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831B1 -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4831B1 KR101684831B1 KR1020160077727A KR20160077727A KR101684831B1 KR 101684831 B1 KR101684831 B1 KR 101684831B1 KR 1020160077727 A KR1020160077727 A KR 1020160077727A KR 20160077727 A KR20160077727 A KR 20160077727A KR 101684831 B1 KR101684831 B1 KR 1016848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touch sensor
- input device
- signal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 동작을 수용하는 표면의 일부가 돌출되거나 함몰된 구조를 가지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표면과 적어도 하나의 제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이 단차 (段差) 를 갖게 형성되도록 굴곡진 터치 센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표면과 적어도 일부가 접하도록 구성되는 입력부; 및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제2 표면을 덮어 상기 제2 표면을 통한 신호 입력이 물리적으로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을 통해 신호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제2 표면을 통해 신호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의 굴곡진 형태가 고정되어, 형태 또는 위치의 변화 없이 돌출된 표면을 통하여 신호 입력을 받아들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 입력이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 상의 표면의 각 부분에 단차가 존재하고, 터치 센서 상에서 신호 입력이 이루어지는 각 부분이 신호 입력이 불가능한 부분에 의해 구분됨으로써 개개의 신호 입력의 접촉성 및 구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표면과 적어도 하나의 제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이 단차 (段差) 를 갖게 형성되도록 굴곡진 터치 센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표면과 적어도 일부가 접하도록 구성되는 입력부; 및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제2 표면을 덮어 상기 제2 표면을 통한 신호 입력이 물리적으로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을 통해 신호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제2 표면을 통해 신호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의 굴곡진 형태가 고정되어, 형태 또는 위치의 변화 없이 돌출된 표면을 통하여 신호 입력을 받아들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 입력이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 상의 표면의 각 부분에 단차가 존재하고, 터치 센서 상에서 신호 입력이 이루어지는 각 부분이 신호 입력이 불가능한 부분에 의해 구분됨으로써 개개의 신호 입력의 접촉성 및 구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입력 동작을 수용하는 표면의 일부가 돌출되거나 함몰된 구조를 가지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력 장치에서의 입력 방식으로는, 먼저, 키보드의 키 버튼, 계산기 또는 유무선 전화기의 키패드 버튼과 같이 돌출된 형상의 입력 수단에 힘을 가해 그 위치나 형태를 변화시켜 전원을 온오프 (on-off) 시킴으로써 입력하는 방식이 있다. 또 다른 입력 방식으로는, 입력 수단에 신체를 접촉시키더라도 그 외형이 변화되지 않으면서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는 방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의 경우 하드 키 (hard key) 입력 방식으로 각각의 입력 버튼마다 기능이 개별적으로 설정되며, 후자의 경우 소프트 키 (soft key) 입력 방식으로 동일한 위치로의 접촉에도 소프트웨어에 의해 상이한 기능이 구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종래의 각종 전자 장치에는, 물리적인 입력 수단으로서 상술한 하드 키 입력 방식이 주로 적용되었으나, 최근의 전자 장치에는, 전자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의 숫자가 대폭 증가하였으며, 터치 센서 (touch sensor) 및 터치 스크린 패널 (touch screen panel) 이 개발됨에 따라, 많은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신호 입력이 용이한 소프트 키 입력 방식이 주로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 키 방식의 입력 장치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인하여, 입력 장치의 제조 비용이 절감되었으며 제조 시 소요되는 시간도 감소되었다.
한편, 외측으로 돌출되는 등의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는 버튼을 누르는 방식은 입력 시 접촉성이 우수하고 각각의 신호 입력의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다수의 전자 장치에서 여전히 평면형의 터치 스크린 패널이 아닌 입체 형상의 물리적인 버튼을 요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신호 입력이 가능한 표면 및 외부로부터의 신호 입력이 불가능한 표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터치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각 표면 간에 단차가 존재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표면과 적어도 하나의 제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이 단차 (段差) 를 갖게 형성되도록 굴곡진 터치 센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표면과 적어도 일부가 접하도록 구성되는 입력부; 및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제2 표면을 덮어 상기 제2 표면을 통한 신호 입력이 물리적으로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을 통해 신호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제2 표면을 통해 신호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의 굴곡진 형태가 고정되어, 형태 또는 위치의 변화 없이 돌출된 표면을 통하여 신호 입력을 받아들인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표면은 제2 표면보다 더 높게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 입력이 이루어지는 입력 장치 상의 표면의 각 부분에 단차가 존재하고, 터치 센서 상에서 신호 입력이 이루어지는 각 부분이 신호 입력이 불가능한 부분에 의해 구분됨으로써 개개의 신호 입력의 접촉성 및 구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10) 는, 복수개의 키패드 버튼 (11) 을 포함한다.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10) 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동작을 받아들이고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장치를 지칭한다.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10) 에서, 외부로부터 입력 동작을 받아들이는 과정은 복수개의 키패드 버튼 (11) 에서 이루어지며, 감지된 동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과정은 인쇄 회로 기판 (미도시) 등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키패드 버튼 (11) 은, 복수개의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키패드 버튼 (11) 은 외부로부터의 입력 동작을 받아들인다. 이때, 키패드 버튼 (11) 은, 형태 또는 위치의 변화 없이 신호 입력을 받아들인다. 또한, 각각의 키패드 버튼 (11) 을 통해 감지되는 입력 동작은, 입력 신호로써 개별적으로 받아들여진다. 한편, 외부로부터의 신호 입력은 키패드 버튼 (11) 외의 부분을 통하여 받아들여지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10) 는,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키패드 버튼 (11) 의 형상 및 배치 등은, 도 1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키패드 버튼 (11) 상에는 도 1과 같은 숫자뿐만 아니라 다른 문자 또는 기호 등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100) 는, 터치 센서 (110), 외부 커버 (120), 내부 커버 (130) 및 지지 케이스 (140) 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 (110) 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동작을 받아들인다. 터치 센서 (110) 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 센서일 수 있다.
