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553A -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553A
KR20190027553A KR1020170114481A KR20170114481A KR20190027553A KR 20190027553 A KR20190027553 A KR 20190027553A KR 1020170114481 A KR1020170114481 A KR 1020170114481A KR 20170114481 A KR20170114481 A KR 20170114481A KR 20190027553 A KR20190027553 A KR 20190027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ressure
portable terminal
pressure sensing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엽
김본기
문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to KR1020170114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7553A/ko
Priority to JP2018105421A priority patent/JP2019049962A/ja
Priority to CN201810869584.4A priority patent/CN109471548A/zh
Priority to US16/124,848 priority patent/US20190073077A1/en
Publication of KR2019002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측면에 형성되어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터치 압력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소정 조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 사이드 조작키를 대체하는 터치 압력 감지부를 각 조작키가 형성될 영역의 커버 내부에 실장함으로써, 단말기의 방수 및 방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OUCH PRESSURE DETECTOR ON SIDE OF THE SAME}
본 발명은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측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터치 압력 감지부를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외형 및 작동상태에 따라 바 타입(bar type), 플립 타입(flip type), 폴더 타입(folder type),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및 스윙 타입(swing type)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거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각종 음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사이드 조작키가 설치된다.
그런데, 사이드 조작키는 별도의 스위치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원가가 상승하고 조립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사이드 조작키의 접합부가 완벽하게 밀폐되지 않아 방수 성능을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 추세에 부합하여 전면 홈 버튼을 없애고, 사이드 키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는 디자인 설계 방법이 다수 제안되고 있지만, 물리적인 사이드 조작키의 면적을 줄이는 설계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를 슬림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측면의 내부 실장공간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배치하여 외부로 노출된 물리적인 사이드 조작키를 대체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측면에 형성되어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터치 압력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소정 조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미드 프레임 또는 백 커버로부터 연장된 측면부의 실장 공간 또는 측면부 내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고,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비활성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터치 감지부를 통해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터치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비활성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터치 압력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터치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 상기 터치 압력의 크기, 또는 상기 터치 압력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조건과 상기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기준 크기 이상이고,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가 복수의 측면 영역 중 제1 영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기준 크기 이상이고,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가 복수의 측면 영역 중 제2 영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의 모드를 진동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변경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기준 크기 이상이고,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가 복수의 측면 영역 중 제3 영역인 경우, 상기 터치 압력의 패턴에 따라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는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더 감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는 상부면이 상기 단말기의 측면 커버 내측에 접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는 상호 정전용량, 자기 정전용량,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압력 감지 저항(force sensing resistor), 진동수 변화, 또는 열전도율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상기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가 형성된 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기의 측면부 외부에 인디케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감지부는 전극으로 형성된 압력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가 변경되는 트레이스, 또는 MEMS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가 형성된 상기 측면부는, 적어도 일부가 비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로팅된 상태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 사이드 조작키를 대체하는 터치 압력 감지부를 각 조작키가 형성될 영역의 내부에 실장함으로써, 단말기의 방수 및 방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를 파지하는 동작과 터치 압력 감지부를 조작하는 동작을 구분하여 터치 압력 감지부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 또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 설정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압력 감지부가 형성된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또는 터치 압력 감지부를 조작하는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4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측면 조작키가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미드 프레임에 측면 사용자 입력부가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후면 커버에 측면 사용자 입력부가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터치 압력을 이용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측면 사용자 입력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측면 사용자 입력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압력 감지부의 예시적인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압력 감지부의 배치 위치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압력 감지부의 다른 배치 위치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압력 감지부의 또 다른 배치 위치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압력 감지부의 또 다른 배치 위치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압력 감지부의 또 다른 배치 위치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가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위치, 터치 압력 및 이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블록을 예시한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감지부 및 이의 동작을 위한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이 스마트폰에 적용된 한가지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휴대용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용 단말기(100)와 다른 휴대용 단말기(100) 사이,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하며,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방송 수신 모듈이 휴대용 단말기(10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장치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지만, 장치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140)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키(touch key)는 휴대용 단말기(100) 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 들어, 전원키 영역, 볼륨키 영역 등에 형성되거나,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등분된 측면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단말기 측면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키(touch key)는 터치 여부와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패널(TSP) 또는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압력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휴대용 단말기(100) 측면에 형성된 터치 키(touch key)를 측면 사용자 입력부라 한다.
센싱부(140)는 장치 내 정보, 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터치 압력 센서(touch pressure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휴대용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와 윈도우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로부터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컨트롤러는 감지된 터치 위치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에서 감지된 신호 또는 이를 디지털로 변환한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고, 제어부(180)가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악이나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휴대용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휴대용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압력에 기초하여 터치 명령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크기 미만의 터치 입력을 터치된 영역에 대한 선택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압력 터치를 추가적인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압력 터치'는 임계압력보다 큰 압력의 터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임계압력은 적용되는 장치, 응용분야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계압력을 고정된 크기의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 크기는 하드웨어 특성, 소프트웨어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임계압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의 측면에서 외부로 노출된 사이드 조작키를 구비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으나,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휴대용 단말기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프론트 케이스(1010)와 리어 케이스(10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0)와 리어 케이스(10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0)와 리어 케이스(10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고, 리어 케이스(1020)는 측면 커버를 포함한다. 이하, 리어 케이스(1020)는 측면 커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0)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0)의 윈도우(1510a)는 프론트 케이스(1010)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0)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0)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0)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0)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 커버(10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0)가 리어 케이스(1020)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0)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1030)가 리어 케이스(1020)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0)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0)는 후면 커버(103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 커버(1030)에는 카메라(1210b)나 음향 출력부(1520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0, 1020, 1030)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휴대용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0a)와 프론트 케이스(1010)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0)와 리어 케이스(1020)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0)와 후면 커버(1030)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는 디스플레이부(1510),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0a, 1520b), 근접 센서(1410), 조도 센서(1420), 광 출력부(1540), 제1 및 제2 카메라(1210a, 1210b), 제1 내지 제4 조작유닛(123a-123d), 마이크로폰(1220), 인터페이스부(160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제2 조작유닛(123b)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조작유닛(123a-123d)은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0)의 일 예로서, 조작키(manipulating portion)로 통칭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조작유닛(123a-123d)은 가압에 의해 물리적인 버튼이 눌려져 리어 케이스(1020) 내부에 형성된 접속부에 스위칭됨으로써 제어부(1800)로 조작유닛의 조작 여부를 전달하게 된다. 제1 내지 제4 조작유닛(123a-123d)은 물리적인 키 하부에 돔 키가 형성되어, 물리적인 키를 누르면 돔 키가 눌려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조작유닛(123a-123d) 중 하나는 단말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키로 사용되고, 하나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진동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상호 전환하는 단말기의 모드 전환키로 사용되고, 나머지 두 개의 조작유닛은 볼륨을 크게 또는 작게 조절하는 볼륨 조절키로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측면에 형성된 조작유닛의 개수 및 할당된 기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앞서 설명한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와 다른 구성 및 기능은 유사하며, 제1 내지 제4 조작유닛에 대응하는 측면 사용자 입력부의 구성 및 동작원리가 상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조작키인 제1 내지 제4 조작유닛(123a 내지 123d)에 대응하는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내지 123d')가 단말기의 바디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단말기의 측면 커버 외측에는 물리적으로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내지 123d')가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은 단말기의 바디 내부를 투사한 영역을 의미한다. 도 3a 내지 도 3b에서는 4개의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내지 123d')를 예시하였으나,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할 수 있고, 각 측면 전체 영역을 측면 사용자 입력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의 측면 중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영역(전원키 영역, 볼륨 조절키 영역 등)에만 터치 키(touch key)를 형성하거나, 단말기의 측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등분하여 적어도 한 영역에 터치 키를 형성하거나, 또는 단말기 측면 전체 영역에 터치 키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키는 터치 여부와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또는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측면부 외부에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내지 123d')의 위치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id1 내지 id4)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id1 내지 id4)는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거나, 커버에 특정 패턴을 음각 또는 양각으로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id1 내지 id4)는 측면부 내측에 LED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측면부는 프론트 케이스, 미드 프레임 또는 후면 커버로부터 단말기의 측면으로 연장된 부분이거나 또는 측면 커버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를 A-A'를 기준선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통해 단말기의 바디 내부에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내지 123d')가 형성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미드 프레임은 앞서 설명한 리어 케이스(102)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휴대용 단말기는 미드 프레임과 별개로, 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 커버(10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휴대용 단말기를 A-A'를 기준선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측면 조작키(123a, 123b) 또는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들 중 일부는 생략하거나 또는 형태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측면 조작키가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a에 도시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A-A'를 기준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미드 프레임(102)의 측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외부로 노출된 측면 조작키(123a, 123b)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미도시)가 더 형성되어, 측면 조작키(123a, 123b)의 일부가 단말기의 미드 프레임(102)과 연결되고, 나머지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후면 커버(103)가 단말기의 측면으로 연장된 부분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외부로 노출된 측면 조작키(123a, 123b)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미도시)가 더 형성되어, 측면 조작키(123a, 123b)의 일부가 단말기의 후면 커버(103)와 연결되고, 나머지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로 노출된 측면 조작키(123a, 123b)를 가압하여 미드 프레임(102)에 형성된 도전체(예, PCB: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와 접속하게 함으로써,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측면 조작키(123a, 123b)가 눌려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 각 조작키(123a, 123b)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단말기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측면에 전원키(123a), 단말기 모드 조절키(123b) 등을 물리적으로 형성한 후, 전원키(123a)를 가압하여 단말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로 변경하거나, 단말기 모드 조절키(123b)를 가압하여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진동모드 또는 일반모드로 상호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모드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단말기의 동작모드에 따라, 음성모드, 진동모드 또는 무음모드 중 하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미드 프레임에 측면 사용자 입력부가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후면 커버에 측면 사용자 입력부가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휴대용 단말기는 후면 커버(103), 미드 프레임(102), 디스플레이 패널(151), 및 프론트 케이스(101)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며, 미드 프레임(102) 또는 후면 커버(103)의 측면 또는 일 영역에 측면 사용자 입력부를 위한 실장 공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실장 공간은 미드 프레임(102) 또는 후면 커버(103)가 측면으로 연장된 부분 내부에 형성되거나, 측면부의 일 측면이 오픈된 공간으로 형성되거나, 커버 측면과 격벽(B)의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커버 측면의 임의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 측면의 임의의 공간은 커버 측면에 압력 감지부가 부착된 경우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정의한 것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미드 프레임(102)의 측면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 내부 실장공간(R)이 형성되고, 내부 실장공간(R)에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가 배치될 수 있다. 측면부의 내부 실장공간(R)은 미드 프레임을 하나의 몰드로 형성한 후 측면부의 내부 실장공간(R)에 대응하는 공간을 잘라내거나 또는 미드 프레임의 측면부 형성 시 내부 실장공간(R)에 대응하는 공간이 채워지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내부 실장공간(R)을 형성할 수 있다.
