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824A - 램핑 인서트 및 고 이송 밀링 공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램핑 인서트 및 고 이송 밀링 공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824A
KR20190027824A KR1020197001450A KR20197001450A KR20190027824A KR 20190027824 A KR20190027824 A KR 20190027824A KR 1020197001450 A KR1020197001450 A KR 1020197001450A KR 20197001450 A KR20197001450 A KR 20197001450A KR 20190027824 A KR20190027824 A KR 20190027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ramping
insert
rak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032B1 (ko
Inventor
길 헤흐트
오사마 아타르
타랄 케이스
Original Assignee
이스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189,415 external-priority patent/US9901992B2/en
Application filed by 이스카 엘티디. filed Critical 이스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27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6Face-milling cutters, i.e. having only or primarily a substantially flat cut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23C5/2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3Curved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0Top or side views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05Discontinuous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36Other features of the milling insert not covered by B23C2200/04 - B23C2200/32
    • B23C2200/367Mounted tangentially, i.e. where the rake face is not the face with largest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Gear Process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고 이송 밀링 공구 조립체는 공구 및 램핑 인서트를 포함한다. 램핑 인서트는 램핑, 이송 및 측부 서브 변부를 포함한다.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는 측부 서브 변부보다 길다. 또한,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는 이들이 모두 연결된 측부 서브 변부에 근접함에 따라 수렴한다.

Description

램핑 인서트 및 고 이송 밀링 공구 조립체
본 출원의 주제는 램핑(ramping) 및 고 이송 금속 가공 작업을 위한 공구 및 인서트를 포함하는 고 이송 밀링 공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공구상에서 정확하게 4개의 작동 위치들(레이크(rake) 표면당 2개의 인덱싱 가능한 위치)로 인덱싱되도록 구성된 램핑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고 이송 밀링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0.5mm 내지 2mm의 칩 부하 범위 내에서 숄더링(shouldering)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구조를 가진다. 적절한 칩 부하 및 주로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의 조합은 상기 조립체가 상대적으로 높은 공구 이송 속도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문헌 제 US2005/0111925A1호는 고 이송 밀링 공구를 공개한다. 도 9에 도시된 접근 각(K') 및 증가된 (즉, 고 이송) 공구 이송 속도 (도 11의 문단[0051])에 의해 적절한 절삭 깊이가 보상되는 방법에 관한 설명이 주목된다. 램핑(ramping) 작동은 문단 [0056]에서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또한, 인서트는 4개의 상이한 위치에 인덱싱 가능한 것으로 설명된다(문단 [0058]). 또한, 원하는 간극을 제공하기 위해, 공개된 인서트는 상측 측부(15)로부터 바닥 측부(16)까지 연장되는 비평행 주변 표면을 갖는 것을 주목한다. 공개된 또 다른 특징은 간극을 위한 챔퍼 표면(35)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5, 문단[0047]).
문헌 제 W0 2014/156225호는 다른 밀링 공구 및 관심 있는 절삭 인서트를 공개한다. 그러나, 적어도 도 16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되는 것처럼, 도시된 절삭 인서트 및 인서트 포켓은 하기 설명된 것과 크게 다르다.
문헌 제 US 2013/0129432호는 정면 밀링 및 램핑을 위해 커터 몸체내에 장착되는 절삭 인서트를 공개한다. 상기 문헌의 저자에 의하면, 커터 몸체내에서 절삭 인서트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인서트의 릴리프와 고이송 정면 밀링 및 램핑을 교대로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표준 네거티브 정사각형 절삭 인서트의 고유한 축 방향 및 반경 방향 위치가 구해질 수 없지만, 이것은 자연적인 릴리프를 가진 포지티브 인서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는다(문단[0006]). 또한, 공개된 인서트는 다수의 상이한 위치에 인덱싱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더 많은 수의 위치로 인덱싱할 수 있는 절삭 인서트는 더 적은 수의 위치로 인덱싱되도록 구성된 절삭 인서트보다 비용 효율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개의 인덱싱 가능한 위치들을 위해서만 구성되고 필요한 간극을 제공하기 위해 틀림없이 복잡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만 비교적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고 여전히 램핑 (ramping) 및 고 이송 (high-feed)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본원 발명의 주제에 따른 램핑 인서트는 더 많은 수의 인덱싱 가능한 위치를 갖는 절삭 인서트 또는 보다 간단한 설계를 갖는 공구와 경쟁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주제에 관한 제1 양상에 따르면, 마주보는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들;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을 연결하는 인서트 주변 표면; 인서트 주변 표면의 마주보는 측부를 향해 개방되는 인서트 나사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나사 구멍은 인서트 나사 구멍 축을 가지며; 상기 인서트 주변 표면과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교차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및 제2 절삭 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절삭 변부들 각각은, 제1 램핑 서브 변부; 제1 측부 서브 변부; 상기 제1 램핑 서브 변부 및 상기 제1 측부 서브 변부에 연결된 제1 이송 서브 변부; 상기 제1 측부 서브 변부에 연결된 제2 램핑 서브 변부; 상기 제1 램핑 서브 변부에 연결된 제2 측부 서브 변부; 상기 제2 램핑 서브 변부 및 상기 제2 측부 서브 변부에 연결된 제2 이송 서브 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 각각은 각각의 상기 측부 서브 변부보다 길며; 각각의 레이크 표면의 최대 레이크 표면 길이는 레이크 표면의 제1 및 제2 측부 서브 변부들 사이에서 측정 가능하며; 상기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들 각각은 상기 서브 변부들이 모두 연결된 상기 측부 서브 변부에 근접함에 따라 수렴한다.
본 출원의 주제에 관한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를 포함하는 램핑 인서트가 제공되며, 상기 서브 변부들은 이들이 모두 연결된 측부 서브 변부에 근접함에 따라 수렴한다.
본 출원의 주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램핑 인서트는 램핑 인서트의 2개의 마주보는 레이크 표면 각각에서 2개의 램핑 서브 변부, 2개의 이송 서브 변부 및 2개의 측부 서브 변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는 각각의 측부 서브 변부 보다 길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마주보는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 인서트 주변 표면; 상기 인서트 주변 표면과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교차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및 제2 절삭 변부들; 상기 인서트 주변 표면의 마주보는 측부들을 향해 개방되는 인서트 나사 구멍을 포함하는 램핑 인서트가 제공되고, 상기 인서트 주변 표면은 제1 램핑 서브 표면; 제1 측부의 서브 표면; 상기 제1 램핑 서브 표면과 상기 제1 측부 서브 표면에 연결된 제1 이송 서브 표면; 상기 제1 측부 서브 표면에 연결된 제2 램핑 서브 표면; 상기 제1 램핑 서브 표면에 연결된 제2 측부 서브 표면; 및 상기 제2 램핑 서브 표면 및 상기 제2 측부 서브 표면에 연결된 제2 이송 서브 표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주제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램핑 서브 변부 및 이송 서브 변부를 포함하는 램핑 인서트가 제공되며; 상기 램핑 서브 변부는 상기 이송 서브 변부에 인접한 그 단부에 예리한 램핑 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서브 변부는 상기 이송 서브 변부에 인접한 그 단부에 예리한 이송 코너 부분을 포함한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양태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르면, 램핑 인서트의 램핑 및 공급 서브 변부는 2개의 인접한 예리한 코너 부분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회전 방향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을 한정하며, 인서트 포켓을 포함하는 고 이송 밀링 공구가 제공되며, 상기 삽입 포켓은 차례로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을 포함하는 포켓 상부 표면을 포함하며; 공구 주변 표면에 인접하고 그 근방이 증가함에 따라 전방으로 더 연장되는 제1 포켓 상부 서브 표면;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은 포켓 측부 표면에 인접하며, 그에 근접하여 증가하여 순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부에 따르면, 회전 방향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고 이송 밀링 공구가 제공되며, 공구는 공구 단면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구 주변부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표면; 상기 공구 끝면과 상기 공구 주변 표면의 교차점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홈; 및 상기 공구 말단 표면과 상기 공구 주변 표면의 교차점에 형성되어 상기 플루트로 개방되는 삽입 포켓을 포함하고, 상기 공구 주변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 방향에 마주보는 포켓 배면; 상기 포켓 배면으로부터 상기 홈으로 연장되고 외측을 향하는 포켓 측 표면; 공구 주변 표면으로부터 포켓 측 표면으로 내향 연장되고 또한 포켓 후면으로부터 홈으로 연장되는 포켓 상부 표면; 포켓 상부 표면으로 개방되는 포켓 나사 구멍; 상기 포켓 배면은 후방 맞 닿음 부 표면을 포함하고; 포켓 상부 표면은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을 포함하며; 제1 포켓 상부의 서브 표면은 공구 주변 표면에 인접하고, 그에 근접하게 증가하여 순방향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은 상기 포켓 측부 표면에 인접하며, 상기 포켓 측 표면과의 근접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순방향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은 상기 플루트에 근접하여 증가함에 따라 상기 순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조합하여, 제1 양태에 따른 램핑 인서트; 이전 양상에 따라 일 수 있는 공구; 상기 램핑 인서트를 상기 인서트 및 포켓 나사 구멍을 통해 상기 공구의 인서트 포켓에 고정시키는 나사; 상기 공구 및 램핑 인서트는 : 포켓 측 표면 및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 각각의 삽입 주변 표면;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 중 하나는 포켓 후면을 구비한다.
다른 측부에 따르면, 상기 공구 측부들 중 하나에 따른 공구와 상기 절삭 인서트 측부들 중 하나에 따른 절삭 인서트를 조합하여 포함하는 고 이송 밀링 공구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설명은 요약이며, 상기 양태들 중 임의의 것은 하기 임의의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다음 기능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위의 모든 측부에 적용 할 수 있다.
A. 인서트는 인서트 주변 표면과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 중 대응하는 하나의 교차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및 제2 절삭 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B. 제1 및 제2 절삭 변부는 중간 높이 평면으로부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보다 더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측부 서브 변부를 갖는 연결점에서 이송 서브 변부는 적어도 측부 서브 변부와 램핑 서브 변부의 연결점에서 중간 높이 평면으로부터 램핑 서브 변부보다 더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이송 서브 변부는 중간 높이 평면에 수직인 단일 평면에 놓일 수 있다. 각각의 램핑 서브 변부는 측부 서브 변부와의 연결점에 대해 근접함에 따라 램핑 서브 변부는 중간 높이 평면에 더 가깝게 연장되도록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는, 거기에서 형성될 수 있는 비교적 높은 레이크 각을 감소시킴으로써 측부 서브 변부를 강화시키고 따라서, 측부 서브 변부의 기계가공 능력을 향상시킨다.
