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079A - 조명기기 - Google Patents

조명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079A
KR20170076079A KR1020150185885A KR20150185885A KR20170076079A KR 20170076079 A KR20170076079 A KR 20170076079A KR 1020150185885 A KR1020150185885 A KR 1020150185885A KR 20150185885 A KR20150185885 A KR 20150185885A KR 20170076079 A KR20170076079 A KR 20170076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module
wireless communication
light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자연
홍윤정
오주현
서우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5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6079A/ko
Publication of KR20170076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7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mersion heating
    • H05B37/027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는 내부에 전원모듈이 위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을 생성하는 광원 및 향기를 배출하는 향기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기기{LIGHTING DEVICE}
실시예는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조명등으로 전구나 형광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전구 또는 형광등의 경우 수명이 짧아 자주 교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형광등은 그 사용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가 발생하여 조도가 점차 떨어지는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한 제어성, 빠른 응답속도, 높은 전기광 변환효율, 긴 수영, 적은 소비전력 및 높은 휘도의 특성 및 감성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채용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조명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 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는 조명기기는 원격제어기기에 의해 다양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모듈이 내장되게 된다.
근래에 들어오면서 이동통신 기술이 급속히 성장을 하고 있다. 이동통신 기술의 성장에 따라서, 개인이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비율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개인이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들은 각종 이동통신기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운용할 수 있다. 단말기기들이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직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h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등이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단말기기는 주파수 대역 및 신호 송출주기를 조절할 수 있고, 비교적 적은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낮아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하드웨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실내에 위치한 조명기기들도 통신 단말기기에 의하여 쉽게 제어될 수 있다. 기존에 조명기기들은 실내의 조도를 조절하는 기본적인 용도로만 사용되어온 측면이 있다. 기술발전에 따라, 조명기기들을 제어하여, 개인 또는 단체의 생활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에게 빛과 향기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서 향초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향초는 화재의 위험이 존재하고, 다양한 동시에 향기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조명환경, 향기환경 및 음향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는 내부에 전원모듈이 위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을 생성하는 광원 및 향기를 배출하는 향기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는 무선 통신모듈이 광원이 위치되는 몸체의 일면에 노출되어서, 몸체의 내부에 무선 통신모듈이 위치됨으로써 통신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향초 등을 사용하지 않고 조명기기에서 광과, 향이 동시에 제공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향기 배출유닛이 몸체에 내장되므로, 외관이 아름답고, 향초를 사용할 때 생기는 화재위험을 줄이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향을 다양한 상황에 맞추어 적절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움직임을 감지하여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주위의 조명기기의 조도 및 음향 환경을 제어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단말기의 일정거리 내에 위치한 조명기기들을 검색하여서, 사용자가 직관적 및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UI를 통해 표시하여서 사용자가 쉽게 검색된 조명기기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흔들거나,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조명기기를 오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1의 조명기기에서 배광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제어블럭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명기기의 음향 진행 경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 1의 조명기기에서 배광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조명기기(100)는 전원모듈(140), 몸체(180) 광원(110) 및 무선 통신모듈(19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조명기기(100)는 몸체(180), 광원(110) 및 향기 배출유닛(5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조명기기(100)는 적어도 광원(110) 및 향기 배출유닛(50)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모듈(190)은 외부의 단말기(200)(도 12 참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모듈(190)은 단말기(200)에서 송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광원(110)에 공급되는 전원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무선 통신모듈(190)은 단말기(200)에 조명기기(100)의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무선 통신모듈(190)은 단말기(200)의 블루투스 송수신 모듈, 지그비 송수신 모듈 및 비콘 송수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대응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모듈(190)은 50미터의 통신거리를 가지고, 단말기(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비콘 송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실시예의 조명기기(100)는 내부에 무선 통신모듈(190)을 구비하며 무선 통신모듈(190)을 통해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광원(110)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조명기기(100)의 대부분은 천정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데, 조명기기(100)의 전원모듈(140)과 무선 통신모듈(190)이 천정의 내부에 매립되어서, 무선 통신모듈(190)과 단말기(200) 간의 통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조명기기(100)의 구조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명기기(100)는 광원 결합부(120), 배광 커버(130), 차단 커버(160) 및 급전 커버(170)를 더 포함한다.
광원(110)은 광을 발생시킨다. 이 때 광원(110)은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광원(11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발광 소자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발광 소자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원(110)은 다양한 색을 방출하기 위해, 적어도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적색 발광소자와, 녹색 광을 방출하는 녹색 발광소자와, 청색 광을 방출하는 청색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110)은 급전 소자(111), 다수개의 급전 와이어(113)들, 다수개의 베이스 기판(115)들 및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117)들을 포함한다.
급전 소자(111)는 광원(110)에서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급전 소자(111)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다.
급전 와이어(113)들은 급전 소자(111)와 베이스 기판(115)들을 연결한다. 이 때 급전 와이어(113)들은 급전 소자(111)와 각각의 베이스 기판(115)을 직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는 급전 와이어(113)들은 급전 소자(111)와 베이스 기판(115)들 중 일부를 연결하고, 베이스 기판(115)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급전 와이어(113)들은 급전 소자(111)로부터 베이스 기판(115)들로 전력을 전달한다.
베이스 기판(115)들은 광원(1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 때, 베이스 기판(115)들은 발광 다이오드들에 급전 소자(111)의 전력을 인가한다. 여기서, 베이스 기판(115)들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소자(117)들은 베이스 기판(115)들에 실장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베이스 기판(115)에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 소자(117)들이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 소자(117)들은 베이스 기판(115)들에서 인가되는 전력에 따라 광을 발생시킨다.
광원 결합부(120)는 광원(110)에 결합되어, 광원(110)을 고정시킨다. 이 때, 광원 결합부(120)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홀(121)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홀(123)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결합 홀(121)은 베이스 기판(115)들을 수용한다. 여기서, 광원 결합부(120)는 베이스 기판(115)들과 발광 다이오드 소자(117)들을 제 1 결합 홀(121)의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광원 결합부(120)는 제 1 결합 홀(121)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 소자(117)들을 노출시킨다.
