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759B1 -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구비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구비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759B1
KR102176759B1 KR1020190129392A KR20190129392A KR102176759B1 KR 102176759 B1 KR102176759 B1 KR 102176759B1 KR 1020190129392 A KR1020190129392 A KR 1020190129392A KR 20190129392 A KR20190129392 A KR 20190129392A KR 102176759 B1 KR102176759 B1 KR 102176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air
supply module
disk panel
air supply
modul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이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호 filed Critical 이재호
Priority to KR102019012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구비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통기홀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패널부, 및 디스크 패널부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구가 구비되며,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복수의 통기홀을 통해 삽입구와 디스크 패널부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공급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디스크 패널부에는 복수의 통기홀을 통해 이격 공간으로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기의 이동 경로가 3차례에 걸쳐 전환됨에 따라 외기와 함께 빗물 등의 이물질이 공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 패널부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홀을 통해 이격 공간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디스크 패널부의 중앙에 형성된 단일의 배출구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외기와 함께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디스크 패널부를 통해 걸러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구비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External Air Supply Module Structure and Zero Calibrator for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Instrument with External Air Supply Module Structure}
본 발명은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구비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기의 이동 경로가 3차례에 걸쳐 전환됨에 따라 외기와 함께 빗물 등의 이물질이 공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디스크 패널부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홀을 통해 이격 공간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디스크 패널부의 중앙에 형성된 단일의 배출구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외기와 함께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디스크 패널부를 통해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구비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PM10, PM2.5, PM1 등의 현장 설치형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의 측정 정밀도를 관리하기 위해서 영점 교정 장치는 매시간 또는 설정시간마다 자동 영점 교정(Automatic Zero Calibration) 또는 수동 영점 교정을 수행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는 외기 공급관(10), 필터 구조체(30), 및 커넥터(40)를 포함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커넥터(40)의 상단에는 필터 구조체(30)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필터 구조체(30)의 상단에는 외기 공급관(10)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커넥터(40)의 하단에는 공기 흡입 펌프가 연결 설치되며, 커넥터(40)와 공기 흡입 펌프의 사이에는 미세 먼지 측정 모듈이 설치된다.
공기 흡입 펌프의 동작에 따라 외기 공급관(10)의 흡입 단부로부터 흡입되는 외기는 헤파 필터가 구비된 필터 구조체(30)의 내부에서 필터링 처리되며, 사용자가 커넥터(40)와 필터 구조체(30) 사이에 구비된 밸브(45)를 개방함에 따라, 필터링 처리된 외기는 커텍터를 통해 미세 먼지 측정 모듈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에 의하면 우천시 외기 공급관(10)의 흡입 단부에 맺혀지는 빗방울이 외기와 함께 흡입되어 필터 구조체(30)의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미세 먼지 측정 장치의 동작 불능 및 고장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기의 이동 경로가 3차례에 걸쳐 전환됨에 따라 외기와 함께 빗물 등의 이물질이 공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디스크 패널부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홀을 통해 이격 공간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디스크 패널부의 중앙에 형성된 단일의 배출구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외기와 함께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디스크 패널부를 통해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구비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는, 복수의 통기홀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패널부; 및 상기 디스크 패널부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구가 구비되며,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복수의 통기홀을 통해 상기 삽입구와 상기 디스크 패널부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공급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 패널부에는 상기 복수의 통기홀을 통해 상기 이격 공간으로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는, 복수의 통기홀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패널부, 및 상기 디스크 패널부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구가 구비되며,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복수의 통기홀을 통해 상기 삽입구와 상기 디스크 패널부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공급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 패널부에는 상기 복수의 통기홀을 통해 상기 이격 공간으로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인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상기 배출구에 결합되어 상기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구조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기의 이동 경로가 3차례에 걸쳐 전환됨에 따라 외기와 함께 빗물 등의 이물질이 공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 패널부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홀을 통해 이격 공간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디스크 패널부의 중앙에 형성된 단일의 배출구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외기와 함께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디스크 패널부를 통해 걸러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의 디스크 패널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서의 본체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디스크 패널부와 본체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는 디스크 패널부(100)와 본체부(200)를 포함하는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필터 구조체(300), 및 커넥터(400)를 포함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커넥터(400)의 상단에는 필터 구조체(300)가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커넥터(400)와 필터 구조체(300)의 연결 부위에는 필터 구조체(300)를 통해 필터링 처리된 외기의 이동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 밸브(45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필터 구조체(300)의 상단에는 디스크 패널부(100)와 본체부(200)를 포함하는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결합 설치되며, 커넥터(400)의 하단에는 공기 흡입 펌프가 연결 설치되고, 커넥터(400)와 공기 흡입 펌프의 사이에는 미세 먼지 측정 모듈이 설치된다.
