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237A -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237A
KR20120079237A KR1020110000419A KR20110000419A KR20120079237A KR 20120079237 A KR20120079237 A KR 20120079237A KR 1020110000419 A KR1020110000419 A KR 1020110000419A KR 20110000419 A KR20110000419 A KR 20110000419A KR 20120079237 A KR20120079237 A KR 20120079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dia
control
lighting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249B1 (ko
Inventor
곽칠성
Original Assignee
곽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칠성 filed Critical 곽칠성
Priority to KR102011000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2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명 기구를 포함하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조명 기구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명 기구부; 디지털 시계 모듈부, 온도 센서부, 습도 센서부, 공기 청정 기능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를 포함하는 부가 기능 수행부;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조명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수신부; 및 상기 블루투스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기 조명 기구부 및 상기 부가 기능 수행부의 각 기능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of having multi function controlled by bluetooth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다기능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조명은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용도뿐만 아니라 건축물을 비롯한 다양한 사물의 미적 아름다움을 배가시키는 데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량 혹은 다양한 건축물에 있어서 조명은 건축물의 야간 미적 아름다움을 부각시켜 지역적 랜드 마크 및 명소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조명등은 백열 전구나 형광등 또는 LED와 같은 다양한 램프를 이용한 것들이 개발된 바 있다. 조명등은 개인용 조명 장치로 제작될 수도 있고, 사무실과 같은 넓은 장소에 여러 개의 조명등이 조명 장치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조명 장치들은 단순히 어둠을 밝히거나 미적 아름다움을 배가시키는 용도로만 사용될 뿐, 다른 어떠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조명 장치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조명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조명 장치를 제어하고자 할 경우, 종래에는 조명 장치에 장착된 각종 제어 스위치 또는 버튼을 이용하여 제어하였다. 그러나, 원거리에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어 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며, 조명 장치의 기능이 다양해지게 되면 이에 따라 제어 수단의 기능도 향상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 장치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미디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미디어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시키는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 장치에서 디지털 시계 표시 기능, 실내 온도 측정 기능, 습도 측정 기능, 공기 청정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각 기능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는, 조명 기구를 포함하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조명 기구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명 기구부; 디지털 시계 모듈부, 온도 센서부, 습도 센서부, 공기 청정 기능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를 포함하는 부가 기능 수행부;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조명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수신부; 및 상기 블루투스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기 조명 기구부 및 상기 부가 기능 수행부의 각 기능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 메시지는 헤더 영역, 제어 명령 코드 영역 및 상세 제어 코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장치는 상기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미디어 재생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기 해당 재생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음성 신호 처리하는 미디어 처리부; 및 상기 미디어 처리부에서 음성 신호 처리된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미디어 재생 명령 메시지는 헤더 영역, 미디어 메시지 코드 영역, 미디어 재생 명령 코드 영역 및 미디어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가 음성 압축 데이터일 경우, 해당 압축 방식에 따라 압축 해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장치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수신된 미디어 신호를 자체 스피커로 출력시킴으로써 조명 장치를 통한 음악 감상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장치에 디지털 시계 표시 기능, 실내 온도 측정 기능, 습도 측정 기능, 공기 청정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각 기능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제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명 장치의 기능을 확장시키고, 각 기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와 조명 장치 간의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명 제어 장치에서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명 제어 장치에서 전송되는 미디어 재생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 장치 사이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조명 장치의 각 기능 제어 및 콘텐츠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 제어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조명 장치로 전송하고, 조명 장치에서는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악 등의 형태로 출력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에 디지털 시계 표시 기능, 실내 온도 측정 기능, 습도 측정 기능, 공기 청정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구비된 각 기능을 상기 조명 제어 장치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제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와 조명 장치 간의 통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조명 제어 장치(100)와 조명 장치(11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때, 각 장치(100, 110)는 블루투스 송수신 기능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으나, 다른 방법으로 조명 제어 장치(100)는 블루투스 송신 기능만을 포함하고 조명 장치(110)는 블루투스 수신 기능만을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조명 제어 장치(100)는 조명 장치(11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조명 장치(100)의 각종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조명을 '온' 시키거나, '오프'시킬 수 있으며, 타이머를 설정하거나, 조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명 장치(100)에 부가된 각종 다양한 기능의 제어가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 장치(100)의 메모리에는 각종 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조명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하는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명령을 함께 전송함으로써 조명 장치(110)를 통한 재생이 가능해지게 된다.
