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645A -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645A
KR20190020645A KR1020187027268A KR20187027268A KR20190020645A KR 20190020645 A KR20190020645 A KR 20190020645A KR 1020187027268 A KR1020187027268 A KR 1020187027268A KR 20187027268 A KR20187027268 A KR 20187027268A KR 20190020645 A KR20190020645 A KR 20190020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r
shear portion
tubular member
end portion
elong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토 그뤼블러
로돌포 볼퍼
보그단 비가루
스티븐 티. 찰스
토마스 린지
Original Assignee
노바르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르티스 아게 filed Critical 노바르티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20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09Instruments for removing foreign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 A61F9/00763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with rot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elements, e.g. concentric cutt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A61F9/0133Knives or scalpe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bstract

기본 조직으로부터 증식 멤브레인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가 본원에서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층분리 장치는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 중 하나가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 중 다른 하나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전단 부분 중 하나 이상이 그 선행 연부에 형성된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단 부분의 동작에 의해서 생성되는 전단 작용을 이용하여, 증식 멤브레인을 결합시키는 섬유를 기본 조직으로부터 절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내용의 전부가 참조로 포함되는, 2016년 6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352,486호의 이익 향유를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 내용은, 증식당뇨망막병(PDR) 및 증식유리체망막병(PVR)의 결과로서 망막에 형성되는 증식 멤브레인 또는 반흔 조직의 제거와 같은, 망막 견인(retinal traction)을 제거하기 위한 그리고 기본 조직으로부터 멤브레인을 층분리 또는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는 제1 전단 부분; 제1 전단 부분에 대해서 피벗 가능한 제2 전단 부분; 및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관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단 부분은 제1 길이방향을 따른 관형 부재의 길이방향 변위에 응답하여 제1 측방향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고, 제2 전단 부분은 제1 길이방향에 반대인 제2 길이방향을 따른 관형 부재의 길이방향 변위에 응답하여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측방향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제1 측방향을 따른 제2 전단 부분의 이동은, 제2 전단 부분을 제2 측방향을 향해서 압박하는 편향력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전단 부분은 제1 전단 부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단 부분은 핀형 연결부(pinned connection)를 통해서 제1 전단 부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2 전단 부분은 핀형 연결부로부터 근위적으로 연장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편향 부재가 제1 측방향을 따른 제2 전단 부분의 이동에 응답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제2 전단 부분을 제2 측방향을 향해서 압박하는 편향력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전단 부분은, 제2 전단 부분의 측방향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램프(ramp)를 형성하는 결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는 또한 제1 세장형 부재 및 제1 세장형 부재에 대해서 피벗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제2 세장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은 제1 세장형 부분의 원위 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전단 부분은 제2 세장형 부재의 원위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관형 부재는 내강(lumen)을 형성할 수 있고, 그러한 내강을 통해서 제1 세장형 부재 및 제2 세장형 부재가 연장된다. 제1 길이방향을 따른 관형 부재의 이동은, 관형 부재가 제2 세장형 부재와 결합되어 제2 세장형 부재가 제1 측방향을 따라 측방향으로 변위되게 하고 제2 세장형 부재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하여 편향력을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제2 길이방향을 따른 관형 부재의 이동은 제2 세장형 부재가 편향력에 응답하여 제2 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제1 세장형 부재 및 제2 세장형 부재는 분할된 와이어의 대향 측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은, 관형 부재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성분을 가지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단 부분은,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이 함께 포개지도록 제1 전단 부분의 곡률에 상보적인 곡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 또는 제2 전단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선행 연부를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 또는 제2 전단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뾰족한 선행 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는 관통 연장되는 내강을 형성하고 길이방향 축을 형성하는 관형 부재; 관형 부재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관형 부재에 대해서 고정된 제1 전단 부분; 관형 부재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핀형 연결부에서 제1 전단 부분에 대해서 피벗 가능한 제2 전단 부분; 내강 내에 배치되고 내강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세장형 부재로서, 그 원위 단부에 형성된 제3 슬롯을 포함하는, 세장형 부재; 및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은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전단 부분은 길이방향 축에 비스듬한 각도로 형성된 제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슬롯은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의 근위 단부들을 수용할 수 있다. 핀은 세장형 부재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3 슬롯을 가로질러 그리고 제1 전단 부분의 제1 슬롯을 통해서 그리고 제2 전단 부분의 제2 슬롯을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전단 부분은 제1 길이방향을 따른 세장형 부재의 길이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제1 각도 방향으로 핀형 연결부 주위로 피벗될 수 있고, 제2 전단 부분은 제1 길이방향에 반대인 제2 길이방향을 따른 세장형 부재의 길이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제1 각도 방향에 반대되는 제2 각도 방향을 따라 핀형 연결부 주위로 피벗될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은, 오목한 곡선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전단 부분은, 볼록한 곡선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의 곡선형 형상은,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의 원위 단부의 각각을 서로를 향해서 압박하는 편향력을 생성할 수 있다. 핀형 연결부는, 관형 부재,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을 통해서 연장되는 제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은, 관형 부재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성분을 가지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단 부분은,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이 함께 포개지도록 제1 전단 부분의 곡률에 상보적인 곡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 또는 제2 전단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선행 연부를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 또는 제2 전단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뾰족한 선행 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그리고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 모두가 본질적으로 예시적 및 설명적인 것이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본 개시 내용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 내용의 부가적인 양태, 특징, 및 장점이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층분리 장치의 전단 부분에서 이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치형부 설계를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층분리 장치의 전단 부분에서 이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선행 연부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층분리 장치의 전단 부분에서 이용하기 위한 부가적인 치형부 설계를 도시한다.
도 15는 치형부의 선행 연부를 따라 형성된 표면 특징부를 도시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층분리 장치의 전단 부분에서 이용하기 위한 부가적인 선행 연부를 도시한다.
도 19는 기본 조직으로부터 멤브레인을 절단하는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제2 전단 부분에 대한 제1 전단 부분의 이동을 위한 예시적인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22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의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 그리고 연관된 제1 및 제2 전단 부분의 횡단면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3 및 도 24는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의 부분적이고 횡단면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곡선형 형상을 가지는 예시적인 전단 부분을 도시한다.
도 26 내지 도 30은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31a 및 도 31b는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의 도면이다.
도 32는 도 31a 내지 도 31c의 층분리 장치의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을 도시한다.
도 33은 곡선형 형상을 가지는 제1 전단 부분 및 편평한 형상을 가지는 제2 전단 부분을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34 내지 도 37은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38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전단 부분을 가지는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39는 길이방향 이동을 회전 이동으로 변환하는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메커니즘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1 내지 도 43은 전단 부분의 선행 연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는 부가적인 치형부 설계를 도시한다.
도 44 내지 도 46은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47은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를 도시한다.
본 개시 내용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이제 도면에 도시된 구현예를 참조할 것이고, 특정의 언어가 그러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시 내용의 범위에 대한 제한이 의도되지 않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개시 내용과 관련된 당업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은, 설명된 장치, 기구, 방법, 및 본 개시 내용의 원리의 임의의 추가적인 적용에 대한 임의 변경 및 추가적인 수정이 완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일 구현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단계가 본 개시 내용의 다른 구현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단계와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설명은, 일반적으로, 안과의 맥락으로, 예를 들어, 유리체를 망막에 결합시키는 섬유를 절단함으로써, 특히 눈의 망막으로부터 멤브레인을 제거하는 그리고 망막으로부터 유리체 견인을 제거하는 맥락으로, 전개된다. 유리체와 망막 사이의 연결부를 절단하는 것은, 망막 파열과 같은 망막에 대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유리체에 의해서 망막에 가해지는 견인 또는 당김을 제거한다. 그러나, 개시 내용의 범위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원에서 제공된 설명은, 기본 조직으로부터 멤브레인 또는 조직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 다른 의료 기술 분야 또는 기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PDR 및 PVR의 결과로서 망막에 형성되는 증식 멤브레인 또는 반흔 조직의 제거와 같은, 멤브레인을 기본 조직으로부터 층분리 또는 제거하기 위한 그리고 망막으로부터 유리체 견인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 내용의 범위 내의 층분리 장치는 재사용될 수 있거나 한번의 사용 후에 폐기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의 층분리 장치는, 망막과 같은 민감한 조직에 인접하여 체류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전단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직에 인접하여 체류하도록 만들어진 이러한 전단 부분은, 조직을 찌를 수 있는 뾰족한 지점을 가지지 않고, 그에 의해서 이러한 조직의 부상 위험을 감소시킨다. 또한, 많은 구현예에서,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의 그리고 본원에 포함된 예 중 몇몇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층분리 장치의 양(both) 전단 부분은, 민감한 조직에 걸리거나 찌를 수 있는 뾰족한 지점을 가지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의 층분리 장치는 진공을 인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층분리 장치는 진공 압력의 결과로서 망막을 구속하게 되는 위험을 제거한다.
