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591A -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 Google Patents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591A
KR20190021591A KR1020170106507A KR20170106507A KR20190021591A KR 20190021591 A KR20190021591 A KR 20190021591A KR 1020170106507 A KR1020170106507 A KR 1020170106507A KR 20170106507 A KR20170106507 A KR 20170106507A KR 20190021591 A KR20190021591 A KR 20190021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ver
light emitting
mood
sens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244B1 (ko
Inventor
양재욱
명종수
Original Assignee
양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욱 filed Critical 양재욱
Priority to KR1020170106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2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H05B37/0227

Abstract

본 발명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무드용 조명등과 학습 또는 작업시 시야 영역을 집중적으로 비출 수 있는 스팟등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별성과 편의성이 극대화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사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전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무드등 커버와 빛을 한곳으로 수렴하는 스팟등 커버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무드등 커버에 수용되는 제1 조명모듈과 상기 스팟등 커버에 수용되는 제2 조명모듈로 구성되는 발광부; 상기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바탕으로 제1 감지신호와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제1 감지신호와 제2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Light device for allowing to switch light emitting mode using gyro sensor}
본 발명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무드등과 학습 또는 작업시 시야 영역을 집중적으로 비출 수 있는 스팟등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별성과 편의성이 극대화된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 작업대, 협탁 등을 포함하는 탁상에는 천장에 설치된 조명등에 의한 밝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별도의 조명수단을 따로 구비하는게 보편적이다. 따라서, 다양한 디자인 및 기능을 갖는 스탠드 조명을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고 선반이 구비된 탁상의 경우에는 이들 상판 저면에 직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명등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명등은 탁상에서 책을 읽거나, 학습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밝은 상태에서의 학습 또는 업무가 가능하도록 빛을 수렴하는 스팟 라이트 조명등(이하, '스팟등'이라 통칭)이 사용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시력 보호는 물론 눈에 대한 피로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학습 또는 업무 외에 은은한 분위기의 연출 및 수면 유도를 위해 조명등의 사방으로 은은한 빛이 조사되도록 구현된 무드용 조명등(이하, '무드등'이라 통칭)도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근래에 대부분의 조명등은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광원으로 하여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특징으로는 긴 수명, 낮은 유지비, 친환경 효과 등이 있고,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 소자는 휘도 및 직진성은 우수하지만 확산성이 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즉,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무드등은 확산판 또는 렌즈를 통해 직전성의 빛을 굴절시키거나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커버에 내장시켜 빛을 사방으로 발생시켜야지만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스팟등으로는 무드등으로 사용되기에 부적합하며 이와 마찬가지로 무드등으로는 학습 또는 작업공간만을 집중적으로 비출 수 없으며 충분한 광량 또한 제공받을 수 없기 때문에 학습 또는 업무를 수행하기엔 부적합하다.
그 결과, 학습 또는 작업과 은은한 분위기를 모두 충족하는 조명등을 필요로 한다면 스팟등과 무드등을 개별적으로 구비해야 하는 실정이고 이로 인해 구매비용 증가, 조명등의 점유공간 증가 등의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236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무드등과 학습 또는 작업시 시야 영역을 집중적으로 비출 수 있는 스팟등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별성이 극대화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명등을 뒤집는 행위 만으로 무드등과 스팟등의 모드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조명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전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무드등 커버와 빛을 한곳으로 수렴하는 스팟등 커버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무드등 커버에 수용되는 제1 조명모듈과 상기 스팟등 커버에 수용되는 제2 조명모듈로 구성되는 발광부; 상기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바탕으로 제1 감지신호와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제1 감지신호와 제2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센서부가 제1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조명모듈을 점등시키고 제2 조명모듈을 소등시키도록 발광부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가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조명모듈을 소등시키고 제2 조명모듈을 점등시키도록 발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팟등 커버는 원통 형상의 케이싱; 및 제2 조명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을 수렴하여 스팟 라이트 형태로 조사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되 출력단이 타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안내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팟등 커버와 무드등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스팟등 커버와 무드등 커버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명등을 