C. 제1 및 제2 절삭 변부는 각각 네거티브 랜드 각(α)(즉, 인서트의 각 절삭 변부로부터 인서트의 관련된 레이크 표면까지 내측을 향해 아래로 경사를 형성하는)을 가질 수 있다. 네거티브 랜드는 적어도 고 이송 숄더링 작업에 유리한 것으로 여겨진다.
D. 인서트는 마주보는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E. 각 레이크 표면은 레이크 인접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레이크 인접 표면은 중간 길이 표면의 마주보는 측부들 상에 각각 위치한 제1 및 제2 레이크 인접 서브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레이크 인접 서브 표면은 중간 길이 평면에 근접함에 따라 중간 높이 평면으로부터 더 큰 연장되도록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F. 인서트의 레이크 표면은 동일할 수 있다.
G.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은 돌출부가 없을 수 있다. 특히, 돌출부는 칩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은 각각 평면일 수 있는 중간 레이크 표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H. 인서트는 인서트 주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 주변 표면은 인서트의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을 연결할 수 있다.
I. 인서트 주변 표면은: 제1 램핑 서브 표면; 제1 측부 서브 표면; 상기 제1 램핑 서브 표면과 상기 제1 측부 서브 표면에 연결된 제1 이송 서브 표면; 상기 제1 측부 서브 표면에 연결된 제2 램핑 서브 표면; 상기 제1 램핑 서브 표면에 연결된 제2 측부 서브 표면; 및 상기 제2 램핑 서브 표면 및 상기 제2 측부 서브 표면에 연결된 제2 이송 서브 표면을 포함한다.
J. 인서트 주변 표면은 제1 절삭 변부로부터 제2 절삭 변부까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제2005/0111925A1호에 공개된 간극 표면 "22"과 같은) 기울어진 간극 표면이 없으면, 인서트를 위한 간극을 제공하는 것은 보다 복잡한 공구 설계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설계는 보다 간단한 인서트 제조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고 믿어지고, 예를 들어, 인서트는 최종 치수로 가압될 수 있어서 공지된 단점을 상쇄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K. 인서트 주변 표면은 릴리프 부분이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제2005/0111925A1호에 공개된 모따기 표면 "35"과 같은) 릴리프 부분을 갖지 않으면, 인서트를 위한 간극 (ClearanCe)를 제공하는 것은 보다 복잡한 공구 설계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설계는 보다 간단한 인서트 제조 공정을 초래할 수 있다고 믿어지고 예를 들어, 인서트는 최종 치수로 가압될 수 있어서 공지된 단점을 상쇄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L. 인서트는 인서트 주변 표면의 마주보는 측부들을 향해 개방되는 인서트 나사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 나사 구멍은 인서트 주변 표면의 각각의 측부에서 서로에 대해 경사진 인서트 주변 표면의 서브 표면들로 개방될 수 있다. 인서트 주변 표면의 각 측부에서 인서트 나사 구멍은 램핑 및 이송 서브 표면 모두로 개방될 수 있다. 인서트 나사 구멍은 제1 램핑 및 이송 서브 표면 뿐만 아니라 제2 램핑 및 이송 서브 표면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인서트 나사 구멍은 측부 서브 표면으로부터 동일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인서트 나사 구멍은 레이크 표면으로부터 동일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인서트 나사 구멍은 인서트 나사 구멍 축을 가질 수 있다. 인서트 나사 구멍 축은 중간 두께 평면을 따라 배열(또는 포함)될 수 있으며 중간 길이 평면에 수직일 수 있다. 나사 구멍 두께는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 각각에 근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M. 각각의 절삭 날은 제1 램핑 서브 변부; 제1 측부 서브 변부; 상기 제1 램핑 서브 변부 및 상기 제1 측부 서브 변부에 연결된 제1 이송 서브 변부; 상기 제1 측부 서브 변부에 연결된 제2 램핑 서브 변부; 상기 제1 램핑 서브 변부에 연결된 제2 측부 서브 변부; 및 상기 제2 램핑 서브 변부와 상기 제2 측부 서브 변부에 연결된 제2 이송 서브 변부를 포함한다.
N. 각각의 램핑 서브 변부는 각 측부 서브 변부보다 길 수 있다. 램핑 서브 변부가 인서트의 다른 서브 변부보다 작은 것이 논리적일지라도, 램핑 작업은 전체 가공 시간 중 적은 비율에 걸쳐서만 발생하기 때문에, 확실히 제1 숄더링 작업과 비교하여, 비교적 긴 램핑 서브 변부는 인서트 제조를 복잡하게 하는 약간의 간극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O. 각각의 이송 서브 변부는 각각의 측부 서브 변부보다 길 수 있다. 그 결과, 1차 밀링작업, 즉 이송 서브 변부를 이용하는 숄더링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P. 각각의 이송 서브 변부는 각각의 램핑 서브 변부 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1차 밀링작업, 즉 이송 서브 변부를 이용하는 숄더링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램핑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은 인접한 이송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의 길이의 70% ± 15%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Q. 각각의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는 서브 변부들 모두가 연결된 측부 서브 변부에 근접함에 따라 수렴할 수 있다.
R. 레이크 표면의 각각의 램핑 서브 변부는 중간 길이 평면과 내부 예각의 인서트 램핑 각(k0)을 형성할 수 있다. 인서트 램핑 각(k0)는 조건 (5° ≤ k0 ≤ 30°)을 충족할 수 있다. 인서트 램핑 각(k0)은 바람직하게 조건 (15° ± 5°)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선호된다. 램핑 서브 변부에 인접한 인서트 주변 표면의 서브 표면은 램핑 서브 변부와 동일한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S. 레이크 표면의 각 이송 서브 변부는 중간 길이 평면과 함께 내부 급경사 인서트 접근 각(k1)을 형성할 수 있다. 인서트 접근 각도 k1은 조건 (5° ≤ k1 ≤ 30°)을 충족할 수 있다. 인서트 접근 각(k1)은 바람직하게는 (15° ± 5°)의 조건을 만족한다. 이송 서브 변부에 인접한 인서트 주변 표면의 서브 표면은 이송 서브 변부와 동일한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T. 인서트 램핑 각(k0) 및 인서트 접근 각(k1)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상황, 예를 들면. 비교적 작은 직경의 공구를 위해 구성된 인서트의 경우, 인서트 접근 각(k1)은 인서트 램핑 각(ko)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램핑 기능 효율이 감소되더라도 허용 깊이(따라서 이송 속도)가 달성될 수 있다.
U. 램핑 인서트는 직선 연장부 및 인접한 제1 램핑 서브 변부 사이에 형성된 제1 내부각 (R1) 및 직선 연장부 및 인접한 제1 이송 서브 변부 사이에 형성된 제2 내부각 (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각 (R1)은 제2 내부각 (R2)과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내부각 (R1)은 제2 내부각 (R2)보다 크다.
V. 각각의 측부 서브 변부는 중간 길이 평면에 의해 이등분될 수 있다.
W. 각각의 측부 서브 변부는 직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서브 변부와 관련하여 "직선 부분"은 (예를 들어,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이크 표면을 향하는 도면을 참고한다. 직선 부분을 갖는 측부 서브 변부는 곡선의 측부 서브 변부보다 상당히 긴 가공 공구 수명을 제공할 수 있다고 믿어진다. 상기 직선 부분은 전체 측부 서브 변부 길이의 45 ± 20% 사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브 변부 길이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전체"는 서브 변부의 양쪽측부들에서 (인접한 서브 변부와의 연결점까지)코너 부분 및 과 이들 사이의 서브 변부의 나머지를 포함한다.
X. 동일한 레이크 표면의 측부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들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상의 측부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들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레이크 표면상의 측부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은 동일한 레이크 표면의 직선 부분에 대해서만 평행할 수 있다.
Y. 측부 서브 변부에 인접한 인서트 주변 표면의 서브 표면은 측부 서브 변부와 동일한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측부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은 중간 두께 평면에 평행하고 인서트 나사 구멍 축에 평행하게 측정 가능한 인서트의 최대 두께의 15% ± 5%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Z. 측부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은 램핑 서브 변부의 전체 길이의 13% ± 5%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측부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은 이송 서브 변부의 전체 길이의 13% ± 5%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AA. 각각의 측부 서브 변부는 측부 서브 변부의 각 단부에서 코너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BB. 각각의 램핑 서브 변부는 직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레이크 표면상의 램핑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들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인서트의 모든 램핑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들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직선 부분은 전체 램핑 서브 변부 길이의 85% ± 5%일 수 있다.
CC. 각각의 램핑 서브 변부는 램핑 서브 변부의 각 단부에서 코너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DD. 각각의 이송 서브 변부는 직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레이크 표면상의 이송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들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인서트의 모든 이송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들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직선 부분은 전체 이송 서브 변부 길이의 85% ± 5%일 수 있다.
EE. 각각의 이송 서브 변부는 이송 서브 변부의 각 단부에서 코너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FF.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들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GG. 서브 변부의 코너 부분은 바람직하게 곡선 형상일 수 있다. 곡선의 코너들이 예리하거나 모따기된 모서리보다 덜 정밀할지라도, 상기 곡선의 곡률은 단순화된 제조 공정을 허용할 수 있다.
HH. 인접한 변부들사이의 연결점은 인접한 변부들의 인접한 변부 부분들에 의해 형성된 코너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램핑 서브 변부는 코너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이송 서브 변부는 램핑 서브 변부의 코너 부분에 인접한 코너 부분을 포함하고, 램핑 서브 변부와 이송 서브 변부의 연결점이 인접한 코너 부분에 의해 형성된 코너의 중간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는 인접한 코너 부분에 의해 형성된 코너의 중앙에 위치한 연결점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램핑 및 측부 서브 변부는 인접한 코너 부분에 의해 형성된 코너의 중앙에 위치한 연결점에서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송 및 측부 서브 변부는 인접한 코너 부분에 의해 형성된 코너의 중앙에 위치한 연결점에서 연결될 수 있다.
II. 인접한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의 연결점은 모두 중간 두께 평면에 놓일 수 있다. 인접한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의 연결점은 중간 두께 평면의 다른 측부에 배열될 수 있다.
JJ. 인접한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의 연결점은 모두 중간 두께 평면에 평행 한 평면에 놓일 수 있다.
