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268B1 - 조명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268B1
KR100980268B1 KR1020100060502A KR20100060502A KR100980268B1 KR 100980268 B1 KR100980268 B1 KR 100980268B1 KR 1020100060502 A KR1020100060502 A KR 1020100060502A KR 20100060502 A KR20100060502 A KR 20100060502A KR 100980268 B1 KR100980268 B1 KR 10098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unit
illuminance
inform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엘이디파워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엘이디파워, 박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엘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00060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환경에 따라 광원의 조도(照度)를 조절하여 전력소비를 줄임과 아울러 최적의 감성조명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조명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광원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 위성에서 제공되는 위치확인신호로부터 상기 광원부가 놓인 위치를 확인하고, 이 확인된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제공부; 상기 광원부가 위치한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이 광원부의 주변 환경에 대한 감지정보를 제공하는 에코센서; 및, 상기 기상정보제공부로부터의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 그리고 상기 에코센서로부터의 감지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부에 구비된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광원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제어 시스템{ILLUMINATIO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조명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환경에 따라 광원의 조도(照度)를 조절하여 전력소비를 줄임과 아울러 최적의 감성조명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조명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조명은 외부의 밝기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조도의 광을 출사한다. 이로 인해 외부의 밝은 광으로 인해 실제도 높은 조도의 광이 필요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정하게 높은 조도의 광을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의 조명은 높은 소비전력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외부의 환경에 따라 광원의 조도를 조절하여 전력소비를 줄임과 아울러 최적의 감성조명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조명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은,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광원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 위성에서 제공되는 위치확인신호로부터 상기 광원부가 놓인 위치를 확인하고, 이 확인된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제공부; 상기 광원부가 위치한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이 광원부의 주변 환경에 대한 감지정보를 제공하는 에코센서; 및, 상기 기상정보제공부로부터의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 그리고 상기 에코감지부로부터의 감지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부에 구비된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광원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코센서는, 상기 광원부가 놓여진 주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센서; 상기 광원부가 놓여진 주변 환경 내에서의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및, 상기 광원부가 놓여진 주변 환경에서의 특정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감지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광원제어부는, 상기 조도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결과 및 기상정보제공부로부터의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부가 놓인 주변 환경의 조도를 환산하고, 이 환산결과 및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에 근거하여 상기 적색 광원, 녹색 광원, 청색 광원 및 백색 광원 각각의 조도를 조절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부가 놓인 주변 환경 내에서의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광원부에 구비된 모든 광원들의 소등 및 점등 여부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음향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부가 놓인 주변 환경 내에서의 소리와 미리 설정된 기준 소리를 비교하고, 이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광원부에 구비된 모든 광원들의 소등 및 점등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상정보제공부로부터의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 그리고 상기 에코감지부로부터의 감지정보를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광원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이 광원부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에 업로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기 광원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과 아울러, 이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제 1 광원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어 및 조도 수치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명령어를 퍼지 추론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하여 이 명령어에 대응되는 색상을 결정하고, 이 색상을 색상좌표계의 색좌표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퍼지추론부; 및, 상기 퍼지추론부로부터 색좌표 정보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조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부의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2 광원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부가 위치한 공간에 설치되어, 이 공간에 포함된 피사체들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로부터의 영상을 분석하여, 이 영상에 포함된 색상들에 대한 빈도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히스토그램생성부; 상기 히스토그램생성부로부터의 히스토그램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부의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3 광원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광원제어부는 상기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많은 빈도수를 차지하는 색상이 속하는 최대 색상계열 및 상기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작은 빈도수를 차지하는 색상이 속하는 최소 색상계열을 파악하고, 이 파악된 최대 색상계열 및 최소 색상계열에 근거하여 상기 적색 광원, 녹색 광원, 청색 광원 및 백색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광원제어부는 상기 최대 색상계열과 관련된 광원의 조도를 나머지 광원들 각각의 조도보다 낮게 설정하고, 상기 최소 색상계열과 관련된 광원의 조도를 나머지 광원들 각각의 조도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부는 각 색상의 광원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생성 및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광원제어부는 상기 전원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원부에 구비된 각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주변이 밝을 경우 광원의 조도를 자동으로 감소시키며, 또한 주변 환경 내에서의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여 사람이 없는 공간의 광원을 자동으로 소등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둘째, 광원이 위치한 곳의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를 고려하여 광원의 조도를 조절하므로 외부 환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미리 설정된 일정한 조도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장소에 위치한 광원의 조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시 이 광원의 조도를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넷째, 공간내에 위치한 피사체들의 색상들을 고려하여 한 공간내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빈도수의 색상과 관련된 광원의 조도를 줄임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임과 아울러 실제로 조도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섯째, 특정 시간 이후 특정 공간에 외부인이 침입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조명을 점등시킴으로써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중앙제어부, 에코센서 및 광원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 2 광원제어부와 관련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제 3 광원제어부와 관련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히스토그램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중앙제어부(101), 에코센서(102) 및 광원부(104)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04), 기상정보제공부(103), 에코센서(102), 중앙제어부(101) 및 이동통신단말기(105)를 포함한다.