또한 제 2 결합 홀(123)은 급전 소자(111)와 무선 통신모듈(190)을 수용한다. 게다가, 광원 결합부(120)는 제 2 결합 홀(123)을 통해 급전 소자(111)와 무선 통신모듈(190)을 노출시킨다. 여기서, 제 2 결합홀(123)은 무선 통신모듈(190)을 통과시킨다. 즉 제 2 결합 홀(123)은 광원 결합부(120)를 경계로 양 방향으로 무선 통신모듈(190)을 돌출시킨다. 여기서, 광원 결합부(120)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배광 커버(130)는 광원 결합부(120)의 상부에서 광원(110)을 에워싼다. 여기서, 배광 커버(130)는 개구부가 형성된 벌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배광 커버(130)는 광원(110)을 보호하며, 광원(110)의 광을 방출한다.
이 때, 배광 커버(130)는 조명기기(100)의 광축(Ax) 방향(도 2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광한다. 여기서, 배광 커버(130)는 글라스(glass), 플라스틱(plasti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배광 커버(130)는 내광성, 내열성, 충격 강도 특성이 뛰어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광 커버(130)에서 광원(110)에 대향되는 내부면에, 유백색 도료가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도료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모듈(140)은 조명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이 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원모듈(140)은 메인 기판과 다수 개의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부품들은 메인 기판에 실장되어, 메인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모듈(140)은 조명기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모듈(140)은 110V~220V의 교류 전원을 입력 받고,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모듈(312)에 25V, 50V 및 100V 중 어느 하나의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모듈(140)은 입력된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모듈(190)무선 통신모듈(190)로 3V의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모듈(140)은 광원(1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모듈(140)은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Unit; PSU)일 수 있다. 이 때 전원모듈(140)은 무선 통신모듈(190)에서 수신되는 무선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모듈(140)은 급전 단자(141) 를 포함한다.
급전 단자(141)는 광원(110)과 접속한다. 이러한 급전 단자(141)는 광원(110)의 급전 소자(111)와 접촉한다. 이때 급전 단자(141)는 전원모듈(140)에서 돌출된다. 여기서, 급전 단자(141)는 메인 기판에 결합되며, 메인 기판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급전 단자(141)는 급전 소자(111)에 대향된다.
그리고 급전 단자(141)는 광원(1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즉, 전원모듈(140)은 급전 소자(111)를 통해 광원(11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급전 단자(141)는 광원(110)에 광원(110)을 제어하기 위한 광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전원모듈(140)은 무선 통신모듈(19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모듈(140)은 몸체(180)의 내부에 수용된다.
몸체(180)는 전원모듈(140)을 수용한다. 이러한 몸체(180)에 수용 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80)는 수용 홀(151)을 통해 전원모듈(140)을 수용한다. 이 때, 몸체(18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80)는 전원모듈(140), 차단 커버(160)를 수용한다. 몸체(180)에는 수용 홈(151)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 커버(160)는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재질로써, 몸체(180)와 전원모듈(140)을 절연한다. 그리고 차단 커버(160)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16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홀(161)은 제 2 결합 홀(123)과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관통 홀(161)은 무선 통신모듈(190)을 수용한다. 이 때 관통 홀(161)은 무선 통신모듈(190)을 통과시킨다.
여기서, 차단 커버(160)는 관통 홀(161)을 통해 급전 단자(141) 를 노출시킨다. 즉, 관통 홀(161)은 급전 소자(111)를 향하여 급전 단자(141)를 돌출시킨다. 또한 관통 홀(161)은 무선 통신모듈(190)을 돌출시킨다.
또한, 몸체(180)는 광원(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발산시키고, 광원(110)이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광원(110)에서 발생되는 열로부터 전원모듈(140)을 보호한다.
몸체(180)의 일면(181)에는 광원(110)이 위치된다. 이러한 일면(181)은 배광 커버(130)와 결합된다. 일면(181)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광 커버(130)가 체결된다.
일면(181)은 몸체(180)의 상부에 형성된 평평한 면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면(181)은 배광각에 따라 아래 또는 위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일면(181)의 상부에는 광원(110)와 광원 결합부(120)가 장착된다. 이러한 일면(181)는 광원(110)와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일면(181)은 상부에서 보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면(181)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홀(183)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홀(183)은 제 2 결합 홀(123) 및 관통 홀(161)과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통신홀(183)은 몸체(180)의 일면(181)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신홀(183)은 몸체(180)의 일면(181)을 관통하여 몸체(18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게 한다.
통신홀(183)은 무선 통신모듈(190)을 수용한다. 이 때, 통신홀(183)은 무선 통신모듈(190)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무선 통신모듈(190)은 통신홀(183)을 관통하여 몸체(180)의 외부에 노출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통신홀(183)은 상부에서 보아, 일면(181)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광원(110)은 몸체(180)의 일면(181)에서 통신홀(183)을 감싸게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일면(181)에 통신홀(183)이 형성되더라도, 효과적인 광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통신홀(183)은 몸체(180)의 일면(181)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통신홀(183)의 크기는 무선 통신모듈(190)이 통과하고, 무선 통신모듈(190)과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80)의 하부에는 연결 단자(153)가 노출된다. 연결 단자(153)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모듈(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몸체(180)는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될 수록 그 직경이 줄어드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180)의 내부에는 음향 출력모듈(318)이 수용된다. 음향 출력모듈(318)은 조명기기(100) 또는/및 단말기(200)에 저장된 음향을 출력한다. 음향 출력모듈(318)은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거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말기(200) 또는/및 조명기기(1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출력모듈(318)은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 출력모듈(318)이 스피커(21)로 구현된다.
음향 출력모듈(318)은 몸체(180)의 수용 홈(151)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음향 출력모듈(318)은 하방으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몸체(180)의 내부에는 음파의 전달을 차단하는 흡음벽(22)이 배치된다.
흡음벽(22)은 몸체(180)의 내부 수용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도록 배치된다. 즉, 흡음벽(22)은 몸체(180)의 수용홈(151)을 덮도록 배치된다.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생성되는 음향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해 몸체(180)에는 사운드 홀(187)이 형성된다. 사운드 홀(187)은 몸체(180)가 관통된 홀로써, 몸체(180)의 내부에 위치된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생성된 음향이 통과된다.
사운드 홀(187)은 몸체(180)의 타측에 형성된다. 몸체(180)의 타측은 몸체(180)의 일면(181)과 대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사운드 홀(187)은 흡음벽(22)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공간 중 하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게 형성된다. 흡음벽(22)에 의해 구획된 공간 중 상부 공간에는 전원모듈(140)이 배치된다.
