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877B1 -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877B1
KR101893877B1 KR1020170143413A KR20170143413A KR101893877B1 KR 101893877 B1 KR101893877 B1 KR 101893877B1 KR 1020170143413 A KR1020170143413 A KR 1020170143413A KR 20170143413 A KR20170143413 A KR 20170143413A KR 101893877 B1 KR101893877 B1 KR 101893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lamp
smart phone
us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얼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얼아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얼아이엠
Priority to KR1020170143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의 연결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한 스마트폰의 사용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아닌 스마트폰 자체의 동작에 대응하여 램프의 점멸 및 광량(빛의 밝기) 등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동작과 연동함에 있어, 스마트폰 내에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 스마트폰 자체의 기본기능에 대한 동작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램프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실내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취침 중 아이의 울움소리에 의한 기상이나, 새벽녘 스마트폰의 알람 기능에 의한 기상시, 이에 대응하여 해당 램프를 점등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어둠으로 인해 부주의에 의한 상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취침 중 발생되는 다양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등 분야, 특히 무드등 및 수유등 분야와 더불어,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분야, IoT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Smartphone interlocking mood lamp}
본 발명은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의 연결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한 스마트폰의 사용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아닌 스마트폰 자체의 동작에 대응하여 램프의 점멸 및 광량(빛의 밝기) 등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동작과 연동함에 있어, 스마트폰 내에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 스마트폰 자체의 기본기능에 대한 동작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램프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실내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에 관한 것이다.
실내등은 사용자에게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실내등의 하나인 무드등은 일반적인 실내등에 비하여 작은 광량으로 발광하도록 동작되며, 침실 등에 설치하여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보다 더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 제균이온(음이온)을 배출하는 기능, 발향입자를 배출하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실내등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등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리모콘 등으로 무드등을 포함한 실내조명을 제어하는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으며, 블루투스 스피커가 구비된 조명등과 같이 복합기능의 조명등도 제품화되고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9670호 '스마트 폰으로 제어가 가능한 친환경 LED 수유등'은, 실내등 중 하나인 수유등을 스마트폰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별도의 앱(APP)을 설치하고 앱을 통해 수유등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함에 있어서도, 스마트폰의 NFC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수유등에 근접하게 되면 해당 수유등을 제어하기 위한 앱이 스마트폰에 자동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기능들도 개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최근의 실내등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과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조명등을 제어하는 기술들은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한편, 출생직후부터 2년 사이의 신생아 및 영유아들은 밝은 빛에 노출될 경우 시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생활환경에서 주로 간접조명 등을 사용하게 된다. 특히 야간의 수유 시에는 조명에 대한문제에 대하여 보다 더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서 설명한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명을 조절할 경우, 야간의 수유에 있어 육아에 지친 부모에게 보다 더 큰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내등의 경우에도, 매번 스마트폰을 키고 해당 앱을 실행한 후 앱을 이용하여 실내등을 점등 및 제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취침 중 부모가 아기의 울음소리 등에 의해 깨어날 경우, 무드등이나 수유등을 포함하는 실내등을 점등하는데도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9670호 '스마트 폰으로 제어가 가능한 친환경 LED 수유등'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의 연결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한 스마트폰의 사용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아닌 스마트폰 자체의 동작에 대응하여 램프의 점멸 및 광량(빛의 밝기) 등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동작과 연동함에 있어, 스마트폰 내에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 스마트폰 자체의 기본기능에 대한 동작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램프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실내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침 중 아이의 울움소리에 의한 기상이나, 새벽녘 스마트폰의 알람 기능에 의한 기상시, 이에 대응하여 해당 램프를 점등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어둠으로 인해 부주의에 의한 상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은,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이루어진 빛을 방출하는 램프;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해당 스마트폰과 연동되도록 설정하며, 연동된 스마트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스마트폰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이 활성화모드인 경우, 상기 램프의 동작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로부터 제어정보가 수신되는 데이터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입력부를 통해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절전모드 또는 활성화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램프의 턴온(Turn on), 턴오프(Ture off) 및 광량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이 활성화모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램프를 턴오프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절전모드에서 활성화모드로 전환되거나 알람이 동작된 경우, 상기 램프를 턴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성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이 슬립모드인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해 백색소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해 백색소음이 출력되면, 상기 램프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는 음향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수신부로 수신되는 소리를 분석하여 아이의 울음소리가 수신되면, 상기 램프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수신부로 아이의 울음소리가 수신되면, 연동된 스마트폰으로 알림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의 연결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한 스마트폰의 