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307A -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307A
KR20190023307A KR1020170108827A KR20170108827A KR20190023307A KR 20190023307 A KR20190023307 A KR 20190023307A KR 1020170108827 A KR1020170108827 A KR 1020170108827A KR 20170108827 A KR20170108827 A KR 20170108827A KR 20190023307 A KR20190023307 A KR 20190023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upper roll
vertical frame
extens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591B1 (ko
Inventor
백석현
Original Assignee
(주)씨아이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아이엠테크 filed Critical (주)씨아이엠테크
Priority to KR1020170108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59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경이 작은 관을 제작하거나 또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강판을 벤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롤의 휨 모우멘트를 이용하여 제관 또는 벤딩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직립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수평으로 평행하게 이격되게끔 양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축회전 가능하게 하고 하부롤과 하부롤은 개별 이송을 하면서 하부롤과 하부롤이 평행 또는 경사각을 이루는 한쌍의 하부롤; 상기 하부롤 중앙 상부에 상기 하부롤과 평행 또는 경사각으로 벤딩하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롤; 상기 상부롤과 하부롤을 축회전시키기 위한 롤회전구동부; 상기 상부롤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자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쪽 외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2연장대; 상기 제1,2연장대의 단부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부롤의 중심부가 휨모멘트를 받도록 하는 연장대가압부;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롤을 직하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상부롤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Apparatus For Making Pipe or Bending Steel Plate}
본 발명은 파이프 및 3차원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경이 작고 긴 관을 제작하거나 또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강판을 3차원 벤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롤의 휨을 이용하여 도 3의 (a), (b)처럼 벤딩되지 않게 상부롤의 휨을 조절하여 관을 수평으로 벤딩한다. 그리고 Roll을 회전하면서 벤딩하기 때문에 관의 생산 속도가 빠르고 관의 진원도와 관의 평행 유지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부롤(Top Roll)의 연장대로 서로 다르게 편차의 힘이 가해져 3차원 곡면 벤딩을 가능하게 한다.
두꺼운 강판을 이용하여 제관을 하거나 또는 원하는 곡률로 벤딩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관 또는 긴 파이프 생산 벤딩장치가 있다. 제관하는 경우에는 강판의 양 끝이 서로 접촉될 정도로 강판을 벤딩한 다음 길이방향을 따라 용접함으로써 원통형상으로 제작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제관장치는 하부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하부롤(101,103)과, 하부롤(101,103)과 삼각구도가 되도록 하부롤(101.103) 상부 중심에 설치되는 하나의 상부롤(105)과, 롤(101,103,105)을 축회전시키기 위한 롤구동부를 포함한다. 하부롤(101,103)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그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끔 되어 있으며, 하부롤(101,103)은 상부롤을 중심으로 좌우 이동하여 강판의 끝단 벤딩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상부롤(105)은 상하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롤(101,103)의 간격과 상부롤(105)의 하강 가압함으로써 제품(P)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제관장치의 상부롤(10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구조상 양단지지보의 형태로 지지된다. 그러므로 상부롤(105, Top Roll)은 벤딩이나 제관시 중앙부에 힘이 덜 가해지는 이유로 중앙부가 들어 올려지는 힘(F)을 받게 되며, 상부롤은 이 힘(F)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R)로 만곡되는 현상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관에 의해 제작된 제품(P) 역시 배흘림기둥처럼 가운데 부분이 소정의 곡률(R)로 불룩하게 튀어나온 형태가 되거나(도 3(a) 참조), 경우에 따라서는 장구처럼 가운데 부분이 소정 곡률(R)로 잘록하게 되고 만다(도 3(b) 참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 크라운(crown)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롤러를 사용하거나 직경이 큰 롤러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롤러의 형태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여러 상황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큰 롤러의 제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직경이 큰 Top 롤러를 사용하여야 함에 따른 제반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관시 소재가 지나치게 벤딩되어 가운데 부분이 잘록하게 되는 현상이 생기기도 한다.