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166A - 랩 필름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랩 필름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166A
KR20190027166A KR1020170113892A KR20170113892A KR20190027166A KR 20190027166 A KR20190027166 A KR 20190027166A KR 1020170113892 A KR1020170113892 A KR 1020170113892A KR 20170113892 A KR20170113892 A KR 20170113892A KR 20190027166 A KR20190027166 A KR 20190027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m
container body
wrap film
w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이종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랩
Priority to KR1020170113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7166A/ko
Publication of KR2019002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7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5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especially suited for or with means facilitating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랩 필름(wrap film)을 수납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에 있어서, 랩 필름을 내측에 수납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상면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용기 본체 또는 덮개에 부착되어 랩 필름을 절단하는 커터와, 사용 후 보관 시 용기 커버의 열림 및 랩 필름 롤(roll)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랩 필름 수납 용기 커버 내측에 구비된 안착부에 용기 본체의 측면부 상단 외측에 구비된 플랩부가 안착되어 용기 커버가 폐쇄 시 폐쇄상태로 고정되는 랩 필름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랩 필름 수납 용기{CONTAINER FOR WRAP FILM}
본 발명은 랩 필름 수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한 랩 필름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생용 랩 또는 포장용 랩으로 알려진 랩 필름(wrap film)은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가진 필름으로 제조된다. 랩 필름은 보통 롤(roll) 형태로 권취한 뒤 이를 인출하여 사용한다.
랩 필름은 가요성을 지니는데, 다른 물품에 잘 부착될 뿐만 아니라, 자기 스스로에도 잘 부착되는 자기 밀착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음식류를 포함한 각종 물품을 간편히 보관하거나 포장하는 데에 널리 이용된다.
랩 필름은 지류나 수지 등으로 제조된 수납 장치에 수납되어 보관된다. 수납 장치에는 랩 필름을 인출한 뒤 절단하기 위한 커터가 장착된다.
그런데, 종래의 랩 필름 수납 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사용 후 용기 커버 폐쇄 시 용기 커버가 폐쇄 상태로 고정되지 않아 용기 커버가 열려 수납 용기 내부의 랩 필름이 랩 필름 수납 용기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랩 필름이 커터에 의한 절단된 뒤 자기 밀착성에 의해 스스로 엉킴으로 인해 차후에 랩 필름을 인출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하였다. 또한, 커터의 부착위치까지 인출된 랩 필름이 되말림으로 인해, 차후에 랩 필름을 사용할 경우 랩 필름의 롤에서 랩 필름을 분리하여 인출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셋째, 종래의 톱날 커터는 사용자의 부주의나 실수 등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다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후 보관 시 용기 커버의 열림 및 랩 필름 롤(roll)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랩 필름 수납 용기 커버 내측에 구비된 안착부에 용기 본체의 측면부 상단 외측에 구비된 플랩부가 안착되어 용기 커버가 폐쇄 시 폐쇄상태로 고정되는 랩 필름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포장 랩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배면부 상단에 연결되고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용기 커버와, 용기 본체의 측면부 상단 외측에 구비된 플랩부 및 용기 커버의 측면부 내측에 구비되어 플랩부가 걸리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를 제공한다.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플랩부와 용기 본체의 부착 부분은 점선으로 일부 절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플랩 걸림부는, 용기 커버의 전면부 짧은 양쪽 모서리와 연결되어 용기 커버의 양 측면부 내측으로 삽입, 접착되어 구비되고, 플랩 걸림부에 의해 용기 커버의 내측에 안착부가 마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용기 본체의 전면부에 포장 랩의 되말림을 방지하는 필름부를 더 포함하고, 필름부는,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포장 랩이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한 부재를 가지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용기 본체의 전면부에 포장 랩을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랩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용기 본체 전면부에 구비되어, 랩 받침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랩 받침부에, 포장 랩의 되말림을 방지하는 필름부가 마련되고, 상기 필름부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이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용기 본체의 전면부 내측 상단과 용기 본체의 내측 양 측면부 상측에 연결 부착되어, 포장 랩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용기 본체의 전면부 하측에 마련되는 커터부를 더 