상에 유량계를 마련하는 것만으로는, DO 저류탱크(11A)로부터 배출되는 DO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유량계 등의 배치를 적절히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 점에 대하여, 다음의 변형예로 설명한다.
(변형예)
도 4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유관리시스템(4)의 변형예로서, 연료유관리시스템(4)에 있어서의 HFO측의 경로를 일부 변경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연료유관리시스템(3)에 있어서의 HFO의 경로와 비교하여, 중간탱크가 1개 추가되어 있음과 함께, 그 탱크와 다른 탱크 등의 사이에 경로가 추가되어 있다. 또, 이러한 경로의 변경에 대응하여, HFO측의 연료유소비량측정부의 구성이 다르다.
도 4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연료유관리시스템(4)과 마찬가지로, HFO 저류탱크(12A)보다도 후단에 있어서, HFO 정치탱크(31), 청정기(32), 및 HFO 서비스탱크(33)를 포함하는 순환경로가 형성된다[청정기(32)는, 도 4에서는 기재를 생략하고 있음]. 또, HFO 서비스탱크(33)로부터 분기한 일부의 HFO가, 발전기(15A) 및 주기(15B)에 대하여 연료유를 공급하는 합류경로(L31)에 대하여 경로(L25)를 거쳐 공급된다. 또, HFO 정치탱크(31)로부터 분기한 일부의 HFO가, 보일러(15C)에 대하여 연료유를 공급하는 합류경로(L32)에 대하여 경로(L26)를 거쳐 공급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있어서는, HFO 정치탱크(31)가 오버플로한 경우에, HFO 정치탱크(31) 및 HFO 서비스탱크(33)로부터 일부의 HFO를 도입하는 서브탱크(34)가 마련되어 있다. HFO 정치탱크(31) 및 HFO 서비스탱크(33)와 서브탱크(34)의 사이에는, 경로(L27)가 마련된다. 또, 서브탱크(34)의 HFO는, 경로(L28)를 거쳐 HFO 저류탱크(12A)에 반송되거나, 또는, 경로(L21) 상이면서 또한 유량계(143)보다도 전단에 반송된다[도 4에서는, 경로(L21)에 반송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음].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구성과 비교하면, 중간탱크로서의 서브탱크(34)가 추가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액면계(146)를 마련함으로써, 액면의 높이를 이용하여, 서브탱크(34)에 저류되는 HFO의 양(체적)을 측정함으로써, 서브탱크(34)에 저류되는 HFO를 고려하여 HFO의 소비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유량계(143)에서는, HFO 저류탱크(12A)로부터 배출되는 HFO의 양이 측정되지만, 이 측정결과에는, 서브탱크(34)를 거쳐 반송된 HFO의 양이 포함된다. 따라서, 유량계(143)에 의한 측정결과와, 액면계(144, 145, 146)로 측정되는, 중간탱크에 저류되는 HFO의 양으로부터 HFO의 소비량을 산출한 경우, 서브탱크(34)를 거쳐 반송된 HFO의 양의 크기만큼 오차가 포함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구성에서는, 서브탱크(34)로부터 유량계(143)의 전단에 반송되는 HFO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계(147)를 경로(L28) 상에 마련한다. 그리고, 유량계(143)에 의한 측정결과로부터 유량계(147)에 의한 측정결과를 뺌으로써, HFO 저류탱크(12A)에 당초부터 저류되어 있던 HFO 중, 후단으로 배출된 HFO의 양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유량계(143)에 의한 측정결과로부터 유량계(147)에 의한 측정결과를 뺀 결과로부터, 액면계(144, 145, 146)로 측정되는, 중간탱크에 저류되는 HFO의 증가량을 빼면, 연소기관인 발전기(15A), 주기(15B) 및 보일러(15C)에 있어서의 HFO의 소비량이 얻어진다.