무선 통신모듈(190)은 조명기기(100)(상세하게는 광원(110))의 제어를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모듈(190)은 전원모듈(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모듈(190)은 전원모듈(140)에 결합된다.
여기서, 무선 통신모듈(190)은 광원(110)에 이격되며, 광원 결합부(120), 몸체(180) 및 차단 커버(160)를 관통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모듈(190)은 안테나 소자(192)와, 안테나 소자(192)가 실장되는 구동기판(191)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판(191)은 무선 통신모듈(190)에서 지지를 위해 제공된다. 이 때 구동기판(191)은 평판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구동 기판(210)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또한, 구동기판(191)은 전원모듈(140)의 메인기판의 일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구동기판(191)과 메인기판의 연결방법은 제한이 없지만, 솔더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구동기판(191)은 평판구조를 가지고, 전원모듈(140)의 메인기판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소자(192)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고, 이를 구동기판(191)의 구동소자 등에 전달하게 된다. 안테나 소자(192)는 무선 통신모듈(190)에서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안테나 소자(192)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하여, 전자기파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92)는 미리 정해진 임피던스(impedance)에서 공진한다.
구체적으로, 안테나 소자(192)는 패치(patch) 타입으로 형성된 다음, 구동기판(191)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 소자(192)는 구동기판(191)에 도전성 잉크로 드로잉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 소자(192)는 구동기판(191)에 패터닝(patterning)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소자(192)는 바(bar) 타입, 미앤더(meander) 타입, 스파이럴(spiral) 타입, 스텝(step) 타입 또는 루프(loop) 타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 소자(192)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소자(192)는 은(Ag), 팔라듐(Pd), 백금(Pt), 구리(Gu), 금(Au),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190)이 전원모듈(140)과 함께 조명기기(100)의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 전원모듈(14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무선 통신모듈(190)의 품질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조명기기(100)의 대부분은 천정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데, 조명기기(100)의 전원모듈(140)과 무선 통신모듈(190)이 천정의 내부에 매립되어서, 무선 통신모듈(190)과 단말기(200) 간의 통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의 무선 통신모듈(190)은 몸체(180)의 일면(181)에 노출된다.
무선 통신모듈(190)이 몸체(180)의 일면(181)에 노출되면, 일면(181)은 광원(110)이 위치되는 면으로, 천장 등에 매립 시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자연히 무선 통신모듈(190)도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무선 통신모듈(190)이 몸체(180)의 일면(181)에 노출되는 경우, 단말기(200)와 통신성능이 향상되고, 전원모듈(14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불량의 염려가 없고, 무선 통신모듈(190)의 방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모듈(190)의 일단은 전원모듈(140)에 연결되고, 타단은 통신홀(183)을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기판(191)의 일단은 전원모듈(140)에 연결되고, 타단은 통신홀(183)을 관통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190)은 통신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몸체(180)의 일면(181) 보다 상부로 돌출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선 통신모듈(190)의 타단은 몸체(180)의 일면(181)과 수평하게 위치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모듈(190)이 광원(110)이 위치되는 몸체(180)의 일면(181)으로 노출되는 경우, 몸체(180)의 일면(181)은 광원(110)이 위치되고, 광원(110)에서 생성되는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발광영역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모듈(190)은 몸체(180)의 일면(181)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부에서 보아 평면적이 적은 면이 몸체(180)의 일면(181)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기판(191)이 판형상을 가지고, 면적이 넓은 면은 몸체(180)의 일면(181)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면적이 가장 적은 면(구동기판(191)의 측면)은 몸체(180)의 일면(181)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80)의 일면(181) 상에서, 무선 통신모듈(190)이 차지하는 면적이 줄게 되므로, 무선 통신모듈(190)에 의해 발광면적이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수평 또는 수직의 의미는 수학적 의미에서 완전한 수평 또는 수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오차를 포함하는 범위의 수평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모듈(190)은 일부가 통신홀(183)에 수용되며, 다른 일부가 통신홀(183)을 관통하게 위치된다.
무선 통신모듈(190)은 몸체(180)의 일면(181)의 중심에 위치되고, 광원(110)은 무선 통신모듈(19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서, 무선 통신모듈(190)이 위치되더라도 충분한 광효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몸체(180)가 도전체로 형성되는 경우, 무선 통신모듈(190)의 송수신 성능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무선 통신모듈(190)과 통신홀(183)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향기 배출유닛(50)은 향기를 배출한다. 향기 배출유닛(50)은 휘발성의 방향제(59)를 가열하여서 향기를 배출한다.
향기 배출유닛(50)은 몸체(180)의 내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향기 배출유닛(50)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향기 배출유닛(50)은 흡음벽(22)에 의해 구획된 몸체(180)의 내부 수용공간 중 하부에 배치된다. 이 때, 향기 배출유닛(50)을 통해 방출된 기화된 방향제는 몸체(180)에 형성된 사운드 홀(187)을 통해 몸체(180)의 외부로 유출된다. 따라서, 사운드 홀(187)은 흡음벽(22)에 의해 구획된 몸체(180)의 내부 수용공간 중 하부와 몸체(180)의 외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이하, 향기 배출유닛(5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50)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50)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향기 배출유닛(50)은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방향제(59)를 열에 의해 기화시켜서 향기를 방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기 배출유닛(50)은 방향제가 안착되는 방향제 홀더(510)와 상기 방향제 홀더(510)를 가열하는 가열원(520)을 포함한다.
방향제 홀더(510)는 방향제가 안착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가열원(520)에서 생성된 열을 방향제에 전달한다. 여기서, 방향제 홀더(510)에 안착되는 방향제는 고체입자의 방향제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체입자의 방향제는 가열원(520)에 의해 가열되어 기화됨으로써, 조명기기(100)의 외부로 발산된다.
방향제 홀더(510)는 열전도성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방향제 홀더(510)는 지지판(511)과 측벽(512)을 포함한다. 지지판(511)은 방향제는 지지하는 공간을 정의한다. 지지판(511)은 원형의 플레이트(plate) 형상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벽(512)은 지지판(511)의 테두리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방향제 홀더(510)는 지지판(511)과 측벽(512)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가 정의된다.
