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209A - 임팩터를 채용하는 먼지 센서 - Google Patents

임팩터를 채용하는 먼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209A
KR20190029209A KR1020170116495A KR20170116495A KR20190029209A KR 20190029209 A KR20190029209 A KR 20190029209A KR 1020170116495 A KR1020170116495 A KR 1020170116495A KR 20170116495 A KR20170116495 A KR 20170116495A KR 20190029209 A KR20190029209 A KR 20190029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or
protruding
air
protruding portion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16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9209A/ko
Priority to US16/059,676 priority patent/US10529209B2/en
Priority to CN201811036217.2A priority patent/CN109490160A/zh
Publication of KR2019002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47L9/281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using optical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G08B17/10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for detecting light-scattering due to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impa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5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mechanical, e.g. inertial, classification, and investigation of sorted coll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75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42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 G01N2015/0046Investigating dispersion of solids in gas, e.g.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5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mechanical, e.g. inertial, classification, and investigation of sorted collections
    • G01N2015/0261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mechanical, e.g. inertial, classification, and investigation of sorted collections using imp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들만 통과시키기 위한 임팩터 어셈블리; 임팩터 어셈블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에 빛을 방사하는 발광부; 및 발광부가 방사하여 경로를 통과하는 먼지에서 산란되는 산란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임팩터 어셈블리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가 중앙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입구를 통과한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의 외곽에 공기가 입구를 진행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원판 형상의 가운데 부분이 함몰하여 중앙 하방 함몰부가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 중앙 하방 함몰부보다 바깥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슬롯이 형성된, 제1 임팩터; 및 중앙에 출구가 배치되고, 출구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면서 위 방향으로 돌출한 중앙 상방 돌출부가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 중앙 상방 돌출부보다 더 바깥에서 위쪽으로 절곡된 후 다시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이중 절곡부가 형성되고, 이중 절곡부의 끝에서 위쪽으로 꺾여 돌출한 외곽 상방 돌출부가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 중앙 상방 돌출부보다 더 바깥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안내부가 형성된, 제2 임팩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임팩터를 채용하는 먼지 센서{Dust sensor adopting impactor}
본 발명은 임팩터를 채용하는 광전식 먼지 센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구가 밀집되고 차량이 늘어남에 따라 대기 오염이 심해지면서, 먼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공기 청정기 수요도 늘고 있다. 능동적인 공기 청정을 위해서, 공기 청정기는 공기의 오염 정도 즉, 공기 중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 센서를 필요로 한다.
먼지 센서로는 주로 광전식 먼지 센서가 사용되고 있는데, 도 1은 광전식 먼지 센서가 먼지를 센싱 하는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광전식 먼지 센서는, 하우징에 공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형성하고,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공기 통과 경로를 지나가게 한 후 유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고, 공기 통과 경로에 배치된 발광부가 빛을 먼지 통과 경로에 방출하고 공기 통과 경로에 배치된 수광부가 발광부가 방사되어 먼지에 의해 산란된 빛을 집광하고, 수광부의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를 측정한다.
공기 통과 경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먼지나 연기가 없으면 발광부로부터 방사되는 거의 모든 빛이 먼지 통과 경로를 통과해서 수광부가 배치되지 않은 차광 영역에 도달하기 때문에, 수광부의 수광량이 매우 작아진다. 반면, 공기 통과 경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먼지나 연기가 있으면 발광부로부터 방사되는 빛의 일부가 먼지 통과 경로의 먼지나 연기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에 입사하여, 수광부의 수광량이 상승한다.