KK. 중간 두께 평면은 레이크 축과 인서트 나사 구멍 축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들을 이등분할 수 있다.
LL. 중간 길이 평면은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들을 이등분할 수 있고 중간 두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MM. 중간 높이 평면은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들사이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중간 두께 평면 및 중간 길이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NN. 인서트의 최대 두께는 인접한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의 연결점들사이에 있을 수 있다.
OO. 인서트의 최대 두께는 인서트 나사 구멍 축과 평행하게 측정할 수 있다.
PP. 각각의 레이크 표면위에서 최대 레이크 표면 길이는 제1 및 제2 측부 서브 변부들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중간 길이 평면에 평행하고 제1 및 제2 측부 서브 변부들사이에 측정 가능한 길이는 다른 서브 변부들 사이에서 레이크 표면을 따라 측정 가능한 다른 모든 길이보다 클 수 있다.
QQ. 각각의 레이크 표면위에서 종 방향 레이크 표면 길이(LLR)는 중간 길이 평면에 평행하게 측정될 수 있다. 종 방향 레이크 표면 길이(LLR)는 중간 길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가능한 최대 두께(TM) 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종 방향 레이크 표면 길이(LLR)는 조건(2.3TM ± 0.5TM)을 만족시킨다.
RR. 각각의 레이크 표면위에서 종 방향 레이크 표면 길이(LLR)는 높이 평면에 평행하게 측정 가능한 최대 높이(HM) 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 최대 길이는 조건(1.5HM ± 0.3HM)을 충족시킨다.
SS. 레이크 축은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의 중심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TT. 인서트는 레이크 축과 평행하게 측정 가능한 최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UU. 인서트는 중간 두께 평면에 평행하게 측정 가능한 최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VV. 인서트의 최대 높이는 인서트의 최대 두께보다 클 수 있다.
WW. 인서트는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들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레이크 축에 대해 180°회전 대칭 및/또는 레이크 축에 수직이고 중간 두께 및 높이 평면들의 교차부를 따라 연장되는 인서트 나사 구멍 축에 대해 180° 회전 대칭일 수 있다. 인서트는 레이크 축에 수직이고 중간 두께 및 높이 평면들의 교차부를 따라 연장되는 높이 축에 대해 180° 회전 대칭될 수 있다.
XX. 각각의 램핑 서브 변부는 예리한 램핑 코너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리한 램핑 코너 부분은 이송 서브 변부에 가장 가까운 램핑 서브 변부의 코너 부분이다.
YY. 각각의 이송 서브 변부는 예리한 램핑 코너 부분에 인접한 예리한 이송 코너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ZZ. 예리한 램핑 및 이송 코너 부분들의 불연속점들사이에 직선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직선 연장부는 0.5mm 내지 2.0mm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직선 연장부는 0.75mm 미만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직선 연장부는 이송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의 길이의 4분의 1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직선 연장부는 이송 서브 변부의 직선 부의 길이의 6분의 1이하의 길이를 갖는다.
AAA. 제1 및 제2 절삭 변부는 각각 평면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것은 상이한 평면들이 서로 평행할 수 있는 것이 선호되더라도 제1 및 제2 절삭 변부 각각이 상이한 평면내에 배열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BBB. 공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 방향은 전방 및 후방 방향을 형성한다.
CCC. 공구는 공구 단부 표면 및 공구 단부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구 주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DDD. 요홈이 공구 단부 표면과 공구 주변 표면의 교차부에 형성될 수 있고 교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EEE. 인서트 포켓은 공구 단부 표면과 공구 주변 표면의 교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 포켓은 요홈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FFF. 인서트 포켓은 포켓 측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포켓 측부 표면은 포켓 후방 표면으로부터 요홈까지 연장될 수 있다. 포켓 측부 표면은 포켓 상부 표면으로부터 요홈까지 연장될 수 있다. 포켓 측부 표면은 외측을 향할 수 있다.
GGG. 포켓 측부 표면은 측부 인접 서브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측부 인접 표면은 회전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공구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HHH. 인서트 포켓은 포켓 후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포켓 후방 표면은 공구 주변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포켓 후방 표면은 회전 방향을 향할 수 있다.
III. 포켓 후방 표면은 후방 인접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인접 표면은 2개의 후방 인접 표면들로 분할되는 후방 표면 릴리프 요홈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분할은 절삭 인서트와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덜 정밀하게 제조된 인서트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인서트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후방 인접 표면은 인서트 포켓의 하부 절반 (즉, 공구 단부 표면에 가장 가까운 인서트 포켓의 절반)을 따라 축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JJJ. 후방 인접 표면 또는 서브 표면은 공구 단부 표면에 대해 근접함에 따라 후방 인접 서브 표면이 회전 방향으로 더 연장되도록 포켓 나사 구멍 축에 대해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KKK. 인서트 포켓은 포켓 상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포켓 상부 표면은 공구 주변 표면으로부터 포켓 측부 표면까지 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포켓 상부 표면은 포켓 후방 표면으로부터 요홈까지 연장될 수 있다.
LLL. 포켓 상부 표면은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MMM. 제1 포켓 상부 서브 표면은 공구 주변 표면에 인접할 수 있고, 공구 주변 표면에 근접함에 따라 전방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NNN.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은 포켓 측부 표면에 인접할 수 있고 포켓 측부 표면에 근접함에 따라 전방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OOO.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 모두는 요홈에 근접함에 따라 전방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은 기계 가공을 위해 덜 바람직하지만, 보다 간단한 인서트를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에 의해 상쇄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PPP. 인서트 포켓은 포켓 나사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포켓 나사 구멍은 포켓 상부 표면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QQQ. 조립체는 공구, 인서트(insert) 및 인서트를 공구의 인서트 포켓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RRR. 조립체는 다중 램핑 인서트를 포함할 수 있다.
SSS. 공구 및 램핑 인서트는 공구의 포켓 측부 표면과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을 램핑 인서트의 인서트 주변 표면에 인접하도록 구성되고 램핑 인서트의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 중 하나를 공구의 포켓 후방 표면과 인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램핑 인서트는 인덱싱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인서트 주변 표면의 다른 부분이 공구의 포켓 측부 표면과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에 인접한다. 또한 램핑 인서트는 역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른 레이크 표면이 공구의 포켓 후방 표면과 접촉한다 (또한 역전 위치로 인덱싱된다). 공구 및/또는 램핑 인서트는 램핑 인서트를 정확히 4개의 상이한 위치에서 인서트 포켓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TT.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공구의 포켓 후방 표면을 고려할 때, 제1 포켓 상부 서브 표면은 회전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공구 평면에 에 의해 내부의 예각 공구 각도(k2)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은 공구 평면과 함께 내부의 예각 제2 공구 각도(k3)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공구 각도는 조건(6° ≤ k2, k3 ≤ 31°)을 충족할 수 있다. 15.5°에 가까운 접근 각도에 의해 더 나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고 믿어진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공구 각도는 바람직하게 조건(15.5°± 5°)을 충족시킨다.
UUU. 제1 및 제2 공구 각도 (k2, k3)는 동일할 수 있다.
VVV.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은 동일한 반경 방향 거리로 연장될 수 있다. "반경 방향"은 일반적인 의미로만 사용되며,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것처럼 (공구의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공구의 일반적인 내측 -외측 방향을 나타내며, 반드시 정확하게 회전축을 향하는 방향은 아니다.
WWW. 포켓 상부 표면은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들사이에서 상부 표면 릴리프 요홈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들사이에 상부 표면 릴리프 요홈을 가지면 절삭 인서트와 접촉 면적이 감소될 수 있지만, 덜 정밀하게 제조된 인서트를 수용할 수 있어서 인서트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XXX. 공구는 (n)개의 인서트 포켓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 포켓은 공구 주변 표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동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 인서트 포켓은 동일할 수 있다. 공구의 인서트 포켓의 갯수(n)는 밀리미터로 측정되는 공구의 절삭 직경을 10으로 나눈 가장 가까운 정수일 수 있다.
YYY. 제1 및 제2 공구 접근 각(k2,k3)의 합은 인서트 램핑 및 접근 각(k0,k1)의 합보다 클 수 있다. 이것은 인서트와 공구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감소 시키더라도, 이러한 단점은 보다 간단한 인서트 제조 공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쇄된다고 믿어진다.
ZZZ. 공구 조립체는 조건(1mm ≤ aP ≤ 2.5mm)을 만족하는 절삭 깊이(aP)를 위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85mm에 가까운 절삭 깊이(aP)에 의해 더 나은 성능이 달성될 수 있다고 믿어진다. 따라서, 절단 깊이(aP)는 바람직하게 1.85mm ± 0.5mm)의 조건을 만족한다. aP와 길이의 바람직한 비율은 조건(1:15 내지 1:6)을 충족시킨다.
상기 및 하기 설명에서, 기호 "±"를 사용하는 범위 다음에 오는 값은 최적 값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최적 값에 더 가까운 범위의 값이 더 멀리 있는 값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 범위에서 언급된 모든 인서트들은 램핑 인서트이고, "인서트"는 종종 간결성을 위해 선행 단어 "램핑(ramping)" 없이 설명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고 이송 밀링 공구"라는 단어는 "공구"라는 단어의 축약된 형태로만 나타날 수 있다.
본 출원의 주제를 더 잘 이해하고 실제로 수행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다.
도 1A는 공구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조립체의 단부도이다.
도 1C는 도 1A 및 도 1B의 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면의 우측 코너에서 램핑 인서트의 레이크 표면에 수직 (즉, 상기 인서트의 레이크 축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1D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도 1C로부터 도면의 중앙에서 램핑 인서트의 측부 서브 표면과 수직이 되도록 회전된다.
도 2A는 도 1A 내지 도 1D의 페이스 밀의 램핑 인서트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램핑 인서트의 측면도이다.
도 2C는 도 2A 및 도 2B의 램핑 인서트의 정면도이고
레이크 표면에 수직인 도면(즉, 레이크 축을 따르는 도면)으로 간주될 수 도있다.
도 2D는 도 2A의 선 2D-2D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2E는 도 2A의 선 2E-2E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C의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도면에 대응하는 도면이지만, 공구만을 도시한다.
