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707A -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 Google Patents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707A
KR20190023707A KR1020170109871A KR20170109871A KR20190023707A KR 20190023707 A KR20190023707 A KR 20190023707A KR 1020170109871 A KR1020170109871 A KR 1020170109871A KR 20170109871 A KR20170109871 A KR 20170109871A KR 20190023707 A KR20190023707 A KR 20190023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at
pregnant
pregnant woman
ba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현
박주형
Original Assignee
박서현
박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현, 박주형 filed Critical 박서현
Priority to KR1020170109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3707A/ko
Publication of KR2019002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57Sea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in vehicles
    • B61D33/0078Sea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in vehicles adjust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92Safety seats, e.g. comprising safety locking means;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07Details;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접이식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를 구비한 차량내부의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에 있어서, 안테나(3), IC칩(5), IC 카드(7), 응급구호 통신부(9)를 구비한 임산부 뱃지부(1)와;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를 회전시키는 작동부(110)와; 상기 임산부 뱃지부(1)를 인식하는 인식부(120)와; 상기 임산부 뱃지부(1)의 응급구호 통신부(9)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인식부(120)가 상기 임산부 뱃지부(1)의 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인식부(120)에서 상기 임산부 뱃지부(1)의 정보를 판독하면 상기 접이식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전개되게 하는 상기 작동부(11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Folding maternity seat system for emergency relief}
본 발명은 임산부가 전철에서 좌석의 용이한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수단에 마련되어 있는 임산부 전용좌석을 임산부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임산부들에게 임산부 뱃지를 나누어주어 임산부임을 알게 해주고 있지만, 실제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거나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전철 안에서 임산부에게 자리를 양보하지 않는 문제, 노약자석에 대한 잘못된 인식, 노인공경의 문화, 초기 임산부는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문제 등으로 실제적으로 임산부뱃지의 효과는 미비하다.
또한, 임신을 할 경우 만삭이 아닌 이상 겉으로 많이 알아보기 힘들다. 우리나라는 저출산 국가로서 출산을 장려함에도 불구하고 장유유서, 노인공경의 전통적 사고방식으로 인하여 비교적 젊은 임산부들이 노인들과 자주 다투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임산부 뱃지는 자신이 임산부라는 것을 다른 승객들에게 알려주는 가방 고리로 제작이 되었다. 약자 석에 앉기 힘든 임산부들의 부담스러운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진 임산부 배려석은 정부의 좋은 취지와는 달리, 그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래의 임산부 뱃지는 임산부를 위해 공기관 또는 공공기관에서 별도로 발급된 카드이다. 종래의 임산부 뱃지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앰블럼(2)이 그려져 있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의 임산부 전용좌석은 지하철 빈 공간(휠체어 공간, 승객이 서있는 공간, 열차 제일 끝 부분)에 설치된 좌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임산부 전용좌석은 버스, 지하철 등 교통수단의 설치 공간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되고 있다. 또한, 현재 지하철에는 임산부 전용좌석 외에도 주말이나 공휴일에 자전거 사용자를 위한 접이식 의자가 시행되고 있는데, 매우 한정적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임산부 전용좌석은 좋은 취지로 만들어진 제도이지만 다수의 인식이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다수의 임산부는 배려석에 앉는 것에 눈치가 보이고 배려를 받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어 이를 보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수도권 전철 등에서 사용하는 교통 카드는 단말기에 카드를 대는 것만으로 운임이나 요금을 지불하는 비접촉 IC카드가 보급되고 있다. 카드 내부에는 IC칩이 내장된 카드가 단말기 내부의 리더/라이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요금 결제를 하는 기술이다.
단말기에서는 항상 통신용 전파가 나오고 있으므로 카드를 단말기에 대면 무선 통신에 의해 카드의 검출, 카드와 리더/라이터가 서로 올바른 상대인지를 확인하는 상호 인증, 카드 데이터 읽기, 카드에 데이터 쓰기 등 일련의 동작이 약 0.1초 동안 이루어진다. 교통카드는 카드 형태나, 휴대폰 고리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통수단에 설치된 단말기와 승객이 소지한 교통카드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단지 통신요금을 지불하는 수단으로만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도 1(b)와 같이 임산부 뱃지(1)에 교통카드의 IC칩(5)을 내장하고 임산부 뱃지(1)에 내장된 교통카드의 IC칩(7)을 이용하면 임산부 뱃지(1)에 내장된 IC 카드(5)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IC칩(7)에 저장된 정보를 카드판독기에 무선으로 보내어 교통카드 기능이나 임산부를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b)와 같이 종래의 임산부 전용좌석에 인식부(120)를 설치하면 임산부 뱃지(1) 내에 보급된 교통카드의 기능을 하는 IC 카드(5)의 IC칩(7)를 인식하게 된다.