터치 센서 (110) 는 그 종류에 따라서 감지할 수 있는 입력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110) 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 센서일 경우에는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 (110) 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미도시) 등에 의해 빛을 공급받아 전면으로 통과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 (110) 는, 공지의 방식의 다양한 터치 센서가 비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 그 일부가 적절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터치 센서 (110) 는 표면 상의 일부가 돌출되거나 함몰된 구조를 가진다. 즉, 터치 센서 (110) 는, 표면의 일부분과 표면의 나머지 부분이 단차 (段差) 를 갖게 형성되도록 굴곡진다. 이와 같이, 표면이 굴곡진 터치 센서 (110) 는, 가요성 (flexible) 의 탄소 나노 튜브 (Carbon Nanotube; CNT) 가 포함된 투명 도전성 필름으로써 센서 패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 (110) 는,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표면 (이하, '제1 표면'으로 지칭함) (111) 및 신호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표면 (이하, '제2 표면'으로 지칭함) (112) 을 가지며, 제1 표면 (111) 과 제2 표면 (112) 이 단차 (段差) 를 갖게 형성되도록 굴곡진다.
이러한 터치 센서 (110) 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면 (111) 이 제2 표면 (112) 보다 더 높게 돌출되고, 제2 표면 (112) 이 제1 표면 (111) 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됨으로써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표면 (111) 과 제2 표면 (112) 을 연결하는 연결면 (113) 은, 도 2와 같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직면으로 이루어지거나 곡면으로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제1 표면 (111) 및 제2 표면 (112) 의 돌출 여부, 돌출 정도 등은 다양하게 선정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 (110) 는, 도 2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표면 (111) 및 제2 표면 (112) 각각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거나 함몰됨으로써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터치 센서 (110a) 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면 (112a) 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된 제1 표면 (111a) 및 상대적으로 적게 돌출된 제1 표면 (111a') 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된 제1 표면 (111a) 및 상대적으로 적게 돌출된 제1 표면 (111a') 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표면 (112a) 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나, 연속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터치 센서 (110b) 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된 제1 표면 (111b) 및 제1 표면 (111b) 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제2 표면 (112b) 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치 센서 (110) 는, 함몰되는 정도가 서로 상이한 복수개의 제1 표면 (111) 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 (110c) 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면 (112c) 을 기준으로, 돌출된 제1 표면 (111c) 및 함몰된 제1 표면 (111c') 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돌출된 제1 표면 (111c) 및 함몰된 제1 표면 (111c') 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표면 (112c) 에 의해 분리될 수 있으나, 연속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 (110) 의 제1 표면 (111) 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이로써 수반되는 다양한 기능 및 효과는 후술된다.
한편, 제1 표면 (111) 및 제2 표면 (112) 의 면 형상 및 면적은 자유롭게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면 (111) 은 키패드의 버튼 부분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 표면 (112) 은 각각의 버튼의 사이 부분으로 제1 표면 (111) 에 비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 (110) 의 상측에는 외부 커버 (120) 가 배치된다. 외부 커버 (120) 가 터치 센서 (110) 를 덮음으로써 제2 표면 (112) 을 통한 신호 입력이 물리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외부 커버 (120) 는, 적어도 제2 표면 (112) 을 덮을 수 있으면 충분하다.