도 1은 제2 전단 부분(104)에 인접한 제1 전단 부분(102)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100)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층분리 장치(100)의 제1 전단 부분(102) 및 제2 전단 부분(104)은 일반적으로 편평한, 평면형 부재이다. 그러나, 개시 내용의 범위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전단 부분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하는 곡선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은 컵-형상 또는 U-형상일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102)은 제2 전단 부분(104)에 대해서, 화살표(106 및 108)로 표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전단 부분(104)에 대한 제1 전단 부분(102)의 이러한 상대적인 이동은, 바람직하지 못한 멤브레인을 망막에 결합하는 섬유를 층분리 장치(100)가 절단할 수 있게 하는 전단 작용을 생성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전단 부분(104)이 또한 제1 전단 부분(102)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 시에, 층분리 장치(100)가 기본 망막으로부터 멤브레인을 절단하도록 만들어짐에 따라, 제2 전단 부분(104)은 망막에 직접 인접하여 배치된다. 그에 따라, 망막에 대한 제2 전단 부분(104)의 이동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는, 그러한 이동에 의해서 제2 전단 부분(104)이 망막을 절단하거나 달리 손상시키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2 전단 부분(104)의 상대적인 이동은, 망막 내의 파열을 유발할 수 있거나 망막의 일부가 눈으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유발할 수 있는, 망막 견인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층분리 장치(100)가 공압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층분리 장치(100)는, 전기, 초음파, 유압, 또는 수동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장치 중 임의의 장치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설명된 그리고 개시 내용의 범위 내의 장치 중 임의의 장치가 공압, 전기, 초음파, 유압, 또는 수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수동으로 작동되는 층분리 장치의 수동적인 동작의 맥락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으로 층분리 장치의 전단 부분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임의 유형의 작동 파워가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층분리 장치(100)의 제2 전단 부분(104)을 도시한다. 제1 전단 부분(102)은, 점선에 의해서 형성된 지역 내에 포함되는, 곡선형 선행 연부(110) 및 그러한 선행 연부(110)를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치형부(112)를 포함한다. 곡선형 선행 연부(110)는 또한 망막에 대한 손상 방지에 도움을 준다. 직사각형 슬롯(114)은 인접한 치형부들(112) 사이에 형성되고, 각각의 치형부(112)의 원위 연부(116)는 각각의 치형부(112)의 인접 벽들(120)과 함께 뾰족한 지점(118)을 형성한다.
도 3 및 도 4는 제2 전단 부분(104)의 다른 설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2 전단 부분(104)과 유사하게, 도 3에 도시된 제2 전단 부분(304)은 곡선형 선행 연부(310) 및 그러한 선행 연부(310)를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치형부(312)를 또한 포함한다. 여기에서, 치형부(112)는 둥근 원위 연부(316)를 갖는다. 부가적으로, 인접 치형부들(312) 사이에 형성된 슬롯(314)의 근위 단부(322)가 또한 둥글다. 둥근 원위 연부(316) 및 근위 단부(322)는 또한, 외측으로-미는 힘(예를 들어, 망막에서 견인을 생성하는 가위의 폐쇄로 생성되는 힘)을 감소시킴으로써 그리고 망막의 표면에 걸릴 수 있는 뾰족한 지점을 제거함으로써, 망막에 대한 부상 방지에 도움을 준다.
도 4에 도시된 제2 전단 부분(404)은, 선행 연부(410) 내로 형성된 원형 슬롯(414)에 의해서 형성된 복수의 치형부(412)를 포함하는 직선형 선행 연부(410)를 포함한다. 치형부(412)는 또한 망막 부상 가능성을 감소시키는데, 이는 원형 슬롯(414)의 결과로서 치형부(412)의 형상이, 전단과 연관된 외측으로-미는 힘에 반대로 작용하는 내측으로-당기는 힘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상이한 형상들을 갖는 층분리 장치의 제2 전단 부분의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1은 상이한 형상들을 갖는 제1 전단 부분(102) 및 제2 전단 부분(104)을 도시한다. 그러나,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전단 부분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상 중 임의의 형상에 상응하는 동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추가적으로, 제1 전단 부분 또는 제2 전단 부분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형상 중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의 형상들이 상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제1 전단 부분(102)을 도시한다. 일부 경우에,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의 선행 연부의 곡률 또는 형상이 서로 상응한다. 즉, 제1 전단 부분이 곡선형 선행 연부를 가지는 경우에, 제2 전단 부분의 선행 연부가 또한 곡선형이다. 유사하게, 제1 전단 부분의 선행 연부가 직선형인 경우에, 제2 전단 부분의 선행 연부가 또한 직선형이다. 또한, 제1 및 제2 전단 부분의 선행 연부의 형상은 곡선형이나 직선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제1 및 제2 전단 부분의 선행 연부의 형상이 임의의 희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10은, 제1 전단 부분 또는 제2 전단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선행 연부 형상을 도시한다. 특히, 도 6은 물결형 또는 사인파형 선형 연부 형상을 도시한다. 도 7은 오목한 V-형상 선행 연부를 도시하고, 도 8은 볼록한 V-형상 선행 연부를 도시한다. 도 9는 오목한 초승달형 또는 궁형-형상의 선행 연부를 도시한다. 도 10은 둥근 선단부를 갖는 일련의 삼각형 돌출부를 갖는 선행 연부를 도시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선행 연부의 일반적인 형상을 도시하고,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치형부는 도시하지 않았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나,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선행 연부를 따라 형성된 치형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도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 16 내지 도 18은, 제1 전단 부분 및 제2 전단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선행 연부의 부가적인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 내용에서 설명된 임의 형상에 따른 선행 연부를 가지는 전단 부분은 치형부를 포함할 수 있거나 그로부터 치형부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그 내부에 형성된 임의 치형부가 임의의 희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이 전단 부분의 선행 연부의 수많은 예를 제공하나, 범위는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선행 연부는 임의의 희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부에 그리고 선행 연부를 따라 형성된 치형부는 또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다양한 치형부 및 슬롯 형상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은 모따기된 원위 단부를 가지는 치형부 및 둥근 근위 단부를 가지는 삼각형-형상의 슬롯을 도시한다. 도 12는 또한 도 11의 슬롯에 비하여 반전된 슬롯을 가지는 삼각형 슬롯을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슬롯의 모서리는 둥글다. 도 13은 둥근 원위 및 근위 단부를 갖는 세장형 슬롯을 도시한다.