사용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아닌 스마트폰 자체의 동작에 대응하여 램프의 점멸 및 광량(빛의 밝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동작과 연동함에 있어, 스마트폰 내에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 스마트폰 자체의 기본기능에 대한 동작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램프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실내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취침시 사용자가 침대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다가 자연스럽게 잠이 들 경우, 스마트폰이 절전모드로 전환되면 침대 근처에 있는 무드등이 소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명에 의해 취침이 방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의도적 제어가 아니라,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대응하여 자연스러운 실내조명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건강과 쾌적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홈 네트워크 분야 및 IoT 분야 등에 최적화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침 중 아이의 울움소리에 의한 기상이나, 새벽녘 스마트폰의 알람 기능에 의한 기상시, 이에 대응하여 해당 램프를 점등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어둠으로 인해 부주의에 의한 상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취침 중 발생되는 다양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실내등 분야, 특히 무드등 및 수유등 분야와 더불어, 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분야, IoT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제어부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제어부의 동작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100)은 하우징(110), 램프(120), 근거리 무선통신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 친환경 소재인 원목 등으로 구성하여 보다 향상된 인테리어적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재료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램프(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이루어진 빛을 방출하는 것으로, LE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목 재질의 하우징(110)에 반사되면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간접조명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부(13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마트폰(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최근에는 WiFi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외부에서 실내공간으로 들어오면 대부분 WiFi를 이용하므로,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100)은 WiFi를 이용하는 무선공유기(AP)를 통해 홈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이후, 스마트폰이 무선공유기를 통해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100)은 해당 스마트폰과 연동되도록 설정하고, 스마트폰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램프(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1에 나타난 제어부(140)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스마트폰(200)이 연결되면 해당 스마트폰과 연동되도록 설정한 후, 연동된 스마트폰(200)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면서, 해당 스마트폰(2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램프(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의 통신모드를 WiFi로 전환하게 되면, 제어부(140)는 근거리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스마트폰(200)이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S110).
이때, 제어부(140)는 접속된 스마트폰(200)이 등록되어 있는 스마트폰(200)인지를 확인하고(S120), 등록된 경우 해당 스마트폰(200)과 연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130).
만약, 해당 스마트폰(200)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해당 스마트폰(200)의 등록을 진행할 수 있으며(S131), 이러한 스마트폰(200)의 등록과정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이 가능하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스마트폰(200)과의 연동이 설정되면(S130), 제어부(140)는 해당 스마트폰(200)의 동작모드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S140), 절전모드 또는 활성화모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200)의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램프(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150). 여기서, 램프(120)는 턴온(Turn on), 턴오프(Ture off) 및 광량조절 등과 같이 동작될 수 있으며, 램프(120)의 종류 및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동작방법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스마트폰(200)의 동작에 연동되는 램프(120)의 제어결과를 도 2에 나타난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함으로써(S160), 사용자가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100)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스마트폰(200)이 활성화모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된 경우, 램프(140)를 턴오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침시 사용자가 침대에서 스마트폰(200)을 사용하다가 자연스럽게 잠이 들 경우, 침대 근처에 설치한 실내조명이 계속 점등되어 사용자가 취침시 조명에 노출될 경우, 깊은 잠을 취하지 못하므로 육체적 건강은 물론 정신적 건강에도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스마트폰(200)이 활성화모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되면, 램프(120)를 소등(턴오프)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조명에 의해 사용자의 취침이 방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스마트폰(200)이 절전모드에서 활성화모드로 전환되거나 알람이 동작된 경우, 램프(120)를 점등(턴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침 기상 후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켜서 활성화하거나, 아침 기상에 맞추어 설정된 스마트폰의 알람 기능이 활성화되면, 제어부(140)는 이에 대응하여 해당 램프(120)를 점등하도록 함으로써, 새벽 기상 시 실내의 어둠으로 인해 부주의에 의한 상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의도적 제어가 아니라,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대응하여 자연스러운 실내조명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건강과 쾌적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분야 및 IoT 분야 등에 최적화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140)는 앞서 설명한 이유 등으로 인해 스마트폰(200)이 활성화모드로 전환되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성된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램프(120)의 동작상태 등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100)의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200)에 별도의 앱(APP)을 설치하고, 스마트폰(20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러한 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40)가 해당 제어정보에 따라 램프(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 결과를 하우징(110) 전면에 구성된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100) 및 스마트폰(200)은 WiFi 기반의 무선공유기(300)를 통해 연동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성되는 음향출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출생직후부터 2년 사이의 신생아 및 영유아들은 밝은 빛에 노출될 경우 시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에 대한문제에 대하여 보다 더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다.