미드 프레임(102)의 내부 실장공간(R)은 측면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거나, 일 측면 전체 영역에 하나의 내부 실장공간이 형성되거나 또는 양 측면 전체 영역에 내부 실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내부 실장공간(R)에 배치되므로,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압력 감지부는 단말기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미드 프레임(102)의 실장공간(R)의 제1 측면(102l) 또는 제1 측면(102l)에 대향하는 제2 측면(102l') 상에 접착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미드 프레임(102)의 측면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일 측면이 오픈된 오목한 실장공간(R)을 형성하여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측면 커버(104)가 실장공간(R)의 오픈된 일 측면을 덮도록 단말기의 측면에 결합하면, 오목한 실장공간(R)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미드 프레임(102)의 측면 실장공간(R)은 미드 프레임(102)의 측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거나, 일 측면 전체 영역 또는 양 측면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실장공간(R) 내에 배치된 후 측면 커버(104)가 결합하면,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며, 압력 감지부는 단말기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측면 커버(104)의 내 측면(104l') 또는 실장공간(R)의 제2 측면(102l') 상에 접착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측면부의 내 측면 상에 형성된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의 내측면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영역이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측면부의 내 측면과 소정의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측면부의 내측벽과 소정의 거리 이격된 격벽(B)를 더 포함하고, 측면부의 내 측면과 격벽(B) 사이의 실장공간(R)에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격벽(B)는 미드 프레임(102)과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미드 프레임(102)과 분리된 격벽(B)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측면부의 내측벽에 또는 격벽(B) 상에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고, 측면부 외부로는 노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측면부의 실장공간(R)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가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측면부 내부 실장공간(R)의 제1 측면(102l), 제2 측면(102l'), 측면 커버(104)의 내측면(104l'), 측면 커버(104)의 외측면(104l), 미드 프레임(102)의 내측벽(미도시) 또는 격벽(B)의 일면(102l")이 기준전위층이 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지부의 내부에 별도의 기준전위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후면 커버(103)가 측면으로 연장되어 측면부를 구성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로, 미드 프레임(102), 후면 커버(103)의 구조만 상이할 뿐,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후면 커버(103)가 측면으로 연장된 측면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실장공간(R)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실장공간(R)에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 커버(103)의 내부 실장공간(R)은 후면 커버(103)의 측면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거나, 일 측면 전체 영역 또는 양 측면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후면 커버(103)의 내부 실장공간(R)에 배치되므로,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측면부의 내부 실장공간(R)은 실장공간의 위치 및 구조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압력 감지부는 단말기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후면 커버(103)의 실장공간(R)의 제1 측면(103l) 또는 제1 측면(103l)에 대향하는 제2 측면(103l') 상에 접착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후면 커버(103)의 측면부 중 적어도 일 영역에 오목한 실장공간(R)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측면 커버(104)가 단말기의 측면에 결합하면, 오목한 실장공간(R)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후면 커버(103)의 측면 실장공간(R)은 후면 커버(103)가 단말기의 측면으로 연장된 부분 중 분리된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거나, 일 측면 전체 영역 또는 양 측면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실장공간(R)에 배치된 후 측면 커버(104)가 결합하면,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며, 압력 감지부는 단말기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측면 커버(104)의 내측면(104l') 또는 실장공간(R)의 제2 측면(103l') 상에 접착될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후면 커버(103)의 측면부 내측벽 상에 형성된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의 내측벽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영역이며, 미드 프레임(102)의 하면 및 후면 커버(103)의 하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면부 내측벽에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의 (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측면부의 내측벽과 소정의 거리 이격된 격벽(B)를 더 포함하고, 측면부의 내측면과 격벽(B) 사이의 실장공간(R)에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격벽(B)는 미드 프레임(102)과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미드 프레임(102)과 분리된 격벽(B) 형태로 형성되거나, 후면 커버(10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후면 커버(103)의 측면부 내측벽(격벽(B)와 대향하는 면)에 또는 격벽(B)의 일면(102l")에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고, 측면부 외부로는 노출되지 않는다.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측면부의 실장공간(R)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가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측면부 내부 실장공간(R)의 제1 측면(103l), 제2 측면(103l'), 측면 커버(104)의 내 측면(104l'), 측면 커버(104)의 외 측면(104l), 후면 커버(103)의 내측벽(미도시) 또는 격벽(B)의 일면(102l")이 기준전위층이 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지부의 내부에 별도의 기준전위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서는 측면 사용자 입력부가 미드 프레임(102)의 측면부, 또는 후면 커버(103)의 측면부에 터치 키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프론트 케이스(101)가 측면으로 연장되는 경우,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부에 터치 키가 형성될 수 있고, 후면 커버(103)의 측면부에 터치 키가 형성된 경우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터치 압력을 이용한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터치 압력을 이용한 제어방법은 측면 터치 압력을 감지하고(S110), 감지된 측면 터치 압력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120). 판단 결과, 측면 터치 압력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소정 조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13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의 내부 실장공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는 단말기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된 터치 압력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소정 조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 터치 압력의 크기, 또는 터치 압력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소정 조건과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가 전원키 영역인지, 단말기 모드 전환키 영역인지, 볼륨 조절키 영역인지 등의 위치와, 터치 압력의 크기 레벨과, 터치 압력 패턴 등을 고려하여 소정 조건과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소정 조건과 대응하는 기능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 및 설정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터치 압력이 기준 크기 이상이고,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가 전원키 영역인 경우, 단말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터치 압력이 기준 크기 이상이고,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가 단말기의 모드 전환키 영역인 경우, 단말기의 모드를 진동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변경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터치 압력이 기준 크기 이상이고,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가 볼륨 조절키 영역인 경우, 터치 압력의 패턴에 따라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 이외에, 제어부는 각 압력 감지부에 대한 터치 압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단말기의 제1 측면의 제1 측면 사용자 입력부(제1 압력 감지부)에 대한 압력 터치를 수신하는 경우, 볼륨을 증가시키고, 제2 측면의 제2 측면 사용자 입력부(제2 압력 감지부)에 대한 압력 터치를 수신하는 경우, 볼륨을 감소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각 측면의 압력 감지부에 대한 압력 터치 횟수 또는 압력 터치 크기에 따라 볼륨의 크기를 점차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는 터치 위치, 압력 터치 크기, 횟수, 터치 패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측면 사용자 입력부에 대한 압력 터치와 단말기의 기능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햅틱 모듈을 통해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비활성 상태로 설정하고, 터치 감지부를 통해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이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경우, 햅틱 모듈을 통해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터치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비활성 상태로 설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터치 압력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터치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압력은 기준압력 이상의 압력 크기의 터치를 의미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파지할 때, 터치 압력을 가하는 일반적인 제스처와 측면 사용자 입력부에 대한 터치 압력을 구분할 수 있도록,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디폴트로 설정한 후,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가 형성된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한 경우에만 측면 사용자 입력부의 조작으로 인지하여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에 대응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측면 사용자 입력부의 기능 활성화를 인지할 수 있도록, 햅틱 피드백을 출력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측면 사용자 입력부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는 도 5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드 프레임(102) 또는 후면 커버(103)의 측면부 내부 실장공간(R)의 적어도 일 측면, 측면부의 내측벽, 또는 상기 측면부의 내측벽과 대향하는 격벽(B)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는 단말기의 측면에 수직으로 인가되는 터치 압력에 의해 압력 감지부와 기준전위층 사이의 거리 변화가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공간은 접착층, 스페이서층, 에어갭, 탄성폼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폭을 갖는 공간일 수 있다.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는 소정의 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로 구성되거나(도 8의 (a), (b)), 소정의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로 구성되거나(도 8의 (c)), 소정의 공간(S)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압력 감지부(400-1, 400-2)로 구성되거나(도 8의 (d)), 소정의 공간을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 내부에 포함하는 두 개의 압력 감지부(400-1, 400-2)로 구성될 수 있다(도 8의 (e)).