이처럼 임산부 뱃지(1)에 교통카드의 통신기능을 추가하면 임산부를 위한 여러가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지만, 임산부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임산부가 전용좌석에 임산부가 앉아 있어도 임산부에게 임박한 응급상황을 대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376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대중교통수단에 마련되어 있는 임산부 전용좌석을 임산부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응급구호를 위한 임산부 전용좌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산부의 맥박과 심전도에 이상이 있을 경우 응급기관에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이 가능한 응급구호를 위한 임산부 전용좌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은 접이식 임산부 전용좌석부를 구비한 차량내부의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에 있어서, 안테나, IC칩, IC 카드, 응급구호 통신부를 구비한 임산부 뱃지부와;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임산부 뱃지부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임산부 뱃지부의 응급구호 통신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인식부가 상기 임산부 뱃지부의 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인식부에서 상기 임산부 뱃지부의 정보를 판독하면 상기 접이식 임산부 전용좌석부가 전개되게 하는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통신부는 임산부에 부착된 맥박 센서와 심전도 센서가 측정한 임산부의 맥박 데이터와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범위로부터 이상범위로 변동이 될 경우 보호자와 응급기관에 자동으로 응급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응급기관은 임산부로 부터 최대한 가까운 곳의 소방서, 종합병원 응급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부에서 상기 임산부 뱃지부를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가 수평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절첩되게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가 전개되는 공간에 사람이나 사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대상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상감지부에 의해 상기 전개공간에 장애물이 있다고 감지되면 상기 인식부에서 상기 임산부 뱃지부를 인식하여도 상기 작동부가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대상감지부는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의 하부에서 상기 차량본체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센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대상감지부는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의 절첩시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된 장애물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작동부는 일단이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차량본체에 결합된 지지로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로드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확장되거나 수축되어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를 전개 또는 절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지지로드의 일단은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수단에 마련되어 있는 임산부 전용좌석에 다른 일반인들이 앉지 못하고, 임산부 뱃지부를 소지한 임산부만 앉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상감지부에 의해 임산부 전용좌석부의 전개조건을 제한함으로써, 임산부 전용좌석부가 전개되어 임산부 등이 임산부 전용좌석부에 의해 상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임산부들만 임산부 전용좌석을 사용할 수 있어서 사회적 약자인 임산부가 우선적으로 보호 받을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임산부 뱃지의 구성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임산부 뱃지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를 종래의 임산부용 전용좌석에 설치한 구성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의 임산부 전용좌석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의 임산부 전용좌석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의 임산부 전용좌석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의 임산부 전용좌석 시스템의 작동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주로 차량 내의 시스템이 가정되나, 수행하는 장치는 기차뿐만 아니라 다른 운송 수단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넓게는 일정한 공간 또는 독립된 공간 상에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의 임산부 전용좌석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의 임산부 전용좌석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은 접이식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를 구비한 차량내부의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에 있어서, 안테나(3), IC칩(5), IC 카드(7), 응급구호 통신부(9)를 구비한 임산부 뱃지부(1)와;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를 회전시키는 작동부(110)와; 임산부 뱃지부(1)를 인식하는 인식부(120)와; 임산부 뱃지부(1)의 응급구호 통신부(9)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인식부(120)가 임산부 뱃지부(1)의 정보를 리딩하고, 인식부(120)에서 상기 임산부 뱃지부(1)의 정보를 판독하면 접이식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전개되게 하는 작동부(11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임산부 뱃지부(1)는 그 안에 안테나(3)와 IC칩(5)과 IC 카드(7)를 설치할 수 있다. 차량본체(200) 내부에 인식부(120)를 임산부가 임산부 뱃지부(1)를 인식부(120)에 대면 접이식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될 수 있고, 설치가 교통수단에 따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지하철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지하철 이외에 버스, 기차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임산부 뱃지부(1)는 임산부를 위해 공기관 또는 공공기관에서 별도로 발급된 카드임이 바람직하다.