가열원(520)은 방향제를 가열한다. 구체적으로 가열원(520)은 방향제 홀더(510)를 가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열원(520)은 방향제 홀더(510)의 지지판(511)을 가열한다. 가열원(520) 지지판(511)과 접촉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면, 가열원(520)은 전기적인 에너지로 열을 생성하는 히터(521)를 포함한다. 히터(521)는 온도상승에 따라 저항 값이 증가하는 정온도특성을 갖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인 전기발열체 또는 열선일 수 있다.
가열원(520)은 히터(521)가 배치되는 발열 지지체(522)를 더 포함한다. 특히, 발열 지지체(522)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물질로 형성된다. 발열 지지체(522)의 내부에는 히터(521)가 매몰된다. 물론, 발열 지지체(522)는 방향제 홀더(510)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발열 지지체(522)는 지지판(511)과 면 접촉된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향초 등을 사용하지 않고 조명기기(100)에서 광과, 향이 동시에 제공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향기 배출유닛(50)이 몸체에 내장되므로, 외관이 아름답고, 향초를 사용할 때 생기는 화재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평면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향기 배출유닛(50)은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히터(521)의 배치와 방향제 홀더(510)의 구조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도 5와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고 특별한 설명이 없는 구조는 도 5의 구조와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의 방향제 홀더(510)는 다수 개의 독립된 분할영역(S1~S4)으로 구획된다. 즉, 방향제 홀더(510)는 서로 이격되어나, 열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분할영역(S1~S4)으로 구획된다.
방향제 홀더(510)는 구회벽에 의해 다수 분할영역(S1~S4)으로 분할된다. 분할영역(S1~S4)은 복수개가 형성된다. 실시예는 방향제 홀더(510)는 4개의 분할영역(S1~S4)으로 분할된다.
구체적으로, 구획벽(513)은 방향제 홀더(510)의 방향제가 지지되는 공간을 다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구획벽(513)은 상기 지지판(511)을 다수 개의 독립된 영역으로 구획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구획벽(513)은 다수의 분할영역(S1~S4) 간에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지지판(511) 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재가 사용된다. 여기서, 단열재는 공지의 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다. 구획벽(513)은 다수의 분할영역(S1~S4) 내에 위치된 지지판(511) 사이를 이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제 홀더(510)는 지지판(511)의 테두리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측벽(512)에 의해 방향제가 위치되는 공간이 정의되고, 방향제가 위치되는 공간이 구획벽(513)에 의해 구획된다. 구획벽(513)은 측벽(512), 지지판(511)과 함께 상부가 개방된 공간을 정의한다. 구획벽(513)은 원 형상의 지지판(511)을 4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각각의 분할영역(S1~S4)은 1/4 원 형태가 된다. 구획벽(513)은 서로 마주보는 측벽(512)에서 연장되어 지지판(511)의 중심에서 만나는 구조를 가진다.
이 때, 상기 구획벽(513)에 의해 구획된 다수 개의 독립된 분할영역(S1~S4)에는 서로 다른 향기를 배출하는 고체입자의 방향제가 위치된다. 따라서, 구획벽(513)에 의해 어느 일 분할영역(S1~S4)이 가열되어서 일 분할영역(S1~S4)에 위치된 방향제가 기화되더라도, 다른 일 분할영역(S1~S4)에 위치된 방향제가 기화되는 것이 제한된다.
가열원(520)은 상기 방향제 홀더(510)의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에 독립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히터(521a~521d)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히터(521)는 분할영역(S1~S4)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진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521)들은 각각의 분할영역(S1~S4)과 중첩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분할영역(S1~S4)으로 열 전달을 차단하기 위해서, 어느 하나의 히터(521)는 어느 일 분할영역(S1~S4)의 중심에 위치되고, 어느 하나의 히터(521)는 어느 일 분할영역(S1~S4)의 경계를 이루는 구획벽(513)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제1히터(521a)는 제1분할영역(S1)의 중심과 중첩되게 배치되고, 제1분할영역(S1)의 경계를 이루는 구획벽(513)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의 향기 배출유닛(50)은 도 6a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방향제 홀더(510)의 구조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의 방향제 홀더(510)는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방향제 홀더(510)의 지지판(511)은 가열원(520)은 발열 지지체(522)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된다. 서로 이격된 지지판(511a~511d)들의 테두리에서는 측벽(512)들이 형성된다. 방향제 홀더(510)들의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들이 발열 지지체(522)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의 분할영역(S1~S4)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히터(521)들이 배치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히터(521)를 작동시켜서 어느 하나의 방향제를 기화시킬 때 다른 방향제가 기화되지 않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의 향기 배출유닛(50)은 도 6a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방향제 홀더(510)의 구조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의 방향제 홀더(510)는 구획벽(513)과 측벽(512)이 없는 구조이다. 즉, 하나의 지지판(511) 상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영역에 방향제들이 배치된다. 이 때, 서로 이격된 복수의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수직적으로 중첩)에 각각 히터(521)가 배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단면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배출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의 향기 배출유닛(50)은 도 6a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히터(521)의 배치와, 무빙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 다른 실시예의 향기 배출유닛(50)은 상기 향기 배출유닛(50)은 상기 가열원(520)을 상기 방향제 홀더(510)의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켜서, 기화시키고자 하는 방향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제 홀더(510)의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은 도 6a와 동일하다. 다만, 히터(521)는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하나가 배치된다. 하나의 히터(521)는 분할영역(S1~S4)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진다.
향기 배출유닛(50)은 무빙수단에 의해 가열원(520) 및 방향제 홀더(510)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무빙수단은 방향제 홀더(510)를 회전시켜서 복수 개의 분할영역(S1~S4) 중 어느 하나가 히터(521)와 중첩되게(열전달 되게) 한다.
예를 들면, 무빙수단은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541)와, 모터(541)와 방향제 홀더(510)를 연결하는 회전축(542)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제어블럭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조명기기(100)는 조명 제어모듈(312)을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의 조명기기(100)는 공기질 감지센서(60), 인식센서(319)를 더 포함한다.