도 41 내지 도 43은, 연관된 예시적인 치수와 함께 선행 연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는 부가적인 치형부를 도시한다. 도 41은 둥근 근위 단부를 가지는 삼각형-형상의 슬롯을 갖는 뾰족한 단부를 구비한 치형부를 도시한다. 도 42는 둥근 근위 단부를 가지는 삼각형-형상의 슬롯을 갖는 모따기된 원위 단부를 구비한 치형부를 도시한다. 도 43은 원형 슬롯이 사이에 형성된 모따기된 선단부들을 갖는 치형부를 도시한다. 도 43에 도시된 치형부의 형상이, 외측으로-미는 힘에 반대되는, 내측으로-당기는 힘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개시 내용이 전단 부분 내에 형성된 치형부의 설계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형성된 그러한 치형부의 수 모두에 관한 많은 예를 제공하지만, 형성될 수 있는 치형부의 수는 전단 부분의 크기뿐만 아니라 치형부의 기하형태 및 크기 모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단 부분 내에 형성되는 치형부의 수가 10개의 치형부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치형부의 수가 2개일 수 있다. 다시,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고, 임의 수의 치형부가 전단 부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치형부의 원위 단부는 또한 내부에 형성된 텍스처(texture) 또는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부의 원위 단부는, 곡선형 또는 직선형이든 간에, 매끄럽고, 연속적인 연부를 형성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14는 윤곽이 내부에 형성된 원위 연부(1416)를 갖는 치형부(1412)를 구비한 전단 부재(1400)를 도시한다. 치형부(1412)의 원위 연부(1416)가 일반적으로 둥근 프로파일을 가지지만, (도 15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지그-재그 형상의 윤곽(1424)이 원위 연부(1416)를 따라서 형성된다. 비록 지그-재그 형상이 도시되어 있지만, 치형부의 원위 연부가 임의의 희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전단 부분 또는 제2 전단 부분 중 하나의 형상이 제1 전단 부분 또는 제2 전단 부분 중 다른 하나 내에 형성된 상응하는 형상과 상이하거나 그로부터 변경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전단 부분 중 임의의 전단 부분은, 예를 들어 물리 기상 증착을 이용하여, 규소 탄화물(SiC) 또는 다이아몬드로 코팅될 수 있다. 도포된 코팅은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고 표면 경도를 높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코팅을 가지는 층분리 장치는 동작 중에 금속 입자의 생성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도 19는 기본 망막(1904)으로부터 멤브레인(1902)을 절단하는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1900)의 개략적 측면도 또는 입면도이다. 제2 전단 부분(1908)에 대한 (도 19의 평면 내외로의 방향을 따른) 제1 전단 부분(1906)의 측방향 전단 이동은 멤브레인(1902)을 망막(1904)에 결합시키는 섬유(1910)를 절단하는 한편, 망막(1904)에 가하지는 견인을 감소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전단 부분(1908)의 측방향 이동이 실질적으로 방지되거나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즉, 제2 전단 부분의 실질적으로 감소된 측방향 이동은, 섬유를 절단하기 위한 제2 전단 부분의 측방향 이동이 감소되고, 그에 따라 제2 전단 부분의 측방향 이동이 층분리 장치의 전단 작용과 관련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전단 부분의 이동은, 예를 들어 멤브레인의 연속적인 제거를 위해서 층분리 장치를 망막에 대한 다른 지역에 재배치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
도 19에서, 간극(1912)이 제1 전단 부분(1906)과 제2 전단 부분(1908) 사이에 도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구현예의 하나 이상이 제1 전단 부분과 제2 전단 부분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이용할 수 있지만, 개시 내용의 범위는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경우에, 제1 및 제2 전단 부분의 인접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및 제2 전단 부분의 서로에 대한 이동의 전부 또는 일부 중에,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제1 및 제2 전단 부분 각각의 선행 연부를 따른 제1 및 제2 전단 부분의 인접 표면은, 층분리 장치의 관절운동(articulation) 중에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제2 전단 부분에 대한 제1 전단 부분의 이동을 위한 예시적인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20 및 도 21은, 제1 세장형 부재(2004)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 제1 전단 부분(2002) 및 제2 세장형 부재(2008)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 제2 전단 부분(2006)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2000)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 전단 부분(2002 및 2006)은 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전단 부분(2002)이 제2 전단 부분(2006) 내에 포개진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전단 부분(2002) 및 제2 전단 부분(2006)이 컵 형상 이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전단 부분(2002) 및 제2 전단 부분(2006)이 편평한 또는 평면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록 도 20 및 도 21이, 각각의 선행 연부 내에 치형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1 전단 부분(2002) 및 제2 전단 부분(2006)을 도시하지만, 개시 내용의 범위는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제1 전단 부분(2002) 또는 제2 전단 부분(2006)의 선행 연부 중 하나 또는 모두가 내부에 형성된 치형부를 가질 수 있다. 치형부 및 인접 치형부들 사이에 형성된 슬롯의 형상 및 크기는 임의의 희망 크기 및 형상일 수 있고, 본원에서 설명된 치형부 및 슬롯 설계 중 임의의 설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제1 세장형 부재(2004) 및 제2 세장형 부재(2008)는, 예를 들어, 핀 조인트, 용접 조인트에 의해서, 또는 일부 다른 방식으로 함께 결합되는 분리된 구성요소들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제1 세장형 부재(2004) 및 제2 세장형 부재(2008)는, 예를 들어, 전자 방전 가공, 레이저 절단에 의해서, 또는 일부 다른 방식으로 분할된 와이어의 대향 측면들일 수 있다. 제1 세장형 부재(2004) 및 제2 세장형 부재(2008)가 와이어의 대향 측면들을 형성하는 그러한 경우에, 제1 세장형 부재(2004) 또는 제2 세장형 부재(2008) 중 하나가 서로에 대해서 굽혀질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세장형 부재(2008)는, 층분리 장치(2000)의 나머지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와이어의 나머지와 정렬되어 유지될 수 있는 한편, 제1 세장형 부재(2004)는 제2 세장형 부재(2008)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층분리 장치(2000)는 또한, 제1 세장형 부재(2004) 및 제2 세장형 부재(2008)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관(2010)을 포함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서, 제1 세장형 부재(2004) 및 제2 세장형 부재(2008)가 비스듬하게 배열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장형 부재(2004) 및 제2 세장형 부재(2008)가 각도(α)를 형성한다. 관(2010)이 화살표(2012)의 방향으로 원위적으로 제1 위치로부터 변위될 때, 제1 세장형 부재(2004) 및 제1 전단 부분(2002)은 화살표(2014)를 따라 제2 세장형 부재(2008) 및 제2 전단 부분(2006)에 대해서 피벗되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단 부분(2002)을 제2 전단 부분(2006)에 대해서 재배치한다. 관(2010)이, 화살표(2012)의 방향에 반대되는, 도 21에 도시된 화살표(2016)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 세장형 부재(2004) 및 제1 전단 부재(2002)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장형 부재(2008) 및 제2 전단 부재(2006)에 대한 그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전단 부분(2002)은, 제1 전단 부분(2002)을 제2 전단 부분(2006)을 향해서 편향시키는 굽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편향은 층분리 장치(2000)의 작동 중에 제1 전단 부분과 제2 전단 부분(2006) 사이의 접촉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예를 들어, 멤브레인을 망막에 연결하는 섬유의 절단을 보장한다.
도 22는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2004 및 2008) 그리고 연관된 제1 및 제2 전단 부분(2002 및 2006)의 횡단면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 세장형 부재(2004 및 2008) 그리고 제1 전단 부분(2002) 및 제2 전단 부분(2006) 중 하나 이상이, 스테인리스 강 또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중합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또는 바람직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2002)을 제2 전단 부분(2006)에 대해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멤브레인을 층분리하기 위해서 또는 유리체 견인을 제거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에 더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다른 층분리 장치 중 임의의 장치뿐만 아니라, 층분리 장치(2000)는, 예를 들어 전단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서 이동되지 않을 때, 주걱(spatula)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2300)의 부분적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층분리 장치(2300)는 내강(2304)을 형성하는 관형 부재(2302), 그리고 내강(2304), 제1 전단 부분(2308) 및 제2 전단 부분(2312)을 통해서 연장되는 세장형 부재(2306)를 포함한다. 제2 전단 부분(2312)은 세장형 부재(2306)의 원위 부분(2310) 상에 형성된다. 제1 전단 부분(2308)이 제2 전단 부분(2321)에 대해서 피벗 가능하도록, 제1 전단 부분(2308)이 세장형 부재(2306)의 원위 부분(2310)에 부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전단 부분(2312), 원위 부분(2310), 및 세장형 부재(2306)가 하나의, 일체형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2 전단 부분(2312), 원위 부분(2310), 및 세장형 부재(2306) 중 하나 이상이, 함께 커플링된 별개의 구성요소들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제1 전단 부분(2308)은 핀형 연결부(2214)를 통해서 원위 부분(231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2308)은 또한, 제1 전단 부분(2308)의 근위 단부에 형성된 편향 부재(2316) 및 결합 표면(2318)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결합 표면(2318)은,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단 부분(2308)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램프를 형성할 수 있다. 편향 부재(2316)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방향 위치에서 제1 전단 부분(2308)을 편향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 결합 표면(2318)은 관형 부재(2302)의 원위 단부(2320)와 접촉되도록 동작될 수 있고, 그러한 접촉은,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단 부분(2308)이 핀형 연결부(2314)를 중심으로 피벗되게 하고 제1 측방향 위치로부터 제2 측방향 위치로 변위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전단 부분(2312)은 원위 부분(2310)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단 부분(2312)은 원위 부분(2310)에 대해서 고정된다. 따라서, 제2 전단 부분(2312)은 세장형 부재(2306) 상에서 고정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전단 부분(2308)의 원위 단부는 제2 전단 부분(2312)의 원위 단부를 넘어서 원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전단 부분(2308) 및 제2 전단 부분(2312)의 원위 단부들이 동일 위치에서 종료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관형 부재(2302)는 세장형 부재(2306)에 대해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특히, 관형 부재(2302)는 세장형 부재(2306)에 대해서 왕복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 관형 부재(2302)는 세장형 부재(2306) 위에서 그리고 그에 대해서 왕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분리 장치(2300)가 표면, 예를 들어 망막의 표면에 대해서 고정된 위치를 가질 때와 같은, 층분리 장치(2300)의 동작 중에, 관형 부재(2302)가 세장형 부재(2306)에 대해서 왕복될 때, 제2 전단 부분(2312)은 표면에 대해서 정지적으로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제2 전단 부분(2312)은 층분리 장치(2300)의 작동 중에 망막 표면에 대해서 정지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동작 시에, 제1 전단 부분(2308)은 제2 전단 부분(2312)에 대해서 피벗 가능하게 진동된다. 제2 전단 부분(2312)에 대한 제1 전단 부분(2308)의 진동 이동은,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망막으로부터 멤브레인을 절단하는 기능을 한다. 도 23은 관형 부재(2302)를 후퇴 위치에서 도시한다. 관형 부재(2302)가 후퇴 위치일 때, 편향 부재(2316)의 근위 단부(2324)가 관형 부재(2302)의 내부 표면(2326)과 결합되어, 제1 전단 부분(2308)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방향 위치에 피벗식으로 배치되게 한다. 관형 부재(2302)가 원위적으로 연장될 때, 관형 부재(2302)의 원위 단부(2320)가 결합 표면(2318)과 결합되어, 제1 전단 부분(2308)이 화살표(2328)의 방향으로 핀형 연결부(2314)를 중심으로 피벗되게 한다. 관형 부재(2302)가 원위적으로 계속 연장됨에 따라, 제1 전단 부분(2308)이 핀형 연결부(2314)를 중심으로 피벗될 뿐만 아니라, 편향 부재(2316)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이는 제1 전단 부분(2308)을 제1 측방향 위치를 향해 다시 압박하는 편향력을 생성한다.