광원부(10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광을 출사하는 적색 광원(R), 녹색광을 출사하는 녹색 광원(G),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 광원(B), 백색광을 출사하는 백색 광원(W), 그리고 이들 광원들(R, G, B, W)이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이 전원의 크기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PWR)를 포함한다. 이 적색 광원(R), 녹색 광원(G), 청색 광원(B) 및 백색 광원(W)은 모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된다.
적색 광원(R), 녹색 광원(G), 청색 광원(B) 및 백색 광원(W)은 서로 다른 듀티비(duty ratio)와 조도와의 관계가 선형적이지만, 동일 듀티비에 대하여 서로 다른 조도를 나타낸다. 서로 다른 색상의 광원들이 서로 동일한 조도를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색상의 광원들이 서로 다른 듀티비로 구동되어야 하는 바, 상술된 전원제어부(PWR)는 이러한 각 광원의 듀티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원부(104)는 이 광원부(104)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그 사용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기상정보제공부(103)는 위성에서 제공되는 위치확인신호로부터 광원부(104)가 놓인 위치를 확인하고, 이 확인된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에코센서(102)는 광원부(104)가 위치한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이 광원부(104)의 주변 환경에 대한 감지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광원부(104)의 주변 환경이란 이 광원부(104)의 에코센서(102)가 감지할 수 있는 감지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에코센서(102)의 감지범위에 따라 이 주변 환경의 범위는 달라질 수 있다. 이 에코센서(102)는 다수의 감지센서들이 하나로 통합된 통합센서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감지센서(LS), 인체감지센서(HS) 및 음향감지센서(SS)를 포함한다.
조도감지센서(LS)는 주변 환경 내에서의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음향감지센서(SS)는 주변 환경 내에서의 미리 설정된 특정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그리고 인체감지센서(HS)는 주변 환경 내에서의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 인체감지센서(HS)는 주변 환경 내의 열을 감지하여 인체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인체감지센서(HS)는 감지거리 및 감지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개의 열감지셀들을 포함한다. 각 열감지센서는 열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이를 멀티플렉서(MUX)에 공급한다. 이 열감지센서는 써모파일센서(thermopile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멀티플렉서는 열감지셀들로부터 병렬로 동시에 공급되는 열감지신호들을 시분할방식으로 순차 출력하여 증폭기에 공급한다. 연산증폭기는 멀티플렉서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열감지신호들을 증폭함으로써 인체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이 인체감지신호를 제 1 광원제어부(LC1)에 공급한다. 이 제 1 광원제어부(LC1)는 연산증폭기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인체감지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기준 온도 데이터들과 비교함으로써 이들 인체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 온도 데이터들의 범위에 위치하면 그 주변 환경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어느 인체감지신호도 상기 기준 온도 데이터들의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그 주변 환경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인체감지센서(HS)는 열감지센서를 주 센서로 가지는데, 감지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이 인체감지센서(HS)는 이 열감지센서 이외에 초음파센서, 도플러센서 및 적외선센서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보조 센서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인체감지센서(HS)는 동작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이 동작감지센서는 주변 환경 내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 움직임이 있을 경우 이 주변 환경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인체감지센서(HS)는 상술된 바와 같이 열과 움직임을 함께 감지하여 주변 환경 내에의 사람의 존재 여부를 더욱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조도감지센서(LS), 인체감지센서(HS) 및 음향감지센서(SS)는 서로 동일한 감지범위를 가질 수 도 있으며, 또한 각각이 서로 다른 감지범위를 가질 수 있다.
