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721A -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 - Google Patents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721A
KR20200116721A KR1020190038473A KR20190038473A KR20200116721A KR 20200116721 A KR20200116721 A KR 20200116721A KR 1020190038473 A KR1020190038473 A KR 1020190038473A KR 20190038473 A KR20190038473 A KR 20190038473A KR 20200116721 A KR20200116721 A KR 20200116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over
body portion
coupl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533B1 (ko
Inventor
윤도영
Original Assignee
윤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도영 filed Critical 윤도영
Priority to KR1020190038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533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상승방지봉(몸체부)에 탄성을 주어 과상승방지봉(몸체부)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탑승부를 구비한 작업대,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작업대에 결합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구비된 센서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과상승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Lift equipped with an over-rising preventing means}
본 발명은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과상승방지봉)에 탄성을 주어 파이프(과상승방지봉)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트(Lift)는 화물이나 작업자를 높은 위치로 운반하한 기계이다.
이 리프트는 위생 파이프, 덕트, 전선 트레이 등 작업에 필요한 공구 등을 함께 들어 올려야 하므로 일단 작업이 진행되면 작업대가 가능하여 작업자가 몸을 운신하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하다.
이러한 열악한 환경에서 작업자가 리프트를 상하 또는 전후를 운전하여 작업을 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 즉, 운전자는 당연히 주위를 살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실린 자재나 다른 방해물에 가려서 원하는 위치로 운전하기란 쉬울 일이 아니다.
다시 말하면 작업 시에 리프트를 운전함에 있어 주의해야 할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리프트의 상승을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하는 것인데, 작업자가 작업에 몰두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운전 단추를 계속 눌러 리프트가 과상승하여 시설물에 부딪히거나 잘 안 보이는 방해물과 리프트의 난간대가 부딪혀 사람의 손이나 팔이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협착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공개특허 제10-2012-0103273호)에서는 리프트의 작업대 난간 위에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여, 리프트가 상승하는 경우에 위로부터 다가오는 물체를 미리 감지하여 더 이상의 상승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배관, 소방 등 장비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고정하는 작업 등에서, 작업대 난간 위에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된 상태에서 천장이 낮은 높이로 리프트를 이동시켰을 경우,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과상승방지봉(본원발명의 과상승 방지수단)이 천장 또는 물체 등과 충돌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장에서 과상승 방지수단(과상승방지봉)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 사용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향상된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상승 방지수단을 제거한 상태로, 낮은 높이의 건물에서 리프트의 이동이 용이하며, 적은 개수의 과상승 방지수단을 다수의 리프트에 적용할 수 있도록 리프트와 과상승 방지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부 및 완충부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탑승부를 구비한 작업대,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작업대에 결합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구비된 센서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과상승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탄성부를 기준으로 상부 제1바디 및 하부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된 제1결합부재,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된 제2결합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1결합부재에, 타단은 제2결합부재에 용접 결합된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의 난간프레임에 상기 몸체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난간프레임을 감싸는 'ㄷ'자 형상의 브래킷, 상기 베이스, 몸체부 및 난간프레임 모두에 형성된 제1관통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날개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2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난간프레임에 접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탄성부에 연결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에 내삽 또는 외삽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 모두에 형성된 연결공에 삽입되는 볼트 및 이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탄성부를 포함하여 수직 하중 또는 수평 하중에 의해 과상승 방지수단(센서부, 몸체부)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탄성부가 몸체부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탄성부가 용접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고무, 플라스틱 등의 다른 재질과 비교하여 탄성 복원력이 뛰어나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리프트(작업대 등)와 과상승 방지수단이 탈착 가능하여, 과상승 방지수단을 제거한 상태로, 낮은 높이의 건물에서 리프트의 이동이 용이하며, 적은 개수의 과상승 방지수단을 다수의 리프트에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상부몸체와, 리프트에 연결된 하부몸체가 탈착이 가능하여, 센서부 및 완충부재가 몸체부에서 교체가 용이하여 센서부 및 완충부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부 제1바디 및 하부 제2바디가 분리된 상태에서 몸체부와 탄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과상승 방지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용접되기 이전의 탄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스프링부재가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 각각 용접되고, 하부몸체가 상부몸체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부몸체의 연결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몸체부와 난간프레임을 결속하는 결합수단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리프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프트(과상승 방지수단(3)이 구비된 리프트)는 작업대(1), 승강수단(2) 및 과상승 방지수단(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작업대(1)는 탑승부(11)를 구비한다. 탑승부(11)는 작업자 또는 작업에 필요한 공구 등이 적재되는 곳으로써, 판 형상일 수 있다. 작업대(1)는 탑승부(11)에 탑승한 작업자 또는 탑승부(11)에 적재된 공구 등의 낙상 사고를 방지하도록 탑승부(11)의 둘레를 따라 상향(도 1을 기준으로 12시 방향) 돌출되는 난간프레임(12)을 구비할 수 있다. 난간프레임(12)은 탑승부(11)와 볼팅, 용접 등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승강수단(2)은 작업대(1)를 승강시킨다. 예시적으로, 승강수단(2)은 작업대(1)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부(예시적으로 승강수단(2)의 하단부)에 이동 바퀴를 구비할 수 있다.
