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248A -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 Google Patents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248A
KR20210019248A KR1020190098183A KR20190098183A KR20210019248A KR 20210019248 A KR20210019248 A KR 20210019248A KR 1020190098183 A KR1020190098183 A KR 1020190098183A KR 20190098183 A KR20190098183 A KR 20190098183A KR 20210019248 A KR20210019248 A KR 20210019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ligh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oxygen
lighting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473B1 (ko
Inventor
최철용
Original Assignee
최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용 filed Critical 최철용
Priority to KR1020190098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4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고체산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체산소로부터 발생한 산소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배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배기도어,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환경정보검출부, 발광수단, 및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발광수단의 발광색상 또는 발광조도를 제어하거나,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배기구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산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INFANT LIGHTING LAMP WITH OXYGEN GENER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유아용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환경정보를 수집 및 획득하고 그에 따라 제공하는 조명이나 산소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유아용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어두운 환경에서 발광을 함으로써 조도를 높여주는 장치이다.
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야간에 수시로 잠에서 깨는 유아를 위해 통상 조명장치를 주변에 두고 필요에 따라 점등을 하곤 한다. 하지만, 조명장치를 수시로 점등을 하여야 하는 것은 불편함을 야기시켜, 최근에는 근접 물체를 감지하여 조명등에 가까이 접근하기만 하여도 조명장치를 점등시킬 수 있는 기술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종래 유아용조명등은 발광수단만을 구비하여 주변의 조도만을 높여주는 기능만 가질 뿐이다.
한편, 산업기술이 나날이 발전함에 따라 대기오염도 심각해지고 있으며, 대기오염은 나이와 성별을 막론하고 아이부터 어른까지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유발케하고 있다.
특히, 갓 태어난 아기들이나 유아들에게는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이 치명적일 수 있고, 이러한 아토피는 대기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와 일산화탄소는 물론 높은 온도, 높은 습도가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영유아들이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쾌적한 실내 공기를 유지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쾌적한 실내 공기를 유지하기 위해서 가정에서는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거나, 실내 환기를 시켜줌으로써 쾌적한 실내 공기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실내의 미세먼지,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정확히 파악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농도, 온도 및 습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들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 제시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17-0032677 A1
본 발명은 획득한 주변환경정보에 따라 제공하는 조명이나 산소 등을 제어하여, 유아에게 최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고체산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체산소로부터 발생한 산소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배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배기도어,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환경정보검출부, 발광수단, 및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발광수단의 발광색상 또는 발광조도를 제어하거나,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배기구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산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된 산소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블로우팬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블로우팬의 구동여부, 팬의 회전속도 및 송풍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재생되거나 출력되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렌즈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가 수신한 영상을 화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아용조명등의 위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정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타 기기에 대한 환경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환경정보검출부는, 상기 유아용조명등 주변의 온도, 습도, 공기 오염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은, 외측 일면에 다른 유아용조명등을 연결시키기 위한 접합면 - 상기 접합면에는 마주한 상기 다른 유아용조명등과 전기적인 연결을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형성됨 - 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유아용조명등 중 어느 하나는 마스터 유아용조명등으로 동작하여, 상기 마스터 유아용조명등이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아용조명등 중 적어도 하나의 유아용조명등의 상기 발광수단 또는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은, 획득한 주변환경정보에 따라 제공하는 조명이나 산소 등을 제어하여, 유아에게 최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스피커로 출력하여, 유아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음악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유아의 모습을 촬영하고 이를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부모나 돌보미 등은 다른 일을 하면서도 유아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아용조명등에서 획득한 주변환경정보를 근거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주변의 타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주변환경제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유아용조명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하나는 마스터 유아용조명등으로 동작하여 다른 슬레이브 유아용조명등을 제어함으로써, 유아용조명등에 의해 제공되는 조명이나 산소 등에 대한 제어능력이 향상시키거나, 슬레이브 유아용조명등은 발광수단, 배기도어 및 블로우 팬 중 적어도 하나만 구비한 유아용조명등으로 모듈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조명등이 주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조명등이 주변의 타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조명등이 복수 개가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조명등은(100), 내부에 고체산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진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체산소로부터 발생한 산소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120)와,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배기구(120)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배기도어(130)와,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환경정보검출부(290)와, 발광수단(220)과,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발광수단(220)의 색상 및 조도를 제어하거나,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배기구(120)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산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주변 환경에 따라 유아에게 최적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2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유아용조명등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하우징(110)은 유아용조명등(100)의 외관을 형성하되, 내부에 고형산소발생제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외관이나 내부 수용공간의 형태나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고형산소발생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은 소정 크기의 형상을 가진 고형물로서, 공기 중에서 자주식으로 산소를 발생시키는 제재를 가리킨다. 고형산소발생제는 공지의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KO2와 산화망간, 이산화망간 등 망간산화물을 약 9:1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분말을 압축 가공해 제조한 고형물일 수 있으며, 이 고형물은 타정기나 프레스 등에 의해 압축하여 가공한 것일 수 있다. 이 고형산소발생제의 KO2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CO2)와 반응(2KO2 + CO2 -> KO2CO3 + 2/3O2)하거나, 또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H2O)과 반응(2KO2 + CO2 -> KO2CO3 + 2/3O2)함으로써,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우징(110)은 일 측면에 상기 내부 수용공간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도어(140)를 포함하여, 사용자는 도어(140)를 개방하여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 고형산소발생제를 교체할 수 있다.
