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6788A -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결정 시스템 및 결정 공급 방법, 결정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결정 시스템 및 결정 공급 방법, 결정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6788A
KR20190026788A KR1020197002562A KR20197002562A KR20190026788A KR 20190026788 A KR20190026788 A KR 20190026788A KR 1020197002562 A KR1020197002562 A KR 1020197002562A KR 20197002562 A KR20197002562 A KR 20197002562A KR 20190026788 A KR20190026788 A KR 20190026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ata
cornea
patient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와네 미쓰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쓰이메디컬코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30262A external-priority patent/JP616109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7653A external-priority patent/JP6296584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쓰이메디컬코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쓰이메디컬코머스
Publication of KR2019002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7Contact lens fitting; Contact lenses fo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for specially shaped corn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8Means for stabilising the orientation of lenses in the ey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각막교정렌즈 결정 시스템(10)은 선정장치(20), 데이터베이스 서버(30), 렌즈 결정 서버(50), 단말장치(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선정장치(20)는 각막에 장착한 각막교정렌즈의 각막 위의 렌즈 이동 데이터의 취득장치(22)와, 렌즈 이동 데이터로부터,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등록 렌즈라고 판정하는 판정장치(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등록 렌즈의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와, 각막의 등록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등록 환자 데이터와, 복수 교정 단계의 몇 번째 스테이지에서 각막에 장착되는 렌즈인지를 나타내는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 출력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30)는 이들 데이터를 접수하고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되며, 단말장치(70)는 환자 데이터 취득장치(71),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접수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환자 데이터,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를 렌즈 결정 서버(50)로 송신가능하게 되며, 렌즈 결정 서버(50)는 수신한 환자 데이터,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와 동일 또는 이에 가까운 등록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여,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결정 시스템 및 결정 공급 방법, 결정 공급 시스템
본 발명은 특수한 커브 디자인의 콘택트렌즈를 착용함으로써 각막 형상을 변형 교정하여, 근시, 원시 노안 등의 안과적 굴절 이상을 치료하는 각막교정요법에 사용하는 콘택트렌즈인 각막교정렌즈(Orthokeratology lens)의 결정 방법, 결정 시스템 및 결정 공급 방법, 결정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각막교정요법 중,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근시나 난시를 교정하는 요법은 각막교정술(Orthokeratology)로 불리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본 발명자에 의한 발명에 따른 근시 및/또는 난시 교정용 콘택트렌즈인 각막교정렌즈(이하, 근시 및/또는 난시 교정용과 원시 노안 교정용을 포함하여, 각막교정렌즈(Orthokeratology lens)라고 칭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각막교정렌즈는 근시 교정인 경우, 곡률을 단계(스테이지)적으로 평평하게 변경하고, 또한, 원시 노안 교정인 경우, 곡률을 단계적으로 크게 하여, 최종 스테이지에서는 각막을 이상적인 나안시력이 얻어지는 곡률이 되게 한다.
또한, 각막교정렌즈를 각막에 장착할 때에는 기존에는 케라토미터에 의해, 환자의 각막 굴절력(이하, 디옵트리(dioptrie) 또는 D)을 측정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한, 복수의 후보 콘택트렌즈를 순차적으로 장착하고, 그 중에서, 각막 D를 교정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교정 D를 갖는 각막교정렌즈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었다.
때로는 교정 D가 약간씩 다른 다수의 콘택트렌즈를 준비하여, 그들을 모두 환자의 각막에 장착하는 테스트를 해서, 1장을 교정에 사용하고 다른 것을 폐기하기 때문에, 낭비되는 콘택트렌즈가 발생하며 동시에 환자의 부담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각막교정렌즈에 의한 시력교정치료를 실시하는 의사의 수, 지역이 한정되므로, 원격지의 환자가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시간적, 경제적으로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원격지에서는 의사가 존재하고 있어도,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각막교정렌즈를 얻는 데에 기술적, 시간적 어려움이 있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 제569550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388122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콘택트렌즈를 환자의 각막에 장착하는 것을 다수회 반복하여 환자에게 부담을 주거나 하지 않고, 또한, 신속하게 최적의 각막교정용 콘택트렌즈, 즉 각막교정렌즈를 결정하기 위한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결정 시스템, 및 결정하여 공급하기 위한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공급 방법, 결정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환자의 각막에 착용하기에 최적인 각막교정렌즈를 간단하게 찾아내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그 방법을 사용하여, 1만명 이상의 환자에 대한, 실제로 각막 교정에 사용한 각막교정렌즈의 데이터를 축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그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의사가 취득한 환자의 각막 데이터로부터 쉽게 최적의 각막교정렌즈를 결정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결정된 각막교정렌즈의 데이터를 의사의 단말기로 송신하고, 그 단말기로부터 렌즈제조장치에 데이터를 보내 각막교정렌즈를 제조하여 의사에게 공급할 수 있게 하였다.
즉, 상기 과제는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해결된다.
(1) 두부(頭部)를 똑바로 세운 정립(正立)상태에서의 환자의 동공을 중심으로 하는 위치에서, 각막에 각막교정렌즈를 장착하는 장착과정, 상기 각막교정렌즈가 각막 위를 이동하는 상태의 화상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과정, 상기 취득된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각막교정렌즈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검출하는 이동 데이터 검출과정을 복수의 각막교정렌즈에 대해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시행과정, 상기 취득된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의 데이터가 일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일정 범위인 경우에,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서 선정하는 선정과정을 반복하며, 상기 선정된 각막교정렌즈를 등록 렌즈로 하여, 그 등록 렌즈의 상기 각막에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렌즈 교정 D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및, 상기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등록 렌즈 장착 전의 상기 각막의 D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각막 D 데이터, 환자의 각막 직경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각막 직경 데이터, 환자의 동공 직경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동공 직경 데이터 중 적어도 등록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등록 환자 데이터, 및, 등록 렌즈가 복수 교정 단계에서의 제1 스테이지 또는 제2 스테이지 이후의 어느 스테이지에서 각막에 장착된 렌즈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저장하여 렌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과, 환자의 교정할 각막의 D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각막 D 데이터, 각막 직경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각막 직경 데이터, 및, 동공 직경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동공 직경 데이터 중 적어도 환자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를 취득하는 환자 데이터 취득과정과, 상기 환자의 교정할 각막에 대해, 이번 각막교정렌즈의 장착이 복수의 교정 단계에서의 어느 스테이지가 될 것인지를 나타내는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를 취득하는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취득과정과, 상기 렌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취득된 환자 각막 D 데이터에 가장 가까운 등록 각막 D 데이터,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와 동일한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등록 렌즈를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서 결정하는 렌즈 결정과정을 포함하여 된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2) 선정장치와,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그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된 렌즈 결정 서버와, 그 렌즈 결정 서버에 접속가능한 단말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선정장치는 두부를 똑바로 세운 정립상태에서의 환자의 동공을 중심으로 하는 위치에서, 각막에 장착한 각막교정렌즈를 촬영하고, 각막 위를 이동하는 상태의 화상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취득하는 렌즈 촬영 카메라, 및, 상기 렌즈 촬영 카메라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막교정렌즈가 각막 위를 이동하는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각막교정렌즈의 적어도 이동 속도, 이동 방향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렌즈 이동 데이터를 검출하는 렌즈 이동 데이터 검출장치를 포함하는 렌즈 이동 데이터 취득장치와, 상기 취득된 렌즈 이동 데이터가 일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일정 범위의 각막교정렌즈를, 환자에게 사용하기에 적합한 각막교정렌즈로서 판정하는 판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에게 사용하기에 적합한 각막교정렌즈를 등록 렌즈로 하여, 상기 등록 렌즈에 대한, 환자의 각막에 접촉하는 부위에서의 렌즈 교정 D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와, 상기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교정할 각막의 D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각막 D 데이터, 환자의 각막 직경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각막 직경 데이터 및 등록 동공 직경 데이터 중 적어도 등록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등록 환자 데이터와, 상기 등록 렌즈가, 복수 교정 단계에서의 제1 스테이지 또는 제2 스테이지 이후의 어느 단계에서 각막에 장착된 렌즈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출력하게 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등록 렌즈에 대한, 상기 등록 환자 데이터와, 상기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되고, 상기 단말장치는 환자의 교정할 각막의 D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각막 D 데이터, 각막 직경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각막 직경 데이터, 동공 직경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동공 직경 데이터 중 적어도 환자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를 취득하는 환자 데이터 취득장치, 상기 환자의 교정할 각막에 대해, 다음의 각막교정렌즈가, 복수 교정 단계의 제1 스테이지에서 각막에 장착되거나 또는 제2 스테이지 이후의 어느 스테이지가 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를 취득하는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취득 장치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환자 데이터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를 상기 렌즈 결정 서버로 송신가능하게 되고, 상기 렌즈 결정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취득된 환자 각막 D 데이터,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에 가장 가까운 등록 각막 D 데이터, 동일한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검출하여, 이를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시스템.