도 3C는 도 3A의 선 3C-3C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3D는 도 3B에 도시된 공구의 인서트 포켓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공작물위에 숄더링 작업을 수행하는 (즉, 주요 표면으로부터 재료를 제거하지만 인접한 스텝에서는 제거하지 않는) 도 1A 내지 도 1D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공작물위에 숄더링 및 페이싱의 조합 작업을 수행하는 (즉, 주요 표면 및 인접한 스텝에서 재료를 제거하는) 도 1A 내지 도 1D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4C는 공작물의 부분적으로 도시된 주요 표면위에 램핑 작업을 수행하는 도 1A 내지 도 1D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4D는 (도 4A 내지 도 4D와 다르게 칩을 도시하지 않고) 공작물위에 플런징 작업을 수행하는 도 1A 내지 도 1D의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램핑 인서트의 다른 실시 예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경사 인서트 부의 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5A 및 도 5B의 램핑 인서트의 정면도로서 레이크 표면에 수직인 도면 (즉, 레이크 축을 따르는 도면)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도 5D는 램핑 인서트가 작업 위치에서 공작물 표면에 대해 배향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C와 유사한 도면이다.
고 이송 밀링(high feed milling) 공구 조립체(10)를 도시하는 도 1A 및 도 1D를 참고한다. 상기 조립체(10)는 공구(12) 및 램핑 인서트(14)(14A, 14B, 14C, 14D, 14E) 및 각 인서트(14)를 공구(12)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16)를 포함할 수 있다.
50mm의 공구 직경(DT)을 위하여, 공구(12)는 도시된 것처럼 5개의 인서트(14)를 가질 수 있다.
회전축(AR)은 공구(12)의 중심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전방 방향(DF) 및 후방 방향(DRE)을 형성할 수 있다.
공구(12)는 회전 방향(DRO)으로 회전축(AR)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c는 회전축(AR)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공구 평면(PTL)을 도시한다. 외부 방향(outward direction)(DOR)은 공구평면(PTL)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공구(12)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내향 방향(inward direction)(DIR)은 공구평면(PTL)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공구(12) 내측으로 연장된다. 내향 및 외향 방향은 정확하게 회전축(AR)을 향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공구(12)의 중심을 향하고 공구(12)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가진다.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인서트(14A)가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시된 인서트들은 동일할 수 있으며 설명된 인서트(14A)와 관련하여 하기 모든 특징을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인서트(14A)는 금속 가공 작업을 위한 것이며, 전형적으로 초경합금과 같은 매우 단단하고 내마모성을 가진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인서트(14A)는 최종 치수로 가압될 수 있다.
인서트(14A)는 마주보는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18A,18B) 및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18A, 18B)을 연결하는 인서트 주변 표면(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14A)는 인서트 주변 표면(20)의 마주보는 측면(24A, 24B)(도 2E)으로 개방되는 인서트 나사 구멍(2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삭 변부(26A)는 인서트 주변 표면(20)과 제1 레이크 표면(18A)의 교차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절삭 변부(26B)는 인서트 주변 표면(20)과 제2 레이크 표면(18B)의 교차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절삭 변부(26A,26B)는 동일하고 서로에 대해 하기 모든 특징을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18A, 18B)은 동일하고 서로에 대해 하기 모든 특징을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1 절삭 변부(26A)는 제1 램핑 서브 변부(28A1); 제1 측부 서브 변부(28B1); 제1 램핑 서브 변부(28A1) 및 제1 측부 서브 변부(28B1)에 연결된 제1 이송 서브 변부(28C1); 제1 측부 서브 변부(28B1)에 연결된 제2 램핑 서브 변부(28A2); 제1 램핑 서브 변부(28A1)에 연결된 제2 측부 서브 변부(28B2); 제2 램핑 서브 변부(28A2) 및 제2 측부 서브 변부(28B2)에 연결된 제2 이송 서브 변부(28C2)를 포함한다.
제1 레이크 표면(18A)은 제1 절삭 변부(26A)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랜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랜드(30)와 중간 레이크 표면 영역(34) 사이에서 연장되는 램핑 부분(32)이 랜드(30)의 더욱 내측에 배열될 수 있다.
도 2C에 가장 잘 도시된 것처럼,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가 모두 연결된 측부 서브 변부에 더욱 근접함에 따라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는 수렴한다. 예를 들어, 제1 이송 서브 변부(28C1)는 제1 측부 서브 변부(28B1)에 대해 더욱 근접함에 따라 제2 램 핑 서브 변부(28A2)에 더 가깝다.
도 2D를 참조하면, 인서트(14A)는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18A, 18B)의 중심을 통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레이크 축(AK)을 포함할 수 있다(도 2A).
중간 길이 평면(PL)은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18A,18B)을 길이 방향을 따라 이등분할 수 있다. 중간 길이 평면(PL)은 측부 서브 변부(28B1, 28B2, 28B3, 28B4)를 이분할 수 있다(도 2A 및 도 2C).
중간 두께 평면(PT)은 중간 길이 평면(PL)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또한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18A, 18B)을 이등분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중간 높이 평면(PH)은 중간 길이 및 두께 평면(PL, PT)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또한 인서트(14A)를 이등분할 수 있다.
높이 축(AH)은 레이크 축(AK)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중간 두께 및 높이 평면(PT, PH)의 교차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인서트 나사 구멍은 인서트(14A)의 중심에 위치하므로 인서트 나사 구멍 축(AS)은 높이 축(AH)과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인서트(14A)는 2개의 인덱싱 가능한 위치들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14A)는 레이크 축(AK)을 중심으로 180°회전 대칭일 수 있다.
인서트(14A)는 리버스(reverse)가능하게 구성되어 2개의 추가적인 인덱싱 가능한 위치를 허용한다. 예를 들어, 인서트(14A)는 또한 나사 구멍 축(AS) 및/또는 높이 축(AH)에 대해 180° 회전 대칭일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각각의 램핑 서브 변부(28A1, 28A2)는 직선 부분(36S1, 36S2)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램핑 서브 변부(28A1, 28A2)는 직선 부분(36S1, 36S2)의 각 측부에 연결된 한 쌍의 코너 부분(36C1, 36C2, 36C3, 36C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측부 서브 변부(28B1, 28B2)는 직선 부분(38S1,38S2)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측부 서브 변부(28B1, 28B2)는 직선 부분(38S1,38S2)의 각 측부에 연결된 한 쌍의 코너 부분(38C1, 38C2, 38C3, 38C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이송 서브 변부(28C1, 28C2)는 직선 부분(40S1, 40S2)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램핑 서브 변부(28C1, 28C2)는 직선 부분(40S1, 40S2)의 각 측부에 연결된 한 쌍의 코너 부분(40C1, 40C2, 40C3, 40C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직선 부분(36S1, 36S2, 38S1, 38S2, 40S1, 40S2)은 불연속점(42D1, 42D2, 42D3, 42D4, 44D1, 44D2, 44D3, 44D4, 46D1, 46D2, 46D3, 46D4), 즉 변부가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해 전환되는 위치에서 끝난다. 직선 부분은 일반적으로 직선이지만 약간의 아치형상일 수 있고(적어도 이론적인 직선에 대해 그러나 코너 부분보다는 상당히 덜 아치형상이면, 상기 불연속점은 방향 또는 구배의 가시적인 변화가 있는 위치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제1 램핑 서브 변부(28A1)의 직선 부분(36S1)는 길이(LS1)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부 서브 변부(28B1)의 직선 부분(38S1)는 길이(LS2)를 가질 수 있다.
제1 이송 서브 변부(28C1)의 직선 부분(40S1)는 길이(LS3)를 가질 수 있다.
각 서브 변부는 인접한 코너 부분에 의해 형성된 코너를 양분하는 연결점에서 인접 서브 변부로 전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송 서브 변부(28C1) 및 제1 측부 서브 변부(28B1)는 제1 연결점(X1)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점(X1)은 제1 이송 서브 변부(28C1) 및 제1 측부 서브 변부(28B1)의 직선 부분(40S1, 38S1)의 개시점(start)으로부터 등거리 일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측부 서브 변부(28B1) 및 제2 램핑 서브 변부(28A2)는 제2 연결점(X2)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2 램핑 서브 변부(28A2) 및 제2 이송 서브 변부(28C2)는 제3 연결점(X3)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2 이송 서브 변부(28C2) 및 제2 측부 서브 변부(28B2)는 제4 연결점(X4)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2 측부 서브 변부(28B2) 및 제1 램핑 서브 변부(28A1)는 제5 연결점(X5)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1 램핑 서브 변부(28A1) 및 제1 이송 서브 변부(28C1)는 제6 연결점(X6)에서 연결될 수 있다.
각 서브 변부의 전체 길이는 서브 변부의 연결점들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램핑 서브 변부(28A1)의 전체 길이(LO1)는 그 연결점(X5,X6)들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제1 측부 서브 변부의 전체 길이(LO2)는 그 연결점(X1,X2)들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제1 이송 서브 변부의 전체 길이(LO3)는 그 연결점(X6, X1)들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제1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36S1,40S1)의 직선 부분은 동일한 길이(LS1, LS3)를 가질 수 있다.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 전체 길이(LO1, LO3)는 동일한 길이 일 수 있다.
제2 서브 변부(28A2, 28B2, 28C2)의 길이는 각각의 제1 서브 변부(28A1, 28B1, 28C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램핑 서브 변부(28A1, 28A2)의 직선 부분은 평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부 서브 변부(28B1, 28B2)의 직선 부분은 평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송 서브 변부(28C1, 28C2)의 직선 부분은 평행할 수 있다.
제3 및 제6 연결점(X3,X6)은 모두 중간 두께 평면(PT) 상에 놓일 수 있다.
인서트(14)의 최대 두께(TM)가 도 2B에 도시된다. 최대 두께(TM)는 중간 두께 평면(PT)에 평행하게 측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최대 두께는 제3 및 제6 연결점(X3,X6)들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도 2C를 다시 참고할 때, 제1 및 제2 측부 서브 변부(28B1,28B2)의 직선 부분(38S1,38S2)의 직경 방향으로 마주보는 단부(예를 들어, 38C2,38C4)들사이에 최대 레이크 표면 길이(LMR)가 도시된다.
각각의 레이크 표면상의 길이 방향 레이크 표면 길이(LLR)는 중간 길이 평면(PL)에 평행하게 측정될 수 있다.
최대 레이크 표면 길이(LMR)는 길이 방향 레이크 표면 길이(LLR)보다 약간 클 수 있다. 길이 방향 레이크 표면 길이(LLR)는 또한 제1 레이크 표면(18A)의 임의의 2개의 다른 서브 변부들보다 큰 길이를 가질(즉, 양쪽 측부 서브 변부들(28B1, 28B2)사이에서 아닌) 수 있다.