조명기기(100)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LED가 모두 백색광을 발광하여 백색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LED들을 조합하여 특정 색상의 조명 또는 백색의 조명을 제공할 있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조명은 조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나, LED는 인가되는 전류 양과 구동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LED의 조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 G, B 색상의 LED들이 조합되어 설치된 경우, 특정 공간에 특정 색상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색 온도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LED를 구동 전류를 8비트로 조절하면, LED를 256 계조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 G, B 색상의 LED들에 대한 색 온도의 조절도 선택적으로 이루질 수 있다. 이러한, 계조의 조절 및 색 온도 조절은 개별 LED 뿐만 아니라, 일정 개수의 LED들 단위 및 특정 공간에 설치된 전체 LED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이루질 수 있다.
이를 통해, LED가 조명으로 적용된 공간에 높은 품질을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조명 제공에 따른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입력되는 명령정도 또는/및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조명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의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단말기(200)와 통신하여 주소가 할당될 수 있다. 조명 메모리(316)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에 설치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광원(110)의 밝기, 색상, 온/오프 시간 및 온/오프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음향 출력모듈(318)과 향기 배출유닛(50)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단말기(200)의 메인 제어부(210)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조명기기(100)의 밝기, 색상, 온/오프 시간 및 온/오프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이때,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 메모리(316)에 저장된 동작정보를 기초로 조명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조명기기(100)들은 조명기기(100)의 주변의 정보를 센싱하는 다양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명기기(100)는 조명 조도감지 센서(314)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식센서(319)를 더 포함한다.
조명 조도감지 센서(314)는 조명기기(100) 주변의 밝기, 온/오프 여부, 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서 조명 제어모듈(312)에 제공한다. 이러한 조명의 조도 정보는 무선 통신모듈(190)을 통해 메인 제어부(210)로 출력된다. 이러한 조명 상태 정보는 메인 제어부(21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40)로 출력될 수 있다.
인식센서(319)는 조명기기(100)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하여서 조명 제어모듈(312)에 제공한다. 인식센서(319)는 접근하는 사용자 또는/및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근접센서로 구성된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무선 통신모듈(190)은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모듈(190)은 단말기(200)의 통신모듈(230)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무선 통신모듈(190)은 메인 제어부(210)의 제어신호를 통신모듈(230)로부터 수신하여 조명 제어모듈(312)로 출력할 수 있고, 조명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의 단말기(200)의 통신모듈(230)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190)은 상술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사용된다.
조명 메모리(316)는 조명기기(100)의 제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200)에 조명기기(100)의 제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면, 단말기(200)가 조명기기(100)와 통신 가능한 거리를 벗어나 경우, 조명기기(100)가 작동을 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메모리(316)에는 조명기기(100)의 제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서, 단말기(200)가 조명기기(100)에서 통신 가능한 거리 외에 존재하더라도, 설정된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명 메모리(316)에는 조명기기(100)의 밝기, 온/오프 여부, 색상 및 온/오프 시간에 대한 제어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조명 메모리(316)에는 보안모듈(317)의 비밀번호가 저장될 수도 있다.
단말기(200)는 조명 제어모듈(312)이 조명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들이 조명기기(100)의 제어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조명기기(100)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명령입력부(311)를 더 포함한다. 명령입력부(31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명령입력부(311)를 통해 명령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정보에 대응되도록 조명기기(100)가 제어된다.
명령입력부(311)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명령입력부(311)에 명령정보를 입력하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의 온/오프, 조명기기(100)의 밝기, 조명기기(100)의 색상, 향기 배출유닛(50) 및 음향 출력모듈(318)의 온/오프 등이 제어된다.
공기질 감지센서(60)는 광원 주변에 공기의 질을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조명 제어모듈(312)에 제공한다.
공기질 감지센서(60)는 복수개의 센서군이 조합되어 각 기능부 주위의 공기에 함유된 각각 상이한 특성을 단 1회의 동작에 의하여 감지할 수 있는 복합 센서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군은, 공기 중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감지 센서와,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 센서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와, 공기 중의 질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를 감지하는 매연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향기 배출유닛(50)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명령입력부(311)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명령정보를 바탕으로 향기 배출유닛(50)을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사용자의 명령정보에 의해 복수 개의 히터(521)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사용자의 명령정보에 의해 무빙수단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향기를 배출하라는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이에 대응한 향기를 배출할 수 있다. 즉, 조명 제어모듈(312)은 명령입력부(311)에서 입력된 명령정보를 바탕으로 향기 배출유닛(50)에서 배출되는 향기의 종류를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상기 공기질 감지센서(60)에서 감지된 감지 값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 개의 히터(521)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상기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기설정된 거리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향기 배출유닛(50)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상기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기설정된 거리로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히터(521)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개념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명기기의 음향 진행 경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100)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를 더 포함한다.
조명기기(100)는 지정된 공간을 조명한다. 이 때, 조명기기(100)에 설치된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지정된 공간에 집중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생성된 음향을 일 방향으로 가이드 한다.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일 방향으로 오픈된 형상으로 내부에 적어도 음향 출력모듈(318)이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지향성 음향 가이드(40)의 내부에는 음향 출력모듈(318) 및 광원(110)이 수용된다.
물론,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광원(110)에서 생성된 빛을 일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내면은 반사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은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반구 형상 또는 단면 상 반원 형상을 가진다.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대칭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아래로 오목한 반구 형태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점거리 P인 포물선(y2 = 4px)을 형성한다. 이 때, 초점거리는 음향 출력모듈(318)과 지향성 음향 가이드(40)의 중심과의 직선거리로 정의된다. 즉, 음향 출력모듈(318)은 지향 성 음향 가이드가 형성하는 포물선의 초점에 위치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에 위치된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생성된 음파는 지향성 음향 가이드(40)에 반사되어서 상방으로 평행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를 사용하면 타켓 영역에만 음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의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는 광원(110)에서 생성되는 빛을 상방으로 가이드하고, 조명기기(100)에서 생성된 음향을 상부로 가이드하여서, 각각의 조명기기사 설치된 영역 별로 다른 분위기의 밝기, 색상, 음향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점거리(P)는 지향성 음향 가이드(40)의 높이(h) 보다 작고, 음향 출력모듈(318)은 상술한 흡음벽(22)에 의해 음향 출력모듈(318) 보다 하방으로 음향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출력되는 음파는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하방으로 방사형으로 퍼지게 되고, 그 방사각은 180˚ 보다 작다.
