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333A - 중장비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333A
KR20190030333A KR1020170117633A KR20170117633A KR20190030333A KR 20190030333 A KR20190030333 A KR 20190030333A KR 1020170117633 A KR1020170117633 A KR 1020170117633A KR 20170117633 A KR20170117633 A KR 20170117633A KR 20190030333 A KR20190030333 A KR 20190030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heavy equipment
sensor
main body
alarm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무
김남규
Original Assignee
박광무
김남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무, 김남규 filed Critical 박광무
Priority to KR102017011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0333A/ko
Publication of KR2019003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장비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외부에 경보음발생부가 구비된 본체와, 본체에 결합되어 중장비의 외곽으로 연장되는 감지체와, 본체와 감지체 사이에 설치되어 감지체가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탄성이동되게 하는 탄성요소와, 감지체의 탄성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재 및, 본체에 설치되고, 센서부재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발생부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본체의 내부에는 본체가 중장비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자력을 인가하는 자석과, 경보음발생부, 센서부재,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장비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중장비를 이용한 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중장비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를 후진할 경우, 지게차의 후방에 있는 장애물을 인식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백미러를 보거나 운전자가 직접 뒤를 돌아보아 장애물과 지게차와의 거리를 인식하면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중에 주변의 장애물이나 작업자와 충돌하거나, 작업자가 지게차와 장애물 사이에 협착되는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58242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지게차가 후진할 때 후방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감지하여, 장애물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지게차를 감속시키도록 구성된 안전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안전장치는 초음파나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함으로 거리측정에 오류가 발생되어 오작동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안전장치는 초음파나 적외선을 이용하는 특성상 지게차의 측면에 구비할 경우 오작동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됨으로써, 지게차의 후방에만 구비하여 지게차의 후방에 근접되는 장애물이 있는 지만을 감시하게 된다.
따라서, 지게차가 후진할 때 지게차의 후방이 장애물이나 사람에게 충돌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지게차의 측면이 주변의 장애물이나 사람에게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장비의 주행 또는 후진시 중장비 후방과 측면에 위치하는 작업자 또는 작업물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중장비의 작업중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중장비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안전장치는 중장비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외부에 경보음발생부가 구비된 본체와, 본체에 결합되어 중장비의 외곽으로 연장되는 감지체와, 본체와 감지체 사이에 설치되어 감지체가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탄성이동되게 하는 탄성요소와, 감지체의 탄성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재 및, 본체에 설치되고, 센서부재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발생부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본체의 내부에는 본체가 중장비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자력을 인가하는 자석과, 경보음발생부, 센서부재,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갖는다.
여기서, 감지체에는 축선방향으로 복수개의 LED 램프가 이격되게 설치되고, LED 램프는 제어부에 의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중장비 주변의 작업자 또는 작업물이 감지체와 부딪쳤을 때 중장비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탄성요소는 본체에 결합되는 하부결합구와, 감지체에 결합되는 상부결합구와, 하부결합구와 상부결합구를 상호 연결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감지체가 탄성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재는 하부결합구에 설치되는 금속감지센서와, 상부결합구에 금속감지센서와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감지체가 중장비 주변의 작업자 또는 작업물과 부딪쳐 탄성 이동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중장비 안전장치는 중장비의 주행 또는 후진시 중장비 후방과 측면에 위치하는 작업자 또는 작업물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중장비의 작업중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장비용 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중장비용 안전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안전장치가 중장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안전장치가 중장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안전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장비용 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중장비용 안전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안전장치가 중장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 안전장치가 중장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안전장치(100)는 본체(110), 감지체(120), 탄성요소(130), 센서부재(140), 제어부(150)로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중장비(1)의 외측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배터리(B), 자석(M)이 구비되고, 외부에는 경보음발생부(112)가 구비된다. 본체(112)의 외측면에는 작업자가 본체(110)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게 하는 손잡이(114)가 설치된다. 이때, 손잡이(114)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110)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본체(110)의 내부를 향해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10)의 외측에는 경보음발생부(112), LED 램프(122), 근접센서(124), 센서부재(140), 제어부(150)에 배터리(B)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스위치(116)가 설치된다.
배터리(B)는 본체(110)의 내부에 충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경보음발생부(112), LED 램프(122), 근접센서(124), 센서부재(140), 제어부(1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자석(M)은 본체(110)가 중장비(1)의 외측면에 자력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게 한다.
감지체(120)는 본체(110)에 결합되어 중장비(1)의 외관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감지체(120)에는 제어부(150)에 의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하는 복수개의 LED 램프(122)가 축선방향을 설치된다.
또한, 감지체(122)의 최외측 단부에는 근접센서(124)가 설치되어 중장비(1)의 주변에 작업자 또는 작업물이 위치되는 것을 감지한다.
탄성요소(130)는 본체(110)와 감지체(120) 사이에 설치되어 감지체(120)가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탄성 이동되게 한다. 즉, 중장비(1)가 이동 또는 회전할 때 주변에 위치하는 작업자 또는 작업물과 부딪혔을 때 감지체(120)가 탄성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탄성요소(130)는 본체(110)에 결합되는 하부결합구(132)와, 감지체(120)에 결합되는 상부결합구(134)와, 하부결합구(132)와 상부결합구(134)를 상호 연결하는 코일스프링(13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결합구(132)와, 상부결합구(134)는 각각 본체(110)와 감지체(120)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끼움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센서부재(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요소(130)에 설치되어 감지체(120)가 중장비(1) 주변의 작업자 또는 작업물과 부딪쳐 탄성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하부결합구(132)에 설치되는 금속감지센서(142)와, 상부결합구(134)에 금속감지센서(142)와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금속판(144)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지체(120)가 중장비(1) 주변의 작업자 또는 작업물과 부딪쳐 탄성 이동되어 금속판(144)이 금속감지센서(142)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경우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광부와 발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하부결합구(142)에는 수광부가 설치되고, 상부결합구(144)에 수광부와 대면하도록 발광부가 설치된다.
제어부(150)는 본체(110)에 설치되고, 감지체(120)가 중장비(1) 주변의 작업자 또는 작업물과 부딪쳐 탄성 이동되었을 때의 신호를 센서부재(140)로부터 전송받아 경보음발생부(112)에서 경보음이 발생되게 함과 동시에 감지체(120)에 설치된 LED 램프(122)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하여 중장비 운전자가 위험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감지체(120)의 최외측 단부에 설치된 근접센서(124)로부터 중장비(1)의 주변에 작업자 또는 작업물이 근접되게 위치되었다는 신호를 전송받아 경보음발생부(112)에서 경보음이 발생되게 함과 동시에 감지체(120)에 설치된 LED 램프(122)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제어부(150)는 중장비(1)를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ler Unit; 2)에 신호를 전송하여 ECU(2)가 중장비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중장비를 비상 정지시키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본체
112; 경보음발생부
114; 손잡이
116; 스위치
120; 감지체
122; LDE 램프
124; 근접센서
130; 탄성요소
132; 하부결합구
134; 상부결합구
136; 코일스프링
140; 센서부재
142; 금속감지센서
144; 금속판
150; 제어부
B; 배터리
M; 자석