포함하며, 커터부는, 용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레일부재, 레일부재에 장착되어 레일부재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부재, 슬라이더부재에 마련되어, 인출된 랩 필름을 자르는 칼날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커터부의 하측에, 포장 랩의 되말림을 방지하는 필름부가 마련되고, 상기 필름부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이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 후 보관 시 용기 커버의 열림 및 랩 필름 롤(roll)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랩 필름 수납 용기 커버 내측에 구비된 안착부에 용기 본체의 상단 측면 외측에 구비된 플랩부가 안착되어 용기 커버가 폐쇄 시 고정되는 랩 필름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커버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랩 필름 수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후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커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랩 필름 수납 장치의 용기 본체의 전면부의 여러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랩 필름 수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용기 커버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랩 필름 수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후면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측면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커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랩 필름 수납 용기는 랩 필름(300)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100), 용기 본체(100)의 상면부(104)를 개폐하는 용기 커버(200), 용기 본체(100)의 측면부(103) 상단 외측에 구비된 플랩부(110), 용기 커버(200)의 측면부(203) 내측에 구비되어 플랩부가 걸리는 안착부(2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랩 필름(300)은 보통 투명의 얇은 단겹 필름으로 만들어지고, 베이스 롤에 권취되어 구비되는데 반드시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랩 필름(300)은 필요시 하나의 필름층이 박리 및 인출되어 절단되어 이용된다.
랩 필름(300)은 예컨대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점착제, 가소제, 개질제 등을 혼합한 후 압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랩 필름(300)의 재료가 폴리에틸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부타디엔,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용기 본체(100)는 보통 긴 직육면체 형태의 상자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전면부(101)에는 필름부(160), 랩 받침부(120), 커터부(150), 홈부(1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의 짧은 양쪽 모서리에는 용기 본체(100)의 측면부(103)가 위치한다. 용기 본체(100)의 하측에는 하면부(105)가 위치하며, 상측에는 개구된 상면부(104)가 위치한다.
용기 본체(100)의 개구된 상면부(104)에는 용기 커버(200)가 마련되어 용기 본체(100)의 상면부(104)를 개폐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용기 커버(200)는 용기 본체(100)의 상면부(104)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는 긴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용기 본체(100)의 개구된 상면부(104)를 덮을 수 있기만 하면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용기 본체(100) 및 용기 커버(200)는 보통 지류나 수지로 제조될 수 있고, 지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평면 형상의 지류를 조립하여 상자형태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술한 용기 본체(100) 및 용기 커버(200)의 재료나 형상, 제조방법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 필름(300) 사용 후 용기 커버(200)의 폐쇄 시 용기 커버(200)의 열림을 방지하고 랩 필름(300)의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용기 본체(100)의 측면부(103) 외측 상단에 플랩부(110)가 구비될 수 있고, 용기 커버(200)의 측면부(203) 내측에 플랩부(110)가 안착되어 용기 커버(20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안착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플랩부(110)와 용기 본체(100)의 측면부(103) 상단의 부착 부분은 플랩부(110)의 용이한 절곡을 위하여 점선으로 일부 절단되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플랩부(110)와 용기 본체(100)의 측면부(103) 상단의 부착 부분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부(110)의 형상은 용기 본체(100)의 측면부(103) 외측 상단과의 부착부분의 변의 길이가 더 긴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고, 예시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의 용이한 용기 커버(200) 개폐를 위하여, 용기 커버(200)의 폐쇄 시 플랩부(110)와 안착부(210)의 맞닿는 면의 길이는, 안착부(210) 전체 길이 100%에 대하여 40%~95%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커버(200)의 전면부(201) 짧은 양쪽 모서리와 연결되어 용기 커버(200)의 양 측면부(203) 내측으로 삽입되어 접착되는 플랩 걸림부(220)에 의해 용기 커버(200)의 양 측면부(203) 내측에 안착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플랩 걸림부(220)의 제조방법이나, 형상 및 구조에 관하여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 중 랩 필름(300)의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 