임산부 뱃지부(1)는 응급구호 응급구호 통신부(9)를 구비한다. 응급구호 응급구호 통신부(9)는 임산부가 위험에 처한 상황임을 알리는 신호가 제공되면 이를 병원과 같은 응급구호 기관에 임산부(300)가 위험함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임산부 뱃지부(1)의 응급구호 응급구호 통신부(9)는 임산부가 수동으로 임산부 뱃지부(1)의 앰블럼(2)을 눌러 신호가 작동될 수도 있고, 임산부(300)의 맥박 센서(13)나 심전도 센서(15)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임산부(300)의 위험여부를 인식할 수도 있다.
임산부 뱃지부(1)는 RFID카드, 마그네틱카드, 바코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임산부 뱃지부(1)는 임산부(300)를 위해 공기관 또는 공공기관에서 별도로 발급된 카드임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임산부(300)가 아닌자가 이러한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를 활용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는 임산부(300) 등의 사용자가 앉는 부분으로써, 평판 형상의 의자로 이루어져 있다.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는 일단이 차량본체(20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에 의해 전개 또는 절첩된다.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는 지하철의 경우 다른 좌석들과 동일한 열을 이루며 설치되어 있다.
작동부(110)는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작동부(110)는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터, 기어구조 등의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작동부(110)는 지지로드(210)로 이루어져 있다.
인식부(120)는 임산부(300)가 소지한 임산부 뱃지부(1)를 인식하는 구성이다. 인식부(120)는 임산부 뱃지부(1)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한데,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져 임산부 뱃지부(1)에 도시된 앰블럼(2)을 인식할 수도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인식부(120)가 임산부 뱃지부(1)가 인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작동부(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는 인식부(120)에서 임산부 뱃지부(1)를 인식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수평으로 전개되게 작동부(110)를 작동하게 하여 지지로드(210)를 수축시켜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를 전개시킨다.
그리고, 제어부는 인식부(120)에서 임산부 뱃지부(1)를 인식하지 못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수평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절첩되게 지지로드(210)를 확장 또는 수축하게 하여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에 사람이 앉을 수 없도록 한다.
대상감지부(140)는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수평방향으로 전개될 전개공간(A)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대상감지부(140)에 의해 전개공간(A)에 장애물이 있다고 감지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부(120)에서 임산부 뱃지부(1)를 인식하여도 지지로드(210)의 작동을 정지시켜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전개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절첩된 상태에서 임산부(300)가 전개공간(A)에 들어와 임산부 뱃지부(1)를 인식부(120)에 인식시켰을 때,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전개되어 전개공간(A)에 있는 임산부(300)가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대상감지부(140)는 전개공간(A)에 사람을 포함한 물건 등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면 된다.
일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대상감지부(140)는 제1 센서부(150), 제2 센서부(1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센서부(150)는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의 하부에서 차량본체(20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전개공간(A)으로 들어오게 되면, 그 밑에 설치된 상기 제1 센서부(150)가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하고, 제어부는 이를 통해 지지로드(21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 센서부(160)는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의 하면에 장착되어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의 절첩시 전방에 인접하게 배치된 장애물을 감지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전개공간(A)으로 들어오게 되면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의 하면에 설치된 제2 센서부(160)가 인접하게 위치한 사용자를 감지하게 되고, 제어부는 이를 통해 지지로드(21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에서 임산부(300)를 위한 임산부 전용좌석브(100)에 다른 일반인들이 앉지 못하고, 임산부 뱃지부(1)를 소지한 임산부(300)만 앉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상감지부(140)에 의해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의 전개조건을 제한함으로써,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전개되어 임산부(300)를 비롯한 사용자가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에 의해 상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로드(210)는 일단이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차량본체(200)에 결합되어, 지지로드(210)의 신축 운동에 의해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로드(210)의 일단은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본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로드(210)의 확장과 수축에 따라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로드(210)는 공압지지로드일 수 있고, 지하철의 출입문을 개폐하는 공압장치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임산부(300)는 임산부 뱃지부(1)와 연결선(310)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임산부(300)가 임산부 뱃지부(1)를 인식부(120)에 가까이 가져가게 되면,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은 인식부(120)를 통해 임산부 뱃지부(1)의 임산부(300)를 인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임산부 뱃지부
2 : 앰블럼
3 : 안테나
5 : IC칩
7 : IC 카드
9 : 응급구호 통신부
13 : 맥박 센서
15 : 심전도 센서
100 : 임산부 전용 좌석부
110 : 작동부
