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240A - 다기능 led 랜턴 - Google Patents

다기능 led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240A
KR20230173240A KR1020220073298A KR20220073298A KR20230173240A KR 20230173240 A KR20230173240 A KR 20230173240A KR 1020220073298 A KR1020220073298 A KR 1020220073298A KR 20220073298 A KR20220073298 A KR 20220073298A KR 20230173240 A KR20230173240 A KR 20230173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antern
hook
led array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택
이민환
황대성
Original Assignee
트릴리언스타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릴리언스타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트릴리언스타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3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240A/ko
Publication of KR2023017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9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a change in orientation, a movement or an accel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e.g. a tilt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7/0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7/5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on planar substrates or supports, but arranged in different planes or with differing orientation, e.g. on plate-shaped supports with steps on which light-generating elements are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다기능 LED 랜턴을 개시한다. 다기능 LED 랜턴은, 외형을 형성하는 미들 프레임부와, 상기 미들 프레임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Top) 케이스부와, 톱니구조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탑 케이스부에 장착되는 후크부와, 상기 미들 프레임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Bottom) 케이스부 및 상기 미들 프레임부와 상기 바텀 케이스부 사이의 영역에 구비되는 프레임리스(Frameless) 구조의 LED 어레이 장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LED 랜턴{MULTI-FUNCTION LED LANTERN}
본 발명은 캠핑 등의 레저 활동에서 사용 가능한 다기능 LED 랜턴에 대한 것으로서, 야외 사용 환경에 적합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기능 LED 랜턴에 대한 것이다.
캠핑 등의 레저 활동에 사용되는 LED 랜턴은 일반적으로 텐트나 삼각대에 거치하여 사용하거나, 테이블 위에 올려 두고 사용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LED 랜턴은 외관에 따라 거치형 또는 테이블 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거치형은 단일 방향으로 광원을 집중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또한, 테이블 형은 특정 공간의 전체 방향으로 광원을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LED 랜턴은 특정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설계 되었기 때문에 하나의 랜턴으로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 중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1591호(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는 하우징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무드등과 스팟등의 모드를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조명등 역시 테이블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한정된 목적을 가질 뿐, 거치형으로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 등을 내포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1591호(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60017호(다용도 LED 랜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1233호(스마트 조명 장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06726(캠핑용 엘이디 랜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야외 레저 활동에서 다양한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LED 랜턴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시에 각각의 용도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 시킨 다기능 LED 랜턴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특정 용도로 사용시에 음역 지역을 최대한 줄이고 다양한 조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다기능 LED 랜턴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테이블형 용도로 사용시에 눈부심을 줄이고 거치형으로 사용시 자동으로 조명 상태가 조절되는 다기능 LED 랜턴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거치형 용도로 사용시에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자동으로 조명 상태가 조절되는 다기능 LED 랜턴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사용 환경을 감지하고 감지된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 모드가 제어되는 다기능 LED 랜턴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은, 외형을 형성하는 미들 프레임부와, 상기 미들 프레임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Top) 케이스부와, 톱니구조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탑 케이스부에 장착되는 후크부와, 상기 미들 