전원모듈(140)은 외부전원과 케이블(30)을 통해 연결된다. 물론, 케이블(30)은 조명기기(100)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블(30)은 지향성 음향 가이드(40)를 외부의 지지체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기(100a~100n)와 조명기기와 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된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조명기기(100a~100n)들은 각각 광원(110)과, 무선 통신모듈(190)과, 음향 출력모듈(318)과, 조명 제어모듈(3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조명기기는 특별히 설명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 및 9의 조명기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복수 개의 조명기기(100a~100n)는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영역을 밝히거나, 해당 영역을 장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조명기기(100a~100n)는 다수의 공간(room)(R1-R3)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독립된 공간(room)(R1-R3)에 조명기기(100a~100n)가 단수로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a~100n)에 설치되고, 조명기기(100a~100n)와 대응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나의 조명 제어모듈(312)이 모든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단말기(200)는 휴대용기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단말기(200)는 조명기기(100a~100n)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그 종류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휴대용기기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용 기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용 기기를 단말기(200)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용 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말기(200)는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용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말기(200)는 빛을 감지하는 카메라(421a), 각종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레이어 구조로 중첩된 터치패널를 포함하여,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스피커(4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광감지장치(421a)는 카메라일 수 있다. 마이크(4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200)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는 제1 내지 제3 입력부(260a, 260b, 260c)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입력부(260a, 260b, 260c)는 통화, 마우스 포인트 이동이나 화면 스크롤,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사용자 입력부(26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구비된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단말기(200)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240)와, 조명 제어모듈(312) 및 보안모듈(317)과 통신되는 통신모듈(230)과,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260) 및 조명 제어모듈(312)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제어부(210)와,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인 메모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전원부(280)에서 전원을 공급 받아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200)의 메인 메모리(220)에 저장된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서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 후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고, 이를 실행하여서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부(240)는 메인 제어부(2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시각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는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검색된 조명기기(100a~100n)들과 조명기기(100a~100n)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40)에는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조명기기(100a~100n)의 정보와 조명기기(100a~100n)의 제어정보를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화면이 구현되고, 터치패널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메모리(22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메인 제어부(210)의 동작 중, 메인 제어부(21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제어장치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에는 메인 제어부(210)와 연동하여 각종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는 메인 제어부(210)가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10)는 메인 메모리(220)가 저장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검색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에는 조명기기(100a~100n)를 동작시키는 방식에 관한 동작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동작정보는 조명기기(100a~100n)의 점등 여부, 점멸 방식 또는 색상 변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메모리(220)에는 기존에 사용자 입력부(260)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조명 제어모듈(312)을 제어했던 방식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6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다. 사용자의 제어명령은 메인 제어부(210)에서 제어신호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260)는 단말기(200)에 버튼 방식으로 구현된 제1 내지 제3 입력부(260a, 260b, 260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6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구비된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230)은 조명 제어모듈(312) 및 보안모듈(317)과 통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모듈(230)은 메인 제어부(21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조명 제어모듈(312)과 보안모듈(317)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조명 제어모듈(312)과 보안모듈(317)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 제어부(210)로 송신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통신모듈(230)은 무선 통신모듈(190)와 통신을 할 수 있다.
통신모듈(230)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어,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통신모듈(230)은 비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션 감지부(290)와 조도감지 센서(295)는 단말기(200)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도감지 센서(295)는 조명기기(100a~100n)에 설치되고, 단말기(200)의 주변에 위치된 조명기기(100a~100n)의 조도가 측정되고 이를 단말기(200)의 주위의 조도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조도감지 센서(295)는 단말기(200)에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모션 감지부(290)는 단말기(2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모션 감지부(290)는 단말기(200)의 가속도, 단말기(200)의 가속도의 방향, 단말기(200)의 움직인 시간을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메인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모션 감지부(290)는 단말기(200)가 기설정된 가속도 값을 초과하게 움직이는 경우, 감지결과를 메인 제어부(210)에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면, 모션 감지부(290)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 및 중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142)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관성센서,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자이로스코프에는 기계식 자이로스코프, 고리형 레이저 자이로스코프, 광섬유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다. 자이로센서는 단말기(2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단말기(20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중력센서는 단말기(20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모든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중력센서는 무게추를 가변저항에 연결하고 회전에 따른 저항의 변화로 현재 단말기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거나, 중심부에 도전성 물체를 두고, 회전에 대응하여 도전성 물체가 접촉된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감지 센서(295)는 단말기(200)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조도감지 센서(295)는 단말기(200) 또는 각각의 조명기기(100a~100n)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조도감지 센서(295)는 단말기(20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도감지 센서(295)는 단말기(200)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 값에 대한 신호를 메인 제어부(210)에 제공하게 된다.