통해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무드등과 학습 또는 작업시 시야 영역을 집중적으로 비출 수 있는 스팟등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무드등과 스팟등을 개별적으로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조명등을 통해 무드효과와 스팟 라이트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효용성 증가와 더불어 조명등이 차지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기울기를 바탕으로 무드등 효과와 스팟 라이트 효과의 모드를 전환하기 때문에 조명등을 뒤집는 행위 만으로 모드를 전환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무드용 조명등과 학습 또는 작업시 시야 영역을 집중적으로 비출 수 있는 스팟등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별성이 극대화되고 조명등을 뒤집는 행위 만으로 무드등 효과와 스팟 라이트 효과의 모드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은 상기 특징을 구현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전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무드등 커버(110)와 빛을 한곳으로 수렴하는 스팟등 커버(120)로 구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무드등 커버(110)에 수용되는 제1 조명모듈(210)과 상기 스팟등 커버(120)에 수용되는 제2 조명모듈(220)로 구성되는 발광부(200), 상기 하우징(100)의 기울어짐을 바탕으로 제1 감지신호와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300) 및 상기 센서부(300)의 제1 감지신호와 제2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발광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각각의 부재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형상으로 구현된다. 또한, 첨부되는 도면에는 하우징(100)의 형상을 대략 원통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을 탁상에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일단면과 타단면이 모두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하우징(100)의 무드등 커버(110)는 직진성을 갖는 빛을 소정 각도로 분산시켜 사방으로 방출하도록 전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무드등 커버(110)는 제1 조명모듈(210)을 내부로 수납한 상태에서 제1 조명모듈(210)이 점등되었을 경우 직선상의 빛을 은은한 빛으로 사방에 발산하는 작용을 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은 터치 센서(112)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터치 센서(112)는 무드등 커버(110)의 타단에 위치한 캡(111)에 인접하거나 캡(1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 센서(112)는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얇게 코팅하고 미세한 전류를 흘려보내고 흘려보낸 전류의 변화가 생기는 경우에 이를 센서에서 검출하여 외부장치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정전터치 방식이거나 두 개의 얇은 투명한 판을 장치의 표면에 설치하여 설치된 판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아래 판에 닿게 되고 이를 검출하여 외부장치의 동작을 변화시키는 가압터치 방식의 센서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112)는 발광부(200)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무드등의 상면을 접촉하였을 경우 터치 센서(112)가 감응하게 되고, 터치 센서(112)는 제어부(400)로 디밍제어신호를 송신한 뒤, 디밍제어신호를 수신한 제어부(400)는 상기 발광부(200)의 밝기를 제어하게 된다.
일례로, 상기 디밍제어신호에는 터치 센서(112)가 사용자의 접촉신호를 감지하였을 경우 신호 길이와 방향에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되며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112)를 접촉한 시간의 길이와 방향에 대응하여 발광부(200)의 밝기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스팟등 커버(120)는 무드등 커버(110)의 일단에서 나사체결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내주면에는 사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팟등 커버(12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케이싱(121), 제2 조명모듈(220)에서 조사되는 빛을 수렴하여 스팟 라이트 형태로 조사하도록 상기 케이싱(121)의 외측으로 돌출되되 출력단이 타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안내관(122) 및 상기 케이싱(121)의 일단에 결합되며 발광부(200)의 열기를 배기시키도록 복수의 통공(123')이 형성된 방열판(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은 케이싱(121)의 내부로는 수납되는 PCB 기판(P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PCB 기판(PCB)은 발광부(200), 제어부(400), 센서부(300), 전원부(B)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전원부(B)의 전원이 각 부재들로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PCB 기판(PCB)이 케이싱(121)에 수납되도록 구현함으로써 PCB 기판(PCB)의 발열작용에 의한 열기를 방열판(123)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여기서, 전원부(B)는 일반적인 충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PCB 기판(PCB)은 상기 방열판(123)에 인접하도록 케이싱(12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PCB 기판(PCB)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케이싱(12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PCB 기판(PCB)의 표면에는 각 부재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저항과 카페시터 등이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안내관(122)은 제2 조명모듈(220)에서 발생하는 빛을 타측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며 이 경우, 제2 조명모듈(220)은 안내관(122)의 경로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이 뒤집힐 경우 제2 조명모듈(220)에서 발생하는 빛이 대략 원뿔 형상을 갖고 지면에 집중되는 형상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학습 또는 업무에만 집중할 수 있는 상태로 시야 범위에만 빛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1 조명모듈(210)은 제1 발광소자(211)와 제1 발광소자(2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12)로 구성된다. 이때, 제1 발광소자(211)는 백열등, 형광등, 할로겐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발광소자(211)는 적색, 녹색, 청색, 백색 컬러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1 발광소자(211)는 지지부재(212)의 외주면에 방사형태로 복수 개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부재(212)에는 전원부(B)가 안착될 수 있도록 장착구(212')가 형성된다.