(3) 두부를 똑바로 세운 정립상태에서의 환자의 동공을 중심으로 하는 위치에서, 각막에 각막교정렌즈를 장착하는 장착과정, 상기 각막교정렌즈가 각막 위를 이동하는 상태의 화상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과정, 상기 취득된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각막교정렌즈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검출하는 이동 데이터 검출과정을, 복수의 각막교정렌즈에 대해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시행과정, 상기 취득된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의 데이터가 일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일정 범위인 경우에,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서 선정하는 선정과정을 반복하며, 상기 선정된 각막교정렌즈를 등록 렌즈로 하여, 상기 등록 렌즈의, 상기 각막에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렌즈 교정 D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및, 상기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등록 렌즈 장착 전의 상기 각막의 D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각막 D 데이터, 환자의 각막 직경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각막 직경 데이터, 환자의 동공 직경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동공 직경 데이터 중 적어도 등록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등록 환자 데이터, 및, 등록 렌즈가 복수의 교정 단계에서의 제1 스테이지 또는 제2 스테이지 이후의 어느 스테이지에서 각막에 장착된 렌즈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저장하여, 렌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과, 환자의 교정할 각막의 D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각막 D 데이터, 각막 직경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각막 직경 데이터, 및, 동공 직경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동공 직경 데이터 중 적어도 환자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를 취득하는 환자 데이터 취득과정과, 상기 환자의 교정할 각막에 대해, 이번 각막교정렌즈의 장착이 복수의 교정 단계의 어느 스테이지가 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를 취득하는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취득과정과, 상기 렌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취득된 환자 각막 D 데이터에 가장 가까운 등록 각막 D 데이터,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와 동일한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등록 렌즈를,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서 결정하는 렌즈 결정과정과, 상기 결정된 각막교정렌즈의 상기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렌즈제조장치에 송신하는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송신과정과, 송신된 상기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를 제조하는 렌즈 제조과정을 포함하여 된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제공 방법.
(4) 선정장치와,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그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된 렌즈 결정 서버와, 상기 렌즈 결정 서버에 접속가능한 단말장치와, 렌즈제조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선정장치는 두부를 똑바로 세운 정립상태에서의 환자의 동공을 중심으로 하는 위치에서, 각막에 장착한 각막교정렌즈를 촬영하여, 각막 위를 이동하는 상태의 화상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취득하는 렌즈 촬영 카메라, 및, 상기 렌즈 촬영 카메라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막교정렌즈가 각막 위를 이동하는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각막교정렌즈의 적어도 이동 속도, 이동 방향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렌즈 이동 데이터를 검출하는 렌즈 이동 데이터 검출장치를 포함하는 렌즈 이동 데이터 취득장치와, 상기 취득된 렌즈 이동 데이터가 일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일정 범위의 각막교정렌즈를, 환자에게 사용하기에 적합한 각막교정렌즈로서 판정하는 판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각막교정렌즈를 등록 렌즈로 하여, 상기 등록 렌즈에 대한, 환자의 각막에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렌즈 교정 D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와, 상기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교정할 각막의 D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각막 D 데이터, 환자의 각막 직경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각막 직경 데이터 및 등록 동공 직경 데이터 중 적어도 등록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등록 환자 데이터와, 상기 등록 렌즈가 복수 교정 단계의 제1 스테이지 또는 제2 스테이지 이후의 어느 스테이지에서 각막에 장착된 렌즈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출력하게 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등록 렌즈에 대한 상기 등록 환자 데이터와 상기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되고, 상기 단말장치는 환자의 교정할 각막의 D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각막 D 데이터, 각막 직경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각막 직경 데이터, 동공 직경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동공 직경 데이터 중 적어도 환자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를 취득하는 환자 데이터 취득장치, 상기 환자의 교정할 각막에 대해, 다음의 각막교정렌즈가, 복수 교정 단계의 제1 스테이지에서 각막에 장착되는지 또는 제2 스테이지 이후의 어느 스테이지가 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를 취득하는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취득 장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환자 데이터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를 상기 렌즈 결정 서버로 송신가능하게 되며, 상기 렌즈 결정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취득된 환자 각막 D 데이터,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에 가장 가까운 등록 각막 D 데이터, 동일한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검출하여, 이를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렌즈제조장치는 상기 결정된 각막교정렌즈의 상기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 렌즈와 동일한 환자 장착용 각막교정렌즈를 제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공급 시스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각막의 환자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 복수 단계의 각막 교정에서 동일한 환자에 대한 몇 번째 스테이지의 각막교정렌즈인지를 나타내는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의 데이터를 렌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여, 최적의 각막교정렌즈를 결정하고, 또한, 이를 제조하여 원격지의 의사에게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부담 및 불필요한 렌즈의 발생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막교정렌즈 결정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환자 각막 상에 장착된 각막교정렌즈의 이동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4A는 근시 교정인 경우의, 환자 데이터에서의 환자 각막 D와 각막교정렌즈에서의 렌즈 교정 D와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4B는 원시 노안 교정인 경우의, 환자 데이터에서의 환자 각막 D와 각막교정렌즈에서의 렌즈 교정 D와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렌즈 결정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정장치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막교정렌즈의 렌즈 결정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및 단말장치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적의 각막교정렌즈를 결정하여 공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A는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구할 때의 각막 D 데이터와 렌즈 교정 D 데이터와의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
도 9B는 조건이 다른 경우의, 도 9A와 같은 그래프.
도 10은 환자 데이터와 등록 환자 데이터와의 괴리가 큰 경우에 각막교정렌즈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되는 과정의 서브 루틴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막 교정용 각막교정렌즈 결정 공급 시스템(이하, 결정 공급 시스템)(10)은 선정장치(20)와, 데이터베이스 서버(30)와, 메인 서버인 렌즈 결정 서버(50)와, 그 렌즈 결정 서버(50)에 접속된 렌즈제조장치(50C)와, 렌즈 결정 서버(50)에 접속 가능한 단말장치(70)와, 단말측 렌즈제조장치(7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의 각 구성의 상호 관계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결정 공급 시스템(10)에서, 선정장치(20)에서는 환자의 각막에 장착한 각막교정렌즈의 장착 직후의 이동 방향 및 그 속도의 데이터가 렌즈 이동 데이터 취득장치(22)에 의해 취득되며, 이것이 환자의 각막에 가장 적합한 지 여부를 판정장치(28)에 의해 판정받는다.
데이터베이스 서버(30)는 판정 결과가 사용가능(양)인 각막교정렌즈(등록 렌즈) 데이터 및 환자의 각막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데이터베이스(30B)(도 2 참조)를 구축하도록 되어 있다.
단말장치(70) 및 단말측 렌즈제조장치(7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결정 서버(50)에서 볼 때 떨어진 위치, 예를 들어 해외나 국내 원격지 등의 의사(72) 쪽에 배치되어 있다. 단말장치(70)는 의사(72)의 측정에 의해 취득된, 환자의 각막에서의 환자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를 렌즈 결정 서버(50)에 송신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렌즈 결정 서버(50)는 수신한 환자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30B)로부터 검출하여, 이를 최적의 각막교정렌즈로서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렌즈 결정 서버(50)에 의해 각막교정렌즈가 결정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70)의 렌즈 데이터 접수 송신장치(73)에 송신되며, 이것으로부터, 결정된 각막교정렌즈의 렌즈 데이터와 함께 제조 지시신호가 단말측 렌즈제조장치(74)에 출력되고, 단말측 렌즈제조장치(74)로, 상기 렌즈 데이터를 갖는 각막교정렌즈가 제조된다. 의사(72)는 제조된 각막교정렌즈를 취득하여 환자에게 사용한다.
또한, 단말측 렌즈제조장치(74)로 각막교정렌즈가 제조되지 않을 경우, 각막교정렌즈는 렌즈제조장치(50C)에 의해 제조되고, 제조된 각막교정렌즈는 렌즈 발송 기관(50D)을 통해, 환자 데이터를 송신해 온 단말장치(70)를 관리, 조작하며, 또한, 상기 각막교정렌즈를 이용하여 환자의 각막 교정을 하고자 하는 의사(72)에게 송부된다.
표 1에는 렌즈 이동 데이터 취득장치(22)로부터의 출력 데이터, 선정장치(20)로부터 출력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 저장되는 데이터, 단말장치(70)로부터 출력되어 렌즈 결정 서버(50)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결정 공급 시스템(10)에서의 각 장치의 상세 내용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정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라토미터(미도시)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 취득장치(20B)와, 렌즈 촬영 카메라(24) 및 렌즈 이동 데이터 검출장치(26)를 포함하는 렌즈 이동 데이터 취득장치(22)와, 판정장치(2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의 부호 20A는 IF수단, 21A는 키보드, 21B는 디스플레이, 21C는 프린터를 각각 나타낸다.
렌즈 촬영 카메라(24)는 두부를 똑바로 세우는 정립상태에서의 환자의 동공을 중심으로 하는 위치에서, 각막에 장착한 각막교정렌즈를 촬영하여, 각막 위를 이동하는 상태의 화상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취득하도록 되어 있다.