중앙제어부(101)는 제 1 내지 제 3 광원제어부(LC1 내지 LC3)를 포함하는 바, 이들 중 제 1 광원제어부(LC1)는 기상정보제공부(103)로부터의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 그리고 에코감지부로부터의 감지정보에 근거하여 광원부(104)에 구비된 적색 광원(R), 녹색 광원(G), 청색 광원(B) 및 백색 광원(W)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이 제 1 광원제어부(LC1)는 조도감지센서(LS)로부터의 감지결과 및 기상정보제공부(103)로부터의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에 근거하여 광원부(104)가 놓인 주변 환경의 조도를 환산하고, 이 환산결과 및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에 근거하여 적색 광원(R), 녹색 광원(G), 청색 광원(B) 및 백색 광원(W) 각각의 조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이 제 1 광원제어부(LC1)는 특정 시간 및 날씨에서의 특정 공간에 설치된 특정 광원부(104)에 대한 기준 조도가 기억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는 바, 이 제 1 광원제어부(LC1)는 상술된 감지결과,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특정 공간의 조도가 상술된 특정 시간 및 날씨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적색 광원(R), 녹색 광원(G), 청색 광원(B) 및 백색 광원(W)의 조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한다. 이때, 이 제 1 광원부(104)는 전원제어부(PWR)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적색 광원(R), 녹색 광원(G), 청색 광원(B) 및 백색 광원(W)에 공급되는 각 구동전류의 듀티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이 적색 광원(R), 녹색 광원(G), 청색 광원(B) 및 백색 광원(W)의 조도를 제어한다.
또한, 이 제 1 광원제어부(LC1)는 인체감지센서(HS)로부터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광원부(104)가 놓인 주변 환경 내에서의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광원부(104)에 구비된 모든 광원들의 소등 및 점등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제 1 광원부(104)는 특정 공간 안에 사람이 없을 경우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해 이 특정 공간에 위치한 광원부(104)의 모든 광원들을 소등한다. 만약 이 특정 공간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 제 1 광원제어부(LC1)는 이 공간에 위치한 광원부(104)의 광원들이 상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이 제 1 광원제어부(LC1)는 음향감지센서(SS)로부터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광원부(104)가 놓인 주변 환경 내에서의 소리와 미리 설정된 기준 소리를 비교하고, 이 비교결과에 따라 광원부(104)에 구비된 모든 광원들의 소등 및 점등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음향감지센서(SS)의 감지범위내의 사람이 박수를 3번 치면, 이 박수 소리에 응답하여 음향감지센서(SS)가 감지결과를 제 1 광원제어부(LC1)에 공급하고, 그러면 이 제 1 광원제어부(LC1)는 광원부(104)에 구비된 모든 광원들을 소등하거나 또는 점등한다.
중앙제어부(1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DB)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이 데이터베이스(DB)는 기상정보제공부(103)로부터의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 그리고 상기 에코감지부로부터의 감지정보를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광원부(104)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이 광원부(104)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에 업로드 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5)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기 광원부(104)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과 아울러, 이 인터넷을 통해 중앙제어부(101)에 구비된 제 1 내지 제 3 광원제어부(LC3)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사용자는 외부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5)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광원부(104)에 구비된 광원들의 조도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시 제 1 내지 제 3 광원제어부(LC3)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이 광원들의 조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 이동통신단말기(105)는 wifi와 같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이 가능한 스마트 폰(smart phone)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이동통신단말기(105)에는 조도 조절을 위한 조그셔틀(jog shuttle)이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에코센서(102)는 광원부(104)와 직접 통신하여 이 광원부(104)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은 제 1 광원제어부(LC1)의 제어 없이 이 에코센서(102)가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광원부(104)의 각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도 있다. 이때, 이 에코센서(102)와 광원들간은 지그비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다.