이에 사용자가 아이를 재울 경우, 제어부(140)는 스마트폰(200)이 슬립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확인하면,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백색소음을 출력하여 신생아나 영유아의 잠을 유도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140)는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백색소음이 출력되면, 램프(120)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내조명이 신생아나 영유아의 시력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100)은 음향수신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수신부(170)는 하우징(110)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취침 중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수신부(170)를 통해 아이의 울음소리가 수신되면, 제어부(140)는 아이가 잠에서 깬 것으로 판단하고, 부모가 아이를 살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방에 설치한 램프(120)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아이와 부모가 서로 다른 방에서 취침한 경우, 제어부(140)는 음향수신부(170)를 통해 아이의 울음소리가 수신되면, 아이의 방 및 부모의 방에 설치한 램프(120)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연동된 스마트폰(200)으로 알림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다른 방에서 취침중인 부모가 신속하게 아이를 살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의 울음소리 감지 후 동작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자신이 거주하는 실내의 구조 및 취침시 아이와 함께 하는지에 대한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등록은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100)에서 직접 등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200)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도 1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100)은 WiFi를 기반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기기들과 연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100)은 외부기기로부터 제어정보가 수신되는 데이터입력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기기는 무선키보드(410), 리모콘(420) 및 다양한 종류의 IoT기기(500)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입력부는 앞서 설명한 근거리 무선통신부(130)를 포함하여, 적외선 통신이 가능한 적외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40)는 데이터입력부를 통해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제어정보에 따라 램프(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 결과를 하우징(110)의 전면에 구성된 디스플레이(15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무드등
110 : 하우징 120 : 램프
130 : 근거리 무선통신부 140 : 제어부
150 : 디스플레이 160 : 음향출력부
170 : 음향수신부
200 : 스마트폰
300 : 무선공유기

Claims (10)

  1. 스마트폰 내에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 스마트폰 자체의 기본기능에 대한 동작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실내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으로서,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색상으로 이루어진 빛을 방출하는 램프;
    무선공유기를 통해 홈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홈네트워크에 스마트폰이 연결된 것이 확인되면, 해당 스마트폰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며,
    사용자의 조작이 중단되어 상기 스마트폰이 활성화모드에서 절전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램프를 턴오프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 잠금해제 조작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절전모드에서 활성화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램프를 턴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통해 스마트폰이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음을 감지하며, 제어부는 접속된 스마트폰이 등록되어 있는 스마트폰인지를 확인하고, 등록된 경우 해당 스마트폰과 연동되도록 설정하며, 스마트폰이 등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해당 스마트폰의 등록을 진행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에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이 활성화모드인 경우, 상기 램프의 동작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는 무선공유기를 통해 홈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외부기기와 연결되며,
    외부기기로부터 제어정보가 수신되는 데이터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입력부를 통해 제어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램프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절전모드 또는 활성화모드에 대응하여 광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램프의 턴온(Turn on) 또는 턴오프(Ture off)를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폰의 알람이 동작된 경우, 상기 램프를 턴온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성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이 슬립모드인 경우,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해 백색소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해 백색소음이 출력되면, 상기 램프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하며,