인서트(14)의 최대 높이(HM)가 도 2B에 도시되어있다. 최대 높이(HM)는 레이크 축(AK)에 평행하게 측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최대 높이는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도면에서 제1 절삭 변부(26A)와 중간 두께 평면(PT)의 교차부에 위치한) 점(48A) 및 (도면에서 제2 절삭 변부(26B)와 중간 두께 평면(PT)의 교차부에 위치한)점(48B)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성공적으로 시험된 하나의 설계는 다음과 같은 길이를 가진다: 각 측부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의 길이(LS2)는 1mm일 수 있고, 각각의 전체 길이(LO2)는 2.35mm일 수 있다. 각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의 길이(LS1, LS3)은 6.5mm일 수 있으며 각 전체 길이(LO1, LO3)은 7.8mm일 수 있다. 최대 두께(TM)는 6.35mm일 수 있다. 최대 레이크 표면 길이(LMR)는 15.13mm 일 수 있다. 길이 방향 레이크 표면 길이(LLR)는 15.10mm 일 수 있다. 최대 높이(HM)은 9.5mm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주제에 따른 인서트는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시된 인서트에 대한 비례 길이 비율은 유사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할 때, 제1 절삭 변부(26A)의 부분들은 중간 높이 평면(PH)으로부터 상이한 크기로 연장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참고로, 중간 높이 평면(PH)에 평행하고 인서트(14A)의 상부 말단을 따라 연장되는 말단 평면(PE)이 도 2B에 도시된다.
이송 서브 변부(28C1,28C2)의 직선 부분(40S1, 40S2)은 말단 평면(PE)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램핑 서브 변부들(28A1,28A2)이 직선 부분들로부터 코너 부분들로 전이하는 불연속점들(42D1, 42D3)에서, 제1 절삭 변부(26A)는 중간 높이 평면(PH)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절삭 변부(26A)의 일반적인 경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제1 램핑 서브 변부(28A1)가 불연속점(42D1)으로부터 제6 연결점(X6)까지 연장됨에 따라, 제1 램핑 서브 변부는 중간 높이 평면(PH)으로부터 더 연장될 수 있다. 제6 연결점(X6)으로부터 불연속점(46D2)까지 제1 이송 서브 변부(28C1)는 말단 평면(PE)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이송 서브 변부(28C1)가 코너 부분(40C2)에서 곡선으로 형성되기 시작할 때, 제1 절삭 변부(26A)가 제2 램핑 서브 변부(28A2)의 낮은 불연속점(42D3)에 도달할 때까지 제1 절삭 변부는 중간 높이 평면(PH)을 향해 더 연장될 수 있다. 불연속점(42D3)으로부터, 제1 절삭 변부(26A)는 중간 높이 평면(PH)으로부터 제3 연결점(X3) 등에 도달할 때까지 다시 연장될 수 있다(도 2C).
도 2B 및 도 2E에 가장 잘 도시된 것처럼, 랜드(30)는 말단 평면(PE)과 랜드 각(α)을 형성할 수 있다. 랜드 각(α)은 6° ± 10° 일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랜드는 고 이송 작업을 위한 공구 수명의 연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인서트 주변 표면(20)은 제1 램핑 서브 표면(20A1); 제1 측부 서브 표면(20B1); 제1 램핑 서브 표면(20A1) 및 제1 측부 서브 표면(20B1)에 연결된 제1 이송 서브 표면(20C1); 제1 측부 서브 표면(20B1)에 연결된 제2 램핑 서브 표면(20A2)(도 2D); 제1 램핑 서브 표면(20A1)에 연결된 제2 측부 서브 표면(20B2); 제2 램핑 서브 표면(20A2)(도 2D) 및 제2 측부 서브 표면(20B2)에 연결된 제2 이송 서브 표면(20C2)을 포함한다.
제1 램핑 서브 표면(20A1)은 마주보는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들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1 램핑 서브 표면(20A1)은 제1 절삭 변부(26A)의 제1 램핑 서브 표면(20A1) 및 제2 절삭 변부(26B)의 마주보는 이송 서브 변부(50C1)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이송 서브 표면(20C1)은 마주보는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50A1,28C1)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송 서브 표면" 및 "램핑 서브 표면"의 명칭은 반드시 기하학적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제2 램핑 및 이송 표면은 유사하게 연장된다.
제1 측부 서브 표면(20B1)은 마주보는 측부 서브 변부(28B1, 28B3)들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측부 서브 표면(20B2)은 다른 측부 서브 변부(28B2,28B4)들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1 램핑 서브 변부(28A1)는 중간 종 방향 평면(PL)과 함께 인서트 램핑 각(k0)을 형성할 수 있다. 인서트 램핑 각(k0)은 15°일 수 있다.
제1 이송 서브 변부(28C1)는 중간 종방향 평면(PL)과 인서트 접근 각(k1)을 형성할 수 있다. 인서트 접근 각(k1)은 15°일 수 있다.
또한, 도 2C를 참조하면, 인서트 나사 구멍(22)은 각각의 제1 및 제2 램핑 및 이송 서브 표면(20A1, 20A2, 20C1, 20C2)에 대해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2B의 도면에서, 인서트 나사 구멍(22)의 최소 나사 구멍 두께(TS1)가 도시된다. 나사 구멍 두께는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18A, 18B) 각각에 대해 근접함에 따라 최대 나사 구멍 두께(TS2)까지 증가할 수 있다.
도 2D를 다시 참고하면, 인서트 나사 구멍(22)은 인서트 주변 표면(20)에 근접함에 따라 직경이 증가하는 중앙 수축 부분(52)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원추형의 나사 인접 표면(54A, 54B)들이 중앙 수축 부분(52) 및 인서트 주변 표면(20)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E를 참조하면, 각 레이크 표면(18A, 18B)은 각각의 레이크 인접표면(56A, 56B)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레이크 인접표면(56A,56B)은 중간 길이 평면(PL)의 마주보는 측부들 상에 위치한 제1 및 제2 레이크 인접 서브 표면(56A1, 56A2, 56B1, 56B2)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레이크 인접 서브 표면은 중간 길이 평면(PH)에 근접함에 따라 중간 높이 평면(PH)으로부터 더 큰 연장이 형성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이크 표면(18A)상의 제1 레이크 인접 서브 표면(56A1)은 중간 길이 평면(PL)에 근접한 제1 랜덤 위치(58A) 및 그로부터 멀어지는 제2 랜덤 위치(58B)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것처럼, 제1 위치(58A)는 제2 위치(58B)보다 중간 높이 평면(PH)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공구(12)는 공구 단부 표면(60) 및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구 주변 표면(62)을 포함할 수 있다.
공구(12)는 공구 단부 표면(60) 및 공구 주변 표면(62)의 교차부에 형성되고 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홈(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구(12)는 공구 단부 표면(60)과 공구 주변 표면(62)의 교차부에 형성되고 홈(64)으로 개방되는 인서트 포켓(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구(12)의 인서트 포켓(66)들이 모두 동일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도면들에서 동일한 특징부를 도시하는 도 3B에 도시된 인서트 포켓(66)들을 참고할 것이다.
또한, 도 3D를 참고하면, 인서트 포켓(66)은 포켓 측부 표면(68), 포켓 후방 표면(70), 포켓 상부 표면(72) 및 포켓 상부 표면(72)을 향해 개방된 나사구조의 포켓 상부 나사 구멍(7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의 방향을 주목하면, 포켓 후방 표면(70)은 공구 주변 표면(62)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즉, 내측 방향(DIR)으로) 연장되고 회전 방향(DRO)을 향한다(도 1B); 포켓 측부 표면(68)은 포켓 후방 표면(70)으로부터 홈(64)까지 연장되고 외측으로(즉 외측 방향(DOR)으로) 향한다. 포켓 상부표면(72)은 공구 주변 표면(62)으로부터 포켓 측부 표면(68)까지 내측을 향해(즉, 내측 방향(DIR)으로) 연장되고 포켓 후방 표면(70)으로부터 홈(64)까지(즉, 회전 방향(DRO)으로) 연장된다.
포켓 측부 표면(68)은 측부 인접 서브 표면(68A)을 포함할 수 있다. 측부 인접 서브 표면(68A)은 공구평면(PTL)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도 1C).
포켓 후방 표면(70)은 후방 인접 표면(70A)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인접 표면(70A)은 후방 인접 표면(70A)을 2개의 후방 인접 서브 표면(70C,70D)으로 분할하는 후방 표면 릴리프 요홈(70B)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후방 인접 표면(70A)은 인서트 포켓(66)의 하부 절반(예를 들어, 포켓 나사 구멍 축(AB)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가장 높은 지점, 예를 들어 상부 표면 릴리프 요홈(82)으로부터, 가장 낮은 지점, 예를 들어 도 3C에서 71로 표시된 지점까지 이등분하는 이등분 평면(PB)보다 낮은)을 따라 축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후방 인접 서브 표면(70A,70B)들이 도시된 것처럼 기울어질 수 있다. 미끄럼 방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후방 인접 서브 표면(70A), 즉 후방 인접 서브 표면의 후방 인접 서브 표면(70C, 70D)은 인서트(14A)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예를 들어 포켓 나사 구멍 축(AB)에 대해 후방 인접 서브 표면(70C,70D)을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포켓 나사 구멍 축(AB)에 평행한 추가의 축(AB1)은 포켓 나사 구멍 축(AB)에 대한 후방 인접 표면 각(β)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된다. 후방 인접 표면 각(β)은 10°일 수 있다.
포켓 상부 표면(72)은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A, 7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A, 72B)은 포켓 나사 구멍(73)의 양측에서 거울 대칭(또는 좀 더 정확하게, 포켓 나사 구멍(73)을 이등분하고 공구 평면(PTL)에 수직으로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면(Ps)에 대해 거울 대칭)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A, 72B)은 동일한 반경 방향 거리(RD)로(즉, 공구의 기본적으로 내측 또는 외측 방향, 즉 공구의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A)은 공구 주변 표면(62)에 인접하게 도시되며, 공구 주변 표면(62)에 근접함에 따라 전방 방향(DF)으로 더욱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제1 포켓 상부 서브 표면 표면(72A)상의 제1 랜덤 위치(74A)는 제2 랜덤 위치(74B)보다 공구 주변 표면(62)에 더 가깝다. 도시된 것처럼, 제1 랜덤 위치(74A)는 제2 랜덤 위치(74B)보다 전방 방향(DF)으로 더 연장된다.
