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900B1 -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900B1
KR102196900B1 KR1020200013623A KR20200013623A KR102196900B1 KR 102196900 B1 KR102196900 B1 KR 102196900B1 KR 1020200013623 A KR1020200013623 A KR 1020200013623A KR 20200013623 A KR20200013623 A KR 20200013623A KR 102196900 B1 KR102196900 B1 KR 102196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block
block module
outside air
terminal
exter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용
Original Assignee
최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용 filed Critical 최철용
Priority to KR1020200013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7Ligh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마련되어, 또 다른 상기 바디와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 및 상기 바디의 외부로 조명, 음향, 및 산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공하기 위한 환경조성부를 포함하는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 {BLOCK COUPLING TYPE SLEEP INDUCING DEVICE}
본 발명은 수면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이나 산소 등을 제공하여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기능형 블록모듈들을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 현대인들은 매우 바쁜 환경 속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과거에 비해 훨씬 많은 업무나 학업 등으로부터 비롯되는 스트레스로 인하여 수면장애를 호소하곤 한다.
이러한 수면장애는 사회 전반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장기적 수면장애는 개인에게 신경장애를 초래하며 뉴론의 퇴행, 신경전달 물질의 변화, 뇌 전해질 장애, 뇌 에너지 대사 장애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영유아의 수면장애는 영유아는 물론 보호자에게도 육아 스트레스를 안겨주며, 영유아의 수면장애는 소아기에 행동 장애나 학습 등의 측면에서 여러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수면장애는 건강한 소아에서도 흔히 발생하지만 발달지연이나 정신지체, 시각장애 및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뚜렛 증후군, 간질과 같은 신경학적 질환이 있는 경우나 만성질환이 있는 아동에 더 흔히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유아의 수면유도를 도와 올바른 수면습관을 길러줄 뿐아니라 수면장애를 극복하고 육아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기술 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19-0060086 A1
본 발명은 주변에 조명이나 산소 등을 제공함으로써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토록 하고, 수면유도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수면유도장치를 결합 가능한 블록형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자유로운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형 블록모듈를 포함하되, 상기 기능형 블록모듈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마련되어, 또 다른 상기 바디와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 및 상기 바디의 외부로 조명, 음향, 및 산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공하기 위한 환경조성부를 포함하는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디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과, 상기 외기유입공과 연통형성되되 상기 외기가 유출되는 외기유출공을 포함하되, 상기 외기유입공과 상기 외기유출공 간의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외기의 온도, 습도 또는 공기오염도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디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마련되어, 또 다른 상기 바디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자를 통해 전력을 다른 상기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와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단말기 또는 다른 상기 기능형 블록모듈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상기 환경조성부의 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수신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단자를 통해 연결된 상기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을 식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자의 위치 및 상기 단자에 연결된 다른 상기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외부단말기는, 복수의 상기 기능형 블록모듈의 연결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능형 블록모듈에 대하여 개별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에 조명이나 산소 등을 제공함으로써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토록 하고, 수면유도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수면유도장치를 결합 가능한 블록형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자유로운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석 따위를 이용하여 각 기능형 블록모듈들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물리적인 결합 이외에 단자를 통한 전기적인 연결까지 유도함으로써, 어느 한 블록모듈과 다른 한 블록모듈 간에 전력을 공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미충전 블록모듈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 중 어느 하나는 단자를 매개로 결합된 인접 블록모듈의 위치나 종류를 식별함으로써, 외부단말기는 결합한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에 대한 선택 제어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모듈은 일면에 복수의 단자를 마련하여, 두 블록모듈 간 결합시 블록모듈의 결합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외부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에 대해 일괄하여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만 환경을 조성토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들은 외부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외부단말기는 직접적으로 통신연결되지 않은 블록모듈에 대해서도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형 블록모듈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형 블록모듈이 가진 자석이 띠 형태로 마련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별 블록모듈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형 블록모듈의 외면에 마련된 단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형 블록모듈이 엇갈리게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 간, 그리고 외부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이 결합된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형 블록모듈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10), 바디(11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마련되어, 또 다른 바디(110)와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121, 122), 및 바디(110)의 외부로 조명, 음향, 및 산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공하기 위한 환경조성부를 포함하여, 주변에 조명이나 산소 등을 제공함으로써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2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기능형 블록모듈은 어떠한 기능, 즉 외부에 조명, 음향 또는 산소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 단위모듈로서, 여러 개를 결합하거나 쌓을 수 있는 블록형을 가리킬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은 하나의 기능형 블록모듈이나, 둘 이상의 기능형 블록모듈이 결합된 것을 가리킬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바디(110)는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외관을 형성하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여러 개의 바디(1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면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바디(110)를 결합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큐브 형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디(110)는 사용자의 수면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주로 어두운 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모서리나 꼭짓점은 매끄럽고 둥글게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11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121, 122)이 마련될 수 있고, 자석(121, 122)을 매개로 인접한 두 바디(110)는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자석(121, 12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측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매립될 수 있고, 측면이 아닌 전면 또는 후면에는 기능형 블록모듈(100)이 가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부재 또는 구성요소가 마련될 수 있다.