렌즈 이동 데이터 검출장치(26)는 렌즈 촬영 카메라(24)에 의해 얻어진, 각막교정렌즈가 각막 위를 이동하는 화상으로부터, 적어도 그 이동 속도, 이동 방향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렌즈 이동 데이터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렌즈 이동 데이터 검출장치(26)를 포함하는 렌즈 이동 데이터 취득장치(22)에 의해 취득된 렌즈 이동 데이터는 판정장치(28)에 의해, 일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일정 범위 내의 각막교정렌즈를 환자에게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일정 범위 내란,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속도가 0을 초과하여 10mm/초 이하이고, 이동 방향(V)이 동공(Pu)의 연직 하방의 수직선(Pe)으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6°이내의 각도(θ)인 조건이 충족될 때를 말한다. 도 3의 부호 OL0는 동공(Pu)의 위치에 있는 각막교정렌즈를 나타내고, OL1은 동공(Pu)의 위치에 있는 V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환자의 수면중이나 기상한 상태에서, 동공 위치로부터 하강한 각막교정렌즈는 깜박임에 의해 동공 위치로 되돌아가는데, 상기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즉 너무 빨리 하강한 경우나 비스듬하게 크게 이동한 경우에는 깜박임에 의해서도 동공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이동 속도가 0인 경우에는 각막교정렌즈가 각막에 밀착되어, 각막으로의 산소 공급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부적당하다. 최대 이동 속도 10mm/초 및 각도 6°는, 본 발명자가 실시한 1만명 이상의 치료 데이터에 기초한 것이다.
판정장치(28)에 대해서는 환자에게 사용되는 각막교정렌즈가 복수 교정 단계에서의 제1 스테이지에서 각막에 장착된 제1 렌즈인지 또는 제2 스테이지 이후의 어느 스테이지에서 장착된 렌즈인지를 나타내는 스테이지 데이터가 예를 들면 키보드(21A)로부터 입력된다.
또한, 선정장치(20)는 환자에게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정된 각막교정렌즈 (등록 렌즈)에 대한, 환자의 각막에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렌즈 교정 D 데이터와, 렌즈 이동 데이터와, 스테이지 데이터와, 근시 교정용인지 원시 노안용인지를 나타내는 근원(近遠) 데이터, 상기의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교정할 각막의 각막 D 데이터로 이루어진 각막 D 데이터, 각막 직경에 대한 각막 직경 데이터 및 동공 직경에 대한 동공 직경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30)는 상기 각막교정렌즈에 대한 입력한 데이터를, 각각 등록 렌즈 이동 데이터와,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와,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와, 등록 렌즈 이동 데이터, 등록 근원(近遠) 데이터, 등록 각막 D 데이터, 등록 각막 직경 데이터 및 등록 동공 직경 데이터를 포함하는 등록 환자 데이터를, 예를 들면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축적하여 데이터베이스(30B)를 구축하도록 되어 있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디옵트리(D)가 작아질수록 렌즈 및 각막의 곡률 반경(R, r)이 커지므로, 각막 디옵트리(Dr)에 대한 렌즈 디옵트리(DR)의 관계는 근시 교정인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DR, 즉 r<R이 되고, 또한 원시 노안 교정인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DR, 즉 r>R이 되며, 양자의 차이 Dr-DR 또는 DR-Dr은 복수단 교정의 몇 번째 스테이지인가에 따라 다르고, 제1 스테이지가 가장 커진다.
데이터베이스 서버(30)는 더욱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F수단(30A), 제어수단(40) 및 데이터베이스(30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부호 40A는 키보드, 40B는 디스플레이, 40C는 프린터를 각각 나타낸다.
제어수단(40)은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접수기능(41), 등록 렌즈 이동 데이터 접수기능(42),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 접수기능(43), 등록 환자 데이터 접수기능(44), 및 등록 각막/렌즈 D 차이 데이터 산출수단(4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B)는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저장수단(31), 등록 렌즈 이동 데이터 저장수단(32),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 저장수단(33), 등록 환자 데이터 저장수단(34), 및 등록 각막/렌즈 D 차이 데이터 저장수단(3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면,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접수기능(41)은 IF수단(30A)과 함께,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접수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즉, 기능은 IF수단과 함께 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서의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접수기능(41)은 선정장치(20)로부터 송신되는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IF수단(30A)을 통해 접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접수된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30B)에서의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저장수단(31)에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선정장치(20)로부터 송신된 등록 렌즈 이동 데이터는 등록 렌즈 이동 데이터 접수기능(42)에 의해 접수되며, 등록 렌즈 이동 데이터 저장수단(32)에 저장된다. 또한, 선정장치(20)로부터 송신된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는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 접수기능(43)에 접수되고, 이것이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 저장수단(33)에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등록 환자 데이터는 등록 환자 데이터 접수기능(44)에 접수되고, 이것이 등록 환자 데이터 저장수단(34)에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등록 각막/렌즈 D 차이 데이터 산출수단(45)은 등록 환자 데이터에서의 등록 각막 D 데이터와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의 차이를 산출하게 되며, 산출 결과의 수치는 각막/렌즈 D 차이 데이터로서 등록 각막/렌즈 D 차이 데이터 저장수단(35)에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 도 5에 도시된 렌즈 결정 서버(50)의 세부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렌즈 결정 서버(50)는 IF수단(50A), 제어수단(60) 및 저장장치(50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5의 부호 60A는 키보드, 60B는 디스플레이, 60C는 프린터를 각각 나타낸다.
제어수단(60)에 대해서는 단말장치(70)로부터의 신호를 인터넷(14) 및 IF수단(50A)을 통해 제어수단(60)에서의 대응기능에 접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키보드(60A)로부터는 수동으로, IF수단(50A)을 통해 제어수단(60)에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수단(60)은 단말 설정 정보 접수기능(61), 환자 데이터 접수기능(62),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접수기능(63), 렌즈 촬영 카메라 보유 정보 접수기능(63A), 데이터베이스 검색수단(64),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 산출수단(65), 수정 데이터 렌즈 결정수단(66), 테스트 렌즈 데이터 작성수단(66A), 렌즈 제조 지시기능(67), 결정 렌즈 데이터 요청 접수 송신기능(67A), 렌즈 완성 정보 접수기능(68), 렌즈 반환 정보 접수기능(69), 및 결정 테스트 렌즈 데이터 접수기능(69A)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저장장치(50B)는 단말 정보 저장수단(51), 환자 데이터 저장수단(52),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저장수단(53), 결정 렌즈 데이터 요청 저장수단(53A), 렌즈 촬영 카메라 보유 정보 저장수단(53B),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 저장수단(54), 수정 데이터 렌즈 저장수단(55), 테스트 렌즈 데이터 저장수단(55A), 결정 렌즈 저장수단(56), 렌즈 제조 지시정보 저장수단(57), 완성 렌즈 정보 저장수단(58), 렌즈 반환 정보 저장수단(59), 및 결정 테스트 렌즈 데이터 저장수단(59A)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말장치(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데이터 취득장치(71), 환자 데이터 송신기능(84)을 포함하는 제어장치(80), 및 저장장치(90)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의 부호 70A는 IF수단, 80A는 키보드, 80B는 디스플레이, 80C는 프린터를 각각 나타낸다.
제어장치(80)는 단말 등록 정보 송신기능(81)과, 환자 데이터 접수기능(82)과,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접수기능(83)과, 상기 환자 데이터 송신기능(84)과,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송신기능(85)과, 렌즈 수취 정보 접수기능(86)과, 렌즈 반송 정보 송신기능(87)과, 결정 테스트 렌즈 정보 송신기능(88)과, IF수단(70A)과 함께 렌즈 데이터 접수 송신장치(73)를 구성하고 있는 렌즈 데이터 요청 송신기능(89A), 렌즈 데이터 접수기능(89B), 및 렌즈 데이터 송신기능(89C)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저장장치(90)는 단말 등록 정보 저장수단(91), 환자 데이터 저장수단(92),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저장수단(93), 데이터 송신 저장수단(94), 렌즈 수취 정보 저장수단(95), 렌즈 반송 정보 저장수단(96), 결정 테스트 렌즈 정보 저장수단(97), 및 렌즈 데이터 요청 정보 저장수단(9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부 서버가 되는 렌즈 결정 서버(50)에 대해 단말장치(70)는 계약한 의사(72)가 사용하며, 또한, 단말 등록 정보 송신기능(81)은 의사(72)의 관리하에 있다는 취지의 정보를 패스워드나 ID와 함께 렌즈 결정 서버(5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단말 등록 정보는 저장장치(90)에서의 단말 등록 정보 저장수단(91)에 등록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단말 등록 정보에는 단말장치(70)에, 상기 선정장치(20)에서의 렌즈 촬영 카메라(24)와 동일한 렌즈 촬영 카메라가 포함되는지 여부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환자 데이터 접수기능(82)은 환자 데이터 취득장치(71)로부터의 환자 데이터(환자 각막 D 데이터, 각막 직경, 동공 직경을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를, IF수단(70A)을 통해 접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접수된 환자 데이터는 환자 데이터 저장수단(92)에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환자 데이터 중, 환자 근원(近遠) 데이터는 키보드(80A)를 통해 입력된다.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는 키보드(80A)를 통해 입력되며, IF수단(70A)을 통해,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접수기능(83)에 접수되고, 이것이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저장수단(93)에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환자 데이터 송신기능(84)은 환자 데이터 저장수단(92)에 저장된 환자 데이터를, 또한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송신기능(85)은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저장수단(93)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를 각각 IF수단(70A), 인터넷(14)을 통해 렌즈 결정 서버(50)에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데이터가 송신된 것은 데이터 송신 저장수단(94)에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렌즈 수취 정보 접수기능(86)은 키보드(80A), IF수단(70A)을 통해 의사(72)의 조작에 의해, 의사(72)가 각막교정렌즈를 수취했다는 취지의 정보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다. 이 렌즈 수취 정보는 저장장치(90)에서의 렌즈 수취 정보 저장수단(95)에 저장된다.