관형 부재(2302)가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제1 전단 부분(2308)은 도 24에 도시된 제2 측방향 위치에 위치된다. 관형 부재(2302)가 도 23에 도시된 그 완전 후퇴 위치로 다시 후퇴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된 편향 부재(2316)에 의해서 생성된 편향력의 결과로서, 제1 전단 부분(2308)은 제1 측방향 위치로 다시 압박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예에서, 제2 전단 부분(2312)은 외부 기준에 대해서 정지적으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망막에 인접하여 눈 내에 존재할 때, 제1 전단 부분(2308)이 전술한 바와 같이 왕복될 때에도, 제2 전단 부분(2312)은 망막에 대해서 정지적으로 유지된다.
도 25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층분리 장치(2300) 내에 포함된 제1 및 제2 전단 부분(2308 및 2312) 대신 이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전단 부분(2512 및 2522)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제1 및 제2 전단 부분(2512 및 2522)은 각각 그 내부에 형성된 곡률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전단 부분(2512 및 2522)의 그러한 곡률은, 도 23에 도시된 길이방향 축(2326)과 같은, 층분리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1 및 제2 전단 부분(2512 및 2522)이 그 각각의 선행 연부 내에 형성된 치형부가 생략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 전단 부분(2512 및 2522)의 다른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치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단 부분의 형상, 치형부의 수 및 형상, 그리고 인접한 치형부들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형상은, 본원에서 개시된 치형부 또는 간극의 임의의 수, 크기, 또는 형상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전단 부재의 크기 또는 형상을 포함한, 임의의 희망 형상 또는 수가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30은 제1 전단 부분(2604) 및 제2 전단 부분(2614)을 가지는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2600)를 도시한다. 도 26은 층분리 장치(2600)의 부분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26에서, 관형 부재(2602) 및 제2 전단 부분(2614)이 도시되어 있다. 제2 전단 부분(2614)은 관형 부재(2602)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피벗 핀(2606)은 제2 전단 부분(2614)을 통해서 연장된다. 일부 경우에, 피벗 핀(2606)은 관형 부재(2602)를 통해서 연장되고 그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피벗 핀(2606)의 대향 단부들이 관형 부재(2602)의 내부 표면(2608)에 고정될 수 있다. 슬롯(2610)이 제2 전단 부분(2614)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슬롯(2610)은 제2 전단 부분(2614)의 근위 단부(261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27은 층분리 장치(2600)의 제1 전단 부분(2604)을 도시한다. 제1 전단 부분(2604)은, 피벗 핀(2606)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개구(2616)를 포함한다. 제1 전단 부분(2604)은 또한 그 내부에 형성된 슬롯(2618)을 포함한다. 슬롯(2618)은, 제1 전단 부분(2604)의 길이방향 축(2622)에 비스듬한 제1 축(2620)을 따라서 연장된다.
도 28 및 도 29는, 함께 조립된 제1 및 제2 전단 부분(2604 및 2614)을 가지는 층분리 장치(2600)의 부분적이고 횡단면적인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부재(2624)가 관형 부재(2602)의 내강(2626) 내에 배치되고 내강(2626) 내에서 왕복되게 동작될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2604) 및 제2 전단 부분(2614)의 근위 단부가 세장형 부재(2624)의 원위 단부 내에 형성된 (도 30에 도시된) 슬롯(2627) 내로 수용된다. 핀(2628)은, 슬롯(2627)을 가로질러, 세장형 부재(2624)를 통해 연장되고, 제1 전단 부분(2604) 내에 형성된 슬롯(2618) 내에 수용된다. 핀(2628)은 또한 제2 전단 부분(2614) 내에 형성된 슬롯(26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핀(2628)은 세장형 부재(262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세장형 부재(2624)가 왕복될 때,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2628)은 슬롯(2618)을 올라탄다(rides along). 길이방향 축(2622)에 대한 슬롯(2618)의 비스듬한 각도로 인해서, 슬롯(2618) 내의 핀(2628)의 이동은 제1 전단 부분(2604)이 핀(2606)을 중심으로 피벗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28에서, 화살표(2630)의 방향을 따른 세장형 부재(2624)의 연장 위치로의, 예를 들어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의 변위는 제1 전단 부분(2604)이 화살표(2632) 방향을 따라 핀(2606)을 중심으로 피벗되게 한다. 유사하게, 화살표(2634)의 방향을 따른 세장형 부재(2624)의 후퇴 위치로의, 예를 들어 완전히 후퇴된 위치로의 변위는 제1 전단 부분(2604)이 화살표(2636) 방향을 따라 핀(2606)을 중심으로 피벗되게 한다. 따라서, 세장형 부재(2624)의 왕복은 제1 전단 부분(2604)의 원위 단부(2638)가 제2 전단 부분(2614)의 원위 단부(2640)에 대해서 이동되게 하여, 기본 망막으로부터 멤브레인을 분리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전단 작용을 초래한다. 관형 부재(260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2605)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2605)은, 제1 전단 부분(2604)이 핀(2606)에 대해서 왕복될 때, 제1 전단 부분(2604)의 근위 단부(2611)를 수용하기 위한 릴리프(relief)를 제공한다.
층분리 장치(2600)의 제1 및 제2 전단 부분(2604 및 2614)이 편평한 것으로 그리고 그 각각이 그 선행 연부에 형성된 치형부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개시 내용의 범위는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제1 및 제2 전단 부분(2604 및 2614)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컵 형상과 같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컵 형상은 도 20, 도 21, 도 22 또는 도 2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단 부분(2604 및 2614) 중 하나 이상이 치형부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치형부 및 인접 치형부들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본원에서 설명된 유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의의 희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전단 부분(2604 및 2614)의 형상은, 본원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형상을 포함하는, 임의의 희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0은, 세장형 부재(2624)의 원위 단부 내에 형성된 슬롯(2627) 내로 수용된 제1 및 제2 전단 부분(2604 및 2614)의 근위 단부를 도시하는 층분리 장치(2600)의 측방향 횡단면도이다. 도 31은 또한 슬롯(2627)을 가로질러 그리고 제1 및 제2 전단 부분(2604 및 2614) 내에 각각 형성된 슬롯(2618 및 2608)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핀(2628)을 도시한다.
도 31a는, (도 31c에 도시된) 관형 부재(2702)가 제거된, 다른 층분리 장치(27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 전단 부분(2704 및 2714)이 곡선형 부분(2705 및 2715)을 각각 갖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층분리 장치(2700)는 층분리 장치(2600)와 유사하다. 제1 및 제2 전단 부분(2704 및 2714)은 그 각각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한다. 층분리 장치(1700)는, 전술한 세장형 부재(2624)와 유사한, 관형 부재(2702)의 내강 내에 배치된 세장형 부재(2724)를 포함한다. 관형 부재(2702)는 관형 부재(2702)의 내강 내에서 왕복가능하다. 제1 및 제2 전단 부분(2704 및 2714)의 근위 단부가 세장형 부재(2724)의 원위 단부 내에 형성된 슬롯(2727) 내로 수용된다. 핀(2728)은 슬롯(2727)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제1 전단 부분(2704) 내에 형성된 슬롯(2718) 내에 그리고 제2 전단 부분(2714) 내에 형성된 슬롯(2710) 내에 수용된다. 핀(2728)은 세장형 부재(2724)의 이동에 응답하여 슬롯(2718 및 2710) 내에서 활주될 수 있다.