이에, 수광부에 포함된 수광 소자의 출력 변동에 기초하여 공기 통과 경로를 통과하는 먼지나 연기의 존재/부존재를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수광 소자의 출력 레벨에 기초하여 공기 통과 경로를 통과하는 먼지나 연기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먼지 중에는 크기가 다른 여러 입자가 섞여 있는데, 큰 입자는 호흡기에 있는 필터, 예를 들어 코털이나 기관지의 섬모에 의해 걸려지지만, 작은 입자, 특히 나노 입자는 걸러지지 않고 폐나 신체 장기에 침입하여 축적되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크기가 작은 입자, 즉 미세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 센서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미세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먼지 센서로 작은 입자만이 진입하도록 하고 큰 입자가 진입하는 것을 막아야 하고, 큰 입자의 진입을 막기 위해 먼지 센서의 공기 흡입구에 임팩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고가의 먼지 센서에 사용되는 종래 임팩터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크고 고가여서 소비자용이나 차량용으로 적합하지 않고 분해 세척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 먼지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먼지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먼지 센서에 채용되고 소형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분해 및 세척이 용이한 임팩터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팩터 어셈블리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가 중앙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입구를 통과한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의 외곽에 공기가 입구를 진행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원판 형상의 가운데 부분이 함몰하여 중앙 하방 함몰부가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 중앙 하방 함몰부보다 바깥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슬롯이 형성된, 제1 임팩터; 및 중앙에 출구가 배치되고, 출구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면서 위 방향으로 돌출한 중앙 상방 돌출부가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 중앙 상방 돌출부보다 더 바깥에서 위쪽으로 절곡된 후 다시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이중 절곡부가 형성되고, 이중 절곡부의 끝에서 위쪽으로 꺾여 돌출한 외곽 상방 돌출부가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 중앙 상방 돌출부보다 더 바깥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안내부가 형성된, 제2 임팩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임팩터 어셈블리는, 외곽 하방 돌출부의 아랫면과 제1 임팩터의 윗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고무 링; 및 제1 임팩터의 아랫면과 이중 절곡부의 윗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고무 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중 절곡부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부분이 제1 임팩터와 상부 케이스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곽 하방 돌출부와 이중 절곡부가 방사 방향으로 복수 개의 슬롯보다 더 바깥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곽 상방 돌출부가 외곽 하방 돌출부와 제1 임팩터가 접하는 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높이 이상으로 위쪽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곽 상방 돌출부는, 방사 방향으로 외곽 하방 돌출부와 제1 임팩터의 외경 끝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이중 절곡부의 바깥으로 연장된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 하방 함몰부의 윗면이 원판 모양의 1 임팩터의 윗면에 둘러싸여 제1 함정이 형성되어,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입자들 중에서 가장 큰 입자들이 담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 상부 돌출부와 이중 절곡부 사이에 제2 함정이 형성되어, 슬롯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입자들 중에서 가장 큰 입자들이 담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함정이 제2 함정보다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 센서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들만 통과시키기 위한 임팩터 어셈블리; 임팩터 어셈블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에 빛을 방사하는 발광부; 및 발광부가 방사하여 경로를 통과하는 먼지에서 산란되는 산란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임팩터 어셈블리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가 중앙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입구를 통과한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의 외곽에 공기가 입구를 진행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원판 형상의 가운데 부분이 함몰하여 중앙 하방 함몰부가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 중앙 하방 함몰부보다 바깥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슬롯이 형성된, 제1 임팩터; 및 중앙에 출구가 배치되고, 출구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면서 위 방향으로 돌출한 중앙 상방 돌출부가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 중앙 상방 돌출부보다 더 바깥에서 위쪽으로 절곡된 후 다시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이중 절곡부가 형성되고, 이중 절곡부의 끝에서 위쪽으로 꺾여 돌출한 외곽 상방 돌출부가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 중앙 상방 돌출부보다 더 바깥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안내부가 형성된, 제2 임팩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임팩터를 채용하여 크기가 큰 입자를 잘 거르게 되어 입자 크기가 작은 미세 먼지의 농도를 더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임팩터가 먼지 센서의 유입구에 장착되어 외부 광이 먼지 센서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외부 광에 의한 외란을 막고 먼지 농도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임팩터에 의해 먼지 센서 내부에 입자가 큰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하여 먼지 센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임팩터를 쉽게 분해하고 세척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먼지 센서의 수명을 연장하고 유지 보수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광전식 먼지 센서가 먼지를 센싱 하는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 산업용 먼지 센서에 사용되는 다단 임팩터 어셈블리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팩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의 단면과 결합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터 어셈블리에 들어오는 먼지 입자들의 진행 경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앰팩터가 채용된 먼지 센서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먼지 센서의 광원에서 방사하는 광 펄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먼지 센서의 수광 소자가 출력하는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광전식 먼지 센서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미세 입자에서 산란되어 발생하는 산란광을 수광 소자가 수광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여 먼지에 대한 밀집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또한, 먼지 센서에 채용되는 임팩터는 큰 입자가 먼지 센서로 진입하는 것을 막고 먼지 센서 내부로 유입되는 입자의 크기를 제한하여, 미세 먼지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종래 산업용 먼지 센서에 사용되는 다단 임팩터 어셈블리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3단 임팩터가 채용되어 있다.
