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351A - 쌍동구조를 가지는 수륙양용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쌍동구조를 가지는 수륙양용 트레일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3351A KR20190023351A KR1020170108935A KR20170108935A KR20190023351A KR 20190023351 A KR20190023351 A KR 20190023351A KR 1020170108935 A KR1020170108935 A KR 1020170108935A KR 20170108935 A KR20170108935 A KR 20170108935A KR 20190023351 A KR20190023351 A KR 201900233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iler
- hull
- wheel
- platform
- amphibiou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60F3/0092—Amphibious trai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3/00—Equipment forming part of or attachable to vessels facilitating transport over la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 Y02T7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쌍동구조를 가지는 수륙양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견인됨으로써 육상에서 이동되며, 수상에서 자체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수륙양용 트레일러로서, 육상에서의 견인을 위한 견인부와 수상에서 상기 트레일러에 추진력을 부여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이 장착되는 동력부가 구비되는 플랫폼; 수상에서 상기 트레일러에 부력을 부여하기 위한 부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의 양측에 구비되며, 함몰된 내부에 제1 함몰내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함몰내측면에 제1 바퀴축이 구비되는 제1 쌍동선체부와 함몰된 내부에 제2 함몰내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함몰내측면에 제2 바퀴축이 구비되는 제2 쌍동선체부를 포함하는 쌍동선체부; 및 육상에서 상기 트레일러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쌍동선체부에 구비되는 제1 바퀴부와 상기 제2 쌍동선체부에 구비되는 제2 바퀴부를 포함하는 바퀴부;를 포함하고, 수상에서 상기 트레일러가 이동되는 동안 상기 바퀴부에 의해 상기 추진력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저항력이 저감되도록, 상기 제1 함몰내측면의 상기 제1 바퀴축에 상기 제1 바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함몰내측면의 상기 제2 바퀴축에 상기 제2 바퀴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1 바퀴부와 상기 제2 바퀴부의 일부가 상기 쌍동선체부에 의해 가려지며, 상기 제1 선체부와 상기 제2 선체부의 각각의 하면은 첨저형의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쌍동구조를 가지는 수륙양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상에서 견인되어 이동되며, 수상에서 자체적으로 생산된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되는 수륙양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트레일러란 일반 차량 등과 같은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되는 부수적인 차량이다. 트레일러에 구현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상기 트레일러에는 화물 내지는 각종 시설 등이 적재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차량에 화물 등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경우 화물의 운반을 위해 일반 차량에 결합하여 화물 등의 운반을 위해 운용되어 왔다.
특히, 상기 트레일러는 캠핑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일러는 카라반이라는 용어로 불리울 수 있으며, 카라반에는 캠핑과 관련된 각종 기구들이나 시설물이 적재되고, 상기 카라반은 일반 차량에 의해 견인되어 카라반의 사용자가 캠핑하고자 하는 장소로 캠핑과 관련된 각종 기구들과 시설물을 운반하기 위해 이용되어 왔다.
그런데, 종래의 트레일러는 단순히 육상에서 화물 등의 운반에만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카라반과 같이 캠핑용으로 트레일러가 이용되는 경우 캠핑용 기구, 시설들의 운반 용도로만 이용되어 트레일러의 활용도가 극히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상기 트레일러가 육상에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상과 같은 다른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는 활용도가 높은 트레일러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출원의 일 과제는, 육상에서 견인되어 이동되며, 수상에서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쌍동구조를 가지는수륙양용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출원의 다른 과제는 수상에서 향상된 복원성과 공간성을 가지는 수륙양용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과제는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물 저항이 최소가 되는 구조로 설계되는 수륙양용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차량에 견인됨으로써 육상에서 이동되며, 수상에서 자체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수륙양용 트레일러로서, 육상에서의 견인을 위한 견인부와 수상에서 상기 트레일러에 추진력을 부여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이 장착되는 동력부가 구비되는 플랫폼; 수상에서 상기 트레일러에 부력을 부여하기 위한 부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의 양측에 구비되며, 함몰된 내부에 제1 함몰내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함몰내측면에 제1 바퀴축이 구비되는 제1 쌍동선체부와 함몰된 내부에 제2 함몰내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함몰내측면에 제2 바퀴축이 구비되는 제2 쌍동선체부를 포함하는 쌍동선체부; 및 육상에서 상기 트레일러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쌍동선체부에 구비되는 제1 바퀴부와 상기 제2 쌍동선체부에 구비되는 제2 바퀴부를 포함하는 바퀴부;를 포함하고, 수상에서 상기 트레일러가 이동되는 동안 상기 바퀴부에 의해 상기 추진력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저항력이 저감되도록, 상기 제1 함몰내측면의 상기 제1 바퀴축에 상기 제1 바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함몰내측면의 상기 제2 바퀴축에 상기 제2 바퀴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1 바퀴부와 상기 제2 바퀴부의 일부가 상기 쌍동선체부에 의해 가려지며, 상기 제1 선체부와 상기 제2 선체부의 각각의 하면은 첨저형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차량에 견인됨으로써 육상에서 이동되며, 수상에서 자체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수륙양용 트레일러로서, 제1 선체부와 제2 선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선체부와 상기 제2 선체부의 각각에 바퀴가 구비되는 선체부; 상기 제1 선체부와 상기 제2 선체부를 연결하여, 상기 트레일러의 외적형상을 지지하는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에 구비되며, 육상에서 수상으로 상기 트레일러가 이동되도록 하는 진입동작 또는 수상에서 육상으로 상기 트레일러가 이동되로고 이탈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견인동력원,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차량에 연결되기 위한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견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가 이탈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견인동력원은 견인을 위한 동력을 생산하고, 상기 동력은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선동력으로 변환되며, 상기 변환된 선동력은 상기 차량에 연결된 이동부재를 연장시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러가 멀어져 상기 트레일러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 의하면, 육상에서 견인되어 이동되며, 수상에서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수륙양용 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의하면, 수상에서 향상된 복원성과 공간성을 가지는 수륙양용 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의하면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물 저항이 최소가 되는 구조로 설계되는 수륙양용 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트레일러가 이용되는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트레일러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트레일러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에예 따른 바퀴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최적화의 필요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최적화의 필요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의 외적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 구비되는 견인부와 동력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부의 무게중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부의 외적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몰공간이 형성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이탈과 진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트레일러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트레일러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에예 따른 바퀴부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최적화의 필요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최적화의 필요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의 외적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 구비되는 견인부와 동력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부의 무게중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부의 외적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몰공간이 형성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이탈과 진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차량에 견인됨으로써 육상에서 이동되며, 수상에서 자체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수륙양용 트레일러로서, 육상에서의 견인을 위한 견인부와 수상에서 상기 트레일러에 추진력을 부여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이 장착되는 동력부가 구비되는 플랫폼; 수상에서 상기 트레일러에 부력을 부여하기 위한 부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의 양측에 구비되며, 함몰된 내부에 제1 함몰내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함몰내측면에 제1 바퀴축이 구비되는 제1 쌍동선체부와 함몰된 내부에 제2 함몰내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함몰내측면에 제2 바퀴축이 구비되는 제2 쌍동선체부를 포함하는 쌍동선체부; 및 육상에서 상기 트레일러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쌍동선체부에 구비되는 제1 바퀴부와 상기 제2 쌍동선체부에 구비되는 제2 바퀴부를 포함하는 바퀴부;를 포함하고, 수상에서 상기 트레일러가 이동되는 동안 상기 바퀴부에 의해 상기 추진력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저항력이 저감되도록, 상기 제1 함몰내측면의 상기 제1 바퀴축에 상기 제1 바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함몰내측면의 상기 제2 바퀴축에 상기 제2 바퀴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1 바퀴부와 상기 제2 바퀴부의 일부가 상기 쌍동선체부에 의해 가려지며, 상기 제1 선체부와 상기 제2 선체부의 각각의 하면은 첨저형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선체부는 상기 함몰된 내부에 서로 마주 보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제1 함몰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일러가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바퀴부에 작용하는 물저항이 저감되도록, 상기 제1 바퀴부는 상기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함몰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선체부의 측면에서 관측하였을 때 상기 바퀴부가 상기 제1 선체부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선체부의 하면은 하면경사와 상기 하면경사가 연결되는 하면꼭지를 포함하는 첨저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일러가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바퀴부에 작용하는 물저항의 저감을 위해, 상기 제1 선체부의 하면을 관측하였을 때 상기 바퀴부의 측면의 사이에 상기 하면꼭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함몰된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선체부의 하면은 하면경사와 상기 하면경사가 연결되는 하면꼭지를 포함하는 첨저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일러가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바퀴부에 작용되는 물저항의 저감을 위해, 상기 제1 선체부의 하면을 관측하였을 때 상기 제1 바퀴부의 측면의 사이에 상기 하면꼭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바퀴부가 상기 함몰된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트레일러가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바퀴부에 작용되는 물저항의 저감을 위해, 상기 제1 바퀴축이 상기 선체부의 상기 하면꼭지 보다 높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바퀴부의 중심이 상기 하면꼭지에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선체부의 전단은 V자형의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선체부의 전단의 꼭지점은 상기 제1 선체부의 상기 하면꼭지외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선체부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선체벽에 의해 수납공간과 부재공간으로 구획되어, 상기 부재공간에는 상기 선체부에 부력을 부여하기 위한 선체부력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선체벽은 제1 선체벽과 제2 선체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선체벽과 상기 제2 선체벽의 사이에 상기 선체부의 함몰된 내부의 외골격이 배치되며, 상기 함몰된 내부의 외골격은 상기 제1 선체벽과 상기 제2 선체벽에 접촉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함몰된 내부의 외골격에 접촉되어 형성되는 수납격벽과 선체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선체벽과 상기 제2 선체벽은 상기 수납격벽과 선체격벽에 접촉될 수 있다.