과상승 방지수단(3)은 상기 작업대(1)에 결합되는 몸체부(31)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몸체부(31)는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 측(도 1을 기준으로 12시 방향)이 리프트의 상승 방향(도 1을 기준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도록 타 측(도 1을 기준으로 6시 방향)이 리프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방지수단(3)은 몸체부(31) 상부에 센서부(32)를 구비한다. 센서부(32)는 작업대(1)가 상승함에 따라 작업대(1)의 상승 방향에 위치하는 천장 또는 물체와의 거리 또는 접촉 유무(압력)를 감지하는 것으로, 몸체부(31)의 상부는 난간프레임(12)에서 상향 돌출되도록 작업대(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부(31)의 상부에 구비된 센서부(32)가 천장 또는 물체와 접촉(또는 근접)하는 경우 작업자의 머리 또는 팔 등이 천장 또는 물체와 접촉되지 않도록 몸체부(31)가 작업대(1)에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센서부(32)는 리미트 스위치일 수 있는데, 이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센서부(32)는 승강수단(2)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센서부(32)가 작업대(1)의 상승 방향에 위치하는 천장 또는 물체와 접촉하는 경우, 승강수단(2)의 상승 동작을 정지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센서부(32)는 근접센서, 압전소자 등의 다양한 센서로 구비될 수 있는데, 기 설정된 기준 거리(센서부(32)가 근접센서일 경우) 미만 또는 기 설정된 기준 압력(센서부(32)가 압전소자일 경우)을 초과하는 경우 승강수단(2)의 상승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송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에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제어 구성(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세서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 또는 전자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는 그에 포함된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된 신호나 명령을 승강수단(2)에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승강수단(2) 또는 리프트에 포함되거나, 승강수단(2) 또는 리프트와 이웃하는 위치에 승강수단(2) 또는 리프트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승강수단(2)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과상승 방지수단(3)은 몸체부(31)에 구비된 탄성부(33)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탄성부(33)는 몸체부(31)가 상부 및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탄성부(33)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고, 탄성부(33)는 몸체부(31)의 상부와 하부가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작업대(1)가 승강수단(2)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또는 리프트에 설치된 과상승 방지수단(2)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센서부(32) 또는 몸체부(31)가 천장 또는 물체와 접촉하여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의 충격이 가해질 때, 탄성부(33)의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을 통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몸체부(32)의 파손을 억제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탄성부(33)는 몸체부(31) 및 센서부(3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2는 상부 제1바디 및 하부 제2바디가 분리된 상태에서 몸체부와 탄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과상승 방지수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용접되기 이전의 탄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스프링부재가 제1결합부재 및 제2결합부재 각각 용접되고, 하부몸체가 상부몸체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부몸체의 연결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31)는 탄성부(33)를 기준으로 상부 제1바디(311)(상술한 몸체부(31)의 상부) 및 하부 제2바디(312)(상술한 몸체부(31)의 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부 제1바디(311)는 그 상단이 센서부(32)와 연결된 것일 수 있고, 하부 제2바디(312)는 리프트(작업대(1)) 또는 난간프레임(12))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33)는 제1바디(311)에 구비된 제1결합부재(331), 제2바디(312)에 구비된 제2결합부재(332) 및 일단은 제1결합부재(331)에, 타단은 제2결합부재(332)에 용접 결합된 스프링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결합부재(331) 및 제2 결합부재(332)는 각각 제1바디(311) 또는 제2바디(312)가 관통하도록 통공을 형성한 와셔로서, 제1결합부재(331) 및 제2결합부재(332)는 각각은 그 통공에 제1바디(311) 또는 제2바디(312)가 삽입된 상태(제1바디(311) 및 제2바디(312) 각각에 제1결합부재(331) 또는 제2결합부재(332)가 개재된 상태)에서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제1바디(311) 및 하부 제2바디(312)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스프링부재(333)에 