프레임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Bottom) 케이스부 및 상기 미들 프레임부와 상기 바텀 케이스부 사이의 영역에 구비되는 프레임리스(Frameless) 구조의 LED 어레이 장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탑 케이스부는 상기 후크부가 수납되도록 내측으로 형성되는 후크 수납홈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사각형 반고리 형상의 제1 후크 및 제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크 및 제2 후크는 각각 상측으로 접힌 경우, 상기 복수의 톱니 구조의 홈에 연결되는 연결 고리에 의해 랜턴 몸체의 기울기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미들 프레임부 및 LED 어레이 장착부 사이의 영역에 구비되는 메인 PCB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PCB부는, 랜턴 몸체의 기울기 및 거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와, 상기 랜턴 몸체의 기울기 및 거치 상태에 기초하여 전면부, 4개의 측면부, 측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 각각의 면적에 비례하도록 설치된 LED 어레이들의 온/오프 및 자동 디밍(Auto Dimming)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면부, 4개의 측면부, 측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 각각에 설치된 LED 어레이들을 구동하는 LED 어레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용도로 사용시에 각각의 용도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고, 특정 용도로 사용시에 음역 지역을 최대한 줄이고 다양한 조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형 용도로 사용시에 눈부심을 줄이고 거치형으로 사용시 자동으로 조명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거치형 용도로 사용시에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자동으로 조명 상태가 조절되고, 사용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 모드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어레이 장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을 거치형 용도로 사용하는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LED 소자의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부와 탑 케이스부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을 테이블형 용도로 사용하는 실시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을 삼각대에 거치한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은 프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되고, 외형을 형성하는 미들 프레임부(10), 탑 케이스부(20) 및 바텀(Bottom) 케이스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탑 케이스부(20)는 미들 프레임부(10)의 상측에 커버 형태로 배치되고, 바텀(Bottom) 케이스부(30)는 미들 프레임부(10)의 하측에 커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탑 케이스부(20)의 중앙에는 톱니구조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후크부(110)가 장착되며, 후크부(110)가 수납되도록 탑 케이스부(20) 내측으로 형성된 후크 수납홈(221)을 포함한다. 이때, 후크 수납홈(221)이 내측으로 형성되는 깊이는 후크부(110)가 돌출되지 않도록 후크부(11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소정 길이 만큼 깊게 형성될 수 있다.
탑 케이스부(20)는 도 1을 기준으로 위에서 보는 평면도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일측에 삼각대 또는 스텐드의 스크류를 연결할 수 있는 스크류 연결부(21)를 포함한다.
또한, 탑 케이스부(20)의 일측에는 후크부(110)가 수납된 상태에서 후크부(110)의 조작을 위해 형성된 가이드홈(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223)을 통해 사용자는 후크 수납홈(221)에 수납되어 있는 후크부(110)를 용이하게 상측으로 접을 수 있다.
미들 프레임부(10)와 바텀(Bottom) 케이스부(30) 사이의 영역에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리스(Frameless) 구조의 LED 어레이 장착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부(10)는 돌출된 형태로 속이 비어 있는 PCB 안착부(213) 내측에 장착되는 메인 PCB부를 나사 등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215, 216, 217, 218)을 포함하고, 돌출부(213) 외측의 프레임 외곽에 소정 폭으로 형성된 충격 보호 가이드(219)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Bottom) 케이스부(30)는 LED 불빛을 확산시키는 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Bottom) 케이스부(30)는 내구성 및 LED 불빛의 최적 확산을 위해 확산도 30%의 투명 PC(Polycarbonate)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바텀(Bottom) 케이스부(30)는 총 9개의 입체적 구성을 갖는 LED 어레이 장착부(300)로부터 광량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프레임리스 구조의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어레이 장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어레이 장착부(300)는 프레임리스(Frameless) 구조로, 바텀(Bottom) 케이스부(30)의 바닥면에 접하는 전면부(310), 4개의 측면부(320, 330, 340, 350) 및 각각의 측면부(320, 330, 340, 350)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361, 363, 365, 369)를 포함한다.
LED 어레이 장착부(300)는 바텀(Bottom) 케이스부(30)와 마찬가지로 프레임리스 구조이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광원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고, 4개의 모서리부(361, 363, 365, 369)를 포함하는 9개의 LED PCB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평면구조의 LED 랜턴에 비해 사각지대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110)는 톱니구조의 복수의 홈(401)이 형성되어 있고, 사각형 반고리 형상의 제1 후크(111) 및 제2 후크(113)를 포함한다.
