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365B1 -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5365B1 KR102115365B1 KR1020180133272A KR20180133272A KR102115365B1 KR 102115365 B1 KR102115365 B1 KR 102115365B1 KR 1020180133272 A KR1020180133272 A KR 1020180133272A KR 20180133272 A KR20180133272 A KR 20180133272A KR 102115365 B1 KR102115365 B1 KR 1021153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thin plate
- pressing body
- work table
- auxili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0—Bending sheet met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1D11/203—Round ben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6—Sto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9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항공기 부품인 박판을 원하는 곡률반경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어 제품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성형 품질도 개선할 수 있도록 봉 형태를 이루며 회전가능한 제1 롤러 2개가 상호 길이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도록 나란히 상면에 구비되는 작업대; 및 봉 형태를 이루며 회전가능한 제2 롤러가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 마련되는 가압체;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체는 상하이동이 가능하고 제2 롤러가 2개의 제1 롤러 사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대의 일측으로부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로 박판이 인입된 후, 상기 제2 롤러가 제1 롤러의 상단 높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가압체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롤러 및 제2 롤러가 회전하며 박판을 작업대의 타측을 향해 보냄으로써 상기 박판이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항공기 부품인 박판을 원하는 곡률반경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 동체의 주 구조를 이루는 스킨, 스트링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항공기 스킨 부품인 박판은 현재 스트레치 성형을 이용하여 제작하며 부위별로 곡면형상과 곡률분포가 다르다.
이처럼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곡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단품에 대한 스트레치 금형을 일일이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박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탄성회복이 크게 발생하며 이를 예측하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이론적 예측기법과 경험에 의존한 시행착오법을 병행하여 금형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신제품 개발비용 및 제작비가 많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다품종소량생산을 기반으로 하는 항공기 산업의 박판성형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대체기술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항공기 부품인 박판을 원하는 곡률반경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어 제품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성형 품질도 개선할 수 있는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는 봉 형태를 이루며 회전가능한 제1 롤러 2개가 상호 길이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도록 나란히 상면에 구비되는 작업대; 및 봉 형태를 이루며 회전가능한 제2 롤러가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 마련되는 가압체;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체는 상하이동이 가능하고 제2 롤러가 2개의 제1 롤러 사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대의 일측으로부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로 박판이 인입된 후, 상기 제2 롤러가 제1 롤러의 상단 높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가압체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롤러 및 제2 롤러가 회전하며 박판을 작업대의 타측을 향해 보냄으로써 상기 박판이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박판이 인입되는 측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1 롤러의 외측으로 제1 롤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정렬바와, 상기 정렬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에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다수 개가 박판이 인입되는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정렬유닛이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정렬유닛은 정렬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축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박판이 스토퍼에 맞닿도록 인입되어 정렬된 후, 성형되어 나오는 박판이 스토퍼에 간섭되지 않도록 정렬유닛이 외측을 향해 축회전된 다음 상기 제1 롤러 및 제2 롤러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박판이 인입되는 측에 위치하는 제1 롤러의 외측으로 제1 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축회전되는 출입보조롤러가 구비된 출입보조유닛이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출입보조유닛은 제1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출입보조롤러의 상단이 제1 롤러의 상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인입되는 평평한 박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체는 판 형태를 이루며 수직으로 세워져 하방으로 제2 롤러의 양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가압본체와, 상기 가압본체의 하단에 제2 롤러와 맞닿도록 제2 보조롤러가 구비되는 제2 보조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보조유닛은 가압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롤러의 중앙부에 구비된 제2 보조유닛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롤러가 회전가능하도록 제2 롤러의 양측을 감싸는 처짐방지구가 가압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제2 롤러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대의 너비는 박판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축고정구가 구비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본체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링크구조를 이루고 일단이 상기 축고정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지지롤러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암을 포함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체는 지지암의 타단이 외측을 향하도록 작업대의 양측에 작업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암의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인입되는 박판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성형된 박판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로 인입하는 것만으로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박판을 성형할 수 있으며, 제2 롤러가 제1 롤러에 대하여 이루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박판을 만들어낼 수 있는바, 각기 다른 곡률을 가지는 부위에 대한 박판을 생산하기 위해 여러 개의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개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성형 품질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에 의해 박판이 성형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에 