의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스프링부재(333)는 상부 제1바디(311) 및 하부 제2바디(312)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작업대(1)가 승강수단(2)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또는 리프트에 설치된 과상승 방지수단(3)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센서부(32) 또는 몸체부(31)가 천장 또는 물체와 접촉하여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의 충격이 가해질 때, 스프링부재(333)의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을 통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몸체부(31)(상부 제1바디(311), 하부 제2바디(312))의 파손을 억제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결합부재(331) 및 제2 결합부재(332)는 용접 단계 이전에 스프링부재(333)를 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부재(333)가 용접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고무, 플라스틱 등의 다른 재질과 비교하여 탄성 복원력이 뛰어나 반복 사용이 가능하고, 제1결합부재(331) 및 제2결합부재(332)와 용접 결합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몸체부와 난간프레임을 결속하는 결합수단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리프트는 작업대(1)의 난간프레임(12)에 몸체부(31)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수단(4)은, 베이스(411) 및 베이스(411)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날개(412)를 포함하고, 몸체부(31)와 난간프레임(12)을 감싸는 'ㄷ'자 형상의 브래킷(4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브래킷(41)의 형상은 'ㄷ'로 한정하지 않으며, 몸체부(31) 및 난간프레임(12)을 감싸도록 한 쌍의 날개(412)가 연결되지 않은 개구를 형성되는 조건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예를 들어 'U'자형).
이때, 결합수단(4)은 베이스(411), 몸체부(31) 및 난간프레임(12) 모두에 형성된 제1관통공(미도시)에 삽입되는 고정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42)에 의해 베이스(411), 몸체부(31) 및 난간프레임(12)이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정부재(42)는 볼트일 수 있으며, 동시에 너트(미도시) 등에 의해 조임 상태를 유지하여 베이스(411), 몸체부(31) 및 난간프레임(12)의 연결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자세히 설명하면 난간프레임(12)의 연직프레임과 몸체부(31)는 종방향(도 5를 기준으로 4시-10시 방향) 간격을 두고 나란한 상태에서, 고정부재(42)가 몸체부(31) 및 상기 연직프레임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몸체부(31) 및 상기 연직프레임 각각에 제1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부(31)가 난간프레임(12)에 고정부재(42)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도 5를 기준으로 12시-6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횡방향(상기 종방향의 직교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결합수단(4)은 한 쌍의 날개(412)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2관통공(미도시)에 삽입되고, 난간프레임(12)에 접하는 결속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날개(412), 베이스(411) 및 결속부재(43)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난간프레임(12) 및 몸체부(31)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날개(412)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몸체부(31) 및 난간프레임(12) 폭보다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관통공은 한 쌍의 날개(412)에서 베이스(411)와 접하는 측과 대항되는 측에 형성되되, 제2관통공은 제2관통공에 삽입되는 결속부재(43)에 의해 난간프레임(12)과 몸체부(31)의 거리가 최소화 되도록 한 쌍의 날개(412)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기준으로 자세히 설명하면, 결속부재(43)가 횡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한 쌍의 날개(412) 단부가 각각 횡방향으로 통공된 제2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2관통공에 결속부재(43)가 삽입됨에 따라 몸체부(31)와 난간프레임(12)의 연직프레임(몸체부(31)와 인접한 연직프레임)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며, 몸체부(31)와 상기 연직프레임의 벌어짐을 방지하므로, 난간프레임(12)과 몸체부(31)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42)는 난간프레임(12)과 몸체부(31)를 횡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고, 결속부재(43)는 난간프레임(12)과 몸체부(31)의 벌어짐을 억제하여 종방향 간격을 유지하므로, 고정부재(42) 및 결속부재(43)는 상호 보완하여 난간프레임(12)과 몸체부(31)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1) 및 난간프레임(12)은 결합수단(4)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작업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에만 과상승 방지수단(3)을 