즉, 조명 장치(110)에서는 상기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 미디어 데이터 및 이에 대한 재생 명령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재생 명령 신호에 따라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음성 신호 처리하여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재생 명령 신호 및 미디어 데이터는 동시에 전송하거나,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각 장치의 세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100)는 입력부(210), 표시부(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제어부(240), 블루투스 송신부(250) 및 저장부(26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제어 안내 표시를 확인하고, 해당 제어 명령을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조명 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 장치(11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저장부(260)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에 대한 목록을 표시부(220)를 통해 확인하고, 특정 미디어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해당 미디어 파일이 조명 장치(110)로 전송되어 재생되도록 처리한다.
제어부(240)는 조명 제어 장치(100)의 각 기능부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각종 제어 명령을 해석하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블루투스 송신부(250)를 통해 조명 장치(110)로 전송한다.
한편, 조명 제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더 구비함으로써 외부 장치(예컨대, PC, 핸드폰, USB 메모리 등)로부터 각종 연결 수단을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조명 제어 장치(100)를 스마트폰에서 구현할 경우, 3G 또는 와이파이 무선망을 통해 각종 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부(260)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저장부(260)에는 조명 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메뉴 및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조명 제어 소프트웨어(S/W)(261)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명 장치(110)로 전송하는 미디어 파일(262)을 저장한다.
즉, 다양한 수단을 통해 상기 저장부(260)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은 미디어 파일 재생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블루투스 송신부(250)를 통해 조명 장치(110)로 전송함으로써 조명 장치(110)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조명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10)는 블루투스 수신부(310), 저장부(320), 제어부(330), 미디어 처리부(340), 스피커(350), 디지털 시계 모듈부(361), 온도 센서부(362), 습도 센서부(363), 공기 청정 기능부(364) 및 조명 기구부(37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 제어 장치(100)를 통해 제어 메시지가 전송되면, 블루투스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다. 제어부(330)에서는 상기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기 조명 기능 및 각종 부가 기능 처리부(360)(예컨대, 디지털 시계 모듈부(361), 온도 센서부(362), 습도 센서부(363), 공기 청정 기능부(364))의 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 미디어 데이터 신호 및 이에 대한 재생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어부(330)에서는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 신호를 음성 신호 처리(예컨대, 해당 음성 데이터의 형식에 맞는 음성 복호화 처리 등)하여 스피커(350)를 통해 출력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조명 장치(110)에 해당 미디어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조명 제어 장치(100)를 통해 미디어 파일을 수신하여 재생하고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명 기구부(370)는 조명 장치(110)의 기본적인 조명 기능을 제공하는 기구를 의미하며, 상기 디지털 시계 모듈부(361), 온도 센서부(362), 습도 센서부(363), 공기 청정 기능부(36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명 장치(110)에서 제공하는 각종 부가 기능을 처리하는 기능부를 의미한다.
즉, 디지털 시계 모듈부(361)에서는 조명 장치(110)에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디지털 시계를 구동시켜, 조명 장치(110)의 외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온도 센서부(362)는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된 온도를 외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습도 센서부(363)는 습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된 습도를 외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 청정 기능부(364)는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공기 청정 기능 동작 명령에 따라 공기 청정 기능 모듈을 구동시킴으로써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조명 장치(110)는 조명 기능 이외에 각종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음성 신호 처리하여 스피커(350)로 출력시킴으로써 조명 장치(110)를 통한 음악 감상 등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다양한 각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조명 장치(110)의 다양한 기능이 제어 가능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조명 제어 장치(100)에서 조명 장치(110)로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명 제어 장치에서 전송되는 미디어 재생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조명 제어 장치(100)의 입력부를 통해 각종 조명 장치(11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조명 제어 장치(100)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메시지(400)를 생성하여 조명 장치(110)로 전송한다.