적용되는 작업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에 적용되는 작업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에 적용되는 가압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에 적용되는 지지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에 의해 박판이 성형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에 적용되는 작업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에 적용되는 작업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에 적용되는 가압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에 적용되는 지지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에서는 항공기 부품인 박판을 원하는 곡률반경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어 제품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성형 품질도 개선할 수 있도록 봉 형태를 이루며 회전가능한 제1 롤러 2개가 상호 길이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도록 나란히 상면에 구비되는 작업대; 및 봉 형태를 이루며 회전가능한 제2 롤러가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작업대의 상측에 마련되는 가압체;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체는 상하이동이 가능하고 제2 롤러가 2개의 제1 롤러 사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대의 일측으로부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로 박판이 인입된 후, 상기 제2 롤러가 제1 롤러의 상단 높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가압체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롤러 및 제2 롤러가 회전하며 박판을 작업대의 타측을 향해 보냄으로써 상기 박판이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0)와, 상기 작업대(100)의 상측에 마련되는 가압체(200)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체(300) 또는/및 상기 작업대(100)의 양단에 마련되는 가이드기둥(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대(100)는 봉 형태를 이루며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롤러(110)가 상면에 설치되는데, 상기 제1 롤러(110)는 2개가 마련되어 상호 길이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도록 나란히 구비된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기둥(400) 내에 회전력을 제공하면서 감속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감속기가 구비된 모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와 제1 롤러(110)의 일단이 유니버셜 조인트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롤러(110)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롤러(110) 간의 간격은 박판(10)이 가질 곡률반경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100)는 2개의 제1 롤러(110)를 상면에 구비할 수 있도록 적어도 상면이 긴 판 형태를 이루며, 제1 롤러(110)의 상측으로 박면을 사용자가 쉽게 밀어넣을 수 있도록 작업대(100)의 상면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체(200)는 봉 형태를 이루며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롤러(210)가 하단에 구비되며, 일 예로 상기 제2 롤러(210)는 제1 롤러(110)와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기둥(400) 내에 회전력을 제공하면서 감속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감속기가 구비된 모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와 제2 롤러(210)의 일단이 유니버셜 조인트로 연결되어 제2 롤러(210)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롤러(210)는 2개의 제1 롤러(110) 사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체(200)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하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압체(200)는 작업대(100)의 상측에서 가이드기둥(400)에 의해 양단부가 가이드되며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체(200)의 양단에는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위치를 통해 밸런스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2 롤러(21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작업대(100)의 일측, 즉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210)의 길이방향에 대한 옆측으로부터 박판(10)을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210) 사이로 인입시키게 된다. 이때, 제2 롤러(210)의 하단 높이는 제1 롤러(110)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후, 상기 제2 롤러(210), 구체적으로는 제2 롤러(210)의 하단은 제1 롤러(110)의 상단 높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가압체(200)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2 롤러(210)와 제1 롤러(110)의 위치 관계는 성형하고자 하는 박판(10)의 곡률반경에 의해 정해진다. 다만, 제2 롤러(210)의 하단은 제1 롤러(110)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판(10)이 하방으로 이동된 제2 롤러(210)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진 다음,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210)는 회전하여 상기 박판(10)을 작업대(100)의 타측을 향해 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박판(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성형되며, 박판(10)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가압체(200)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박판(10)을 손쉽게 본 발명으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인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는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210) 사이로 박판(10)을 인입하는 것만으로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박판(10)을 성형할 수 있으며, 제2 롤러(210)가 제1 롤러(110)에 대하여 이루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박판(10)으로 성형할 수 있는바, 각기 다른 곡률을 가지는 부위에 대한 박판(10)을 본 발명만으로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각기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박판을 생산하기 위해 여러 개의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개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성형 품질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작업대(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롤러(110) 이외에 인입되는 박판(10)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유닛(120)이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렬유닛(1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제1 롤러(110)의 외측으로 제1 롤러(1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정렬바(121)와, 상기 정렬바(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에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다수 개가 형성된 스토퍼(122)를 포함한다.
상기 정렬바(121)는 2개의 제1 롤러(110) 중 박판(10)이 인입되는 측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스토퍼(122)는 박판(10)이 인입되는 측을 향해 정렬바(121)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210) 사이로 박판(10)이 인입되는 경우, 인입된 박판(10)의 일 측단이 스토퍼(122)에 맞닿으며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210)와 박판(10)이 정확히 나란히 위치할 수 있도록 정렬되게 된다.