리프트(작업대(1))에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낮은 높이의 천장을 가지는 건물 내에서 과상승 방지수단(3)을 리프트에서 제거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과상승 방지수단(3)을 다수의 리프트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과상승 방지수단(3)을 다수의 리프트의 개수에 대응하여 생산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31)는 탄성부(33)에 연결된 상부몸체(311a), 상부몸체(311a)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몸체(311a)에 내삽 또는 외삽 되며, 리프트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몸체(311b) 및 상부몸체(311a)와 하부몸체(311b)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미도시)를 포함될 수 있다. 연결부재(미도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상부몸체(311a) 및 하부몸체(311b)는 상기 볼트가 삽입되도록 연결공(h)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볼트, 너트 등)에 의해 상부몸체(311a) 및 하부몸체(311b)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센서부(32) 및 탄성부(33)가 연결된 상부몸체(311a) 및 하부몸체(311b)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고, 따라서 하부몸체(311b)로부터 상부몸체(311a)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311b)와의 연결이 해제된 상부몸체(311a)의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므로, 센서부(32) 및 탄성부(33)의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부몸체(311a) 및 하부몸체(311b)의 연결공(h)이 상부몸체(311a) 및 하부몸체(31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몸체부(31)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환경에 과상승 방지수단(3)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과상승 방지수단(3)이 몸체부(31)의 외면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다공층(G1), 이 다공층(G1) 상부에 구비되는 발열층(G2) 및 다공층(G1), 발열층(G2)을 포함하여 몸체부(31)의 외면을 덮는 보호층(G3)을 포함하는 보호막(G)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다공층(G1)은 보호막(G)에 완충성을 부가하는 구성으로, 발포폴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Sb2O3) 5 중량부,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7 중량부 및 팽창 흑연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은 난연성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단열성능이 뛰어나고 제조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 때문에 사용되었다. 다공층(G1)의 각 조성물은 발포스트렌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Sb2O3)는 휘안석으로부터 취득되는 금속산화물로, 기타 난연재에 비해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다는 장점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안티모니 트리옥사이드는 발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연소 시에 발생하는 라디칼 화합물이 인체에 유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고가인 이유로 경제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Melamine Polyphosphate)는 폴리인산화??물의 일종으로, 유리도막을 형성하여 산소접근을 차단하는 기능을 위해 첨가된다. 반복 실험 결과, 유리도막의 적정 두께 형성을 위한 최적의 사용량은 발포스티렌 100 중량부 대비, 7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팽창 흑연(Expanded Graphite)은 연소 시 탄화물을 생성함으로써 난연 기능을 부가하는 흑연화합물로서 첨가되며, 바람직한 사용량은 1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인데, 반복 실험 결과 상기한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와의 중량 비율이 0.7 : 1로 사용될 때 난연 효과가 최대로 발현되었으며, 이 결과 1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상기 다공층(G1)은 상기 구성들을 물을 용매로 하여 분산시킨 후 소정의 경화 작업을 거쳐 제조된다. 여기에서, 다공층(G1)의 경화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기 공지된 기술 및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 상식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발열층(G2)은 다공층(G1)의 상부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받아 자체 발열하여 상기한 다공층(G1)과 보호층(G3) 간의 융화와 혼련이 자체적으로 이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가되며, 상온에서는 이 혼련 시간이 24시간 이상으로 길기 때문에, 약 40 ~ 60℃의 온도 조건을 제공하여 혼련 시간을 30분 이내로 단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열층(G2)은 테트라클로로금(Ⅲ)산 100 중량부 대비, 이산화망간 5 중량부 및 실리카겔 3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테트라클로로금(Ⅲ)산(HAuCl4)은 금을 왕수(王水)에 녹이거나 염화금(Ⅲ)을 염산에 용해시켜 취득하는 담황색의 결정으로, 입경에 따라 발열 효율이 다르기 때문에 평균 입경이 15 ~ 30nm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층(G2)을 구성하는 이하의 조성물은 테트라클로로금(Ⅲ)산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이산화망간(MnO2)은 망간과 상소가 결합한 화합물로, 발열층(G2)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태양광 파장의 활용 영역을 최적화하기 위해 첨가되며, 티타늄, 크롬, 니켈, 구리 등 4주기의 전이금속 중 원적외선 영역에서의 복사율 및 복사에너지 효율이 좋아 채택되었다. 