한편, 제1 조명모듈(210)은 무드등 커버(110)의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2 조명모듈(2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팟등 커버(120)의 안내관(122) 내부에 실장됨이 바람직하며 크게 제2 발광소자(221)와 상기 제2 발광소자(221)를 지지하고 PCB 기판(PC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조기판(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2 발광소자(221)는 백열등, 형광등, 할로겐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발광소자(211)는 적색, 녹색, 청색, 백색 컬러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하우징(100)의 기울어짐을 통해 제어되는 발광부(200)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먼저, 센서부(300)는 하우징(100)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와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드등 커버(110)가 상부를 향하고 스팟등 커버(120)가 하부를 향한 상태로 하우징(100)이 직립된 상태에서 센서부(300)가 하우징(100)의 기울어짐을 센싱하면 제1 감지신호가 생성된다.
이와 반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팟등 커버(120)가 상부를 향하고 무드등 커버(110)가 하부를 향한 상태로 하우징(100)이 직립하면 센서부(300)는 하우징(100)의 기울기를 센싱하여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즉, 전원이 제공되면 센서부(300)는 제1 감지신호와 제2 감지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부(400)로 송신하게 되고, 감지신호를 제공받은 제어부(400)는 발광부(200)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센서부(300)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인 것이 바람직하며, 자이로센서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관성센서,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자이로스코프에는 기계식 자이로 스코프, 고리형 레이저 자이로스코프, 광섬유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300)가 제1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제1 조명모듈(210)을 점등시키고 제2 조명모듈(220)을 소등시키도록 발광부(200)를 제어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무드등 커버(110)가 상부에, 스팟등 커버(120)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우징(100)이 직립하였을 경우 센서부(300)는 제1 감지신호를 생성해 제어부(400)로 송신하고, 제어부(400)는 제1 조명모듈(210)만 점등되도록 발광부(200)를 제어한다. 즉, 무드등 커버(110)에서만 은은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발광부(200)가 제어된다.
또한, 사용자가 하우징(100)을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180°반전시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00)을 직립시켰을 경우 센서부(300)가 하우징(100)의 기울기를 센싱하고 이를 토대로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해 제어부(400)로 송신한다. 이때, 제2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400)는 제1 조명모듈(210)을 점등시키고 제2 조명모듈(220)을 소등시키도록 발광부(200)를 제어하게 된다. 즉, 스팟 라이트 형태의 빛을 제공받고자 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00)을 직립시키면 무드등 커버(110)에 수용된 제1 조명모듈(210)은 점등되고 오로지 제2 조명모듈(220)에서만 빛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어 학습 또는 업무에만 집중할 수 있는 빛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이 제공되면 센서부(300)는 하우징(100)의 기울기를 판단하여 제1 감지신호와 제2 감지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하게 되고, 제어부(400)는 이를 바탕으로 발광부(200)의 제1 조명모듈(210)과 제2 조명모듈(220)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을 은은한 분위기 연출을 위한 무드등과 학습 또는 업무에 필요한 스팟등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광부(200)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은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신호를 제어부(400)로 제공하는 수신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발광부(200)의 밝기, 색상 등을 제어할 수 있는 한편, 제어신호는 외부의 원격통신부(600)에 의해 생성된다. 원격통신부(600)는 예컨대, 스마트폰, TV, PC, 오디오, 에어컨 등 모든 전자기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들과 유,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다른 제어기기일 수 있다.
또한, 수신부(500)와 원격통신부(600)의 통신 방식은 3G,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reless lan,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ZIGBEE, Bluetooth, UWB(Ultra 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등의 통신 방식일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은 스팟등 커버(120)와 무드등 커버(110) 사이에 개재되어 스팟등 커버(120)와 무드등 커버(1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격판(130)은 제1 조명모듈(210)에서 발생되는 빛이 스팟등 커버(120)의 내부를 향해 유출되는 것과 제2 조명모듈(220)에서 발생되는 빛이 무드등 커버(110)의 내부를 향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제1 감지신호를 감지한 제어부(400)는 제1 조명모듈(210)을 점등시키고 제2 조명모듈(220)을 소등시키도록 발광부(200)를 제어하게 되는데 점등된 제1 조명모듈(210)의 빛이 스팟등 커버(120)의 내부로 새어나가게 되면 제1 조명모듈(210)에서 발생되는 빛이 하우징(10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무드등 효과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
이와 동일하게, 제2 감지신호를 감지한 제어부(400)가 제1 조명모듈(210)을 소등시키고 제2 조명모듈(220)을 점등시켰을 경우에도 제2 조명모듈(220)에서 발생되는 빛이 하우징(10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스팟 라이트 형태의 빛을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없다.