임팩터 어셈블리에서 각 단(Stage)에는, 공기가 진입할 노즐, 노즐을 통해 들어오는 공기가 부딪힐 수집 기판(Collection Substrate), 및 수집 기판을 부딪힌 공기가 다음 단으로 진행하기 위해 수집 기판을 우회할 공간(챔버)이 마련된다.
노즐을 통해 진입되는 먼지 입자들은 수집 기판에 부딪혀 공기 압력에 의해 수집 기판 좌우로 분기하는데, 작은 입자들은 수집 기판에 부딪힌 이후 공기 압력에 의해 수집 기판과 노즐 끝단 사이를 통과하지만, 큰 입자는 수집 기판에 부딪힌 이후 공기 압력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지만 멀리 이동하지 못하고 수집 기판 표면에 머물고 수집 기판과 노즐 끝단 사이를 통과하지 못한다.
첫 번째 단에서는 큰 입자, 예를 들어 10um 이상의 입자가 수집 기판에 부딪혀 걸러지고, 두 번째 단에서는 중간 입자, 예를 들어 2.5um 이상의 입자가 수집 기판에 부딪혀 걸러지고, 세 번째 단에서는 작은 입자, 예를 들어 1.0um 이상의 입자가 수집 기판에 부딪혀 걸러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이 진행할수록 공기가 진입하는 노즐의 폭 및 노즐의 끝단과 수집 기판 사이 간격이 줄어들도록 한다.
노즐의 폭 및 노즐의 끝단과 수집 기판 사이 간격을 크게 하면, 공기의 압력이 줄어, 수집 기판에 부딪힌 먼지 입자들 중에서 큰 입자는 노즐의 끝단과 수집 기판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지만 작은 입자는 노즐의 끝단과 수집 기판 사이를 통과하여 다음 단으로 진행한다.
하지만, 도 2의 임팩터 어셈블리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싸서, 소비자 가전이나 차량용에 적합하지 않고, 각 단에서 수집 기판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해야 하기 때문에 분해 세척 후 다시 조립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팩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임팩터 어셈블리는 2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임팩터 어셈블리(40)는, 먼지 농도를 측정하려는 공기가 흡입되는 상부 케이스(41), 상부 케이스(41)의 입구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입자가 부딪혀 큰 입자 일부를 남기고 작은 입자를 통과시키는 제1 임팩터(43), 제1 임팩터(43)를 통과한 먼지 입자 중에서 일부를 남기고 작은 입자를 통과시켜 센싱부 쪽으로 출력하는 제2 임팩터(45), 상부 케이스(41)와 제1 임팩터(43)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고무 링(42) 및 제1 임팩터(43)와 제2 임팩터(45)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고무 링(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41), 제1 임팩터(43) 및 제2 임팩터(45)는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의 단면과 결합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의 왼쪽 도면은 상부 케이스(41)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Inlet)(411)가 중앙에 형성되어 위에서부터 아래로 관통하고, 입구(411)를 통과한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의 외곽에 아래 방향, 즉 공기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외곽 하방 돌출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원주 형태로 형성되는 외곽 하방 돌출부(412)에 의해, 상부 케이스(41)의 아래 면에, 즉 입구(411)를 통과한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에 공기에 포함된 입자가 퍼져나갈 하방 공간(413)이 형성된다.