바디(110)의 적어도 어느 한 일면에 매립된 자석(121, 122)은 극성을 가질 수 있고, 자석의 극성에 의해 서로 다른 두 기능형 블록모듈(100)을 부착할 때 자석의 척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지 않는 면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석(121, 122)은 자유롭게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매립된 구형일 수 있다. 두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서로 마주하는 각 면에 마련된 자석(121, 122)의 극성이 상이하더라도, 구형의 자석(121, 122)은 자유롭게 자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대 극성끼리 마주하게 됨으로써 자력에 의한 인력으로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바디(11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마련된 자석(121, 122)은 복수일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경우 복수의 자석(123a~123c, 124a~124c)은 띠 형태로 나란히 직렬 배치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자석(123a~123c, 124a~124c)은 자유롭게 다양한 방향으로 자전할 수 있는 구형 자석인 것이 좋다.
복수의 자석(123a~123c, 124a~124c)이 일 면에 마련됨으로써, 서로 부착되는 두 기능형 블록모듈(1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을 결합할 때 도 9a 및 9b에 도시한 것과는 다르게 보다 더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어떠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가지기 위한 환경조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별 블록모듈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일면, 즉 전면에 마련된 발광부(131)는 빛을 생성하여 외부로 발산하는 장치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에너지소비효율이 뛰어난 엘이디(LED) 다이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갯수 역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발광부(13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일면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구현예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133)의 가장자리를 따라,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산소발생부(134)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발광부(131, 132)는 통상 야간에 수면을 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주변에 설치되어 발광하기 때문에, 발광부(131, 132)에 의해 발광된 빛이 주변에 은은하게 퍼질 수 있도록, 발광부(131, 132)를 덮는 커버는 빛투과도가 조절된 불투명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131, 132)의 점멸은 사용자의 스위치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전방에 물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근접센서에 의해 물체가 가까이 접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발광부(131, 132)가 점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131, 132)는 외부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이나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명령에 의해 발광색상이나 발광조도가 제어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이 결합된 경우 연결된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가 하나의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 각각이 그 위치에 따라 개별제어될 수도 있다.
발광부(131, 132)는 발광색상 또는 발광조도가 제어명령에 의해 가변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후술하는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온도, 습도 또는 공기오염도 등의 환경정보를 근거로 가변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오염도 중 미세먼지 농도값이 기 설정된 구간들 중 현재 속한 농도구간에 따라 발광부(131, 132)의 발광색상을 대기질 나쁨의 경우에는 빨간색, 보통은 노란색, 좋음은 초록색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131, 132)에 의해 발광되는 색상이나 발광조도 등은, 사용자입력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되어, 그에 따라 다양하게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131, 132)는 환경정보의 종류나 그에 대한 측정값 등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나 다양한 조도로 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둘 이상의 환경정보를 발광색상과 발광조도 등의 조합으로 다양하게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유아용조명등(100)이 주변의 환경정보를 획득하였을 때, 제어부(240)는 미세먼지 농도 값이 보통이나, 주변 온도가 기 설정된 구간들 중 높은 구간에 속한 경우 발광 조도를 낮추거나, 주변 온도가 기 설정된 구간들 중 낮은 구간에 속한 경우 발광 조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전술한 발광부(131)를 포함하되, 살균 또는 항균 작용을 할 수 있는 빛, 일 예로 자외선을 발산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살균 또는 항균 작용할 수 있는 자외선 엘이디(UV LED)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역시 그 갯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발광부(131)는 가시광선을 발산하는 가시광선 엘이디와, 살균 또는 항균을 위한 자외선 엘이디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스위치 또는 외부단말기(20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기 저장된 설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살균 또는 항균 작용을 할 수 있는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발광부(131)는 후술하는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공기오염도 등의 환경정보를 근거로 가변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오염도가 나쁨 수준인 경우에는 자외선 엘이디를 발광하거나 또는 그 발광조도를 높일 수 있고, 이와 반대로 공기오염도가 좋은 수준인 경우에는 자외선 엘이디를 발광하지 않거나 또는 그 발광조도를 낮출 수 있다.