이때,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는 도 5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측면부의 내부 실장공간, 측면부의 내측면 또는 내측면에 대향하는 격벽(B)에, 상부면이 단말기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지부(400)의 상부에 측면 커버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는 두 물체 사이의 상호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물리적 양을 측정하는 센서로, 힘의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 재료의 변위, 변형, 진동수 변화, 열전도율 변화 등을 감지하여 압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반도체 소자 제작 기술과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기술을 이용하여 초소형, 저전력형 센서로 제작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압력 감지 방식에 따라 전기 저항 변화를 이용한 압저항형(Piezoresistive)과 정전용량 변화를 이용한 정전용량형(Capacitive)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압저항형 방식을 이용한 압력 센서는 MEMS 압력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또는 압력 감지 저항(force sensing resistor)를 포함하고, 정전용량형 방식을 이용한 압력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는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더 감지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는 압력 터치만 감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압력 터치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이 임계압력보다 적은 터치 입력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감지부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는 도 5 내지 도 6의 실장공간(R)의 일 측면, 내측벽 또는 내측벽과 대향하는 격벽(B) 중 적어도 한 측면에 접착시켜 압력 터치에 의해 다른 측면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를 시트 형태로 형성한 경우, 제1,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1, 400-2) 내부 또는 제1,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1, 400-2) 사이에 소정의 공간(S)이 형성되도록, 제1,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1, 400-2)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를 시트 형태로 형성하고, 제1,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1, 400-2) 중 하나에 탄성폼이 형성된 경우, 제1,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1, 400-2) 사이에 소정의 공간(S)을 형성할 필요 없이, 제1,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1, 400-2)를 배치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는 터치 감지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측면 사용자 입력부(123a')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 및 터치 여부와 터치 위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는 압력 터치만 감지하고, 터치 감지부(200)는 압력 터치가 아닌 경우의 터치 입력까지 감지할 수 있고, 터치 위치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가 형성된 영역의 상부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가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측면 전체 영역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00) 및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는 터치 입력 또는 터치 압력이 수직 방향으로 인가되도록 단말기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00)가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경우, 터치 감지부(200)의 상부면이 단말기의 측면 커버 내측에 접착될 수 있다. 반대로, 터치 감지부(200)가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의 상부면이 단말기의 측면 커버 내측에 접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터치 감지부(200)가 압력 감지부(40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00)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 객체가 접촉한 경우뿐만 아니라 근접한 경우에도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표면상에 배치되거나 표면과 가까운 실장공간에 접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감지부(200), 압력 감지부(400) 및 소정의 공간(S)이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터치 감지부(200)와 압력 감지부(400)를 접착하고 압력 감지부(400)와 접착되지 않은 터치 감지부(200)의 일 면을 단말기의 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도 9의 (a)). 이때, 소정의 공간(S)은 에어갭일 수 있다.
또한, 터치 감지부(200), 소정의 공간(S) 및 압력 감지부(400)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터치 감지부(200)를 단말기의 실장공간 중 제1 측면에 부착하고, 압력 감지부(400)를 단말기의 실장공간 중 제2 측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공간(S)은 에어갭일 수 있다(도 9의 (b)). 또한, 소정의 공간(S)이 탄성폼, 접착층 등 물질로 형성된 경우, 터치 감지부(200), 소정의 공간(S) 및 압력 감지부(400)를 일체로 형성한 후, 터치 감지부(200) 또는 압력 감지부(400)의 일면을 단말기의 측면부 실장공간 중 일 면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터치 감지부(200) 또는 압력 감지부(400)가 부착되는 면은 앞서 도 5 내지 도 6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압력 감지부(400)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포함된 경우, 예를 들어, 탄성폼이 압력 감지부 내에 배치된 경우, 단말기의 측면부 실장공간(R)에 터치 감지부(200)와 압력 감지부(400)가 내장되도록 실장공간(R)의 폭을 결정할 수 있다(도 9의 (c)).
압력 감지부(400)를 시트 형태로 형성한 경우, 제1,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1, 400-2) 사이에 소정의 공간(S)이 형성되도록, 제1,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1, 400-2)를 배치하고, 제1 압력 감지부 시트(400-1) 상에 터치 감지부(20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터치 감지부(200)는 실장공간(도 5 내지 도 6의 R)의 제1 측면(도 5 내지 도 6의 102l, 103l)에 배치될 수 있다(도 9의 (d)).
압력 감지부(400)를 시트 형태로 형성하고, 제1,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1, 400-2) 중 하나에 탄성폼이 형성된 경우, 제1,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1, 400-2) 사이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할 필요 없이, 단말기 측면부의 실장공간((도 5 내지 도 6의 R)의 제1 측면(도 5 내지 도 6의 102l, 103l)에 터치 감지부(200)를 배치하고, 순차적으로 제1,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1, 400-2)를 배치하여,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2)를 제2 측면(도 5 내지 도 6의 102l', 103l')에 배치할 수 있다(도 9의 (e)).
