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369A -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 Google Patents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369A
KR20210125369A KR1020200042996A KR20200042996A KR20210125369A KR 20210125369 A KR20210125369 A KR 20210125369A KR 1020200042996 A KR1020200042996 A KR 1020200042996A KR 20200042996 A KR20200042996 A KR 20200042996A KR 20210125369 A KR20210125369 A KR 20210125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solution
guide groove
chemical
container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5357B1 (ko
Inventor
한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무와뿌리
Priority to KR1020200042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357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01M13/003Enclosures for fumigation, e.g. containers, bags or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측면에 관통공이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방열케이스;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서 내부의 약액을 수용부로 배출하는 약액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에 구비되는 조명의 열은 상기 방열케이스를 거쳐 상기 수용부로 배출된 약액에 전달되어 약액을 가열하고, 가열된 약액은 증발하여 상기 관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FUMIGATOR FOR PEST CONTROL}
본 발명은 각종 조명장치에 장착되어 훈증 방식으로 약액을 살포함으로써 모기 등과 같은 해충 퇴치할 수 있는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에 관한 것이다.
가족공동체의 사회적 중요성 확대, 그린산업과 환경보호 의식 확대, 온 가족이 참여할 수 있는 레저 컨텐츠의 필요성 심화 등에 힘입어 캠핑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캠핑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캠핑의 양상도 변하고 있다. 초반에는 단순히 자동차에 모든 장비를 싣고 오토캠핑장으로 떠나서 복잡한 도심과 일상에서 탈출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최근에는 캠핑 요리는 물론 주변에 다양한 레저, 문화 활동을 즐기고, 캠핑 장소에 텐트를 직접 설치하고 자연을 즐기려는 캠핑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한편, 텐트에 조명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야간 활동에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텐트에 캠핑 랜턴 등과 같은 조명장치의 설치는 필수이다.
하지만 텐트에 캠핑 랜턴 등과 같은 조명장치를 설치할 경우 조명의 불빛에 의해 캠핑 랜턴 주변으로 모여드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으로 인해 곤란을 겪는 일이 빈번하다.
이와 같이 기존 캠핑 랜턴 등과 같은 조명장치에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캠핑 랜턴 주변으로 모여드는 해충을 막을 수 없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캠핑 랜턴 등과 같은 조명장치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조명장치에 구비된 조명의 열을 통해 훈증방식으로 약액을 살포함으로써 조명장치 주변으로 모여드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을 퇴치할 수 있도록 한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7775호(2015.06.19.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조명장치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조명장치에 구비되는 조명의 열을 통해 훈증방식으로 약액을 살포함으로써 조명장치 주변으로 모여드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을 퇴치할 수 있도록 한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측면에 관통공이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방열케이스;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서 내부의 약액을 수용부로 배출하는 약액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에 구비되는 조명의 열은 상기 방열케이스를 거쳐 상기 수용부로 배출된 약액에 전달되어 약액을 가열하고, 가열된 약액은 증발하여 상기 관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방열케이스의 내주를 따라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약액용기의 약액 배출부에 용기캡이 결합되며, 상기 용기캡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연장부가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은 서로 마주보도록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1 가이드홈; 및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이웃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2 가이드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제2 가이드홈은 하단까지의 깊이가 서로 다르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홈의 하단과 제2 가이드홈의 하단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보다 높이 위치하고, 상기 방열케이스는 외측에 방열핀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용기캡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약액용기의 배출부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약액용기에서 배출되는 약액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서 돌출부의 끝단까지 채워진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바닥과 돌출부의 끝단 사이 공간은 제1 약액 수용공간; 및 상기 제1 약액 수용공간과 연통하고 제1 약액 수용공간의 위에 위치하는 제2 약액 수용공간;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홈의 하단까지 깊이보다 제2 가이드홈의 하단까지의 깊이가 더 깊다.