한편, 특정 공간에 다수의 에코센서(102)들이 설치될 수도 있는 바, 이때 각 에코센서(102)들간은 wifi방식의 무선 LAN 방식으로 서로 통신한다.
도 3은 제 2 광원제어부(LC2)와 관련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331) 및 퍼지추론부(3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331)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어 및 조도 수치를 입력받는다. 이 입력부(331)는 사용자가 원하는 느낌에 해당하는 명령어 및 조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이 입력부(331)는 이 명령어를 표현하기 위한 각종 선택 항목들 및 상기 조도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 표시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PDP(Plasma Display Panel)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이 표시부에서의 각종 항목 선택 및 조도 정보의 입력은 별도의 입력기, 예를 들어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 표시부가 사용자의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일 경우, 표시부의 선택 항목 또는 조도 정보를 직접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이 입력부(331)는 조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숫자 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 표시부가 터치 패널로 구성될 때 상기 숫자 키에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이 이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퍼지추론부(332)는 입력부(331)로부터의 명령어를 퍼지 추론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하여 이 명령어에 대응되는 색상을 결정하고, 이 색상을 색상좌표계의 색좌표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 2 광원제어부(LC2)는 퍼지추론부(332)로부터 색좌표 정보 및 입력부(331)로부터의 조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부(104)의 적색 광원(R), 녹색 광원(G), 청색 광원(B) 및 백색 광원(W)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이 제 2 광원제어부(LC2)는 퍼지 추론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광원의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인간의 감성적 느낌에 보다 충실한 감성적인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 교실의 경우 수리영역 관련 수업시간에는 이 교실에 설치된 광원부(104)가 7600~8000캘빈의 조도를 갖는 푸른색의 광을 출사하도록 하고, 언어영역 관련 수업시간에는 4200~4600캘빈의 조도를 갖는 백색의 광을 출사하도록 하고, 그리고 미술 및 음악 관련 예술 수업시간에는 2200~2600캘빈의 조도를 갖는 적색의 광을 출사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대강당의 경우 연설자에게 조명이 집중되도록 하여 화자나 청중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으며, 공연이나 연극시에는 관람석측으로 은은한 조명을 비춤으로써 연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식당의 경우에는 밝고 활발한 분위기의 조명이 연출되도록 광원부(10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제 3 광원제어부(LC3)와 관련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히스토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451) 및 히스토그램생성부(45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451)는 광원부(104)가 위치한 공간에 설치되어, 이 공간에 포함된 피사체들의 영상을 촬영한다. 예를 들어, 이 공간이 교실일 경우 이 교실에는 학생들, 책상, 걸상, 교탁, 칠판, 청소도구 등이 포함되어 있는 바, 이 촬영부(451)는 이 교실에 대한 2차원 영상을 촬영한다. 예를 들어, 이 촬영부(451)는 교실의 천정에 설치되어 이 교실의 천정에서 그 아래쪽을 향해 촬영하게 된다.
히스토그램생성부(452)는 촬영부(451)로부터 영상을 제공받고 이 영상을 분석하여, 이 영상에 포함된 색상들에 대한 빈도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도 4에는 히스토그램의 예가 나타나 있다. 히스토그램생성부(452)는 이 영상을 분석하고, 이 영상에 포함된 여러 색상들을 적색 계열(R_s), 녹색 계열(G_s), 청색 계열(B_s) 및 백색 계열(W_s)의 색상으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이 히스토그램생성부(452)는 적색, 주황, 분홍 및 다홍 등의 색을 적색 계열(R_s)로 구분하고, 녹색, 청색, 청록, 해록 및 옥색 등의 색을 녹색 계열(G_s)로 구분하고, 파랑, 바다, 하늘, 흐린 파랑 및 연한 파랑 등의 색을 청색 계열(B_s)로 구분하고, 흰색 및 회색 등을 백색 계열(W_s)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면, 적색 계열의 색상에 대한 빈도수, 녹색 계열의 색상에 대한 빈도수, 청색 계열의 색상에 대한 빈도수 및 백색 계열의 색상에 대한 빈도수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난다.