메인 제어부(210)는 모션 감지부(290)와, 조도감지 센서(295)의 감지된 감지결과를 바탕으로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10)는 통상적으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멀티미디어 재생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 입력부(260)와, 모션 감지부(290)의 감지된 감지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조명기기의 향기 배출유닛(50)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10)는 단말기(200)의 움직임 감지와, 단말기(200) 주위의 조도에 대응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제어부(210)는 단말기(200)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온 상태의 조명기기(100a~100n)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션 감지부(290)는 단말기(200)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메인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메인 제어부(210)는 모션 감지부(29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단말기(200)가 일정 가속도 또는 속도 이상으로 움직이는 것을 판단하고, 조명기기(100a~100n)를 오프(Off)시거나, 향기 배출유닛(50)을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모듈(230)은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모듈(190)에 송신한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무선 통신모듈(190)은 조명 제어모듈(312)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신호를 입력 받은 조명 제어모듈(312)은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조명기기(100a~100n)를 온시키거나 향기 배출유닛(50)이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인식센서(319)는 사용자가 접근에 대한 신호를 조명 제어모듈(312)에 출력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인식센서(319)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조명기기(100a~100n)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지 판단하고, 조명기기(100a~100n)를 온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의 조명기기(100a~100n) 중 사용자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 조명기기(100a)만을 온시키거나, 복수의 조명기기(100a~100n) 중 사용자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 조명기기(100a)의 향기 배출유닛(50)을 온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다른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감지한 경우, 음향 출력모듈(318)을 통해 미리 저장된 음향을 출력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인식센서(319)는 사용자가 접근에 대한 신호를 조명 제어모듈(312)에 출력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인식센서(319)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조명기기(100a~100n)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지 판단하고, 음향 출력모듈(318)을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의 조명기기(100a~100n) 중 사용자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 조명기기(100a)의 음향 출력모듈(318)에서만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서, 음향 출력모듈(318)을 통해 주위 조도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시간에 따라 조명기기(100a~100n)의 밝기 및 색상 또는/및 음향 출력모듈(318)의 음향의 종류 및 출력여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조명 제어모듈(312)은 타이머의 시간에 따라 조명기기(100a~100n)의 밝기 및 색상 또는/및 음향 출력모듈(318)의 음향의 종류 및 출력여부를 제어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단말기(200)에서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향기 배출유닛(50)을 제어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단말기(200)의 사용자 입력부(260)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명령정보를 바탕으로 향기 배출유닛(50)을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사용자의 명령정보에 의해 복수 개의 히터(521)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사용자의 명령정보에 의해 무빙수단이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실시예는 사용자가 원하는 향기를 배출하라는 명령을 단말기(200)에 입력하는 경우, 이에 대응한 향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의 조명기기(100a~100n) 중 외부의 단말기(200)와의 감도 값이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제1감도 값)을 초과하는 조명기기(100a)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단말기(200)와 각각의 조명기기(100a~100n) 사이의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은, 실험적으로 단말기(200)와 조명기기(100a~100n) 사이의 거리가 대략 2 미터 내지 5 미터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단말기(200)에 근접한 조명기기(100a~100n)의 광원(110), 향기 배출유닛(50) 또는/및 음향 출력모듈(318)을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단말기(200)와 근접한 조명기기(예를 들면, 100a)를 판단하고, 단말기(200)와 근접한 조명기기(100a)의 광원을 온(on)시키거나 색상을 제어한다.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단말기(200)와 근접한 조명기기(예를 들면, 100a)를 판단하고, 단말기(200)와 근접한 조명기기(100a)의 음향 출력모듈(318)이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복수개의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동일한 음향 데이터의 동일한 프레임의 음향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들고 이동하더라도, 사용자 주변에 조명과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200)를 들고 이동하더라도, 연속된 음향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 개의 조명기기(100a~100n) 중 기설정된 감도 값 미만의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가지고 작동 중인 조명기기(100a)의 음향 출력모듈(318)이 오프(Off)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조명기기(예를 들면, 100a)를 판단하고, 단말기(200)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조명기기(100a)의 음향 출력모듈(318) 또는/및 광원(110)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a~100n)의 음향 출력모듈(318)의 출력강도를 무선 통신 감도 값에 비례하여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을 초과하는 감도값을 가지는 조명기기(100a~100n)들을 판단하고, 이들 조명기기(100a~100n)들의 음 향 출력모듈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출력강도는 각각의 조명기기(100a~100n)의 무선 통신 감도 값이 클수록 크게 제어된다.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단말기(200)와 근접한 조명기기(예를 들면, 100a)를 판단하고, 단말기(200)와 근접한 조명기기(100a)의 향기 배출유닛(50)이 향기를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기준으로 단말기(200)와 근접한 조명기기(예를 들면, 100a)를 판단하고, 단말기(200)와 근접한 조명기기(100a)의 히터(521) 또는 복수 개의 히터(521) 중 기설정된 히터(521)가 온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 개의 조명기기(100a~100n) 중 기설정된 감도 값 미만의 무선 통신 감도 값을 가지고 작동 중인 히터(521)가 오프(Off)되도록 제어한다.
보안모듈(317)은 조명기기(100a~100n)에 설치되어 단말기(200)와의 보안 페어링(pairing)과정을 통해 제어권한이 있는 단말기(200)의 조명 제어모듈(312)에 대한 제어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보안모듈(317)은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방법으로 연결되며, 보안모듈(317)과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가지는 단말기(200)에 대하여 보안 페어링을 실행할 수 있다. 보안모듈(317)은 별도의 통신부를 구비할 수도 있지만, 무선 통신모듈(190)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조명기기(100a~100n)의 무선 통신모듈(190)을 검색하면, 여러 개의 장치가 검색되게 된다. 일반 가정의 경우 조명기기(100a~100n) 이외에도 근접한 이웃집의 조명기기(미도시)가 검색될 수도 있다. 또한 근접통신 모듈이 장착된 모든 장치가 검색되므로, 보안 페어링이 필요하게 된다.
보안모듈(317)은 조명기기(100a~100n)에 설치되어 단말기(200)와의 보안 페어링(pairing)과정을 통해 제어권한이 있는 단말기(200)의 조명 제어모듈(312)에 대한 제어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안 페어링을 위한 인증 버튼이 디스플레이부(240)에 오브젝트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보안 페어링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보안모듈(317)은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가지는 단말기(200)에 대하여 보안 페어링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페어링 방법으로는 단말기(200)를 무선 통신모듈(190)에 근접시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이 일정레벨이상 강하게 인식되는 조명기기(100a~100n)가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고, 사용자 입력부(260)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되는 경우 단말기(200)의 조명 제어모듈(312)에 대한 제어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비밀번호는 조명 메모리(316)에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페어링 방법을 이용한 등록시에는 비밀번호를 전송하여 등록하고 제어권이 없는 다른 사람의 등록을 제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메인 제어부(210)가 보안 페어링을 통해 조명 제어모듈(312)에 대한 제어권한을 획득한 경우, 조명 제어 메뉴(미도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권한을 획득한 경우, 메인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조명 제어 메뉴(630)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 입력부(260)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응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하고,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한 정보를 조명 메모리(316)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200)가 조명기기(100a~100n)에서 통신 가능한 거리를 벗어나거나, 사용자가 부재 중인 경우에도,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이 조명 메모리(316)에 저장되어서, 자동으로 조명기기(100a~100n)가 온(On)/오프(Off)될 수 있다. 부재 중에 가정에 사람이 존재한다고 주변에 인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40)의 조명 제어 메뉴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한다.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입력부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모듈(230)은 제어신호를 무선 통신모듈(190)에 송신한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무선 통신모듈(190)은 조명 제어모듈(312)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신호를 입력 받은 조명 제어모듈(312)은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응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하고,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한 정보를 조명 메모리(316)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은 메인 제어부(210)에 의해 랜덤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조명기기(100a~100n)의 온/오프 뿐만 아니고, 밝기, 디밍, 색상의 변환이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조명 메모리(316)에 저장된 조명기기(100a~100n)의 온(On)/오프(Off) 시간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6 내지 도 1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단말기(200)와 연결된 조명기기(100a~100n)를 감지한다.