공기 흡입 펌프의 동작에 따라 본체부(200)의 개방된 하부로부터 흡입되는 외기는 디스크 패널부(100)를 통해 필터 구조체(300)의 내부로 공급되며, 필터 구조체(300)의 내부에서 필터링 처리된 외기는 사용자가 커넥터(400)와 필터 구조체(300) 사이에 설치된 개폐 밸브(450)를 개방함에 따라 커넥터(400)를 통해 미세 먼지 측정 모듈로 공급되게 된다.
도 3은 도 2에서의 디스크 패널부(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서의 본체부(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디스크 패널부(100)와 본체부(200)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디스크 패널부(100)는 원판형의 형상을 구비하며, 디스크 패널부(100)의 중앙에는 필터 구조체(300)의 상단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 설치되는 원통형 배출구(13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30)는 디스크 패널부(100)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디스크 패널부(100)의 후면(後面) 공간에 수집된 외기를 디스크 패널부(100)의 전면(前面) 방향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배출구(13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135)이 형성되어 있으며, 필터 구조체(300)의 상부에 구비된 원통형 공기 유입구가 배출구(130)의 내부에서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도 2에서와 같은 디스크 패널부(100)와 필터 구조체(30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에서와 같이 디스크 패널부(100)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통기홀(110)은 배출구(130)를 중심으로 일정 간격에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디스크 패널부(100)의 측면에는 본체부(200)와의 나사 결합 방식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0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본체부(200)는 하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외부 하우징으로서, 디스크 패널부(100)가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 공간인 삽입구(230)가 본체부(200)의 내부면에 함몰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 삽입구(230)와 원판형 디스크 패널부(100)는 직경이 서로 동일하며, 삽입구(230)의 측면에는 디스크 패널부(100)의 측면에 구비된 나사산(105)과 결합되는 나사골이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결과 사용자는 도 5에서와 같이 원통형 삽입구(230)의 내부에 원판형 디스크 패널부(100)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원통형 삽입구(230)의 깊이를 디스크 패널부(100)의 두께보다 약 2~3배 정도 크게 형성하고, 디스크 패널부(100)와 삽입구(230)의 저면인 제1 바닥면(250)이 상호 이격되도록 디스크 패널부(100)를 설치함으로써, 삽입구(230)와 디스크 패널부(10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4에서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부(200)의 하부는 원통의 형상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부(200)의 하부에 원통의 형상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됨에 따라, 본체부(200)의 하부를 통한 외기의 유입시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한편, 본체부(200)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구비함에 따라 통상적으로 건물의 지붕 등의 쉘터에 설치되는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가 설치면에서 구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4에서와 같이, 본체부(200)의 원통형 내측면에는 반원형 단면을 갖는 그루브(groove)를 수직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외기를 원통형 내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로(210)가 본체부(200)의 원통형 내측면에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이송로(210)는 본체부(200)의 하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삽입구(230)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200)의 바닥면인 제2 바닥면(270)까지 연속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 결과, 도 5에서와 같이 공기 흡입 펌프의 동작에 의해 본체부(200)의 하부를 통해 흡입되는 외기가 이송로(210)를 따라 1차 이동(①)한 다음, 제2 바닥면(270)을 따라 디스크 패널부(100)의 통기홀(110)의 입구로 2차 이동(②)하게 되고, 디스크 패널부(100)의 통기홀(110)을 통과함으로써 디스크 패널부(100)와 제1 바닥면(25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외기가 3차 이동(③)한 다음, 이격 공간에 수집된 외기가 배출구(130)를 통해 4차 이동(④)함에 따라 필터 구조체(300)의 내부로 외기가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기의 이동 경로가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의 내부에서 총 3차례에 걸쳐 전환되도록 함에 따라 외기와 함께 빗물이 필터 구조체(3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 패널부(100)의 통기홀(110)을 통과함으로써 디스크 패널부(100)와 제1 바닥면(25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3차 이동(③)한 외기가 배출구(130)를 통해 이격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4차 이동(④)함에 있어서, 정반대로의 경로 전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외기와 함께 유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관성에 의해 이격 공간의 내부에 머무르게 된다.