방지부(140)는, 용기 본체(100)의 전면부(101) 내측 상단 양 모서리와 용기 본체(100)의 내측 양 측면부(103) 상측에 연결 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탈 방지부(140)의 구비 위치가 예시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140)의 랩 필름(300) 용기 본체(100) 내부 방향면의 형상은 용기 본체(100)에 수납된 랩 필름(300)의 원통형 롤(roll)의 호의 형상에 맞추어 마련될 수 있으나, 이탈 방지부(140)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140)는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 내측 상단 양 모서리에서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 내측의 중심을 향해 대각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탈 방지부(140)의 구비 위치 및 방법에 관하여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부(150)는 인출된 랩 필름(300)을 절단할 수 있도록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터(150)는 용기 커버(200)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커터부(15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레일부재(151), 레일부재(151)에 장착되어 용기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부재(152), 슬라이더부재(152)에 마련되어 인출된 랩 필름을 자르는 칼날부재(153)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부(150)는 용기 본체(100)의 전면부(101) 하측에 삽입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커터부(150)가 마련되는 위치나 구비 방법에 관하여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터부(150)의 칼날 형상은 톱날의 형상일 수도 있고, 반드시 특정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칼날이 톱날형상인 커터부(150)일 경우, 용기 본체(100)나 용기 커버(200)보다 강성이 높은 스텐인리스 스틸을 비롯한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커터부(150)는 지류 또는 수지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의 랩 필름 수납 용기에서는, 일단 인출된 이후에 랩 필름 수납 용기에 남아 있는 랩 필름(300)이 잘 고정되어 있지 않아 롤(roll)로 되감기거나, 자기 밀착성 때문에 서로 엉키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랩 필름 수납 용기에서는 랩 필름(300)을 인출한 후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되지 않고 남아 있는 랩 필름(300)의 끝 부분이 용기 본체(100)의 전면부(101)에 마련된 필름부(160)에 부착되므로, 랩 필름(300)이 용기 본체(100)로 되감기거나 엉키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필름부(160)는 인출된 포장 랩이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한 부재(161)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필름부(160)는 랩 필름(300)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필름부(160)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부타디엔,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시된 재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름부(160)는 실크스크린인쇄 또는 스프레이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용기 본체(100)에 필름부(160)를 마련하는 것이 보다 간편하게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실크스크린인쇄 또는 스프레이코팅은 랩 필름(300)과의 점착성이 높은 재료를 곧바로 용기 본체(100)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필름부(160)의 제조 공정이 간단하게 된다. 그러나 필름부(160)의 제조방법은 예시된 실크스크린인쇄 또는 스프레이코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름부(160)와 랩 필름(300)의 점착성이 지나치게 좋을 경우 후속 절단 공정을 위해 필름부(160)로부터 랩 필름(300)을 박리하는 과정이 힘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 받침부(120)는 용기 본체(100)의 전면부(101)에 구비될 수 있고, 랩 받침부(120)는 랩 필름(300)을 일시적으로 지지하여 랩 필름(300)의 박리를 용이하게 한다.
랩 받침부(120)를 용기 본체(100)에 고정 부착한 상태로 유통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에 형성되고 랩 받침부(120)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홈부(130)가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랩 필름 수납 용기의 최초 사용 시에, 홈부(130)와 부착된 랩 받침부(120)를 영구적으로 탈착, 절곡하여 용기 본체(100)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 한 후 랩 필름(300)을 사용하게 된다.
랩 받침부(120)와 홈부(160)의 부착 부분은 용이한 탈착을 위해 점선으로 일부 절단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부착 부분의 형상에 관하여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일실시예로서, 랩 받침부(120)의 외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경우, 인쇄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커버(200) 전면부(201)에 위치하고 용기 커버(200) 폐쇄 시 랩 받침부(120)가 투시되는 구멍(230)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필름부(160), 랩 받침부(120) 및 홈부(130)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랩 필름 수납 장치의 용기 본체의 전면부의 여러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부(160)의 형태는 반달형일 수 있으며, 파형, 원형일 수도 있다. 그러나 필름부(16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나 직사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일 수도 있다.