즉, 살균 또는 항균 작용을 할 수 있는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발광부(131, 132)는 환경정보의 종류나 그에 대한 측정값 등에 따라 다양한 조도로 출력될 수 있다.
이 이외에 살균 또는 항균 작용을 할 수 있는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발광부(131, 132)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에 갈음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일면에 마련된 상기 발광부(131)와 함깨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외기유입공(141)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다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외기유출공을 가질 수 있으며, 외기유입공(141)과 외기유출공은 서로 연통형성되어, 외기유입공(141)을 통해 들어온 외기는 외기유출공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외기유입공(141)과 외기유출공 간에 외기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 실시예에 따라 외기유입공(141)과 외기유출공 각각은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대향하는 두 면 각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광부(131, 132)를 통해 주변의 다방향에 균일하게 빛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외기유입공(141)과 외기유출공은 각 면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131, 132)는 그 주변에 마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외기유입공(141)과 외기유출공 간에 형성된 유로 상에 외기와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주변의 환경정보, 즉 외기의 온도, 습도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능형 블록모듈(1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의 내주면에 외기와 접촉하도록 마련된 센서부는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검출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습도검출부, 및 공기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공기오염도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오염도검출부는 외기 중 먼지 또는 특정 물질을 감지하는 공기감지센서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이산화탄소를 감지하는 CO2 센서, 황 성분을 감지하는 S 센서 등 특정 성분의 물질을 감지하는 가스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공기오염도검출부는 미세먼지, 입자상 물질, 꽃가루, 진드기, 바이러스 등을 감지하는 먼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오염도검출부는 철, 알루미늄, 카드뮴, 납 등 대기중 중금속을 함유한 황사 등을 감지하고 그 농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기오염도검출부는 무색 무취의 각종 오염 물질, 예를 들어 요오드, 세슘, 플루토늄 등의 방사성 원소나,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포름 알데히드, 휘발성 유기 화합물 등 유해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온도검출부, 습도검출부 및 공기오염도검출부 중 적어도 둘은 하나의 센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일면, 즉 전면에 마련된 스피커(133)는 제어명령에 의해 음향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33)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기능형 블록모듈(100)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외부단말기(200)의 제어명령에 의해 재생되거나 출력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내장된 저장장치나 웹 스토리지(web storage)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에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재생하여 소리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스피커(133)를 통해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음악 등을 스피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133)의 가장자리에는 발광부(132)가 마련될 수 있으며, 발광부(132)에 의해 발광되는 색상이나 조도 등은, 스피커(133)에 의해 재생되는 음향이나 음악의 소리크기, 주파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일면, 즉 전면에 마련된 산소발생부(134)는 내부 수용공간에 마련된 고형산소발생제에 의해 생성된 산소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고형산소발생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은 소정 크기의 형상을 가진 고형물로서, 공기 중에서 자주식으로 산소를 발생시키는 제재를 가리킨다. 고형산소발생제는 공지의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KO2와 산화망간, 이산화망간 등 망간산화물을 약 9:1 중량%의 비율로 혼합한 분말을 압축 가공해 제조한 고형물일 수 있으며, 이 고형물은 타정기나 프레스 등에 의해 압축하여 가공한 것일 수 있다. 이 고형산소발생제의 KO2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CO2)와 반응(2KO2 + CO2 -> KO2CO3 + 2/3O2)하거나, 또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H2O)과 반응(2KO2 + CO2 -> KO2CO3 + 2/3O2)함으로써,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바디(110)는 상기 고형산소발생제가 마련된 내부 수용공간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도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바디(110) 내부에 수용된 고형산소발생제를 교체할 수 있다.