도 31b는, 원위적으로 변위된 세장형 부재(2624)와 함께 층분리 장치(2700)를 도시하며, 원위적으로 변위된 세장형 부재는, 핀(2728)과 제1 전단 부분(2704) 내에 형성된 슬롯(2718)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제1 전단 부분(2704)이 화살표(2750)의 방향으로 피벗되게 한다. 도 31c는 관형 부재(2702)와 함께 층분리 장치(2700)를 도시한다. 전술한 관형 부재(2602)와 유사하게 관형 부재(2702)는 슬롯(2707)을 포함한다. 슬롯(2707)은, 제1 전단 부분(2704)이 핀(2706)에 대해서 왕복될 때, 제1 전단 부분(2704)의 근위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릴리프를 제공한다.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전단 부분이 또한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도 33은, 곡선형 형상을 가지는 제2 전단 부분(2814) 및 편평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전단 부분(2804)을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2800)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 전단 부분(2804 및 2814)은 핀(2806)을 통해서 관형 부재(2802)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다. 관형 부재(2802)는, 슬롯(2605)과 유사할 수 있고 슬롯(2605)과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길이방향 연장 슬롯(2805)을 포함한다.
도 32는 예시적인 제1 및 제2 전단 부분(2704 및 2714)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제1 전단 부분(2704)은 개구(2720)를 포함하고, 제2 전단 부분(2714)은 개구(2722)를 포함한다. 개구(2720 및 2722)는, 전술한 핀(2606)과 유사할 수 있는, 핀(2706)을 수용하도록 정렬된다. 일부 경우에, 제1 전단 부분(2704)은 핀(2706)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제1 전단 부분(2704)은 핀(2706)에 대해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게 고정될(rotationally fixed) 수 있다. 그러한 구현예에서, 핀(2706) 및 제1 전단 부분(2704)은 관형 부재(2702)에 대해서 피벗될 수 있다. 도 32는 또한 (제1 전단 부분(2704) 내에 형성된) 슬롯(2718) 및 (제2 전단 부분(2714) 내에 형성된) 슬롯(2710)을 도시한다. 슬롯(2710 및 2718)은, 전술한 슬롯(2610 및 2618) 각각과 유사할 수 있고 그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다. 특히, 슬롯(2710 및 2718)은, 전술한 핀(2628)과 유사한, 핀(2728)을 수용하고, 핀(2728)이 제1 및 제2 전단 부분(2704 및 2714)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변위될 때, 핀(2728)은 제1 전단 부분(2704)을 핀(2706)을 중심으로 그리고 제2 전단 부분(2714)에 대해서 피벗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
도 34 내지 도 37은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3100)를 도시한다. 층분리 장치(3100)는 내강(3104)을 형성하는 외부 관형 부재(3102)를 포함하고, 세장형 부재(3106)는 내강(3104) 및 전단 부분(3108)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전단 부분(3108)은 편향 부재(3110) 및 돌출부(3112)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편향 부재(3110)는 관형 부재(3102) 내에서 근위적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단편의 형태일 수 있다. 편향 부재(3110)의 단부(3113)가 내측부 표면(3115)과 활주 접촉된다. 세장형 부재(3106)는 세장형 부재(3106)의 내측부 표면(3116)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치형부(3114)를 포함한다. 복수의 치형부(3114)는 전단 부분(3108) 상에 형성된 돌출부(3112)와 결합된다.
전단 부분(3108)은 핀(3118)을 통해서 관형 부재(3102)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단 부분(3108)은 핀(3118)을 중심으로 관형 부재(3102)에 대해서 피벗될 수 있다. 화살표(3120)의 방향을 따른 세장형 부재(3106)의 이동은 돌출부(3112)가 복수의 치형부(3114)에 의해서 형성된 물결 표면(3122)을 올라타게 하며, 이는 다시, 전단 부분(3108)이 핀(3118)을 중심으로 진동 방식으로 피벗되게 한다. 도 37을 참조하면, 돌출부(3112)가 치형부(3114) 중 하나의 정점에 도달할 때, 전단 부분(3108)이 화살표(3124)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편향 부재(3110)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부분(3108)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편향력을 생성하거나 증가시킨다. 돌출부(3112)가 물결 표면(3122)에 의해서 형성된 홈통에 도달하도록 세장형 부재(3106)가 계속 이동됨에 따라, 전단 부분(3108)은 화살표(3126)의 방향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세장형 부재(3106)가 화살표(3120 및 3128)의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예를 들어, 거리(D)로 이동됨에 따라, 돌출부(3112)가 물결 표면(3122)을 따라 진동 방식으로 이동되어, 전단 부분(3108)이 화살표(3124 및 3126)의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이동되게 하고 그에 따라 절단 동작을 생성하게 한다.
전단 부분(3108)이 층분리 장치(3100)의 길이방향 축(3130)과 실질적으로 정렬된 것을 도 36이 도시하지만, 일부 구현에서 길이방향 축(3130)에 대한 전단 부분(3108)의 각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에,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12)가 물결 표면(3122)의 홈통 내에 체류할 때, 전단 부분(3108)의 길이방향 축(3109) 및 길이방향 축(3130)이 각도(θ)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단 부분(3108)의 길이방향 축(3109) 및 길이방향 축(3130)이 동일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0°가 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각도는 0이 아닌 값일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12)가 물결 표면(3122)의 정점에 있을 때, 각도(α)가 전단 부분(3108)과 길이방향 축(31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도(α)는, 형성된 각도(θ)와 동일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일부 경우에, 각도(θ) 및 각도(α)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각도(θ) 및 각도(α)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희망 각도가 되도록 각도(θ) 및 각도(α)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3100)가 하나의 전단 부분(3108)을 포함하지만, 다른 구현예는 제2 전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구현예에서, 전술한 전단 부분(3108)과 유사한 제1 전단 부분이 제2 전단 부분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전단 부분이 관형 부재(3102)에 고정되고 그에 대해서 정지적일 수 있다.
도 38은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4000)를 도시한다. 층분리 장치(4000)는, 길이방향 축(4004)을 중심으로 제2 전단 부분(4006)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제1 전단 부분(4002)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전단 부분(4002) 및 제2 전단 부분(4006)은, 길이방향 축(4004)을 중심으로 원통형인 형상을 가지고, 제1 및 제2 전단 부분(4002 및 4006)의 각각은 원위 단부 즉, 길이방향 축(4004)을 향해서 각각 곡선화된 원위 단부(4016 및 4018)를 갖는다. 또한, 제1 전단 부분(4002)은 제2 전단 부분(4006) 내에 포개진다. 따라서, 제1 전단 부분(4002)이 제2 전단 부분(4006)에 대해서 회전될 때, 제1 전단 부분(4002)은 제2 전단 부분(4006)의 윤곽을 따른다.
층분리 장치(4000)는 또한 외부 관형 부재(4008) 및 길이방향 축(4004)을 중심으로 외부 관형 부재(4008)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는 내부 관형 부재(4010)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관형 부재(4010)는 화살표(4012 및 4014)의 방향을 따라 왕복 방식으로 작은 각도량으로 회전된다.
제2 전단 부분(4006)은 외부 관형 부재(4008)에 부착되고 그에 대해서 고정된다. 제1 전단 부분(4002)은 내부 관형 부재(4010)에 부착되고 그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내부 관형 부재(4010)가 길이방향 축(4004)을 중심으로 왕복될 때, 제1 전단 부분(4002)이 제2 전단 부분(4006)에 대해서 회전되어, 제1 및 제2 전단 부분(4002 및 4006)의 원위 단부(4016 및 4018)에서 전단 동작을 생성한다.