이하에서 압력 검출을 위한 구성을 총괄하여 압력 감지부로 지칭한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압력 감지부는 압력 센서(450, 4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압력 감지부의 예시적인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압력 감지부(400)는 일 측이 실장공간(R)의 제1 측면(102l, 103l) 또는 제2 측면(102l', 103l') 중 적어도 일 측면에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정전용량 변화량을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경우, 제1, 제2 압력 센서(450, 460)가 전극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압력 감지부(400)는 제1 절연층(470) 상에 제1, 제2 압력 센서(450, 460)가 형성된 후 제2 절연층(471)이 위치하므로, 제1, 제2 압력 센서(450, 460)가 미드 프레임(102) 또는 후면 커버(103)와 단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실장공간은 압력 감지부(400)와 함께 소정의 공간(S)이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공간(S)은 에어갭, 스페이서층, 탄성폼, 접착층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수 마이크로미터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450)와 제2 압력 센서(460) 중 하나는 구동전극이고, 나머지 하나는 수신전극일 수 있다. 구동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압력이 인가됨에 따라 수신전극을 통해 변하는 전기적 특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기준전위층(또는 '그라운드 전위층' 이라고도 함)은 실장공간의 제1 측면(102l, 103l) 또는 제2 측면(102l', 103l')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 센서(450)와 제2 압력 센서(460) 사이에 상호 정전용량이 생성될 수 있다.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객체를 통해 단말기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하는 경우, 실장공간에 배치된 압력 감지부(400)와 측면 프레임(102), 후면 커버(103) 또는 측면 커버(104)가 휘어져 압력 감지부(400)와 기준전위층 사이의 거리 d가 d'로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거리의 감소에 따라 단말기의 측면으로 프린징 정전용량이 흡수되므로 제1 압력 센서(450)와 제2 압력 센서(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수신전극을 통해 획득된 감지신호에서 상호 정전용량의 감소량을 계산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기준전위층이 제2 측면(102l', 103l')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압력 감지부(400)의 부착면 위치에 따라 기준전위층이 변경된 경우, 예를 들어, 기준전위층이 제1 측면(102l, 103l), 측면 커버의 내측면(104l') 또는 외측면(104l)에 위치한 경우에도 기준전위층과 압력 감지부(400)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량을 획득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450)와 제2 압력 센서(460)는 마름모꼴 형태의 복수의 패턴으로 구성되어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압력 센서(450)는 제1 축 방향으로 서로 이어진 형태이고, 복수의 제2 압력 센서(460)는 제2 축 방향으로 서로 이어진 형태이며, 제1 압력 센서(450) 및 제2 압력 센서(460)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복수의 마름모꼴 형태의 전극이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어 제1 압력 센서(450) 및 제2 압력 센서(460)는 서로 절연된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 터치 압력은 제1 압력 센서(450)와 제2 압력 센서(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로부터 검출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1 압력 센서(450) 및 제2 압력 센서(460) 중 어느 하나의 압력 센서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압력 센서(전극)와 그라운드층 사이의 정전용량, 즉, 자기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구동신호와 수신신호는 하나의 전극으로 인가되고, 수신될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제1 압력 감지부(400-1)와 제2 압력 감지부(400-2)가 스페이서층 내에서 실장공간의 제1 측면(102l, 103l)과 제2 측면(102l', 103l')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압력 감지부(400-1, 400-2)는 시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1 절연층(470) 상에 제1 압력 센서(450) 또는 제2 압력 센서(460)가 형성된 후, 제2 절연층(471)이 형성되고, 제1 절연층(470)이 실장공간의 제1 측면(102l, 103l)과 제2 측면(102l', 103l')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객체를 통해 단말기의 측면 표면에 압력을 인가하는 경우, 단말기의 측면 프레임이 휘어지거나 눌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압력 감지부(400-1)와 제2 압력 감지부(400-2) 사이의 거리(d)가 감소하게 된다. 거리(d) 감소에 따라 수신전극은 제1 압력 감지부(400-1)와 제2 압력 감지부(400-2)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의 증가량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상은 압력 감지부가 실장공간의 제1 측면(102l, 103l)에 배치된 경우 및 제1 압력 감지부(400-1)와 제2 압력 감지부(400-2)가 실장공간의 제1 측면(102l, 103l)과 제2 측면(102l', 103l')에 각각 형성된 경우의 압력 크기 검출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압력 감지부(400)가 실장공간의 제2 측면(102l', 103l')에만 배치된 경우, 터치 감지부(200)가 압력 감지부(400) 상에 더 구비된 경우, 압력 감지부(400) 내부에 탄성폼이 형성되어 스페이서층(S)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압력 크기 검출방법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측면 사용자 입력부가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부에 형성된 경우에도 프론트 케이스 측면부의 실장공간에 터치 키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에서는, 압력 감지부에 포함된 압력 센서(450, 460)가 전극으로 구성되고,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전기적 특성으로 측면 사용자 입력부의 휘어짐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량을 검출하여 압력의 크기를 검출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압력 감지부에 포함된 압력 센서(450, 460)가 정전용량의 변화량 이외의 전기적 특성 변화(예를 들어, 스트레인 게이지, QTC(Quantum Tunnelling Composite)의 전기저항)을 이용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는 경우, 객체를 통해 단말기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하면, 제1 압력 센서(450) 및 제2 압력 센서(460)의 길이 변화(L->L')를 감지하고, 길이 변화를 이용하여 압력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체적인 방법은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QTC를 이용하는 경우, 객체를 통해 단말기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하면, 압력에 의해 QTC 물질 자체의 저항값이 변경되고 변경값을 측정함으로써 압력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5는 정전용량 변화량을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압력 센서가 전극으로 형성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압력 감지부의 예시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소정의 공간(S)이 형성되도록 제1, 제2 전극(450,460)을 포함하는 압력 감지부(400)가 측면부 실장공간의 제1 측면에 접착층(431)을 통해 부착된 경우의 단면을 예시한다. 이때, 압력 감지부(400)에서 제1, 제2 전극(450,460)은 제1 절연층(470)과 제2 절연층(471)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1, 제2 전극(450,460)이 미드 프레임(102) 또는 후면 커버(103)와 단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미드 프레임(102) 또는 후면 커버(103)가 그라운드 전위를 나타내지 않거나 약한 그라운드 전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미드 프레임(102) 또는 후면 커버(103)와 소정의 공간(S) 사이에 그라운드 전극(ground electrode: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그라운드 전극(미도시)은 압력 감지부(400)를 구성하는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 사이에 생성되는 정전용량의 크기가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층에 구현되어 압력 감지부(400)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가 서로 다른 층에 구현된 경우의 단면을 예시한다. 도1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450)은 제1 절연층(470) 상에 형성되고 제2 전극(460)은 제1 전극(450) 상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47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전극(460)은 제3 절연층(472)으로 덮일 수 있다. 즉, 압력 감지부(400)는 제1 절연층(470) 내지 제3 절연층(472), 제1 전극(450) 및 제2 전극(4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므로 서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은 MXN의 구조로 배열된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의 패턴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M 및 N은 1 이상의 자연수 일 수 있다. 또는, 특정 형태의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이 각각 다른 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압력 감지부(400)가 제1 전극(450)만을 포함하여 구현된 경우의 단면을 예시한다. 도 11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공간(S)이 형성되도록, 제1 전극(450)을 포함하는 압력 감지부(400)는 실장공간의 제1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d를 참조하면, 제1 전극(450)을 포함하는 제1 압력 감지부 시트(400-1)가 실장공간의 제1 측면에 부착되고 제2 전극(460)을 포함하는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2)가 실장공간의 제2 측면에 부착된 경우의 단면을 예시한다. 이때, 제1 압력 감지부 시트(400-1)와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2) 사이에 소정의 공간(S)이 형성되고, 제1 압력 감지부 시트(400-1)와 제2 압력 감지부 시트(400-2)는 각각 제1, 제2 접착층(431, 432)을 통해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측면 사용자 입력부가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부에 형성된 경우에도 프론트 케이스 측면부의 실장공간에 터치 키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부(400)는 측면부의 내부 실장공간의 일 측면에 제1 접착제(431)로 부착되어 단말기의 측면에 수직으로 터치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 감지부(400)가 눌려 정전용량 변화량이 감지될 수 있다. 이때, 터치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 감지부(400)의 반대 측면, 즉, 실장공간에 접착되지 않은 측면은 기판(48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지부(400)는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 사이에 탄성폼(440)이 위치하여 압력 터치에 의해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 사이의 거리 변화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폼(440)을 부착하기 위하여, 탄성폼(440)의 양측면에 제2, 제3 접착제(432, 4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기판(480)은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폼(440)의 두께가 변화되도록 상부에 적층된 제1, 제2 전극(450, 460), 제1, 제2, 제3, 제4 절연층(470, 471, 472, 473), 및 탄성폼(440)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전극(460)은 그라운드층으로 기준전위층이 될 수 있고, 압력 감지부(400)가 부착되지 않은 실장공간의 측면 즉, 미드 프레임(102) 또는 후면 커버(103)에 기준전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미드 프레임(102) 또는 후면 커버(103)의 일측이 기준전위층이 되는 경우, 압력 감지부(400)와 미드 프레임(102) 또는 후면 커버(103)의 일측 사이의 소정의 공간(S)의 거리 변화에 의해 압력이 감지될 수 있다.