이후, 조명 제어모듈(312)은 단말기(200)와 조명기기(100a~100n)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근거로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각각의 조명기기와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지 판단한다.(S210)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의 조명기기(100a~100n) 중 외부의 단말기(200)와의 감도 값이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초과하는 조명기기(100a)의 향기 배출유닛(50)에서 향기가 배출되도록 제어한다.(S213)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의 조명기기(100a~100n) 중 외부의 단말기(200)와의 감도 값이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초과하는 조명기기(100a)의 음향 출력모듈(318)에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221) 또는,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의 조명기기(100a~100n) 중 외부의 단말기(200)와의 감도 값이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초과하지 않는 조명기기(100a)의 음향 출력모듈(318)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S222)
이후, 조명 제어모듈(312)은 각각의 조명기기(100a~100n)와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긴 감도값을 비교한다.(S230)
이후, 조명 제어모듈(312)은 각각의 조명기기(100a~100n)의 음향 출력모듈(318)의 출력강도를 각각의 조명기기(100a~100n)의 무선 통신 감도 값에 비례하여 제어한다.(S240)
조명 제어모듈(312)은 복수의 조명기기(100a~100n) 중 외부의 단말기(200)와의 감도 값이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초과하는 조명기기(100a)의 광원(110)이 온되로록 제어한다.(S250) 따라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00)의 이동에 따라 주변의 조명이 제어되고, 단말기(200)의 주변으로 음향과 향기가 출력된다.
예를 들면, 메인 제어부(210)는 단말기(200)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온 상태의 조명기기(100a~100n)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조명기기(100a~100n)를 제어할 수 있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단말기(200가 유동되는지 판단한다.(S260) 구체적으로, 단말기(200)의 모션 감지부(290)는 단말기(200)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조명 제어모듈(312)에 출력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모션 감지부(29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단말기(200)가 일정 가속도 또는 속도 이상으로 움직이는 것을 판단한다.
도 18를 참조하면, 조명 제어모듈(312)은 외부의 단말기(200)가 유동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기(200)의 주변의 조명기기(100)의 광원(110)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모션 감지부(29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단말기(200)가 일정 가속도 또는 속도 이상으로 움직이는 경우 단말기(200)가 유동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기(200)와 소정의 무선 통신 감도값을 가지는 조명기기(100a)의 광원(110)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조명 제어모듈(312)은 외부의 단말기(200)가 유동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기(200)의 주변의 조명기기(100)의 향기 배출유닛(50)이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제어모듈(312)은 모션 감지부(29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단말기(200)가 일정 가속도 또는 속도 이상으로 움직이는 경우 단말기(200)가 유동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기(200)와 소정의 무선 통신 감도값을 가지는 조명기기(100a)의 히터(521)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내부에 전원모듈이 위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을 생성하는 광원; 및
    향기를 배출하는 향기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조명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배출유닛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조명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배출유닛은
    방향제가 안착되는 방향제 홀더;
    상기 방향제 홀더를 가열하는 가열원을 포함하는 조명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방향제 홀더의 복수 개의 분할영역에 독립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히터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홀더는,
    상기 방향제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다수 개의 독립된 분할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조명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지지판 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단열재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다수 개의 독립된 분할영역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히터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배출유닛은 상기 가열원을 상기 방향제 홀더의 복수 개의 분할영역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는 무빙수단을 더 포함하는 조명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조명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주변에 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공기질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감지 값을 바탕으로 상기 복수 개의 히터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조명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기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조명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조명기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 접근하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기설정된 거리로 접근하는 것 감지되는 경우, 상기 향기 배출유닛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조명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모듈은 외부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 방법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모듈과 외부의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이 기설정된 감도 값을 가지는 경우, 상기 향기 배출유닛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조명기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모듈은 외부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 방법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명 제어모듈은 상기 외부의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향기 배출유닛에서 배출되는 향기의 종류를 제어하는 조명기기.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다수 개의 독립된 분할영역에는 서로 다른 향기를 배출하는 고체입자의 방향제가 위치되는 조명기기.
  17. 광을 생성하는 광원; 및
    향기를 배출하는 향기 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향기 배출유닛은,
    고체입자의 방향제가 안착되는 방향제 홀더;
    상기 방향제 홀더를 가열하는 가열원을 포함하는 조명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원은 상기 방향제 홀더의 복수 개의 영역에 독립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히터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KR1020150185885A 2015-12-24 2015-12-24 조명기기 KR20170076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885A KR20170076079A (ko) 2015-12-24 2015-12-24 조명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885A KR20170076079A (ko) 2015-12-24 2015-12-24 조명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079A true KR20170076079A (ko) 2017-07-04

Family

ID=5935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885A KR20170076079A (ko) 2015-12-24 2015-12-24 조명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60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248A (ko) * 2019-08-12 2021-02-22 최철용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KR20210125369A (ko) * 2020-04-08 2021-10-18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248A (ko) * 2019-08-12 2021-02-22 최철용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KR20210125369A (ko) * 2020-04-08 2021-10-18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2442B2 (en) Illumination system
US94978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based on user manipulation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ES2651920T3 (es) Sistema de iluminación con interfaz de usuario con conocimiento de la posición
JP6345702B2 (ja) 照明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286816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apting light output of a lighting unit
US9060391B2 (en) Lighting system
KR102053341B1 (ko) 조명 장치
EP330702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aptable lighting unit
US20150200787A1 (en) Automation System Comprising a Monitor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JP6118427B2 (ja) 照明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9453615B2 (en) Sensing type lighting device with electromagnetic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3716953A (zh) 照明系统
US20150069916A1 (en) Kinematic light control system
KR20170076079A (ko) 조명기기
KR20150145141A (ko) 조명 시스템
KR20170069593A (ko) 조명 시스템
KR102014522B1 (ko) 스마트 조명 장치
WO2017129506A1 (en) An assembly of a shade and a light source
KR20170069594A (ko) 조명기기
US10732494B2 (en) Image and light projection
KR20190021591A (ko)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KR20150042023A (ko) 조명제어 시스템
CN208983064U (zh) 照明装置
KR20160041242A (ko) 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930415A (zh) 用于控制电气设备的传感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