렌즈 반송 정보 송신기능(87)은 의사(72)가 각막 교정에 사용되며, 그 단계의 교정을 종료한 사용완료 각막교정렌즈를 렌즈 발송 기관(50D)에 반송했을 때, 키보드(80A)를 통해 삽입되는 렌즈 반송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를 반송했다는 취지의 정보를 렌즈 결정 서버(50)에 IF수단(70A), 인터넷(14)을 통해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 렌즈 반송 정보는 저장장치(90)에서의 렌즈 반송 정보 저장수단(96)에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결정 테스트 렌즈 정보 송신기능(88)은 보내온 복수의 테스트 렌즈(아래 설명 참조)를 환자에게 장착해보고, 치료에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결정한 테스트 렌즈의 정보를 렌즈 결정 서버(50)에 송신하게 되며, 그 정보는 결정 테스트 렌즈 정보 저장수단(97)에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렌즈 데이터 요청 송신기능(89A)은 의사(72)가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의 제조를 위한 렌즈 데이터를 요청할 경우에, 그 요청 신호를 렌즈 결정 서버(50)에 대해 송신하며, 렌즈 데이터 접수기능(89B)은 결정 렌즈 저장수단(56)에 저장된 결정 각막교정렌즈의 데이터를 IF수단(50A)을 통해 렌즈 데이터 접수 송신장치(7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환자 데이터 취득장치(71)는 환자의 교정할 각막의 환자 각막 D 데이터, 각막 직경 데이터, 동공 직경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를 취득하게 되며, 환자 데이터 송신기능(84)은 인터넷(14)을 통해 환자 데이터를 렌즈 결정 서버(50)에 송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환자 데이터 취득장치(71)로서, 구체적으로는 (주)탑콘 제품(KP-8100PA)인 Auto Kerato-Refractometer, 현 아지노모토 트레이딩(주) 제품인 Shin-Nippon(CT-1000) Corneal Topographer, 또는 Oculuse제 Pentacam Corneal Topographer 등을 사용한다.
렌즈 결정 서버(50)는 데이터베이스(30B)로부터 상기 각막과 동일한 환자 각막 D 데이터 또는 가장 가까운 환자 각막 D 데이터의 각막에 사용한 등록 렌즈를 검출하여, 이를 환자에게 사용하기에 적합한 곡률의 각막교정렌즈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 도 7, 도 8을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 및 각막교정렌즈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에서는 도 7의 단계 S10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막교정렌즈를 환자의 교정할 각막에 장착한다. 이때, 각막교정렌즈는 두부를 똑바로 세운 정립상태에서의 환자의 동공을 중심으로 하는 위치에 장착한다. 이렇게 하면, 각막교정렌즈는 중력에 의해 각막 표면을 따라 하강하는데, 접촉면에서의 각막교정렌즈의 렌즈 곡률과 각막의 각막 곡률과의 관계에서, 반드시 연직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그 속도도 균일하지는 않다.
본 발명자는 각막교정렌즈가 상기와 같이, 이동 속도가 0을 초과하여 10mm/초 이하이고, 이동 방향이 동공의 연직 하방의 수직선으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6°이내의 각도인 조건이 충족될 경우에는, 그 각막의 교정에 이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어, 단계 S102로 진행하여, 렌즈 촬영 카메라(24)에 의해, 환자의 각막에 장착한 상태의 각막교정렌즈를 촬영하여, 각막교정렌즈가 각막 위를 이동하는 상태의 화상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취득한다. 단계 S103로 진행하여, 렌즈 촬영 카메라(24)에서 취득한 화상 정보로부터, 각막교정렌즈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이동 데이터를 렌즈 이동 데이터 검출장치(26)에 의해 취득한다.
이어, 단계 S104에서, 상기 취득된 이동 데이터가 일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장치(28)에 의해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속도는 0을 초과하여 10mm/초 이내인지, 이동 방향은 환자의 동공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해 각도가 6°이내인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예(Yes)"이면, 다음 단계 S105로 진행하며, 해당 각막교정렌즈가, 각막 교정에 이용가능한 등록 렌즈이라고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아니요(No)"이면, 단계 S108로 진행한다.
단계 S105에서,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각막교정렌즈로 판정된 경우, 다음 단계 S106에서, 판정장치(28)로부터, 그 각막교정렌즈를 등록 렌즈로 하여, 그 등록 렌즈에 대한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및 등록 렌즈 이동 데이터,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 등록 환자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 송신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서는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접수기능(41), 등록 렌즈 이동 데이터 접수기능(42),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 접수기능(43) 및 등록 환자 데이터 접수기능(44)에 의해, 상기 송신된 데이터를 접수받아, 각각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저장수단(31), 등록 렌즈 이동 데이터 저장수단(32),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 저장수단(33), 등록 환자 데이터 저장수단(34)에 저장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30B)가 구축되어 간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제어수단(40)에서는 등록 환자 데이터로부터, 환자의 각막 D 데이터와 각막을 교정하기 위한 각막교정렌즈의 렌즈 교정 D 데이터와의 차이를 등록 각막/렌즈 D 차이 데이터 산출수단(45)에 의해 산출할 수 있게 되고, 그 계산결과가 등록 각막/렌즈 D 차이 데이터 저장수단(35)에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단계 S107 참조).
상기와 같이, 환자의 각막에 각막교정렌즈를 장착하여 그 렌즈가 이용가능한 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단계 S108에서는 다음 렌즈가 없으면,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을 종료하고, 다음 렌즈가 있으면, 단계 S109로 진행하여, 다음의 각막교정렌즈를 장착하고, 다시 다음 단계 S102에서 S108까지를 반복하게 된다.
이어,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30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장치(7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자의 교정에 가장 적합한 각막교정렌즈를 렌즈 결정 서버(50)에서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201에서는 단말장치(70)에서, 환자 데이터 취득장치(71)에 의해, 각막을 교정하려는 환자의 환자 각막 D 데이터, 각막 직경, 동공 직경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데이터를 취득하여, 인터넷(14)을 통해 렌즈 결정 서버(50)에 송신된다(단계 S202 참조).
이때, 의사(72)에 의해, 단말장치(70)의 키보드(80A)로부터, 이번 각막 교정은 복수 교정 단계의 몇 번째 스테이지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IF수단(70A)을 통해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접수기능(83)에 입력된다. 또한, 의사(72)가, 렌즈 결정 서버(50)에서 결정된 각막교정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렌즈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에는, 렌즈 데이터 요청 정보가 렌즈 데이터 요청 송신 기능(89A)에 입력된다.
또한, 환자 데이터 취득장치(71)로부터의 환자 데이터는 일단, IF수단(70A)을 통해 환자 데이터 접수기능(82)에 접수되고, 접수된 환자 데이터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는 환자 데이터 저장수단(92)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저장수단(93)에 각각 저장된다. 또한, 렌즈 데이터 요청 정보는 렌즈 데이터 요청 정보 저장수단(98)에 저장된다.
저장된 환자 데이터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는 단말장치(70)의 제어장치(80)에서의 환자 데이터 송신기능(84)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송신기능(85)에 의해, 또한, 렌즈 데이터 요청 정보는 렌즈 데이터 요청 송신기능(89A)에 의해, IF수단(70A), 인터넷(14)을 거쳐 렌즈 결정 서버(50)에 송신된다.
렌즈 결정 서버(50)에서는 환자 데이터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가 제어수단(60)에서의 환자 데이터 접수기능(62)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접수기능(63)에 접수되어, 각각 저장장치(50B)에서의 환자 데이터 저장수단(52)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저장수단(53)에 저장된다. 또한, 렌즈 데이터 요청 정보가 결정 렌즈 데이터 요청 접수 송신기능(67A)에 접수되어, 저장장치(50B)에서의 결정 렌즈 데이터 요청 저장수단(53A)에 저장된다. 또한, 의사(72)와의 계약시에, 의사(72)가 렌즈 촬영 카메라(24)와 동등한 렌즈 촬영 카메라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가 렌즈 촬영 카메라 보유 정보 접수기능(63A)으로부터 입력되어, 렌즈 촬영 카메라 보유 정보 저장수단(53B)에 저장되어 있다.