또한, 상기 용기캡의 연장부가 제1 가이드홈의 하단에 위치 시 상기 돌출부의 끝단은 제2 약액 수용공간의 상단에 일치하고 상기 약액용기에서 배출된 약액은 제2 약액 수용공간의 상단까지 채워지며, 상기 용기캡의 연장부가 제2 가이드홈의 하단에 위치 시 상기 돌출부의 끝단은 제1 약액 수용공간과 제2 약액 수용공간 사이의 경계에 일치하고, 상기 약액용기에서 배출되는 약액은 상기 제1 약액 수용공간과 제2 약액 수용공간의 경계까지 채워진다.
또한, 상기 방열케이스의 상부에 조명장치에 결합되는 커버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각종 조명장치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조명장치에 구비되는 조명의 열을 통해 훈증방식으로 약액을 살포함으로써 조명장치 주변으로 모여드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을 퇴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여 캠핑 장소에서 캠핑 랜턴 등과 같은 조명장치에 사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간편하기 때문에 캠핑 랜턴은 물론 가정용 조명기구 및 다양한 조명기구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케이스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용기와 용기캡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A-A 선 단면도로서, 약액용기가 결합된 용기캡의 연장부가 제1 가이드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B-B 선 단면도로서, 약액용기가 결합된 용기캡의 연장부가 제2 가이드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존 캠핑 랜턴 등과 같은 조명장치에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캠핑 랜턴 주변으로 모여드는 해충을 막을 수 없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캠핑 랜턴 등과 같은 조명장치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조명장치에 구비된 조명의 열을 통해 훈증방식으로 약액을 살포함으로써 조명장치 주변으로 모여드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을 퇴치할 수 있도록 한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각종 조명장치(1)와 연결되어 조명장치(1)에 구비되는 조명(1a)의 열에 의해 약액(21)을 훈증 방식으로 조명장치(1)의 주변에 살포함으로써 조명장치 (1) 주변으로 모여드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을 살충하거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전달이 가능한 방열케이스(10) 및 방열케이스(10) 내부의 수용부(11)에 삽입되는 약액용기(20)를 포함한다. 약액용기(20)는 방열케이스(10)의 수용부(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약액(21)을 수용부(11)로 배출한다. 수용부(11)로 배출되는 약액(21)은 조명장치(1)의 조명(1a)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증발되어 방열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케이스(10)는 상부가 조명장치(1)에 연결된다. 일예로서 캠핑 랜턴 등과 같은 조명장치(1)에 방열케이스(10)를 결합 시에는 커버(40)를 방열케이스(10) 상부에 결합한 다음 커버(40)를 캠핑 랜턴 등과 같은 조명장치(1)에 결합한다.
커버(40)는 투명체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40)에는 끈 삽입공(41)이 구비된다. 끈 삽입공(41)은 커버(40)의 측면을 따라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끈 삽입공(41)에 끈을 연결한 다음 끈을 사용자에 몸에 고정함으로써 캠핑 랜턴 등과 같은 조명장치(1)를 사용자에 몸에 착용할 수 있다.
방열케이스(10)는 외주를 따라 방열핀(15)이 구비될 수 있다. 방열핀(15)에 의한 방열 작용에 의해 방열케이스(10)의 수용부(11) 온도가 일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일예로서 방열케이스(10)는 열전달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방열케이스(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일 수 있다.
방열케이스(10)의 측면 상부를 따라 수용부(11)와 연통되는 관통공(12)이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부(11)에서 증발된 약액(21)은 관통공(12)을 통해 방열케이스(1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일예로서 관통공(12)은 방열케이스(10)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절개되는 구조일 수 있다.
방열케이스(10)는 캠핑 랜턴, 가정용 조명기구 등과 같은 다양한 조명장치(1)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서 조명장치(1)의 조명(1a)은 LED일 수 있다. 본 발명은 LED 등과 같은 버려지는 조명(1a)의 열을 이용하여 약액(21)을 훈증 방식으로 조명장치(1) 주변에 살포함으로써 조명장치(1) 주변으로 접근하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의 접근을 막거나 살충할 수 있다.