예컨대, 조명 장치(110)로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400)는 헤더 영역(401), 제어 명령 코드 영역(402), 상세 제어 코드 영역(40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더 영역(401)은 블루투스 통신 규약에 따라 메시지 전송을 위해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헤더 정보로서,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각 장치의 ID 정보,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 코드 영역(40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명 장치(110)에서 제공하는 각종 다양한 기능 중에서 제어할 특정 기능(예컨대, 디지털 시계,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공기 청정, 조명 등)을 의미하며, 상세 제어 코드 영역(403)은 해당 기능의 세부 제어 명령(예컨대, 조명의 온/오프 기능, 공기 청정 모듈의 온/오프 기능, 타이머 설정 기능 등)을 코드화하여 나타낸 정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제어 메시지(400)를 조명 장치(110)에서 수신하면, 상기 각 영역을 해석하여 해당 기능부를 제어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명 제어 장치에서 전송되는 미디어 재생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조명 제어 장치(100)의 입력부를 통해 각종 조명 장치(110)에서의 미디어 재생을 위한 특정 미디어 파일을 선택하여 재생 명령을 입력하면, 조명 제어 장치(100)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은 미디어 재생 메시지(500)를 생성하여 조명 장치(110)로 전송한다.
예컨대, 조명 장치(110)로 전송되는 미디어 재생 메시지(500)는 헤더 영역(501), 미디어 메시지 코드 영역(502), 미디어 재생 명령 코드 영역(503), 미디어 데이터 영역(50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더 영역(501)은 블루투스 통신 규약에 따라 메시지 전송을 위해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헤더 정보로서,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각 장치의 ID 정보,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메시지 코드 영역(502)은 해당 전송되는 메시지가 조명 장치(110)의 기능 제어를 위한 메시지가 아니라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메시지임을 구분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미디어 재생 명령 코드 영역(503)은 해당 미디어 재생에 따른 각 기능(예컨대, 재생 명령)에 대한 코드 명령을 포함한다.
미디어 데이터 영역(504)은 조명 장치(110)에서 실제 재생할 해당 미디어 데이터의 실제 정보가 포함되는 영역이다.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다른 정보에 비해 크기가 상당히 클 수가 있으므로, 복수의 메시지에 걸쳐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송되는 메시지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각종 압축 방식에 의해 압축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미디어 재생 메시지(500)를 조명 장치(110)에서 수신하면, 상기 각 영역을 해석하여, 해당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조명 제어 장치 110 : 다기능 조명 장치
111 : 온도 표시부 112 : 습도 표시부
113 : 조명부 114 : 스피커
210 : 입력부 220 : 표시부
230 : 통신 인터페이스 240 : 제어부
250 : 블루투스 송신부 260 : 저장부
261 : 조명 제어 S/W 262 : 미디어 파일
310 : 블루투스 수신부 320 : 저장부
330 : 제어부 340 : 미디어 처리부
350 : 스피커 360 : 부가 기능 처리부
361 : 디지털 시계 모듈부 362 : 온도 센서부
363 : 습도 센서부 364 : 공기 청정 기능부
370 : 조명 기구부

Claims (5)

  1. 조명 기구를 포함하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조명 기구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명 기구부;
    디지털 시계 모듈부, 온도 센서부, 습도 센서부, 공기 청정 기능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부를 포함하는 부가 기능 수행부;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조명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수신부; 및
    상기 블루투스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기 조명 기구부 및 상기 부가 기능 수행부의 각 기능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헤더 영역, 제어 명령 코드 영역 및 상세 제어 코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미디어 재생 메시지를 해석하여, 상기 해당 재생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음성 신호 처리하는 미디어 처리부; 및
    상기 미디어 처리부에서 음성 신호 처리된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재생 명령 메시지는,
    헤더 영역, 미디어 메시지 코드 영역, 미디어 재생 명령 코드 영역 및 미디어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가 음성 압축 데이터일 경우, 해당 압축 방식에 따라 압축 해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KR1020110000419A 2011-01-04 2011-01-04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KR101196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419A KR101196249B1 (ko) 2011-01-04 2011-01-04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419A KR101196249B1 (ko) 2011-01-04 2011-01-04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237A true KR20120079237A (ko) 2012-07-12
KR101196249B1 KR101196249B1 (ko) 2012-11-05

Family