도 11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부(400)에서 제1, 제2 전극(450, 460)은 제1 절연층(470)과 제2 절연층(471) 사이에 위치한다. 예컨대, 제1 절연층(470) 상에 제1, 제2 전극(450, 460)을 형성한 후 제2 절연층(471)으로 제1, 제2 전극(450, 460)을 덮을 수 있다. 이때, 제1 절연층(470)과 제2 절연층(471)은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절연 물질일 수 있다. 제1 절연층(47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일 수 있고 제2 절연층(471)은 잉크(ink)로 이루어진 덮개층(cover layer)일 수 있다. 제1, 제2 전극(450, 460)은 구리(copper)와 알루미늄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절연층(470)과 제2 절연층(471) 사이 및 제1, 제2 전극(450, 460)과 제1 절연층(470) 사이는 액체 접착체(liquid bond) 와 같은 접착제(미도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제2 전극(450, 460)은, 제1 절연층(470) 위에 압력 전극 패턴에 상응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마스크(mask)를 위치시킨 후 전도성 스프레이(spray)를 분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11f에서 압력 감지부(400)는 탄성폼(440)을 더 포함하며 탄성폼(440)은, 제2 절연층(471)의 일면으로서 제1 절연층(470)과 반대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추후, 압력 감지부(400)가 실장공간의 제2 측면에 부착될 때 제2 절연층(471)을 기준으로 제2 측면 측에 탄성폼(4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압력 감지부(400)를 제2 측면에 부착하기 위해서 소정 두께를 갖는 제2 접착 층(432)이 탄성폼(440)의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접착층(432)은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층(431)은 탄성폼(440)을 제2 절연층(471)에 접착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탄성폼(440) 외곽에 제1, 제2 접착층(431, 432)을 배치시킴으로써 압력 감지부(400)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탄성폼(440)은 소정의 공간(S)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압력 감지부(400) 상부에서 터치하는 경우 탄성폼(440)이 눌려 제1, 제2 전극(450, 460)과 기준전위층(예를 들어, 제2 측면)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전용량 변화를 통해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1g를 참조하면, 도 11f의 변형예로, 탄성폼(440)에 탄성폼(440)의 높이를 관통하는 홀(H: hole)을 형성하여 압력 감지부(400)에 대한 터치시 탄성폼(440)이 잘 눌려지도록 할 수 있다. 홀(H)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탄성폼(440)이 잘 눌려지는 경우 압력 검출의 민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탄성폼(440)에 홀(H)을 형성함으로써 압력 감지부(400)를 제2 측면 등에 부착시에 공기로 인해 탄성폼(440)의 표면이 노출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1h를 참조하면, 도 11b의 변형예로, 제2 절연층(471)의 일면으로서 제1 탄성폼(440)과 제1 절연층(470)의 일면에 제2 탄성폼(441)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1 탄성폼(440)은 압력 감지부(400)가 부착되었을 때 단말기의 미드 프레임 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폼(441)을 제1 절연층(470)에 접착하기 위해 제3 접착층(4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i를 참조하면, 탄성폼(440)을 사이에 두고 제1 그룹 전극(450, 451)과 제2 그룹 전극(460, 461)이 배치된 압력 감지부(400)의 구조가 도시된다. 제1 그룹 전극(450, 451)은 제1 절연층(470)과 제2 절연층(471) 사이에 형성되고 제1 접착 층(431), 탄성폼(440) 및 제2 접착층(4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그룹 전극(460, 461)은 제3 절연층(472)과 제4 절연층(473) 사이에 형성되고 제4 절연층(473)이 제2 접착층(432)을 통해 탄성폼(440)의 일면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3 절연층(472)의 기판측 일면에는 제3 접착층(4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접착층(433)을 통해 압력 감지부(400)는 단말기의 측면 실장공간의 제2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된 압력 감지부(400)는 제2 절연층(471) 및/또는 제4 절연층(473)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접착층(431)이 제1 그룹 전극(450, 451)을 직접 덮는 커버층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탄성폼(440)을 제1 절연층(470) 및 제1 그룹 전극(450, 451)에 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층(432)이 제2 그룹 전극(460, 461)을 직접 덮는 커버층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탄성폼(440)을 제3 절연층(472) 및 제2 그룹 전극(460, 461)에 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압력 감지부(400)를 가압하면 탄성폼(440)이 눌리고 이에 따라 제1 그룹 전극(450, 451)과 제2 그룹 전극(460, 461)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그룹 전극(450, 451)과 제2 그룹 전극(460, 461) 중 어느 하나를 그라운드(ground)로 하여 나머지 하나의 전극을 통해 자기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1i의 경우 전극을 단일층으로 형성하는 경우보다, 압력 감지부(400)의 두께 및 제조 단가는 증가하나, 압력 감지부(400) 외부에 위치하는 기준전위층의 특성에 따라 변하지 않는 압력 검출 성능이 보장될 수 있다. 즉, 도 10d와 같이 압력 감지부(400)를 구성함으로써 압력 검출시 외부 전위(그라운드) 환경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이용한 압력 감지부는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구분되어, 구동 전극과 수신 전극이 기준전위층에 가까워짐에 따라 변하는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을 이용하여 압력을 검출할 수도 있고, 하나의 전극에서 구동 및 수신 신호를 송수신하며 기준전위층과 사이의 거리변화로 자기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 기준전위층 또는 압력 전극(구동전극 또는 수신전극)이 이동하여, 기준전위층과 압력 전극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며, 자기 정전용량 값이 증가한다. 증가된 자기 정전용량 값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판단함으로써 터치 압력을 검출하게 된다. 사용자의 터치가 있음에도, 터치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압력 전극과 기준전위층 사이의 거리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자기 정전용량 값은 변하지 않는다. 이때에는 터치 감지부(200)에 의한 터치 위치만 감지될 것이다. 다만, 터치 압력까지 인가되는 경우, 위의 방식으로 상호/자기 정전용량 값이 변하게 되고, 압력 감지부(400)는 자기 정전용량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게 된다.
또한, 측면 사용자 입력부가 프론트 케이스의 측면부에 형성된 경우에도 프론트 케이스 측면부의 실장공간에 터치 키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방법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압력 감지부의 다른 배치 위치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압력 감지부(400)는 미드 프레임(102)의 측면부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감지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431, 432, 433),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470, 471, 472), 적어도 하나의 전극(450, 460), 탄성폼(440), 및 기판(4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미드 프레임(102)의 측면부 내벽이 미드 프레임(102)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대칭인 형태로 형성된 경우, 중앙부의 위측 내벽 또는 아래측 내벽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압력 감지부와 미드 프레임(102)의 측면부 내벽은 접착제, 접착 테이프 등으로 접착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미드 프레임(102)의 측면부 내벽에 부착된 압력 감지부(400)는 제1 절연층(470)과 제2 절연층(471) 사이에 제1, 제2 전극(450, 460)이 위치하여 미드 프레임(102)과 제1, 제2 전극(450, 460)이 단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제2 전극(450, 460)은 구동 전극과 수신 전극으로 구분하여 동작할 수 있고, 각각 구동 및 수신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제2 전극(450, 460)은 같은 층에 형성되므로, 미드 프레임의 측면부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미드 프레임의 측면부와 제1, 제2 전극(450, 460) 사이의 거리 변화가 야기될 수 있다. 미드 프레임의 측면부는 그라운드층이 더 형성될 수 있고, 미드 프레임의 측면부는 기준전위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미드 프레임(102)의 측면부 내벽에 부착된 압력 감지부(400)는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450)은 제1 절연층(470) 상에 형성되고 제2 전극(460)은 제1 전극(450) 상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47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전극(460)은 제3 절연층(472)으로 덮일 수 있다. 즉, 압력 감지부(400)는 제1 절연층(470) 내지 제3 절연층(472), 제1 전극(450) 및 제2 전극(4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므로 서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은 MXN의 구조로 배열된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의 패턴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M 및 N은 1 이상의 자연수 일 수 있다. 또는, 특정 형태의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이 각각 다른 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미드 프레임(102)의 측면부 내벽에 부착된 압력 감지부(400)는 측면부 내벽에 제1 접착제(431)로 부착되어 단말기의 측면에 수직으로 인가되는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 감지부(400)의 반대 측면에는 기판(48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지부(400)는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 사이에 탄성폼(440)이 위치하여 압력 터치에 의해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 사이의 거리 변화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폼(440)을 부착하기 위하여, 탄성폼(440)의 양측면에 제2, 제3 접착제(432, 4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 전극(450, 460)은 각각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 사이의 거리 변화에 의해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을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460)은 그라운드층으로 기준전위층이 될 수 있고, 터치 압력이 가해지면 제1 전극(450)과 제2 전극(460) 사이의 탄성폼(440)의 두께 변화가 야기되어 정전용량 변화량이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자기 정전용량 변화량을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기판(480)은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폼(440)의 두께가 변화되도록 상부에 적층된 제1, 제2 전극(450, 460), 제1, 제2, 제3, 제4 절연층(470, 471, 472, 473), 및 탄성폼(440)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전극(460)은 그라운드층으로 기준전위층이 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압력 감지부의 또 다른 배치 위치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압력 감지부(400)는 후면 커버(103)의 측면부 내벽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감지부(400)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431, 432, 433),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470, 471, 472), 적어도 하나의 전극(450, 460), 탄성폼(440), 및 기판(4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후면 커버(103)의 측면부 내벽에 부착된 압력 감지부(400)의 구성 및 기능은 앞서 설명한 도 12a 내지 도 12c와 동일하다.