또, 상기 수납공간에는 복수의 수납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선체벽이 지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수납격벽은 상기 선체벽과 상기 선체부의 하부의 외골격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플랫폼의 내부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플랫폼의 내부공간에는 수상에서 상기 플랫폼에 부력을 부여하기 위한 플랫폼부력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선체부와 상기 제2 선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선체부의 상부와 상기 제2 선체부의 상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견인부는 상기 트레일러의 수상에서 육상으로의 이탈을 위해, 상기 견인부에서 생산되는 견인동력에 의해 상기 트레일러가 육상으로 견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견인부는 견인동력원, 동력전달부재, 및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동력원은 상기 견인동력을 생산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견인동력을 선방향의 동력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선방향의 동력을 인가 받아 상기 트레일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프레임과 상기 선체부의 상부에는 외기에 노출되는 개방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차량에 견인됨으로써 육상에서 이동되며, 수상에서 자체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수륙양용 트레일러로서, 제1 선체부와 제2 선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선체부와 상기 제2 선체부의 각각에 바퀴가 구비되는 선체부; 상기 제1 선체부와 상기 제2 선체부를 연결하여, 상기 트레일러의 외적형상을 지지하는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에 구비되며, 육상에서 수상으로 상기 트레일러가 이동되도록 하는 진입동작 또는 수상에서 육상으로 상기 트레일러가 이동되고 이탈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견인동력원,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차량에 연결되기 위한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견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가 이탈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견인동력원은 견인을 위한 동력을 생산하고, 상기 동력은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선동력으로 변환되며, 상기 변환된 선동력은 상기 차량에 연결된 이동부재를 연장시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러가 멀어져 상기 트레일러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측부", 및 "하부"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부"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부" 및 "상부"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외측방향은 중심축에서 "측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이고, 내측방향은 "측부"에서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수륙양용 트레일러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수륙양용 트레일러의 개요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트레일러(1)가 이용되는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트레일러(이하 트레일러, 1)는 육상과 수상에서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트레일러이다.
상기 트레일러(1)가 육상에서 이용되는 경우, 화물의 운반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상기 트레일러(1)는 화물의 운반을 위해 육상에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1)에는 각종 기구 등을 비롯한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트레일러(1)에는 화물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육상에서 상기 트레일러(1)는 견인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1)가 견인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일러(1)에는 견인되는 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바퀴 등의 이동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트레일러(1)는 견인되어 육상에서 견인되는 방향으로 원활히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일러(1)의 견인을 위한 견인 수단은 동력을 발생시켜 육상에서 자체적으로 이동하는 이동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견인 수단은 각종 차량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일러(1)는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됨으로써, 상기 트레일러(1)와 상기 트레일러(1)에 적재된 화물은 원하는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1)는 육상에서뿐만 아니라, 수상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수상에서, 트레일러(1)는 자체적으로 발생시키는 추진력에 기인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1)에는 수상에서의 추진력의 발생을 위한 선외기, 전기모터 등의 동력발생원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원의 동작에 따라, 트레일러(1)에는 수상에서 이동되도록하는 추진력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수상에서 트레일러(1)는 트레일러(1)의 이용자의 거취 공간이 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1)에는 거취 수단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간에는 거취 수단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물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 트레일러(1) 이용자의 거취를 위한 거취 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트레일러(1)의 이용자는 수상에서 트레일러(1)에 설치된 거취 수단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일러(1)는 높은 활용도를 갖는다. 상기 트레일러(1)는 육상에서 견인하여 간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상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1)에는 여러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수납공간별로 화물들이 적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레일러(1)의 상부의 개방된 영역에 거취 수단이 마련될 수 있어 트레일러(1)의 사용자는 수상의 트레일러(1)에서 거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륙양용 트레일러(1)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수륙양용 트레일러(1)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2. 수륙양용 트레일러의 구성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트레일러(1)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1)는 플랫폼(100), 제1 쌍동부(310)와 제2 쌍동부(330)를 포함하는 쌍동부(300), 및 제1 바퀴부(510)와 제2 바퀴부(530)를 포함하는 바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쌍동부(300)는 부력부재와 이동축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 쌍동부(310)는 제1 선체부력부재(314)와 제1 바퀴축(31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쌍동부(330)는 제2 선체부력부재(334)와 제2 바퀴축(33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와 전술한 바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트레일러(1)는 그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갖는 트레일러(1)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100)은 상기 트레일러(1)의 각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랫폼(100)에는 쌍동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쌍동부(300)는 수상에서 상기 트레일러(1)에 부력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쌍동부(300)에 포함된 복수의 쌍동부(300) 각각은 트레일러(1)에 부력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쌍동부(300)는 제1 쌍동부(310)와 제2 쌍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쌍동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제3 쌍동부, 제4 쌍동부 내지는 제N 쌍동부의 복수의 쌍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쌍동부(310)와 상기 제2 쌍동부(330)는 각각 플랫폼(100)에 구비되어, 트레일러(1)에 부력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플랫폼(100)에 구비된 각각의 제1 쌍동부(310)와 제2 쌍동부(330)는 수상에서 부력을 받아, 상기 트레일러(1)가 수상에서 부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퀴부(500)는 상기 트레일러(1)가 육상에서 원활히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퀴부(500)는 플랫폼(100) 또는 쌍동부(300)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일러(1)가 견인되는 경우 상기 트레일러(1)가 견인되는 방향으로 원활히 이동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1 플랫폼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00)은 트레일러(1)의 토대이다. 달리 말해, 상기 플랫폼(100)은 트레일러(1)의 각 구성이 유기적으로 연결관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100)에는 쌍동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각 쌍동부(300)가 플랫폼(100)에 배치되고 결합됨으로써, 쌍동부(300)와 쌍동부(300)에 구비되는 바퀴부(500) 등의 결합 관계 내지는 배치 관계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랫폼(100)은 상기 각 쌍동부(300)가 고정되도록 지지함으로써 트레일러(1)의 각 구성의 유기적 관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100)에는 트레일러(1)의 기타 구성이 구비되고,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플랫폼(100)에 구비되는 각 구성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플랫폼(100)에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에 구비되는 견인부(130), 동력부(150), 및 플랫폼(100)부력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플랫폼(100)의 외적 형상을 정의한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상기 견인부(130)는 트레일러(1)의 육상에서의 이동을 위한 견인 수단과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150)는 트레일러(1)의 수상에서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플랫폼(100)부력부는 플랫폼(100)에 부력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부력부재(170)는 물에서 뜰 수 있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부력부재(170)는 공기가 차 있는 부력통, 스티로폼 등의 물에서 뜰 수 있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랫폼(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2.1.1 견인부
견인부(130)는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될 수 있다. 견인부(130)는 육상에서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될 수 있다.