배기구(120)는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 고형산소발생제로부터 발생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배기구(120)는 크기, 형상, 또는 개수 등을 한정하지 않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배기구(120)가 형성되는 하우징(110)의 일 측면은, 복수의 유아용조명등(100)이 연결될 때 다른 하우징(110)과 접하는 면이 아닌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구(120)에는 배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배기도어(130)가 설치되되, 배기도어(130)는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배기구(120)의 개방도(openess)가 조절될 수 있다.
배기도어(130)가 배기구(120)의 개방도를 조절할 수 있으면, 그 구현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배기도어(130)는 각 배기구(1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각 배기구(120)의 일 측에 모서리를 따라 설치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배기도어(130)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배기구(120)의 개방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배기도어(130)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배기구(120)를 개폐하는 회동 운동이 서로 연동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배기구(120)를 동시에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발광수단(220)은 빛을 생성하여 발산하는 장치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에너지소비효율이 뛰어난 엘이디(LED)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갯수 역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발광수단(220)은 통상 야간에 잠을 자고 있는 유아 주변에서 발광하기 때문에, 발광수단(220)에 의해 발광된 빛이 주변에 은은하게 퍼질 수 있도록, 발광수단(220)을 덮는 커버는 빛투과도가 조절된 불투명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발광수단(220)이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경우, 하우징(110) 중 상기 발광수단(220)의 설치 위치에 상응하는 부분은 빛투과도가 조절된 불투명 재질일 수 있다.
발광수단(220)의 점멸은 사용자의 스위치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전방에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근접센서에 의해 물체가 가까이 접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발광수단(220)이 점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수단(220)은 제어부(240)에 의해 생성된 제어명령에 의해 발광색상이나 발광조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환경정보검출부(290)는 유아용조명등(100)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으로서,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검출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검출부,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검출부, 및 공기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공기오염도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정보는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검출부는 하우징(11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는 유아용조명등(100) 주변의 실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고, 온도센서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온도검출부는 유아용조명등(100)의 주변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할 수 있다.
습도검출부는 하우징(11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습도센서는 유아용조명등(100) 주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고, 습도센서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습도검출부는, 유아용조명등(100)의 주변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조도검출부는 하우징(11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조도센서는 유아용조명등(100) 주변의 밝기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하고, 조도센서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조도검출부는, 유아용조명등(100)의 주변조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공기오염도검출부는 청소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공기 중 먼지 또는 특정 물질을 감지하는 공기감지센서일 수 있다. 공기오염도검출부는 공기 중에 함유된 특정 물질을 감지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입(suction) 또는 접촉(diffusion)할 수 있다.