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대형 벤딩장치(예를 들어, 롤포머)는 3P 벤딩 또는 하프벤딩만 가능하였고 완전한 원형으로 제관하는 것은 어려웠다. 프레스로 가압하는 절곡벤딩의 방식도 있었으나, 이 역시 반원 정도의 곡면 가공은 가능하였으나, 완성된 원형으로 제관하는 것은 불가능하였으며 진원도가 좋지 않고 자국이 남는 등의 문제가 있고 생산 속도가 느렸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9-0015406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93252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롤과 상부롤 사이에 소재를 넣고 가압하면서 회전시킴으로써 소재를 벤딩하기 위한 벤딩장치에 있어서; 하부롤과 상부롤의 처짐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제관 또는 벤딩시 제품의 가운데 부분이 불룩하게 튀어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벤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직경이 작은 롤을 이용하여 폭이 길고 작은 직경의 강관을 제작할 수 있으며, 두께가 두꺼운 강판으로도 제관이 가능한 제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직립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상부롤이 수평으로 평행하게 이격되게끔 양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하부롤; 상기 하부롤 중앙 상부에 상기 하부롤과 평행하게끔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롤; 상기 상부롤과 하부롤을 축회전시키기 위한 롤회전구동부; 상기 상부롤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자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쪽 외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연장대; 상기 연장대의 단부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부롤의 중심부가 휨모멘트를 받도록 하는 연장대가압부;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롤을 직하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상부롤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또는 벤딩을 위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장대는 상기 상부롤의 양단에서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장대가압부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피스톤이 상기 연장대에 지지되도록 하는 가압실린더; 상기 가압실린더의 피스톤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장대와 실린더 사이에 구름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구름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의 거리와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장대가압부의 지지점 사이의 거리의 비는 3 ~ 5 : 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품인출시 상기 제1연장대의 저면을 떠받치기 위한 상부롤받침실린더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더 설치되며; 상기 제2연장대의 저부에는 인출되는 제품을 떠받치기 위한 인출롤이 인출롤승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부롤과 하부롤로 구성되는 벤딩장치에 있어서, 상부롤의 양단이 상방향으로 힘을 받고 상부롤의 중심부가 하방향으로 힘을 받아 결국 상부롤의 중심부가 아래로 처지게끔 하는 휨모멘트가 가해짐으로써 상부롤이 직관 형태를 유지하면서 벤딩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강판을 벤딩시 발생하던 배부름 현상이나 장구와 같이 잘록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벤딩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롤러의 횡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벤딩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롤러의 측부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벤딩장치에 의해 제관된 제품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의 전체 측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지점에서 본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 지점에서 본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4의 C-C 지점에서 본 개략적 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의 제1연장대가압실린더를 중심으로 본 측의 측부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관 또는 벤딩을 위한 장치의 제2연장대가압실린더를 중심으로 본 측의 측부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4의 D-D 지점에서 본 개략적 단면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제관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측부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에서 제품 인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부 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4 내지 도 6을 기본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겠으며 이후 나머지 도면을 참조하면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하부프레임(1)이 수평으로 길게 설치된다. 수직프레임(3,3')은 하부프레임(1)의 양측에 직립 설치된다. 수직프레임(3,3')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기둥(5,7)과, 기둥(5,7)의 상단에 보처럼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탑프레임(9)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하부롤(11,13)이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하부프레임(1)에 수평으로 지지된다. 