산소발생부(134)는 바디(110)의 내부에 수용된 고형산소발생제로부터 발생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공(135)을 다수 포함할 수 있고, 외기유입공(141) 및 외기유출공과 함께 형성되는 경우 다수의 배기공(135)은, 바람직하게 외기유입공(141)이 아닌 외기유출공의 주변에 마련되어, 센서부의 측정대상인 외기에 상기 고형산소발생제에 의해 생성된 산소가 함유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배기공(135)은 그 크기, 형상, 또는 개수 등을 한정하지 않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10)의 대향하는 어느 두 면에 외기유입공(141)과 외기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외기유입공(141)이 아닌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디(110) 내 상기 고형산소발생제로부터 발생된 산소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해 다수의 상기 배기공(135)의 내측 후방에 마련된 블로우팬(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로우팬은 바디(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블로우팬은 바디(110) 내 소정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배기공(135)의 후방에 설치됨으로써, 블로우팬의 구동에 의해 바디(110) 내부에서 발생된 산소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시켜, 기능형 블록모듈(100) 주변 사용자에게 많은 양의 산소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블로우팬의 구동여부 및 팬의 회전속도 중 적어도 하나는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주변 환경정보를 근거로 제어될 수 있으며, 공기오염도가 높아 외기의 대기질이 나쁜 경우, 높은 rpm으로 블로우팬을 구동시켜, 주변의 공기질을 신속히 높일 수 있다.
상기 블로우팬이 복수인 경우, 각 블로우팬의 구동여부 및 팬의 회전속도 등은 서로 연관성 없이 개별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블로우팬은 외기유입공(141)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공기오염도에 따라 따로 개별제어되어,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주변 공기 흐름을 효과적으로 형성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공(135)에는 다수 배기공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배기도어가 설치될 수 있고, 배기도어는 개폐 정도에 따라 배기공(135)의 개방도(openess)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형 블록모듈의 외면에 마련된 단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11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마련되어 또 다른 바디(11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151~154, 161~164)를 포함할 수 있고, 단자(151~154, 161~164)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서로 전력을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단자(151~154, 161~164)는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기 접점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면 그 종류나 형태 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포고핀(pogo pin)일 수 있다.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외부 상용전원에 의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가진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전원부는 기능형 블록모듈(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미설명도면부호 180은 충전단자로서 외부 상용전원과 연결되어 공급받는 전력을 내부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다.
또한,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저장장치에 저장된 각종 구동 프로그램이나 제어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여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현재 배터리 잔여 전력량과, 단자(151~154, 161~164)를 통해 연결된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현재 배터리 잔여 전력량을 근거로 전력 공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단자(151~154, 161~164)를 통해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 중 어느 하나가 배터리 충전 전력이 부족하여 동작할 수 없는 경우, 다른 하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제어부는 배터리 충전전력이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현재 배터리 잔여 전력량이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이면 적어도 일부의 전력을 단자(151~154, 161~164)를 통해 구동전력이 부족한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1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배터리는 충전단자(180)를 통해 외부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100)에 상기 충전단자(180)가 아닌 결합용 단자(151~154, 161~164)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어느 한 블록모듈과 다른 한 블록모듈 간 전력 공유가 가능함으로써, 이에 따라 미충전 블록모듈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단자(151~154, 161~164)는 복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일면에 마련된 단자들의 그룹(151~154, 161~164)도 복수 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51~154의 단자는 제1 단자그룹이고, 도면후보 161~164의 단자는 제2 단자그룹일 수 있다.
다시말해 각 면마다 마련된 복수의 단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어느 하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자신을 기준으로 연결된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a에 도시한 도면부호 100의 기준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제어부는 제1 단자그룹(151~154)에 다른 제1 기능형 블록모듈이 연결되면 상부에 제1 기능형 블록모듈이 결합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고, 제2 단자그룹(161~164)에 다른 제2 기능형 블록모듈이 연결되면 좌측부에 제2 기능형 블록모듈이 결합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자그룹(151~154, 161~164) 중 일부는 전력을 공유하기 위한 전력용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지만, 다른 일부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용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통신부는 통신용 단자를 통해 연결된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이 어떤 종류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요청하고 그에 따라 수신한 응답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이종의 기능형 블록모듈(100)들 복수 개가 단자(151~154, 161~164)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착된 경우, 어느 한 기능형 