도 6의 (b) 및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부(160)는 복수개(160a, 160b, 160c)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름부(160)를 복수개 마련함으로써, 제조 경제성은 높이면서도 필름 부(160)와 랩 필름(300)의 점착성 및 박리 편의성을 원하는 수준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의 (a) 및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 받침부(120) 및 홈부(130)는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 상단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도 6의 (b) 및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부(150)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랩 받침부(120) 및 홈부(160)의 형상이나 크기, 그리고 위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로서, 필름부(160)가 한 개로 이루어진 경우, 도 6의 (a) 및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 받침부(120) 및 홈부(130)은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고, 용기 본체(100)의 전면부(101)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필름부(160) 측면에 랩 받침부(120) 및 홈부(130)가 구성될 수 있다. 랩 받침부(120)와 홈부(130)의 경우,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 하측에 구비될 수 있는 커터부(150)에 인정하게 위치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서, 도 6의 (b) 및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부(160)가 복수개로 마련된 경우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6의 (b) 와 같이 2개 또는 도 7의 (b)와 같이 3개의 필름부(16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랩 필름(300) 의 점착 정도를 고려하여 4개 이상의 필름부(160)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의 (b)와 같이 2개,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짝수개의 필름부(160)가 마련되는 경우, 효율적인 랩 필름(300)의 점착을 위하여, 랩 받침부(120)와 홈부(130) 는 용기 본체(100)의 전면부(101)의 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필름부(160)의 위치가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 상측에 구비되는 경우, 랩 받침부(120) 및 홈부(130)는,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 하측에 구비될 수 있는 커터부(150)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반면 필름부(160)의 위치가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 하측에 가깝게 위치하거나 커터부(150)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경우, 랩 받침부(120) 및 홈부(130)는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의 (b)와 같이 3개,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홀수개의 필름부(160)가 마련되는 경우, 랩 필름(300)의 점착 정도와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복수개의 필름부(160)는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의 중심에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7의 (b)와 같이, 랩 받침부(120)와 홈부(130)는 랩 필름(300)의 효율적인 점착을 위하여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의 중심에 위치한 제2 필름부(160b) 와 제3 필름부(160c) 사이에 위치하여 구비될 수 있지만, 그 위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필름부(160)의 위치가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 상측에 구비되는 경우, 랩 받침부(120) 및 홈부(130)는,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 하측에 구비될 수 있는 커터부(150)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반면 필름부(160)의 위치가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 하측에 가깝게 위치하거나 커터부(150)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경우, 랩 받침부(120) 및 홈부(130)는 용기 본체(100) 전면부(101)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전면부에 있어서 커터부(15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제1 필름부(160a) 및 제2 필름부(160b)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필름부(160a)는 랩 받침부(120)의 전면 전체 또는 일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필름부(160b)는 커터부(150)의 하측에서 커터부(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름부가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는 용기 본체(100) 내부에 있는 랩 필름(300)의 끝 부분을 인출하여 제2 필름부(160b)에 일시 점착한 후에, 커터부(150)를 이용하여 랩 필름(300)을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랩 필름(300)이 절단된 후에는, 랩 받침부(120)에 있는 제1 필름부(160a)에 절단 이후의 랩 필름(300)이 점착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후의 사용시 사용자는 랩 필름(300)의 끝 부분을 잡아 인출시키는 과정이 편리하게 된다.