단계 S203로 진행하여, 렌즈 결정 서버(50)의 데이터베이스 검색수단(64)에 의해, 단말장치(70)로부터 보내져 온 환자 데이터 또는 환자 데이터와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30)에서의 데이터베이스(30B)로부터, 단말장치(70)로부터의 환자 데이터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검출한다.
단계 S204로 진행하여, 검출된 등록 렌즈에서의 등록 각막 D 데이터와, 단말장치(70)로부터의 환자 데이터에서의 환자 각막 D 데이터와의 차이가 일정 값(예를 들면 0.03D)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 Yes이면, 단계 S205로 진행하여, 해당 등록 렌즈를 결정 렌즈로서 결정 렌즈 저장수단(56)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의 "차이"는 각막의 곡률 반경 0.01mm로 한다. 이는 측정 장치의 검출 정확도 한계가 0.01mm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표 3에 따라 곡률 반경을 디옵트리(D)로 환산하면, 0.03D가 된다.
Figure pct00003
또한, Yes의 등록 렌즈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환자 각막 직경 데이터, 환자 동공 직경 데이터가 가장 가까운 등록 각막 직경 데이터, 등록 동공 직경 데이터의 등록 렌즈를 결정 렌즈로 하여도 좋다.
단계 S205에서 단계 S205A로 진행하며, 의사(72)로부터의 렌즈 데이터 요청이 있었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No인 경우는 단계 S206로 진행한다.
단계 S206에서는 이 저장된 결정 렌즈와 동일한 데이터를 갖는 각막교정렌즈를 작성하는 지시신호(렌즈 데이터)를 렌즈제조장치(50C)로 송신하고, 여기에서 각막교정렌즈가 생성된다.
단계 S205A에서 Yes인 경우, 즉, 결정 렌즈 데이터 요청 저장수단(53A)에 결정 렌즈 데이터 요청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단계 S205B로 진행하며, 지시신호는 단말장치(70)의 렌즈 데이터 접수 송신장치(73)에 인터넷(14)을 통해 송신되고, 단계 S205C에서, 렌즈 데이터 접수 송신장치(73)로부터 지시신호가 단말측 렌즈제조장치(74)에 송신되어, 각막교정렌즈가 작성된다. 즉, 원격으로 각막교정렌즈가 작성되어 치료에 사용되게 된다.
또한, 지시신호는 렌즈 교정 D 데이터에서의 디옵트리(D)는 표 3에 나타나는 디옵트리·밀리미터 환산표에 따라 환산되어, 렌즈의 곡률 반경(mm) 형태로 출력된다.
렌즈제조장치(50C) 및 단말측 렌즈제조장치(74)는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막교정렌즈를 제조하는 장치이며, 통상의 절삭형 콘택트렌즈 제조장치나 3D 프린터이어도 좋다. 또한, 단말측 렌즈제조장치(74)는 의사(72)나, 의사(72)와 연계된 렌즈 제조업체 쪽에 있으며, 렌즈제조장치(50C)는 렌즈 결정 서버(50)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단계 S207에서는 작성된 각막교정렌즈가 의사(72)에 직접 취득되거나, 또는 상기 렌즈 제조업체로부터 의사(72)에게 공급되고, 또한, 렌즈 데이터 요청이 없었던 경우에는 단말장치(70)를 관리 조작하는 의사(72) 앞으로 렌즈 발송 기관(50D)을 통해 발송된다.
상기의 단계 S204에서, 판정 결과가 No이면, 단계 S208로 진행한다. 단계 S208 내지 S210은 렌즈 결정 서버(50)의 제어수단(60)의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 산출수단(65)에 의해 이하와 같이 실행된다.
우선, 단계 S208에서는, 도 9A,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막 D 데이터에 가장 근사한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제1 렌즈로 했을 때, 그 렌즈에 대한 제1 등록 각막 D 데이터(r1)와, 그 다음으로 근사한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제2 렌즈로 했을 때의, 제2 등록 각막 D 데이터(r2)와의 각막 D 데이터 차이 r1-r2=ΔC를 구하고, 다음 단계 S209에서,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각각 R1, R2로 했을 때의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차이 R1-R2=ΔL을 구한다.
단계 S210에서는 환자 데이터에서의 환자 각막 D 데이터(r0)와 제1 렌즈에서의 등록 각막 D 데이터(r1)의 차이(Δr1)와, ΔL/ΔC와의 곱을 구하여, 제1 렌즈의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R1)에 더하거나 감해서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즉, 단위 각막 D 당 렌즈 교정 D를 구하고, 여기에 r0-r1=Δr1을 곱하면 r0과 r1의 차이에 대응하는 렌즈 교정 D값(차이)이 산출되며, D0는 이것에 R1을 더하면 된다. 예컨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0>r1>r2, R1>R2인 경우, D0=(r0-r1=Δr1)×ΔL/ΔC/R1이 된다. r1>r0>r2, R1>R0>R2인 경우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D0=R1-Δr1×ΔL/ΔC가 된다.
다음 단계 S211에서는 상기의 ΔL가 일정값 이하, 즉, 제1 렌즈와 제2 렌즈의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의 차이가 너무 큰 지 여부를 판정한다. 너무 큰 경우에는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의 신뢰성이 작다. 판정 결과가 Yes이면, 단계 S212로 진행하고, No이면 후술하는 서브 루틴(B : 도 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212에서는 수정 데이터 렌즈 결정수단(66)에서, 상기 산출된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갖는 수정 각막교정렌즈를 결정 렌즈로 하고, 그 데이터를 도 7, 도 8에서 부호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30B)에 추가한다. 이어, 단계 S205로 되돌아가, 결정 렌즈가 저장장치(50B)에 저장되며, 다음 단계 S205A에서 렌즈 데이터 요청 유무가 판정된다.
상기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 수정 데이터 렌즈 및 결정 렌즈에 대해서는 저장장치(50B)에서의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 저장수단(54), 수정 데이터 렌즈 저장수단(55), 및 결정 렌즈 저장수단(56)에 각각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단계 S205A에서의 판정 결과가 Yes인 경우, 상기의 단계 S205B, S205C를 거쳐 각막교정렌즈가 제공되며, No인 경우, 단계 S213로 진행한다.
단계 S213에서는 렌즈 결정 서버(50)의 렌즈 제조 지시기능(67)에 의해, 상기 산출된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갖는 수정 렌즈의 작성 지시신호를 렌즈제조장치(50C)에 송신하고, 단계 S213에서 수정 렌즈를 작성하여, 단계 S207로 진행한다. 단계 S207에서는 렌즈 발송 기관(50D)으로부터 수정 렌즈를 의사(72)쪽으로 발송한다.
이어, 상기 단계 S211에서,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는 부호 B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단계 S301로 진행한다.
단계 S301에서는 테스트 렌즈 데이터 작성수단(66A)에서 복수의 테스트 렌즈를 위한 작성 데이터를 산출한다.
첫째, ΔL/m=αL, m을 3≤m≤10의 정수로 하고, 수정 렌즈 교정 D에 αL, 2αL, ... mαL를 각각 더한 m종의 교정 D(교정 렌즈 교정 D+αL, 수정 렌즈 교정 D+2αL, ... 수정 렌즈 교정 D+mαL)의 m종의 수치, 및 수정 렌즈 교정 D로부터 αL, 2αL, ... mαL을 각각 감한 m종의 교정 D(수정 렌즈 교정 D-αL, 수정 렌즈 교정 D-2αL, ... 수정 렌즈 교정 D-mαL)의 m종의 수치를 산출한다.
다음 단계 S302에서는 렌즈 데이터 요청의 유무가 판정되고, No인 경우에는 부호 D로부터 도 11의 서브 루틴으로 진행하며, Yes인 경우에는 단계 S303로 진행하고, 상기 2m종의 교정 D를 갖는 테스트 렌즈의 데이터를 단말장치(70)로 송신한다.
다음 단계 S304에서는 단말장치(70)로부터 단말측 렌즈제조장치(74)에 테스트 렌즈의 데이터가 송신되어 테스트 렌즈가 제조된다.
단계 S305에서는 의사(72)기 환자에게 테스트 렌즈를 장착한다.
다음 단계 S306에서는 의사(72)가 도 1의 렌즈 촬영 카메라(24)와 동일한 렌즈 촬영 카메라가 단말장치(70)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Yes인 경우에는 단계 S307로 진행하며, 렌즈 촬영 카메라에서 환자에게 장착한 상태의 테스트 렌즈를 촬영한다.
단계 S308로 진행하여, 상기의 촬영에서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테스트 렌즈의 이동 데이터를 취득하고, 다음 단계 S309에서는 그 이동 데이터를 인터넷(14)을 통해 단말장치(70)로부터 선정장치(20)의 판정장치(28)로 보낸다.