도 14a 내지 도 1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격벽(B)가 형성된 미드 프레임의 측면부 내벽 또는 격벽(B)에 부착된 압력 감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a 내지 도 1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격벽(B)가 형성된 후면 커버의 측면부 내벽 또는 격벽(B)에 부착된 압력 감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격벽(B)는 미드 프레임 또는 후면 커버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격벽(B)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 감지부가 격벽(B)에 부착되는 경우, 측면부와 대향하는 격벽(B)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격벽(B)가 형성된 미드 프레임의 측면부 내벽 또는 격벽(B)에 부착된 압력 감지부는 도 11a 내지 도 11f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기준전위층만 격벽(B)의 일면(102l")으로 대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5a 내지 도 15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격벽(B)가 형성된 후면 커버의 측면부 내벽 또는 격벽(B)에 부착된 압력 감지부는 도 11a 내지 도 11f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기준전위층만 격벽(B)의 일면(102l")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B)이 미드 프레임(102)과 일체로 형성된 경우만 도시하였으나, 후면 커버(10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기준전위층은 후면 커버와 일체로 형성된 격벽(B)의 일면이 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가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압력 센서가 스트레인 게이지(450)인 경우, 터치 압력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값 변화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스트레인 양에 비례하여 전기 저항이 달라지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금속 결합된 스트레인 게이지가 사용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로는, 투명 물질로, 전도성 고분자(PEDOT: polyethyleneioxythiophene), ITO(induim tin oxide), ATO(Antimony tin oxide),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s), 그래핀(graphene), 산화갈륨아연(gallium zinc oxide), 인듐갈륨아연산화물(IGZO: indium gallium zinc oxide), 산화주석(SnO2), 산화인듐(In2O3), 산화아연(ZnO), 산화갈륨(Ga2O3), 산화카드뮴(CdO), 기타 도핑된 금속 산화물, 압전 저항 소자(piezoresistive semiconductor materials), 압전 저항 금속(piezoresistive metal material), 은 나노 와이어(silver nanowire), 백금 나노 와이어(platinum nanowire), 니켈 나노 와이어(nickel nanowire), 기타 금속 나노 와이어(metallic nanowire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불투명 물질로는, 은잉크(silvger ink), 구리(copper), 은나노(nano silber), 탄소 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콘스탄탄 합금(Constantan alloy), 카르마 합금(Karma alloys), 도핑된 다결정질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도핑된 비결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도핑된 단결정 실리콘(single crystal silicon), 도핑된 기타 반도체 물질(semiconductor materia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스트레인 게이지는 격자형 방식으로 정렬된 금속 호일로 구성될 수 있다. 격자형 방식은 평행 방향으로 변경되기 쉬운 금속 와이어 또는 호일의 변형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스트레인 게이지(450)의 수직방향 격자 단면은 전단 변형률(shear strain)과 포아송 변형률(Poisson Strain)의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최소화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450)는 휴지(at rest) 상태에 있는 동안, 즉, 스트레인되지 않거나 다르게 변형되지 않는 동안 접촉하지는 않지만 서로 가까이 배치된 트레이스(traces)(45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스트레인 또는 힘의 부재시 1.8KΩ±0.1% 와 같은 공칭 저항(nominal resistance)을 가질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기본 파라미터로 변형률에 대한 민감도가 게이지 계수(GF)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게이지 계수는 길이의 변화(변형률)에 대한 전기 저항 변화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고, 다음과 같이 스트레인ε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R은 스트레인 게이지 저항의 변화량이고, R은 비변형(undeformed)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이고, GF는 게이지 계수이다.
도 16a에 도시된 스트레인 게이지(450)는 트레이스(451)가 수평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으므로, 수평방향의 변형에 대하여 트레이스(451)의 길이 변화가 크므로 수평방향의 변형에 대한 감도는 높으나, 수직방향의 변형에 대하여는 트레이스(451)의 길이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수직방향의 변형에 대한 감도는 낮다.
도 16b를 참조하면, 스트레인 게이지(450)가 복수의 세부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세부영역에 포함된 트레이스(451)의 정렬 방향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정렬 방향이 다른 트레이스(451)들을 포함하는 스트레인 게이지(450)를 구성함으로써, 변형 방향에 대한 스트레인 게이지(450)의 감도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도 16c를 참조하면, 스트레인 게이지(450, 460)의 정렬 방향에 따라 가해진 압력에 대한 트레이스(451, 461)의 변형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트레이스(451, 461)의 길이 방향이 배치되도록 스트레인 게이지(450, 460)를 배치할 수 있다.
온도 증가는 가해진 압력이 없어도 프레임을 팽창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스트레인 게이지(450)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는 스트레인 게이지(450)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온도가 증가하면 스트레인 게이지(450)의 저항이 증가하고 스트레인 게이지(450)에 가해진 압력으로 잘못 해석될 수 있다. 온도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두 개의 게이지를 사용하여 온도 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방향으로 변형이 일어날 때, 스트레인 게이지(450)의 트레이스(451)는 변형 방향과 평행한 수평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고, 더미 스트레인 게이지(460)의 트레이스(461)는 변형 방향과 직교하고 수직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때, 변형은 스트레인 게이지(450)에 영향을 미치고 더미 스트레인 게이지(460)에는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나, 온도는 스트레인 게이지(450) 및 더미 스트레인 게이지(460) 모두에 같은 영향을 미치므로 온도에 의한 변화를 제거하고 압력 변화에 의한 값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450)를 형성하여 단일 채널로 구성된 압력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450)를 형성하여 복수 채널로 구성된 압력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런한 복수 채널로 구성된 압력 감지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터치에 대한 복수의 압력 각각의 크기를 동시에 센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는 압전 소자(piezoeletric element)로 형성될 수 있다. 특정 고체물질(solid material)에 기계적 응력(mechanical stress)(정확하게는, 기계적 힘 또는 압력)이 주어지고 변형이 발생되면, 특정 고체내부에서 분극(polarization)이 발생되면서 전하(electric charge)가 집적된다(accumulate). 집적된 전하는 물질의 양 전극들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 즉 전압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을 압전효과(piezoelectric effect)라 하며, 고체물질을 압전물질(piezoelectric material), 그리고 집적된 전하를 압전기(piezoelectricity)라고 한다.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는 압전 소자에 가해진 기계적 에너지(힘 또는 압력) 및 이에 의한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에너지(일종의 전기적 신호인 전압)를 검출(detect)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검출된 전압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가해진 기계적 힘 또는 압력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는 MEMS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MEMS 압력 센서는 사용하는 압력 범위에 따라 반도체 기판(측면부의 프레임)의 후면 관통 식각을 통해 제작되고, 공동(cavity)의 밀폐 여부에 따라 절대압 또는 차압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MEMS 압력 센서는 압력 감지 방식에 따라 압저항형과 정전용량형으로 구분할 수 있고, 제작방식에 따라 벌크형과 표면형으로 나눌 수 있다. 압저항형 MEMS 압력 센서는 반도체 공정으로 얇은 박막을 형성하고 박막과 기판의 경계에 실리콘 압저항체를 형성하여 압력에 의해 박막이 변형되면 압저항체의 저항이 달라지는 점을 감지하여 압력 크기를 측정할 수 있고, 정전용량형 MEMS 압력 센서는 서로 마주보는 전극판의 간격이 외부 힘(응력)에 의해 변화되어 전극 간의 정전용량 변화량을 감지하여 압력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벌크형 MEMS 압력센서는 실리콘 기판의 전면에 감지회로를 구성하고 난 후 기판을 후면에서 관통하여 가공하여 기판의 상부를 감지 박막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고, 표면형 MEMS 압력센서는 기판을 직접 가공하지 않고 기판의 표면에 반도체 공정으로 감지 박막과 압력 캐비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는 다양하며, 본 발명은 특정 압력 감지 소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지점의 압력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구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느 방식이든 적용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위치, 터치 압력 및 이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블록을 예시한다. 여기서, 터치 여부와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또는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는 단말기 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터치 감지부(200)와 압력 감지부(400)는 별도의 컨트롤러(14, 15)가 각각 마련되어 감지된 터치 위치 또는 터치 압력을 제어부(18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단순히 감지된 신호(예를 들어, 자기 정전용량, 상호 정전용랑, 스테레인 게이지 변화량 등)를 제어부(18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휴대용 단말기의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 컨트롤러(14) 및 압력 센서 컨트롤러(15)는 각각 별도의 IC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IC에서 각각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 컨트롤러(14) 및 압력 센서 컨트롤러(15)가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여부, 터치 위치 검출을 터치 센서 컨트롤러(14)에서 수행하고, 압력 크기 계산, 압력 터치 결정을 압력 감지부 컨트롤로(15)에서 각각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 컨트롤러(14) 및 압력 센서 컨트롤러(15)가 포함되었지만, 터치 센서 컨트롤러(14) 및 압력 센서 컨트롤러(15)는 감지된 신호(예를 들어, 자기 정전용량, 상호 정전용랑, 스테레인 게이지 변화량 등)만 제어부(180)로 전송할 뿐 제어부(180)에서 터치 여부, 터치 위치 검출, 압력 크기 계산, 및 압력 터치 결정, 이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감지부 및 이의 동작을 위한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포함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감지부(200)는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 및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한다. 터치 감지부(200)는 상기 터치 감지부(200)의 동작을 위해 상기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12), 및 터치 감지부(200)의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부(11), 및 구동부(12)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감지부(11)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로부터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13)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는 앞서 설명한 터치 센서 컨트롤러(14) 또는 제어부(180) 중 하나일 수 있다.