    상기 하우징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는 음향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수신부로 수신되는 소리를 분석하여 아이의 울음소리가 수신되면, 상기 램프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향수신부로 아이의 울음소리가 수신되면, 연동된 스마트폰으로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43413A 2017-10-31 2017-10-31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 KR101893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413A KR101893877B1 (ko) 2017-10-31 2017-10-31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413A KR101893877B1 (ko) 2017-10-31 2017-10-31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877B1 true KR101893877B1 (ko) 2018-09-04

Family

ID=6359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413A KR101893877B1 (ko) 2017-10-31 2017-10-31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8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426A (ko)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엔플러그 사물인터넷 기반의 조명장치를 이용한 수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237A (ko) * 2011-01-04 2012-07-12 곽칠성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KR20140050780A (ko) * 2012-10-20 2014-04-30 주식회사 알토 백색소음과 조명이 상관관계를 가지고 변화되어 다용도 사용이 가능한 조명등 및 그 제어시스템
KR20150089875A (ko) * 2014-01-28 2015-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실내 조명 장치, 실내 조명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639670B1 (ko) 2015-01-14 2016-07-15 주식회사 지비솔루션즈 스마트 폰으로 제어가 가능한 친환경 led 수유등
KR20170004159A (ko) * 2015-07-01 2017-01-11 빛기술 주식회사 유아용 엘이디 조명장치 및 이와 연동되는 손목 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237A (ko) * 2011-01-04 2012-07-12 곽칠성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KR20140050780A (ko) * 2012-10-20 2014-04-30 주식회사 알토 백색소음과 조명이 상관관계를 가지고 변화되어 다용도 사용이 가능한 조명등 및 그 제어시스템
KR20150089875A (ko) * 2014-01-28 2015-08-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실내 조명 장치, 실내 조명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639670B1 (ko) 2015-01-14 2016-07-15 주식회사 지비솔루션즈 스마트 폰으로 제어가 가능한 친환경 led 수유등
KR20170004159A (ko) * 2015-07-01 2017-01-11 빛기술 주식회사 유아용 엘이디 조명장치 및 이와 연동되는 손목 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426A (ko)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엔플러그 사물인터넷 기반의 조명장치를 이용한 수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1506B2 (ja) 適切な瞬間において非警報ステータス信号を与えるスマートホームハザード検出器
TWI508627B (zh) 照明控制系統
US20080315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US7880394B2 (en) Lighting system to facilitate remote modification of a light fixture modifiable operating parameter
US20050276051A1 (en)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JP6369786B2 (ja) 照明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照明装置
WO2017193781A1 (zh) 模块化的智能家居照顾的照明装置
CN109729632B (zh) 一种照明灯具及其控制方法
TWM460478U (zh) 照明控制系統
KR101639670B1 (ko) 스마트 폰으로 제어가 가능한 친환경 led 수유등
CN106907693A (zh) 一种具有睡眠监测功能的卧室led照明灯
KR101893877B1 (ko)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
KR101701385B1 (ko) 유아용 엘이디 조명장치 및 이와 연동되는 손목 밴드
KR100974465B1 (ko) 센서가 연결된 전등스위치를 이용한 전등제어 및 무인경비시스템
US20170105632A1 (en) Smart home-care health device
JP4811312B2 (ja) 熱線式ワイヤレス発信器及びワイヤレス受信器
KR101733469B1 (ko)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KR101597664B1 (ko) 절전형 스마트 실내 조명장치
US20230044169A1 (en) Lighting apparatus with microwave induction
KR20200055372A (ko) 절전형 영유아 체온감시 장치 및 방법
KR200408566Y1 (ko) 무선 분산 제어 기능의 인체 감지 센서등
JP2020515298A (ja) スマートタイプのホームセキュリティ健康チェック装置
KR20050102617A (ko) 무선 분산 제어 기능의 인체 감지 센서등
EP3490345B1 (en) Lighting system for use in a building, and method of delivering a lighting system
KR102349473B1 (ko) 산소발생기능을 가진 유아용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