단계 S310로 진행하여, 판정장치(28)에 의해 선택한 최적의 테스트 렌즈를 치료에 사용하는 각막교정렌즈로서, 그 데이터를 환자 데이터와 함께, 부호 A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도 7의 루틴으로 되돌아가, 데이터베이스(30B)에 추가한다.
상세하게는 선택된, 치료에 사용할 각막교정렌즈의 데이터가 단말장치(70)로부터 렌즈 결정 서버(50)에 보내져, 렌즈 결정 서버(50)의 결정 테스트 렌즈 데이터 접수기능(69A)에 의해 접수되며, 또한, 결정 테스트 렌즈 데이터 저장수단(59A)에 저장된다. 또한, 렌즈 결정 서버(50)로부터 환자 데이터와 함께, 치료에 사용할 각막교정렌즈의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 서버(30)의 제어수단(40)에 보내져(도 10, 도 7의 부호 A 참조),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30B)에 등록 렌즈 데이터 및 등록 환자 데이터로서 추가된다.
단계 S311로 되돌아가서, 상기 최적의 테스트 렌즈의 데이터를 단말장치(70)에 보내고, 의사(72)는 보내온 데이터의 테스트 렌즈를 환자에게 사용한다.
단계 S306에서 No인 경우에는 부호 E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단계 S310로 진행한다. 여기에서는 의사(72)의 판단으로 선택된 최적의 테스트 렌즈를 치료에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서, 그 데이터를 환자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베이스(30B)에 추가되고, 단계 S311을 거쳐, 단계 S312에서, 최적의 테스트 렌즈가 환자에게 사용된다.
다음 단계 S302에서 판정 결과가 No인 경우, 부호 D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도 11의 서브 루틴에서의 단계 S401로 진행한다. 이 단계 S401는 도 10의 단계 S301과 동일하다.
다음 단계 S402에서는 산출된 2m종의 교정 D를 갖는 테스트 렌즈를 렌즈제조장치(50C)로 작성한다.
단계 S403로 진행하며, 제조된 복수의 테스트 렌즈는 의사(72)에게 송부되고, 단계 S404에서는 의사(72)가 환자에게 테스트 렌즈를 장착하여 최적의 테스트 렌즈를 치료에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 한다.
다음 단계 S405에서는 치료에 사용할 각막교정렌즈의 데이터가 단말장치(70)로부터 렌즈 결정 서버(50)로 보내진다.
다음 단계 S406로 진행하여, 환자 데이터와 함께 치료에 사용할 각막교정렌즈의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30B)에 추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시험예에 따르면, 상기 2m종의 교정 D를 갖는 테스트 렌즈는 6종류 내지 10종류 있으면 충분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결정 공급 시스템(10)에서, 렌즈제조장치(50C) 및 단말측 렌즈제조장치(74)가 마련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어느 한쪽만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장치(70)의 일부로서, 렌즈 촬영 카메라(24)를 포함하는 경우, 및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양쪽 모두에 적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의 부담을 적게 하며,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각막교정용 각막교정렌즈를 결정하여 제조할 때에 이용가능하다.
10 : 각막교정렌즈 결정 공급 시스템(결정 공급 시스템)
14 : 인터넷 20 : 선정장치
20A : IF수단 20B : 환자 데이터 취득장치
21A, 40A, 60A, 80A : 키보드 21B, 40B, 60B, 80B : 디스플레이
21C, 40C, 60C, 80C : 프린터 22 : 렌즈 이동 데이터 취득장치
24 : 렌즈 촬영 카메라 26 : 렌즈 이동 데이터 검출장치
28 : 판정장치 30 : 데이터베이스 서버
30A : IF수단 30B : 데이터베이스
31 :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저장수단
32 : 등록 렌즈 이동 데이터 저장수단
33 :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 저장수단
34 : 등록 환자 데이터 저장수단
35 : 등록 각막/렌즈 D 차이 데이터 저장수단
40 : 제어수단
41 :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접수기능
42 : 등록 렌즈 이동 데이터 접수기능
43 :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 접수기능
44 : 등록 환자 데이터 접수기능
45 : 등록 각막/렌즈 D 차이 데이터 산출수단
50 : 렌즈 결정 서버 50A : IF수단
50B, 90 : 저장장치 50C : 렌즈제조장치
50D : 렌즈 발송 기관 51 : 단말 정보 저장수단
52 : 환자 데이터 저장수단
53 :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저장수단
53A : 결정 렌즈 데이터 요청 저장수단
53B : 렌즈 촬영 카메라 보유 정보 저장수단
54 :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 저장수단
55 : 수정 데이터 렌즈 저장수단
55A : 테스트 렌즈 데이터 저장수단
56 : 결정 렌즈 저장수단 57 : 렌즈 제조 지시정보 저장수단
58 : 완성 렌즈 정보 저장수단 59 : 렌즈 반환 정보 저장수단
59A : 결정 테스트 렌즈 데이터 저장수단
60 : 제어수단 61 : 단말 설정 정보 접수기능
62 : 환자 데이터 접수기능 63 :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접수기능
63A : 렌즈 촬영 카메라 보유 정보 접수기능
64 : 데이터베이스 검색 수단
65 :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 산출수단
66 : 수정 데이터 렌즈 결정수단
66A : 테스트 렌즈 데이터 작성수단 67 : 렌즈 제조 지시기능
67A : 결정 렌즈 데이터 요청 접수 송신기능
68 : 렌즈 완성 정보 접수기능 69 : 렌즈 반환 정보 접수기능
69A : 결정 테스트 렌즈 데이터 접수기능
70 : 단말장치 70A : IF수단
71 : 환자 데이터 취득장치 72 : 의사
73 : 렌즈 데이터 접수 송신장치 74 : 단말측 렌즈제조장치
80 : 제어장치 81 : 단말 등록 정보 송신기능
82 : 환자 데이터 접수기능 83 :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접수기능
84 : 환자 데이터 송신기능
85 :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송신기능
86 : 렌즈 수취 정보 접수기능 87 : 렌즈 반송 정보 송신기능
88 : 결정 테스트 렌즈 정보 송신기능
89A : 렌즈 데이터 요청 송신기능 89B : 렌즈 데이터 접수기능
89C : 렌즈 데이터 송신기능 91 : 단말 등록정보 저장수단
92 : 환자 데이터 저장수단 93 :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저장수단
94 : 데이터 송신 저장수단 95 : 렌즈 수취 정보 저장수단
96 : 렌즈 반송 정보 저장수단 97 : 결정 테스트 렌즈 정보 저장수단
98 : 렌즈 데이터 요청 정보 저장수단

Claims (27)

  1. 두부(頭部)를 똑바로 세운 정립(正立)상태에서의 환자의 동공을 중심으로 하는 위치에서, 각막에 각막교정렌즈(Orthokeratology lens)를 장착하는 장착과정, 상기 각막교정렌즈가 각막 위를 이동하는 상태의 화상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취득하는 화상 정보 취득과정, 상기 취득된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각막교정렌즈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검출하는 이동 데이터 검출과정을, 복수의 각막교정렌즈에 대해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시행과정, 상기 취득된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의 데이터가 일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일정 범위인 경우에, 환자에게 사용하는 각막교정렌즈로서 선정하는 선정과정을 반복하며, 상기 선정된 각막교정렌즈를 등록 렌즈로 하여, 그 등록 렌즈의, 상기 각막에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렌즈 교정 D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및, 그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등록 렌즈 장착 전의 상기 각막의 D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각막 D 데이터, 환자의 각막 직경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각막 직경 데이터, 환자의 동공 직경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동공 직경 데이터 중 적어도 등록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등록 환자 데이터 및, 등록 렌즈가 복수 교정 단계의 제1 스테이지 또는 제2 스테이지 이후의 어느 스테이지에서 각막에 장착된 렌즈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저장하여, 렌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과,
    환자의 교정할 각막의 D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각막 D 데이터, 각막 직경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각막 직경 데이터 및, 동공 직경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동공 직경 데이터 중 적어도 환자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를 취득하는 환자 데이터 취득과정과,
    상기 환자의 교정할 각막에 대해, 이번 각막교정렌즈의 장착이 복수의 교정 단계에서의 어느 스테이지가 될 것인지를 나타내는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를 취득하는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취득과정과,
    상기 렌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취득된 환자 각막 D 데이터에 가장 가까운 등록 각막 D 데이터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와 동일한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등록 렌즈를,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서 결정하는 렌즈 결정과정을 포함하여 된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에서의 상기 등록 환자 데이터는 등록 렌즈가 근시 교정용인지 또는 원시 노안 교정용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근원(近遠)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데이터 취득과정에서의 상기 환자 데이터는 렌즈가 근시 교정용인지 또는 원시 노안 교정용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근원(近遠)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결정과정은 상기 렌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취득된 환자 각막 D 데이터에 가장 가까운 등록 각막 D 데이터 및, 환자 근원 데이터,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와 동일한 등록 근원 데이터,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등록 렌즈를,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서 결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에서의 상기 선정과정에서는
    상기 이동 속도가 0을 초과하여 10mm/초 이하이고, 이동 방향이 동공의 연직 하방의 수직선으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6°이내의 각도인 조건이 충족될 때,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에서는 각막교정렌즈 장착 전의 각막의 환자 각막 D 데이터와 장착된 각막교정렌즈의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와의 차이인 각막
    Figure pct00004
    렌즈 D 차이 데이터를 저장하여, 렌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결정과정에서는 상기 취득된 환자 각막 D 데이터와, 이에 가장 가까운 등록 각막 D 데이터와의 차이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검출된 등록 렌즈를 제1 렌즈로 하고, 상기 취득된 환자 각막 D 데이터에 2번째로 가까운 등록 각막 D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제2 렌즈로 하며, 또한, 상기 등록 각막 D 데이터 및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상기 제1 렌즈에서는 제1 각막 D 데이터 및 제1 렌즈 교정 D 데이터로 하고, 상기 제2 렌즈에서는 제2 각막 D 데이터 및 제2 렌즈 교정 D 데이터로 하며,
    상기 제1 각막 D 데이터와 제2 각막 D 데이터 사이의 각막 D 차이 데이터와, 상기 제1 렌즈 교정 D 데이터와 제2 렌즈 교정 D 데이터 사이의 렌즈 교정 D 차이 데이터와의 비로부터, 단위 각막 D 데이터 차이당 렌즈 D 차이를 구하고, 그 렌즈 D 차이와, 상기 취득된 환자 데이터에서의 환자 각막 D 데이터 및 제1 각막 D 데이터간의 차이와의 곱을 상기 제1 렌즈 교정 D 데이터에 더하거나 또는 감하여, 수정 렌즈 D 데이터를 구하고, 그 수정 렌즈 D 데이터를 갖는 각막교정렌즈를,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교정 D 데이터와 제2 렌즈 교정 D 데이터 사이의 렌즈 D 차이(ΔL)가 일정값 이상일 때, ΔL/m=αL, m을 3≤m≤10의 정수로 하고, 상기 수정 렌즈 D 데이터에 αL, 2αL ... mαL을 각각 더한 m종의 교정 D, 상기 수정 렌즈 D 데이터로부터 αL, 2αL ... mαL을 각각 감한 m종의 교정 D의 수치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2가지 m종의 교정 D를 각각 갖는 테스트 렌즈를 작성하는 과정과, 상기 2가지 m종의 테스트 렌즈를 환자에게 장착하여 최적의 테스트 렌즈를, 치료에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 하는 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에서는 상기 렌즈 D 차이에 기초하여 결정된 각막교정렌즈에 대한, 렌즈 D 데이터, 환자 데이터 및 스테이지 데이터를 저장하여, 렌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렌즈 D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정 각막교정렌즈를 제조하는 렌즈 제조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각막교정렌즈의 상기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렌즈 제조장치에 송신하는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송신과정, 및