도 38에는, 제1 및 제2 전단 부분(4002 및 4006)의 원위 단부(4016 및 4018) 각각이 톱니 모양으로 가공되어, 복수의 치형부를 형성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에서, 하나의 전단 부분 만이 그 원위 단부에 형성된 치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전단 부분의 어느 것도 치형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전단 부분은 뾰족한, 테이퍼링된 선행 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전단 부분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본원에서 설명된 임의 유형의 선행 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9는 길이방향 이동을 회전으로 변환하는 메커니즘(5000)을 도시한다. 그러한 메커니즘이, 층분리 장치(4000)와 같은 층분리 장치 내로 통합되어, 내부 관형 부재 및 연관된 전단 부분의 왕복 회전 운동을 생성할 수 있다. 메커니즘(5000)은 제1 부분(5002) 및 제1 부분(5002) 내로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 부분(5004)을 포함한다. 제1 부분(5002)은 화살표(5006 및 5008)의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왕복될 수 있다. 제1 부분(5002)은 핀(5012)을 수용하는 제1 슬롯(5010)을 포함한다. 핀(5012)은, 예를 들어 본원에서 설명된 유형의 외부 관형 부재와 같은 외부 부재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핀(5012)과 제1 슬롯(5010) 사이의 협력은, 제1 부분(5002)이 왕복될 때, 제1 부분(5002)의 회전 배향을 규정한다. 제1 슬롯(5010)은 또한 화살표(5006 및 5008)의 방향 모두를 따른 제1 부분(5002)의 행정 길이, 즉 제1 부분(5002)의 길이방향 이동이 허용되는 양을 규정할 수 있다.
제1 부분(5002)은 또한 제2 슬롯(5014)을 포함한다. 제2 슬롯(5014)은 길이방향 축(5016)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어 형성된다. 제2 슬롯(5014)은 제2 부분(5004)에 커플링되게 형성된 핀(5016)을 수용한다. 일부 경우에, 핀(5018)은 제2 부분(500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그에 달리 부착될 수 있다.
동작 시에, 제1 부분(5002)이 화살표(5008)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 핀(5012)은 제1 부분(5002)의 회전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제1 부분이 화살표(5008)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 핀(5018)은 제2 슬롯(5014)에 의해서 규정된 각도 경로를 따르도록 강제된다. 결과적으로, 제2 부분(5004)은 화살표(5020)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부분(5002)의 방향이 반전되고 화살표(5006)의 방향으로 변위될 때, 제2 부분(5004)은, 제2 슬롯(5014)과 핀(5018)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화살표(5022)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제1 부분(5002)이 화살표(5006, 5008)의 방향으로 왕복될 때, 제2 부분(5004)은 화살표(5020 및 5022)의 방향으로 왕복된다. 따라서, 메커니즘(5000)은 선형 운동을 각도 회전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도 40은 전술한 메커니즘(5000)과 유사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600)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층분리 장치(6000)는 제1 부분(6002), 제2 부분(6004), 및 외부 관형 부재(6006)를 포함한다. 핀(6008)은 제1 부분(6002) 내에 형성된 슬롯(6010)을 통해서 연장된다. 핀(6008) 및 슬롯(6010)이 협력하여 제1 부분(6002)을 회전 정렬시키고, 제1 부분이 외부 관형 부재(6006) 내에서 왕복될 때, 제1 부분(6002)의 행정을 규정한다. 제1 부분(6002)은 또한, 전술한 제2 슬롯(5014)과 유사할 수 있는 (도 40의 횡단면 특성으로 인해서 보이지 않는) 제2 슬롯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부분(6004)은 또한, 전술한 핀(5018)과 유사한, (도 40의 횡단면 특성으로 인해서 또한 보이지 않는) 핀을 포함한다. 제1 전단 부분(6012)이 제2 부분(6004)에 부착되고 그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제2 전단 부분(6014)은 외부 관형 부재(6006)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1 부분(6002)이 화살표(6016, 6018)의 방향으로 왕복될 때, 제2 부분(6004)은 길이방향 축(6020)을 중심으로 왕복 방식으로 회전된다. 제2 부분(6004)에 부착됨으로써, 제1 전단 부분(6012)은 길이방향 축(6020)을 중심으로 왕복 방식으로 유사하게 회전된다. 제2 전단 부분(6014)이 관형 하우징에 대해서 고정되기 때문에 그리고 제2 부분(6004) 및 제1 전단 부분(6012)이 외부 관형 하우징(6006)에 대해서 회전되기 때문에, 제1 전단 부분(6012)이 제2 전단 부분(6014)에 대해서 회전되어, 멤브레인을 기본 조직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전단 작용을 생성한다.
도 44 내지 도 46은, 외부 관형 부재(7002), 제1 전단 부분(7004), 및 제2 전단 부분(7006)을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7000)를 도시한다. 뾰족한 원위 단부(7008 및 7010)를 각각 가지는 것으로, 제1 및 제2 전단 부분(7004 및 7006)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원위 단부(7008 및 7010)는, 본원에서 설명된 임의의 예에 따른 형상 또는 선행 연부 구성을 갖는다. 층분리 장치(7000)는 또한 외부 관형 부재(7012) 및 관형 부재(7012)의 내강에 수용되고 그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세장형 부재(7014)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2 전단 부분(7006)은 근위 부분(7016)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근위 부분(7016)은 관형 부재(7012) 내에 형성된 내강 내로 수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관형 부재(7012)는, 관형 부재(7012)의 원위 단부(7018)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방향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슬롯이 관형 부재의 전체 벽 두께를 통해서 연장되어, 내강과 관형 부재(7012)의 외측부 사이의 연통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슬롯은 관형 부재(7012)의 벽 두께의 일부만을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전단 부분(7006)의 근위 단부(7016)는 관형 부재(7012) 내에 형성된 슬롯 내로 수용될 수 있고 그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단 부분(7006)은 관형 부재(7012)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제2 전단 부분(7006)은, 접착, 용접, 핀형 연결,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연결과 같은,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관형 부재(70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7004), 제2 전단 부분(7006), 및 관형 부재(7012)의 각각은 개구, 예를 들어, 개구(7018, 7020, 및 7022)를 각각 포함한다. 개구(7018, 7020, 및 7022)는 핀(7024)과 정렬되고 그러한 핀을 수용한다. 결과적으로, 제2 전단 부분(7006)은 제1 전단 부분(7004) 및 관형 부재(7012)에 대해서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전단 부분(7004)은 근위 부분(7026) 및 편향 부재(7028)를 포함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편향 부재(2316)와 유사하게, 편향 부재(7028)는, 관형 부재(7012)의 내부 표면과 결합되는 근위 단부(7030)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관형 부재(7012)의 이러한 내부 표면은 그 내부에 형성되는 내강을 규정할 수 있다. 근위 부분(7026)은 결합 표면(7032)을 포함한다. 결합 표면(7032)은 관형 부재(7012)의 길이방향 축(7034)에 대해서 직각일 수 있다. 세장형 부재(7014)는, 제1 전단 부분(7004)의 결합 표면(7032)과 결합되는 결합 표면(7036)을 포함한다. 결합 표면(7036)은, 결합 표면(7032)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 결합 표면(7036)은 또한 길이방향 축(7034)에 대해서 직각으로 구성된다.
세장형 부재(7014)가 화살표(7038)의 방향으로 변위될 때, 세장형 부재(7014)의 결합 표면(7036)은 제1 전단 부분(7004)의 결합 표면(7032)과 결합되고, 2개의 결합 표면(7032 및 7036) 사이의 상호작용은 제1 전단 부분(7004)이 화살표(7040)의 방향으로 피벗되게 한다. 도시된 예에서, 결합 표면(7032 및 7036)은 경사진 평면들을 형성한다. 세장형 부재(7014)가 화살표(7038)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 결합 표면(7032)과 결합 표면(7036) 사이의 상호작용은 결합 표면(7032)이 결합 표면(7036)에 대해서 활주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제1 전단 부분(7004)은, 세장형 부재(7014) 및 제2 전단 부분(7006)에 대해서, 핀(7024)을 중심으로 피벗된다. 제1 전단 부분(7004)이 화살표(7040)의 방향으로 피벗됨에 따라, 근위 단부(7030)와 관형 부재(7012)의 내부 표면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서, 편향 부재(7028)가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편향 부재(7028)의 탄성 변형은 제1 전단 부분(7004)이 화살표(7042)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압박한다 세장형 부재(7014)가 화살표(7044)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 편향 부재(7028)에 의해서 인가된 힘으로 인해서, 제1 전단 부분(7004)은 화살표(7042)의 방향으로 핀(7024)을 중심으로 피벗된다. 결과적으로, 세장형 부재(7014)가 왕복됨에 따라, 제1 전단 부분(7004)은 핀(7024)을 중심으로 제2 전단 부분(7006)에 대해서 진동된다. 제2 전단 부분(7006)에 대한 제1 전단 부분(7004)의 이러한 상대적인 이동은 기본 조직으로부터 멤브레인을 절단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도 47은 다른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4700)를 도시한다. 층분리 장치(4700)는 관형 부재(4702)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전반적으로 원형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관형 부재(4702)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관형 부재(4702)는 임의의 희망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4704)은 관형 부재(4702)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경우에, 제1 전단 부분(4704)은, 관형 부재(4702)에 부착된 별개의 부분일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4704)은 층분리 장치(4700)의 길이방향 축(4706)에 대해서 약 90°의 각도로 관형 부재(4702)로부터 연장된다. 제1 전단 부분(4704)은, 복수의 치형부(4710)를 형성하는 복수의 홈(4708)을 포함한다.