공기오염도검출부는,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감지하는 CO2 센서, 황 성분을 감지하는 S 센서 등 특정 성분의 물질을 감지하는 가스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공기오염도검출부는 미세먼지, 입자상 물질, 꽃가루, 진드기, 바이러스 등을 감지하는 먼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오염도검출부는 철, 알루미늄, 카드뮴, 납 등 대기중 중금속을 함유한 황사 등을 감지하고 그 농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기오염도검출부는 무색 무취의 각종 오염 물질, 예를 들어 요오드, 세슘, 플루토늄 등의 방사성 원소나,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포름 알데히드, 휘발성 유기 화합물 등 유해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유아용조명등(100) 주변에 대하여 공기오염도검출부를 통해 공기의 오염도(일 예로, 공기 내 포함된 미세먼지 또는 특정 물질의 농도 등)를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온도검출부, 습도검출부, 조도검출부 및 공기오염도검출부 중 적어도 둘은 하나의 센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유아용조명등(100)에 포함된 각 구성을 이용하여, 유아용조명등(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에 따라 저장장치에 저장된 각종 구동 프로그램, 제어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여, 발광수단(330)의 발광색상 또는 발광조도를 제어하거나, 구동수단(210)을 이용하여 배기구(120)의 개방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40)는 환경정보검출부(290)를 통해 획득한 환경정보를 근거로, 유아용조명등(100) 주변의 환경정보를 조절하기 위해 발광수단(220)이나 구동수단(21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아용조명등(100)이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하였을 때, 제어부(240)는 공기오염도 중 미세먼지 농도값이 기 설정된 구간들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하고, 그 농도구간에 따라 발광수단(220)의 발광색상을 대기질 나쁨의 경우에는 빨간색, 보통은 노란색, 좋음은 초록색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발광수단(220)에 의해 발광되는 색상이나 발광조도 등은, 사용자입력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되어, 그에 따라 다양하게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220)은 환경정보의 종류나 그에 대한 측정값 등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나 다양한 조도로 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제어부(240)는 둘 이상의 환경정보를 발광색상과 발광조도 등의 조합으로 발광수단(22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아용조명등(100)이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하였을 때, 제어부(240)는 미세먼지 농도 값이 보통이나, 주변 온도가 기 설정된 구간들 중 높은 구간에 속한 경우 발광 조도를 낮추거나, 주변 온도가 기 설정된 구간들 중 낮은 구간에 속한 경우 발광 조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10) 내부에서 발생된 산소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블로우팬(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로우팬(230)은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블로우팬(230)은 하우징(110) 내 소정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배기구(120)의 후방에 설치됨으로써, 블로우팬(230)의 구동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에서 발생된 산소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시켜, 유아용조명등(100) 주변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240)는 환경정보검출부(290)의 환경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블로우팬(230)의 구동여부, 팬의 회전속도 및 송풍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아용조명등(100)이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하였을 때, 제어부(240)는 환경정보검출부(290)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근거로 판단한 공기오염도가 높아 대기질이 나쁜 경우, 블로우팬(230)을 구동시키되 높은 rpm으로 팬을 회전시켜, 주변의 공기질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조명등(100)은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부(250)는 일 예로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모듈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주변 단말기(310, 320)가 이동형 단말기인 경우, 통신 방식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으며, 일 예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방식이나 이동통신 방식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조명등이 주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조명등(100)은 제1 통신부(250)를 통해 주변에 있는 단말기(310, 32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통신부(250)를 통해 연결된 단말기(310, 320)에 의해, 유아용조명등(100) 또는 이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동작은 제어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조명등(100)은 주변 단말기(310, 320)의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주변 단말기(310, 320)에서 재생되거나 출력되는 음향을 스피커(27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주변 단말기(310, 320)는 제어명령에 의해 유아용조명등(100)의 저장장치에 저장되거나 또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에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소리출력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유아용조명등(100)이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유아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음악 등을 스피커를 통해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조명등(100)은 렌즈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28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8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화상 프레임을 처리함으로써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을 제1 통신부(250)를 통해 주변 단말기(310, 320)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주변 