LED 등과 같은 조명(1a)의 열은 열전달이 우수한 열전달판(1b)을 거쳐 방열케이스(10)로 전달된다. 열전달판(1b)은 방열케이스(10)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방열케이스(10)로 전달된 열에 의해 방열케이스(10)의 수용부(11)로 배출되는 약액용기(20)의 약액(21)이 가열되어 증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케이스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방열케이스(10)의 내주를 따라 가이드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가이드홈은 90도 등 간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은 제1 가이드홈(13) 및 제2 가이드홈(14)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홈(13)의 하단(131)과 제2 가이드홈(14)의 하단(141)은 수용부(11)의 바닥(11a)보다 높이 위치한다.
제1 가이드홈(13)은 서로 마주보도록 양측으로 구비된다. 제2 가이드홈(14)은 제1 가이드홈(13)과 이웃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양측으로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용기와 용기캡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저면도이다.
약액용기(20)는 약액 배출부(22)가 바닥(11a)을 향하도록 방열케이스(10)의 수용부(11)에 삽입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약액용기(20)의 약액 배출부(22) 내부에 약액용기(20) 내부의 약액(21)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심지(wick)가 구비될 수 있다. 약액용기(20) 내부의 약액(21)은 수용부(11)의 바닥(11a)으로 급격히 배출되지 않고 심지에 흡수되어 심지를 따라 수용부(11)의 바닥(11a)으로 서서히 배출된다.
약액용기(20)의 약액 배출부(22)에 용기캡(30)이 결합된다. 일예로서 용기캡(30)은 약액 배출부(22)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용기캡(30)의 양측으로 연장부(31)가 구비된다. 연장부(31)는 용기캡(30)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일예로서 연장부(31)의 두께는 용기캡(30)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일 수 있다.
용기캡(30)의 연장부(31) 끝단은 제1 가이드홈(13)을 따라 삽입되어 제1 가이드홈(13)의 하단(131)에 걸리거나 제2 가이드홈(14)을 따라 삽입되어 제2 가이드홈(14)의 하단(141)에 걸릴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기캡(30)은 수용부(11)의 바닥(11a)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용기캡(30)의 저면 중심에는 돌출부(32)가 구비된다. 돌출부(32)는 약액용기(20)의 약액 배출부(22)와 연통된다. 돌출부(32)는 수용부(11)의 바닥(11a)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수용부(11)의 바닥(11a)을 기준으로 제1 가이드홈(13)의 하단(131)이 제2 가이드홈(14)의 하단(141)보다 더 높다. 따라서 용기캡(30)의 연장부(31)를 제2 가이드홈(14)의 하단(141)에 결합할 때보다 용기캡(30)의 연장부(31)를 제1 가이드홈(13)의 하단(131)에 결합할 때 용기캡(30) 돌출부(32)의 높이가 더 높이 위치한다.
약액용기(20)에서 배출되는 약액(21)은 수용부(11)의 바닥(11a)에서 용기캡(30)의 돌출부(32) 끝단(321)까지 채워진다. 약액(21)이 돌출부(32) 끝단(321)까지 채워지면 약액(21)의 배출 통로가 막히면서 대기압에 의해 약액용기(20)의 약액(21)이 더 이상 수용부(11)로 배출되지 않는다.
수용부(11)의 바닥(11a)과 돌출부(32)의 끝단(321) 사이 공간은 수용부(11)의 바닥(11a)에서 상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제1 약액 수용공간(111a) 및 제2 약액 수용공간(111b)을 포함한다. 일예로서 제1 약액 수용공간(111a)의 폭보다 제2 약액 수용공간(111b)의 폭이 더 넓은 폭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용기캡(30)의 연장부(31)가 제1 가이드홈(13)의 하단(131)에 위치 시 용기캡(30)의 돌출부(32)의 끝단(321)은 제2 약액 수용공간(111b)의 상단에 일치한다. 이로 인해 약액용기(20)에서 배출되는 약액(21)은 제2 약액 수용공간(111b)의 상단까지 채워진다.