제 3 광원제어부(LC3)는 히스토그램생성부(452)로부터의 히스토그램에 근거하여 광원부(104)의 적색 광원(R), 녹색 광원(G), 청색 광원(B) 및 백색 광원(W)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이 제 3 광원제어부(LC3)는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많은 빈도수를 차지하는 색상이 속하는 최대 색상계열 및 상기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작은 빈도수를 차지하는 색상이 속하는 최소 색상계열을 파악하고, 이 파악된 최대 색상계열 및 최소 색상계열에 근거하여 상기 적색 광원(R), 녹색 광원(G), 청색 광원(B) 및 백색 광원(W)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 3 광원제어부(LC3)는 최대 색상계열과 관련된 광원의 조도를 나머지 광원들 각각의 조도보다 낮게 설정하고, 최소 색상계열과 관련된 광원의 조도를 나머지 광원들 각각의 조도보다 높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히스토그램에서는 적색 계열(R_s)의 빈도수가 가장 높고, 청색 계열(B_s)의 빈도수가 가장 낮으므로, 이 제 3 광원제어부(LC3)는 이 광원들 중 적색 광원(R)의 조도를 가장 낮추고, 청색 광원(B)의 조도를 가장 높인다. 그리고, 이 제 3 광원제어부(LC3)는 녹색 광원(G)의 조도를 백색 광원(W)의 조도보다 낮고 청색 광원(B)의 조도보다 높게 설정하며, 백색 광원(W)의 조도를 적색 광원(R)의 조도보다 낮고 녹색 광원(G)의 조도보다 높게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한 공간내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빈도수의 색상과 관련된 광원의 조도를 줄임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임과 아울러 실제로 조도가 유지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촬영부(451)는 외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로서의 기능도 한다. 즉, 제 3 광원제어부(LC3)는 미리 설정된 지정 시간 이후부터 이 촬영부(451)가 감시 카메라 모드로 설정되도록 하고, 이때부터 이 촬영부(451)는 상술된 인체감지센서(HS)와 연동하여 감시 카메라로서 동작한다. 즉, 지정 시간 이후 인체감지센서(HS)에 감지된 정보는 바로 제 1 및 제 3 광원제어부(LC3)에 제공되고, 이 제 1 광원제어부(LC1)는 내부에 장착된 알람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제 3 광원제어부(LC3)는 촬영부(451)로 하여금 이 경고음이 발생된 지역의 영상의 촬영하도록 한다. 이 촬영된 영상은 제 3 광원제어부(LC3)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한편, 중앙제어부(101)는 사건상황출력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는 바, 이 사건상황출력장치는 기록장치, SMS전송기 및 자동신고 발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록장치는 제 1 및 제 3 광원제어부(LC3)로부터의 출력에 응답하여 각 현장에 발생된 사건 상황을 레포트로 출력한다. 출력된 레포트는 사고발생의 원인파악 및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SMS전송기는 제 1 및 제 3 광원제어부(LC3)로부터의 출력에 응답하여 사전에 셋팅된 관계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5)로 문자를 전송한다.
자동신고 발신기는 제 1 및 제 3 광원제어부(LC3)로부터의 출력에 응답하여 사전에 세팅된 인근 유관기관을 긴급 호출한다. 즉, 자동신고 발신기는 유관기관자동신호발신정보를 수신하여 사전에 세팅된 인근 유관기관, 예를 들어 관할 소방서, 경찰서, 응급실 및 방송국 등을 긴급 호출한다.
도 6은 이동통신단말기(105)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보가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5)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으며,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은 사건 발생시 SMS전송기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의 방들(R1, R2)이 있으며, 작은 방(R1)에는 하나의 광원부(104), 에코센서(102) 및 촬영부(451)로 구성된 한 개의 조명제어부(C1)가 설치되어 있으며, 큰 방(R2)에는 상술된 바와 같은 광원부(104), 에코센서(102) 및 촬영부(451)로 구성된 두 개의 조명 제어부(C2, C3)가 설치되어 있다.