상기 견인부(130)는 수동견인부 또는 능동견인부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동견인부는 견인 수단에 의해 수동적으로 당겨지는 견인부일 수 있다. 수동견인부는 견인 수단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의 일 예로는 고리형태의 결합부재 등이 있을 수 있다. 결합부재는 견인 수단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트레일러(1)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능동견인부는 견인 수단과는 별개로, 육상에서 트레일러(1)가 이동될 수 있도록 능동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는 견인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능동견인부는 결합부재와 더불어 자동견인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동견인부재는 견인 수단과 같은 대상물로, 트레일러(1)가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동견인부재는 견인동력원, 동력전달부재, 및 이동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견인동력원은 자체적으로 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발생된 동력을 이동부재로 전달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통해 트레일러(1)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견인동력원은 전기모터,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회전톱니이고, 상기 이동부재는 로프와 같은 견인와이어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기모터에서 생산된 회전동력이 회전톱니에 의해 선동력으로 변환되어 상기 로프에 전달되며, 상기 대상물로 연장되는 견인와이어는 선동력에 의해 감기며 트레일러(1)가 대상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견인동력원의 동력 발생 종류에 따라, 트레일러(1)의 이동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견인동력원이 전기모터로 구현되고 상기 전기모터가 제1 방향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이동부재는 대상물 방향으로 감겨 상기 트레일러(1)가 대상물 방향으로 이동되나, 상기 전기모터가 제2 방향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이동부재는 대상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트레일러(1)가 대상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견인부(130)는 육상에서 차량과 같은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인부(130)의 결합부재에 견인수단이 결합됨으로써, 플랫폼(100) 내지 트레일러(1)가 견인 수단으로부터 견인하는 견인 방향으로 견인력을 받아, 견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130)는 상기 트레일러(1)가 수상에서 육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견인부(130)가 수동견인부(130)로 구현되는 경우, 견인 수단이 수상의 트레일러(1)에 근접하게 이동되고, 트레일러(1)의 결합부재에 상기 견인수단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트레일러(1)는 뭍에서 육지로 견인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상기 견인부(130)가 능동견인부(130)로 구현되는 경우, 견인 수단으로 상기 트레일러(1)가 자동으로 이동되며 견인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견인부(130)는 상기 트레일러(1)가 육상에서 수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견인부(130)가 능동견인부(130)로 구현되는 경우, 육지에 있는 견인 수단으로부터 트레일러(1)가 자동으로 이탈되어 수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능동견인부(130)의 견인동력원에서 트레일러(1)가 견인 수단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을 발생시켜 이동부재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트레일러(1)는 견인 수단에서 이탈되어 수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견인부(130)가 능동견인부(130)로 구현되는 경우, 트레일러(1)의 육상에서 수상으로의 진입과 수상에서 육상으로의 이탈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이상에서는 플랫폼(100)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선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2.1.2 동력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부(150)는 수상에서 트레일러(1)에 추진력을 부여하기 위해,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부(150)는 추진동력원과 동력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진동력원은 동력을 발생시키며, 동시에 동력에 기초한 추진력의 방향이 조정되도록 할 수 다. 상기 추진동력원에는 동력을 추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전날 등과 같은 추진변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진동력원에는 추진력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방향조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향조정부재에 의해 추진변환부재의 방향이 조정되어 추진력의 방향과 트레일러(1)의 이동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진동력원은 선외기일 수 있다.
상기 동력지지부재는 상기 추진동력원이 트레일러(1)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력지지부재는 상기 추진동력원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추진동력원이 결합되는 경우 이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지지부재는 상기 추진동력원이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재가 동력지지부재에 결합된 추진동력원에 부착되어 지지하되, 상기 추진동력원의 분리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추진동력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2.2 쌍동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는 트레일러(1)에 부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동부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쌍동부(300)는 쌍동형태(카타마란, Catamaran)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쌍동부(300)는 복수의 쌍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쌍동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쌍동부(310)와 제2 쌍동부(330)의 2 개의 쌍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보다 더 많은 쌍동부(300)를 포함하는 쌍동부(300)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쌍동부(300)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쌍동부(300)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 또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로 대응되도록 구현된 쌍동부(300)는 플랫폼(100)에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트레일러(1)가 안정된 구조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선체가 쌍동형태로 구현됨으로써, 트레일러(1)는 복원능력과 공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적어도 두 선체가 트레일러(1)에 구비되기 때문에 물 위에서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수면의 높이가 시변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트레일러(1)의 위치가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두 선체가 배치됨으로써 이에 대응하여 넓은 갑판이 형성되기 때문에 트레일러(1)의 공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 쌍동부(310)와 상기 제2 쌍동부(330)는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쌍동부(310)만을 예로 들어 쌍동부(3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쌍동부(300)의 구분을 위한 제1 내지 제2 와 같은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달리 말해, 전술하였듯이 쌍동부(300)인 제1 쌍동부(310)와 제2 쌍동부(330)는 서로 대응되도록 구현되기 때문에,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쌍동부(300)는 제1 쌍동부(310)를 의미하며, 제1 쌍동부(310)에 대한 설명은 제2 쌍동부(33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쌍동부(300)는 선체(311, 333), 차단부재(312, 332), 정박부재(313, 333), 및 바퀴축(315, 33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체는 선체부력부재(314, 3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311, 333)는 상기 쌍동부(300)의 외적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선체의 내부에는 화물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303)이 형성되고, 상기 선체에는 선체격벽이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선체의 구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또한, 상기 선체의 내부에는 선체부력부재(314, 3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체부력부재(314, 334)는 물에서 뜰 수 있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선체부력부재(314, 334)는 공기가 차 있는 부력통, 스티로폼 등의 물에서 뜰 수 있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312, 332)는 상기 트레일러(1)에 적재되는 요소들이 트레일러(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부재(312, 332)는 난간일 수 있다.