하부롤(11,13)은 하부프레임(1)에 지지된 상태에서 좌우로 벌려지거나 좁혀질 수 있게끔 설치된다. 또한 하부롤(11,13)은 각각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롤 (11,13) 은 평행하게 개별 또는 동시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부롤(15, Top Roll)이 하부롤(11,13) 중앙 상부에 하부롤(11,13)과 평행하게끔 수직프레임(3,3')에 설치된다. 상부롤(15) 역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롤회전구동부는 상부롤(15)과 하부롤(11,13)을 축회전시킨다. 기본적으로 상부롤(15)이 구동롤이 된다. 하부롤(11,13)은 필요에 따라 상부롤(15)과 함께 구동롤이 될 수도 있고 종동롤(또는 아이들롤)이 될 수 있다. 롤(11,13,15)의 구동방식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제1,2연장대(17,19, 이하 단지 '연장대'라 한다)가 상부롤(15)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자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3')의 양쪽 외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연장대(17,19)는 상부롤(15)의 양단에서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부롤(15)을 길게 연장시킴으로써 연장대(17,19)가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롤(15)의 양단에 용접이나 플랜지 접합 등을 이용하여 부가적으로 연장시킨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소재, 단면형상 또는 직경도 상부롤(15)과 다른 것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하부프레임(1)은 연장대(17,19)의 길이까지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측 연장대(17)에는 보조직립프레임(21)이 직립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직립프레임(21)은 수직프레임(3,3')과 유사하게 2개의 보조기둥(23,25)과 보조기둥(23,25) 상단을 횡으로 연결하는 보조탑프레임(27)으로 구성된다. 보조기둥(23,25) 안쪽에는 가이드레일(29)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레일(29)을 따라 연장대지지블럭(31)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연장대지지블럭(31)의 외측에는 상부롤(15)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상부롤회전모터(33)가 설치된다(도 8 참조). 상부롤회전모터(33)는 연장대(17,19) 및 상부롤(15)를 회전구동시키는 것으로서 연장대지지블럭(3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기동하도록 되어 있다. 연장대지지블럭(31)의 하단에는 제1연장대승강실린더(35)가 설치되어 있다. 제1연장대승강실린더(35)는 후술되는 제2연장대승강실린더(37)와 함께 상부롤(15)을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킨다. 제2연장대승강실린더(37)는 제1연장대승강실린더(35)의 반대쪽에 설치된 연장대(19)의 저부를 지지하도록 하부프레임(1)에 직립 설치된다(도 9 참조).
연장대가압부는 연장대(17,19)의 양단부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부롤(15)의 중심부가 휨모멘트를 받도록 하는 것이며, 제1,2연장대승강실린더(35,37)를 포함한다. 또한 제1,2연장대승강실린더(35,37)의 피스톤 상단에는 연장대(17,19)와 실린더 사이에 구름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구름운동수단이 설치된다. 구름운동수단은 각 피스톤(35a,37a)의 상단에 설치되는 연장대지지블럭(31) 및 가압대(39)와, 가압대(39)의 상측에 설치되는 윤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윤활수단은 한쌍의 지지롤러가 될 수도 있고 단지 윤활제가 될 수도 있으며 상부롤의 축단부에 설치되는 베어링이 될 수도 있다.
이하, 도 5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부롤가압부(41)는 수직프레임(3,3')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롤(15)을 직하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부롤가압부(41)는 수직프레임의 기둥(5,7)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는 레일(43)과, 이 레일(43)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블럭(45)과, 피스톤(47a)이 이 가압블럭(45)에 연결되고 실린더 본체(47b)는 탑프레임(9)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가압블럭(45)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상부롤가압실린더(47)를 포함한다. 상부롤(15)은 회전되어야 하므로 가압블럭(45)이 직접 상부롤(15)에 접하도록 할 수는 없다. 따라서 가압블럭(45)의 중심부 하단에는 상부롤(15)과의 구름접촉을 위한 아이들롤러(49)가 설치된다. 물론 상부롤가압부(41)는 양쪽 수직프레임(3,3')에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프레임 사이의 거리(L1)와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장대가압부의 지지점 사이의 거리(L2)의 비는 3 ~ 5 : 1일 수 있다(도 4 참조).
한편 하부롤(11,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롤기동부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조정하여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하부롤기동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하부프레임(1) 상에 설치된 하부롤기동실린더(51,53)를 포함한다. 하부롤기동실린더(51,53)는 한쪽에 2개씩 배치되어 총 4개로 구성된다. 하부롤기동부는 하부프레임 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바닥레일(55)과, 바닥레일(55)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것으로서 하부롤기동실린더(51,53)의 피스톤 끝에 연결되는 하부롤가압대(57)와, 하부롤가압대 또는 하부레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롤(11,13)과 하부롤가압대(57) 사이에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롤러 또는 베어링과 같은 윤활수단이 설치된다.