용기캡(30)의 연장부(31)가 제2 가이드홈(14)의 하단(141)에 위치 시 용기캡(30)의 돌출부(32)의 끝단(321)은 제1 약액 수용공간(111a)과 제2 약액 수용공간(111b) 사이의 경계(111c)에 일치한다. 이로 인해 약액용기(20)에서 배출되는 약액(21)은 제1 약액 수용공간(111a)과 제2 약액 수용공간(111b)의 경계(111c)까지 채워진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의 약액 훈증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도 4의 A-A 선 단면도로서, 약액용기가 결합된 용기캡의 연장부가 제1 가이드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개방된 캠핑 장소에서 사용하는 캠핑 랜턴 등과 같은 조명장치(1)에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를 사용 시에는 가정과 같이 밀폐된 장소의 조명장치에 사용 시 보다 수용부(11)에 수용되는 약액(21)의 량을 늘려 약액(21)의 훈증 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핑 랜턴 등과 같은 조명장치(1)에 장착 시 약액용기(20)와 결합되는 용기캡(30)의 연장부(31)를 제1 가이드홈(13)에 결합한다.
용기캡(30)의 연장부(31)를 제1 가이드홈(13)에 결합하면 용기캡(30)의 돌출부(32) 끝단(321)이 제2 약액 수용공간(111b)의 상단에 위치하므로 용기캡(30)의 연장부(31)를 제2 가이드홈(14)에 결합할 때보다 더 많은 량의 약액(21)을 수용부(11)로 배출하여 수용할 수 있다.
돌출부(32) 끝단(321)이 제2 약액 수용공간(111b)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약액용기(20) 내부의 약액(21)은 약액 배출부(22)와 돌출부(32)를 거쳐 수용부의 바닥으로 배출된다.
약액(21)은 제1 약액 수용공간(111a)의 영역에 먼저 채워진 다음 제1 약액 수용공간(111a)을 넘어서 제2 약액 수용공간(111b)에 채워진다. 약액(21)은 용기캡(30)의 돌출부(32) 끝단(321)과 일치하는 제2 약액 수용공간(111b)의 상단까지 채워진다.
약액(21)이 용기캡(30)의 돌출부(32) 끝단(321)과 일치하도록 채워지면 약액용기(20)의 약액 배출 통로가 막히므로 대기압에 의해 약액용기(20)에서 약액(21)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는다.
제2 약액 수용공간(111b)에 채워진 약액(21)에 LED 등과 같은 조명(1a)의 열에 의해 가열된다.
예컨대, 조명(1a)의 열은 방열케이스(10)에 밀착된 열전달판(1b)을 거쳐 방열케이스(10)에 전달된다. 제2 약액 수용공간(111b)에 채원진 약액(21)은 방열케이스(10)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한다. 증발된 약액(21)은 방열케이스(10)의 관통공(12)을 통해 조명장치(1) 주변으로 배출된다.
약액(21)이 조명장치(1) 주변으로 배출됨에 따라 조명장치(1) 주변으로 모여드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을 살충하거나 접근을 막을 수 있다.
약액(21)의 증발에 의해 제2 약액 수용공간(111b)에 채워진 약액(21)의 수위가 낮아지면 약액용기(20)의 약액 배출 통로가 열리면서 약액용기(20)에서 약액(21)이 배출된다. 제2 약액 수용공간(111b)의 상단까지 약액(21)이 완전히 채워지면 약액용기(20)의 약액 배출 통로가 다시 막히고 대기압에 의해 약액용기(20)에서 약액(21)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도 8은 도 4의 B-B 선 단면도로서, 약액용기가 결합된 용기캡의 연장부가 제2 가이드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를 가정과 같이 밀폐된 장소의 조명장치(1)에 사용 시에는 약액(21)의 배출 량을 줄여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정용 조명기구 등과 같은 조명장치(1)에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를 사용 시에는 약액용기(20)와 결합되는 용기캡(30)의 연장부(31)를 제2 가이드홈(14)에 결합한다.
용기캡(30)의 연장부(31)를 제2 가이드홈(14)에 결합하면 용기캡(30)의 돌출부(32) 끝단(321)이 제1 약액 수용공간(111a)과 제2 약액 수용공간(111b) 사이의 경계(111c)에 위치한다.
따라서, 용기캡(30)의 연장부(31)를 제1 가이드홈(13)에 결합할 때보다 적은 량의 약액(21)을 수용부(11)로 배출하여 수용할 수 있다.