상기 정박부재(313, 333)는 상기 트레일러(1)의 수상에서의 정박을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바퀴축(315, 335)은 바퀴부(500)가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퀴축은 상기 바퀴축에 설치되는 바퀴부(500)를 바퀴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바퀴축은 일체형바퀴축 또는 분리형바퀴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바퀴축이 일체형바퀴축으로 구현되는 경우, 바퀴부(50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바퀴부(5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바퀴축이 분리형바퀴축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바퀴부(500)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바퀴축은 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퀴축은 선체의 함몰된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2.3 바퀴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예 따른 바퀴부(500)는 트레일러(1)가 육상에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부(500)는 구현 목적에 따라 다양한 소재,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퀴부(500)는 강한 내부식성을 갖는 소재로 구현되어, 장시간 물에 놓이더라도 부식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바퀴부(500)는 트레일러(1)가 육상에서 견인되어 이동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트레일러(1)에 구비되어야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바퀴부(500)는 트레일러(1)가 수상에서 이용되는 경우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바퀴부(500)가 수륙양용트레일러(1)에 구비됨으로써, 트레일러(1)가 수상에서 이용되는 경우 바퀴부(500)에 의해 물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물저항은 수상에서 트레일러(1)의 추진력을 저감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트레일러(1)의 구조는 특유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3. 수륙양용 트레일러의 설계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1)의 구체적 구현예와 설계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3.1 트레일러의 구체적 구현예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트레일러(1)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00)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동부(300)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에예 따른 바퀴부(500)의 일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구현된 트레일러(1)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구현된 트레일러(1)는 플랫폼(100), 플랫폼(100)에 구비되는 두개의 쌍동부(300)인 제1 쌍동부(310)와 제2 쌍동부(330), 및 각 쌍동부(300)의 바퀴축에 구비되는 제1 바퀴부(510)와 제2 바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1)는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영역(70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개방영역(700)은 플랫폼(100)의 양축에 제1 쌍동부(310)와 제2 쌍동부(330)가 배치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100)의 양측에 각 쌍동부(300)가 구비됨에 따라, 플랫폼(100)의 상부영역, 제1 쌍동부(310)와 제2 쌍동부(330)의 상부영역이 개방영역(7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영역(700)에는 화물이 적재될 수 있으며, 트레일러(1)의 사용자가 탑승할 수도 있다.
상기 개방영역(700)이 형성됨으로써 트레일러(1)의 공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1)의 개방영역(700)에는 화물이 적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레일러(1)의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이는 트레일러(1)가 쌍동형태를 가지는데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으로 구현된 트레일러(1)의 각 구성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플랫폼(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플랫폼(100)은 소정의 외적형상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랫폼(100)의 외적형상에 따라 트레일러(1)의 저항력이 최적화될 수 있는데, 상기 플랫폼(100)의 외적형상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상기 플랫폼(100)은 내부에 소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랫폼(100)의 내부에는 상기 플랫폼(100)의 외골격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11)에는 복수의 플랫폼격벽(113)이 배치되며, 상기 플랫폼격벽(113)은 플랫폼(100)의 하부의 외골격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부의 외골격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격벽(113)은 상기 플랫폼(100)의 내구도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격벽(113)이 상기 플랫폼(100)의 외골격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플랫폼(100)에 소정의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기 플랫폼(10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랫폼(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플랫폼격벽(113)은 플랫폼(100)의 개방영역(700)에 화물이 적재되거나 또는 트레일러(1)의 사용자가 탑승하는 경우 상기 플랫폼(100)의 외골격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100)은 구현 목적에 따른 다양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랫폼(100)은 상기 트레일러(1)가 육상에서 이용되는 경우, 육상에서 인가되는 큰 외력에도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고경도의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고경도의 소재로는 철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111)에는 전술한 플랫폼(100)의 플랫폼부력부재(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부력부재(170)는 수상에서 상기 플랫폼(100)에 부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100)에는 육상에서 견인 수단에 의해 견인될 수 있는 견인부(130)와 수상에서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추진동력원이 배치되는 동력부(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쌍동부(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쌍동부(310)와 제2 쌍동부(330)는 플랫폼(100)에 쌍동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쌍동부(310)와 제2 쌍동부(330)의 구조와 외적형상은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각 쌍동부(300)는 소정의 외적형상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쌍동부(300)의 외적형상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도 7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쌍동부(300)는 내부에 소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쌍동부(300)의 내부에는 상기 쌍동부(300)의 외골격에 의해 정의되는 선체내부공간(3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체내부공간(301)은 상기 쌍동부(3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선체벽(302)에 의해 구획되어 수납공간(303)과 부재공간(3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303)에는 트레일러(1)의 화물이 적재될 수 있으며, 상기 부재공간(304)에는 선체부력부재(314, 33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체부력부재(314, 334)는 물에서 뜰 수 있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선체부력부재(314, 334)는 공기가 차 있는 부력통, 스티로폼 등의 물에서 뜰 수 있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선체벽(302)은 상기 쌍동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형상의 일종의 벽일 수 있다. 상기 선체벽(302)은 상기 쌍동부(300)의 외골격의 내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체벽(302)은 상기 쌍동부(300)의 측부의 외골격의 모든 내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공간(303)과 부재공간(304)은 서로 완벽히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1)가 수상에서 이용되는 경우, 상기 부재공간(304)으로 물이 침투할 수 있는데, 만약 부재공간(304)과 수납공간(303)이 서로 완벽히 분리되지 않는 경우 부재공간(304)으로 침투한 물이 수납공간(303)까지 미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공간(303)에 적재된 트레일러(1)의 화물 젖는 등의 손해가 발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체벽(302)이 트레일러(1)에 구비되어 수납공간(303)과 부재공간(304)이 서로 분리됨으로써 전술한 손해는 발생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 선체의 내부 공간에는 복수개의 선체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체격벽은 전술한 플랫폼격벽(113)과 마찬가지로 선체의 내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선체격벽은 수납격벽(306)과 부재격벽(30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303)에 형성되는 선체격벽은 수납격벽(306)으로 정의되며, 부재공간(304)에 형성되는 선체격벽은 부재격벽(307)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납격벽(306)은 상기 선체벽(302)으로부터 상부방향 또는 개방영역(700)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납격벽(306)은 쌍동부(300)의 상부의 외골격의 내면에 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쌍동부(300)의 수납공간(303)은 복수개의 수납공간(303)으로 구획되어, 각 수납공간(303)마다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부재격벽(307)은 상기 선체벽(302)과 상기 쌍동부(300)의 하부의 외골격의 내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재격벽(307)에 의하여 부재공간(304)은 복수의 부재공간(304)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부재공간(304)에는 부재공간(304)의 크기에 적합한 선체부력부재(314, 334)가 각각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재격벽(307)은 그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트레일러(1)는 경량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일러(1)가 육상과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연료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체벽(302)은 쌍동부(300)의 함몰된 외골격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함몰된 외골격을 기준으로 상기 선체벽(302)은 제1 선체벽(308)과 제2 선체벽(30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된 외골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쌍동부(300)는 외부에 소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쌍동부(300)의 상부의 외골격은 상기 수납공간(303)에 대응하여 개페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쌍동부(300)의 상부의 외골격이 열림으로써, 상기 수납공간(303)이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체벽(302)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쌍동부(300)의 상부의 외골격이 열림으로써, 노출된 수납공간(303)으로 트레일러(1)의 화물이 적재될 수 있으며, 상기 화물은 선체벽(302)에 안착되어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303)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쌍동부(300)의 상부의 외골격은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분할된 쌍동부(300)의 상부의 외골격은 따로 개폐되며, 각 수납공간(303)이 따로 노출되고, 노출된 수납공간(303) 별로 화물이 적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쌍동부(300)의 하부는 상부방향 내지는 개방영역(700)방향으로 함몰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상기 쌍동부(300)의 하부의 외골격은 상부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골격이 함몰됨(함몰된 외골격, 350)에 따라, 선체에는 함몰된 내부에는 함몰공간(351)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된 외골격(350)은 외면과 내면을 포함하는데, 상기 외면은 함몰외면(352)으로 정의되고 상기 내면은 함몰내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함몰외면(352)은 함몰내측면(353)과 함몰상외면(3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내측면(353)은 선체벽(302)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내측면(353)은 제1 함몰내측면(354)과 제2 함몰내측면(355)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함몰내측면(354)과 상기 제2 함몰내측면(355)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함몰상외면(356)은 상기 제1 함몰내측면(354)과 제2 함몰내측면(355)에 연결되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 각기 함몰상외면(356)은 배치된 쌍동부(300)를 다른 쌍동부(300)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측하였을 때 소정의 모양을 가지도록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쌍동부(300)의 측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측하였을 때, 복수의 함몰상외면(356)은 서로 연결되어 소정의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양은 후술할 바퀴부(500)의 형상에 대응하여 각종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몰내측면(353)과 상기 함몰상외면(356)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됨에 따라, 전술한 함몰공간(351)이 상기 함몰내측면(353)과 함몰상외면(356)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내면은 전술한 선체벽(302)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함몰내면은 상기 함몰측면에 대응하여 함몰내측면(353)에 대응되는 함몰측내면과 함몰상외면(356)에 대응되는 함몰상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상외면(356)이 상기 선체벽(302)과 접촉되게 된다.