다만, 서브탱크(34)로부터의 HFO가 유량계(143)보다도 후단의 경로(L21) 등에 반송되는 경우에는, 유량계(147)에 의한 측정결과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량계(147)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유를 저류하는 탱크[여기에서는, HFO 저류탱크(12A)]와 연소기관의 사이에 중간탱크가 마련되는 경우나, 저류탱크와 연소기관의 사이의 경로가 복잡해지는 경우에는, 경로의 설정에 따라, 유량계의 설치장소를 변경함으로써, 연료유의 소비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다른 2종류의 연료유를, 합류경로를 통해 연소기관에 공급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연소기관에 공급하는 연료유의 종류는 3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그 경우에서도, 2종류 이상의 연료유가 합류하는 합류경로보다도 전단에 있어서, 연료유의 종류마다 연료유소비량측정부를 마련함으로써, 각 연료유에 관하여 소비량을 양호한 정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1A, 1B…선박
2, 3, 4…연료유관리시스템
11…제1 연료유탱크
12…제2 연료유탱크
13…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
14…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
15…연소기관

Claims (6)

  1. 제1 연료유를 저류하는 제1 연료유탱크와,
    상기 제1 연료유와는 다른 제2 연료유를 저류하는 제2 연료유탱크와,
    상기 제1 연료유탱크로부터 상기 제1 연료유를 배출하는 제1 연료유경로와,
    상기 제2 연료유탱크로부터 상기 제2 연료유를 배출하는 제2 연료유경로와,
    상기 제1 연료유경로 및 상기 제2 연료유경로의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연료유경로 및 상기 제2 연료유경로로부터의 연료유를 합류시키는 합류경로와,
    상기 합류경로로부터의 연료유를 도입하여 연소시키는 연소기관과,
    상기 합류경로보다도 전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와,
    상기 합류경로보다도 전단에 있어서, 상기 제2 연료유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
    를 갖는 선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 및 상기 제2 연료유소비량측정부 중 일방은, 상기 합류경로보다도 전단의 경로 상에 마련된, 상기 합류경로로 흐르는 연료유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인 것인 선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료유경로 상에,
    상기 제1 연료유를 저류하는 중간탱크
    를 더 갖고,
    상기 제1 연료유소비량측정부는,
    상기 제1 연료유탱크로부터의 상기 제1 연료유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상기 중간탱크에서의 상기 제1 연료유의 저류량을 측정하는 저류량측정부
    를 갖는 것인 선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는 질량유량계인 것인 선박.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는, 체적유량계와, 온도측정부 또는 밀도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인 선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류량측정부는, 상기 중간탱크 내에서의 상기 제1 연료유의 액면을 측정하는 액면계와, 온도측정부 또는 밀도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인 선박.
KR1020180101176A 2017-09-14 2018-08-28 선박 KR102517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76714 2017-09-14
JP2017176714A JP6971734B2 (ja) 2017-09-14 2017-09-14 船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599A true KR20190030599A (ko) 2019-03-22
KR102517593B1 KR102517593B1 (ko) 2023-04-03

Family

ID=6574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176A KR102517593B1 (ko) 2017-09-14 2018-08-28 선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6971734B2 (ko)
KR (1) KR102517593B1 (ko)
CN (1) CN1095019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80952B (zh) * 2022-09-23 2024-10-15 广州泽尔测试技术有限公司 一种液体消耗量测量装置
CN116001978B (zh) * 2023-01-06 2023-11-10 福建国安船业有限公司 用于轮渡船的日用油、动力油过渡方法、系统装置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8851A (ja) 1997-05-12 1999-06-02 Denso Corp 給油燃料計測装置、燃料残量計測装置、および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9241903A (ja)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舶用燃料油供給装置
JP2011112362A (ja) * 2009-11-24 2011-06-09 Ship Partners Ltd 液体の品質分析方法及び液体の品質分析装置
CN205532897U (zh) * 2016-02-02 2016-08-31 武汉理工大学 轻重油稳压快速切换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0973A (ja) * 1998-01-08 1999-07-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油清浄システム