이때, 외부 커버 (120) 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 (121) 가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입력 동작이 제1 표면 (111) 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가락을 입력부 (121) 에 접촉시키면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입력부 (121) 를 통해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110) 로 입력 동작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 (121) 는, 외부로부터의 신호 입력이 제1 표면 (111) 에 직접 인가될 수 있는 경우, 외부 커버 (120) 에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외부 커버 (120) 는 합성고무 또는 합성 수지 등 가공이 용이한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입력부 (121) 외에 외부 커버 (120) 로의 신호 입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터치 센서 (110) 를 이용한 입력 장치 (100) 는, 제1 표면 (111) 으로 신호 입력이 가능하고, 제2 표면 (112) 으로 신호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표면 (111) 에서는 입력 동작이 감지됨으로써 신호로 입력이 되지만, 제2 표면 (112) 에서는 입력 동작 자체가 차단되거나 입력 동작이 감지되더라도 신호로 입력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표면 (112) 이 외부로 노출되어 입력 동작이 감지되는 것은 가능하더라도, 감지된 신호가 인쇄 회로 기판 등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 표면 (112) 을 통한 신호 입력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 회로 기판이 제1 표면 (111) 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만을 처리하며 제2 표면 (112) 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터치 센서 (110) 를 이용한 입력 장치 (100) 는 제2 표면 (112) 을 통한 신호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커버 (120) 및 내부 커버 (130) 는 강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외부 커버 (120) 및 내부 커버 (130) 는, 각각 터치 센서 (110) 의 외측 및 내측에서 굴곡진 터치 센서 (110) 의 형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한편, 내부 커버 (130) 는, 터치 센서 (110) 가 그 자체로써 굴곡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경우 제거될 수도 있다.
한편, 연결면 (113) 은, 외부로부터의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외부로부터의 신호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표면 (111), 제2 표면 (112) 및 연결면 (113) 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표면 (111) 각각이 개별적으로 신호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그 주위에 복수개의 제2 표면 (112) 또는 연결면 (113) 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 표면 (111) 은, 키패드 버튼 상에 숫자의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입력부 (121) 각각으로부터 신호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도 3(a) 에 도시된 입력 장치 (100a) 와 같이, 높이가 상이한 복수의 제1 표면 (111a, 111a') 각각은, 높이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의 종류가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센서 (110) 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제1 표면 (111) 이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됨으로써 각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신호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다. 즉, 제1 표면 (111) 의 일부 영역에 입력 동작을 가하는 것과 제1 표면 (111) 의 다른 영역에 입력 동작을 가하는 것은, 서로 상이한 신호 입력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한편, 지지 케이스 (140) 는, 터치 센서 (110), 외부 커버 (120) 및 내부 커버 (130) 를 지지하며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200) 는, 터치 센서 (210), 외부 커버 (220), 입력 패드 (230) 및 지지 케이스 (240) 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터치 센서 (210) 를 이용한 입력 장치 (200) 는, 터치 센서 (210), 외부 커버 (220) 및 입력 패드 (230) 가 도 1의 입력 장치 (100) 와 차이가 있고, 지지 케이스 (240) 의 구성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고, 공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터치 센서 (210) 로는, 정전식의 터치 센서가 사용된다. 또한, 터치 센서 (210) 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할 수 있으나, 굴곡지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입력 패드 (230) 는, 터치 센서 (210) 의 표면에 위치한다. 또한, 입력 패드 (230) 는, 상측에 입력면 (231) 이 형성되며, 도전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입력면 (231) 에서의 터치가 터치 센서 (210) 의 특정 위치에 전달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로부터의 신호 입력이 입력 패드 (230) 를 통하여 터치 센서 (210) 의 제1 표면 (211) 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커버 (220) 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패드 (230) 의 입력면 (231) 의 높이에 맞게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커버 (220) 는, 입력 패드 (230) 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입력 패드 (230) 는, 도 4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 높이가 다양하게 선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입력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210a) 상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입력 패드 (230a) 및 상대적으로 낮은 입력 패드 (230a') 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커버 (220a) 는, 입력 패드 (230a, 230a') 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각각의 입력 패드 (230a, 230a') 의 높이에 따라 상이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외부 커버 (220b) 는, 각각의 입력 패드 (230b) 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함몰되고 다른 부분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터치 센서 (210) 상에는 높낮이가 상이한 입력 패드 (230) 가 위치하며, 입력 패드 (230) 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상이하게 함몰되도록 외부 커버 (220) 