상기 함몰공간(351)의 위치에 따라,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이 최적화될 수 있는데 상기 함몰공간(351)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또한, 상기 쌍동부(300)는 바퀴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퀴축은 전술한 선체의 함몰공간(35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퀴축은 함몰외면(35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퀴축은 함몰내측면(35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축은 구현목적에 따른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취축은 서로 마주보는 제1 함몰내측면(354)과 제2 함몰내측면(355)에 동시에 접촉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함몰내측면(354)과 제2 함몰내측면(355) 중 하나에서 연장되어 다른 함몰내측면(353)에 접촉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퀴축이 하나의 함몰내측면(353)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바퀴축에는 육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바퀴축에 작용하는 외력을 저감하는 서스펜션부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바퀴부(500)는 함몰공간(35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퀴부(500)는 함몰공간(351)에 구비되는 바퀴축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퀴부(500)의 일부분은 상기 선체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바퀴부(500)는 상기 함몰내측면(353)에 의해 둘러쌓여,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선체의 외골격은 상기 바퀴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퀴부(500)에 의해 트레일러(1)에 발생하는 저항이 저감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한편, 상기 바퀴부(500)는 상기 플랫폼(100)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랫폼(100)에 상기 바퀴부(500)를 구비하기 위한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에 설치되는 바퀴축이 구비되어 상기 바퀴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100)에 구비되는 바퀴부(500)는 트레일러(1)가 육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트레일러(1)의 구체적 구현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최적화와 저항최적화를 위한 트레일러(1)의 설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3.2 트레일러의 구체적 설계예
상기 트레일러(1)는 육상뿐만 아니라, 수상에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육상과 수상에서 모두 원활히 이용될 수 있도록 최적화되어 구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달리 말해, 상기 트레일러(1)의 내부 구조, 기능, 외적 형상 등이 트레일러(1)가 육상에서 이용되는 경우에도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될 뿐만 아니라, 수상에서 이용되는 경우에도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최적화는 무게중심최적화와 저항최적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최적화의 필요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최적화의 필요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무게중심최적화는 트레일러(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트레일러(1)의 이동 간의 무게중심이 수상 또는 육상에서 최적화되도록 트레일러(1)가 설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일러(1)가 육상 또는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트레일러(1)의 몸체(110)는 상하로 흔들릴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1)의 몸체(110)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상하로 흔들리는 경우, 트레일러(1)의 육상 또는 수상에서의 이동이 어려워질 수 있다.
육상 또는 수상에서의 트레일러(1)의 이동 간 상기 트레일러(1)의 몸체(110)의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으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에 기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이 트레일러(1)에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비대칭적인 무게중심의 방향으로 트레일러(1)의 몸체(110)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릴 수 있다. 또는, 상기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라, 수상에서 트레일러(1)의 복원성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복원성은 수상에서 상기 트레일러(1)의 몸체(110)가 흔들리는 경우, 상기 트레일러(1)의 몸체(110)가 안정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는 성질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무게중심이 낮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복원성이 향상되어 수상에서 트레일러(1)의 몸체(110)의 상태는 외력이 인가되어 흔들리더라도 안정된 상태로의 복원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일러(1)의 육상과 수상에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최적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무게중심최적화 이외에도 트레일러(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트레일러(1)의 저항최적화가 필요하다.
상기 저항최적화는 트레일러(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트레일러(1)의 이동시 트레일러(1)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트레일러(1)에 작용하는 저항력이 수상과 육상에서 모두 경감되도록, 트레일러(1)가 설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저항력은 육상에서 견인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상에서 추진력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트레일러(1)가 이동되는 경우 트레일러(1) 주변의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트레일러(1)는 이동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저항력을 받게 된다. 상기 트레일러(1)가 육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유체는 트레일러(1) 주변의 공기가 될 수 있으며, 트레일러(1)가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유체는 트레일러(1) 주변의 물이 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트레일러(1)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트레일러(1)의 각 구성에 물리적힘을 트레일러(1)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데, 상기 유체가 상기 트레일러(1)에 작용하는 힘은 저항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저항력에 기인하여, 트레일러(1)는 이동 방향으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없다. 달리 말해, 트레일러(1)는 상기 저항력에 기인하여 이동 방향으로의 속도가 낮아질 수 있다. 즉, 공기의 저항력과 물의 저항력에 기인하여, 트레일러(1)의 이동 속도는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일러(1)의 육상과 수상에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트레일러(1)의 저항최적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전술하였듯이, 육상과 수상에서의 무게중심과 저항력은 트레일러(1)의 이동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육상과 수상에서 동시에 트레일러(1)의 이동을 원활히되도록 무게중심이 트레일러(1)에 형성되고, 트레일러(1)의 저항력이 저감될 수 있도록 트레일러(1)가 구현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트레일러(1)의 구체적 구현예와 설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를 위해, 플랫폼(100), 쌍동부(300), 및 바퀴부(500)의 외적형상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일러(1)의 각 구성의 배치가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별 외적형상의 설계와 트레일러(1)의 각 구성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플랫폼(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3.2.1 플랫폼의 설계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00)의 외적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100)에 구비되는 견인부(130)와 동력부(150)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플랫폼(100)의 외적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랫폼(100)의 외적 형상은 상기 플랫폼(100)에 형성되는 저항력이 저감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1 (a)를 참조하면, 상기 플랫폼(100)의 전단의 구조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랫폼(100)의 전단의 구조는 V자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플랫폼(100)의 전단의 측부의 외골격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 (b)를 참조하면, 상기 플랫폼(100)의 전단의 구조에 기인하여 플랫폼(100)에 주는 유체의 영향이 저감될 수 있다. 