Claims (6)

  1. 중장비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외부에 경보음발생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중장비의 외곽으로 연장되는 감지체;
    상기 본체와 상기 감지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체가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탄성이동되게 하는 탄성요소;
    상기 감지체의 탄성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부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재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경보음발생부에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가 상기 중장비의 외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자력을 인가하는 자석과, 상기 경보음발생부, 센서부재,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체에는 축선방향으로 복수개의 LED 램프가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LED 램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안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체의 최외측 단부에는 근접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안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요소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하부결합구와, 상기 감지체에 결합되는 상부결합구와, 상기 하부결합구와 상기 상부결합구를 상호 연결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안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는 상기 하부결합구에 설치되는 금속감지센서와, 상기 상부결합구에 상기 금속감지센서와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중장비 안전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는 상기 하부결합구에 설치되는 수광부와, 상기 상부결합구에 상기 수광부와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발광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안전장치.
KR1020170117633A 2017-09-14 2017-09-14 중장비용 안전장치 KR20190030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633A KR20190030333A (ko) 2017-09-14 2017-09-14 중장비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633A KR20190030333A (ko) 2017-09-14 2017-09-14 중장비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333A true KR20190030333A (ko) 2019-03-22

Family

ID=6594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633A KR20190030333A (ko) 2017-09-14 2017-09-14 중장비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03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721A (ko) * 2019-04-02 2020-10-13 윤도영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
KR200493112Y1 (ko) * 2020-06-11 2021-02-02 김보식 중장비용 안전장치
KR200493833Y1 (ko) * 2020-10-14 2021-06-11 김보식 중장비용 안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721A (ko) * 2019-04-02 2020-10-13 윤도영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
KR200493112Y1 (ko) * 2020-06-11 2021-02-02 김보식 중장비용 안전장치
KR200493833Y1 (ko) * 2020-10-14 2021-06-11 김보식 중장비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0333A (ko) 중장비용 안전장치
US10209065B2 (en) Detachable protective coverings and protection methods
US9679461B2 (en) Safety device
US9238573B2 (en) Protecting device for a user of an aerial lift and aerial lift comprising such a device
JP4582503B2 (ja) 作業用安全ベルト装置
CN109952266B (zh) 移动式作业平台的安全装置
JP7122780B2 (ja) 安全帯用発報装置
US20180118239A1 (en) Travel Obstructing Device
WO2011133962A2 (en) Heavy equipment safety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GB2482853A (en) Portable anti collision sensor
JP2017186171A (ja) 操作者制御ステーションの保護を強化する光電気システム
CN102596489A (zh) 作业台车
US5861813A (en) Safety securing device
US200600441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ision avoidance
KR200493112Y1 (ko) 중장비용 안전장치
BR102020005643A2 (pt) Detecção de proximidade em ambientes de montagem tendo maquinário
JPH10249785A (ja) 光学式ロボット用接触センサ
KR20160017485A (ko) 중장비 또는 대형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인체 감지 알람 시스템
JP6824126B2 (ja) 建設機械の後進時衝突防止装置
JP2012207333A (ja) 衝突防止機能付きヘルメット
JP5915322B2 (ja) ロボット装置
WO1999042253A1 (en) Safety arrangement in a fastener driving tool
KR20180068036A (ko) 중장비 또는 대형차량의 충돌방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193372B1 (ko) 중장비 회전반경을 감지하는 전자봉.
KR200476131Y1 (ko) 중장비용 후방 근접 감지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