돌출부(32) 끝단(321)이 제1 약액 수용공간(111a)과 제2 약액 수용공간(111b) 사이의 경계(111c)에 위치한 상태에서 약액용기(20) 내부의 약액(21)은 약액 배출부(22)와 돌출부(32)를 거쳐 수용부(11)의 바닥(11a)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약액(21)은 수용부(11)의 바닥(11a)에서 제1 약액 수용공간(111a)까지 채워진다. 약액(21)이 용기캡(30)의 돌출부(32) 끝단(321)과 일치하도록 제1 약액 수용공간(111a)까지 채워지면 약액용기(20)의 약액 배출 통로가 막히므로 대기압에 의해 약액용기(20)에서 약액(21)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는다.
LED 등과 같은 조명(1a)의 열이 방열케이스(10)로 전달되어 제1 약액 수용공간(111a)에 채워진 약액(21)를 가열한다.
제1 약액 수용공간(111a) 내부의 약액(21)은 방열케이스(10)로 전달된 조명(1a)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한다. 증발된 약액(21)은 방열케이스(10)의 관통공(12)을 통해 조명장치(1) 주변으로 배출된다.
약액(21)이 조명장치(1) 주변으로 배출됨에 따라 조명장치(1) 주변으로 모여드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을 살충하거나 접근을 막을 수 있다.
약액(21)의 증발에 의해 제1 약액 수용공간(111a)에 채워진 약액(21)의 수위가 낮아지면 약액용기(20)의 약액 배출 통로가 열리면서 약액(21)이 배출된다. 제1 약액 수용공간(111a)에 약액(21)이 완전히 채워 채워지면 약액용기(20)의 약액 배출 통로가 다시 막히고 대기압에 의해 약액용기(20)에서 약액(21)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조명장치에 간편하게 연결하여 조명장치에 구비되는 조명의 열을 통해 훈증방식으로 약액을 살포함으로써 조명장치 주변으로 모여드는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을 퇴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여 캠핑 장소에서 캠핑 랜턴 등과 같은 조명장치에 사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간편하기 때문에 캠핑 랜턴은 물론 가정용 조명기구 및 다양한 조명기구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조명장치
1a : 조명
1b : 열전달판
10 : 방열케이스
11 : 수용부
11a : 바닥
12 : 관통공
13 : 제1 가이드홈
14 : 제2 가이드홈
15 : 방열핀
20 : 약액용기
21 : 약액
22 : 약액 배출부
30 : 용기캡
31 : 연장부
32 : 돌출부
40 : 커버
41 : 끈 삽입공
111a : 제1 약액 수용공간
111b : 제2 약액 수용공간
111c : 경계
131 : 하단
141 : 하단
321 : 끝단

Claims (10)

  1. 조명장치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측면에 관통공이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는 방열케이스;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서 내부의 약액을 수용부로 배출하는 약액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에 구비되는 조명의 열은 상기 방열케이스를 거쳐 상기 수용부로 배출된 약액에 전달되어 약액을 가열하고, 가열된 약액은 증발하여 상기 관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케이스의 내주를 따라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약액용기의 약액 배출부에 용기캡이 결합되며, 상기 용기캡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연장부가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서로 마주보도록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1 가이드홈; 및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이웃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양측으로 구비되는 제2 가이드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홈과 제2 가이드홈은,
    하단까지의 깊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홈의 하단과 제2 가이드홈의 하단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보다 높이 위치하고,
    상기 방열케이스는,
    외측에 방열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캡의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약액용기의 배출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용기에서 배출되는 약액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서 돌출부의 끝단까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과 돌출부의 끝단 사이 공간은,
    제1 약액 수용공간; 및
    상기 제1 약액 수용공간과 연통하고 제1 약액 수용공간의 위에 위치하는 제2 약액 수용공간;
    을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홈의 하단까지 깊이보다 제2 가이드홈의 하단까지의 깊이가 더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캡의 연장부가 제1 가이드홈의 하단에 위치 시 상기 돌출부의 끝단은 제2 약액 수용공간의 상단에 일치하고 상기 약액용기에서 배출된 약액은 제2 약액 수용공간의 상단까지 채워지며,