단말기(310, 320)는 이를 재생하여 화면 출력함으로써, 부모나 돌보미 등은 다른 일을 하면서도 유아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유아용조명등(100)는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소리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전환 처리하고 이를 제1 통신부(250)를 통해 주변 단말기(310, 320)에 전송하여 음성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조명등(100)은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통신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60)는 제1 통신부(250)와 마찬가지로,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모듈이나, 무선 인터넷 방식이나 이동통신 방식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조명등이 주변의 타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 통신부(2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변의 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타 기기는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며, 일 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방기기(410), 냉방기기(420), 공기정화기(430)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며, 이외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문, 창문, 수도 밸브, 가스 밸브 등을 제어하는 장치나, 온도, 습도, 기압, 가스 등을 감지하는 센서나, 조명기기, TV, 자동차 등일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제2 통신부(260)를 통해 상기 타 기기에 환경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타 기기는 수신한 환경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타 기기가 공기정화기(430)인 경우, 전원을 켜거나 상기 환경제어명령에 따라 공기정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유아용조명등(100)이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하였을 때, 제어부(240)는 공기오염도 중 미세먼지 농도값이 기 설정된 구간들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하고, 그 농도구간에 따라 대기질이 나쁜 경우에는 배기도어(130)를 구동하여 배기구(120)를 개방하거나, 또는 블로우팬(230)을 구동시켜 주변의 공기질을 높일 수 있으나, 보다 신속하게 주변 공기질을 높이기 위해 공기정화기(430)에 환경제어명령을 전송하여 공기정화 동작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
제어부(240)가 환경정보검출부(290)로부터 수신한 환경정보 중 제어대상이 되는 환경정보에 대응하는 타 기기를 저장하여, 제어부(240)는 환경정보검출부(290)를 통해 획득한 주변 환경정보들 중 온도 또는 습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난방기기(410)나 냉방기기(420)에 환경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또 공기오염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공기정화기(430)에 환경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또 조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조명기기에 환경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아용조명등(100)은 외부 상용전원 또는 외부 상용전원에 의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한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전원부는 유아용조명등(1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여, 유아용조명등(100)이 주변 환경을 제어하는데 요구되는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조명등이 복수 개가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조명등(100)은, 복수 개가 적층되거나 복수 개가 접하여 옆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은 외측 일면에 다른 유아용조명등을 연결시키기 위한 접합면(또는 안착면)이 하나 또는 둘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한 유아용조명등(101~103)의 접합면에는 다른 유아용조명등(101~103)의 접합면이 접하거나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인접한 두 유아용조명등(101~103) 간에는 결합력을 단단히 할 수 있도록 상기 접합면에는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마주하는 다른 유아용조명등(101~103)의 접합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면에는, 마주하는 다른 유아용조명등과 전기적으로 연결을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를 복수의 유아용조명등(101~103)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아용조명등(101~103)이 단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 복수의 유아용조명등(101~103) 중 어느 하나는 마스터 유아용조명등(101)으로 설정되어 동작하고, 다른 것은 슬레이브 유아용조명등(102~103)으로 설정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3개의 유아용조명등(101~103)이 적층된 경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밑에 위치한 유아용조명등(101)이 마스터로 동작할 수 있고, 나머지 유아용조명등(102~103)은 슬레이브로 동작하여, 마스터 유아용조명등(101)은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유아용조명등(102~10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즉, 마스터 유아용조명등(101)이 슬레이브 유아용조명등(102~103)을 개별적, 선택적 또는 통합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유아용조명등(100)에 의해 제공되는 조명이나 산소 등 보다 더 많은 양의 조도나 산소를 제공할 수 있어, 환경정보에 대한 제어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마스터 유아용조명등(101)은 환경정보검출부(290)를 통해 획득한 환경정보에 따라 복수의 유아용조명등(101~103) 중 적어도 하나의 유아용조명등의 구동수단(210), 발광수단(220) 또는 블로우팬(23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유아용조명등(102~103)이 발광수단, 배기도어 및 블로우 팬 중 적어도 하나만 구비한 유아용조명등으로 모듈화될 수 있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발광수단이 생략된 제1 슬레이브 유아용조명등(102)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산소발생제어능력만 향상시키거나, 이와 달리 사용자는 발광수단만 구비된 제2 슬레이브 유아용조명등(103)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필요에 따라 유아용조명등이외에 다양한 색상을 출력할 수 있는 조명기기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유아용조명등 101: 마스터 유아용조명등
102, 103: 슬레이브 유아용조명등 110: 하우징
120: 배기구 130: 배기도어