이러한 이산화망간은 산소 존재 하에서 약 1000℃로 소결시켜 제조되며, 입경이 작을수록 유도 가열 효과가 증대되므로 평균 입경이 10 ~ 100nm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반복 실험 결과 최적의 열전도 효율을 보였던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리카겔(Silica Gel)은 발열층(G2)의 발열 효과를 지속시키고 발열 포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반복 실험 결과 3 중량부가 포함될 때 최적의 발열 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발열층(G2)은 테트라클로로금(Ⅲ)산 수용액을 약 100℃에서 10분간 가열한 후에 소량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수용액 상태로 만든 다음, 이에 상기 배합 비율로 이산화망간 및 실리카겔을 혼합 및 분산시킨 후, 소정의 건조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여기에서, 건조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기 공지된 기술 및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 상식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보호층(G3)은 보호막(G)의 기본 구성으로, 상기한 다공층(G1)과 발열층(G2)을 포함한 보호 부위 전체를 덮어서 보호한다. 이러한 보호층(G3)은 테트라에톡시실란 5 중량%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5 중량%와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실리카 결합수 100 중량부 대비, 포졸란 10 중량부, 계면활성제 3 중량부, 벤토나이트 1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3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실리카 결합수는 포졸란의 지오 폴리머 반응을 위해 첨가되며, 다량의 실리카(SiO)가 함유된 것이 좋다. 이러한 실리카 결합수는 결합수 전체 중량 대비,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5 중량%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MTES) 5 중량%와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데, 테트라에톡시실란은 실리카 분자의 안정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며,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은 네트워크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테트라에톡시실란이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보호층(G3)의 경도 저하가 발생하고,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실리카 전구체 함량이 높아져 건조 시의 크랙 발생 우려가 있다. 또한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이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유연성이 저하되며,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보호층(G3)의 경도가 저하된다. 보호층(G3)을 구성하는 이하의 조성물은 실리카 결합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포졸란은 지오 폴리머 반응의 주요한 결합재로서, 화산재 등과 같은 천연 포졸란, 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쉬, 실리카 흄 등과 같은 인공 포졸란 중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포졸란은 10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무 과도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할 때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조성비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 발현이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계면활성제는 작업성 개선을 위해 첨가되고, 벤토나이트는 탈락 방지를 위한 점탄성 조절제로서 첨가되어 요변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와 벤토나이트는 공지된 기술 및 일반 상식을 참고하여 시판되는 제품을 상기 조성비로 첨가되면 족하다. 상기 조성비를 벗어나는 경우, 흐름성이 기준치에 과도하거나 또는 미달되게 된다.
그리고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acrylate)는 부착증진제로서 첨가되며, 특히 경화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어 채용되었다. 반복 실험 결과, 바람직한 사용량은 40 중량부이며, 상기 조성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부착 증진 효과 발현이 미미하며, 상기 조성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휘발도가 높아지고 독성이 강해진다.
그리고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Ehtylenediaminetetracetate)는 흡착강화제로서 첨가되며, 보호막(G)의 초기 시공 시의 흡착력을 강화하여 결과적으로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반복 실험 결과, 최적의 흡착 강화 효과를 발현하는 사용량은 3중량부로 확인되었다.