    송신된 상기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접수하고, 또한 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를 제조하는 렌즈 제조과정을 포함하여 된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공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데이터 취득과정 및 상기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취득과정에서, 취득된 상기 환자 데이터 및 상기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상기 렌즈 결정과정을 실행하는 렌즈 결정 서버로 송신하는 환자 데이터 송신과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공급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제조과정은 상기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송신과정에서 송신된 상기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상기 환자 데이터 취득과정을 실행하는 단말장치에서 수신하는 과정, 및 수신한 상기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상기 렌즈 제조장치에 송신하는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송신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공급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송신과정에서, 상기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상기 렌즈 결정 서버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또는 직접 상기 렌즈 제조장치로 송신하고, 제조된 각막교정렌즈를 상기 환자를 위해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공급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가지 m종의 교정 D를 갖는 테스트 렌즈의 데이터를 상기 렌즈 제조장치에 송신하는 테스트 렌즈 데이터 송신과정, 및 송신된 테스트 렌즈 데이터에 기초하여,상기 렌즈 제조장치에 의해 테스트 렌즈를 제조하는 테스트 렌즈 제조과정을 포함하여 된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공급 방법.
  14. 선정장치와,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그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접속된 렌즈 결정 서버와, 그 렌즈 결정 서버에 접속가능한 단말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선정장치는
    두부를 똑바로 세운 정립상태에서의 환자의 동공을 중심으로 하는 위치에서, 각막에 장착한 각막교정렌즈를 촬영하여, 각막 위를 이동하는 상태의 화상을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취득하는 렌즈 촬영 카메라, 및, 상기 렌즈 촬영 카메라에 의해 얻어진, 상기 각막교정렌즈가 각막 위를 이동하는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각막교정렌즈의 적어도 이동 속도, 이동 방향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렌즈 이동 데이터를 검출하는 렌즈 이동 데이터 검출장치를 포함하는 렌즈 이동 데이터 취득장치와, 상기 취득된 렌즈 이동 데이터가 일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일정 범위의 각막교정렌즈를, 환자에게 사용하기에 적합한 각막교정렌즈로서 판정하는 판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환자에게 사용하기에 적합한 각막교정렌즈를 등록 렌즈로 하여, 그 등록 렌즈에 대한, 환자의 각막에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렌즈 교정 D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와, 그 접촉하는 부분에서의 교정할 각막의 D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각막 D 데이터, 환자의 각막 직경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각막 직경 데이터 및 등록 동공 직경 데이터 중 적어도 등록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등록 환자 데이터와, 상기 등록 렌즈가 복수 교정 단계의 제1 스테이지 또는 제2 스테이지 이후의 어느 단계에서 각막에 장착된 렌즈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출력하게 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등록 렌즈에 대한, 상기 등록 환자 데이터와, 상기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되며,
    상기 단말장치는
    환자의 교정할 각막의 D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각막 D 데이터, 각막 직경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각막 직경 데이터, 동공 직경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동공 직경 데이터 중 적어도 환자 각막 D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자 데이터를 취득하는 환자 데이터 취득장치, 상기 환자의 교정할 각막에 대해, 다음의 각막교정렌즈가, 복수 교정 단계의 제1 스테이지에서 각막에 장착되거나 또는 제2 스테이지 이후의 어느 스테이지가 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를 취득하는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 취득 장치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환자 데이터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를 상기 렌즈 결정 서버로 송신가능하게 되고,
    상기 렌즈 결정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취득된 환자 각막 D 데이터,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에 가장 가까운 등록 각막 D 데이터, 동일한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검출하여, 그를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상기 선정장치는 상기 등록 렌즈가 근시 교정용인지 또는 근시 노안 교정용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등록 근원(近遠)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출력하게 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등록 근원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되며,
    상기 단말장치는 렌즈가 근시 교정용인지 또는 원시 노안 교정용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이루어진 환자 근원(近遠) 데이터를 상기 렌즈 결정 서버로 송신 가능하게 되고,
    상기 렌즈 결정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취득된 환자 각막 D 데이터 및 환자 근원 데이터,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에 가장 가까운 등록 각막 D 데이터, 동일한 등록 근원 데이터,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검출하여, 그를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장치는 상기 이동 속도가 0을 초과하여 10mm/초 이하이고, 이동 방향이 동공의 연직 하방의 수직선으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6°이내의 각도인 조건이 충족될 때,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서 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시스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각막교정렌즈 장착 전의 각막의 환자 각막 D 데이터와 장착된 각막교정렌즈의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와의 차이인 각막
    Figure pct00005
    렌즈 D 차이 데이터를 저장하여 렌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시스템.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결정 서버는 상기 취득된 환자 각막 D 데이터와, 그에 가장 가까운 상기 등록 각막 D 데이터와의 차이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검출된 등록 렌즈를 제1 렌즈로 하고, 상기 취득된 환자 데이터에서의 환자 각막 D 데이터에 2번째로 가까운 등록 각막 D 데이터를 갖는 등록 렌즈를 제2 렌즈로 하며, 또한, 상기 등록 각막 D 데이터 및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상기 제1 렌즈에서는 제1 각막 D 데이터 및 제1 렌즈 교정 D 데이터로 하고, 상기 제2 렌즈에서는 제2 각막 D 데이터 및 제2 렌즈 교정 D 데이터로 하며,
    상기 제1 각막 D 데이터와 제2 각막 D 데이터 사이의 각막 D 차이 데이터와, 상기 제1 렌즈 교정 D 데이터와 제2 렌즈 교정 D 데이터 사이의 렌즈 교정 D 차이 데이터와의 비로부터, 단위 각막 교정 D 데이터 차이당 렌즈 교정 D 차이를 구하여, 그 렌즈 교정 D 차이와, 상기 취득된 환자 데이터에서의 환자 각막 D 데이터 및 제1 각막 D 데이터간의 차이와의 곱을 상기 제1 렌즈 교정 D 데이터에 더하거나 또는 감하여,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구하고, 그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갖는 각막교정렌즈를 환자에게 사용할 각막교정렌즈로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결정 서버는 상기 제1 렌즈 교정 D 데이터와 제2 렌즈 교정 D 데이터 사이의 렌즈 D 차이(ΔL)가 일정값 이상일 때, ΔL/m=αL, m을 3≤m≤10의 정수로 하며, 상기 수정 렌즈 교정 D에 αL, 2αL ... mαL을 각각 더한 m종의 교정 D, 상기 수정 렌즈 교정 D로부터 αL, 2αL ... mαL을 각각 감한 m종의 교정 D의 수치를 산출하여, 상기 2가지 m종의 교정 D를 각각 갖는 테스트 렌즈의 제조용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상기 렌즈 교정 D 차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 각막교정렌즈에 대한, 수정 렌즈 교정 D 데이터, 환자 데이터 및 환자 스테이지 데이터를, 각각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 등록 환자 데이터 및 등록 스테이지 데이터로서 저장하여, 렌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시스템.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이동 데이터 검출장치는 화상 해석 장치이며, 상기 선정장치는 미리 이동 속도, 이동 방향의 허용치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중앙제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시스템.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렌즈 제조장치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제조장치는 상기 결정된 각막교정렌즈의 상기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 렌즈와 동일한 환자 장착용 각막교정렌즈를 제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공급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렌즈 결정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결정된 각막교정렌즈에 대응하는 상기 등록 렌즈의 상기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접수함과 아울러, 접수한 상기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상기 렌즈제조장치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렌즈 데이터 접수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공급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제조장치는 상기 단말장치에 부속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공급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렌즈 결정 서버에 대해, 각막교정렌즈로서 결정한 상기 등록 렌즈의 렌즈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도록 요청하는 렌즈 데이터 요청 송신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공급 시스템.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제조장치는 상기 렌즈 결정 서버로부터의 상기 등록 렌즈 교정 D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또는 직접 접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공급 시스템.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결정 서버는 상기 2가지 m종의 교정 D를 각각 갖는 테스트 렌즈의 제조용 데이터를 상기 렌즈 제조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공급 시스템.