한편, 도 8에서는 제1 필름부(160a)가 랩 받침부(120)의 전면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랩 받침부(120)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랩 받침부(120)의 전면과 랩 받침부(120)의 주변에 모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에서는 하나의 제2 필름부(160b)가 커터부(150)의 하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동일 또는 상이한 크기의 복수개의 제2 필름부(160b)가 커터부(150)의 하측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용기 본체 101: 용기 본체 전면부
102: 용기 본체 배면부 103: 용기 본체 측면부
104: 용기 본체 상면부 105: 용기 본체 하면부
110: 플랩부 120: 랩 받침부
130: 홈부 140: 이탈 방지부
150: 커터부 151: 레일부재
152: 슬라이더부재 153: 칼날부재
160: 필름부 160a: 제1 필름부
160b: 제2 필름부 160c: 제3 필름부
200: 용기 커버 201: 용기 커버 전면부
202: 용기 커버 배면부 203: 용기 커버 측면부
204: 용기 커버 상면부 210: 안착부
220: 플랩 걸림부 230: 구멍
300: 랩 필름

Claims (10)

  1. 포장 랩 필름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배면부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용기 커버;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부 상단 외측에 구비된 플랩부; 및
    상기 용기 커버의 측면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플랩부가 걸리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부착 부분은 점선으로 일부 절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플랩 걸림부는, 상기 용기 커버의 전면부 짧은 양쪽 모서리와 연결되어 상기 용기 커버의 양 측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접착되고, 상기 플랩 걸림부에 의해 상기 용기 커버의 내측에 안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전면부에 포장 랩의 되말림을 방지하는 필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름부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이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전면부에 랩 필름을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랩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전면부에 구비되어, 상기 랩 받침부에 인접하여 마련되는 홈부를 더 포함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랩 받침부에, 포장 랩의 되말림을 방지하는 필름부가 마련되고, 상기 필름부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이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전면부 내측 상단과 용기 본체의 내측 양 측면부 상측에 연결 부착되어, 랩 필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전면부 하측에 마련되는 커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터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더부재; 및
    상기 슬라이더부재에 마련되어, 인출된 랩 필름을 자르는 칼날부재를 가지는 랩 필름 수납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의 하측에, 포장 랩의 되말림을 방지하는 필름부가 마련되고, 상기 필름부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인출된 랩 필름이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필름 수납 용기.
KR1020170113892A 2017-09-06 2017-09-06 랩 필름 수납 용기 KR20190027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92A KR20190027166A (ko) 2017-09-06 2017-09-06 랩 필름 수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92A KR20190027166A (ko) 2017-09-06 2017-09-06 랩 필름 수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166A true KR20190027166A (ko) 2019-03-14

Family

ID=65759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892A KR20190027166A (ko) 2017-09-06 2017-09-06 랩 필름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71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03869A (en) Tape cartridge and dispenser
US4824517A (en) Multipurpose dispenser
US9770307B2 (en) Cover assembly for a stethoscope and a dispenser kit
US4772355A (en) Multipurpose dispenser
JP2007145430A (ja) ラップフィルム装置及びラップフィルムのロール
KR20190027166A (ko) 랩 필름 수납 용기
US20060175491A1 (en) Tissue packet holder
JP3996942B1 (ja) 絆創膏供給具
KR20120096810A (ko) 랩 필름 수납 장치
JP2008265839A (ja) 包装用フィルム収納容器
JP4253240B2 (ja) 包装ウエットティッシュ及びウエットティッシュ供給キット
JP2003200935A (ja) ストロー包装体付容器及びストロー包装体
JP6346520B2 (ja) ロールシート用収容箱
JP3105742U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箱
EP1592633B1 (en) Device for dispensing two-sided adhesive pieces of an adhesive
KR100645773B1 (ko) 비닐포장 개봉용 스티커
JPH1120875A (ja) 包装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153191U (ja) 食品用包装フイルム収納箱
KR200396627Y1 (ko) 비닐포장 개봉용 스티커
JP2001088827A (ja) ラップフィルム収容ケース
JP2005231643A (ja) ラップフィルム巻物収納箱
JP2010018284A (ja) ブリスター容器
JP3021756U (ja) シート引き出しカット箱
JPH09315440A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箱
JP3097437U (ja) 包装用袋体分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