    상기 용기캡의 연장부가 제2 가이드홈의 하단에 위치 시 상기 돌출부의 끝단은 제1 약액 수용공간과 제2 약액 수용공간 사이의 경계에 일치하고, 상기 약액용기에서 배출되는 약액은 상기 제1 약액 수용공간과 제2 약액 수용공간의 경계까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케이스의 상부에 조명장치에 결합되는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KR1020200042996A 2020-04-08 2020-04-08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KR10242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996A KR102425357B1 (ko) 2020-04-08 2020-04-08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996A KR102425357B1 (ko) 2020-04-08 2020-04-08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369A true KR20210125369A (ko) 2021-10-18
KR102425357B1 KR102425357B1 (ko) 2022-07-27

Family

ID=7827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996A KR102425357B1 (ko) 2020-04-08 2020-04-08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35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15Y1 (ko) * 2001-07-30 2001-11-22 이기수 훈증기
KR20030079063A (ko) * 2002-04-01 2003-10-10 김창현 전자식 야외용 해충 퇴치기
KR20070007303A (ko) * 2004-03-03 2007-01-15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활성성분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 전구
KR20110008102U (ko) * 2010-02-10 2011-08-18 이성준 살충 기능을 가지는 엘이디 램프
KR20150067775A (ko) 2013-11-28 2015-06-19 조남석 해충 퇴치 훈증기구
KR101665367B1 (ko) * 2015-08-13 2016-10-12 주식회사 비앤비테크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휴대형 훈증장치
KR20170076079A (ko) * 2015-12-24 201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기기
KR20170096662A (ko) * 2016-02-16 2017-08-25 (주)아모레퍼시픽 다양한 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향 발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15Y1 (ko) * 2001-07-30 2001-11-22 이기수 훈증기
KR20030079063A (ko) * 2002-04-01 2003-10-10 김창현 전자식 야외용 해충 퇴치기
KR20070007303A (ko) * 2004-03-03 2007-01-15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활성성분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 전구
KR20110008102U (ko) * 2010-02-10 2011-08-18 이성준 살충 기능을 가지는 엘이디 램프
KR20150067775A (ko) 2013-11-28 2015-06-19 조남석 해충 퇴치 훈증기구
KR101665367B1 (ko) * 2015-08-13 2016-10-12 주식회사 비앤비테크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휴대형 훈증장치
KR20170076079A (ko) * 2015-12-24 201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기기
KR20170096662A (ko) * 2016-02-16 2017-08-25 (주)아모레퍼시픽 다양한 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향 발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357B1 (ko)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1542A (en) Spill-resistant liquid bait station
CA2398586C (en) Insect bait station and reservoir
KR100909587B1 (ko) 이중 살충 베이트 스테이션
US20050198893A1 (en) Insect bait station
US5033229A (en) Liquid delivery bait station
US20080104882A1 (en) Insect bait station
US7937886B2 (en) Spill resistant insect bait station
US6655079B1 (en) Insect bait station
US20180184634A1 (en) Insect control device
KR102425357B1 (ko) 해충 방제용 훈증기구
ES2572558T3 (es) Trampa de cebo para insectos
KR101423262B1 (ko) 해충 포집 장치
JPH08154553A (ja) 昆虫類捕獲装置
KR20120024259A (ko) 개미 제거용 유인구
CN107396916B (zh) 一种一体式驱虫器
EP2732703A1 (en) Bait trap for insects
KR102663926B1 (ko) 해충퇴치 및 방향제용 향기발생장치
ES2589814B1 (es) Dispositivo trampa para insectos.
CN214546741U (zh) 一种组合型蟑螂诱食装置
KR200186567Y1 (ko) 바퀴벌레 유인상자
JP7255922B2 (ja) 匍匐害虫用毒餌剤容器
KR102078264B1 (ko) 모기 퇴치기
KR200289469Y1 (ko) 해충퇴치기
KR20230070982A (ko) 해충퇴치 및 방향제용 향기발생장치
KR101003530B1 (ko) 해충퇴치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