제1 후크(111) 또는 제2 후크(113)는 상측으로 90도 각도로 접힐 수 있고, 이를 위해 후크 수납홈(221)의 일측에 인서트된 힌지(411)에 의해 접철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후크(111) 및 제2 후크(113)는 상측으로 90도 각도로 접힌 경우 , 복수의 톱니 구조의 홈(401)에 연결되는 연결 고리에 의해 랜턴 몸체의 기울기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b의 (a)에 도시된 제1 후크(111)는 복수의 톱니구조 홈들(451a)이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복수의 톱니구조 홈들(451a)은 각각 상단이 둥근 모양을 갖는 직사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연결고리에 의해 거치되는 경우 랜턴 몸체의 기울임에도 연결고리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톱니구조 홈의 길이(432)는 제1 후크 몸체 길이(431) 보다 길게 또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톱니구조 홈의 폭(441)은 홈과 홈 사이의 길이(442)에 비해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 후크를 랜턴 손잡이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b의 (b)에 도시된 제1 후크(111)는 각각 상단이 둥근 모양을 갖는 직사각형 구조이지만, 중심에 위치한 톱니구조의 홈(461e)을 제외한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나머지 톱니구조의 홈들(461a, 461b, 461c, 461d, 461f, 461g, 461h, 461i,)은 중심에 위치한 톱니구조의 홈(461e)으로부터 멀어질 수 록 중심축이 더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랜턴 몸체가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연결고리가 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톱니구조의 홈들(461a, 461b, 461c, 461d, 461f, 461g, 461h, 461i,)은 중심축으로부터 3도씩 더 증가하는 방식으로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도 4b의 (c)에 도시된 제1 후크(111)는 각각 상단이 둥근 모양을 갖는 직사각형 구조이지만, 상기 둥근 모양의 중앙에 연결 고리의 안착을 위한 소형 홈(471a, 471b, 471c, 471d, 471e, 471f, 471g, 471h, 471i,)을 포함할 수 있다. 소형 홈(471a, 471b, 471c, 471d, 471e, 471f, 471g, 471h, 471i,)을 연결고리는 후크부에 좀 더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을 거치형 용도로 사용하는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후크(111)는 탑 케이스부의 상측으로 접힐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이때, 제1 후크(111)는 랜턴 손잡이로 사용되거나 거치를 위해 연결고리를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110)의 톱니구조 홈에 연결고리를 연결할 수 있고, 연결고리를 연결하는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조명 상태를 다양하게 조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는 톱니구조 홈의 가장 바깥쪽에 연결고리를 연결한 상태로 몸체의 기울어짐이 크고, 도 6의 (b)는 (a)에 비해 기울어짐이 덜하고, 도 6의 (c)는 톱니구조의 홈 가장 중앙에 위치한 홈에 연결고리를 연결하여 좌우 균형이 잡힌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은 (b)와 (c)의 경우 모든 LED 어레이가 자동으로 온(On) 되고, (a)의 경우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측면부 및 모서리부에 설치된 LED 어레이는 오프(off) 될 수 있다. 다기능 LED 랜턴이 텐트 내에 설치될 때 자동으로 상측 조명이 오프 됨으로써 거치 환경을 고려한 자동 조명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블록도에 대응하는 장치 또는 소자는 메인 PCB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도 7에 도시된 블록도는 메인 PCB부의 구성으로 칭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인 PCB부는 센서부(710), 제어부(720), LED 어레이 구동부(730)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PCB부는 탑 케이스부(20)의 중앙에 제작사 로고를 레이저마킹하고, 사용시에 로고에 불빛이 들어오도록 백라이트(Backlight)를 구동하는 탑 케이스 백라이트 구동부(740) 및 LED 어레이별로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하도록 구성된 9개의 LED 어레이들(751~7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10)는 랜턴 몸체의 기울기 및 거치 상태를 센싱한다. 여기서, 센서부(710)는 기울기 및 거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및 근접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감지를 위해 자이로 센서를 사용하면, 각속도를 측정한 후 적분 연산 등의 변환 과정에서 누적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이로 센서 대신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면 중력가속도를 이용하여 각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정 연산 없이도 몸체의 기울기 각도의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센서부(710)는 랜턴이 설치된 주변의 환경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환경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감지 센서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따라서, 랜턴이 밀폐된 텐트에 설치되어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센서부(710)는 이를 감지 할 수 있다.