터치 감지부(200)는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a에서는 터치 감지부(200)의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이 직교 어레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은 각각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동 전극(TX)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을 포함하고, 수신 전극(RX)은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 전극(TX)이 행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수신 전극(RX)은 구동 전극(TX)과 교차하도록 열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구동 전극(TX)이 열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수신 전극(RX)은 구동 전극(TX)과 교차하도록 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은 하나의 절연막(미도시)의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은 제1절연막(미도시)의 일면에 그리고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은 상기 제1절연막과 다른 제2절연막(미도시)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은 투명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산화주석(SnO2) 및 산화인듐(In2O3) 등으로 이루어지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ATO(Antimony Tin Oxi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구동 전극(TX) 및 수신 전극(RX)은 다른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불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구동 전극(TX) 및 수신 전극(RX)은 은잉크(silver ink), 구리(copper) 또는 탄소 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전극(TX) 및 수신 전극(RX)은 메탈 메쉬(metal mesh)로 구현되거나 은나노(nano silver)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12)는 구동신호를 구동 전극(TX1 내지 TXn)에 인가할 수 있고, 구동신호는 제1구동 전극(TX1)부터 제n구동 전극(TXn)까지 순차적으로 한 번에 하나의 구동 전극에 대해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신호의 인가는 재차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에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될 수도 있다.
감지부(11)는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수신 전극(RX1 내지 RXm)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Cnm: 14)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예컨대, 감지신호는 구동 전극(TX)에 인가된 구동신호가 구동 전극(TX)과 수신 전극(RX)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Cnm: 14)에 의해 커플링된 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구동 전극(TX1)부터 제n구동 전극(TXn)까지 인가된 구동신호를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감지하는 과정은 터치 감지부(200)를 스캔(scan)한다고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1)는 각각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과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수신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해당 수신 전극(RX)의 신호를 감지하는 시간구간에 온(on)되어서 수신 전극(RX)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기에서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수신기는 증폭기(미도시) 및 증폭기의 부(-) 입력단과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 즉 궤환 경로에 결합된 궤환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증폭기의 정(+) 입력단은 그라운드(ground)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궤환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리셋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셋 스위치는 수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전류에서 전압으로의 변환을 리셋할 수 있다. 증폭기의 부입력단은 해당 수신 전극(RX)과 연결되어 정전용량(Cnm: 10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류 신호를 수신한 후 적분하여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감지부(10)는 수신기를 통해 적분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미도시: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후, 디지털 데이터는 제어부(13)에 입력되어 터치 감지부(200)에 대한 터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감지부(10)는 수신기와 더불어, ADC 및 제어부(13)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구동부(12)와 감지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구동부(12)에 전달하여 구동신호가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구동 전극(TX)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감지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감지부(11)에 전달하여 감지부(11)가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수신 전극(RX)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터치 감지부(200)는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하나의 수신 전극(RX1)만 포함하도록 즉 하나의 컬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터치 감지부(200)는 하나의 구동 전극(TX1)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00)가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하나의 수신 전극(RX1)만 포함하는 경우, 터치 위치는 어떤 구동 전극 신호를 인가한 경우 감지되는지, 즉, y 좌표만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터치 감지부(200)가 하나의 구동 전극(TX1)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터치 위치는 어떤 수신 전극으로 신호가 수신되는지, 즉, x 좌표만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b에서 구동부(12) 및 감지부(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부(200)에 대한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 검출 장치(미표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는 제어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검출 장치는 터치 감지부(200)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센싱 회로인 터치 센싱 IC(touch sensing Integrated Circuit) 상에 접적되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200)에 포함된 구동 전극(TX) 및 수신 전극(RX)은 예컨대 전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 및/또는 회로 기판상에 인쇄된 전도성 패턴(conductive pattern) 등을 통해서 터치 센싱 IC(미도시)에 포함된 구동부(12) 및 감지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센싱 IC는 전도성 패턴이 인쇄된 회로 기판, 예컨대 제1 인쇄 회로 기판(이하에서, 제1PCB로 지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싱 IC는 터치 입력 장치의 작동을 위한 메인보드 상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동 전극(TX)과 수신 전극(RX)의 교차 지점마다 소정 값의 정전용량(Cnm)이 생성되며, 손가락, 손바닥 혹은 스타일러스(stylus) 등과 같은 객체가 터치 감지부(200)에 근접하는 경우, 이러한 정전용량의 값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정전용량은 상호 정전용량(Cnm)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특성을 감지부(11)에서 감지하여 터치 감지부(200)에 대한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축과 제2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평면으로 이루어진 터치 감지부(200)의 표면에 대한 터치의 여부 및/또는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감지부(200)에 대한 터치가 일어날 때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 전극(TX)을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제2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터치 감지부(200)에 대한 터치시 수신 전극(RX)을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로부터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제1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터치 감지부(200)는 하나의 층(layer)으로 형성된 복수의 터치 전극(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터치 전극(3)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각 터치 전극(3)마다 구동신호와 수신신호를 송수신하는 배선이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구동 제어신호를 구동부(12)로 전달하고, 구동부(12)는 구동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터치 전극(3)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13)는 감지 제어신호를 감지부(11)로 전달하고, 감지부(11)는 감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터치 전극(3)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감지신호는 터치 전극(3)에 형성된 자기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한 신호일 수 있다. 감지부(11)가 감지한 감지신호에 의해, 터치 감지부(200)에 대한 터치 여부, 터치 위치가 검출된다. 제어부(13)는 터치 전극(3)의 y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감지부(200)의 표면에 대한 객체의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8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터치 감지부(200)는 하나의 층(layer)으로 형성된 복수의 터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터치 전극은 수신 전극과 송신 전극이 교대로 대치될 수 있다. 이때, 수신 전극과 송신 전극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각 수신 전극은 수신신호를 각 구동 전극은 구동신호를 송수신하는 배선이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구동 제어신호를 구동부(12)로 전달하고, 구동부(12)는 구동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구동 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13)는 감지 제어신호를 감지부(11)로 전달하고, 감지부(11)는 감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수신 전극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감지신호는 구동 전극과 수신 전극 사이에 형성된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한 신호일 수 있다. 감지부(11)가 감지한 감지신호에 의해, 터치 감지부(200)에 대한 터치 여부, 터치 위치가 검출된다. 제어부(13)는 구동 전극과 수신 전극의 y좌표를 이용하여 터치 감지부(200)의 표면에 대한 객체의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감지부(200)은 디스플레이 모듈 외부 또는 내부, 단말기의 측면부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부는 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물리적인 조작키(A),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B), 및 물리적인 조작키(A) 하부에 프레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돔 키(C)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측면부의 물리적인 조작키(A)와 지지부(B)는 동일한 물질, 예를 들어, 금속 등의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B)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물리적인 조작키(A)는 플라스틱 등 전기적 성질이 상이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9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부 금속 등의 전도성 물질(D)로 형성되고, 측면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400)가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압력 감지부(400) 하부에 그라운드 층(GND)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압력 감지부(400)와 그라운드 층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량을 이용하여 압력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9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부는 적어도 일부가 비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로팅된 상태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부는 측면 사용자 입력부에 대응하는 측면부(즉, 측면부 내측에 터치 감지부(200a, 200b) 또는 압력 감지부(400)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영역)만 비전도성 물질(F)로 형성하거나 또는 전도성 물질(D')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물질(D')로 형성하는 경우, 인접 영역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전도성 물질(D')로 형성된 영역을 주변 영역으로부터 플로팅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물질(D')을 인접한 영역(전도성 물질 D로 형성된 영역)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방법은 전도성 물질 D'와 인접한 영역 사이에 갭(E)을 형성하거나 또는 전도성 물질 D'와 인접한 전도성 물질 D 사이에 비전도성 물질을 배치시켜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전도성 물질(D, D')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금, 스틸재질 등의 금속 재질을 나타내며, 비전도성 물질(F)은 합성수지, 유리섬유, 고무 등을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의 터치 감지부(200a, 200b)는 하나의 층(layer)에 형성되고, 각 터치 감지부(200a, 200b)와 그라운드 층 사이의 자기 정전용량 변화량을 이용하여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감지하거나, 또는 제1 터치 감지부(200a)를 구동 전극으로, 제2 터치 감지부(200b)를 수신 전극으로 사용하여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을 이용하여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압력 감지부(400) 상에 적어도 하나의 터치 감지부(200a, 200b)가 적측된 측면 사용자 입력부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경우, 측면 사용자 입력부로 인가되는 터치가 일반적인 터치 입력인지, 압력 터치인지 정전용량의 변화량만으로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측면 사용자 입력부에 대응하는 측면부를 다른 측면부와 구분하여 비전도성 물질로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신뢰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 사용자 입력부를 압력 센서 또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측면부로 입력된 터치의 종류(일반적인 터치 입력인지, 압력 터치인지)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