대조적으로, (도 3B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B)은 포켓 측부 표면(68)에 인접할 수 있고, 포켓 측부 표면에 근접함에 따라 전방 방향(DF)으로 더 연장된다.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A, 72B)은 홈(64)에 근접함에 따라 전방 방향(DF)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A)상의 ( 및 공구 주변 표면(62)에 직접 인접한) 제3 랜덤 위치(76A)는 (및 공구 주변 표면(62)에 직접 인접한) 제4 랜덤 위치(76B)보다 홈(64)에 더 가깝다. 도시된 것처럼, 제3 랜덤 위치(76A)는 제4 랜덤 위치(76B)보다 전방 방향(DF)으로 더 연장된다.
또한, 제1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A)은 회전축(AR)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PC)과 내부의 예각 제1 공구 각(k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구 각(k2)은 15.5°일 수 있다.
동일한 도면에서,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B)은 평면(PC)과 내부의 예각 제2 공구 각(k3)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공구 각(k3)은 15.5° 일 수 있다.
제1 및 제2 공구 접근 각(k2, k3)의 합(예를 들어, 31°)은 인서트 램핑 및 접근 각(k0, k1)의 합(예를 들어, 30°)보다 클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외부 공구 각(ε1)(도 3B)예를 들어, 149°는 내부 인서트 각(ε2)(도 2C)예를 들어, 150°보다 작을 수 있다.
그 결과, 인서트 주변 표면(20), 보다 정확하게는 램핑 및 이송 서브 표면(예를 들어, 20A1, 20C1)은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A, 72B)과 제한된 접촉을 위해 구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서트와 인접하도록 구성된 인서트 포켓(66)의 영역은 도 3D에서 음영 영역으로 도시된다. 특히,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상에 제1 및 제2 이론 접촉 라인(72C, 72D)이 존재한다. 상기 라인들은 인접하도록 구성된 인서트(14A) 및 포켓 상부 표면(72)의 영역들을 나타낸다. 공구 각들(즉, 제1 및 제2 공구 접근 각(k2,k3))의 합이 인서트 각들(즉, 인서트 램핑 및 접근 각(k0, k1)들)의 합보다 크므로, 각각의 대응 표면들의 접촉은 제한되고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A, 72B) 전체에 걸쳐 연장되지 않는다. 비록 더 큰 접촉 영역이 일반적으로 선호되더라도, 상이한 각도를 가짐으로써 인서트 제조하기 위한 정밀도는 적게 요구되어, 인서트를 최종 치수로 압축할 때 유리하다.
대조적으로, 68A, 70C, 70D로 표시된 다른 음영 영역은 인서트 포켓(66)의 가시적으로 경계가 정해진 서브 표면들이다.
상기 나사(16)는 나사 헤드(16A) 및 나사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나사 섕크(16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16)가 인서트 포켓(66)에 인서트(14A)를 고정할 때, 생크(16B)는 포켓 나사 구멍(73)에 나사로 고정되고, 나사 헤드(16A)는 램핑 인서트의 나사 인접 표면(54A)들 중 하나와 인접한다.
인서트(14A) 및 공구(12)는 공구의 포켓 측부 표면(68) 및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A, 72B)과 인서트의 인서트 주변 표면(20)의 접촉을 위해 구성되고 램핑 인서트의 레이크 표면(1B)들 중 한 개와 공구의 포켓 후방 표면(70)의 접촉을 위해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 인서트(14A) 및 공구(12)는: 제2 측부 서브 표면(20B2)과 측부 인접 서브 표면(68A); 제1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A)과 제2 램핑 서브 표면(20A2);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B)과 제2 이송 서브 표면(20C2); 후방 인접 표면(70A)과 제2 레이크 표면(18B)의 접촉을 위해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 제2 램핑 서브 표면(20A2)은 제1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A)의 제1 이론 접촉 라인(72C)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이송 서브 표면(20C2)은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B)의 제2 이론 접촉 라인(72D)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더욱 정확하게, 레이크 인접 서브 표면(56B2)들 중 하나는 후방 인접 서브 표면(70C, 70D) 모두와 접촉할 수 있다.
원하는 부분에서만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인서트 포켓(66)은 릴리프 부분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 제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조립체(10)의 모든 릴리프 부분이 공구(12)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켓 후방 표면(70)은 상기 후방 표면 릴리프(70B)를 가질 수 있다. 도 2C를 간단히 참조하면, (중앙 부분이 후방 표면 릴리프(70B)과 인접하기 때문에) 중간 두께 평면(PT)을 따라 놓이는 제1 레이크 표면(18A)의 중앙 부분(78)은 포켓 후방 표면(70)과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중앙부분(78)의 마주보는 측부들상에 위치한 제1 레이크 표면(18A)의 제1 및 제2 인접 부분(80A,80B)는 각각 후방 인접 서브 표면(70C, 70D)들 중 하나와 각각 접촉할 것이다.
포켓 상부 표면(72)은 제1 및 제2 포켓 상부 서브 표면(72A, 72B) 사이에 위치한 상부 표면 릴리프 요홈(82)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원하는 접촉을 추가로 달성하기 위해, 하부 릴리프 영역(84)은 포켓 후방 표면(70)(들)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릴리프 영역(86)은 포켓 후방 및 상부 표면(70,72)들을 분리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측부 릴리프 영역(88)은 포켓 측부 및 후방 표면들을 분리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측부 릴리프 영역(90)은 포켓 측부 및 상부 표면(68,72)을 분리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2C를 참고하면, 조립체(10)는 공작물(92) 상에 다수의 상이한 기계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숄더링(shouldering) 작업은, 기계 가공되는 공작물(92)의 하부표면(92A)에 수직인 횡 방향(DS1)으로 조립체(10)를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조립체(10)가 공작물(92)의 상향 연장 스텝(92B), 보다 정확하게는 상향 돌출 측부 표면(92C)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인서트(14A)의 제1 이송 서브 변부(28C1)만이 공작물(92)로부터 재료를 제거한다. 이것은 제1 이송 서브 변부(28C1)에 의해 제거되고 제1 레이크 표면(18A) 위로 유동하는 칩(94A)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특히, 조립체(10)는 도 1c에 도시된 절단 깊이(aP)까지 재료를 제거할 수 있다. 재료 제거는 절삭 변부의 비교적 긴 부분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작업은 제6 접촉점(X6)으로부터 제1 이송 서브 변부(28C1)의 직선 부분(40S1)의 단부, 즉 불연속점(46D2)까지 연장되는 제1 절삭 변부(26A)의 일부분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B에서, 숄더링 및 페이싱(facing)의 조합 작업이 도시되며 또한 조립체(10)를 횡 방향(DS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조립체(10)는 공작물(92)의 하부 표면(92A) 및 인접한 스텝(92B), 보다 정확하게 그 측부 표면(92C)으로부터 재료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재료의 제거는, 도 4A에서 칩(94A)에 대해 상이한 형상을 가지고 제1 이송 서브 변부(28C1)와 제1 측부 서브 변부(28B1)에 의해 제거되는 칩(94B)으로 도시된다. 재료 제거는 절삭 변부의 비교적 긴 부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또한 주목할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작업은 제6 접촉점(X6)으로부터 제1 측부 서브 변부(28B1)의 직선 부분(38S1)의 단부, 즉 불연속점(44D2)까지 연장되는 제1 절삭 변부(26A)의 일부분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램핑 작동에서, 조립체(10)는 횡 방향(DS2)과 전방 방향(DF)으로 동시에 이동한다. 달리 말하면, 조립체(10)는 횡 방향 - 전진 방향(DSF)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 중에, 제1 램핑 서브 변부(28A1)는 94C로 표시된 칩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재료를 작업 편(92)으로부터 제거한다. 인서트(14A)는 비교적 큰 램핑 서브 변부로 인해 램핑 과정 동안 비교적 큰 칩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재료 제거는 절삭 변부의 비교적 긴 부분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또한 주목할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 상기 작업은 제6 접촉점(X6)으로부터 제1 램핑 서브 변부(28A1)의 직선 부분(36S1)의 단부, 즉 불연속점(42D2)까지 연장되는 제1 절삭 변부(26A)의 일부분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플런저 작동에서, 조립체(10)는 전방 방향(DF)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 중에, 제1 측부 서브 변부(28B1), 제1 이송 서브 변부(28C1) 및 심지어 제1 램핑 서브 변부(28A1)의 각각은, 그 아래에 재료가 있다면, 공작물(92)로부터 재료를 제거할 수 있다. 비교적 큰 인서트 램핑 및 접근 각(k0, k1)은 표면 피니쉬(finish)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램핑 및 이송 작동 기능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재료 제거는 절삭 변부의 비교적 긴 부분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또한 주목할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작업은 제1 측부 서브 변부(28B1)의 직선 부분(38S1)의 단부, 즉 불연속점(44D2)으로 부터 제1 램핑 서브 변부(28A1)의 직선 부분(36S1) 즉 불연속점(42D1)까지 연장되는 제1절삭 변부(26A)의 일부분에 의해 수행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할 때 선택적인 인서트 특징부들이 도시된다.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명백하게 도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예시된 인서트(114A)의 상기 특징은 상기 인서트(14A)에 대응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인서트(114A)는 마주보는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118A,118B) 및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118A,118B)을 연결하는 인서트 주변 표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서트(114A)는 인서트 주변 표면(120)의 마주보는 측부를 향해 개방되는 인서트 나사 구멍(112)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삭 변부(126A)는 인서트 주변 표면(120)과 제1 레이크 표면(118A)의 교차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절삭 변부(126B)는 인서트 주변 표면(120)과 제2 레이크 표면(118B)의 교차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절삭 변부(126A, 126B)는 동일할 수 있고, 각각은 다른 것과 관련하여 아래 설명에서 언급된 모든 특징을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118A,118B)은 동일할 수 있으며, 각각은 하기 모든 특징을 갖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1 절삭 변부(126A)는 제1 램핑 서브 변부(128A1); 제1 측부 서브 변부(128B1); 제1 램핑 서브 변부(128A1) 및 제1 측부 서브 변부(128B1)에 연결된 제1 이송 서브 변부(128C1); 제1 측부 서브 변부(128B1)에 연결된 제2 램핑 서브 변부(128A2); 제1 램핑 서브 변부(128A1)에 연결된 제2 측부 서브 변부(128B2); 제2 램핑 서브 변부(128A2) 및 제2 측부 서브 변부(128B2)에 연결된 제2 이송 서브 변부(128C2)를 포함한다.