트레일러(1)가 육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공기는 V자형의 플랫폼(100)의 전단의 구조에 의해 갈라지게 되어 공기의 흐름이 플랫폼(100)에 영향을 주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고,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물이 갈라지게 되어 플랫폼(100)에 영향을 주는 물의 흐름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육상과 수상에서 플랫폼(100)의 저항력은 저감 되며, 트레일러(1)는 수상과 육상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랫폼(100)에 배치되는 견인부(130)와 결합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견인부(130)와 동력부(150)는 트레일러(1)가 안정된 상태를 갖도록 하는 플랫폼(100)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상기 견인부(130)와 동력부(150)는 트레일러(1)가 안정된 상태가 되도록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견인부(130)는 플랫폼(100)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수상에서 플랫폼(100)의 물저항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130)가 플랫폼(100)의 측부나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 트레일러(1)가 수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견인부(130)에 물에 의한 저항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견인부(130)가 플랫폼(100)의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물에 의해 영향 받는 영역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수상에서의 플랫폼(100)의 저항력은 저감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트레일러(1)의 쌍동부(300)와 쌍동부(300)에 구비되는 바퀴부(500)의 설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3.2.2 쌍동부 및 바퀴부의 설계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동부(300)에는 바퀴축이 구비되어, 상기 바퀴축에 바퀴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일러(1)의 무게 중심이 낮게 형성되도록, 각 쌍동부(300)가 플랫폼(10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일러(1)의 저항이 낮아지도록 쌍동부(300)의 외적 형상이 설계되며, 수상에서의 물저항이 최소화 되도록 각 쌍동부(300)에 바퀴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무게 중심이 낮아지고 트레일러(1)의 저항이 낮아지도록 설계되는 쌍동부(300)의 배치 형태, 쌍동부(300)의 외적 형상 및 바퀴부(500)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3.2.2.1 쌍동부의 배치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이 전술하였듯이 낮아질수록, 수상에서의 트레일러(1)의 복원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이 수상에서의 트레일러(1)의 부력의 중심보다는 높되 낮게 형성되는 경우에 트레일러(1)의 복원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은 쌍동부(300)의 배치 형태에 따라 낮아질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이 낮도록 배치되는 쌍동부(300)의 배치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동부(300)의 무게중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각 쌍동부(300)가 플랫폼(100)의 측부에 배치되는 경우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이 낮아질 수 있다. 제1 쌍동부(310)와 제2 쌍동부(330)가 플랫폼(100)의 측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이 낮아질 수 있다. 달리 말해, 제1 쌍동부(310)와 제2 쌍동부(330)의 사이에 플랫폼(100)이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이 낮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더 적절한 쌍동부(300)의 배치는 플랫폼(100)의 측부가 쌍동부(300)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달리 말해, 플랫폼(100)이 상기 쌍동부(300)의 상부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수상에서의 트레일러(1)의 복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플랫폼(100)이 상기 쌍동부(300)의 중앙부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트레일러(1)의 무게중심에는 큰 변화는 없으나 부력의 중심이 높아 질 수 있다. 수상에서 상기 쌍동부(300)에 화물이 적재되기 때문에 상기 트레일러(1)의 무게를 구성하는 비중은 쌍동부(300)에서 가장 클 수 있다. 따라서 쌍동부(300)가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라면 플랫폼(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무게중심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플랫폼(100)이 낮게 배치되는 경우 플랫폼(100)에 구비되는 플랫폼부력부재(170)에 의하여 플랫폼(100)에 부력이 작용되기 때문에 트레일러(1)의 전체에서의 부력의 중심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부력의 중심이 무게중심보단 높게 형성됨으로써, 수상에서 트레일러(1)의 안정성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각 쌍동부(300)가 플랫폼(100)의 측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쌍동부(300)의 상부의 측면에 플랫폼(100)이 접촉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수상에서의 트레일러(1)의 안정성을 가장 높이는 설계가 될 수 있다.
3.2.2.2 쌍동부의 형상과 바퀴부의 배치
쌍동부(300)의 외적 형상은 저항이 저감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동부(300)의 외적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몰공간(351)이 형성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부(500)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쌍동부(300)의 전단의 형상은 V자 형상의구조로 구현되며, 쌍동부(300)의 하면의 첨저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첨저형은 V자 형상의 하면구조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쌍동부(300)의 전단의 형상이 V자 형상의 구조로 구현됨에 따라, 플랫폼(100)이 V자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트레일러(1)에 작용되는 저항력이 감소할 수 있다. 즉, 쌍동부(300)에 영향을 주는 유체의 흐름이 적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쌍동부(300)의 하면의 형상은 첨저형의 구조(37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쌍동부(300)의 하면의 구조는 하면꼭지(371)와 하면경사(37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일러(1)가 이동되는 경우, 물은 하면꼭지(371) 양 옆의 하면경사(372)를 따라 주로 흐르게 된다.
상기 쌍동부(300)의 하면꼭지(371)는 쌍동부(300) 전단의 V형상의 꼭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쌍동부(300)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자연스럽게 쌍동부(300)의 주변으로 흐르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쌍동부(300)에 영향을 주는 유체의 흐름이 적어질 수 있다.
상기 쌍동부(300)의 하면경사(372)는 일정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영역별로 다른 경사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쌍동부(300)의 하면경사(372)가 영역별로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 하면꼭지(371)에 인접한 영역의 하면경사(372)일수록 완만한 경사를 갖는 첨저형의 구조(370)가 되거나 급격한 경사를 갖는 첨저형의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쌍동부(300)의 하면경사(372)가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는 경우, 수상에서 트레일러(1)의 복원성과 저항력이 향상될 수 있다.