아울러, 디스크 패널부(100)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홀(110)을 통해 이격 공간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디스크 패널부(100)의 중앙에 형성된 단일의 배출구(130)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 배출됨에 따라 외기와 함께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디스크 패널부(100)를 통해 걸러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원통형 배출구(130)를 도 5에서와 같이 디스크 패널부(100)의 전면(前面)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할 뿐만 아니라, 디스크 패널부(100)의 후면(後面)으로부터도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디스크 패널부(100)와 제1 바닥면(25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수집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디스크 패널부(100)의 후면(後面) 위에 모인 상태에서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 패널부(100)가 본체부(200)의 삽입구(230)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과,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디스크 패널부(100)를 본체부(2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디스크 패널부(100)와 본체부(20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수집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디스크 패널부(100)를 삽입구(230)에 결합 설치함에 있어서, 디스크 패널부(100)의 전면(前面)이 제2 바닥면(270)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함으로써, 본체부(200)의 하부를 통해 흡입된 외기가 이송로(210)를 따라 1차 이동(①)한 다음 제2 바닥면(270)을 따라 디스크 패널부(100)의 통기홀(110)의 입구로 2차 이동(②)함에 있어서의 저항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디스크 패널부(100)를 삽입구(230)에 결합 설치함에 있어서, 나사 결합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디스크 패널부(100)와 본체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이격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외기의 이동 과정에서의 발생하는 저항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디스크 패널부(100)를 삽입구(230)에 결합 설치함에 있어서, 나사 결합의 정도를 조절하여 디스크 패널부(100)를 삽입구(230)에 보다 깊숙히 설치함으로써 디스크 패널부(100)의 전면(前面)이 제2 바닥면(270)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하지 않고, 디스크 패널부(100)의 전면(前面)과 제2 바닥면(270)의 높이 단차가 발생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외기가 디스크 패널부(100)의 전면(前面)과 제2 바닥면(270) 사이의 단차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2회의 추가적인 경로 전환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외기와 함께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필터 구조체(300)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공급관, 100: 디스크 패널부,
110: 통기홀, 105: 나사산,
130: 배출구, 135: 나사산,
200: 본체부, 210: 이송로,
230: 삽입구, 250: 제1 바닥면,
270: 제2 바닥면, 30,300: 필터 구조체,
40,400: 커넥터, 45,450: 밸브,

Claims (3)

  1. 복수의 통기홀(110)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패널부(100); 및
    상기 디스크 패널부(100)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구(230)가 구비되며,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복수의 통기홀(110)을 통해 상기 삽입구(230)와 상기 디스크 패널부(10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공급하는 본체부(200)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 패널부(100)에는 상기 복수의 통기홀(110)을 통해 상기 이격 공간으로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3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200)의 내측면에는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로(2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2. 삭제
  3. 복수의 통기홀(110)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 패널부(100), 및 상기 디스크 패널부(100)가 삽입 설치되는 삽입구(230)가 구비되며,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복수의 통기홀(110)을 통해 상기 삽입구(230)와 상기 디스크 패널부(10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공급하는 본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 패널부(100)에는 상기 복수의 통기홀(110)을 통해 상기 이격 공간으로 공급된 외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30)가 구비되는 것인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상기 배출구(130)에 결합되어 상기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구조체(300)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200)의 내측면에는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로(2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