CN2351748Y (zh) * 1998-05-21 1999-12-01 中国一拖集团有限公司 柴、汽油通用的全密封重量式燃油耗计量器
JP2007331670A (ja) * 2006-06-16 2007-12-27 Oshima Shipbuilding Co Ltd 船舶の燃料供給装置
CN101423114A (zh) * 2008-11-28 2009-05-06 大连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基于低硫重燃油与普通重燃油相互转换的两用船舶
CN201828296U (zh) * 2010-09-20 2011-05-11 陈剑辉 柴油发动机油耗仪
DE102012025021A1 (de) * 2012-12-20 2014-06-26 Man Diesel & Turbo Se Kraftstoffversorgung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DK178889B1 (en) * 2015-06-25 2017-05-01 A P Møller - Mærsk As METHOD AND FUEL MANAGEMENT SYSTEM FOR A MARINE SHIP
CN204944569U (zh) * 2015-09-24 2016-01-06 中国北车集团大连机车车辆有限公司 柴油发电机组轻重油消耗监控装置
CN105715423A (zh) * 2016-01-27 2016-06-29 郭一凡 海洋船舶燃油管理系统
JP6197089B1 (ja) * 2016-10-25 2017-09-13 ナブテスコ株式会社 船舶において消費された燃料油の量を示すデータの信頼性を確認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206325502U (zh) * 2016-11-26 2017-07-14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重质船用燃料油调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8851A (ja) 1997-05-12 1999-06-02 Denso Corp 給油燃料計測装置、燃料残量計測装置、および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9241903A (ja)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舶用燃料油供給装置
JP2011112362A (ja) * 2009-11-24 2011-06-09 Ship Partners Ltd 液体の品質分析方法及び液体の品質分析装置
CN205532897U (zh) * 2016-02-02 2016-08-31 武汉理工大学 轻重油稳压快速切换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01996A (zh) 2019-03-22
JP6971734B2 (ja) 2021-11-24
KR102517593B1 (ko) 2023-04-03
JP7339991B2 (ja) 2023-09-06
JP2022019743A (ja) 2022-01-27
JP2019051798A (ja)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9991B2 (ja) 船舶
CN100516785C (zh) 测定内燃机的油耗的方法和装置
ES2594903T3 (es) Método para modificar la volatilidad de los productos petrolíferos antes de la adición de etanol
CA2766419C (en) Meter electronics and fluid quantification method for a fluid being transferred
CN106716079B (zh) 用于确定密度差的方法及设备
US2023019432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a fuel supplied to an aircraft engine
CN106224133B (zh) Egr管路故障检测方法
CN107976228B (zh) 燃油评价装置以及存储介质
CA25886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 measurement and accountability
US20230202669A1 (en) Aircraft comprising, in its fuel tank, a chamber provided with a sensor
US47048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viscosity of a liquid
KR102135872B1 (ko) 연료 및 물 혼합물의 연료 소비량 계산
CN106372806B (zh) 用于船舶柴油发动机co2气体排放的测量方法及装置
DK178889B1 (en) METHOD AND FUEL MANAGEMENT SYSTEM FOR A MARINE SHIP
JP5472191B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システム
JP4049053B2 (ja) 噴射量測定装置及び噴射量測定方法
CN207523887U (zh) 一种单流量计的船舶燃油监控系统
JP5405524B2 (ja) Lngポンプ制御システム
JP2011111916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10302470B2 (en) System for measuring an oil retention volume in a lubricating system
RU32269U1 (ru) Первичн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ультразвукового расходомера жидкости или газа
CN113008489A (zh) 一种无人机飞行过程中油箱漏油检测方法及系统
Heljälä Review and productization of equipment for collecting, monitoring, reporting, and transmitting the data of ships' fuel oil systems
Kegel et al. Traceability of Marine LNG Bunkering Measurements
KR20170002968A (ko) 유류 계량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