제어부(720)는 랜턴 몸체의 기울기 및 거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면부, 4개의 측면부, 측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 각각의 면적에 비례하도록 설치된 LED 어레이들의 온/오프 및 자동 디밍(Auto Dimming)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c)와 같이 균형 잡힌 상태로 거치되고 근접 감지 센서에 의해 바닥에 놓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20)는 랜턴 몸체의 기울기 및 거치 상태의 센싱에 기초하여 후크부에 의해 거치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20)는 거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LED 어레이 장착부에 설치된 전체 LED 어레이를 모두 온 시키고, 전면부, 측면부 및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LED 어레이의 밝기를 최대 밝기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20)는 상기 랜턴 몸체의 기울기 및 거치 상태의 센싱에 기초하여 상기 탑 케이스부가 바닥에 놓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면부에 설치된 LED 어레이를 오프시키고, 상기 측면부 및 모서리부 각각에 설치된 LED 어레이의 밝기 및 컬러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울기 각도 및 거치 상태를 고려하여 LED 어레이들을 개별 제어 함으로써, 배터리 사용을 절약하고 불필요한 발광면을 선택적으로 오프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720)는 거치 상태 또는 테이블 등에 놓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랜턴을 움직이는 경우를 고려하여, 렌턴 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LED 장착부에 설치된 전체 LED 어레이를 모두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720)는 랜턴 몸체의 기울기 및 거치 상태의 센싱에 기초하여 상기 전면부, 측면부 및 모서리부 중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를 오프시키고, 지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를 최대 밝기로 제어할 수 도 있다.
LED 어레이 구동부(730)는 9개의 LED 어레이들(751~759)을 개별제어 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부(7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면부, 4개의 측면부, 측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 각각에 설치된 LED 어레이들을 구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LED 소자의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타이밍 도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LED 소자가 LED 어레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LED 소자들이 동작 파장별로 개별제어 될 수 있는 경우를 타낸다.
여기서, 상기 전면부, 4개의 측면부, 측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 각각에 설치된 LED 어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500~700nm의 제2 파장을 사용하는 LED 소자와 제2 파장과 다른 제1 파장을 사용하는 LED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500~700nm의 제2 파장을 사용하는 LED 소자는 해충들이 싫어하여 해충의 접근을 막는데 효과적인 파장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파장을 사용하는 경우 원하는 조명에 간섭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차등제어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도 7의 제어부(720)는 상기 제1 파장을 사용하는 LED 소자와 상기 제2 파장을 사용하는 LED 소자의 온/오프가 차등제어 되도록 상기 LED 어레이 구동부(7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제어부(720)는 센서부를 통해 수집되는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환경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주변 환경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파장을 사용하는 LED 만 활성화 되도록 제어하는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파장을 사용하는 LED의 점멸 및 알람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2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20)는 특정 환경 성분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검출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디오 알람과 함께 또는 오디오 알람과는 별개로 LED를 점멸함으로써 외부에 구조가 필요한 상황임을 알릴 수 있다.