ID=46712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419A KR101196249B1 (ko) 2011-01-04 2011-01-04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24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478B1 (ko) * 2012-11-19 2014-03-1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색채 치료를 위한 조명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9137877B2 (en) 2012-09-04 2015-09-15 Lg Innotek Co., Ltd. Ligh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160037665A (ko) * 2014-09-29 2016-04-06 백승권 무선 조명 및 스피커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US9668319B2 (en) 2014-04-04 2017-05-30 Lg Electronics Inc.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93877B1 (ko) * 2017-10-31 2018-09-04 주식회사 히얼아이엠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
KR20200002142A (ko) * 2018-06-29 2020-01-08 두루 주식회사 필터가 없는 공기정화기 및 블루투스 스피커가 설치된 시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132B1 (ko) * 2014-07-15 2016-02-24 주식회사 에이스엘이디 스피커 겸용 램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7877B2 (en) 2012-09-04 2015-09-15 Lg Innotek Co., Ltd. Ligh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US9173274B2 (en) 2012-09-04 2015-10-27 Lg Innotek Co., Ltd. Ligh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US9629217B2 (en) 2012-09-04 2017-04-18 Lg Innotek Co., Ltd. Ligh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KR101372478B1 (ko) * 2012-11-19 2014-03-1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색채 치료를 위한 조명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9668319B2 (en) 2014-04-04 2017-05-30 Lg Electronics Inc.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37665A (ko) * 2014-09-29 2016-04-06 백승권 무선 조명 및 스피커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WO2016052956A1 (ko) * 2014-09-29 2016-04-07 백승권 무선 조명 및 스피커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KR101893877B1 (ko) * 2017-10-31 2018-09-04 주식회사 히얼아이엠 스마트폰 연동형 무드등
KR20200002142A (ko) * 2018-06-29 2020-01-08 두루 주식회사 필터가 없는 공기정화기 및 블루투스 스피커가 설치된 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249B1 (ko) 201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249B1 (ko) 블루투스 기반의 다기능 조명 장치
JP4739227B2 (ja) 無線通信式調律器及びピッチ表示方法
KR101594874B1 (ko)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US20130114826A1 (en) Light bulb holder module with built-in speaker
CN105681969A (zh) 电子装置、音频装置、控制电子装置和音频装置电源的方法
CN105451413A (zh) 灯光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97336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mbing fixture
JP7398149B2 (ja) 照明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KR102102748B1 (ko)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JP2010183438A (ja) コンテンツ出力装置、通信端末、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遠隔制御プログラム
KR20140133181A (ko) 빌트인 오디오장치
KR100800771B1 (ko) 휴대단말기를 통해 외부 오디오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 및방법
JP201216092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その発光部点灯制御方法
KR101659428B1 (ko)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는 복합 조명 시스템
KR20000053692A (ko)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KR101398820B1 (ko) 무선으로 제어되는 다기능이 부여된 장식조형물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장식조형물 제어시스템
JP5129728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信号送信プログラム
JP6138758B2 (ja) 照明システム、赤外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照明システムの動作方法、及び、電子機器の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5289613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信号送信プログラム
KR101039274B1 (ko) 무선 오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시스템
KR10138271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05338274B (zh) 一种投影方法及电子设备
KR102282922B1 (ko) 초경량 무선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방법
KR101059469B1 (ko) 이동 단말기와 조명 장치를 이용한 감성 표현 시스템 및 방법
US20100262262A1 (en) Contents Recording System, Contents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Contents Recording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