제1 레이크 표면(118A)은 제1 절삭 변부(126A)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는 랜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랜드(130)의 더욱 내측은 랜드(130)와 중간 레이크 표면 영역(134) 사이에서 연장되는 슬로핑 부분(132) 일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의 인서트(14A)와 다른 점은, 제2 실시예의 인서트(114A)의 각 중간 레이크 표면 영역(134)이 평면일 수 있다는 것이다.
도 5C에 가장 잘 도시된 것처럼,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128A1, 128A2, 128C1, 128C2)는 이들이 모두 연결된 측부 서브 변부(128B1, 128B2)에 근접함에 따라 수렴한다. 예를 들어, 제1 이송 서브 변부(128C1)는 제1 측부 서브 변부(128B1)에 근접함에 따라 제2 램핑 서브 변부(128A2)에 더 가깝다.
인서트(114A)는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118A, 118B)의 중심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레이크 축(AK)을 포함할 수 있다(도 5C).
중간 길이 평면(PL)(도 5B)은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118A, 118B)의 종 방향 치수를 따라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을 이등분할 수 있다.
중간 두께 평면(PT)(도 5A 및 도 5C)은 중간 길이 평면(PL)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또한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118A, 118B)을 이등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중간 두께 평면(PT)은 레이크 축(AK)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118A, 118B)을 이등분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중간 높이 평면(PH)은 중간 길이 및 두께 평면(PL,PT)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또한 제1 및 제2 측부 서브 변부(128B1, 128B2)로부터 동일하게 이격되는 동안 인서트(114A)를 이등분할 수 있다.
높이 축(AH)은 레이크 축(AK)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중간 두께와 높이 평면(PT,PH)들의 교차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인서트 나사 구멍(122)은 인서트(114A)의 중앙에 있을 수 있고, 인서트 나사 구멍 축(AS)은이 비제한적인 예에서 높이 축(AH)과 동축 일 수 있다.
인서트(114A)는 제1 레이크 표면(118A)위에서 2개의 인덱싱 가능한 위치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서트(114A)는 제2 인덱싱 가능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레이크 축(AK)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114A)는 레이크 축(AK)을 중심으로 180° 회전 대칭일 수 있다.
인서트(114A)는 대안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 추가적으로, 제2 레이크 표면(118B)위에서 2개의 추가적인 인덱싱 가능한 위치를 허용하면서 역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서트(114A)는 중간 높이 및 두께 평면(PH,PT)의 교차부를 따라 배열되고 이 예에서 높이 축(AH)에 대응하는 축을 중심으로 180° 회전 대칭일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각각의 램핑 서브 변부(128A1, 128A2)는 직선 부분(136S1, 136S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램핑 서브 변부(128A1, 128A2)는 또한 직선 부분(136S1, 136S2)의 각 측부에 연결된 한 쌍의 코너 부분(136C1, 136C2, 136C3, 136C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측부 서브 변부(128B1, 128B2)는 직선 부분(138S1, 138S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측부 서브 변부(128B1, 128B2)는 또한 직선 부분(138S1, 138S2)의 각 측부에 연결된 한 쌍의 코너 부분(138C1, 138C2, 138C3, 138C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이송 서브 변부(128C1,128C2)는 직선 부분(140S1,140S2)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이송 서브 변부(128C1,128C2)는 직선 부분(140S1,140S2)의 각 측부에 연결된 한 쌍의 코너 부분(140C1, 140C2, 140C3, 140C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직선 부분(136S1,136S2,138S1,138S2,140S1,140S2)은 불연속점들(142D1,142D2,142D3,142D4,144D1,144D2,144D3,144D4,146D1,146D2,146D3,146D4) 즉 변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환되는 위치에서 끝난다.
제2 실시예의 인서트(114A)는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들을 연결하는 코너 부분들이 곡선 형상을 갖지 않고 예리한 코너 부분(반면에 상기 제1 실시예 인서트(14A)는 모든 코너 부분이 구부러진 인서트를 예시한다)인 점에서 상기 제1 실시예 인서트(14A)와 다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램핑 서브 변부(128A1)는 예리한 램핑 코너 부분(136C2)을 포함하고 제1 이송 서브 변부(128C1)는 예리한 이송 코너 부분(140C1)을 포함한다. 연결점(X6)은 인접한 예리한 코너 부분(136C2,140C1) 사이에 위치한다.
이송 코너 부분(140C1) 및 인접한 램핑 코너 부분(136C2) 중 하나에 관해 예로써 설명하는 도 5D에 주목하면, 둘 다 예리한 형상을 갖거나 다르게 설명하면, 예리한 모서리 변부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 결과 직선 연장부(139)가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직선 연장부(139)는 인접한 램핑 및 이송 불연속점(142D2, 146D1)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직선 연장 부(139)는 도시된 것처럼, 관련된 램핑 및 이송 변부(128A1, 128C1) 중 어느 하나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직선 연장부(139)(또는 대안적으로 예리한 인접한 이송부 및 램핑 코너를 포함)를 포함하는 인서트가 기계 가공되는 표면(137)과 평행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직선 연장 부(139)를 가지며 배향될 수 있다. 직선 연장 부(139) 및 인접한 제1 램핑 서브 변부(128A1)로 형성된 내부 각은(본 청구항을 위해) 계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설명은 직선 연장 부(139) 및 인접한 제1 이송 서브 변부(128C1)뿐만 아니라 다른 직선 연장부에도 적용된다.
또한, 직선 연장 부(139) 및 인접한 제1 램핑 서브 변부(128A1) 사이에 형성된 제1 내부각(R1)은 직선 연장 부(139)와 인접한 제1 이송 서브 변부(128C1) 사이에 형성된 제2 내부각(R2)과 상이하고 즉 동일하지 않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1 및 제2 내부각(R1, R2)은 모두 180°보다 작다. 제1 내부각(R1)은이 비 제한적인 예에서 171°이다. 이 비 제한적인 예에서 제2 내부각(R2)은 163°이다. 이들 각도는 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직선 연장부(139)는 기계 가공되는 표면(137)과 평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각들은 인서트 램핑 및 접근 각(k0, k1)과 관련되며 이로부터 계산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직선 연장 부(139)는 상기 이송 코너 부분(140C1)이 상기 표면(137)으로부터 상기 램핑 코너 부(136C2)보다 약간 더 길다(비록 그 차이가 미크론의 크기, 바람직하게 5 내지 25미크론으로 측정되더라도 이 배율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따라서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인서트(114A)가 횡 방향(DS1)으로 이동됨에 따라, 표면(137)의 마무리가 약간 개선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인서트 및 공구는 고 이송 작업을 위한 것이고(상기 제1 실시예의 인서트가 임의의 다른 수정 없이 예리한 인접한 이송 및 램핑 코너를 가질 수 있음을 주목한다) 표면 마무리 작업은 비 황삭 작업을 위한 인서트 및 공구보다 여전히 떨어진다.
또한, 예리한 변부를 제공하면 열악한 공구 수명을 가지는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무리의 경미한 향상은 공구 수명의 가능한 모든 단점을 상쇄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마지막으로, 예리한 코너 부분을 이용함으로써, 이송 및 램핑 서브 변부가 짧아지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직선형 연장부(139)는 0.5mm 내지 2.0mm 사이의 길이를 갖는다. 0.5mm에 가까운 값이 상기 이유 때문에 선호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실시예의 인서트(14A)와 비교하여, 현재 예시된 제2 실시예인 인서트(114A)는 램핑 변부보다 긴 이송 서브 변부를 갖는다. 이는 예시된 제2 실시예의 인서트(114A)가 설계된 더 작은 공구 직경(특히, 직경이 32mm인 공구, 바람직하게 더 작은 공구 직경)을 보상하기 위해 절삭 깊이를 증가시키는 것을 돕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설계는 원한다면 더 큰 직경을 위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코너 부분의 형상 및 서브 변부 길이는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이전의 제1 실시예의 인서트(14A)와 유사한 인서트는 인접한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에서 예리한 코너 부분을 갖도록 변형될 수 있고, 동일한 길이 또는 상이한 길이의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제1 실시예 인서트(14A)과 유사하게, 서브 변부들의 직선 부분은 평행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5C에서 이송 및 램핑 서브 변부가 동일하지 않은 길이를 갖기 때문에, 제1 및 제2 절삭 변부(126A,126B)는 서로 약간 벗어난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주변 표면(120)의 평평한 부분의 작은 왜곡(148A, 148B, 148C, 148D)에 의해 유사한 결과가 도 5A에 도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동일하지 않은 길이는 제조를 복잡하게 하고, 도 5A에 도시된 분리 라인(150A, 150B)을 형성하며 절삭 인서트(114A)의 주변 표면(120)에서 볼 수 있는 절단 다이 제조설계를 가진다.
상대 치수의 예들의 세트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각 측부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의 길이는 0.45mm 일 수 있고; 각 램핑 이송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의 길이는 2.5mm가될 수 있고, 각 이송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의 길이는 3.6mm일 수 있다. 불연속점들(146D1, 142D2) 사이의 거리는 0.6mm 일 수 있다. 측부 서브 변부와 램핑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들 사이에서 코너의 반경 곡률은 0.85mm 일 수 있고, 측부 서브 변부와 이송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들 사이에서 코너의 반경 곡률은 1.00 mm일 수 있다.
도 5A 및 5B에 도시된 또 다른 차이점에 의하면, 예시된 절삭 변부(126A, 126B)는 높이 평면(PH)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인 부분을 포함하기보다는 단일 평면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인서트가 공작물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배향될 때, 공작물 표면(137)에 대해 하기 각도가 형성될 것이다. 제1 램핑 서브 변부(128A1)는 9°의 표면(137)을 가진 인서트 램핑 각(k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이송 서브 변부(128C1)는 17°의 표면(137)을 가진 인서트 접근 각(k1)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인서트 접근 각(k1)은 인서트 램핑 각(k0)의 각도 확장의 약 2배이다. 바람직하게, 인서트 접근 각(k1)은 17°± 3°범위를 가진다.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예 및 세부 사항을 포함하고, 본원의 청구 범위로부터 예시되지 않은 실시예 및 세부 사항을 배제하지 않는다.
10......공구 조립체,
12......공구,
14......램핑 인서트,
16......나사.