도 4a에서는 상부 케이스(41)의 위쪽 외곽은 2단의 계단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는 임팩터 어셈블리(40)를 분해할 때 상부 케이스(41)를 잡기 편하게 하고 무게와 부피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임팩터의 기능에는 크게 기여하는 것이 없어서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도 4b의 왼쪽 도면은 제1 임팩터(43)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원판 중앙이 아래로 함몰하고 그 주위에 4개의 슬롯이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1 임팩터(43)는, 상부 케이스(41)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입자 중에서 큰 입자를 머무르게 하기 위해, 원판(제1 임팩터의 몸체)의 중앙에서 아래 방향, 즉 공기가 상부 케이스(41)의 입구(411)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꺼진(또는 함몰한) 중앙 하방 함몰부(431) 및 중앙 하방 함몰부(431)의 위쪽 면에 부딪힌 공기 입자 중에서 크기가 작은 입자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 하방 함몰부(431)에서 방사 방향(래디얼 방향)으로 외부에 원주 방향(탄젠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슬롯(4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앙 하방 함몰부(431)의 윗면은 제1 임팩터(43)의 몸체인 원판의 윗면에 의해 둘러싸여 제1 함정(Trap)(433)이 형성되는데, 제1 함정(433)은 상부 케이스(41)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입자가 중앙 하방 함몰부(431)의 윗면에 부딪혀 그 입자들 중에서 크기가 큰 입자를 담을 수 있다.
상부 케이스(41)를 통과한 공기가 중앙 하방 함몰부(431)의 윗면에 부딪힌 입자들 중에서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는 중앙 하방 함몰부(431)보다 외곽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슬롯(413)을 통해 아래로 유출된다.
중앙 하방 함몰부(431)의 함몰 정도, 즉 중앙 하방 함몰부(431)의 윗면과 제1 임팩터(43)의 몸체인 원판의 윗면의 높이 차가 크면 제1 함정(433)에 담기는 입자가 많아져서 큰 입자부터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까지 머무르게 되고, 그 높이 차가 작으면 클수록 제1 함정(433)에 담기는 입자가 적어져 큰 입자들만 머무르게 된다.
상부 케이스(41)의 외곽 하방 돌출부(412)는 제1 임팩터(43)의 슬롯(432)보다 방사 방향으로 더 외곽에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41)의 아래 부분에 형성되는 하방 공간(413)이 제1 임팩터(43)의 중앙 하방 함몰부(431)와 슬롯(432)을 덮는다.
도 4c의 왼쪽 도면은 제2 임팩터(45)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2 임팩터(45)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중앙에 배치되는 출구(Outlet)(451), 제1 임팩터(43)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입자 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입자를 머무르게 하기 위해, 원판(제2 임팩터의 몸체)의 윗면의 중앙에서 출구(451)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면서 위 방향으로 돌출한 중앙 상방 돌출부(452), 제1 임팩터(43)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2 임팩터의 몸체인 원판에서 위쪽을 향해 꺾인 후 다시 바깥쪽을 향해 꺾인 이중 절곡부(453), 상부 케이스(41)의 외곽 하방 돌출부(412)와 제1 임팩터(43)의 외곽이 노출되지 않고 밀폐되도록 이중 절곡부(453) 끝에서 위쪽을 향해 꺾여 돌출한 외곽 상방 돌출부(454), 및 출구(451)에서 나온 공기가 아래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안내하도록 제2 임팩터의 몸체인 원판의 아랫면에서 돌출하는 안내부(4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앙 상방 돌출부(452)와 이중 절곡부(453) 사이 제2 임팩터의 몸체의 윗면은 제1 임팩터(43)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입자 중에서 상대적으로 큰 입자가 담기는 공간인 제2 함정(456)이 형성되고, 제1 임팩터(43)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입자 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는 중앙 상방 돌출부(452)를 타고 넘어 출구(451)를 통해 유출된다.