블록모듈(100)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외부단말기(200)는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의 연결형태 및 연결된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종류를 한눈에 알기쉽게 지도처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단말기(200)를 통해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 중 일부를 선택하여 개별제어하고자 할때, 어느 위치에 있는 어느 종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에 대한 선택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외부단말기(200)를 통해 원격에서도 이종의 복수 기능형 블록모듈(100)가, 도 9a 및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만 선택하여 구동(조명, 음향, 블로우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단말기(200)가 단자(151~154, 161~164)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착된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이종의 기능형 블록모듈(100)들을 하나의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각 기능형 블록모듈(100)을 개별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외부단말기(200)는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연결형태 및 종류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된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 중 양측 말단부 각각에 마련된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음향출력기능을 활용하여 스테레오 출력 가능한 스피커로서 동작하도록 외부단말기(200)는 각 기능형 블록모듈(100)에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된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 중 조명제공기능을 가진 기능형 블록모듈(100)을 선별하고 이들에 대해 사용자입력이나 기 저장된 발광경로(R)를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토록 하는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단순히 조명제공을 벗어나 메시지를 외부로 표출하거나 인테리어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외부단말기(200)나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단말기(200) 또는 기능형 블록모듈(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통신방식은 일 예로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모듈이나,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무선통신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된 두 기능형 블록모듈(100) 간에는 단자를 연결수단으로 한 유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접 연결된 두 기능형 블록모듈(100)들은 각 일면에 마련된 단자들(151~154, 161~164)의 그룹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일 단자그룹은 전력용 단자와 통신용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일 단자그룹(151~154, 161~164)을 통해 두 기능형 블록모듈(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면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고, 이후 두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각 일면이 상기 일 단자그룹(151~154, 161~164)을 통해 접하였으나 전력용 단자 및 통신용 단자가 일치하도록 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두 기능형 블록모듈(100)이 엇갈려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a에 도시한 도면부호를 기준으로 도면부호 151 및 152가 전력용 단자이고, 도면부호 153 및 154가 통신용 단자라고 가정하였을 때,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전력용 단자가 도면부호 151 및 153에, 그리고 통신용 단자가 도면부호 152 및 1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어부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한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100)과 엇갈려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외기유입공(141)이 형성된 면과 그 대향하는 면 각각에 발광부(131)가 위치하였으나 상부에 적층된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100)의 발광부는 상기 외기유입공(141)에 의해 형성된 전후방향의 유로와 교차하는 방향 상에 위치하도록 엇갈려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단자를 통해 인접한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100)과 접면하였으나 엇갈려 배치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두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통신부를 이용하여 단자가 아닌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결국 제어부는 결합한 복수의 블록모듈들의 결합방향을 식별할 수 있고, 외부단말기(200)는 복수 기능형 블록모듈(100)들의 결합위치 및 결합방향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부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에 대해 일괄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등 방향을 선택하여 환경을 조성토록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예로, 최하단의 기능형 블록모듈이 전후방향으로 조명을 제공하고, 그 상단의 기능형 블록모듈이 좌우방향으로 조명을 제공하며, 최상단의 기능형 블록모듈이 전후방향으로 조명을 제공하도록 적층되었을 때, 사용자는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들 중 일부를 하나씩 선택하여 조명 온오프에 대한 제어명령을 따로 생성하지 않더라도, 복수 블록모듈의 결합방향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부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조명제공방향을 선택함으로써 최하단 및 최상단의 기능형 블록모듈만 조명을 제공하도록 일괄 선택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 간, 그리고 외부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통신부를 통해 주변에 있는 외부단말기(20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를 통해 외부단말기(2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상기 외부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바람직하게 외부단말기(200)와 직접연결된 기능형 블록모듈(100) 뿐만 아니라 이에 연결된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100)도 간접적으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이에 따라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그물망처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외부단말기(200)와 직접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수신한 제어명령을 목적 기능형 블록모듈(10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목적 기능형 블록모듈(100)이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제어될 수 있다.