Claims (19)

  1. 마주보는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들;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을 연결하는 인서트 주변 표면; 인서트 주변 표면의 마주보는 측부를 향해 개방되는 인서트 나사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나사 구멍은 인서트 나사 구멍 축을 가지며; 상기 인서트 주변 표면과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들 중 대응하는 하나의 교차부를 따라 연장되는 제1 및 제2 절삭 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절삭 변부들 각각은, 제1 램핑 서브 변부; 제1 측부 서브 변부; 상기 제1 램핑 서브 변부 및 상기 제1 측부 서브 변부에 연결된 제1 이송 서브 변부; 상기 제1 측부 서브 변부에 연결된 제2 램핑 서브 변부; 상기 제1 램핑 서브 변부에 연결된 제2 측부 서브 변부; 상기 제2 램핑 서브 변부 및 상기 제2 측부 서브 변부에 연결된 제2 이송 서브 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 각각은 각각의 상기 측부 서브 변부보다 길며; 각각의 레이크 표면의 최대 레이크 표면 길이는 레이크 표면의 제1 및 제2 측부 서브 변부들 사이에서 측정 가능하며; 상기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들 각각은 상기 서브 변부들이 모두 연결된 상기 측부 서브 변부에 근접함에 따라 수렴하며; 각각의 램프 서브 변부는 이송 서브 변부에 가장 가까운 램핑 서브 변부의 코너 부분인 예리한 램프 코너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의 이송 서브 변부는 상기 예리한 램프 코너 부분들 중 하나에 인접한 예리한 이송 코너 부분을 포함하고; 예리한 램프 부분과 예리한 이송 코너 부분의 불연속점들사이에 직선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2.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램핑 및 이송 서브 변부들의 연결점은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을 이등분하고 상기 인서트 나사 구멍 축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들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레이크 축을 또한 포함하는 중간 두께 평면의 상이한 측부들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이송 서브 변부는 각각의 상기 램핑 서브 변부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서트 주변 표면은 릴리프 부분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부 서브 변부는 직선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부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은 동일한 레이크 표면상의 측부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과 단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직선 부분은 각각의 상기 램핑 서브 변부의 전체 길이의 13% ± 5%인 길이를 가지는 특징 및/또는 각각의 이송 서브 변부의 전체 길이의 13% ± 5%인 길이를 가지는 특징을 포함하는 램핑 인서트.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을 이등분하고 상기 인서트 나사 구멍 축과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들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레이크 축을 포함하는 중간 두께 평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직선 부분은 상기 중간 두께 평면에 평행하고 상기 인서트 나사 구멍 축에 평행하게 측정 가능한 상기 인서트의 최대 두께의 15% ± 5%인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레이크 축; 상기 레이크 축과 상기 인서트 나사 구멍 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을 이등분하는 중간 두께 평면;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을 이등분하고 상기 중간 두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간 길이 평면;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두께 평면 및 상기 중간 길이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간 높이 평면; 레이크 축에 평행하게 측정 가능한 최대 높이; 상기 인서트 나사 구멍 축에 평행하게 측정 가능한 최대 두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대 높이는 상기 최대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레이크 축; 상기 레이크 축과 상기 인서트 나사 구멍 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을 이등분하는 중간 두께 평면;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을 이등분하고 상기 중간 두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간 길이 평면; 상기 제1 및 제2 레이크 표면들사이의 중간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두께 평면 및 상기 중간 길이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간 높이 평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레이크 축을 중심으로 180° 회전 대칭인 특징; 및/또는 인서트 나사 구멍 축을 중심으로 180°회전 대칭인 특징을 포함하는 램핑 인서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레이크 표면의 중간 레이크 표면 영역은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연장부와 상기 인접한 제1 램핑 서브 변부 사이에 형성된 제1 내부각(R1)과, 상기 직선 연장부 및 인접한 제1 이송 서브 변부사이에 형성된 제2 내부각(R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각(R1)은 제2 내부각(R2)과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각(R1)은 상기 제2 내부각(R2)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연장부는 0.5mm 내지 2.0mm 사이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연장 부는 0.75mm 미만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연장 부는 상기 예리한 이송 코너 부분을 포함하는 이송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의 길이의 4분의 1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연장 부는 상기 예리한 이송 코너 부분을 포함하는 이송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의 길이의 6분의 1보다 작거나 같은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부분은 인접한 이송 서브 변부의 직선 부분의 길이의 70% ± 15%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절삭 변부는 평면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핑 인서트.
KR1020197001450A 2016-06-22 2017-06-06 램핑 인서트 및 고 이송 밀링 공구 조립체 KR102330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89,415 US9901992B2 (en) 2014-12-23 2016-06-22 Ramping insert and high-feed milling tool assembly
US15/189,415 2016-06-22
PCT/IL2017/050630 WO2017221232A1 (en) 2016-06-22 2017-06-06 Ramping insert and high-feed milling tool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824A true KR20190027824A (ko) 2019-03-15
KR102330032B1 KR102330032B1 (ko) 2021-11-24

Family

ID=5922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450A KR102330032B1 (ko) 2016-06-22 2017-06-06 램핑 인서트 및 고 이송 밀링 공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3475019A1 (ko)
JP (1) JP7008037B2 (ko)
KR (1) KR102330032B1 (ko)
CN (1) CN109641292B (ko)
BR (1) BR112018076617A2 (ko)
CA (1) CA3025103A1 (ko)
IL (1) IL263140B (ko)
RU (1) RU2018138797A (ko)
TW (1) TW201801827A (ko)
WO (1) WO20172212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718B1 (ko) * 2020-04-16 2021-08-26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2796B2 (en) * 2020-08-14 2023-03-14 Kennametal Inc. Indexable tangential railway wheel milling inserts and cutting tool hold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060A (ko) * 2005-11-07 2007-05-10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날 교환식 팁과 날 교환식 코너 밀링 커터
JP2008036795A (ja) * 2006-08-09 2008-02-21 Tungaloy Corp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KR20100090277A (ko) * 2007-11-28 2010-08-13 이스카 엘티디. 접선식 절삭 삽입체
WO2014156225A1 (ja) * 2013-03-26 2014-10-02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とそれを用いた正面フライスカッ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00383A (en) * 1991-12-16 1994-12-29 Iscar Ltd Exchangeable hard metal cutting inserts
TW431921B (en) * 1998-10-15 2001-05-01 Toshiba Machine Co Ltd End mill tool
IL153252A0 (en) 2002-06-04 2003-07-06 Iscar Ltd Tangential cutting insert and milling cutter
DK1572407T3 (da) 2002-12-04 2007-03-19 Iscar Ltd Tangentialskær og fræser
SE526234C2 (sv) 2003-03-12 2005-08-0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Roterbart skärverktyg samt skär med snedställd planfasegg
JP2008229745A (ja) * 2007-03-16 2008-10-02 Mitsubishi Materials Corp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インサート着脱式転削工具
US8277153B2 (en) 2009-12-02 2012-10-02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nd shim for heavy machining operations
US8449230B2 (en) 2010-08-13 2013-05-28 Ingersoll Cutting Tool Company Cutting insert having concave clearance depressions formed on corner side surfaces
RU2013143313A (ru) 2011-04-25 2015-05-27 Тунгалой Корпорейшн Режущая вставка и индексируемый вращающийся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EP2596889B1 (en) 2011-11-23 2017-04-26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A cutting insert and a milling tool
KR101380884B1 (ko) 2012-06-14 2014-04-02 한국야금 주식회사 양면형 절삭 인서트
US9375793B2 (en) 2013-10-29 2016-06-28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for heavy machining operations
US20150117969A1 (en) * 2013-10-29 2015-04-30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and shim for heavy machining operations
JP5888656B2 (ja) 2014-06-02 2016-03-22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とフライスカッタ
US9901992B2 (en) 2014-12-23 2018-02-27 Iscar, Ltd. Ramping insert and high-feed milling tool assembly
JP6696181B2 (ja) 2016-01-13 2020-05-2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9060A (ko) * 2005-11-07 2007-05-10 스미또모 덴꼬오 하드메탈 가부시끼가이샤 날 교환식 팁과 날 교환식 코너 밀링 커터
JP2008036795A (ja) * 2006-08-09 2008-02-21 Tungaloy Corp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KR20100090277A (ko) * 2007-11-28 2010-08-13 이스카 엘티디. 접선식 절삭 삽입체
WO2014156225A1 (ja) * 2013-03-26 2014-10-02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とそれを用いた正面フライスカッ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718B1 (ko) * 2020-04-16 2021-08-26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08037B2 (ja) 2022-01-25
RU2018138797A (ru) 2020-07-22
IL263140A (en) 2018-12-31
CN109641292B (zh) 2021-03-16
BR112018076617A2 (pt) 2019-04-02
JP2019518617A (ja) 2019-07-04
TW201801827A (zh) 2018-01-16
KR102330032B1 (ko) 2021-11-24
EP3475019A1 (en) 2019-05-01
IL263140B (en) 2022-06-01
CN109641292A (zh) 2019-04-16
CA3025103A1 (en) 2017-12-28
WO2017221232A1 (en)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5936B2 (ja) 割出し可能なインサートドリルとその中央インサート
KR102379339B1 (ko) 인코넬을 기계가공하기 위한 원호 프로파일을 갖는 세라믹 페이스 밀
EP3266547B1 (en) Cutting insert and cutting edge-replaceable rotary cutting tool
EP2946858A1 (en) Cutting tool insert and cutting tool insert holder
KR102320629B1 (ko) 전방 및 후방 챔퍼링 회전 밀링 커터용 별 형상의 절삭 인서트
KR102437495B1 (ko) 절삭 인서트 및 드릴링 공구
KR102554780B1 (ko) 곡선의 이차 절삭 에지와 코너 절삭 에지를 가진 정사각형 형태의 절삭 인서트 및 회전 절삭 공구
CN111386166B (zh) 用于高速进给的铣削和钻削的具有锥形腰部的双面可转位刀片
US9901992B2 (en) Ramping insert and high-feed milling tool assembly
CA2970127C (en) Ramping insert and high-feed milling tool assembly
KR20190027824A (ko) 램핑 인서트 및 고 이송 밀링 공구 조립체
US10137510B1 (en) Rotary cutting tool having axially supported lead cutting insert and a continuous cutting edge
JP2022519440A (ja) 座面が複数の当接要素を備えるインサート・ポケットを有する回転切削体、回転切削工具及びインサート
KR20200121794A (ko) 밀링 공구용의 절삭 인서트 및 공구 본체
KR102588549B1 (ko) 편심 장착을 위한 상보적인 결합 특징부를 갖는 절삭 공구 및 절삭 인서트
CN110582366B (zh) 具有带升高拐角和降低拐角的不同矩形面的切削刀具及切削工具
WO2016171201A1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JP2003048110A (ja) 穴明け工具
US20210138563A1 (e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assembly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