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c)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210b) 상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입력 패드 (230c) 및 상대적으로 낮은 입력 패드 (230c') 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커버 (220c) 는, 상대적으로 높은 입력 패드 (230c) 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낮은 입력 패드 (230c') 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 센서 (110, 210) 를 이용한 입력 장치 (100, 200) 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입력 동작이 받아들여지는 표면 상에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신호 입력이 불가능한 제2 표면 (112, 212) 에 의해 신호 입력이 가능한 제1 표면 (111, 211) 이 구분되며, 외부로부터 개별적으로 입력 동작을 받아들이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2 표면 (112, 212) 에 대하여, 제1 표면 (111, 211) 의 돌출 또는 함몰 여부를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입력 장치 (100, 200) 의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시킴으로써 폭넓게 활용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110a, 110b, 110c…터치 센서
111, 111a, 111a' 111b, 111c, 111c'…제1 표면
112, 112a, 112b, 112c…제2 표면
113…연결면
120, 120a, 120b, 120c…외부 커버
130…내부 커버
140…지지 케이스
10, 100…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11…키패드 버튼
12…감지부
111, 111a, 111a' 111b, 111c, 111c'…제1 표면
112, 112a, 112b, 112c…제2 표면
113…연결면
120, 120a, 120b, 120c…외부 커버
130…내부 커버
140…지지 케이스
10, 100…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11…키패드 버튼
12…감지부
Claims (2)
- 적어도 하나의 제1 표면과 적어도 하나의 제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이 단차 (段差) 를 갖게 형성되도록 굴곡진 터치 센서;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표면과 적어도 일부가 접하도록 구성되는 입력부; 및
비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제2 표면을 덮어 상기 제2 표면을 통한 신호 입력이 물리적으로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을 통해 신호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제2 표면을 통해 신호 입력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치 센서의 굴곡진 형태가 고정되어, 형태 또는 위치의 변화 없이 돌출된 표면을 통하여 신호 입력을 받아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제2 표면보다 더 높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7727A KR101684831B1 (ko) | 2016-06-22 | 2016-06-22 |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7727A KR101684831B1 (ko) | 2016-06-22 | 2016-06-22 |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7233A Division KR101780854B1 (ko) | 2014-11-27 | 2014-11-27 |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6513A KR20160076513A (ko) | 2016-06-30 |
KR101684831B1 true KR101684831B1 (ko) | 2016-12-09 |
Family
ID=5635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7727A KR101684831B1 (ko) | 2016-06-22 | 2016-06-22 |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483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7553A (ko) * | 2017-09-07 | 2019-03-15 | 주식회사 하이딥 | 측면에 터치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00207A (ja) | 2006-01-30 | 2007-08-09 | Toshiba Tec Corp | タッチパネル装置 |
JP2008270022A (ja) | 2007-04-23 | 2008-11-06 | Tokai Rika Co Ltd | タッチセンサを備えたスイッチ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3607B1 (ko) | 2006-10-19 | 2008-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센서 유닛 및 터치 센서 유닛의 민감도 조절 방법 |
TW201316203A (zh) * | 2011-10-13 | 2013-04-16 | Liyitec Inc | 電容式觸控按鍵面板 |
-
2016
- 2016-06-22 KR KR1020160077727A patent/KR1016848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00207A (ja) | 2006-01-30 | 2007-08-09 | Toshiba Tec Corp | タッチパネル装置 |
JP2008270022A (ja) | 2007-04-23 | 2008-11-06 | Tokai Rika Co Ltd | タッチセンサを備えたスイッ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6513A (ko) | 2016-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01710B2 (ja) | キーパッドおよびキースイッチ | |
US9443672B2 (en) | Patterned conductive traces in molded elastomere substrate | |
US9524835B2 (en) | Input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id input devices | |
CA2485397C (en) | Keypads with multi-function keys | |
JP2010165618A (ja) | 静電容量型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20019934A (ko) | 터치스크린용 키보드 패드 | |
JP2009187854A (ja) | キーシート | |
KR101684831B1 (ko) |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 |
JP7185117B2 (ja) | 入力操作装置 | |
KR101780854B1 (ko) | 터치 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 |
JP2020193840A (ja) | 感圧タッチセンサ及び感圧タッチセンサモジュール | |
JP2013058415A (ja) | 操作スイッチ | |
KR20120058134A (ko) | 택트 스위치 | |
JP4549411B2 (ja) | 入力装置 | |
KR101808760B1 (ko) | 터치 입력 장치. | |
US20230268922A1 (en) | Control device with capacitive-type visual key structure | |
JP3219569U (ja) | 指紋識別スイッチ | |
JP4305014B2 (ja) | 携帯電話機および移動方向検出装置 | |
KR102134805B1 (ko) | 클릭감을 제공하는 포스 센서 스위치 | |
JP4573891B2 (ja) | 入力装置 | |
US20200110471A1 (en) | Passive keyboard | |
KR101124614B1 (ko) | 휴대용 전자제품 스위치 | |
KR20150117789A (ko) | 정전방식 터치스크린 구동 키패드 | |
JP2003150307A (ja) | コンピュータ用マウス | |
KR101507110B1 (ko) | 진동모터를 갖춘 정전 용량 감지형 터치 스위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