제2 임팩터(45)의 출구(451)가 상부 케이스(41)의 입구(411)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다.
도 4d는 임팩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들을 결합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부 케이스(41)의 외곽 하방 돌출부(412)는 제1 임팩터(43)의 슬롯(432)보다 더 외곽에 위치하고, 제2 임팩터(45)의 이중 절곡부(453)도 제1 임팩터(43)의 슬롯(432)보다 더 외곽에 위치한다.
제2 임팩터(45)의 이중 절곡부(453)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부분은 제1 임팩터(43)와 상부 케이스(41)를 지지한다.
상부 케이스(41)의 외곽 하방 돌출부(412)의 아랫면과 제1 임팩터(43)의 윗면 사이에는 제1 고무 링(42)이 배치되고, 제1 임팩터(43)의 아랫면과 제2 임팩터(45)의 이중 절곡부(453)의 윗면 사이에는 제2 고무 링(44)이 배치되어, 상부 케이스(41)의 입구(411)를 통해 진입하는 공기가 바깥으로 세지 않도록 한다.
제2 임팩터(45)의 외곽 상방 돌출부(454)는, 상부 케이스(41)와 제1 임팩터(43)가 접하는 면 및 제1 임팩터(43)와 제2 임팩터(44)(제2 임팩터의 이중 절곡부의 윗면)가 접하는 면을 외부로부터 밀폐할 수 있을 높이 또는 그 이상으로 위쪽으로 돌출하고, 이중 절곡부(453)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위치, 즉 방사 방향의 위치는 상부 케이스(41)와 제1 임팩터(43)의 외경 끝부분에 해당한다.
제1 함정(433)은 제2 함정(456)보다 그 깊이가 깊게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41)의 입구(411)를 통해 들어오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큰 입자가 담기도록 한다.
이중 절곡부(453)가 위쪽으로 절곡되는 위치는, 제1 임팩터(43)의 슬롯(432)이 배치되는 곳보다 방사 방향으로 더 바깥쪽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팩터 어셈블리에 들어오는 먼지 입자들의 진행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상부 케이스(41)의 입구(Inlet)(411)를 통해 진입하는 공기는 제1 임팩터(43)의 중앙 하방 함몰부(431)의 상면에 부딪혀 튕겨나간다. 공기 중에는 크기가 다른 여러 입자가 포함되는데, 예를 들어 크기가 가장 큰 제1 입자, 중간 크기의 제2 입자 그리고 가장 작은 제3 입자가 포함된다고 가정한다.
제1 임팩터(43)의 중앙 하방 함몰부(431)의 상면에 부딪힌 입자들 중에서 크기가 가장 큰 제1 입자들(First particles)은 튕겨지지만 제1 함정(433)의 깊이를 넘지 못하고 제1 함정(433)에 담기게 되고, 제1 입자보다 작은 제2 및 제3 입자들은 튕겨져 제1 함정(433)의 깊이를 극복하여 제1 임팩터(43)의 슬롯(432)을 통과하게 된다.
제1 임팩터(43)의 슬롯(432)에서 유출된 입자들은 제2 임팩터(45)의 상면에 부딪혀 튕기고, 그 중에서 상대적으로 큰 제2 입자들(Second particles)은 제2 함정(456)의 깊이를 넘지 못하고 제2 함정(456)에 담기게 되고, 제2 입자보다 작은 제3 입자들(Third particles)은 제2 함정(456)의 깊이를 극복하여 제2 임팩터(45)의 출구(451)를 통과하게 된다.