KR1020190129392A 2019-10-17 2019-10-17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구비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 KR102176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392A KR102176759B1 (ko) 2019-10-17 2019-10-17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구비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392A KR102176759B1 (ko) 2019-10-17 2019-10-17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구비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759B1 true KR102176759B1 (ko) 2020-11-09

Family

ID=73429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392A KR102176759B1 (ko) 2019-10-17 2019-10-17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구비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75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327A (ko) * 2009-06-25 2010-12-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진계측기의 공기 유입 안정화를 위한 정밀측정용 커버
KR101278289B1 (ko) * 2012-01-30 2013-06-24 (주)켄텍 베타레이를 이용한 듀얼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1683433B1 (ko) * 2016-10-28 2016-12-07 주식회사 동일그린시스 초미세 입경 및 미세 입경을 갖는 부유 입자상 물질 측정 장치
KR101832100B1 (ko) * 2017-07-27 2018-04-04 주식회사 동일그린시스 초미세 입경을 갖는 미세먼지 측정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27048A (ko) *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엠앤디 공기포집장치
KR20190029209A (ko) * 2017-09-12 2019-03-20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임팩터를 채용하는 먼지 센서
KR101952079B1 (ko) * 2018-08-27 2019-05-22 케이앤제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임펙터가 설치되는 미세먼지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327A (ko) * 2009-06-25 2010-12-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진계측기의 공기 유입 안정화를 위한 정밀측정용 커버
KR101278289B1 (ko) * 2012-01-30 2013-06-24 (주)켄텍 베타레이를 이용한 듀얼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1683433B1 (ko) * 2016-10-28 2016-12-07 주식회사 동일그린시스 초미세 입경 및 미세 입경을 갖는 부유 입자상 물질 측정 장치
KR20180127048A (ko) *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엠앤디 공기포집장치
KR101832100B1 (ko) * 2017-07-27 2018-04-04 주식회사 동일그린시스 초미세 입경을 갖는 미세먼지 측정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29209A (ko) * 2017-09-12 2019-03-20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임팩터를 채용하는 먼지 센서
KR101952079B1 (ko) * 2018-08-27 2019-05-22 케이앤제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임펙터가 설치되는 미세먼지 측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6341B2 (en) Multi-filter PM 10-PM 2.5 sampler
CN101256122A (zh) 用于测量空气中颗粒物的集尘装置
KR102176759B1 (ko)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 및 외기 공급 모듈 구조체가 구비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기용 영점 교정 장치
CN203658113U (zh) 一种颗粒物再悬浮采样装置
CN205477723U (zh) 一种粉尘浓度超限自动喷雾降尘装置
RU2741477C2 (ru) Воздухопроводящи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CN107478556B (zh) 基于无尘排气设计的在线尘埃粒子计数监测系统
CN205175879U (zh) 一种风管式粉尘传感器
KR102180323B1 (ko) 미세입자의 크기 선별 및 액상 포집용 다단 거르개 장치
JP2019174104A (ja) 空気を濾過し空気中の水の浮遊粒子を凝結させる換気装置
CN103018164A (zh) 一种光离子有机挥发物气体探测器自动清洗和调零系统
CN203132958U (zh) 地面气溶胶集成观测系统
CN202522444U (zh) 一种水质自动分析取样系统
CN111902200A (zh) 用于过滤空气并且用于从空气中分离水气溶胶的通风装置
KR101877911B1 (ko) 멀티 공기청정시스템
CN205941108U (zh) 气体采样预处理装置
CN208672214U (zh) 一种防堵风压取样检测装置
CN109307324A (zh) 一种洁净室用节能新风系统
CN204177641U (zh) 一种小流量的大气颗粒物旋风式采样器
CN109425514A (zh) 流体取样装置
CN207163863U (zh) 基于无尘排气设计的在线尘埃粒子计数监测系统
CN105181543A (zh) 一种风管式粉尘传感器及粉尘浓度检测方法
CN112088040A (zh) 用于过滤空气并从空气中分离水气溶胶的通风装置
CN205898519U (zh) 一种颗粒物再悬浮采样装置
KR100568447B1 (ko) 에어 파티클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