물론, 역으로 외부단말기(200)는 직접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기능형 블록모듈(100)로부터 검출된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고, 간접적으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기능형 블록모듈(100)로부터 검출된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 도시한 도면부호 100a, 100f, 100g 및 100j는 음향제공기능을 주로 가진 기능형 블록모듈을 가리키고, 도면부호 100b, 100h 및 100i는 산소제공기능을 주로 가진 기능형 블록모듈을 가리키며, 도면부호 100c ~ 100e는 조명제공 및 공기오염도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 기능형 블록모듈을 가리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렌즈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화상 프레임을 처리함으로써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을 통신부를 통해 외부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외부단말기(200)는 이를 재생하여 화면 출력함으로써, 부모나 돌보미 등은 다른 일을 하면서도 유아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기능형 블록모듈(100)은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소리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전환 처리하고 이를 통신부를 통해 외부단말기(200)에 전송하여 음성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기능형 블록모듈 110: 바디
121, 122: 자석 123a~123c, 124a~124c: 자석
131, 132: 발광부 133: 스피커
134: 산소발생부 135: 배기공
141: 외기유입공 151~154, 161~164, 181~184: 단자
200: 외부단말기
R: 발광경로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기능형 블록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기능형 블록모듈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마련되어, 또 다른 상기 바디와 부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
    상기 바디의 외부로 조명, 음향, 및 산소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공하기 위한 환경조성부;
    상기 바디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마련되어, 또 다른 상기 바디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
    외부단말기 또는 다른 상기 기능형 블록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단자를 통해 연결된 상기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을 식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자에 연결된 상기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이 어떤 종류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그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자의 연결여부 및 연결형태에 따라 인접 연결된 상기 기능형 블록모듈의 결합위치 및 결합방향을 판단하며,
    상기 외부단말기는, 어느 한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기능형 블록모듈을 일괄 선택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공과, 상기 외기유입공과 연통형성되되 상기 외기가 유출되는 외기유출공을 포함하되, 상기 외기유입공과 상기 외기유출공 간의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외기의 온도, 습도 또는 공기오염도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를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기능형 블록모듈의 전력을 상기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상기 환경조성부의 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수신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다른 기능형 블록모듈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기능형 블록모듈의 연결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능형 블록모듈에 대하여 개별제어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
KR1020200013623A 2020-02-05 2020-02-05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 KR10219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23A KR102196900B1 (ko) 2020-02-05 2020-02-05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623A KR102196900B1 (ko) 2020-02-05 2020-02-05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900B1 true KR102196900B1 (ko) 2020-12-30

Family

ID=7408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623A KR102196900B1 (ko) 2020-02-05 2020-02-05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9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996B1 (ko) * 2004-02-06 2005-08-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정화장치
KR101641510B1 (ko) * 2015-02-24 2016-07-21 추범규 변형과 분리가 가능한 블루투스 led스피커
KR20170074000A (ko) * 2015-12-21 2017-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수면 관리 방법
KR101972714B1 (ko) * 2018-11-19 2019-04-25 주식회사 에어텍 휴대용 공기청정기
KR20190060086A (ko) 2017-11-24 2019-06-03 김성도 수면유도 led 조명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996B1 (ko) * 2004-02-06 2005-08-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정화장치
KR101641510B1 (ko) * 2015-02-24 2016-07-21 추범규 변형과 분리가 가능한 블루투스 led스피커
KR20170074000A (ko) * 2015-12-21 2017-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수면 관리 방법
KR20190060086A (ko) 2017-11-24 2019-06-03 김성도 수면유도 led 조명 시스템
KR101972714B1 (ko) * 2018-11-19 2019-04-25 주식회사 에어텍 휴대용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3444B2 (en) Smart home device providing intuitive illumination-based status signaling
CN106457055B (zh) 具有功能构建单元的玩具构建系统
KR102061437B1 (ko) 발광 다이오드 스위치 장치 및 어레이
ES2388773T3 (es) Sistema de iluminación mejorado
CN107950080A (zh) 响应于占用者和/或移动设备的位置的负载控制系统
Sun et 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self-optimizable smart lighting system based on learning context in classroom
CN110536998A (zh) 被配置用于眩光检测和控制机动窗帘的可见光传感器
TW201245919A (en) Brightness adjusting method and system with photographic device
CN106704853A (zh) 用于生物辨识的模块化多应用功能照明装置
CN106455238B (zh) 一种儿童睡眠守护灯及调节方法
TWI627606B (zh) 結合照明裝置多功能的居家監控系統
KR101353195B1 (ko)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CN107366890A (zh) 模块化的智能家居照顾的照明装置
CN205622916U (zh) 智能居家照顾的照明装置
KR100980268B1 (ko) 조명제어 시스템
KR102196900B1 (ko) 블록결합형 수면유도장치
CN204315032U (zh) 一种智能婴儿看护装置
CN107197556A (zh) 智能居家照顾的照明装置
CN205299117U (zh) 用于生物辨识的模块化多应用功能照明装置
CN109903662A (zh) 智慧生态物联网套件教具
CN206639329U (zh) 一种门铃
KR102349473B1 (ko)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KR102135869B1 (ko) 환경정보를 활용한 컨트롤러 보드로 제어되는 실외 조명 시스템
CN114986532A (zh) 夺冠服务机器人及无命令式主动智能的实现方法
CN206196085U (zh) 一种可聚焦投影的多功能led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