140: 도어 210: 구동수단
220: 발광수단 230: 블로우팬
240: 제어부 250: 제1 통신부
260: 제2 통신부 270: 스피커
280: 카메라 290: 환경정보검출부
310, 320: 주변단말기 410: 난방기기
420: 냉방기기 430: 공기정화기

Claims (7)

  1. 내부에 고체산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체산소로부터 발생한 산소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배기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는 배기도어;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환경정보검출부;
    발광수단; 및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발광수단의 발광색상 또는 발광조도를 제어하거나,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배기구의 개방도를 제어하여 산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된 산소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블로우팬;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블로우팬의 구동여부, 팬의 회전속도 및 송풍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3. 제 1 항에 있어서,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재생되거나 출력되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4. 제 3 항에 있어서,
    렌즈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가 수신한 영상을 화면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조명등의 위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통신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정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타 기기에 대한 환경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타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검출부는,
    상기 유아용조명등 주변의 온도, 습도, 공기 오염도 및 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측 일면에 다른 유아용조명등을 연결시키기 위한 접합면 - 상기 접합면에는 마주한 상기 다른 유아용조명등과 전기적인 연결을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형성됨 - 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유아용조명등 중 어느 하나는 마스터 유아용조명등으로 동작하여, 상기 마스터 유아용조명등이 상기 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아용조명등 중 적어도 하나의 유아용조명등의 상기 발광수단 또는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KR1020190098183A 2019-08-12 2019-08-12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KR102349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183A KR102349473B1 (ko) 2019-08-12 2019-08-12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183A KR102349473B1 (ko) 2019-08-12 2019-08-12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248A true KR20210019248A (ko) 2021-02-22
KR102349473B1 KR102349473B1 (ko) 2022-01-07

Family

ID=7468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183A KR102349473B1 (ko) 2019-08-12 2019-08-12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4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926A (ko) * 2006-05-02 2006-05-25 백세정 유아용 복합기
KR20150007935A (ko) * 2013-07-11 2015-01-21 주식회사 엔젤럭스 스마트 회전 led 조명장치
KR20170025279A (ko) * 2015-08-28 2017-03-08 (주)브랜든메들리 유아 관리용 조명장치
KR20170032677A (ko) 2015-09-15 2017-03-23 서형우 친환경 유아용 조명등
KR20170076079A (ko) * 2015-12-24 201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기기
KR20180008079A (ko) * 2016-07-15 2018-01-24 유형근 Cctv·블랙박스·공기정화·led 색상조명 기능을 갖는 스마트 멀티 스피커장치
KR101839021B1 (ko) * 2017-02-03 2018-04-26 주식회사 창의산업 오픈형 힐링 캡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6926A (ko) * 2006-05-02 2006-05-25 백세정 유아용 복합기
KR20150007935A (ko) * 2013-07-11 2015-01-21 주식회사 엔젤럭스 스마트 회전 led 조명장치
KR20170025279A (ko) * 2015-08-28 2017-03-08 (주)브랜든메들리 유아 관리용 조명장치
KR20170032677A (ko) 2015-09-15 2017-03-23 서형우 친환경 유아용 조명등
KR20170076079A (ko) * 2015-12-24 201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기기
KR20180008079A (ko) * 2016-07-15 2018-01-24 유형근 Cctv·블랙박스·공기정화·led 색상조명 기능을 갖는 스마트 멀티 스피커장치
KR101839021B1 (ko) * 2017-02-03 2018-04-26 주식회사 창의산업 오픈형 힐링 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473B1 (ko)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641B2 (en) Smart home-care lighting system
WO2017080503A1 (zh) 用于生物辨识的模块化多应用功能照明装置
US20190295386A1 (en) Intelligent signage
WO2017193781A1 (zh) 模块化的智能家居照顾的照明装置
US20160334082A1 (en) Modularized smart home-care lighting device
TWI627606B (zh) 結合照明裝置多功能的居家監控系統
CN204759142U (zh) Led照明灯和环境监控系统
TW201516984A (zh) 具有增強之音訊及通信能力之煙霧偵測器
CN205302544U (zh) 结合照明装置多功能的居家监控系统
CN106642380A (zh) 一种智能空气净化器及其控制系统
WO2017157120A1 (zh) 智能居家照顾的照明装置
TWM436801U (en) Light-source-base internet of thing
CN205622916U (zh) 智能居家照顾的照明装置
CN208873018U (zh) 一种用于智能楼宇的窗控制系统
CN205897458U (zh) 基于单片机的室内环境控制系统
CN105627230A (zh) 一种多功能led家居灯
KR102349473B1 (ko)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CN205299117U (zh) 用于生物辨识的模块化多应用功能照明装置
CN210268713U (zh) 智能环境监控装置以及系统
KR102196900B1 (ko)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
CN205992274U (zh) 智能报警照明灯
CN109322583A (zh) 一种基于一氧化碳浓度检测的自动开窗装置
WO2017101747A1 (zh) 结合照明装置多功能的居家监控系统
JP2008281224A (ja) 換気装置
KR101893877B1 (ko)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