작은 방(R1)에 설치된 조명제어부(C1)는 이 작은 방(R1) 하나의 모든 조도를 관리하며, 큰 방(R2)에 설치된 두 개의 조명제어부(C2, C3)는 이 큰 방(R2)을 두 개의 영역(A1, A2)으로 나누어 관리한다. 만약 큰 방(R2)에 위치한 두 개의 조명제어부들(C2, C3) 중 제 1 영역(A1)에 창문(777)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창문(777)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광이 이 제 1 영역(A1)으로 입사하다고 할 때, 이 제 1 영역(A1)은 제 2 영역(A2)보다 밝기 때문에 이 제 1 영역(A1)에 위치한 조명제어부(C2)의 광원들은 제 2 영역(A2)에 위치한 조명제어부(C3)의 광원들보다 좀 더 낮은 조도로 광을 출사하도록 제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1: 중앙제어부 102: 에코센서
103: 기상정보제공부 104: 광원부
105: 이동통신단말기 106: 인터넷

Claims (10)

  1.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광원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부;
    위성에서 제공되는 위치확인신호로부터 상기 광원부가 놓인 위치를 확인하고, 이 확인된 위치에 대한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정보제공부;
    상기 광원부가 위치한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이 광원부의 주변 환경에 대한 감지정보를 제공하는 에코센서;
    상기 기상정보제공부로부터의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 그리고 상기 에코센서로부터의 감지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부에 구비된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광원제어부;
    상기 광원부가 위치한 공간에 설치되어, 이 공간에 포함된 피사체들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로부터의 영상을 분석하여, 이 영상에 포함된 색상들에 대한 빈도수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히스토그램생성부; 및,
    상기 히스토그램생성부로부터의 히스토그램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부의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3 광원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코센서는,
    상기 광원부가 놓여진 주변 환경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센서;
    상기 광원부가 놓여진 주변 환경 내에서의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및,
    상기 광원부가 놓여진 주변 환경에서의 특정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감지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제어부는,
    상기 조도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결과 및 기상정보제공부로부터의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부가 놓인 주변 환경의 조도를 환산하고, 이 환산결과 및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에 근거하여 상기 적색 광원, 녹색 광원, 청색 광원 및 백색 광원 각각의 조도를 조절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부가 놓인 주변 환경 내에서의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광원부에 구비된 모든 광원들의 소등 및 점등 여부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음향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부가 놓인 주변 환경 내에서의 소리와 미리 설정된 기준 소리를 비교하고, 이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광원부에 구비된 모든 광원들의 소등 및 점등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정보제공부로부터의 시간정보 및 기상정보, 그리고 상기 에코센서로부터의 감지정보를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광원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이 광원부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에 업로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기 광원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과 아울러, 이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제 1 광원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어 및 조도 수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명령어를 퍼지 추론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하여 이 명령어에 대응되는 색상을 결정하고, 이 색상을 색상좌표계의 색좌표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퍼지추론부; 및,
    상기 퍼지추론부로부터 색좌표 정보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조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광원부의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2 광원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광원제어부는 상기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많은 빈도수를 차지하는 색상이 속하는 최대 색상계열 및 상기 히스토그램에서 가장 작은 빈도수를 차지하는 색상이 속하는 최소 색상계열을 파악하고, 이 파악된 최대 색상계열 및 최소 색상계열에 근거하여 상기 적색 광원, 녹색 광원, 청색 광원 및 백색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광원제어부는 상기 최대 색상계열과 관련된 광원의 조도를 나머지 광원들 각각의 조도보다 낮게 설정하고, 상기 최소 색상계열과 관련된 광원의 조도를 나머지 광원들 각각의 조도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각 색상의 광원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생성 및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3 광원제어부는 상기 전원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원부에 구비된 각 광원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KR1020100060502A 2010-06-25 2010-06-25 조명제어 시스템 KR100980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502A KR100980268B1 (ko) 2010-06-25 2010-06-25 조명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502A KR100980268B1 (ko) 2010-06-25 2010-06-25 조명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268B1 true KR100980268B1 (ko) 2010-09-06