제2 임팩터(45)의 출구(451)를 통과한 입자들은 안내부(455)에 의해 그 진행 경로가 안내되어 바깥으로 휘지 않고 센싱부가 있는 아래 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임팩터 어셈블리는, 먼지 센서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장착되어 공기에 포함된 입자들 중에서 작은 크기의 입자만이 센서부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외부 광이 센서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광전식 먼지 센서의 경우, 센싱부에 포함된 발광 소자의 빛만 들어가야 센싱부에 포함된 수광 소자의 검출력이 높아지는데, 자연광이나 형광등과 같은 외부 광이 수광 소자에 들어갈 경우 외란이 생겨서 센서의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임팩터 어셈블리는 외부 광이 먼지 센서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센서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임팩터가 채용된 먼지 센서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먼지 센서의 광원에서 방사하는 광 펄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먼지 센서의 수광 소자가 출력하는 신호를 도시한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는, 센서 내부 공기 통과 경로에 빛을 방사하기 위한 발광부(10), 공기 통과 경로를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에 의해 산란된 빛을 집광하기 위한 수광부(20), 공기 통과 경로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생성하기 위한 팬(30) 및 센서 내부로 진입할 공기에 포함된 입자들의 크기를 한정하기 위한 임팩터 어셈블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먼지 센서는 발광부(10)가 조사하여 먼지에서 산란되는 일부 빛을 가두기 위한 미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센서는 먼지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지 센서는, 커넥터를 통해, 제어부로부터 발광부(10), 수광부(20), 팬(30)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광부(20)의 출력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발광부(10)는 소정 대역의 빛을 방사하기 위한 광원(11)과 광원(11)에서 방사되는 빛을 평행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광원 렌즈(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광원(11)은 레이저 다이오드(LD)나 LED가 될 수 있고, 광원 렌즈(12)는 발산광을 평행광으로 변환하는 콜리메이트 렌즈가 될 수 있다.
수광부(20)는, 입사되는 빛의 양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수광 소자(21) 및 입사되는 빛을 수광 소자(11)에 집광하기 위한 수광 렌즈(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10)는 공기 통과 경로에 빛을 방사하는데, 발광부(10)에서 방사되는 빛이 수광부(20)에 직접 빛이 수신되지 않고 공기에 섞인 먼지가 발광부(10)에 쌓이지 않도록 발광부(10)가 공기의 진행 방향과 엇갈린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즉, 발광부(10)가 공기가 진행하여 유출되는 방향을 향해 비스듬히, 다시 표현하면 공기가 진행하는 방향과 발광부(10)가 방사하는 빛이 진행하는 방향이 예각을 이루도록 장착될 수 있다.
발광부(10)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주기적인 펄스 형태로 빛을 방사하고, 수광부(20)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광 소자(21)에 입사되는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광전식 먼지 센서에서는, 공기 통과 경로에 먼지가 없더라도 발광부(10)로부터 방사되는 빛이 본체 내에서 난반사되어 소량의 빛이 수광부(20)에 수광되기 때문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가 없더라도 수광 소자(21)의 출력 신호의 레벨이 일정한 값(S1)을 갖게 된다. 수광 소자(21)는 공기 통과 경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의 농도에 대응하여 도 8의 곡선 형태로 변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팬(3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공기 통과 경로에 일정한 속도 또는 압력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데, 공기 통과 경로의 끝, 즉 공기 배출구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에서 압력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팬이 생략될 수도 있다.