층분리 장치(4700)는 또한, 관형 부재(4702) 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서 연장되는 샤프트(4712)를 포함한다. 샤프트(4712) 및 관형 부재(4702)는 길이방향 축(4706)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제2 전단 부분(4714)은 그 원위 단부(4716)에서 샤프트(4712)에 부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전단 부분(4714)은 샤프트(47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2 전단 부분(4714)은, 샤프트(4712)에 부착된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제1 전단 부분(4704)과 유사하게, 제2 전단 부분(4714)은 층분리 장치(4700)의 길이방향 축(4706)에 대해서 약 90°의 각도로 샤프트(4712)로부터 연장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전단 부분(4704)과 길이방향 축(4706) 사이에 형성된 각도 및 제2 전단 부분(4714)과 길이방향 축(4704)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90°내지 180°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각도가 90°내지 135°일 수 있다. 제2 전단 부분(4714)은, 복수의 치형부(4720)를 형성하는 복수의 홈(4718)을 포함한다.
동작 시에, 관형 부재(4702)는 길이방향 축(4706)을 중심으로 샤프트(4712)에 대해서 진동될 수 있고, 이는 제2 전단 부분(4714)에 대한 제1 전단 부분(4704)의 전단 이동을 초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전단 부분(4714)은, 눈의 망막과 같이, 그에 인접하여 위치된 대상에 대해서 정지적이 된다. 일부 경우에, 샤프트(4712)에 대한 관형 부재(4702)의 회전 각도는 3도 내지 10도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그러나, 샤프트(4712)에 대한 관형 부재(4702)의 회전 각도는 임의의 희망 각도량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층분리 장치가, 측방향 전단 이동에 대조적인 것으로서, 제2 전단 부분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전단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의 하나 이상에서, 전단 부분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그 위에 형성된 다이아몬드, 규소 탄화물, 또는 다른 경질 보호 코팅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코팅은 마모를 방지하고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층분리 장치의 하나 이상의 전단 부분이, 예를 들어, 전단 부분들 사이에 배치된 혈관 조직을 응고시키기 위한, 투열요법(diathermy)을 실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주파수 에너지를 전달하여 투열요법 기능을 실시하기 위해서, 전단 부분이 필요에 따라 절연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개시 내용에 포함되는 예가 전술한 특별한 구현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와 관련하여, 비록 예시적인 구현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넓은 범위의 수정, 변화, 및 치환이 전술한 개시 내용 내에서 고려된다. 그러한 변경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전술한 내용에 대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이 광범위하게 그리고 본 개시 내용과 일치되는 방식으로 해석되는 것이 적절하다.

Claims (15)

  1.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로서:
    제1 전단 부분;
    상기 제1 전단 부분에 대해서 피벗 가능한 제2 전단 부분; 및
    상기 제1 전단 부분 및 상기 제2 전단 부분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관형 부재로서, 상기 제2 전단 부분은 제1 길이방향을 따른 관형 부재의 길이방향 변위에 응답하여 제1 측방향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고, 상기 제2 전단 부분은 상기 제1 길이방향에 반대인 제2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관형 부재의 길이방향 변위에 응답하여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측방향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는 관형 부재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방향을 따른 상기 제2 전단 부분의 이동은, 상기 제2 전단 부분을 상기 제2 측방향을 향해서 압박하는 편향력을 생성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단 부분은 상기 제1 전단 부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단 부분은 핀형 연결부를 통해서 상기 제1 전단 부분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단 부분은 상기 핀형 연결부로부터 근위적으로 연장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편향 부재는 상기 제1 측방향을 따른 상기 제2 전단 부분의 이동에 응답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2 전단 부분을 상기 제2 측방향을 향해서 압박하는 편향력을 생성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단 부분은, 상기 제2 전단 부분의 측방향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램프(ramp)를 형성하는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1 세장형 부재;
    상기 제1 세장형 부분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상기 제1 전단 부분;
    상기 제1 세장형 부재에 대해서 피벗 가능하게 이동 가능한 제2 세장형 부재; 및
    상기 제2 세장형 부재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제2 전단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형 부재는 내강을 형성하고, 상기 내강을 통해서 상기 제1 세장형 부재 및 상기 제2 세장형 부재가 연장되며,
    상기 제1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관형 부재의 이동은, 상기 관형 부재가 상기 제2 세장형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세장형 부재가 상기 제1 측방향을 따라 측방향으로 변위되게 하고 상기 제2 세장형 부재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하여 편향력을 생성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2 길이방향을 따른 관형 부재의 이동은 상기 제2 세장형 부재가 상기 편향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장형 부재 및 상기 제2 세장형 부재는 분할된 와이어의 대향 측면들을 형성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단 부분은, 상기 관형 부재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성분을 가지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 형상을 형성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단 부분은, 상기 제1 전단 부분 및 상기 제2 전단 부분이 함께 포개지도록 상기 제1 전단 부분의 곡률에 상보적인 곡률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단 부분 또는 상기 제2 전단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선행 연부를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11.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로서:
    관통 연장되는 내강을 형성하고 길이방향 축을 형성하는 관형 부재;
    상기 관형 부재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관형 부재에 대해서 고정된 제1 전단 부분으로서, 상기 제1 전단 부분이 상기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슬롯을 포함하는, 제1 전단 부분;
    상기 관형 부재의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핀형 연결부에서 상기 제1 전단 부분에 대해서 피벗 가능한 제2 전단 부분으로서, 길이방향 축에 비스듬한 각도로 형성된 제2 슬롯을 포함하는, 제2 전단 부분;
    상기 내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내강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세장형 부재로서, 상기 세장형 부재는 그 원위 단부에 형성된 제3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슬롯은 상기 제1 전단 부분 및 상기 제2 전단 부분의 근위 단부를 수용하는, 세장형 부재; 및
    상기 세장형 부재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3 슬롯을 가로질러 그리고 상기 제1 전단 부분의 제1 슬롯을 통해서 그리고 상기 제2 전단 부분의 제2 슬롯을 통해서 연장되는 핀으로서, 상기 제2 전단 부분은 제1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세장형 부재의 길이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제1 각도 방향으로 상기 핀형 연결부 주위로 피벗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단 부분은 상기 제1 길이방향에 반대인 제2 길이방향을 따른 상기 세장형 부재의 길이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각도 방향에 반대되는 제2 각도 방향을 따라 상기 핀형 연결부 주위로 피벗될 수 있는 핀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단 부분은 오목한 곡선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전단 부분은 볼록한 곡선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전단 부분 및 상기 제2 전단 부분의 곡선형 형상은, 상기 제1 전단 부분 및 상기 제2 전단 부분의 원위 단부의 각각을 서로를 향해서 압박하는 편향력을 생성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핀형 연결부는, 상기 관형 부재, 상기 제1 전단 부분, 및 상기 제2 전단 부분을 통해서 연장되는 제2 핀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단 부분은, 상기 관형 부재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성분을 가지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 형상을 형성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단 부분은, 상기 제1 전단 부분 및 상기 제2 전단 부분이 함께 포개지도록 상기 제1 전단 부분의 곡률에 상보적인 곡률을 포함하는,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KR1020187027268A 2016-06-17 2017-06-15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KR201900206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51486P 2016-06-17 2016-06-17
US62/351,486 2016-06-17
US201762472337P 2017-03-16 2017-03-16
US62/472,337 2017-03-16
PCT/IB2017/053570 WO2017216757A2 (en) 2016-06-17 2017-06-15 Membrane delamination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645A true KR20190020645A (ko) 2019-03-04

Family

ID=5929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268A KR20190020645A (ko) 2016-06-17 2017-06-15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675180B2 (ko)
EP (1) EP3410995B1 (ko)
JP (1) JP7068198B2 (ko)
KR (1) KR20190020645A (ko)
CN (1) CN108778200B (ko)
AU (1) AU2017285371B2 (ko)
BR (1) BR112018069134A2 (ko)
CA (1) CA3015612A1 (ko)
MX (1) MX2018015750A (ko)
RU (1) RU2018143383A (ko)