하부롤(11,13)은 하부롤받침롤(59, 도 4 참조)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하부롤받침롤(59)은 하부롤(11,13)의 연장방향을 따라 여러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프레임(3,3') 상부에는 호이스트지지대(61)가 설치된다. 호이스트지지대(61)는 통상 H빔 또는 I빔으로 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호이스트(63)가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된다. 호이스트(63)는 주지된 바와 같이 중량물을 들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호이스트(63)는 제관 또는 벤딩된 제품(P)을 들어 올려 밖으로 빼내기 위한 것이다.
벤딩된 제품은 단면이 개곡선 형태로 되어 있어 도면(도 4)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도 빼낼 수 있지만, 제관에 의해 단면이 폐곡선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롤러(11,13,15)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면(도 4)상 우측으로 빼내야 한다. 이 경우 수직프레임의 기둥(5,7)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품(P)을 인출해야 하며, 이때 상부롤(15)은 한쪽이 개방됨으로써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어 있어야 한다. 도면상 우측에 있는 상부롤가압실린더(47')가 최대로 위로 들린 상태에서 제1연장대승강실린더(35)를 이용하여 상부롤을 제품의 두께 이상으로 들어올린 다음 호이스트(63)를 이용하여 제품을 측방향으로 빼낼 수 있을 것이다. 제품인출방식은 종래의 방식을 이용하면 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호이스트(63)가 제품(P)을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제품을 인출롤(65) 위에 안착시키게 되면 그 다음부터는 손쉽게 제품을 밖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도 12 참조). 인출롤(65)은 인출측 연장대(19)의 저부에 직립 설치된다.
제품 인출시 상부롤(15)을 외팔보로 지지하는 것의 부담은 상부롤(15)로 하여금 2지점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즉 제1연장대승강실린더(35) 쪽에는 제품 인출시 일측 연장대(17)의 저면을 떠받치기 위한 상부롤받침실린더(6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인출롤(65) 역시 인출롤승강실린더(69)에 의해 제품 인출시 제품(P)을 떠받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롤(15)을 수직방향(Z)방향으로 기동시킬 수 있고, 하부롤(11,13)을 좌우방향으로 기동시킬 수 있으며, 각각은 축방향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들은 제품(P)의 두께(t)나 직경(D)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유한 특징에 의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연장대승강실린더(35,37)에 의해 F1의 힘이 상부롤(15)의 연장선상에 있는 연장대(17,19) 양단에 가해지고, 상부롤(15) 끝에 하방향으로 F2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부롤(15)에는 상부롤(15)로 하여금 곡률(R')을 갖는 방향으로 휨모멘트(M)가 가해지게 된다. 이것은 벤딩시 상부롤(15)에 가해지는 힘과 상충되어 상부롤(15)로 하여금 진원도를 유지하게끔 한다. 따라서 제관이나 벤딩되는 제품의 진원도가 유지될 수 있으며 폭이 길고 직경이 작은 관을 제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하부프레임 3,3' : 수직프레임
5,7 : 기둥 9 : 탑프레임
11,13 : 하부롤 15 : 상부롤(Top Roll)
17,19 : 연장대 23,25 : 보조기둥
27 : 보조탑프레임 29 : 가이드레일
31 : 연장대지지블럭 33 : 상부롤회전모터
35,37 : 제1,2연장대승강실린더 39 : 가압대
41 : 상부롤가압부 43 : 레일
45 : 가압블럭 47 : 상부롤가압실린더
51,53 : 하부롤기동실린더 55 : 바닥레일
57 : 하부롤가압대 59 : 하부롤받침롤
61 : 호이스트지지대 63 : 호이스트
65 : 인출롤 67 : 상부롤받침실린더
P : 제품

Claims (5)

  1.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에 직립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수평으로 평행하게 이격되게끔 양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하부롤; 상기 하부롤 중앙 상부에 상기 하부롤과 평행하게끔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롤; 상기 상부롤과 하부롤을 축회전시키기 위한 롤회전구동부; 상기 상부롤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자신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쪽 외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2연장대; 상기 제1,2연장대의 단부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상부롤의 중심부가 휨모멘트를 받도록 하는 연장대가압부; 상기 수직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롤을 직하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상부롤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장대는 상기 상부롤의 양단에서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가압부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피스톤이 상기 연장대에 지지되도록 하는 가압실린더; 상기 가압실린더의 피스톤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연장대와 실린더 사이에 구름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구름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의 거리와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장대가압부의 지지점 사이의 거리의 비(L1: L2)는 3 ~ 5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또는 벤딩을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품인출시 상기 제1연장대의 저면을 떠받치기 위한 상부롤받침실린더가 상기 하부프레임에 더 설치되며;