임팩터 어셈블리(40)는, 먼지 센서 내부 공기 통과 경로에 진입할 공기에 포함된 입자들을 걸러서 큰 입자를 통과시키지 않고 작은 입자만을 통과시켜, 발광부(10)와 수광부(20)를 포함하는 센싱부가 모든 크기의 먼지에 노출되지 않게 하여, 먼지 센서가 미세 먼지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게 하고, 센싱부가 큰 입자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줄이게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발광부 11: 광원
12: 광원 렌즈 20: 수광부
21: 수광 소자 22: 수광 렌즈
30: 팬 40: 임팩터 어셈블리
41: 상부 케이스 42: 제1 고무 링
43: 제1 임팩터 44: 제2 고무 링
45: 제2 임팩터 411: 입구
412: 외곽 하방 돌출부 413: 하방 공간
431: 중앙 하방 함몰부 432: 슬롯
433: 제1 함정 451: 출구
452: 중앙 상방 돌출부 453: 이중 절곡부
454: 외곽 상방 돌출부 455: 안내부
456: 제2 함정

Claims (10)

  1.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가 중앙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상기 입구를 통과한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의 외곽에 상기 공기가 상기 입구를 진행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원판 형상의 가운데 부분이 함몰하여 중앙 하방 함몰부가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 상기 중앙 하방 함몰부보다 바깥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슬롯이 형성된, 제1 임팩터; 및
    중앙에 출구가 배치되고, 상기 출구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면서 위 방향으로 돌출한 중앙 상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사 방향으로 상기 중앙 상방 돌출부보다 더 바깥에서 위쪽으로 절곡된 후 다시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이중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중 절곡부의 끝에서 위쪽으로 꺾여 돌출한 외곽 상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사 방향으로 상기 중앙 상방 돌출부보다 더 바깥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안내부가 형성된, 제2 임팩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임팩터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하방 돌출부의 아랫면과 상기 제1 임팩터의 윗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고무 링; 및
    상기 제1 임팩터의 아랫면과 상기 이중 절곡부의 윗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고무 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터 어셈블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절곡부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부분이 상기 제1 임팩터와 상기 상부 케이스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터 어셈블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하방 돌출부와 상기 이중 절곡부는 상기 방사 방향으로 상기 복수 개의 슬롯보다 더 바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터 어셈블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상방 돌출부는 상기 외곽 하방 돌출부와 상기 제1 임팩터가 접하는 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높이 이상으로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터 어셈블리.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상방 돌출부는, 상기 방사 방향으로 상기 외곽 하방 돌출부와 상기 제1 임팩터의 외경 끝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이중 절곡부의 바깥으로 연장된 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터 어셈블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하방 함몰부의 윗면이 상기 원판 모양의 1 임팩터의 윗면에 둘러싸여 제1 함정이 형성되어,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입자들 중에서 가장 큰 입자들이 담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터 어셈블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상부 돌출부와 상기 이중 절곡부 사이에 제2 함정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입자들 중에서 가장 큰 입자들이 담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터 어셈블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정이 상기 제2 함정보다 더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팩터 어셈블리.
  10. 공기에 포함된 입자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들만 통과시키기 위한 임팩터 어셈블리;
    상기 임팩터 어셈블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에 빛을 방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가 방사하여 상기 경로를 통과하는 먼지에서 산란되는 산란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임팩터 어셈블리는,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가 중앙을 관통하여 마련되고, 상기 입구를 통과한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의 외곽에 상기 공기가 상기 입구를 진행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원판 형상의 가운데 부분이 함몰하여 중앙 하방 함몰부가 형성되고, 방사 방향으로 상기 중앙 하방 함몰부보다 바깥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슬롯이 형성된, 제1 임팩터; 및
    중앙에 출구가 배치되고, 상기 출구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면서 위 방향으로 돌출한 중앙 상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사 방향으로 상기 중앙 상방 돌출부보다 더 바깥에서 위쪽으로 절곡된 후 다시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이중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중 절곡부의 끝에서 위쪽으로 꺾여 돌출한 외곽 상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사 방향으로 상기 중앙 상방 돌출부보다 더 바깥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안내부가 형성된, 제2 임팩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센서.