쌍동부(300)의 하면경사(372)가 급격해지는 경우, 수상에서 트레일러(1)의 복원성은 감소하나 저항력이 감소되어 수상에서 트레일러(1)의 이동 방향으로의 이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 쌍동부(300)의 하면경사(372)가 완만해지는 경우, 수상에서 트레일러(1)의 복원성이 증가되나 저항력이 증가하여 수상에서 이동방향으로의 트레일러(1)의 이동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쌍동부(300)의 외적 형상에 대응하여, 바퀴부(500)가 구비될 수 있는 쌍동부(300)의 함몰공간(351)의 위치가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상에서 상기 쌍동부(300)의 물저항력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함몰공간(351)이 형성되는 위치가 설계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쌍동부(300)에 형성되는 함몰공간(351)은 쌍동부(300)에 가리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쌍동부(300)에 형성되는 함몰공간(351)은 쌍동부(300)의 측부의 외골격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공간(351)은 쌍동부(300)의 측부의 외골격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쌍동부(300)의 하부의 함몰되는 영역은 쌍동부(300)의 하면의 하면꼭지(371)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함몰공간(351)이 쌍동부(300)의 외골격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트레일러(1)의 이동이 원활해질 수 있다. 상기 함몰공간(351)이 노출되는 경우, 상기 트레일러(1)가 수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물의 흐름이 함몰공간(35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쌍동부(300)에 작용되는 물에 의한 저항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함몰공간(351)이 쌍동부(300)에 가리워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트레일러(1)가 수상에서 이동되더라도 함몰공간(351)으로 유입되는 물이 적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함몰공간(351)이 쌍동부(300)의 하면 꼭지에 대응되여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면 꼭지를 따라 물의 흐름이 적기 때문에 함몰공간(351)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적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쌍동부(300)에 영향을 저는 물의 저항력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쌍동부(300)의 하부의 함몰되는 영역 중 플랫폼(100)으로부터 더 먼 영역의 쌍동부(300)의 외골격은 플랫폼(10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쌍동부(300)의 함몰된 구조의 제1 함몰내측면(354)과 제2 함몰내측면(355) 중 제1 함몰내측면(354)이 상기 플랫폼(100)에 더 인접하고 제2 함몰내측면(355)이 플랫폼(100)으루부터 더 멀 수 있다. 이경우, 제1 함몰내측면(354)은 플랫폼(100)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이 경우, 함몰공간(351)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제1 함몰내측면(354)이 함몰된 공간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함몰공간(351)으로 물이 더 이상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쌍동부(300)에 작용되는 물의 저항력이 저감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함몰공간(351)에 배치되는 바퀴축과 바퀴부(500)의 일부가 선체에 가리워질 수 있다. 상기 바퀴부(500)는 함몰공간(351)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퀴부(500)는 함몰내측면과 함몰외측면에 의해 가리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바퀴부(500)에 작용되는 물의 저항력이 저감될 수 있다. 트레일러(1)가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발생하는 물의 흐름이 노출된 바퀴의 일부에만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퀴에 작용하는 저항력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쌍동부(300)의 하면을 관측하였을 때, 상기 바퀴부(500)의 중심선이 쌍동부(300)의 하면꼭지(37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쌍동부(300)의 하면을 관측하였을 대 바퀴부(500)의 양 측면(E) 사이에 쌍동부(300)의 하면꼭지(371)가 위치하도록 상기 바퀴축이 구비되고 상기 바퀴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면꼭지(371)를 따라 흐르는 물의 밀도가 작기 때문에, 상기 바퀴부(500)에 영향을 주는 물의 흐름이 적어져 바퀴부(500)에 작용하는 물의 저항력이 저감되게 된다.
또한, 상기 쌍동부(300)의 하면의 하면꼭지(371)가 상기 바퀴부의 중심(C)보다 더 아래에 위치하도록 쌍동부(300)의 하면, 바퀴축이 설계되며, 바퀴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바퀴축이 상기 쌍동부(300)의 하면꼭지(371)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쌍동부(300)에 영향을 주는 물의 저항력은 더 저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수륙양용 트레일러(1)의 구체적 구현예 및 그 설계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수륙양용 트레일러(1)의 구체적인 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4. 수륙양용 트레일러의 이용
전술하였듯이, 수륙양용 트레일러(1)는 육상에셔 견인되어 이동되며, 수상에서 트레일러(1)에 구비되는 동력원의 동력 발생에 기초하여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트레일러(1)의 진입과 이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진입은 트레일러(1)의 육상에서 수상으로의 이동을 의미하며, 상기 이탈은 트레일러(1)의 수상에서 육상으로의 이동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1)의 이탈과 진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일러(1)는 견인수단(L)으로부터 자동으로 진입하거나 이탈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레일러(1)에 구비되는 견인부(130)는 능동견인부이다.
상기 트레일러(1)가 수상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트레일러(1)는 견인수단(L)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어 수상으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1)의 진입의 개시는 트레일러(1)의 사용자가 직접 트레일러(1)에 입력하거나, 트레일러(1)에 구비되는 센서 등에 의해 자동으로 트레일러(1)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1)의 진입의 개시에 기초하여, 상기 트레일러(1)의 견인부(130)는 동력을 발생하여 견인수단(L)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일러(1)는 견인수단(L)으로부터 자동으로 멀어지며, 상기 트레일러(1)가 수상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트레일러(1)로부터 이동부재가 분리되면 트레일러(1)가 수상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준비된다.
상기 트레일러(1)가 육상으로 이탈하는 경우, 상기 트레일러(1)의 이동부재가 자동으로 감김으로써 상기 견인수단(L)으로 트레일러(1)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트레일러(1)의 사용자가 견인수단(L)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견인부(130)는 이동부재가 상기 견인수단(L)에 장착되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감기며 트레일러(1)는 견인수단(L)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일러(1)가 견인수단(L)에 접근하게 되는 경우, 상기 트레일러(1)의 견인부(130)는 상기 견인수단과 자동으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육상에서 견인되어 트레일러(1)가 이동 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따라서 각 실시예는 상술한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단계는 반드시 설명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나중에 설명된 단계가 먼저 설명된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각 단계는 동작하는 동안 어느 한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수륙양용트레일러
100: 플랫폼
110: 몸체 111: 내부공간
113: 플랫폼격벽 130: 견인부
150: 동력부 170: 플랫폼부력부재
300: 쌍동부 301: 선체내부공간
302: 선체벽 303: 수납공간
304: 부재공간 306: 수납격벽
307: 부재격벽 308: 제1 선체벽
309: 제2 선체벽 310: 제1 쌍동부
311: 제1 선체 312: 제1 차단부재
313: 제1 정박부재 314: 제1 선체부력부재
315: 제1 바퀴축 330: 제2 쌍동부
331: 제2 선체 332: 제2 차단부재
333: 제2 정박부재 334: 제2 선체부력부재
335: 제2 바퀴축 350: 함몰된 외골격
351: 함몰공간 352: 함몰외면
353: 함몰내측면 354: 제1 함몰내측면
355: 제2 함몰내측면 356: 함몰상외면
370: 침저형의 구조 371: 하면꼭지
372: 하면경사 500: 바퀴부
510: 제1 바퀴부 530: 제2 바퀴부
700: 개방영역
110: 몸체 111: 내부공간
113: 플랫폼격벽 130: 견인부
150: 동력부 170: 플랫폼부력부재
300: 쌍동부 301: 선체내부공간
302: 선체벽 303: 수납공간
304: 부재공간 306: 수납격벽
307: 부재격벽 308: 제1 선체벽
309: 제2 선체벽 310: 제1 쌍동부
311: 제1 선체 312: 제1 차단부재
313: 제1 정박부재 314: 제1 선체부력부재
315: 제1 바퀴축 330: 제2 쌍동부
331: 제2 선체 332: 제2 차단부재
333: 제2 정박부재 334: 제2 선체부력부재
335: 제2 바퀴축 350: 함몰된 외골격
351: 함몰공간 352: 함몰외면
353: 함몰내측면 354: 제1 함몰내측면
355: 제2 함몰내측면 356: 함몰상외면
370: 침저형의 구조 371: 하면꼭지
372: 하면경사 500: 바퀴부
510: 제1 바퀴부 530: 제2 바퀴부
700: 개방영역
Claims (15)
- 차량에 견인됨으로써 육상에서 이동되며, 수상에서 자체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수륙양용 트레일러로서,
육상에서의 견인을 위한 견인부와 수상에서 상기 트레일러에 추진력을 부여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원이 장착되는 동력부가 구비되는 플랫폼;
수상에서 상기 트레일러에 부력을 부여하기 위한 부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의 양측에 구비되며, 함몰된 내부에 제1 함몰내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함몰내측면에 제1 바퀴축이 구비되는 제1 쌍동선체부와 함몰된 내부에 제2 함몰내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함몰내측면에 제2 바퀴축이 구비되는 제2 쌍동선체부를 포함하는 쌍동선체부; 및
육상에서 상기 트레일러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쌍동선체부에 구비되는 제1 바퀴부와 상기 제2 쌍동선체부에 구비되는 제2 바퀴부를 포함하는 바퀴부;를 포함하고,