상기 정렬유닛(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바(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축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이를 위해 일 예로 랙과 피니언 기어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렬유닛(120)은 상기 박판(10)이 스토퍼(122)에 맞닿도록 인입되어 정렬된 후, 성형되어 나오는 박판(10)이 스토퍼(122)에 간섭되지 않도록 정렬유닛(120)이 외측을 향해 축회전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1 롤러(110) 및 제2 롤러(210)가 회전하며 상기 박판(10)을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작업대(100)는 박판(10)의 제1 롤러(110) 및 제2 롤러(210)를 향한 인입과, 박판(10)의 제1 롤러(110) 및 제2 롤러(210)로부터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면에 출입보조유닛(1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입보조유닛(130)은 박판(10)의 인입과 인출 모두를 돕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 롤러(11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성형되어 인출되는 박판(10)이 가지는 곡률반경이 일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출입보조유닛(130)이 박판(10)의 인출을 돕지 못할 수 있는바, 박판(10)의 인입만을 돕기 위한 출입보조유닛(130)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출입보조유닛(130)은 박판(10)이 인입되는 측에 위치하는 제1 롤러(110)의 외측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입보조유닛(130)은 제1 롤러(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축회전되는 출입보조롤러(131)가 구비되며, 이러한 출입보조유닛(130)은 제1 롤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구비되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박판(10)을 길이방향 전체에 대하여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성형되기 전의 박판(10)은 일반적으로 평평한 상태를 이루고 있는바, 인입되는 평평한 박판(10)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출입보조유닛(130)은 출입보조롤러(131)의 상단이 제1 롤러(110)의 상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출입보조유닛(130)은 제1 롤러(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보조프레임의 상면에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프레임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입되는 박판(10)이 평평한 상태가 아닌 경우, 인출되는 박판(10)의 곡률반경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즉, 곡률반경이 커서 만곡이 매우 완만한 경우)에 출입보조유닛(130)의 높이를 조절하여 박판(10)의 인입과 인출시 박판(10)이 출입보조유닛(13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110)는 작업대(10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는데,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1 롤러(110)가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균일한 회전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보조유닛(140)이 작업대(10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유닛(14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0)의 상면에 제1 롤러(100)의 하측으로 제1 롤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롤러(110)와 맞닿도록 제1 보조롤러(141)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보조유닛(140)은 2개의 제1 롤러(110) 각각의 외측 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롤러(110)의 회전에 따라 제1 보조롤러(141) 또한 회전하며 제1 롤러(110)로 하여금 정위치에서 일정한 회전력을 가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압체(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를 이루며 수직으로 세워진 가압본체(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본체(200)의 하방으로 제2 롤러(210)의 양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보조유닛(230)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제2 롤러(210)가 균일한 회전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2 보조유닛(230)이 가압본체(220)와 제2 롤러(2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보조유닛(2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본체(2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제2 롤러(210)와 맞닿도록 제2 보조롤러(2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조유닛(230)은 가압본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어 제2 롤러(210)의 회전에 따라 제2 보조롤러(231) 또한 회전하며 제2 롤러(210)로 하여금 정위치에서 일정한 회전력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롤러(210)는 가압본체(220)의 최하단에 구비되어 있어, 제1 로러(110)에 비해 자중에 의한 처짐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게 되는바, 제2 롤러(210)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구(240)가 가압본체(22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구(240)는 제2 롤러(210)의 중앙부에 구비된 제2 보조유닛(23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 롤러(210)의 길이를 고려하여 제2 롤러(210)의 중앙과 제2 롤러(210)의 일단 사이, 제2 롤러(210)의 중앙과 제2 롤러(210)의 타단 사이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처짐방지구(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롤러(210)가 회전가능하도록 제2 