즉, 무드등 커버(110)와 스팟등 커버(120)의 내부를 명확하게 구획하는 격판(130)을 두어 제1 조명모듈(210)과 제2 조명모듈(220)에서 발생되는 빛을 각각의 무드등 커버(110)와 스팟등 커버(120)의 내부 공간에서만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10: 무드등 커버
120: 스팟등 커버
130: 격판
200: 발광부
210: 제1 조명모듈
220: 제2 조명모듈
300: 센서부
400: 제어부
500: 수신부

Claims (5)

  1. 사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전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무드등 커버와 빛을 한곳으로 수렴하는 스팟등 커버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무드등 커버에 수용되는 제1 조명모듈과 상기 스팟등 커버에 수용되는 제2 조명모듈로 구성되는 발광부;
    상기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바탕으로 제1 감지신호와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제1 감지신호와 제2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발광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제1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조명모듈을 점등시키고 제2 조명모듈을 소등시키도록 발광부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가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조명모듈을 소등시키고 제2 조명모듈을 점등시키도록 발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팟등 커버는,
    원통 형상의 케이싱; 및
    제2 조명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을 수렴하여 스팟 라이트 형태로 조사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되 출력단이 타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안내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팟등 커버와 무드등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스팟등 커버와 무드등 커버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KR1020170106507A 2017-08-23 2017-08-23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KR102077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07A KR102077244B1 (ko) 2017-08-23 2017-08-23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07A KR102077244B1 (ko) 2017-08-23 2017-08-23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591A true KR20190021591A (ko) 2019-03-06
KR102077244B1 KR102077244B1 (ko) 2020-04-02

Family

ID=6576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507A KR102077244B1 (ko) 2017-08-23 2017-08-23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2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81A1 (ko) * 2020-07-16 2022-01-20 김은석 다기능 조명등
KR20230173240A (ko) 2022-06-16 2023-12-27 트릴리언스타텍 주식회사 다기능 led 랜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195U (ja) * 2004-10-12 2005-04-07 旭電機化成株式会社 信号灯
KR20110079463A (ko) * 2009-12-30 2011-07-07 이명수 휴대용 방향지시등
KR101452369B1 (ko) 2013-07-02 2014-10-22 주식회사 프리즘 탁상용 조명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195B2 (ja) * 1992-04-28 2000-11-13 川崎製鉄株式会社 高光沢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195U (ja) * 2004-10-12 2005-04-07 旭電機化成株式会社 信号灯
KR20110079463A (ko) * 2009-12-30 2011-07-07 이명수 휴대용 방향지시등
KR101452369B1 (ko) 2013-07-02 2014-10-22 주식회사 프리즘 탁상용 조명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81A1 (ko) * 2020-07-16 2022-01-20 김은석 다기능 조명등
KR20230173240A (ko) 2022-06-16 2023-12-27 트릴리언스타텍 주식회사 다기능 led 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244B1 (ko)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738B1 (ko) 조명광 및 환경광용 램프 및 전구
ES2670679T3 (es) Métodos y aparatos para una unidad de iluminación adaptable, para recibir datos de control desde una fuente externa
US20100013414A1 (en) Lamp and Bulb For Illumination and Ambiance Lighting
US11622437B2 (en) Spotlight
JP2007059260A (ja)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US11019705B2 (en) Lamp with power supply containing gyroscopic sensor used for light management operations
JP6293052B2 (ja) 自動設定型省エネルギー照明システム
TW201009237A (en) Lamp unit and luminaire
US20110286211A1 (en) Luminaire
JP2006352562A (ja) 可視光通信照明装置
KR20190021591A (ko)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KR20190079260A (ko) 컬러led를 이용한 공간감성조명기구
JP5657422B2 (ja) 照明装置
WO2017129506A1 (en) An assembly of a shade and a light source
KR102014522B1 (ko) 스마트 조명 장치
KR101775897B1 (ko) 저휘도 고효율 led 조명기구
US20190226646A1 (en) Remotely controlled electronic lighting apparatus with variable light direction and focus
JP6830195B2 (ja) 照明器具
JP2020064730A (ja) Led照明システム
JP2014053109A (ja) ペンダント型led照明装置
KR20170076079A (ko) 조명기기
JP5407037B2 (ja) Led照明装置およびled照明システム
JP2008181777A (ja) 照明器具
KR101686868B1 (ko) 색온도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장치
JP2015076263A (ja) 折り畳み式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