상기 보호층(G3)은 상기 구성들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혼합 및 교반한 다음, 소정의 건조 및 경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기 보호막(G)의 시공에 관한 실시예로, 시험용 블록에 다공층(G1), 발열층(G2) 및 보호층(G3) 순으로 구비한 다음, 태양광이 조사되는 환경 하에 1시간동안 방치하여 혼련 과정을 거치고, 경화시켜 보호막(G)을 형성하였다. 이 보호막(G)에 크로스-컷(cross-cut) 시험, 스크래칭 시험, 화염 분사를 통한 연소 시험, 물 분사를 통한 내부 침습도 시험을 수행한 결과, 박리율은 1% 미만이었으며, 파손율은 5% 미만이었고, 다공층(G1)의 연소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내부 침습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작업대: 1
탑승부: 11 난간프레임: 12
승강수단: 2
과상승 방지수단: 3
몸체부: 31
제1바디: 311 제2바디:312
센서부: 32
탄성부: 33
제1결합부재: 331 제2결합부재: 332
상부몸체: 311a 하부몸체: 311b
h: 연결공
스프링부재: 333
결합수단: 4
브래킷: 41
베이스: 411 날개: 412
고정부재: 42
결속부재: 43

Claims (4)

  1. 탑승부를 구비한 작업대;
    상기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작업대에 결합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상부에 구비된 센서부 및 상기 몸체부에 구비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과상승 방지수단;
    을 포함하는 리프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탄성부를 기준으로 상부 제1바디 및 하부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된 제1결합부재,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된 제2결합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1결합부재에, 타단은 제2결합부재에 용접 결합된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난간프레임에 상기 몸체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난간프레임을 감싸는 'ㄷ'자 형상의 브래킷,
    상기 베이스, 몸체부 및 난간프레임 모두에 형성된 제1관통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날개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2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난간프레임에 접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탄성부에 연결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에 내삽 또는 외삽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 모두에 형성된 연결공에 삽입되는 볼트 및 이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KR1020190038473A 2019-04-02 2019-04-02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 KR102197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473A KR102197533B1 (ko) 2019-04-02 2019-04-02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473A KR102197533B1 (ko) 2019-04-02 2019-04-02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721A true KR20200116721A (ko) 2020-10-13
KR102197533B1 KR102197533B1 (ko) 2020-12-31

Family

ID=7288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473A KR102197533B1 (ko) 2019-04-02 2019-04-02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5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585U (ko) * 2011-03-16 2012-09-26 신한곤도라주식회사 고소작업대의 다단조절식 상한 리밋스위치
KR20130006880U (ko) * 2012-05-21 2013-11-29 이정호 안전 난간용 지지대
CN106477493A (zh) * 2016-12-08 2017-03-08 诺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自行式高空作业平台可伸缩防撞装置
KR20190030333A (ko) * 2017-09-14 2019-03-22 박광무 중장비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585U (ko) * 2011-03-16 2012-09-26 신한곤도라주식회사 고소작업대의 다단조절식 상한 리밋스위치
KR20130006880U (ko) * 2012-05-21 2013-11-29 이정호 안전 난간용 지지대
CN106477493A (zh) * 2016-12-08 2017-03-08 诺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自行式高空作业平台可伸缩防撞装置
KR20190030333A (ko) * 2017-09-14 2019-03-22 박광무 중장비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533B1 (ko) 202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0398A1 (en) Elevating platform assembly
KR102197533B1 (ko) 과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리프트
CA2336426A1 (en) Attachment assembly for use on flat roofs
CN210214539U (zh) 一种装配式建筑用玻璃幕墙升降装置
KR102002273B1 (ko) 파이프 타입 소재의 레이저 가공장치
CN202215142U (zh) 扶手梯
CN206591801U (zh) 一种多功能建筑吊篮
KR20090063628A (ko)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CN204081264U (zh) 一种外包裹组合式防火工字钢柱
CN204899262U (zh) 一种简易建筑施工安全防护装置
CN207130627U (zh) 桥梁施工高架作业平台
CN211850734U (zh) 一种建筑工地用吊篮
KR102056311B1 (ko) 알루미늄 절단 가공 방법
CN209835561U (zh) 一种凿岩台车作业平台臂变幅油缸及凿岩台车作业平台
KR100898568B1 (ko) 레일 이동 로봇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 이동 로봇 시스템
JP7128619B2 (ja) 回転装置
DE10335687A1 (de) Arbeitsbühne
CN216109630U (zh) 一种可调节防护高度的建筑吊篮安全防护装置
CN220365281U (zh) 一种滑移轨道式吊篮
CN217676202U (zh) 一种安全型升降货梯
CN216894412U (zh) 一种带有紧固防晃结构的凿岩台车工作平台
CN213676754U (zh) 一种非粘土烧结砖加工用转运装置
CN210598609U (zh) 一种玻璃升降器
CN214971406U (zh) 一种消防灭火机器人底盘支撑结构
CN220945022U (zh) 一种钢结构翻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