도 8의 (a)는 해충의 영향이 많은 장소에서 제1 파장과 제2 파장을 갖는 LED 소자를 각각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온오프 시키는 차등제어 하는 예를 나타내고, (b)는 상대적으로 해충의 영향이 적거나 조명에 영향을 적게 주기 위해 500~700nm의 제2 파장(LED파장 2)의 온 구간을 LED파장 1에 비해 1/2 에서 1/3 수준으로 차등제어 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부와 탑 케이스부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22는 탑 케이스부(2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외곽에 방수를 위해 실링 가스켓(901)을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방수를 위해, 미들 프레임부 역시 충격 보호 가이드 외곽에 실링 가스켓(901)을 삽입하기 위한 가스켓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을 테이블형 용도로 사용하는 실시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탑 케이스부를 바닥에 놓고 바텀 케이스부가 상측에 오도록 놓은 상태(바로 두기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의 (b)는 바텀 케이스부를 바닥에 놓고 탑 케이스부가 상측에 오도록 놓은 상태(뒤집어 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테이블에 광원을 위로 향해 놓아 두면 기울기 감지 센서 및 IR근접센서를 이용하여 테이블 사용 용도에 맞게 최적의 광원을 자동으로 세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부의 LED 어레이는 소등하고, 측면부의 LED 어레이는 따뜻한 색상의 어두운 상태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뒤집어 둔 상태에서는 광원이 테이블에 반사되어 눈부심이 없이 무드등으로 기능을 수행하고, 바닥에 접촉되는 면은 소등함으로써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을 삼각대에 거치한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연결부(21)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LED 랜턴을 삼각대 또는 스탠드에 연결하면 제어부는 기울기를 감지하여 전면부를 최대 밝기로 조절하고 측면부는 모두 소등하도록 LED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외형을 형성하는 미들 프레임부;
    상기 미들 프레임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Top) 케이스부;
    톱니구조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탑 케이스부에 장착되는 후크부;
    상기 미들 프레임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Bottom) 케이스부; 및
    상기 미들 프레임부와 상기 바텀 케이스부 사이의 영역에 구비되는 프레임리스(Frameless) 구조의 LED 어레이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 케이스부는 상기 후크부가 수납되도록 내측으로 형성되는 후크 수납홈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사각형 반고리 형상의 제1 후크 및 제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크 및 제2 후크는 각각 상측으로 접힌 경우, 복수의 톱니 구조의 홈에 연결되는 연결 고리에 의해 랜턴 몸체의 기울기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LED 어레이 장착부는 전면부, 4개의 측면부, 측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LED 랜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프레임부 및 LED 어레이 장착부 사이의 영역에 구비되는 메인 PCB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PCB부는,
    랜턴 몸체의 기울기 및 거치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랜턴 몸체의 기울기 및 거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면부, 4개의 측면부, 측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 각각의 면적에 비례하도록 설치된 LED 어레이들의 온/오프 및 자동 디밍(Auto Dimming)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면부, 4개의 측면부, 측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 각각에 설치된 LED 어레이들을 구동하는 LED 어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LED 랜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랜턴 몸체의 기울기 및 거치 상태의 센싱에 기초하여 상기 탑 케이스부가 바닥에 놓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면부에 설치된 LED 어레이를 오프시키고, 상기 측면부 및 모서리부 각각에 설치된 LED 어레이의 밝기 및 컬러를 변경하고,
    상기 랜턴 몸체의 기울기 및 거치 상태의 센싱에 기초하여 상기 후크부에 의해 거치 상태인지 판단하고, 거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LED 어레이 장착부에 설치된 전체 LED 어레이를 모두 온 시키고, 전면부, 측면부 및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LED 어레이의 밝기를 최대 밝기로 제어하고,
    상기 렌턴 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LED 장착부에 설치된 전체 LED 어레이를 모두 오프시키는
    다기능 LED 랜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랜턴 몸체의 기울기 및 거치 상태의 센싱에 기초하여 상기 전면부, 측면부 및 모서리부 중 지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를 오프시키고, 지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 어레이를 최대 밝기로 제어하는
    다기능 LED 랜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의 일측에 상기 후크부의 조작을 위해 형성된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후크 및 제2 후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후크 수납홈의 일측에 인서트된 힌지에 의해 접철식으로 결합되는
    다기능 LED 랜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는