KR1020197002562A 2016-06-30 2017-06-30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결정 시스템 및 결정 공급 방법, 결정 공급 시스템 KR20190026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30262A JP6161093B1 (ja) 2016-06-30 2016-06-30 オルソケラトロジーレンズの決定方法及び決定システム
JPJP-P-2016-130262 2016-06-30
JPJP-P-2017-127653 2017-06-29
JP2017127653A JP6296584B1 (ja) 2017-06-29 2017-06-29 オルソケラトロジーレンズの決定供給方法及び決定供給システム
PCT/JP2017/024118 WO2018003967A1 (ja) 2016-06-30 2017-06-30 オルソケラトロジーレンズの決定方法、決定システム及び決定供給方法、決定供給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788A true KR20190026788A (ko) 2019-03-13

Family

ID=6078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562A KR20190026788A (ko) 2016-06-30 2017-06-30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결정 시스템 및 결정 공급 방법, 결정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908433B2 (ko)
EP (1) EP3479802B1 (ko)
KR (1) KR20190026788A (ko)
CN (1) CN109414348B (ko)
AU (1) AU2017287517B2 (ko)
CA (1) CA3028951C (ko)
IL (1) IL263794B (ko)
SG (1) SG11201811620WA (ko)
WO (1) WO20180039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7795B (zh) * 2019-06-28 2023-12-05 爱博诺德(北京)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角膜塑形镜制造方法、角膜塑形镜销售方法与角膜塑形镜组件
CN113641002A (zh) * 2021-08-19 2021-11-12 深圳威尔视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ai智能镜片验配系统及方法
CN113868302A (zh) * 2021-09-02 2021-12-31 美视(杭州)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角膜塑形镜智能验配整体解决方案
CN114967176B (zh) * 2022-06-15 2022-11-22 潍坊眼科医院有限责任公司 基于角膜形态和屈光数据的角膜塑形镜制作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5509A (en) 1995-03-10 1997-12-09 El Hage; Sami G. Aspherical optical molds for continuous reshaping the cornea based on topographical analysis
JP3881221B2 (ja) 2001-11-16 2007-02-14 石根 三井 近視および/または乱視矯正用コンタクト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2077B1 (en) 1999-11-03 2003-06-24 Roger L. Tabb Orthokeratological contact lenses and design methods therefor
US6361169B1 (en) * 2000-06-09 2002-03-26 Hsiao-Ching Tung System and method for orthokeratology
US7111938B2 (en) 2001-04-27 2006-09-26 Novartis Ag Automatic lens design and manufacturing system
JP2002350786A (ja) 2001-05-23 2002-12-04 Menicon Co Ltd コンタクトレンズの設計方法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の選択方法
JP5097399B2 (ja) 2003-08-27 2012-12-12 ブライエン・ホールデン・ビジョン・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ソフトレンズによるオルソケラトロジー
JP4653437B2 (ja) * 2004-08-04 2011-03-16 株式会社ニデック オルソケラトロジー処方支援システム
US7216978B2 (en) * 2005-06-08 2007-05-1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for evaluating eyelid movement and contact lens position
EP2052288A4 (en) * 2006-07-31 2011-10-12 Inst Eye Res CORNEAL AND EPITHELIAL REMODELING
EP2258256B1 (de) 2009-06-02 2013-03-13 Oculus Optikgeräte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r Kontaktlinse
US8636357B2 (en) 2009-07-31 2014-01-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ustom contact lenses with fiducial markings
JP5687435B2 (ja) * 2010-04-16 2015-03-18 ホーヤ レンズ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フィリピン インク 眼鏡レンズ選択システム、眼鏡レンズ選択方法、眼鏡レンズ選択装置及び眼鏡レンズ選択結果提示装置
US8950859B2 (en) 2011-12-25 2015-02-10 Global-Ok Vision, Inc. Multi-focal optical lenses
WO2013110059A1 (en) * 2012-01-20 2013-07-25 University Of Rochester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wavefront-guided ophthalmic lenses
CN103505197B (zh) 2012-06-26 2015-05-06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神经信号检测器
AU2013206460A1 (en) 2012-06-27 2014-01-1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Free form custom lens design manufacturing apparatus, system and business method
US10244936B2 (en) * 2012-07-25 2019-04-0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gaging and providing vision correction options to patients from a remote location
US9645412B2 (en) 2014-11-05 2017-05-0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ustomized lens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5509A (en) 1995-03-10 1997-12-09 El Hage; Sami G. Aspherical optical molds for continuous reshaping the cornea based on topographical analysis
JP3881221B2 (ja) 2001-11-16 2007-02-14 石根 三井 近視および/または乱視矯正用コンタクト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811620WA (en) 2019-01-30
WO2018003967A1 (ja) 2018-01-04
AU2017287517A1 (en) 2019-01-17
CA3028951C (en) 2022-07-19
AU2017287517B2 (en) 2021-07-15
US20200387010A1 (en) 2020-12-10
CN109414348A (zh) 2019-03-01
CN109414348B (zh) 2021-04-23
EP3479802A1 (en) 2019-05-08
US10908433B2 (en) 2021-02-02
IL263794B (en) 2020-01-30
IL263794A (en) 2019-01-31
CA3028951A1 (en) 2018-01-04
EP3479802A4 (en) 2020-03-25
EP3479802B1 (en) 202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6788A (ko) 각막교정렌즈의 결정 방법, 결정 시스템 및 결정 공급 방법, 결정 공급 시스템
EP2083671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tinal scanning
US11278200B2 (en) Measurement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 value of a visual correction need for near vision of an individual
US9839352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corneal topography mapping by smartphone
AU20093274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emote calibration verification
EP27336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rdering lenses
US11246482B2 (en) Visual acuity examination
RU2013129226A (ru)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и бизнес-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фигурации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линзы на основе свобод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JP2021501008A6 (ja) 視力検査
CN107209399A (zh) 具有额外像散的光学视觉辅助器
CN113662506A (zh) 一种角膜表面形态的测量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JP6296584B1 (ja) オルソケラトロジーレンズの決定供給方法及び決定供給システム
CN103340596B (zh) 一种测量角膜曲率的装置和方法
KR20160089502A (ko) 광학 파면 측정을 이용한 눈 상의 렌즈 정렬 결정
JP6161093B1 (ja) オルソケラトロジーレンズの決定方法及び決定システム
JP2000089173A (ja) 多焦点コンタクトレンズの設計方法および多焦点コンタクトレンズの設計用データ処理装置
WO20080330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recording means for recording images relative to an object
US20210121059A1 (en) Ophthalmic instrume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an ophthalmic instrument
CN105011899A (zh) 一种实验动物眼位曲率半径及瞳孔直径的计算方法
JP2018166634A (ja) 眼科装置
US114841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action and vision measurement
RU2271783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движности глазного протеза
JP2022055388A (ja) 眼科処理装置、携帯端末、眼科システム、眼科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237052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traocular eye pressure
WO20232095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axial length of the e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