롤러(210)의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300)는 일 예로, 도 1,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면서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축고정구(311)가 구비된 지지본체(310)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축고정구(31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암(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암(320)은 링크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인입되는 박판(10)은 물론, 인출되는 박판(10)을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조절가능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지지롤러(321)가 제1 롤러(110) 및 제2 롤러(210)와 같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박판(10)의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암(32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짐에도 박판(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에 의해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지지암(3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축고정구(311)가 상하이동함에 있어서도 유압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암(320)의 타단이 외측을 향하도록 작업대(100)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박판(10)의 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체(300)는 작업대(100)와의 견고한 결합과 다수 개가 모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대(330)에 의해 작업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300)는 박판(10)의 인입시 지지암(320)이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사용자가 박판(10)을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210) 사이로 손쉽게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인출되는 박판(10)의 곡률반경에 맞추어 지지암(320)을 사전에 조절해 놓음으로써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210)를 지나 성형된 박판(10)이 지지암(320)에 의해 지지되도록 박판(10)이 처지거나 작업대(100)의 바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 박판
100 : 작업대 110 : 제1 롤러
120 : 정렬유닛 121 : 정렬바
122 : 스토퍼 130 : 출입보조유닛
131 : 출입보조롤러 140 : 제1 보조유닛
141 : 제1 보조롤러
200 : 가압체 210 : 제2 롤러
220 : 가압본체 230 : 제2 보조유닛
231 : 제2 보조롤러 240 : 처짐방지구
300 : 지지체 310 : 지지본체
311 : 축고정구 320 : 지지암
321 : 지지롤러 330 : 고정대
400 : 가이드기둥
100 : 작업대 110 : 제1 롤러
120 : 정렬유닛 121 : 정렬바
122 : 스토퍼 130 : 출입보조유닛
131 : 출입보조롤러 140 : 제1 보조유닛
141 : 제1 보조롤러
200 : 가압체 210 : 제2 롤러
220 : 가압본체 230 : 제2 보조유닛
231 : 제2 보조롤러 240 : 처짐방지구
300 : 지지체 310 : 지지본체
311 : 축고정구 320 : 지지암
321 : 지지롤러 330 : 고정대
400 : 가이드기둥
Claims (5)
- 봉 형태를 이루며 회전가능한 제1 롤러(110) 2개가 상호 길이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도록 나란히 상면에 구비되는 작업대(100);
봉 형태를 이루며 회전가능한 제2 롤러(210)가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작업대(100)의 상측에 마련되는 가압체(200);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축고정구(311)가 구비되고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본체(310)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링크구조를 이루고 일단이 상기 축고정구(3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지지롤러(321)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암(320)을 포함하는 지지체(300);
상기 가압체(200)의 수직방향 이동을 위해 상기 가압체(200)의 양단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기둥(400); 및
상기 제1 롤러(110)가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균일한 회전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대(100)의 상면과 상기 제1 롤러(110) 사이에 마련되는 제1 보조유닛(1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조유닛(140)은, 상기 제1 롤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롤러(110)와 맞닿도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제1 보조롤러(141)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기둥(400)은,
내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면서 감속기능을 수행하는 감속기가 포함된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와 상기 제1 롤러(110)의 일단 및 상기 모터와 상기 제2 롤러(210)의 일단이 각각 유니버셜 조인트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롤러(110) 및 상기 제2 롤러(210)가 회전하며,
상기 가압체(200)는 상하이동이 가능하고 제2 롤러(210)가 2개의 제1 롤러 (110)사이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대(100)의 일측으로부터 제1 롤러(110)와 제2 롤러(210) 사이로 박판(10)이 인입된 후, 상기 제2 롤러(210)가 제1 롤러(110)의 상단 높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가압체(200)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롤러(110) 및 제2 롤러(210)가 회전하며 박판(10)을 작업대(100)의 타측을 향해 보냄으로써 상기 박판(10)이 일정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성형되고,