KR1020170116495A 2017-09-12 2017-09-12 임팩터를 채용하는 먼지 센서 KR20190029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495A KR20190029209A (ko) 2017-09-12 2017-09-12 임팩터를 채용하는 먼지 센서
US16/059,676 US10529209B2 (en) 2017-09-12 2018-08-09 Dust sensor adopting impactor
CN201811036217.2A CN109490160A (zh) 2017-09-12 2018-09-06 采用冲击器的灰尘传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495A KR20190029209A (ko) 2017-09-12 2017-09-12 임팩터를 채용하는 먼지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209A true KR20190029209A (ko) 2019-03-20

Family

ID=6563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495A KR20190029209A (ko) 2017-09-12 2017-09-12 임팩터를 채용하는 먼지 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29209B2 (ko)
KR (1) KR20190029209A (ko)
CN (1) CN1094901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759B1 (ko) * 2019-10-17 2020-11-09 이재호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구비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
KR102221369B1 (ko) * 2019-08-21 2021-02-26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차량 내부온도감지 기능이 포함된 미세먼지 감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2755B (zh) * 2020-08-07 2021-08-10 山东中煤工矿物资集团有限公司 一种矿用粉尘浓度传感器、传感器系统及方法
CN112991666B (zh) * 2021-02-08 2023-04-28 三明学院 一种火灾烟雾探测器及其烟室和抗干扰烟雾探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5368B2 (en) * 2000-12-08 2003-07-22 Msp Corporation Pre-separator for inlets of cascade impactors
CN1695771A (zh) * 2005-03-25 2005-11-16 清华大学 一种气溶胶细粒子采样器
TWM303375U (en) * 2006-05-19 2006-12-21 Inst Of Occupational Safety & Health Council Of Labor Affairs Dust sampler
US8671738B2 (en) * 2007-10-02 2014-03-18 Clyde L. Witham Cascade impactor
KR101246661B1 (ko) * 2012-06-28 2013-03-25 국방과학연구소 대기 중의 부유입자의 실시간 형광검출장치
CN103674793A (zh) * 2012-09-21 2014-03-26 Msp公司 环境空气中的颗粒的采样和测量设备和方法
KR101557848B1 (ko) * 2015-06-23 2015-10-06 (주)삼원씨앤지 공조설비용 미세먼지농도 측정장치
CN106979909B (zh) * 2017-02-23 2019-05-31 浙江大学 基于光通量比值的颗粒物分类和浓度检测传感器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369B1 (ko) * 2019-08-21 2021-02-26 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차량 내부온도감지 기능이 포함된 미세먼지 감지장치
KR102176759B1 (ko) * 2019-10-17 2020-11-09 이재호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구비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90160A (zh) 2019-03-19
US10529209B2 (en) 2020-01-07
US20190080578A1 (en)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9209B2 (en) Dust sensor adopting impactor
JP6455470B2 (ja) 粒子センサ、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102421014B1 (ko) 미립자 센서 장치
EP1975896B1 (en) Smoke detector and sampling air supplying method for smoke detector
US20200011779A1 (en) Highly integrated optical particle counter (opc)
US9116121B2 (en) Second generation low-cost particle counter
US7808393B2 (en) Smoke detector and sampling air supplying method for smoke detector
EP2141484A1 (en) Smoke detector
JP5967525B2 (ja) 粉塵検出装置
KR102321560B1 (ko) 입자 검출 센서
CN106814015A (zh) 一种大流量颗粒物浓度检测传感系统
JP2016128795A (ja) 粒子測定装置、空気清浄機、及び、粒子測定方法
JP2006189337A (ja) 微粒子測定装置
JP6233711B2 (ja) 粒子測定装置
KR102490311B1 (ko) 먼지 센서
JPH1123460A (ja) 煙感知装置
KR20210128570A (ko) 먼지센서
KR20180060307A (ko) 먼지 센서
CN112585447B (en) Particulate matter sensor
JP4466308B2 (ja) 微粒子測定装置
JP3780701B2 (ja) 煙感知装置
GB2541773A (en) Particle detection apparatus for measuring size and concentration of particles by photon counting
KR102514584B1 (ko) 먼지 센서
JP2006105905A (ja) 微粒子測定装置
CN112585447A (zh) 颗粒物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