TW (1) TW201803527A (ko)
WO (1) WO20172167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4727A (ja) * 2019-05-30 2022-08-03 アルコン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回転式カッター
US20210113377A1 (en) * 2019-10-16 2021-04-22 Alcon Inc. Membrane delamination device
US11752036B2 (en) 2019-10-16 2023-09-12 Alcon Inc. Membrane delamination device
CN116782439B (zh) * 2023-08-23 2023-11-17 哈尔滨远驰航空装备有限公司 电加热复合材料结构及其成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1935A1 (de) * 1988-07-26 1990-02-01 Schad Karl Chirurgisches instrument
US5175528A (en) 1989-10-11 1992-12-29 Grace Technology, Inc. Double oscillator battery powered flashing superluminescent light emitting diode safety warning light
US5797939A (en) * 1989-12-05 1998-08-25 Yoon; Inbae Endoscopic scissors with longitudinal operating channel
JP3101460B2 (ja) 1992-04-03 2000-10-23 三洋電機株式会社 誘電体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分波器
US5350391A (en) * 1992-10-19 1994-09-27 Benedetto Iacovelli Laparoscopic instruments
US5389104A (en) * 1992-11-18 1995-02-14 Symbiosis Corporation Arthroscopic surgical instruments
US5584845A (en) * 1994-08-18 1996-12-17 Innovasive Devices, Inc. Surgical scissor blad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RU2122389C1 (ru) 1995-12-26 1998-11-27 Меж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влажной формы сенильной макулодистрофии
JPH09313522A (ja) * 1996-05-31 1997-12-09 Nidek Co Ltd 眼科手術装置
US6371956B1 (en) * 1996-10-28 2002-04-16 Endoscopic Concepts, Inc. Monopolar electrosurgical end effectors
DE19747043C2 (de) * 1997-10-24 2000-01-27 Wolf Gmbh Richard Endoskopisches Instrument
US5921998A (en) 1998-04-10 1999-07-13 Inami & Co., Ltd. Membrane eraser
US6086606A (en) * 1998-05-06 2000-07-11 Knodel; Bryan D. Manually-operable surgical tool suitable for laparoscopic operations, readily adaptable for different functions by quick change of tissue-contacting operational elements
US6270508B1 (en) * 1998-10-26 2001-08-07 Charles H. Klieman End effector and instrument for endoscopic and general surgery needle control
US6168605B1 (en) * 1999-07-08 2001-01-02 Ethicon Endo-Surgery, Inc. Curved laparoscopic scissor having arcs of curvature
EP1216001A4 (en) 1999-09-13 2006-02-01 Synergetics Inc MEMBRANE SHEAVER WITH CHANGED STIFFNESS
US6428539B1 (en) 2000-03-09 2002-08-06 Origin Med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ing rotational cutting tool
RU14509U1 (ru) 2000-03-22 2000-08-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Меж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разделения слоев сетчатой оболочки
US6616683B1 (en) 2000-05-02 2003-09-09 Duke University Method of making miniaturized surgical forceps
US6908476B2 (en) 2001-12-21 2005-06-21 Alcon Grieshaber Ag Micro surgical cutting instrument configured as scissors
US6772765B2 (en) 2002-06-12 2004-08-10 Synergistics, Inc. Surgical instrument constructed by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US7156846B2 (en) * 2003-06-13 2007-01-02 Sherwood Services Ag Vessel sealer and divider for use with small trocars and cannulas
CA2583906C (en) 2004-10-15 2011-12-06 Baxano, Inc. Devices and methods for tissue removal
US7731728B2 (en) 2004-11-30 2010-06-08 Glaser Bert M Internal limiting membrane rake
RU2288682C1 (ru) 2005-05-31 2006-12-10 Уфим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глазных болезне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эпиретинальных мембран
US20080021278A1 (en) * 2006-07-24 2008-01-24 Leonard Robert F Surgical device with removable end effector
RU2335269C1 (ru) 2007-03-21 2008-10-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Меж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С.Н. Федорова Федерального агентства по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ю и социальному развитию"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эпиретинальной мембраны
JP5196645B2 (ja) 2008-03-21 2013-05-15 Hoya株式会社 眼科用手術器具
US8425596B2 (en) 2008-03-21 2013-04-23 Ut-Battelle, Llc Retinal instrument
US8277475B2 (en) * 2008-05-09 2012-10-02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Laparoscopic scissors
RU82117U1 (ru) 2008-10-16 2009-04-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Меж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С.Н. Федорова Федерального агентства по высокотехнологичной медицинской помощи" Ретинальный шпатель для отделения задней гиалоидной мембраны и эпиретинальных мембран с поверхности сетчатки
US8128649B2 (en) * 2008-12-16 2012-03-06 Slater Charles R Spring scissor blade
CN101637419B (zh) 2009-08-20 2011-11-16 浙江大学 眼科钝性分离镊
CN201510417U (zh) 2009-08-20 2010-06-23 浙江大学 眼科钝性分离镊
RU106102U1 (ru) 2010-11-24 2011-07-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Свердовской области Детская клиническая больница 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ого лечения "Научно-практический центр "Бонум" Набор микропинцетов для удаления эпи- и межретинальных мембран
DE102012202434A1 (de) * 2012-02-17 2013-08-22 Geuder Ag Medizinisches Instrument
US9717518B2 (en) 2012-02-22 2017-08-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for cutting
US9629645B2 (en) 2012-10-30 2017-04-25 Katalyst Surgical, Llc Atraumatic microsurgical forceps
US9226762B2 (en) 2012-11-07 2016-01-05 Katalyst Surgical, Llc Atraumatic microsurgical forceps
EP3473196B1 (en) * 2012-11-09 2023-04-12 Gyrus ACMI, Inc. (D.B.A. Olympus Surgical Technologies America) Forceps with a rotation assembly
DE102012223076A1 (de) 2012-12-13 2014-07-03 Geuder Ag Instrument zur Stimulation bzw. Irritation und/oder zur Abrasivbehandlung und/oder zum Polieren einer Membrane oder Oberfläche oder Innenfläche im menschlichen oder tierischen Auge
US9456863B2 (en) * 2013-03-11 2016-10-04 Covidien Lp Surgical instrument with switch activation control
US9204995B2 (en) 2013-03-12 2015-12-08 Katalyst Surgical, Llc Membrane removing forceps
US9668729B2 (en) * 2013-03-13 2017-06-06 Covidien Lp Surgical stapling apparatus
WO2015080677A1 (en) 2013-11-26 2015-06-04 Hüseyin YETİK A blade-scissors embodiment for vitreoretinal surgeries
US9949751B2 (en) 2014-02-04 2018-04-24 Misonix, Inc. Ultrasonic debrider probe
JP6573176B2 (ja) * 2014-09-30 2019-09-11 株式会社iMott ハサ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78200A (zh) 2018-11-09
CN108778200B (zh) 2020-10-16
BR112018069134A2 (pt) 2019-01-22
WO2017216757A3 (en) 2018-07-26
AU2017285371B2 (en) 2021-12-09
JP2019524174A (ja) 2019-09-05
US20170360603A1 (en) 2017-12-21
CA3015612A1 (en) 2017-12-21
WO2017216757A2 (en) 2017-12-21
MX2018015750A (es) 2019-08-29
TW201803527A (zh) 2018-02-01
AU2017285371A1 (en) 2018-09-13
RU2018143383A (ru) 2020-07-17
EP3410995B1 (en) 2021-04-14
EP3410995A2 (en) 2018-12-12
US10675180B2 (en) 2020-06-09
JP7068198B2 (ja) 202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0645A (ko) 멤브레인 층분리 장치
AU2021204590B2 (en) Surgical instrument with ultrasonic tip for fibrous tissue removal
JP6644397B2 (ja) 眼科手術用切断器具
CN104968307B (zh) 用于切割和抽吸组织的装置
RU2509537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срезания и очищения ткани
JP5064399B2 (ja) 傾斜歯と骨屑溜めとを有する外科用鋸ブレード
EP2967593B1 (en) Ultrasonic surgical drill
KR20210124298A (ko) 일체형 흡인 펌프를 갖는 안과 절단 기구
KR20120120251A (ko) 천장골 융합을 제공하는 하부절단 시스템
EP0395663A1 (en) Tubular microsurgery cutting apparatus
CN104490454A (zh) 用于切割组织的方法和装置
WO2008007890A1 (en) Facial bone surgery apparatus for medical
US10595879B1 (en) Blade for osteotome
CN112203591A (zh) 血管打孔器
EP2853330A1 (en) Saw blade
KR101968477B1 (ko) 치아 교정용 연마 시스템
RU2240091C1 (ru) Офтальмо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