수상에서 상기 트레일러가 이동되는 동안 상기 바퀴부에 작용하는 물에 의한 저항력이 저감되도록, 상기 제1 함몰내측면의 상기 제1 바퀴축에 상기 제1 바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함몰내측면의 상기 제2 바퀴축에 상기 제2 바퀴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1 바퀴부와 상기 제2 바퀴부의 일부가 상기 쌍동선체부에 의해 가려지며, 상기 제1 선체부와 상기 제2 선체부의 각각의 하면은 첨저형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트레일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체부는 상기 함몰된 내부에 서로 마주 보는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제1 함몰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일러가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바퀴부에 작용하는 물저항이 저감되도록, 상기 제1 바퀴부는 상기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 함몰내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선체부의 측면에서 관측하였을 때 상기 바퀴부가 상기 제1 선체부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체부의 하면은 하면경사와 상기 하면경사가 연결되는 하면꼭지를 포함하는 첨저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일러가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바퀴부에 작용하는 물저항의 저감을 위해, 상기 제1 선체부의 하면을 관측하였을 때 상기 바퀴부의 측면의 사이에 상기 하면꼭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함몰된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체부의 하면은 하면경사와 상기 하면경사가 연결되는 하면꼭지를 포함하는 첨저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일러가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바퀴부에 작용되는 물저항의 저감을 위해, 상기 제1 선체부의 하면을 관측하였을 때 상기 제1 바퀴부의 측면의 사이에 상기 하면꼭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바퀴부가 상기 함몰된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가 수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바퀴부에 작용되는 물저항의 저감을 위해, 상기 제1 바퀴축이 상기 선체부의 상기 하면꼭지 보다 높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바퀴부의 중심이 상기 하면꼭지에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체부의 전단은 V자형의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선체부의 전단의 꼭지점은 상기 제1 선체부의 상기 하면꼭지외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체부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선체벽에 의해 수납공간과 부재공간으로 구획되어, 상기 부재공간에는 상기 선체부에 부력을 부여하기 위한 선체부력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벽은 제1 선체벽과 제2 선체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선체벽과 상기 제2 선체벽의 사이에 상기 선체부의 함몰된 내부의 외골격이 배치되며, 상기 함몰된 내부의 외골격은 상기 제1 선체벽과 상기 제2 선체벽에 접촉되는,
수륙양용트레일러.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에는 복수의 수납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선체벽이 지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수납격벽은 상기 선체벽과 상기 선체부의 하부의 외골격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의 내부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플랫폼의 내부공간에는 수상에서 상기 플랫폼에 부력을 부여하기 위한 플랫폼부력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선체부와 상기 제2 선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선체부의 상부와 상기 제2 선체부의 상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트레일러의 수상에서 육상으로의 이탈을 위해, 상기 견인부에서 생산되는 견인동력에 의해 상기 트레일러가 육상으로 견인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견인동력원, 동력전달부재, 및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동력원은 상기 견인동력을 생산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견인동력을 선방향의 동력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선방향의 동력을 인가 받아 상기 트레일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선체부의 상부에는 외기에 노출되는 개방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
- 차량에 견인됨으로써 육상에서 이동되며, 수상에서 자체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수륙양용 트레일러로서,
제1 선체부와 제2 선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선체부와 상기 제2 선체부의 각각에 바퀴가 구비되는 선체부;
상기 제1 선체부와 상기 제2 선체부를 연결하여, 상기 트레일러의 외적형상을 지지하는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에 구비되며, 육상에서 수상으로 상기 트레일러가 이동되도록 하는 진입동작 또는 수상에서 육상으로 상기 트레일러가 이동되고 이탈동작의 수행을 위해 견인동력원,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차량에 연결되기 위한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견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가 이탈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견인동력원은 견인을 위한 동력을 생산하고, 상기 동력은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선동력으로 변환되며, 상기 변환된 선동력은 상기 차량에 연결된 이동부재를 연장시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트레일러가 멀어져 상기 트레일러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트레일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935A KR102090326B1 (ko) | 2017-08-28 | 2017-08-28 | 쌍동구조를 가지는 수륙양용 트레일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935A KR102090326B1 (ko) | 2017-08-28 | 2017-08-28 | 쌍동구조를 가지는 수륙양용 트레일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3351A true KR20190023351A (ko) | 2019-03-08 |
KR102090326B1 KR102090326B1 (ko) | 2020-03-17 |
Family
ID=6580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8935A KR102090326B1 (ko) | 2017-08-28 | 2017-08-28 | 쌍동구조를 가지는 수륙양용 트레일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032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0183U (ja) * | 1992-05-14 | 1994-03-15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空中翼を備えた船舶 |
JP2555727Y2 (ja) * | 1991-10-18 | 1997-11-26 |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 水陸両用艇 |
KR101543422B1 (ko) * | 2013-09-12 | 2015-08-11 | 석주호 | 수륙 양용 캠핑 트레일러 |
KR20160145247A (ko) * | 2015-06-09 | 2016-12-20 | 김택렬 | Frp 쌍동 바지선 |
-
2017
- 2017-08-28 KR KR1020170108935A patent/KR1020903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55727Y2 (ja) * | 1991-10-18 | 1997-11-26 |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 水陸両用艇 |
JPH0620183U (ja) * | 1992-05-14 | 1994-03-15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空中翼を備えた船舶 |
KR101543422B1 (ko) * | 2013-09-12 | 2015-08-11 | 석주호 | 수륙 양용 캠핑 트레일러 |
KR20160145247A (ko) * | 2015-06-09 | 2016-12-20 | 김택렬 | Frp 쌍동 바지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0326B1 (ko) | 2020-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44087B1 (en) | Underwater watercraft | |
US20110045716A1 (en) | Buoyant track amphibious transporter | |
CN105050935A (zh) | 用于海上风机维护程序的天气维护系统 | |
KR101028825B1 (ko) | 수륙 양용 캠핑카 | |
WO2019136007A1 (en) | Renewably-powered buoy submersible | |
US7063580B1 (en) | Ship employing a buoyant propulsion system | |
CN102530187B (zh) | 不沉没不摆舵调头能左右位移横行的高速双头船 | |
US11505297B2 (en) | Ultra-large marine submersible transport boats and arrangements for transportation of aqueous bulk liquids, including fresh water | |
RU2683210C2 (ru) | Гусенич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граждан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 |
KR20190023351A (ko) | 쌍동구조를 가지는 수륙양용 트레일러 | |
KR20150029270A (ko) | 수륙양용트레일러 | |
EP3966105A2 (fr) | Engin marin | |
KR101686228B1 (ko) | 리프트백을 이용한 수중 구조물 이송 방법 | |
KR101904618B1 (ko) |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 |
US5090346A (en) | Multi-part ship construction system | |
JPH01257610A (ja) | 2レベル水陸両用クリーピング車 | |
CN105923590A (zh) | 一种水下垂直运输设备及方法 | |
JP2001278190A (ja) | 半没水体のストラット | |
KR20210013627A (ko) | 평형수 시스템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선박 | |
KR102709434B1 (ko) | 자동차의 구동력과 조향력으로 이동 가능한 자동차용 보트 | |
KR102552226B1 (ko) | 해저조망 전기보트차와 전기 해저조망 관광예인선이 결합된 선박결합체 | |
CN100482531C (zh) | 不颠覆船艇 | |
FR2722757A1 (fr) | Bateau submersible a deux flotteurs pivotants | |
KR20180064943A (ko) | 조립식 윈드서핑 | |
JP2009101752A (ja) | フロート型船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