100: 휴대용 단말기
123a-123d: 제1 내지 제4 조작유닛 123a'-123d': 측면 사용자 입력부
101: 프론트 케이스 102: 리어 케이스 또는 미드 프레임
103: 후면 커버 104: 측면 커버
151: 디스플레이부 180: 제어부
400: 압력 감지부 200: 터치 감지부

Claims (18)

  1. 측면에 형성되어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터치 압력이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소정 조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는, 상기 단말기의 미드 프레임 또는 백 커버로부터 연장된 측면부의 실장 공간 또는 측면부 내 측면에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햅틱 피드백을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고,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비활성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터치 감지부를 통해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햅틱 피드백을 출력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고,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비활성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터치 압력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터치 감지부와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 상기 터치 압력의 크기, 또는 상기 터치 압력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조건과 상기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기준 크기 이상이고,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가 복수의 측면 영역 중 제1 영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기능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기준 크기 이상이고,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가 복수의 측면 영역 중 제2 영역인 경우, 상기 단말기의 모드를 진동 모드 또는 일반 모드로 변경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압력이 기준 크기 이상이고,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가 복수의 측면 영역 중 제3 영역인 경우, 상기 터치 압력의 패턴에 따라 볼륨을 조절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는,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더 감지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는, 상부면이 상기 단말기의 측면 커버 내측에 접착된,
    휴대용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는, 상호 정전용량, 자기 정전용량,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압력 감지 저항(force sensing resistor), 진동수 변화, 또는 열전도율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상기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감지부는, 전극으로 형성된 압력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가 변경되는 트레이스, 또는 MEMS 압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가 형성된 각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기의 측면부 외부에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휴대용 단말기.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부가 형성된 상기 측면부는, 적어도 일부가 비전도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로팅된 상태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70114481A 2017-09-07 2017-09-07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190027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481A KR20190027553A (ko) 2017-09-07 2017-09-07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2018105421A JP2019049962A (ja) 2017-09-07 2018-05-31 側面にタッチ圧力感知部を備えた携帯用端末機
CN201810869584.4A CN109471548A (zh) 2017-09-07 2018-08-02 侧面具有触摸压力感测部的便携终端机
US16/124,848 US20190073077A1 (en) 2017-09-07 2018-09-07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ouch pressure detector on sid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481A KR20190027553A (ko) 2017-09-07 2017-09-07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245A Division KR20190027801A (ko) 2019-02-26 2019-02-26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553A true KR20190027553A (ko) 2019-03-15

Family

ID=6551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481A KR20190027553A (ko) 2017-09-07 2017-09-07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073077A1 (ko)
JP (1) JP2019049962A (ko)
KR (1) KR20190027553A (ko)
CN (1) CN1094715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061B1 (ko) * 2019-05-31 2020-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하우징에 적용될 수 있는 터치 입력 센싱 장치를 갖는 전자 기기
WO2021071198A1 (ko) * 2019-10-10 2021-04-15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의료 장치 및 의료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005742A (ko) * 2020-07-07 2022-01-1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센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3037B2 (en) * 2019-01-17 2021-06-01 Joseph J. Boudeman Advance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0187757B (zh) 2019-04-25 2020-09-11 华为技术有限公司 触压按键组件、控制电路及电子设备
CN110223600B (zh) * 2019-05-14 2020-11-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覆晶薄膜的绑定结构
KR20210009216A (ko) * 2019-07-16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스 키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737362A (zh) * 2019-08-01 2020-01-31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和按键触发方法
KR20210020489A (ko) * 2019-08-14 202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N110597411B (zh) * 2019-08-21 2021-10-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压力检测电路、电子设备和压力检测电路的控制方法
JP7313982B2 (ja) * 2019-09-02 2023-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0610664B (zh) * 2019-09-25 2021-11-30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具有偏光功能的盖板、柔性显示面板和可卷绕的显示装置
CN110830639B (zh) * 2019-10-28 2021-10-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0941372B (zh) * 2019-12-13 2022-10-25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曲面压力触控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414831B1 (ko) * 2020-07-07 2022-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113793766A (zh) * 2021-09-30 2021-12-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960845B (zh) * 2021-11-04 2023-08-29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变色膜及其制备方法、窗户和显示屏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0592B2 (en) *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US8780054B2 (en) * 2008-09-26 2014-07-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351993B2 (en) * 2010-10-08 2013-01-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having side sensor
JP5999374B2 (ja) * 2011-09-05 2016-09-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02413A (ja) * 2011-10-14 2013-05-23 Panasonic Corp 携帯情報機器
US8711116B2 (en) * 2011-10-17 2014-04-29 Facebook, Inc. Navigating applications using side-mounted touchpad
KR20130081923A (ko) * 2012-01-10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기능키 수행 방법
KR20130090138A (ko) * 2012-02-03 2013-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터치 패널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2013168084A (ja) * 2012-02-16 2013-08-29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4412568B (zh) * 2012-06-22 2017-04-0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信息设备
CN104380231B (zh) * 2012-12-20 2017-10-24 英特尔公司 包括压力传感器的触摸屏
US10088936B2 (en) * 2013-01-07 2018-10-02 Novasentis, Inc. Thin profile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providing localized haptic response
JP6089317B2 (ja) * 2013-01-24 2017-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操作制御プログラム
KR20140135400A (ko) * 2013-05-16 201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3011414A4 (en) * 2013-06-19 2016-12-07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WHETHER A SCREEN IS HELD OR TOUCHED
JP6355520B2 (ja) * 2013-11-06 2018-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サー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9639158B2 (en) * 2013-11-26 2017-05-02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friction and vibrotactile effects
JP6050282B2 (ja) * 2014-06-09 2016-12-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5183232A (zh) * 2015-09-21 2015-12-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无实体按键的移动终端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5791595A (zh) * 2016-04-29 2016-07-2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基于压力传感器进行音量控制的方法及系统
KR101684831B1 (ko) * 2016-06-22 2016-12-09 희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061B1 (ko) * 2019-05-31 2020-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하우징에 적용될 수 있는 터치 입력 센싱 장치를 갖는 전자 기기
KR20200137974A (ko) * 2019-05-31 2020-12-09 삼성전기주식회사 전기 기기의 하우징에 적용될 수 있는 터치 입력 센싱 장치
US11675464B2 (en) 2019-05-31 2023-06-1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ouch input sensing apparatus for housing of electric device
WO2021071198A1 (ko) * 2019-10-10 2021-04-15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의료 장치 및 의료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005742A (ko) * 2020-07-07 2022-01-1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센싱 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71548A (zh) 2019-03-15
US20190073077A1 (en) 2019-03-07
JP2019049962A (ja)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7553A (ko)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268788B1 (ko) 측면에 압력센서 및 터치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11402911B2 (en) Contracting and elongating materials for providing input and output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6445097B (zh) 带有剪切力感测的电子设备
CN107025021B (zh) 传感器、触摸传感器和显示装置
EP2210162B9 (en) Input device
JP6564434B2 (ja) タッチ入力装置
KR10205756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859713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1341605A (zh) 用于组合式压力传感器和致动器的经济元件及其操作方法
KR101362843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 방법
EP3518085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27801A (ko)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11520446B2 (en) Sensor,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655923B1 (ko) 터치입력장치용 센서-액츄에이터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US20210072862A1 (en) Touch input device comprising strain gauge
KR101911679B1 (ko) 터치 압력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180062832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9160349A1 (ko) 측면에 압력센서 및 터치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WO2018159769A1 (ja) センサ、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67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26

Effective date: 2020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