    상기 제2연장대의 저부에는 인출되는 제품을 떠받치기 위한 인출롤이 인출롤승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또는 벤딩을 위한 장치
KR1020170108827A 2017-08-28 2017-08-28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 KR101973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827A KR101973591B1 (ko) 2017-08-28 2017-08-28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827A KR101973591B1 (ko) 2017-08-28 2017-08-28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307A true KR20190023307A (ko) 2019-03-08
KR101973591B1 KR101973591B1 (ko) 2019-04-29

Family

ID=6580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827A KR101973591B1 (ko) 2017-08-28 2017-08-28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5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8895A (zh) * 2020-12-03 2021-04-02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壳体板材辊弯成型方法
KR102359348B1 (ko) * 2020-08-18 2022-02-07 한국기계연구원 마운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6891A (ja) * 1996-11-20 1998-06-02 Hakuto Co Ltd ラミネータ
KR19990015406A (ko) 1997-08-06 1999-03-05 정몽규 반자동 변속기
KR20050093252A (ko) 2004-03-18 2005-09-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의 세탁시간 단축장치
KR101555968B1 (ko) * 2015-05-21 2015-09-25 (주)재원산업기계 파이프 밴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6891A (ja) * 1996-11-20 1998-06-02 Hakuto Co Ltd ラミネータ
KR19990015406A (ko) 1997-08-06 1999-03-05 정몽규 반자동 변속기
KR20050093252A (ko) 2004-03-18 2005-09-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의 세탁시간 단축장치
KR101555968B1 (ko) * 2015-05-21 2015-09-25 (주)재원산업기계 파이프 밴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348B1 (ko) * 2020-08-18 2022-02-07 한국기계연구원 마운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2588895A (zh) * 2020-12-03 2021-04-02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壳体板材辊弯成型方法
CN112588895B (zh) * 2020-12-03 2022-07-22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壳体板材辊弯成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591B1 (ko)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4414B (fi)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ett metallroer.
CN105964744B (zh) 三辊联动可调数控四辊卷板机
CN201008878Y (zh) 多辊轧机
CN208116438U (zh) 一种用于矫直镰刀弯的矫直机及其送料装置
CN210816845U (zh) 一种自动卷板机床
KR101973591B1 (ko)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
CN102357581A (zh) 带材拉伸弯曲矫直机
CN201791803U (zh) 弧线下调式三辊卷板机上托架
US5367897A (en) Apparatus for forming a pipe from a sheet metal plate
CN103264074A (zh) 四辊卷板机及卷制圆管的方法
CN104084453A (zh) 一种多辊式拉伸弯曲矫直机
CN205798059U (zh) 三辊联动可调数控四辊卷板机
CN203197055U (zh) 四辊卷板机
CN205833897U (zh) 一种用于钢结构生产的卷板机
CN103464707A (zh) 方圆坯连铸机的拉矫机和生产方圆坯的方法
CN101249519A (zh) 液压对中装置
CN201505679U (zh) 一种卷板机下托架
CN109158451B (zh) 一种h型钢压力矫直机
CN102700972A (zh) 薄卷材放卷机
CN207103511U (zh) 一种卷板机
US9032770B2 (en) Stamping with rolling method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CN111702038A (zh) 一种板材折弯机
CN105251831B (zh) 一种可调节的用于角钢弯曲的防变形装置
KR102115365B1 (ko)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
CN202329185U (zh) 钢管出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