    복수의 톱니 구조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톱니 구조의 홈은 각각 상단이 둥근 모양을 갖는 직사각형 구조로, 상기 제1 후크의 중심에 위치한 톱니구조의 홈(461e)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톱니구조의 홈들(461a, 461b, 461c, 461d, 461f, 461g, 461h, 461i,)은 상기 중심에 위치한 톱니구조의 홈(461e)으로부터 멀어질 수 록 중심축이 더 기울어져 형성되는
    다기능 LED 랜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는
    복수의 톱니 구조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톱니 구조의 홈은 각각 상단이 둥근 모양을 갖는 직사각형 구조이고, 상기 둥근 모양의 중앙에 연결 고리의 안착을 위한 소형 홈(471a, 471b, 471c, 471d, 471e, 471f, 471g, 471h, 471i,)을 포함하는
    다기능 LED 랜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4개의 측면부, 측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4개의 모서리부 각각에 설치된 LED 어레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500~700nm의 제1 파장을 사용하는 LED 소자와 제1 파장과 다른 제2 파장을 사용하는 LED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파장을 사용하는 LED 소자와 상기 제2 파장을 사용하는 LED 소자의 온/오프가 차등제어 되도록 상기 LED 어레이 구동부를 제어하는
    다기능 LED 랜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수집되는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환경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주변 환경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파장을 사용하는 LED 만 활성화 되도록 제어하는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파장을 사용하는 LED의 점멸 및 알람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2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다기능 LED 랜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프레임부는
    프레임 외곽에 소정 폭으로 형성된 충격 보호 가이드;
    상기 충격 보호 가이드 외곽에 실링 가스켓을 삽입하기 위한 가스켓 삽입부; 및
    상기 충격 보호 가이드 내측에 상기 메인 PCB부가 안착되는 PCB 안착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LED 랜턴.
KR1020220073298A 2022-06-16 2022-06-16 다기능 led 랜턴 KR20230173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298A KR20230173240A (ko) 2022-06-16 2022-06-16 다기능 led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298A KR20230173240A (ko) 2022-06-16 2022-06-16 다기능 led 랜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240A true KR20230173240A (ko) 2023-12-27

Family

ID=8937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298A KR20230173240A (ko) 2022-06-16 2022-06-16 다기능 led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24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233A (ko) 2017-04-28 2018-11-07 박병섭 스마트 조명 장치
KR20190021591A (ko) 2017-08-23 2019-03-06 양재욱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KR102306726B1 (ko) 2021-03-24 2021-09-29 주식회사 세븐플로어 캠핑용 엘이디 랜턴
KR102360017B1 (ko) 2021-07-07 2022-02-08 주식회사 루메나 다용도 led 랜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233A (ko) 2017-04-28 2018-11-07 박병섭 스마트 조명 장치
KR20190021591A (ko) 2017-08-23 2019-03-06 양재욱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조명등
KR102306726B1 (ko) 2021-03-24 2021-09-29 주식회사 세븐플로어 캠핑용 엘이디 랜턴
KR102360017B1 (ko) 2021-07-07 2022-02-08 주식회사 루메나 다용도 led 랜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07832B (zh) 灯具
JP5106245B2 (ja) 冷蔵庫
JP5197172B2 (ja) 冷蔵庫
US6367946B1 (en) Light apparatus for illuminating a compact computer video screen
US7967468B2 (en) Adjustable lighting device
US10582817B2 (en) Toilet seat lighting apparatuses
US8172429B2 (en) Table lamp with rotatable lamp casing
WO2006083922A3 (en) Light emitting reflective hazard alert unit
US10001251B2 (en) Lantern
JP5366686B2 (ja) 冷蔵庫
DK2823229T3 (en) ELECTRONIC LIGHTING DEVICE WITH SIMULATED FLAME
JP4368694B2 (ja) 旋回可能な光学系を備える懐中電燈
US10865980B1 (en) Configurable security light
KR20230173240A (ko) 다기능 led 랜턴
KR101243625B1 (ko) 모래시계형 조명기구
JP5221212B2 (ja) 照明付コンパクト容器
US11867388B2 (en) Lamp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20040257831A1 (en) Illuminating decoration for skateboard
JP7028655B2 (ja) 便座装置
KR101466012B1 (ko) 와인병 거치대
US10823385B1 (en) Frame lamp
KR101252659B1 (ko) 다기능 탁상용 스탠드
US20040125606A1 (en) Box type sensor lamp
US20210048151A1 (en) Edge-lit plate-form lamp
JP3226804U (ja) 照明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