120 : 인식부
140 : 대상감지부
150 : 제1 센서부
160 : 제2 센서부
200 : 차량본체
210 : 지지로드
300 : 임산부
310 : 연결부
A : 전개공간

Claims (9)

  1. 접이식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를 구비한 차량내부의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에 있어서,
    안테나(3), IC칩(5), IC 카드(7), 응급구호 통신부(9)를 구비한 임산부 뱃지부(1)와;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를 회전시키는 작동부(110)와;
    상기 임산부 뱃지부(1)를 인식하는 인식부(120)와;
    상기 임산부 뱃지부(1)의 응급구호 통신부(9)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인식부(120)가 상기 임산부 뱃지부(1)의 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인식부(120)에서 상기 임산부 뱃지부(1)의 정보를 판독하면 상기 접이식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전개되게 하는 상기 작동부(11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구호 통신부(9)는 임산부(300)에 부착된 맥박 센서(13)와 심전도 센서(15)가 측정한 임산부(300)의 맥박 데이터와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범위로부터 이상범위로 변동이 될 경우 보호자와 응급기관에 자동으로 응급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기관은 임산부(300)로부터 최대한 가까운 곳의 소방서, 종합병원 응급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부(120)에서 상기 임산부 뱃지부(1)를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100)가 수평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절첩되게 상기 작동부(11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의 전개공간(A)에 사람이나 사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대상감지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대상감지부(140)에 의해 상기 전개공간(A)에 장애물이 있다고 감지되면 상기 인식부(120)에서 상기 임산부 뱃지부(1)를 인식하여도 상기 작동부(110)가 작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감지부(140)는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의 하부에서 상기 차량본체(200)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센서부(1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감지부(140)는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의 절첩시 인접하게 배치된 장애물을 감지하는 제2 센서부(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110)는 일단이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차량본체(200)에 결합된 지지로드(2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로드(21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확장되거나 수축되어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100)를 전개 또는 절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210)의 일단은 상기 임산부 전용좌석부(100)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본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KR1020170109871A 2017-08-30 2017-08-30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KR20190023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871A KR20190023707A (ko) 2017-08-30 2017-08-30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871A KR20190023707A (ko) 2017-08-30 2017-08-30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707A true KR20190023707A (ko) 2019-03-08

Family

ID=6580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871A KR20190023707A (ko) 2017-08-30 2017-08-30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37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4205A (zh) * 2019-11-21 2021-05-21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电动折叠座椅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760U (ko) 2008-09-30 2010-04-08 여환영 지하철 또는 전동차의 객차용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760U (ko) 2008-09-30 2010-04-08 여환영 지하철 또는 전동차의 객차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4205A (zh) * 2019-11-21 2021-05-21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电动折叠座椅控制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27603A (zh) 用于车辆的乘员感测系统
US6768420B2 (en) Vehicle compartment occupancy detection system
EP2213503B1 (en) Seat, operating and control system of seats, method of operating and controlling seats
KR101643929B1 (ko) 대중교통수단 임산부 전용좌석
ES2254518T3 (es) Sistema de seguridad de movimiento supervisado por camara.
US20130088348A1 (en) Methods for ensuring the safety of a wheelchair passenger in a transport vehicle
KR20190023707A (ko) 응급구호를 위한 접이식 임산부 좌석 시스템
KR20160024558A (ko) 임산부전용 지하철 좌석장치
CN114022961A (zh) 车载系统、车辆及车载系统的控制方法
CN105539217A (zh) 一种用于记录儿童健康数据的儿童安全座椅
JP5762988B2 (ja) フリーゲート改札システム及びその改札処理方法
JP2006201998A (ja) 車両事故の対応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支援方法
JP4457865B2 (ja) 車高調整装置
KR101914174B1 (ko) 임신부를 위한 지하철 좌석 시스템
KR101756102B1 (ko) 차량 탑승자 안전 확인 시스템
JP3329650B2 (ja) 車載用非接触型自動改札機
CN210971071U (zh) 一种面向特定人群的地铁自动折叠座椅
KR102133000B1 (ko) 임산부 배려를 위한 지하철 임산부 좌석 예약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예약 좌석 운용 방법
CN210119808U (zh) 基于射频识别和蓝牙物联网技术的校车乘员智能管理系统
GB2424743A (en) Passenger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CN112542028A (zh) 床跌落预防系统
CN217014395U (zh) 防坠床约束带
CN215679450U (zh) 一种基于红外测予技术的人员管控闸机装置
CN103692932A (zh) 公交车专用座椅
JP3580176B2 (ja) 警報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