Family

ID=4300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502A KR100980268B1 (ko) 2010-06-25 2010-06-25 조명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26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176B1 (ko) * 2011-06-01 2013-02-19 주식회사엘이디파워 조명관리장치
KR101286806B1 (ko) * 2011-11-08 2013-07-17 주식회사 알에프엔진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KR101299295B1 (ko) 2013-03-14 2013-08-2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44919B1 (ko) * 2013-04-05 2013-12-27 코람이엘(주) 인체감지 및 자동절전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1465251B1 (ko) * 2013-03-21 2014-11-26 김성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쥬얼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1480254B1 (ko) 2013-12-04 2015-01-1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박형 타일식 led면등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43374B1 (ko) * 2011-09-26 2015-11-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성 조명제어장치 및 방법
KR20160058605A (ko) 2014-11-17 2016-05-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구 온도에 따라 밝기가 조정되는 엘이디 조명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213Y1 (ko) * 2000-06-30 2000-12-01 임영주 인체감지 조명장치
KR100912120B1 (ko) * 2009-02-13 2009-08-1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지피에스(gps)와 연동되는 능동형 감성 조명장치
KR100946202B1 (ko) * 2009-04-02 2010-03-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감성 조명 시스템
KR20100039537A (ko) * 2008-10-08 2010-04-16 주식회사 삼창에스씨 자동 점멸 가로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213Y1 (ko) * 2000-06-30 2000-12-01 임영주 인체감지 조명장치
KR20100039537A (ko) * 2008-10-08 2010-04-16 주식회사 삼창에스씨 자동 점멸 가로등
KR100912120B1 (ko) * 2009-02-13 2009-08-1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지피에스(gps)와 연동되는 능동형 감성 조명장치
KR100946202B1 (ko) * 2009-04-02 2010-03-09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감성 조명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176B1 (ko) * 2011-06-01 2013-02-19 주식회사엘이디파워 조명관리장치
KR101543374B1 (ko) * 2011-09-26 2015-11-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성 조명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86806B1 (ko) * 2011-11-08 2013-07-17 주식회사 알에프엔진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KR101299295B1 (ko) 2013-03-14 2013-08-2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65251B1 (ko) * 2013-03-21 2014-11-26 김성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쥬얼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1344919B1 (ko) * 2013-04-05 2013-12-27 코람이엘(주) 인체감지 및 자동절전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1480254B1 (ko) 2013-12-04 2015-01-1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박형 타일식 led면등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8605A (ko) 2014-11-17 2016-05-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구 온도에 따라 밝기가 조정되는 엘이디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268B1 (ko) 조명제어 시스템
US10050705B2 (en) LED light interior room and building communication system
US20210092330A1 (en) Doorbell camera with battery at chime
US11873952B2 (en) Smart-home device light rings with tapered sections for uniform output
US11602033B1 (en) Electronic devices for controlling lights
CN103899963B (zh) 多功能一体化智能电灯
CN106605447A (zh) 基于用户简档的来自装置屏幕的预测照明
KR101436306B1 (ko) 보안기능을 갖는 조명 시스템
US11039520B1 (en) Electronic devices for controlling lights
CN105122945A (zh) 防篡改日光捕获系统
US2021040016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lorizing infrared images
US10677448B2 (en) Lighting device
KR100670608B1 (ko) 디지털 창문
US1104940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nmanned aircraft monitoring in response to Internet-of-things initiated investigation requests
KR20180053216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조명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제어방법
CN109710567A (zh) 一种图书馆自习室防占座信息处理系统及方法
JP2015087200A (ja) 照度検出器および照度検出器を備えたタスク照明装置
KR101234176B1 (ko) 조명관리장치
KR102018681B1 (ko) 모듈형 조명장치
US9928763B2 (en) Guide display device and guide system
TW201713166A (zh) 光源控制系統
JP5988198B2 (ja) 照明装置
JP2016189351A (ja) 照明装置
Dutta et al. An Automated Light Control with Voltage Triggered Sensing and Monitoring Objects Using Arduino
CN117440571A (zh) 亮度调节方法、电子设备、机器人、存储介质及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