상기 작업대(100)는,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박판(10)이 인입되는 측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1 롤러(110)의 외측으로 제1 롤러(1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정렬바(121)와, 상기 정렬바(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에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다수 개가 박판(10)이 인입되는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스토퍼(122)를 포함하는 정렬유닛(120)이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정렬유닛(120)은,
정렬바(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축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박판(10)이 스토퍼(122)에 맞닿도록 인입되어 정렬된 후, 성형되어 나오는 박판(10)이 스토퍼(122)에 간섭되지 않도록 정렬유닛(120)이 외측을 향해 축회전된 다음 상기 제1 롤러(110) 및 제2 롤러(210)가 회전하며,
상기 작업대(100)는,
박판(10)이 인입되는 측에 위치하는 제1 롤러(110)의 외측으로 제1 롤러(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축회전되는 출입보조롤러(131)가 구비된 출입보조유닛(130)이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출입보조유닛(130)은,
제1 롤러(1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보조프레임의 상면에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구비되고, 출입보조롤러(131)의 상단이 제1 롤러(110)의 상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인입되는 평평한 박판(10)을 지지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가압체(200)는,
판 형태를 이루며 수직으로 세워져 하방으로 제2 롤러(210)의 양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가압본체(220),
상기 가압본체(220)의 하단에 제2 롤러(210)와 맞닿도록 제2 보조롤러(231)가 구비되는 제2 보조유닛(230), 및
상기 가압체(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보조유닛(230)은 가압본체(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롤러(210)의 중앙부에 구비된 제2 보조유닛(23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롤러(210)가 회전가능하도록 제2 롤러(210)의 양측을 감싸는 처짐방지구(240)가 가압본체(2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제2 롤러(210)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체(300)는 지지암(320)의 타단이 외측을 향하도록 작업대(100)의 양측에 작업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암(320)의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인입되는 박판(10)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성형된 박판(1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3272A KR102115365B1 (ko) | 2018-11-02 | 2018-11-02 |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3272A KR102115365B1 (ko) | 2018-11-02 | 2018-11-02 |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1076A KR20200051076A (ko) | 2020-05-13 |
KR102115365B1 true KR102115365B1 (ko) | 2020-05-27 |
Family
ID=7073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3272A KR102115365B1 (ko) | 2018-11-02 | 2018-11-02 |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536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5968B1 (ko) * | 2015-05-21 | 2015-09-25 | (주)재원산업기계 | 파이프 밴딩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13232B2 (ja) * | 1990-04-26 | 1998-10-22 | 株式会社アマダ | 折曲げ加工システム |
JP3504288B2 (ja) * | 1993-03-31 | 2004-03-08 | 萬吉 森田 | 曲げ金型 |
KR100616089B1 (ko) | 2004-06-17 | 2006-08-28 | 수성기체(주) | 알루미늄 합금의 곡면성형을 위한 롤벤딩 성형장치 및 그성형 방법 |
-
2018
- 2018-11-02 KR KR1020180133272A patent/KR1021153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5968B1 (ko) * | 2015-05-21 | 2015-09-25 | (주)재원산업기계 | 파이프 밴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1076A (ko) | 2020-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I74414B (fi) |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ett metallroer. | |
CN208083266U (zh) | 一种钢筋的折弯冲压模具 | |
KR101941894B1 (ko) | 프레스 성형공정을 이용한 고품질 파이프 제조장치 | |
KR101641550B1 (ko) | 스트레치 벤딩장치 | |
CN102481611A (zh) | 多辊平整机 | |
CN105458044B (zh) | 万能折弯机 | |
KR101767543B1 (ko) | 곡면 성형 시스템의 형상 맞춤형 판재 지지 장치 | |
KR102115365B1 (ko) | 항공기 부품 성형 장치 | |
KR101739454B1 (ko) | 금속 판재의 곡면 성형을 위한 피딩 장치 및 방법 | |
KR101348239B1 (ko) | 확장 가능한 파이프 성형용 벤딩기 | |
CN205833897U (zh) | 一种用于钢结构生产的卷板机 | |
KR101365524B1 (ko) | 롤샤프트 교정 장치 | |
KR101973591B1 (ko) | 상부롤의 휨을 이용한 제관 또는 3차원 벤딩을 위한 장치 | |
KR101834499B1 (ko) | 롤 포밍 제품 절단장치 | |
CN112007971A (zh) | 一种矫直机 | |
CN212042374U (zh) | 一种模具用的送料扶正机构 | |
KR101562125B1 (ko) | 롤 간격 측정장치 | |
CN212682247U (zh) | 一种卷材导向装置 | |
KR102258563B1 (ko) | 파이프측부 성형롤러 및 그것을 구비한 파이프성형 시스템의 측부성형 롤러장치 | |
KR101579531B1 (ko) | 벤딩 장치 | |
RU2200070C1 (ru) | Трехвалковая листогибочная машина | |
CN104416027A (zh) | 一种四辊卷板机及卷制圆管的方法 | |
KR100543502B1 (ko) | 폭 벤딩머신 | |
KR20120136075A (ko) | 금속판재의 곡면성형용 지지장치 | |
KR101205155B1 (ko) | 압연용 입구 가이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